KR20170039953A -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9953A
KR20170039953A KR1020150139198A KR20150139198A KR20170039953A KR 20170039953 A KR20170039953 A KR 20170039953A KR 1020150139198 A KR1020150139198 A KR 1020150139198A KR 20150139198 A KR20150139198 A KR 20150139198A KR 20170039953 A KR20170039953 A KR 2017003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rtable terminal
recognition
recognition card
dimensio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숙
Original Assignee
김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숙 filed Critical 김은숙
Priority to KR102015013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9953A/ko
Publication of KR2017003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9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사물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가 2차원적으로 그려져 있는 인식카드와,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하여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사물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가 2차원적으로 그려져 있는 인식카드와,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한 후, 상기 인식카드에 그려진 사물의 이름과 사용자의 음성이 일치할 경우,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LEARNING APPARATUS USING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의 기반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다.
증강현실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 물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실세계에 실시간으로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므로 혼합현실(Mixed Reality, MR)이라고도 한다.
한편, 가상현실기술은 가상환경에 사용자를 몰입하게 하여 실제환경을 볼 수 없다. 하지만 실제환경과 가상의 객체가 혼합된 증강현실기술은 사용자가 실제환경을 볼 수 있게 하여 보다 나은 현실감과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상술한 증강현실기술이 학습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단순히 영상을 입체화하여 표시하고 음성을 출력하므로, 사용자와의 대화형 학습을 원활히 진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자유롭게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와의 대화형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와의 대화형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가 2차원적으로 그려져 있는 인식카드; 및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하여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인식카드를 동시에 인식할 경우, 각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터치동작에 대응하여 360도 회전, 확대, 축소, 움직임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한 후, 상기 인식카드가 인식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계속해서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물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가 2차원적으로 그려져 있는 인식카드; 및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한 후, 상기 인식카드에 그려진 사물의 이름과 사용자의 음성이 일치할 경우,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터치동작에 대응하여 360도 회전, 확대, 축소, 움직임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한 후, 상기 인식카드가 인식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계속해서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자유롭게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와의 대화형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학습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음성으로 사용자와의 대화형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카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제1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제2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제3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외부 악세사리를 이용한 학습과정을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식카드(100)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제1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인식카드(100)와, 휴대용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식카드(100)는 사물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가 2차원적으로 그려져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인식카드(101)의 앞면에는 공룡(티라노사우루스)의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공룡의 이름이 다국어로 표시되어 있다. 언어의 종류는 한국어, 중국어,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일본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인식카드(102)의 앞면에는 기린의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기린이 다국어로 표시되어 있다.
제3 인식카드(103)의 앞면에는 물고기(흰동가리)의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물고기의 이름이 다국어로 표시되어 있다.
제4 인식카드(104)의 앞면에는 소방차의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으며, 뒷면에는 소방차가 다국어로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인식카드(100)의 예시와 같이, 인식카드에는 다양한 사물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가 2차원적으로 그려져 있다.
참고적으로, 인식카드(100)에는 식별마커가 포함되는데, 도 1의 인식카드(100)의 식별마커는 사물의 이미지에 포함되어 사용자의 눈으로는 식별되지 않는다. 즉, 공룡 및 기린의 무늬 속에 식별마커가 내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마커는 인식카드의 외부 테두리 또는 인식카드의 특정 위치에 QR코드와 같은 코드부호로써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인식카드(100)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카메라를 통해 영상인식하고,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카드(100)의 이미지를 감지하거나, 식별마커를 감지하여 그 인식카드가 어떠한 사물을 나타내는지 구분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200)는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동시에 감지하여 그 연관성을 통해 사물을 구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식카드(100)는 새의 이미지가 그려져 있으므로, 휴대용 단말기(200)는 새의 이미지를 인식한 후에 디스플레이부에 새의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360도 회전, 확대, 축소, 움직임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새가 날아다니거나 날개를 움직이는 동작이 구현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00)에 중력센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의 기울임, 회전에 대응하여 3차원 이미지가 360도 회전, 확대, 축소, 움직임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200)는 인식카드(100)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한 후, 인식카드(100)가 카메라의 인식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계속해서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따라서 계속해서 인식카드(100)를 휴대용 단말기(200)의 카메라로 인식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제2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가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한 후 사물의 이름과 일치할 때, 디스플레이부에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음성으로 사물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휴대용 단말기(200)는 인식카드(100)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카메라로 영상인식한 후,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상태로 전환된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인식카드에 그려진 사물의 이름과 사용자의 음성이 일치할 경우,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게 된다.
사물의 이름은 다국어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한국어, 중국어, 영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일본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용자가 음성을 소정의 횟수 예를 들어 3회 발음했음에도 불구하여, 부정확한 발음이라고 감지되었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는 정확한 발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발음을 따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출력된 발음을 듣고 사용자가 다시 정확한 사물의 이름을 발음했을 때 3차원 이미지가 출력된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는 동작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대응하여 360도 회전, 확대, 축소, 움직임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헬기가 날아다니거나 움직이는 동작이 구현된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으로 3차원 이미지를 호출했을 경우, 3차원 이미지를 음성으로 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하여 360도 회전, 확대, 축소, 움직임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헬기가 날아다니거나 움직이는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제3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복수의 인식카드(105,106)를 카메라로 동시에 영상인식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정간격을 두고 두 개의 인식카드(105,106)가 배열되었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의 카메라는 복수의 인식카드(105,106)를 모두 인식하는 동시에 각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다.
실시예에서는 돼지가 그려진 인식카드(105), 울타리가 그려진 인식카드(106)가 배열되어 있는데, 휴대용 단말기(200)는 두 개의 인식카드(105)를 인식하여 돼지가 울타리 내부에 있는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음성에 대응하여 3차원 이미지의 360도 회전, 확대, 축소, 움직임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터치,음성)에 대응하여 돼지가 울타리 밖으로 이동한 모습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인식카드(100)의 배열순서(좌우상하)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는 기본설정된 3차원 이미지의 조합을 표시하되 사용자의 조작(터치,음성)을 통해 그 조합의 순서 및 배열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식카드(100)를 인식한 후, 디스플레이부에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
애플리케이션의 제1 구성도(201)에서 국기를 클릭할 경우, 제2 구성도(2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국어를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국기가 표시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된 사물에 대한 설명이 문자, 또는 음성으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문자 및 음성은 선택된 다국어로 표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외부 악세사리를 이용한 학습과정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인식카드(100), 휴대용 단말기(200)에 외부 악세사리가 추가로 구비되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룡모양의 목걸이가 외부 악세사리로써 사용되는 예시를 설명한다.
목걸이의 뒷면에는 특정 이미지 및 식별마커가 각인되어 있는데, 휴대용 단말기(200)가 목걸이 뒷면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인식하거나, 공룡모양의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인식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에 공룡모양의 3차원 이미지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펫기르기 모드 및 보호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펫기르기 모드가 선택된 경우,
도 6에서 도시된 알모양의 3차원 이미지(301) 및 아기 공룡의 삼차원 이미지(303)와 같이, 공룡을 탄생시키고, 먹이주고, 샤워시키고, 음악 들려주는 등등 사용자가 공룡이 성장하고 활동하는 모습을 3차원 이미지로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보호 모드가 선택된 경우, 공룡 이미지(302)에 휴대용 단말기(200)에 표시되고,
휴대용 단말기(200)와 목걸이가 설정된 거리를 초과할 경우, 목걸이 및 휴대용 단말기(200)에서 경보음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여, 아동 및 특정 물품의 이동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기(200)의 특정버튼을 누를 경우, 거리에 관계없이 목걸이에서 경보음이 출력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복수의 목걸이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목걸이의 설정버튼을 3초 동안 누를 경우, 보호 모드로 자동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목걸이의 설정버튼을 5초 동안 누를 경우, 펫기르기 모드로 자동전환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인식카드(100)와 휴대용 단말기(200)를 초기에 등록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휴대용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에 각인되어 있는 어플 QR코드를 인식할 경우, 애플리케이션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페이지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한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화번호, 비밀번호, 인증번호를 입력하여 서버에 휴대용 단말기(200)를 등록시킨다. 여기에서 서버는 애플리케이션과 상호간에 데이터 교환을 진행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이 원활히 구동될 수 있도록 데이터 및 인증 서버로써 동작한다.
다음으로, 등록된 휴대용 단말기(200)로 인증 QR코드를 인식할 경우, 서버는 휴대용 단말기(200)가 등록된 단말기인지 확인 한 후, 인증 QR코드의 인증번호를 휴대용 단말기(200)와 매칭시켜서 해당 정보를 저장한다. 인증 QR코드 대신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200)에 직접 인증번호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인증번호가 매칭되어 있지 않은 휴대용 단말기(200)는, 인식카드(100)를 인식하더라도 서버에서 데이터 전송을 하지 않거나, 애플리케이션에서 구동을 차단한다.
즉, 인식카드(100)의 식별마커는 인증번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타사용자의 인식카드(100)를 휴대용 단말기(200)로 인식하더라도, 식별마커의 인증번호가 해당 휴대용 단말기(200)에 매칭되어 있지 않을 경우, 휴대용 단말기(200)의 애플리케이션에서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참고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인식카드(100)의 식별마커에 인증번호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인식카드(100)에 RFID 칩이 내장되어 RFID 칩에 인증번호가 저장되고, 휴대용 단말기(200)와 RFID 칩 사이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인증번호가 확인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의 포장박스 또는 데모용 인식카드는 인증번호 및 휴대용 단말기(200)의 등록여부에 관계없이 하나의 사물이 3차원 이미지로 표시되어 음성 및 터치동작을 통해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적으로, 서버는 단순히 인증여부만을 확인하는 인증서버로써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인증서버 및 데이터 서버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가 단순히 인증기능만을 담당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각 인식카드에 대한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고 있으며,
서버가 데이터 서버의 기능을 동시에 담당할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각 인식카드에 대한 3차원 이미지 데이터를 서버로 부터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서버는 3차원 이미지 뿐만 아니라 각 이미지에 대한 설명 데이터(음성, 영상, 텍스트)를 휴대용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사물에 대한 퀴즈, 각 이미지에 대한 스토리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자유롭게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와의 대화형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학습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음성으로 사용자와의 대화형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인식카드
200 : 휴대용 단말기

Claims (7)

  1. 사물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가 2차원적으로 그려져 있는 인식카드; 및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하여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의 인식카드를 동시에 인식할 경우, 각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조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터치동작에 대응하여 360도 회전, 확대, 축소, 움직임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한 후, 상기 인식카드가 인식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계속해서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5. 사물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가 2차원적으로 그려져 있는 인식카드; 및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한 후, 상기 인식카드에 그려진 사물의 이름과 사용자의 음성이 일치할 경우,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터치동작을 통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있어서, 터치동작에 대응하여 360도 회전, 확대, 축소, 움직임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인식카드의 이미지 및 식별마커를 영상인식한 후, 상기 인식카드가 인식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계속해서 해당 인식카드에 할당된 3차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KR1020150139198A 2015-10-02 2015-10-02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KR20170039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98A KR20170039953A (ko) 2015-10-02 2015-10-02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98A KR20170039953A (ko) 2015-10-02 2015-10-02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53A true KR20170039953A (ko) 2017-04-12

Family

ID=5858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198A KR20170039953A (ko) 2015-10-02 2015-10-02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99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51A (ko) * 2018-01-26 2019-08-05 캄아일랜드 주식회사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CN112447069A (zh) * 2019-09-04 2021-03-05 吴彤 一种基于图像识别的推荐学习的装置
KR102313272B1 (ko) * 2021-05-25 2021-10-14 최인환 증강 현실 기반 실시간 음성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81743A (ko) * 2021-11-29 2023-06-08 주식회사 인투드리머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스피치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교육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151A (ko) * 2018-01-26 2019-08-05 캄아일랜드 주식회사 식별부 및 캐릭터 내 색상의 인식을 통해 입체적 형상을 모델링시키는 유아용 교육 장치
CN112447069A (zh) * 2019-09-04 2021-03-05 吴彤 一种基于图像识别的推荐学习的装置
KR102313272B1 (ko) * 2021-05-25 2021-10-14 최인환 증강 현실 기반 실시간 음성 번역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30081743A (ko) * 2021-11-29 2023-06-08 주식회사 인투드리머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스피치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교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7501B2 (en) Interactive phonics game system and method
KR20210046591A (ko) 증강 현실 데이터 제시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저장 매체
US10324293B2 (en) Vision-assisted input within a virtual world
CN110738737A (zh) 一种ar场景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692335B1 (ko) 증강현실 영상표시 시스템 및 증강현실 영상표시 방법
US20170249019A1 (en) Controller visualiza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US20170053449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contents to augment usability of real object and method using the same
WO2018142756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22505998A (ja) 拡張現実データの提示方法、装置、電子機器及び記憶媒体
CN106097794A (zh) 基于增强现实的汉语拼音组合认读学习系统及认读方法
JP622432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
KR20170039953A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학습장치
US11709593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a virtual keyboar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A3045132C (en) Communication with augmented reality virtual agents
Glonek et al. Natural user interfaces (NUI)
EP3262437A1 (en) Controller visualization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KR20100058843A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한글 교습 방법 및 시스템
CN113359983A (zh) 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hatte et al. Hand-held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 case study with sorting
KR102594738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유아학습 방법 및 유아학습 콘텐츠 서버
Carmigniani Augmented reality methods and algorithms for hearing augmentation
KR20220057388A (ko) Ar 버츄얼 단말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026475B1 (ko) 시각적 입력의 처리
CN111580653A (zh) 一种智能交互方法及智能交互式课桌
Guo An icon recognition study on different simplicity lev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