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226B1 -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226B1
KR102475226B1 KR1020220053317A KR20220053317A KR102475226B1 KR 102475226 B1 KR102475226 B1 KR 102475226B1 KR 1020220053317 A KR1020220053317 A KR 1020220053317A KR 20220053317 A KR20220053317 A KR 20220053317A KR 102475226 B1 KR102475226 B1 KR 102475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er
wick
bas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윤
Original Assignee
제이엔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엔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엔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32B37/1054Regulating the dimensions of the laminate, e.g. by adjusting the nip or platen g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32B38/1833Positioning, e.g. registration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9/00Layout of apparatus or plants, e.g. modular lamin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제1필름이 감긴 제1심지가 끼워지는 제1필름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제1필름의 보호제가 분리된 접착력을 갖는 모제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제2필름이 감긴 제2심지가 끼워지는 제2필름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상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필름의 모제에 열을 가하는 가열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하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필름의 모제와 상기 제2필름을 상기 가열롤러와 함께 가압하여 합지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름롤러, 상기 방향전환롤러, 상기 제2필름롤러, 상기 가열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Release film laminat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형 필름은 서로 다른 종류의 필름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필름들이 열을 이용하여 합지하는 열합지 또는 가열 없이 필름 자체에 도포된 접착제와 롤러의 가압으로 합지하는 가압합지 방법이 있다.
상기의 합지는 정밀한 공정이 요구되며, 정렬이 틀어지거나 중간에 기포가 생기거 울거나 하는 등의 문제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장력, 합지속도, 작업장의 온습도 등에 따라 열합지 시 롤러의 온도 등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등의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미세조정은 작업자가 수시로 육안으로 확인하고 직접 조정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 등과 같은 요소에 따라 상품성 및 작업성능의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1759호(2008.05.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제1필름이 감긴 제1심지가 끼워지는 제1필름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제1필름의 보호제가 분리된 접착력을 갖는 모제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제2필름이 감긴 제2심지가 끼워지는 제2필름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상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필름의 모제에 열을 가하는 가열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하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필름의 모제와 상기 제2필름을 상기 가열롤러와 함께 가압하여 합지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름롤러, 상기 방향전환롤러, 상기 제2필름롤러, 상기 가열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필름롤러와 상기 제1심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름롤러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심지를 상기 제1필름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조절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필름롤러의 외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 구비되어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베이스의 외면과 접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본체부분과, 상기 본체부분의 길이방향 양단에 상기 본체부분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과, 상기 체결부분의 일단에 상기 체결부분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분과 동일선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분에는 상기 제1심지에 감긴 상기 제1필름의 정렬을 감지하는 정렬감지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정렬감지장치는 상기 체결부분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면과 접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넓히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심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심지에 감긴 상기 제1필름의 정렬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슬라이더와 연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제1필름이 감지되었을 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필름이 감지된 상기 감지센서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방법은 제1필름롤러에 제1필름이 감긴 제1심지를 결합하는 제1단계와, 제2필름롤러에 제2필름이 감긴 제2심지를 결합하는 제2단계와, 방향전환롤러에 상기 제1필름이 접하도록 하여 보호제를 접착력을 갖는 모제로부터 분리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필름의 모제와 상기 제2필름을 가열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로 유입시키는 제4단계와, 유입된 상기 제1필름의 모제와 상기 제2필름에 열 및 압 또는 압을 가하여 합지하는 제5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단계 이전에는 상기 제1필름롤러와 상기 제1심지 사이에 조절장치를 상기 제1필름롤러에 결합하는 제6단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6단계 이후에는 상기 조절장치에 정렬감지장치를 결합하는 제7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필름롤러의 외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 구비되어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베이스의 외면과 접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본체부분과, 상기 본체부분의 길이방향 양단에 상기 본체부분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과, 상기 체결부분의 일단에 상기 체결부분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분과 동일선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분에는 상기 제1심지에 감긴 상기 제1필름의 정렬을 감지하는 정렬감지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정렬감지장치는 상기 체결부분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면과 접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넓히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심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심지에 감긴 상기 제1필름의 정렬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슬라이더와 연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제1필름이 감지되었을 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필름이 감지된 상기 감지센서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작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형필름 합지장치에 조절장치 및 정렬감지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절장치 및 정렬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정렬감지장치에 따른 조절장치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형필름 합지방법의 변형 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10)는 메인프레임(11)과, 메인프레임(11)에 결합하여 제1필름(20)이 감긴 제1심지(30)가 끼워지는 제1필름롤러(12)와, 메인프레임(11)에 결합하여 제1필름(20)의 보호제(21)가 분리된 접착력을 갖는 모제(22)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전환롤러(13)와, 메인프레임(11)에 결합하여 제2필름(40)이 감긴 제2심지(50)가 끼워지는 제2필름롤러(14)와, 메인프레임(11)에 결합하여 상측으로 유입되는 제1필름(20)의 모제(22)에 열을 가하는 가열롤러(15)와, 메인프레임(11)에 결합하여 하측으로 유입되는 제1필름(20)의 모제(22)와 제2필름(40)을 가열롤러(15)와 함께 가압하여 합지하는 가압롤러(16)와, 메인프레임(11)에 구비되어 제1필름롤러(12), 방향전환롤러(13), 제2필름롤러(14), 가열롤러(15) 및 가압롤러(1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심지(30)에 감긴 상태로 구비되는 제1필름(20)은 보호제(21)와 모제(22)가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보호제(21)는 방향전환롤러(13)를 지나면서 모제(22)로부터 분리되어 접착력을 갖는 일면이 노출된 상태에서 가열롤러(15)와 가압롤러(16) 사이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제2필름(40)은 제1필름(20)의 접착력을 갖는 모제(22)의 일면에 부착되고, 제1필름(20)과 제2필름(40)은 가열롤러(15)에서 가해지는 열과 가압롤러(16)를 통해 가해지는 압에 의해 접착성이 증가하게 되며, 가열롤러(15)에서 가해지는 열은 제1필름(20) 또는 제2필름(40)의 종류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열롤러(15)와 가압롤러(16)를 통과한 일체화된 제1필름(20)과 제2필름(40)은 별도의 합지롤러에 감긴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장치(17)는 제1필름롤러(12), 방향전환롤러(13), 제2필름롤러(14), 가열롤러(15) 및 가압롤러(16)의 회전속도와 장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가열롤러(15)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등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필름(20)은 제1심지(30)에 감길 시 정확하게 포개어지지 않을 경우 좌우가 들쑥날쑥하게 감기게 되는데 이는 제2필름(40)과의 합지 시 합지되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제1필름(20)이 제1심지(30)에 감긴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제1필름(20)의 위치를 수작업으로 미세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작업을 통한 미세조정은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따라 상품성 및 작업성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작업자를 통한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제1필름(20)이 제1심지(30)에 감긴 상태를 감지하여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10)에 구비되는 조절장치(100) 및 정렬감지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형필름 합지장치에 조절장치 및 정렬감지장치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절장치 및 정렬감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정렬감지장치에 따른 조절장치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10)는 제1필름롤러(12)와 제1심지(30) 사이에 구비되어 제1필름롤러(12)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제1심지(30)를 제1필름롤러(1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조절장치(1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절장치(1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조절장치(100)는 제1필름롤러(12)의 외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이상의 가이드 레일(120)과, 베이스(110)의 외면과 접하고 가이드 레일(12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베이스(110) 상에서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13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가이드 레일(120)이 구비되는 본체부분(111)과, 본체부분(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본체부분(111)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112)과, 체결부분(112)의 일단에 체결부분(112)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본체부분(111)과 동일선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분(113)을 구비하고, 가이드 레일(120)은 베이스(110)의 외면 즉, 본체부분(111)의 외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부분(121)과, 제1부분(121)의 일단에 구비되어 슬라이더(130)가 베이스(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부분(122)을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더(130)는 가이드 레일(120)에 의해 베이스(110)에 결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1필름롤러(12)와 함께 회전 가능하고, 가이드 레일(120)에 의해 가이드 되어 베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분(112)에는 제1심지(30)에 감긴 제1필름(20)의 정렬을 감지하는 정렬감지장치(200)가 구비되고, 정렬감지장치(200)는 본체부분(111) 및 결합부분(113)과 단 차지게 형성된 체결부분(112)에 구비됨에 따라 조절장치(100)가 제1필름롤러(12)와 함께 회전하더라도 회전되지 않고 본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정렬감지장치(2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정렬감지장치(200)는 체결부분(112)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면과 접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몸체(210)가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넓히는 받침플레이트(220)와, 몸체(210)의 상단에 구비되고 제1심지(30)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제1심지(30)에 감긴 제1필름(20)의 정렬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30)와, 감지센서(230) 및 슬라이더(130)와 연계되어 감지센서(230)에서 제1필름(20)이 감지되었을 슬라이더(130)가 제1필름(20)이 감지된 감지센서(230)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컨트롤러(240)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210)는 'n'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체결부분(112)에 걸쳐지고, 받침플레이트(220)는 지지력을 높여 조절장치(100)의 회전력이나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정렬감지장치(200)가 조절장치(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감지센서(230)는 감지센서(230)의 상부로 제1필름(20)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감지하게 되며, 제1필름(20)이 감지되었을 시에는 컨트롤러(240)를 통해 제1필름(20)이 감지센서(230)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의 육안 확인 및 수작업을 통한 미세조정 없이 자동으로 제1필름(20)이 제1심지(30)에 감긴 상태를 감지하여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 등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상품성 및 작업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서로 다른 부분만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형필름 합지방법의 변형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방법은 제1필름롤러(12)에 제1필름(20)이 감긴 제1심지(30)를 결합하는 제1단계(S110)와, 제2필름롤러(14)에 제2필름(40)이 감긴 제2심지(50)를 결합하는 제2단계(S120)와, 방향전환롤러(13)에 제1필름(20)이 접하도록 하여 보호제(21)를 접착력을 갖는 모제(22)로부터 분리하는 제3단계(S130)와, 제1필름(20)의 모제(22)와 제2필름(40)을 가열롤러(15)와 가압롤러(16) 사이로 유입시키는 제4단계(S140)와, 유입된 제1필름(20)의 모제(22)와 제2필름(40)에 열 및 압 또는 압을 가하여 합지하는 제5단계(S15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단계(S110) 이전에는 제1필름롤러(12)와 제1심지(30) 사이에 조절장치(100)를 제1필름롤러(12)에 결합하는 제6단계(S160)가 더 구비되고, 제6단계(S160) 이후에는 조절장치(100)에 정렬감지장치(200)를 결합하는 제7단계(S17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장치(100)는 제1필름롤러(12)의 외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이상의 가이드 레일(120)과, 베이스(110)의 외면과 접하고 가이드 레일(120)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베이스(110) 상에서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130)를 구비하고, 가이드 레일(120)은 베이스(110)의 외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부분(121)과, 제1부분(121)의 일단에 구비되어 슬라이더(130)가 베이스(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부분(122)을 구비하고, 베이스(110)는 가이드 레일(120)이 구비되는 본체부분(111)과, 본체부분(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본체부분(111)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112)과, 체결부분(112)의 일단에 체결부분(112)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본체부분(111)과 동일선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분(113)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분(112)에는 제1심지(30)에 감긴 제1필름(20)의 정렬을 감지하는 정렬감지장치(200)가 구비되고, 정렬감지장치(200)는 체결부분(112)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면과 접하는 몸체(210)와, 몸체(2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몸체(210)가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넓히는 받침플레이트(220)와, 몸체(210)의 상단에 구비되고 제1심지(30)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제1심지(30)에 감긴 제1필름(20)의 정렬을 감지하는 감지센서(230)와, 감지센서(230) 및 슬라이더(130)와 연계되어 감지센서(230)에서 제1필름(20)이 감지되었을 시 슬라이더(130)가 제1필름(20)이 감지된 감지센서(230)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컨트롤러(2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이형필름 합지장치 11: 메인프레임
12: 제1필름롤러 13: 방향전환롤러
14: 제2필름롤러 15: 가열롤러
16: 가압롤러 17: 제어장치
20: 제1필름 21: 보호제
22: 모제 30: 제1심지
40: 제2필름 50: 제2심지
100: 조절장치 110: 베이스
111: 본체부분 112: 체결부분
113: 결합부분 120: 가이드 레일
121: 제1부분 122: 제2부분
130: 슬라이더 200: 정렬감지장치
210: 몸체 220: 받침플레이트
230: 감지센서 240: 컨트롤러

Claims (5)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제1필름이 감긴 제1심지가 끼워지는 제1필름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상기 제1필름의 보호제가 분리된 접착력을 갖는 모제가 상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향전환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제2필름이 감긴 제2심지가 끼워지는 제2필름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상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필름의 모제에 열을 가하는 가열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하여 하측으로 유입되는 상기 제1필름의 모제와 상기 제2필름을 상기 가열롤러와 함께 가압하여 합지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름롤러, 상기 방향전환롤러, 상기 제2필름롤러, 상기 가열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필름롤러와 상기 제1심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필름롤러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심지를 상기 제1필름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조절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필름롤러의 외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 구비되어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베이스의 외면과 접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본체부분과, 상기 본체부분의 길이방향 양단에 상기 본체부분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과, 상기 체결부분의 일단에 상기 체결부분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분과 동일선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분에는 상기 제1심지에 감긴 상기 제1필름의 정렬을 감지하는 정렬감지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정렬감지장치는 상기 체결부분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면과 접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넓히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심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심지에 감긴 상기 제1필름의 정렬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슬라이더와 연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제1필름이 감지되었을 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필름이 감지된 상기 감지센서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필름 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필름롤러에 제1필름이 감긴 제1심지를 결합하는 제1단계와,
    제2필름롤러에 제2필름이 감긴 제2심지를 결합하는 제2단계와,
    방향전환롤러에 상기 제1필름이 접하도록 하여 보호제를 접착력을 갖는 모제로부터 분리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필름의 모제와 상기 제2필름을 가열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로 유입시키는 제4단계와,
    유입된 상기 제1필름의 모제와 상기 제2필름에 열 및 압 또는 압을 가하여 합지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이형필름 합지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이전에는 상기 제1필름롤러와 상기 제1심지 사이에 조절장치를 상기 제1필름롤러에 결합하는 제6단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6단계 이후에는 상기 조절장치에 정렬감지장치를 결합하는 제7단계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장치는 상기 제1필름롤러의 외면과 접하도록 구비되는 원형파이프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 구비되어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이상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베이스의 외면과 접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상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서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본체부분과, 상기 본체부분의 길이방향 양단에 상기 본체부분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부분과, 상기 체결부분의 일단에 상기 체결부분과 단 차가 형성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분과 동일선상으로 구비되는 결합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부분에는 상기 제1심지에 감긴 상기 제1필름의 정렬을 감지하는 정렬감지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정렬감지장치는 상기 체결부분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면과 접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지면과 접하는 면적을 넓히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1심지와 인접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심지에 감긴 상기 제1필름의 정렬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슬라이더와 연계되어 상기 감지센서에서 상기 제1필름이 감지되었을 시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필름이 감지된 상기 감지센서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필름 합지방법.
KR1020220053317A 2022-04-29 2022-04-29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 KR102475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317A KR102475226B1 (ko) 2022-04-29 2022-04-29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317A KR102475226B1 (ko) 2022-04-29 2022-04-29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5226B1 true KR102475226B1 (ko) 2022-12-07

Family

ID=8444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317A KR102475226B1 (ko) 2022-04-29 2022-04-29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52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59B1 (ko) 2007-10-20 2008-05-23 주식회사 네고팩 Pcb제작용 이형필름 제작방법 및 pcb제작용 이형필름
KR101863261B1 (ko) * 2018-01-17 2018-07-05 차천용 보호필름 합지장치
KR102065849B1 (ko) * 2018-07-12 2020-01-13 황재우 착용물 접착용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KR102103745B1 (ko) * 2020-02-06 2020-05-29 (주)에이치케이 전자파 차폐필름용 이형필름의 부착장치 및 방법
JP2020172987A (ja) * 2019-04-11 2020-10-22 Ntn株式会社 スライドシャフ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759B1 (ko) 2007-10-20 2008-05-23 주식회사 네고팩 Pcb제작용 이형필름 제작방법 및 pcb제작용 이형필름
KR101863261B1 (ko) * 2018-01-17 2018-07-05 차천용 보호필름 합지장치
KR102065849B1 (ko) * 2018-07-12 2020-01-13 황재우 착용물 접착용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제조장치 및 상기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JP2020172987A (ja) * 2019-04-11 2020-10-22 Ntn株式会社 スライドシャフト
KR102103745B1 (ko) * 2020-02-06 2020-05-29 (주)에이치케이 전자파 차폐필름용 이형필름의 부착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534B2 (en) Tape sticking apparatus and sticking method
KR101298496B1 (ko) 테이프 첩부 장치, 마운트 장치 및 마운트 방법
JP3562468B2 (ja) ラミネート装置及びラミネート方法
KR101264489B1 (ko) Acf 첩부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180015676A1 (en) Method for bonding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material layers and automatic bond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475226B1 (ko) 이형필름 합지장치 및 방법
CN101856901A (zh) Acf粘附装置及使用了该装置的粘附方法
KR20070110372A (ko) 적층 기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4937215B2 (ja) 熱可塑性樹脂製長尺体の接続方法
CA237314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versely gluing veneer strips
JP2003197724A (ja) 貼付けウエハ分離装置および貼付けウエハ分離方法
JPH0128506Y2 (ko)
WO2013027279A1 (ja) 表紙貼付機および該表紙貼付機を備えた製本装置
KR20170021202A (ko) 보호 테이프 부착 방법
JP4694924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
JP2006289822A (ja) フィンガージョイント用圧締方法と装置
JP2003159702A (ja) 板材の連結方法及び板材連結装置
KR0169493B1 (ko) 단판의 횡접합 장치
JP4821726B2 (ja) 合わせガラスの板ズレ防止方法および板ズレ防止装置
JPH03251440A (ja) タイヤ用帯状部材の切断装置
JP4647853B2 (ja) クランプ成形装置
JP2006264017A (ja) 積層体のラミネート方法及びラミネート装置
TW202416474A (zh) 貼合方法、裝置及設備
JP2009107124A (ja) 熱可塑性無端ベルトの製造装置、及び、熱可塑性無端ベルトの製造方法
JPH10181237A (ja) 製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