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5173B1 -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5173B1
KR102475173B1 KR1020150143874A KR20150143874A KR102475173B1 KR 102475173 B1 KR102475173 B1 KR 102475173B1 KR 1020150143874 A KR1020150143874 A KR 1020150143874A KR 20150143874 A KR20150143874 A KR 20150143874A KR 102475173 B1 KR102475173 B1 KR 10247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s
row
domain
pixel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4784A (ko
Inventor
장상희
이현섭
노정훈
송근규
최병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5173B1/ko
Priority to US15/271,981 priority patent/US10379407B2/en
Priority to CN201610903933.0A priority patent/CN106873245B/zh
Publication of KR20170044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784A/ko
Priority to US16/459,508 priority patent/US1078872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5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07Structures for producing distorted electric fields, e.g. bumps, protrusions, recesses, slits in pixel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36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6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applying an electric field parallel to the substrate, i.e. in-plane switching [I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53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 G02F1/13375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or pretilt angles on a same surface, e.g. for grey scale or improved viewing angle with different alignment orient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0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52Details of colour pixel setup, e.g. pixel composed of a red, a blue and two green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복수의 상기 화소가 m행 n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행 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4개의 상기 화소가 모여 도메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이 상기 표시 영역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 및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1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세번째 행 및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2 도메인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전기장을 생성하는 전극들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장을 생성하는 전극들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 방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일정한 패턴을 갖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데, 화소 전극의 설계 또는 배치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성이나, 투과율 등이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서 고해상도의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수요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가 고해상도가 될수록, 하나의 화소가 차지하는 영역이 작아지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 하에서도 액정 표시 장치의 시인성 및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기술 또는 설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과율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복수의 상기 화소가 m행 n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행 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4개의 상기 화소가 모여 도메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이 상기 표시 영역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 및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1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세번째 행 및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2 도메인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 및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두번째 행 및 네번재 행의 상기 화소는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되,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 및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서로 상이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의 상측 끝단과, 상기 도메인 패턴의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의 하측 끝단간의 거리는 15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화소는 적색을 표시하는 적색 화소, 녹색을 표시하는 녹색 화소, 청색을 표시하는 청색 화소, 백색을 표시하는 백색 화소를 포함하되, 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도메인 패턴의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는,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백색 화소를 각각 하나씩 포함하고, 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도메인 패턴의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는, 상기 적색, 녹색, 청색, 백색 화소를 각각 하나씩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내지 네번째 상기 화소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게이트 배선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화소는,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줄기를 포함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2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화소 전극과 인접하는 구간은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줄기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인접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인접하는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줄기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 아래에 배치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줄기와 연결바 사이에 배치되는 가장자리줄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장자리줄기는,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3 각도만큼 기울어지고, 상기 제3 각도의 절대값은, 상기 제1 및 제2 각도의 절대값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 행 및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인접하는 일측의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세번째 행 및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인접하는 맞은편 일측의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화소는, 서로 동일한 도메인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복수의 상기 화소가 m행 n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행 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6개의 상기 화소가 모여 도메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이 상기 표시 영역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 두번째 행 및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1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네번째 행, 다섯번째 행 및 여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2 도메인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 및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두번째 행 및 다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며, 상기 도메인 패턴의 세번째 행 및 여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되,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 두번째 행 및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서로 상이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 세번째 행 및 다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인접하는 일측의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두번째 행, 네번째 행 및 여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인접하는 맞은편 일측의 상기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절연 기판,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복수의 상기 화소가 m행 n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되, 행 방향으로 연속되어 배치되는 4개의 상기 화소가 모여 도메인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이 상기 표시 영역에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1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2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3 도메인을 형성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는 제4 도메인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절연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메인 패턴의 첫번째 내지 네번째 상기 화소는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게이트 배선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배선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화소는,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줄기를 포함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항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5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6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7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8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각도와 상기 제7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갖고, 상기 제6 각도와 상기 제8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가지며, 상기 제5 각도의 절대값은 상기 제6 각도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각도와 상기 제8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갖고, 상기 제6 각도와 상기 제7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가지며, 상기 제5 각도의 절대값은 상기 제6 각도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투과율과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의 색 표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가로줄 시인 여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차광 부재가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의 색 표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의 색 표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의 색 표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0)는 게이트 구동부(120), 데이터 구동부(130), 신호 제어부(110) 및 표시부(DA)를 포함한다.
표시부(DA)는 복수의 화소(PX)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들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표시부(DA)는 제1 배선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게이트 배선(GL)과,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배선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데이터 배선(DL)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배선(GL)은 게이트 구동부(120)로부터 게이트 신호를 제공받고, 복수의 데이터 배선(DL)은 데이터 구동부(130)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는다. 각 화소(PX)는 게이트 배선(GL)과 데이터 배선(DL)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각 화소(PX)는 색 표시를 구현하기 위해서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의 색상을 고유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백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적색을 표시하는 화소를 적색 화소, 녹색을 표시하는 화소를 녹색 화소, 청색을 표시하는 화소를 청색 화소, 백색을 표시하는 화소를 백색 화소라 지칭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들 각각의 색을 가진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 및 백색 화소를 한데 묶어 각각의 밝기를 조절하여 적색, 녹색, 청색이 아닌 임의의 색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 및 백색 화소는 행과 열 방향으로 각각 2개씩 연속되어 번갈아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열 방향으로 번갈아 배열될 수도 있다. 또는, 백색 화소는 생략되고, 적색 화소, 녹색 화소, 청색 화소가 행 방향으로 번갈아 배열될 수도 있으며, 이와 다르게 삼각형의 세 꼭지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술한 각 화소의 배치 구조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신호 제어부(110)는 외부로부터 각종 신호들을 제공받아, 게이트 구동부(120) 및 데이터 구동부(13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신호 제어부(110)는 외부로부터 제1 영상 데이터(DATA1)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입력받을 수 있고,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CONT1),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CONT2), 제2 영상 데이터(DATA2)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표시부(DA)의 화소(PX) 각각의 휘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휘도 정보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어 1024(=210), 256(=28) 또는 64(=26)개의 계조(gray)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입력되는 제1 영상 데이터(DATA1)는 프레임 단위로 구분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10)에 전달되는 입력 제어 신호는 예컨대,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 하고 다른 종류의 신호가 더 입력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CONT1)는 신호 제어부(110)에서 생성하는 게이트 구동부(120)의 동작 제어 신호일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CONT1)는 스캔 개시 신호, 클록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신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CONT1)에 따라 표시부(DA)의 각 화소(PX)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복수의 게이트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게이트 배선(GL) 중 대응하는 게이트 배선(GL)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CONT2)는 신호 제어부(110)에서 생성하는 데이터 구동부(130)의 동작 제어 신호일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데이터 구동부(130)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데이터 배선(DL) 중 대응하는 데이터 배선(DL)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의 평면도이고, 도 3는 도 2의 I-I'로 도시된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0)는, 서로 마주보는 제1 절연 기판(210)과 제2 절연 기판(270), 그리고 양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LCL)을 포함한다.
제2 절연 기판(270)에 비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절연 기판(210)상에는 게이트 배선(GL)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배선(GL) 상에는 제1 절연막(2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막(220) 상에는 반도체층(AL)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AL)은 게이트 배선(GL)의 일부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반도체층(AL)과 중첩되는 게이트 배선(GL)의 일부 영역을 게이트 전극(GE)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게이트 배선(GL)은 게이트 전극(GE)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반도체층(AL)의 상부에는 저항성 접촉 부재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층(AL)은 비정질 실리콘이나 산화물 반도체 등과 같은 반도체 물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게이트 전극(GE)에 제공되는 전압에 따라 전류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는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져, 후술할 상부의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과 하부의 반도체층(AL)간 오믹 콘택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반도체층(AL) 및 제1 절연막(220)의 상부에는 데이터 배선(DL), 드레인 전극(DE)이 배치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은 게이트 배선(GL)과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각각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의 일부 영역은 반도체층(AL)과 중첩될 수 있는데, 반도체층(AL)과 중첩되는 데이터 배선(DL)의 일부 영역을 소스 전극(SE)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데이터 배선(DL)은 소스 전극(SE)을 포함한다.
소스 전극(SE)은 반도체층(AL) 상에 배치된다. 드레인 전극(DE)은 반도체층(AL) 상에 배치되되, 소스 전극(SE)과 이격된다. 이 때, 게이트 전극(GE)에 게이트 온 전압이 인가되어 반도체층(AL)에 채널이 형성될 경우, 데이터 배선(DL)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전압이 소스 전극(SE)과 반도체층(AL)을 거쳐 드레인 전극(DE)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의 상부에는 제1 보호층(2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230)은 후술할 컨택홀(CH)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표시 영역의 모든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은 무기 절연물 또는 유기 절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보호층(230)은 2층 이상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부에 무기 절연물로 이루어진 무기 보호층(미도시)이 배치되고, 그 상부에 유기 절연물로 이루어진 유기 보호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호층(230) 상에는 공통 전극(CE)이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전극(CE) 역시 제1 보호층(230)과 마찬가지로 후술할 컨택홀(CH)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표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전극(CE)은 화소 전극과 함께 액정층(LCL)에 작용하는 전계를 생성할 수 있다.
공통 전극(CE) 상에는 제2 보호층(24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호층(240)은 공통 전극(CE)과 제2 보호층(240) 상에 형성되는 다른 층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보호층(240) 상에 형성되는 다른 층과 공통 전극(CE)이 제2 보호층(240)의 두께만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보호층(240) 상에는 화소 전극이 배치된다. 화소 전극은 인접하는 데이터 배선(DL) 및 게이트 배선(GL)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화소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심에 영역에 각각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줄기(BR), 복수의 줄기(BR) 사이의 개구부에 해당되는 복수의 슬릿(SL), 복수의 줄기(BR)를 연결하는 연결바(CB)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전극(PE)은 공통 전극(CE)과 상호 작용하여 액정 축전기(Clc, liquid crystal capacitor)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화소 전극(PE)은 유지 축전기(Cst, storage capacit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유지 축전기(Cst)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 축전기(Cst)가 생략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화소 전극(PE) 상에는 제1 배향막(25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배향막(250)은 수평 및 수직 배향막일 수 있다. 즉, 제1 배향막(250)은 인접하는 액정층(LCL)의 액정 분자들을 수평면상의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할 수 있으며, 액정 분자들에 소정의 수직 방향의 프리틸트각을 부여할 수 있다. 즉, 화소 전극(PE) 및 공통 전극(CE)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1 배향막(250) 상에 위치하는 액정층(LCL)의 액정 분자들은 제1 배향막(250)이 형성되는 평면상의 특정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킬 수 있으며, 제1 배향막(250)에 형성되는 평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향하여 0.5° 내지 3°의 각도로 프리틸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0)가, 화소 전극(PE) 및 공통 전극(CE)간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검은색을 표현하는 노말리 블랙(normally black)모드일 경우, 제1 배향막(250)에 의하여 액정 분자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러한 액정 분자들의 배향 방향 및 후술할 편광판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검정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절연 기판(270)은 제1 절연 기판(210)과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절연 기판(270)의 하부에는 차광 부재(BM)가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BM)는 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 개의 띠 형상 또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차광 부재(BM)는 화소 전극(PE)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빛샘을 차단할 수 있다.
제2 절연 기판(270) 및 차광 부재(BM)의 하부에는 컬러필터층(CFL)이 배치된다. 컬러필터층(CFL)은 복수 개의 컬러 필터(CF)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CF)는 입사되는 광의 특정 파장 대역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파장 대역은 차단시켜 출사되는 광이 특정 색을 띄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필터층(CFL)은 적색 광에 해당되는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는 적색 컬러 필터, 녹색 광에 해당되는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는 녹색 컬러 필터, 청색 광에 해당되는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는 청색 컬러 필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적색 컬러 필터는 약 580nm 내지 780nm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파장대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고, 녹색 컬러 필터는 약 450nm 내지 650nm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파장대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청색 컬러 필터는 약 380nm 내지 560nm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파장대의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컬러필터층(CFL)은 적색, 녹색, 청색을 나타내는 안료 또는 감광성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컬러필터층(CFL) 통과한 광의 색은 적색, 녹색, 청색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른 색을 가지는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는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모든 파장대의 영역의 광을 투과시켜 투명한 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차광 부재(BM) 및 컬러 필터층(CFL)는 반드시 제2 절연 기판(270)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1 절연 기판(210)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예시적으로, 제1 절연 기판(210) 상의 제1 보호층(230)이 생략되고, 여기에 컬러필터층(CFL)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컬러필터층(CFL)은 기존의 제1 보호층(230)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정 표시 장치(100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며, 일부 공정이 생략되므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컬러필터층(CFL)은 제1 보호층(230)이 아닌 다른 층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광 부재(BM) 및 컬러 필터층(CFL)의 하부로는 덮개막(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덮개막(미도시)은 컬러필터층(CFL) 및 차광 부재(BM)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컬러필터층(CFL)으로부터 유입되는 용제(solvent)와 같은 유기물에 의한 액정층(LCL)의 오염을 억제하여 화면 구동 시 초래할 수 있는 잔상과 같은 불량을 방지하는 역할 및 표면을 평탄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액정층(LCL)은, 제1 절연 기판(210) 및 제2 절연 기판(270)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며, 액정층(LCL)을 투과하는 광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액정층(LCL)은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복수의 액정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 분자들은 양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고 있어, 인가된 전계와 액정 분자의 장축이 수평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액정 분자들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을 갖고 있어, 인가된 전계와 액정 분자의 장축이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공통 전극(CE)과 화소 전극(PE)으로부터 전계가 형성되면, 인접한 액정 분자들이 특정 방향으로 재배열되며, 재배열된 액정 분자들을 통과하는 광의 편광은 재배열된 액정 분자들의 광학적 이방성에 의해 변화한다. 그에 따라, 광은 제1 절연 기판(210) 및 제2 절연 기판(270)에 구비된 편광판(미도시)에 의해 투과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여기서, '재배열된다'라는 용어는 주로 액정 분자들이 공통 전극(CE) 및 화소 전극(PE)간에 형성되는 전계의 영향을 받아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줄기(BR), 각각의 줄기(BR) 사이의 개구부인 슬릿(SL), 각각의 줄기(BR)를 연결하는 연결바(C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줄기(BR) 및 슬릿(SL)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인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0)의 하나의 화소(PX)의 경우, 화소 전극의 줄기(BR) 및 슬릿(SL)이 앞선 실시예의 화소 전극(PE)의 줄기(BR) 및 슬릿(SL)과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영역에 상술한 여러 종류의 화소가 배치됨으로써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각각의 화소(PX)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의 일부 구간, 즉 화소 전극(PE)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구간은, 화소 전극(PX)의 줄기(BR) 및 슬릿(SL)에 평행하도록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인접하는 데이터 배선(DL) 및 게이트 배선(GL)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으로 정의되는 화소 영역 내에서, 화소 전극(PE)의 액정 분자들에 대한 제어력이 높아져,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0)의 표시 영역(DA)의 임의의 영역의 16개의 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P11~P44)들은, 각각의 화소(P11~P44)당 하나의 도메인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화소(P11~P44)가 형성하는 도메인의 종류는 2종류에 해당한다. 또한, 각각의 화소(P11~P44)들은 대체로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게이트 배선(GL)과, 대체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데이터 배선(DL)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화소 전극에 전달하는 스위칭 소자(Q)는, 화소 전극(PE)의 아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소(P11~P44) 내에 포함되는 화소 전극의 줄기(BR) 및 슬릿(SL)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인 방향과 시계 방향으로 특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으며, 사이각으로 제1 각도(θ1)를 형성하여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화소(P11~P24)와, 사이각으로 제2 각도(θ2)를 형성하여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화소(P31~P44)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표시된 화소(P11~P44)를 각각 1행 1열 내지 4행 4열 화소(P11~P44)라 정의하기로 한다. 1행 및 2행에 배치되는 화소(P11~P24)의 경우 제1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3행 및 4행에 배치되는 화소(P31~P44)의 경우 제2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1행 및 2행에 배치되는 화소(P11~P24)에 포함되는 각각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제1 각도(θ1)만큼 기울어지는 줄기(BR)를 포함하며 제1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고, 3행 및 4행에 배치되는 화소(P31~P44)에 포함되는 각각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제2 각도(θ2)만큼 기울어지는 줄기(BR)를 포함하며 제2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의 절대값이 동일한 값을 갖도록 하여, 제1 도메인 및 제2 도메인이 게이트 배선(GL)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이 때, 연속되지 않은 행에 배치되고 동일한 열에 배치되는 도메인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화소(P11, P31)가 동일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좌우 시야각 비대칭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총 16개의 화소(P11~P44)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화소는 이보다 훨씬 많을 수 있다. 이 때, 행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4개의 화소를 묶어 하나의 도메인 패턴이라 정의한다. 이 경우, 표시 영역에는 도메인 패턴 단위가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반복되어 배치되며, 액정 표시 장치(10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행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두 개의 화소는, 각각 서로 다른 게이트 배선(GL)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4개의 화소를 한데 묶어, 하나의 상위 화소(UP)로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상위 화소(UP)에 포함되는 각각의 화소들은, 모두 서로 다른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1행 1열 화소(P11), 1행 2열 화소(P12), 2행 1열 화소(P21), 2행 2열 화소(P22)를 묶어 제1 상위 화소(UP1)로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도 6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 경우, 제1 상위 화소(UP1)에 포함되는 화소 중 1행 1열 화소(P11)와, 제2 상위 화소(UP2)에 포함되는 화소 중 3행 1열 화소(P31)가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고, 서로 다른 도메인을 가질 경우, 각각의 화소(P11, P31)는 하나의 도메인을 갖더라도, 이 둘의 화소(P11, P31)가 모여 2개의 도메인을 형성함으로써 좌우 시야각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1행 1열 화소(P11)와 3행 1열 화소(P31)는 서로 다른 화소이므로 다른 계조를 표시할 수 있는데, 화소의 크기가 충분히 작을 경우 두개의 화소가 각각 서로 다른 계조를 표시하더라도 육안으로 시인되지 않을 수 있어, 가로줄 등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이격되어 있는 동일한 색을 표시하고, 도메인이 서로 다른 두 화소가 150㎛안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 가로줄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1행 1열 화소의(P11) 화소 전극(PE)의 상측 끝단과 3행 1열 화소(P31)에 배치되는 화소 전극(PE)의 하측 끝단간의 거리(dt1)가 150㎛ 이하인 경우, 두 화소간(P11, P31)에 서로 다른 계조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더라도, 가로줄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하지 않은 서로 다른 두 화소에서 두 개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경우, 하나의 화소 내에서 두개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투과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을 위하여 도 5가 참조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와 다르게 도시된 부분을 제외한 구성 요소에 관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같으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화소 전극과는 달리 중앙 부근에 꺾임부를 포함하며, 하나의 화소 내에 두 개의 도메인이 형성된다. 이 때, 화소 전극의 꺾임부가 배치되는 영역 부근의 액정 분자들은, 제1 도메인에 의한 영향과 제2 도메인에 의한 영향을 모두 받아, 불규칙하게 재배열되거나, 하나의 방향으로 재배열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꺾임부가 배치되는 영역은 인근 영역보다 어둡거나 검정색으로 표현될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1000)의 투과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의 경우, 화소 내에 하나의 도메인만이 형성되므로, 꺾임부가 형성되지 않아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화소들의 색 배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1행 1열 화소(P11), 1행 2열 화소(P12), 2행 1열 화소(P21), 2행 2열 화소(P22)가 모여 제1 상위 화소(UP1)를 형성할 수 있으며, 3행 1열 화소(P31), 3행 2열 화소(P32), 4행 1열 화소(P41), 4행 2열 화소(P42)가 모여 제2 상위 화소(UP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위 화소(UP1)에 포함되는 화소와, 제2 상위 화소(UP2)에 포함되는 화소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화소끼리 동일한 색상을 표시하고 서로 다른 도메인을 형성하여 시야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1행 3열 화소(P13), 1행 4열 화소(P14), 2행 3열 화소(P23), 2행 4열 화소(P24)가 모여 제3 상위 화소(UP3)를 형성할 수 있으며, 3행 3열 화소(P33), 3행 4열 화소(P34), 4행 3열 화소(P43), 4행 4열 화소(P44)가 모여 제4 상위 화소(UP4)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상위 화소(UP3) 및 제4 상위 화소(UP4) 또한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화소끼리 동일한 색상을 표시하고 서로 다른 도메인을 형성하여 시야각을 개선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상위 화소(UP1, UP2, UP3, UP4)의 색 표시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도 6가 참조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의 색 표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내지 제4 상위 화소(UP1, UP2, UP3, UP4)는, 각각 하나의 적색 화소(R), 하나의 녹색 화소(G), 하나의 청색 화소(B), 하나의 백색 화소(W)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2개 행 및 2개 열의 화소가 묶여 하나의 상위 화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화소는 적색을 표시하는 적색 화소(R), 녹색을 표시하는 녹색 화소(G), 청색을 표시하는 청색 화소(B), 백색을 표시하는 백색 화소(W)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행 1열 화소(P11)는 적색 화소(R), 1행 2열 화소(P12)는 녹색 화소(G), 2행 1열 화소(P21)는 청색 화소(B), 2행 2열 화소(P22)는 백색 화소(W)로 형성되어 제1 상위 화소(UP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3행 1열 화소(P31)가 적색 화소(R)로 형성되고, 3행 2열 화소(P32)가 녹색 화소(G)로 형성되고, 4행 1열 화소(P41)가 청색 화소(B)로 형성되고, 4행 2열 화소(P42)가 백색 화소(W)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네 개의 화소가 모여 제2 상위 화소(UP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상위 화소(UP2)는 동일 평면상에서 제1 상위 화소(UP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상위 화소(UP1)에 포함되는 화소(P11, P12, P21, P22)들은 제1 도메인을 형성하고, 제2 상위 화소(UP2)에 포함되는 화소(P31, P32, P41, P42)들은 제2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색 배치 순서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좌측 상단에 적색 화소가 배치되고, 우측 상단에 녹색 화소가 배치되고, 좌측 하단에 청색 화소가 배치되고, 우측 하단에 녹색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각각의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청색 화소(B), 백색 화소(W)들의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반대로, 각각의 상위 화소의 좌측 상단에 백색 화소(W)가, 우측 상단에 청색 화소(B)가, 좌측 하단에 녹색 화소(G)가, 우측 하단에 적색 화소(R)가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인접하는 상위 화소에 포함되는 각각의 화소들의 색 표시 배치 순서는 동일하며, 행 방향으로 연속되는 2개의 상위 화소에 포함되는 각각의 화소들은 서로 도메인이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백색 화소(W)를 사용하는 경우, 액정 표시 장치(1000)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청색 화소(B)가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컬러필터층(CFL)은 특정 파장 대역의 광만을 투과시키는 반면, 백색 화소(W)가 배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컬러필터층(CFL)은 모든 파장 대역의 광을 투과시키기 때문이다.
도 7은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가로줄 시인 여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그래프의 가로축은 PPI의 단위를 나타내며, PPI는 인치당 상위 화소 수의 개수를 의미한다. 또한, 그래프의 세로축은 동일한 색을 표시하되, 비연속되고 서로 다른 도메인을 갖는 두 화소간의 휘도의 차이를 나타내며, 단위는 [cd/m2]에 해당된다. 그리고, 제1 선(L1)은 액정 표시 장치(1000)를 250mm 거리에서 보았을 경우, 가로줄이 시인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이며, 제2 선(L2)은 액정 표시 장치(1000)를 200mm거리에서 보았을 경우, 가로줄이 시인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선이다.
제1 선(L1)의 아래 영역의 경우, 액정 표시 장치(1000)를 250mm거리에서 보았을 때 두 화소간 가로줄이 시인될 수 있고, 제1 선(L1)의 위쪽 영역의 경우, 액정 표시 장치(1000)를 250mm거리에서 보았을 때 두 화소간 가로줄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선(L2)의 아래 영역의 경우, 액정 표시 장치(1000)를 200mm거리에서 보았을 때 두 화소간 가로줄이 시인될 수 있고, 제2 선(L2)의 위쪽 영역의 경우, 액정 표시 장치(1000)를 200mm거리에서 보았을 때 두 화소간 가로줄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각각의 화소는 신호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어되어 특정 계조를 표현하는 데, 계조에 따라 실제 화소가 색을 표시할 경우 측정된 밝은 정도가 휘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의 단위는 [cd/m2]일 수 있다.
그래프를 분석해보면, x축의 값이 증가할수록 제1 선(L1) 및 제2 선(L2)의 y축의 값이 증가한다. 즉,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더 큰 화소간 휘도차에도 가로줄이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선(L1)보다 제2 선(L2)이 항상 위에 형성되므로, 액정 표시 장치(1000)를 가까이에서 볼수록 가로줄이 더 잘 시인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요소들을 모두 반영할 경우, 비연속되고 서로 다른 도메인을 갖는 두 화소가 150㎛ 이내에 배치될 때, 대체로 가로줄이 시인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8는 차광 부재가 형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8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4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차광 부재(BM)는 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행 방향으로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는 데이터 배선(DL) 중의 일부가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광 부재(BM)는 행 방향으로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1000)의 투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9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4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데이터 배선(DL)이 화소 전극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일부 구간뿐 아니라, 데이터 배선(DL)이 각각의 화소의 스위칭 소자(Q)가 배치되는 구간 및 게이트 배선(GL)과 중첩되는 구간에서도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배선(GL)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1 각도(θ1)만큼 기울어지는 1행 및 2행의 화소(P11~P14, P21~P24)들의 스위칭 소자(Q)가 배치되는 영역에서는, 데이터 배선(DL)은 게이트 배선(GL)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3 각도(θ3)만큼 기울어질 수 있으며, 제1 각도(θ1)와 제3 각도(θ)의 절대값이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배선(GL)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2 각도(θ2)만큼 기울어지는 3행 및 4행의 화소(P31~P34, P41~P44)들의 스위칭 소자(Q)가 배치되는 영역에서는, 데이터 배선(DL)은 게이트 배선(GL)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4 각도(θ4)만큼 기울어질 수 있으며, 제2 각도(θ2)와 제4 각도(θ4)의 절대값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배선(DL)은 모든 구간에서 화소 전극(PE)의 슬릿(SL) 및 줄기(BR)와 평행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으며, 데이터 배선(DL)의 꺾임을 최소화하여 설계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의 색 표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4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하며, 도 11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6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6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4 및 도 6과는 달리 행 방향으로 연속된 6개의 화소가 묶여 하나의 도메인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행 방향으로 연속된 3개의 화소가 묶여 하나의 상위 화소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행 방향으로 연속되는 두 개의 상위 화소는 서로 다른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행 방향으로 연속되는 각각의 상위 화소의 첫번째 열에는 적색 화소(R)가, 두번째 열에는 녹색 화소(G)가, 세번째 열에는 청색 화소(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적색 화소(R)는, 행 방향으로 두 개의 화소만큼 이격되어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다른 적색 화소(R)와 함께 시야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녹색 화소(G)는, 행 방향으로 두 개의 화소만큼 이격되어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다른 녹색 화소(G)와 함께 시야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청색 화소는, 행 방향으로 두 개의 화소만큼 이격되어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다른 청색 화소(B)와 함께 시야각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상위 화소 내에서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청색 화소(B)의 배치 순서는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변경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서로 다른 도메인을 형성하는 대응되는 두 개의 상위 화소간의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청색 화소(B)의 배치 순서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청색 화소(B)만을 사용하고 백색 화소(W)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하나의 상위 화소가 차지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동일한 면적 대비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2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4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나의 상위 화소 내의 화소들이 서로 다른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행 1열 화소(P11)와 1행 2열 화소(P12)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5 각도(θ5)만큼 기울어져 제3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2행 1열 화소(P21)와 2행 2열 화소(P22)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6 각도(θ6)만큼 기울어져 제4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1행 1열 화소(P11), 1행 2열 화소(P12), 2행 1열 화소(P21), 2행 2열 화소(P22)가 모여 제1 상위 화소(UP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하나의 상위 화소 내의 서로 다른 행의 화소가, 서로 다른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3행 1열 화소(P31)와 3행 2열 화소(P32)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7 각도(θ7)만큼 기울어져 제5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4행 1열 화소(P41)와 4행 2열 화소(P42)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8 각도(θ8)만큼 기울어져 제6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3행 1열 화소(P31), 3행 2열 화소(P32), 4행 1열 화소(P41), 4행 2열 화소(P42)가 모여 제2 상위 화소(UP2)를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상위 화소(UP2) 내의 서로 다른 행의 화소는, 서로 다른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5 각도(θ5)와 제7 각도(θ7)의 절대값은 동일할 수 있으며, 제6 각도(θ6)와 제8 각도(θ8)의 절대값 역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위 화소(UP1)에 포함되는 화소(P11, P12, P21, P22)들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제2 상위 화소(UP2)에 포함되는 화소(P31, P32, P41, P42)들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5 각도(θ5)와 제7 각도(θ7)의 절대값은, 제6 각도(θ6)와 제8 각도(θ8)의 절대값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시야각 개선 정도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즉, 제1 상위 화소(UP1)의 첫번째 행의 화소(P11, P12)와 제2 상위 화소(UP2)의 첫번째 행의 화소(P31, P32)들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지되 서로 동일한 정도로 기울어져 2개의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위 화소(UP1)의 두번째 행의 화소(P21, P22)와 제2 상위 화소(UP2)의 두번째 행(P41, P42)의 화소들은 게이트 배선(GL)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기울어지되, 서로 동일한 정도로 기울어져 2개의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상위 화소(UP1)의 첫번째 행의 화소(P11, P12)와 제1 상위 화소(UP1)의 두번째 행의 화소(P21, P22)는 서로 다른 정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영역에는 총 4종류의 도메인을 갖는 화소들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시야각 개선 정도가 극대화 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2개 도메인 쌍을 이루는 화소들은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행 1열 화소(P11)가 적색 화소(R)라면, 3행 1열 화소(P31)도 적색 화소(R)일 수 있고, 1행 2열 화소(P12)가 녹색 화소(R)라면, 3행 2열 화소(P32)도 녹색 화소(R)일 수 있고, 2행 1열 화소(P21)가 청색 화소(B)라면, 4행 1열 화소(P41)도 청색 화소(B)일 수 있으며, 2행 2열 화소(P22)가 백색 화소(W)라면, 4행 2열 화소(P42)도 백색 화소(W)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3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2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12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2와는 달리 제1 상위 화소(UP1)의 첫번째 행과 제2 상위 화소(UP2)의 두번째 행이 서로 대칭인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상위 화소(UP1)의 두번째 행과 제2 상위 화소(UP2)의 첫번째 행이 서로 대칭인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행에 배치되는 화소(PX31~PX34)들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8 각도(θ8) 만큼 기울어질 수 있으며, 4행에 배치되는 화소(PX41~PX44)들의 화소 전극(PE)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7 각도(θ7)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이는, 도 12에 도시된 3행에 배치되는 화소(PX31~PX34)들과 4행에 배치되는 화소(PX41~PX44)들의 화소 전극(PE)이 게이트 배선(GL)에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가 서로 뒤바뀐 구조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의 색 표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4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하며, 도 15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6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6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1행 및 2행의 화소(P11~P14, P21~P24)들은 화소의 좌측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고, 3행 및 4행의 화소(P31~P34, P41~P44)들은 화소의 우측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효율적인 극성 반전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1000)는 영상의 누화 및 플리커 잡음의 발생의 방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화소에 인가되는 신호의 전압을 반전하여 구동해주는 극성 반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행 반전의 경우 구동이 간단하나 영상의 누화 및 플리커 잡음 발생 방지 효과가 작은 반면, 점 반전의 경우 구동이 어려우나 영상의 누화 및 플리커 잡음 발생 방지 효과가 크다.
이 때,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이터 배선(DL)과의 연결 구조를 사용하면, 행 반전과 같은 구동을 행하면서도, 점 반전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시점의 프레임에서, m번째 데이터 배선(DLm)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m+1번째 데이터 배선(DLm+1)에는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m+2번째 데이터 배선(DLm+2)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m+3번째 데이터 배선(DLm+3)에는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m+4번째 데이터 배선(DLm+4)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양의 극성이란 해당 화소(PX)의 화소 전극(PE)에 제공되는 전압이 공통 전극(CE)에 제공되는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큰 상태를 의미하며, 음의 극성이란 해당 화소(PX)의 화소 전극(PE)에 제공되는 전압이 공통 전극(CE)에 제공되는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를 의미한다. 즉, 양의 극성 또는 음의 극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0V를 초과하거나 0V 미만의 전압이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PE)에 제공되는 전압의 상대적인 차이에 의하여 양의 극성(+)인지 또는 음의 극성(-)인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동시에, 해당 프레임 내에서 화소들의 각 행별로 순차적으로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는데, 1행 및 2행에 배치된 화소(P11~P14, P21~P24)들의 경우 각각의 화소의 좌측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과 연결되므로, 1행 1열 화소(P11) 및 2행 1열 화소(P21)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1행 2열 화소(P12) 및 2행 2열 화소(P22)에는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1행 3열 화소(P13) 및 2행 3열 화소(P23)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1행 4열 화소(P14) 및 2행 4열 화소(P24)에는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3행 및 4행에 배치된 화소(P31~P34, P41~P44)들의 경우 각각의 화소의 우측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과 연결되므로, 3행 1열 화소(P31) 및 4행 1열 화소(P41)에는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3행 2열 화소(P32) 및 4행 2열 화소(P42)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3행 3열 화소(P33) 및 4행 3열 화소(P43)에는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3행 4열 화소(P34) 및 4행 4열 화소(P44)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데이터 배선(DL)에는 양의 극성(+) 및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었지만, 표시 영역의 화소들은 열 방향으로 양의 극성(+) 및 음의 극성(-)이 번갈아 변화하면서도, 행 방향으로도 2 개의 화소 단위로 양의 극성(+) 및 음의 극성(-)이 번갈아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점 반전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1행 1열 화소(P11)가 적색 화소(R)이고, 3행 1열 화소(P31)가 적색 화소(R)이며, 서로 다른 도메인을 형성하고 있어 좌우 시인성을 개선하면서도,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두 화소에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은 서로 반대이므로 플리커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의 색 표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0과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하며, 도 17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11과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11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홀수 행의 화소(P11~P14, P31~P34, P51~P54)들은 화소의 좌측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고, 짝수 행의 화소(P21~P24, P41~P44, P61~P64)들은 화소의 우측에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효율적인 극성 반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데이터 배선(DL)과의 연결 구조를 사용하면, 행 반전과 같은 구동을 행하면서도, 점 반전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시점의 프레임에서, m번째 데이터 배선(DLm)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m+1번째 데이터 배선(DLm+1)에는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m+2번째 데이터 배선(DLm+2)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고, m+3번째 데이터 배선(DLm+3)에는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며, m+4번째 데이터 배선(DLm+4)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해당 프레임 내에서 화소들의 각 행별로 순차적으로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는데, 홀수 행의 홀수 열의 화소(P11, P13, P31, P33, P51, P53) 및 짝수 행의 짝수 열의 화소(P22, P24, P42, P44, P62, P64)에는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홀수 행의 짝수 열의 화소(P12, P14, P32, P34, P52, P54) 및 짝수 행의 홀수 열의 화소(P21, P23, P41, P43, P61, P63)에는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8 상위 화소(UP1~UP8)를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들은, 상하좌우로 인접하는 화소와 서로 다른 극성의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점 반전의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행 방향으로 인접하는 제1 및 제2 상위 화소(UP1, UP2)를 살펴보면, 제1 상위 화소의 첫번째 행의 화소(P11, P12)는 적색 화소(R)이며 양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음에 반하여, 제2 상위 화소(UP2)의 첫번째 행의 화소(P31, P33)는 적색 화소(R)이며 음의 극성(-)의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는다. 즉, 서로 다른 도메인을 형성하고 있어 좌우 시인성을 개선하면서도 동일한 색을 표시하는 두 화소에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의 극성은 서로 반대이므로, 좌우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면서도, 플리커 역시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들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00)의 표시 영역(DA)의 임의의 영역의 8개 화소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화소(P11~P42)들은, 각각의 화소당 하나의 도메인을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화소(P11~P42)가 형성하는 도메인의 종류는 2종류에 해당한다. 또한, 각각의 화소(P11~P42)들은 대체로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DL)과, 대체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는 게이트 배선(GL)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에 배치된다. 또한, 각각의 데이터 배선(DL)으로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를 화소 전극(PE)에 전달하는 스위칭 소자(Q)는, 화소 전극(PE)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화소(P11~P42) 내에 포함되는 화소 전극(PE)의 줄기(BR) 및 슬릿(SL)은, 데이터 배선(DL)과 수직한 방향과 시계 방향으로 특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도록 기울어 질 수 있으며, 제9 각도(θ9)를 형성하여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화소와, 제10 각도(θ10)를 형성하여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에 표시된 화소를 각각 1행 1열 내지 4행 2열 화소(P11~P42)라 정의할 때, 1행 및 2행에 배치되는 화소(P11, P12, P21, P22)의 경우 제1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으며, 3행 및 4행에 배치되는 화소(P31, P32, P41, P42)의 경우 제2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1행 및 2행에 배치되는 화소(P11, P12, P21, P22)에 포함되는 각각의 화소 전극(PE)은, 데이터 배선(DL)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제9 각도(θ9)만큼 기울어져 제1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고, 3행 및 4행에 배치되는 화소(P31, P32, P41, P42)에 포함되는 각각의 화소 전극(PE)은, 데이터 배선(DL)과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제10 각도(θ10)만큼 기울어져 제2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9 각도(θ9)와 제10 각도(θ10)의 절대값을 동일하도록 하여, 제1 도메인 및 제2 도메인이 데이터 배선(DL)과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대칭일 수 있다.
이 때, 연속되지 않은 행에 배치된 도메인이 서로 다른 두 개의 화소가 동일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좌우 시야각 비대칭이 개선될 수 있음은 도 4에 대한 설명에 기재한 바와 동일하다.
즉, 도 4와 비교하여 게이트 배선(GL)과 데이터 배선(DL)이 연장되는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할 수 있으며, 좌우 시야각 비대칭 개선 및 투과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에 더하여, 설계상 데이터 배선(DL)과 게이트 배선(GL)의 개수 조정이 요구될 경우 이를 용이하게 설계에 반영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화소의 평면도이다.
도 19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도 2와 비교하여 다르게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도 2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서 기재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2와는 달리, 화소 전극은 복수의 줄기(BR), 복수의 슬릿(SL) 및 연결바 이외에도, 줄기(BR) 및 슬릿(SL)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가장자리줄기(EBR) 및 가장자리 슬릿(ESL)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바(CB)는 가장자리 줄기(EBR)들을 서로 연결한다.
이 때, 복수의 줄기(BR) 및 슬릿(SL)은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11 각도(θ11)만큼 기울어질 수 있고, 복수의 가장자리줄기(EBR) 및 가장자리슬릿(ESL)은 게이트 게이트 배선(GL)과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12 각도(θ12)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11 각도(θ11)는 제12 각도(θ12)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가장자리줄기(BR) 및 가장자리슬릿(SL)의 추가로 인하여, 화소 전극(PE)의 연결바(CB)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액정 분자들에 대한 제어력을 상승시킬 수 있어,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만, 가장자리줄기(EBR) 및 가장자리슬릿(ESL)의 길이는, 각각 줄기(BR) 및 슬릿(SL)의 길이의 1/3 이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액정 표시 장치(1000)의 좌우 시인성 개선 효과보다는, 연결바(CB)가 배치되는 영역의 투과율 증가 효과가 주로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화소는 앞서 설명한 다수의 실시예들에 포함되는 화소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액정 표시 장치
110: 신호 제어부
120: 게이트 구동부
130: 데이터 구동부
UP1: 제1 상위 화소
UP2: 제2 상위 화소

Claims (20)

  1. 절연 기판; 및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첫번째 행의 화소들, 두번째 행의 화소들, 세번째 행의 화소들 및 네번째 행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첫번째 행, 상기 두번째 행, 상기 세번째 행 및 상기 네번째 행은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위치하고,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 및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은 제1 도메인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메인과 다른 제2 도메인은 형성하지 않고,
    상기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 및 상기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은 상기 제2 도메인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메인은 형성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고,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되,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과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서로 상이한 색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행의 상측 끝단에 위치하는 화소와, 상기 세번째 행의 하측에 위치하는 화소간의 거리는 150㎛ 이하인 액정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상기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두개의 녹색 화소를 포함하고,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상기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두개의 청색 화소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과 상기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서로 다른 상기 게이트 배선에 의하여 제어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배선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화소는,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줄기를 포함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2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상기 화소 전극과 인접하는 구간은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줄기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인접하는 구간을 제외한 구간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선은,
    인접하는 상기 화소 전극의 상기 줄기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 아래에 배치되는 공통 전극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삭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인접하는 일측의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인접하는 맞은편 일측의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는 액정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동일한 행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화소는, 서로 동일한 도메인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절연 기판; 및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첫번째 행의 화소들, 두번째 행의 화소들, 세번째 행의 화소들, 네번째 행의 화소들, 다섯번째 행의 화소들 및 여섯번째 행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첫번째 행, 상기 두번째 행, 상기 세번째 행, 상기 네번째 행, 상기 다섯번째 행 및 상기 여섯번째 행은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위치하고,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 및 상기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은 제1 도메인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메인과 다른 제2 도메인은 형성하지 않고,
    상기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 상기 다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 및 상기 여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은 상기 제2 도메인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메인은 형성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고,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다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며,
    상기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여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서로 동일한 색을 표시하되,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서로 상이한 색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상기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다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인접하는 일측의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상기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여섯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인접하는 맞은편 일측의 데이터 배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는 액정 표시 장치.
  17. 절연 기판; 및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는
    첫번째 행의 화소들, 두번째 행의 화소들, 세번째 행의 화소들 및 네번째 행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첫번째 행, 상기 두번째 행, 상기 세번째 행 및 상기 네번째 행은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위치하고,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각각은 제1 도메인을 형성하되 제2 도메인, 제3 도메인 및 제4 도메인은 형성하지 않고,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각각 상기 제2 도메인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메인, 상기 제3 도메인 및 상기 제4 도메인은 형성하지 않고,
    상기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각각 상기 제3 도메인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메인, 상기 제2 도메인 및 상기 제4 도메인은 형성하지 않고,
    상기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각각 상기 제4 도메인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도메인, 상기 제2 도메인 및 상기 제3 도메인은 형성하지 않고,
    상기 제1 도메인, 상기 제2 도메인, 상기 제3 도메인 및 상기 제4 도메인은 서로 다른 액정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판 상에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첫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상기 두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상기 세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 및 상기 네번째 행의 상기 화소들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게이트 배선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복수의 게이트 배선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화소는, 상기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며 복수의 줄기를 포함하는 화소 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5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제6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7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도메인을 형성하는 상기 화소의 상기 화소 전극은, 상기 제1 방향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제8 각도만큼 기울어지는 복수의 상기 줄기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각도와 상기 제7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갖고,
    상기 제6 각도와 상기 제8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가지며,
    상기 제5 각도의 절대값은 상기 제6 각도의 절대값보다 큰 액정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각도와 상기 제8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갖고,
    상기 제6 각도와 상기 제7 각도는 동일한 절대값을 가지며,
    상기 제5 각도의 절대값은 상기 제6 각도의 절대값보다 큰 액정 표시 장치.
KR1020150143874A 2015-10-15 2015-10-15 액정 표시 장치 KR102475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874A KR102475173B1 (ko) 2015-10-15 2015-10-15 액정 표시 장치
US15/271,981 US10379407B2 (en) 2015-10-15 2016-09-21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oriented pixel elements
CN201610903933.0A CN106873245B (zh) 2015-10-15 2016-10-17 具有取向的像素单元的液晶显示器
US16/459,508 US10788721B2 (en) 2015-10-15 2019-07-01 Liquid crystal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874A KR102475173B1 (ko) 2015-10-15 2015-10-15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784A KR20170044784A (ko) 2017-04-26
KR102475173B1 true KR102475173B1 (ko) 2022-12-07

Family

ID=58522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874A KR102475173B1 (ko) 2015-10-15 2015-10-15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379407B2 (ko)
KR (1) KR102475173B1 (ko)
CN (1) CN106873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5387B1 (ko) * 2016-01-20 2023-01-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7249311U (zh) * 2017-10-20 2018-04-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及显示装置
US10747070B2 (en) * 2018-09-04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12698532A (zh) * 2019-10-23 2021-04-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6339020B (zh) * 2023-05-30 2023-10-1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6369A (ja) * 2003-02-21 2004-09-24 Sony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546258B1 (ko) * 2003-05-15 2006-01-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수평 전계 인가형 액정 표시 패널
KR100978254B1 (ko) * 2003-06-30 2010-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4화소구조 횡전계모드 액정표시소자
KR101337260B1 (ko) * 2003-08-13 201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중 도메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KR101146524B1 (ko) * 2005-05-23 2012-05-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863102B2 (ja) * 2005-06-24 2012-01-25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駆動電極、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29905B1 (ko) * 2006-09-29 2014-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00000721A (ko) 2008-06-25 2010-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US8508495B2 (en) * 2008-07-03 2013-08-13 Apple Inc. Display with dual-function capacitive elements
KR20100056613A (ko) * 2008-11-20 201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KR101341906B1 (ko) * 2008-12-23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US8531408B2 (en) * 2009-02-13 2013-09-10 Apple Inc. Pseudo multi-domain design for improved viewing angle and color shift
KR20110006770A (ko) * 2009-07-15 2011-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1639308B1 (ko) * 2010-03-10 2016-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KR101237791B1 (ko) * 2010-04-29 2013-02-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CN102445793B (zh) * 2010-10-14 2015-01-2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20120055909A (ko) * 2010-11-24 2012-06-0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20127148A1 (en) * 2010-11-24 2012-05-24 Seong-Jun Lee Displ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638960B2 (en) * 2010-12-28 2017-05-02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5750074B2 (ja) * 2012-03-12 2015-07-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1914653B1 (ko) 2012-07-06 2018-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CN103018980A (zh) * 2012-12-31 2013-04-03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广视角液晶显示器及显示方法
CN103091919B (zh) * 2013-01-25 2015-04-0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3424923B (zh) * 2013-08-07 2015-1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KR20150047399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KR102113621B1 (ko) * 2013-12-23 2020-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69558A (ko) * 2014-12-08 2016-06-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2343719B1 (ko) * 2015-02-25 2021-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16143097A1 (ja) * 2015-03-11 2016-09-15 堺ディスプレイプロダクト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JP2016200769A (ja) * 2015-04-14 2016-12-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88721B2 (en) 2020-09-29
CN106873245A (zh) 2017-06-20
US20170108746A1 (en) 2017-04-20
CN106873245B (zh) 2021-05-25
KR20170044784A (ko) 2017-04-26
US10379407B2 (en) 2019-08-13
US20190324330A1 (en) 2019-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2090B (zh) 液晶显示装置
KR102475173B1 (ko) 액정 표시 장치
TWI480640B (zh)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269006B1 (ko) 액정표시장치
JP4881144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21088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47214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gate sharing structur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10102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92547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1219319B1 (ko) 액정표시장치
TW201415144A (zh) 透明液晶顯示面板之畫素結構
CN102449545A (zh) 液晶显示装置
US10417978B2 (e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4978786B2 (ja) 液晶表示装置
KR20150129179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43849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9558697B2 (en) Display device driving sub-pixels of a plurality of colors
US90073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 dimensional image
US2015004906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3d image system
WO2018128142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2017181736A (ja) 液晶表示装置
TWI591408B (zh) 透明液晶顯示面板之畫素結構
KR20020022450A (ko) 액정표시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