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676B1 -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676B1
KR102474676B1 KR1020220107170A KR20220107170A KR102474676B1 KR 102474676 B1 KR102474676 B1 KR 102474676B1 KR 1020220107170 A KR1020220107170 A KR 1020220107170A KR 20220107170 A KR20220107170 A KR 20220107170A KR 102474676 B1 KR102474676 B1 KR 102474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icense plate
protective cover
moun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준무
Original Assignee
심준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준무 filed Critical 심준무
Priority to KR102022010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676B1/ko
Priority to PCT/KR2023/010257 priority patent/WO20240435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B60R13/105Licence- or registration plates, provided with mounting means, e.g. frames, holders, retainers,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 B60Q1/24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lighting other areas than only the way ahead for illuminating the field of view of a sensor or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lluminating registrations or the like, e.g. for licenc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번호판(10)의 형상에 상응하여 번호판 안착공간(111)이 만입 형성되며, 사각면에는 일정 높이로 보호테(112)이 형성되고, 한 쌍 또는 두 쌍의 제1볼트홀(113)이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제1볼트홀(113)에 체결되는 볼트(114)를 통해 차량의 전면 범퍼(A) 또는 후면(B)에 장착되는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보호테(112)의 후면(B)을 따라 형성된 홈(115)에 삽입되어 차량의 전면 범퍼(A) 또는 후면(B)에 밀착되는 라바(120), 및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외판(131)과 상판(132)과 내판(133)으로 이루어지며, 외판(131)은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양측면 외측 또는 상하면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판(132)은 보호테(112)의 상면에 밀착되고, 내판(133)은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번호판 안착공간(111)에 안착된 번호판(10)의 일부 영역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보호커버(130)를 포함하여, 차량 충돌시 라바(120)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격을 완화하고, 번호판(10) 장착을 위한 볼트가 전면방향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자차 및 상대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TRIPLE CUSHION STRUCTURE PLATE HAVING SAFETY LIGHT FOR MOUNTING VEHICLE NUMBER PLATE}
본 발명은 차량 충돌시 라바 및 보호커버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 번호판을 장착하는 방법으로는, 차량의 전면범퍼와 후면에는 번호판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공간의 벽면에 장착홀이 구비되며, 장착홀과 번호판 장착판의 장착홀이 서로 겹쳐지게 위치시킨 후에 겹쳐진 장착홀에 장착볼트가 조립되고, 장착볼트로 인해 차량에 조립된 번호판 장착판의 전면에 번호판이 안착되고, 번호판의 양측단에 형성된 관통홀에 볼트가 삽입되어 관통홀의 이면에 구비된 너트에 볼트가 조립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볼트가 예기치 않게 풀릴 수 없도록 볼트의 헤드에 캡이 결합되는데, 캡이 번호판 전면으로 노출되어 미관을 저해하게 되고, 타 차량의 추돌 사고시 캡으로 인해 상대 차량이 손상되기도 하고, 캡이 파손되어 자차의 번호판 또는 번호판 장착판이 파손되기도 한다.
이에, 차량 충돌시 라바 및 보호커버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번호판 장착을 위한 볼트가 전면방향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충돌사고시 자차 및 상대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전세계에서 생산되고 있는 차량의 후면에 넘버등을 설치하기 때문에 번호판과 플레이트 크기 만큼 움푹 들어가게 생상되고 있어 후면 디자인에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차량 후면을 완성차 업체에서 평면이 되게 생산하여 차세대 조명인 백지장같이 얇은 면형태의 OLED 라인 넘버등 플레이트를 장착하면 사각지대없이 번호판을 밝게 비추어 사고를 예방해주고, 다양한 후면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으며, 차의 무게가 줄어 연료가 절감되고, 발열과 눈부심과 중금속이 없는 친환경 안정등으로 지구온난화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1881호 (봉인 기능을 갖는 차량번호판용 보호판, 2018.12.2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1103호 (자동차 번호판용 플레이트, 2012.01.03)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충돌시 라바 및 보호커버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번호판 장착을 위한 볼트가 전면방향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충돌사고시 자차 및 상대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질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번호판의 형상에 상응하여 번호판 안착공간이 만입 형성되며, 사각면에는 일정 높이로 보호테가 형성되고, 한 쌍 또는 두 쌍의 제1볼트홀이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차량의 전면 범퍼 또는 후면에 장착되는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의 보호테의 후면의 네 변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일부는 노출되어 차량의 전면 범퍼 또는 후면에 밀착되는 라바; 및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외판과 상판과 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판은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의 양측면 외측 또는 상하면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보호테의 상면에 밀착되고, 내판은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의 번호판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번호판의 일부 영역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테의 양측 또는 상하에 대향하여 한 쌍의 제2볼트홀이 측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외판에는 상기 제2볼트홀에 상응하여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볼트홀에 볼트체결되는 볼트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에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에 탈부착되고, 국가별 규격에 따라 상기 번호판에 형성된 장착 볼트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보호커버의 내판은 상기 장착 볼트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고정시 상기 장착 볼트홀을 가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는 연질재질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며, 전면에는 반사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저면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테에는 상기 후크에 상응하여 후크홀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로의 상기 후크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국가별 규격에 따라 상기 번호판에 형성된 장착 볼트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보호커버의 내판으로부터 연장된 마개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고정시 상기 마개가 상기 장착 볼트홀을 막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전면에 다양한 문양으로 반사물질을 인쇄하고 코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의 내판에는 하나의 라인을 따라 주광색의 OLED 라인조명이 형성되어 상기 번호판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번호판을 4각면, 6각면 또는 8각면 형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는 모듈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카메라와 OLED 라인조명을 통해, 차량 주변을 살펴보고, 어두운 야간에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바로 밑 도로를 확인하여 장애물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 또는 로고가 인쇄되어 구분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충돌시 라바 및 보호커버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격을 완화하여 탑승자들과 차량에 피해를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번호판 장착을 위한 볼트가 전면방향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충돌사고시 찍힘 흠집을 방지하여 자차 및 상대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호커버가 번호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OLED 라인조명을 부착하여 야간 운전시에 번호판 및 자차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모듈카메라를 장착하여 장애물을 식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의 분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의 변형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의 다른 변형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의 OLED 라인조명을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의 국가별 규격을 나열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는, 번호판(10)의 형상에 상응하여 번호판 안착공간(111)이 만입 형성되며, 사각면에는 일정 높이로 보호테(112)가 형성되고, 한 쌍 또는 두 쌍의 제1볼트홀(113)이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제1볼트홀(113)에 체결되는 볼트(114)를 통해 차량의 전면 범퍼(A) 또는 후면(B)에 장착되는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보호테(112)의 후면(B)을 따라 형성된 홈(115)에 삽입되어 차량의 전면 범퍼(A) 또는 후면(B)에 밀착되는 라바(120), 및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외판(131)과 상판(132)과 내판(133)으로 이루어지며, 외판(131)은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양측면 외측 또는 상하면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판(132)은 보호테(112)의 상면에 밀착되고, 내판(133)은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번호판 안착공간(111)에 안착된 번호판(10)의 일부 영역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보호커버(130)를 포함하여, 차량 충돌시 라바(120)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격을 완화하고, 번호판(10) 장착을 위한 볼트가 전면방향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자차 및 상대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구성의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를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는 연질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번호판(10)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에는 직사각형의 번호판(10)의 형상에 상응하여 번호판 안착공간(111)이 내측에 번호판(10)을 일정 깊이로 수용할 수 있도록 번호판(10)의 두께보다 깊게 만입 형성되며, 네 사각면에는 일정 높이로 보호테(112)가 형성되고, 번호판 안착공간(111)에는 한 쌍 또는 두 쌍의 제1볼트홀(113)이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제1볼트홀(113)에 체결되는 볼트(114)를 통해 차량의 전면 범퍼(A) 또는 후면(B)에 장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여기서, 볼트(114)는 번호판(1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번호판(10)의 저면에서만 볼트체결될 수 있다.
다음, 라바(12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보호테(112)의 후면의 네 변을 따라 만입 형성된 홈(115)에 삽입되고 일부는 노출되어 차량의 전면 범퍼(A) 또는 후면(B)에 밀착되어,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와 전면 범퍼(A) 또는 후면(B) 사이에 완충기능을 제공하여서, 전면 범퍼(A) 또는 후면(B)에서의 충돌시, 전면 범퍼(A) 또는 후면(B)에 의해 1차적으로 충격을 완화하고, 라바(120)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을 완화하여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와 번호판(10)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자차 및 상대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라바(120)는 2 층 이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각 층은 상호 골과 마루 형태로 교합하여 수직방향의 충격과 수평방향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보호커버(130)는 보호테(112)의 일부 영역에 결합되어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번호판 안착공간(111)에 수용된 번호판(10)을 압착하여 고정하고, 3차적으로 충격을 완화하는 구성으로서, 도 2의 (a)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외판(131)과 상판(132)과 내판(133)으로 이루어지며, 외판(131)은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보호테(112)의 양측면 외측 또는 상하면의 외측에 대향하여 결합되고, 상판(132)은 보호테(112)의 상면에 대향하여 밀착되고, 내판(133)은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번호판 안착공간(111)에 안착된 번호판(10)의 일부 영역을 압착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제규격 등에 따라, 보호커버(130)는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보호테(112)의 양측면 외측에 대향하여 결합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커버(130)는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보호테(112)의 상하면 외측에 대향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보호테(112) 내측면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하나의 라인을 따라 다양한 색상, 특히 주광색의 OLED 라인조명(넘버등)(119)이 형성되어 번호판(10)을 조사하도록 하여서, 야간 주행시 이면도로 등에서 상대 차량이 쉽게 식별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커버(1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휘발류, 경유, 전기(EV), 수소연료전지(H2) 등의 연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 또는 로고가 인쇄되어 구분표시되어서, 연료주입 또는 연료충전시 추가적으로 인지시키도록 하고, 고속도록 통행료, 주차비 등의 친환경 혜택 등을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보호테(112) 상부와 보호커버(130)의 저면 사이에는 라바가 개재되어 충격완화기능을 보강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보호테(112)의 양측 또는 상하에 대향하여 한 쌍의 제2볼트홀(116)이 보호테(112)의 측면을 관통하는 측면방향으로 형성되며, 보호커버(130)의 외판(131)에는 제2볼트홀(116)에 상응하여 홀(134)이 형성되고, 제2볼트홀(116)에 볼트체결되는 볼트(137)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보호커버(130)는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에 고정되거나 분리되는데, 보호커버(130)의 외판(131)은 보호테(112)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번호판(10)이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에 탈부착되고, 국가별 규격에 따라 번호판(10)에 형성된 장착 볼트홀(11)을 커버하도록, 보호커버(130)의 내판(133)은 번호판(1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장착 볼트홀(11)까지 연장 형성되어서, 보호커버(130)의 고정시 장착 볼트홀(11)이 노출되지 않도록 미관상 가리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보호커버(130)을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에 고정 체결하는 볼트(137)가, 번호판(10) 전면이 아닌,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충돌사고시, 볼트(137)에 의해 상대 차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볼트(137)의 헤드에는 캡(미도시)이 결합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차량추돌시 볼트(137)로 인한 상대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6을 참고하면, 국가별 규격에 따라 번호판(10)에 형성된 장착 볼트홀(11)의 위치 및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형태가 상이한데, (a)는 한국, 유럽, 러시아 등에 적용되고, (b)는 인도, 네팔, 브라질, 남미 등에 적용되고, (c)는 유럽 등에 적용되고, (d)는 한국, 일본, 유럽 등에 적용되고, (d)는 미국, 캐나다, 중남미 등에 적용되고, (e)는 중국, 북한 등에 적용되는데, 상이한 장착 볼트홀(11)의 위치 및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형태에 따라, 앞서 언급한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와 라바(120)와 보호커버(130)는 비율만 달리하여 동일한 구조와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130)는 연질재질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어 완충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며, 전면에는 반사시트 또는 반사필름이 형성되어 야간 주행시 이면도로 등에서 상대 차량이 쉽게 식별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며, 도 4를 참고하면, 보호커버(130)의 저면에는 한 쌍의 후크(135)가 형성되고, 보호테(112)에는 후크(135)에 상응하여 한 쌍의 후크홀(117)이 형성되어, 후크홀(117)로의 후크(135)의 체결에 의해 보호커버(130)가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결합력을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시트는 반사판형태로 형성되어 전면에 꽃모형 국기, 제품명, 로고, 미니광고, 차량제원 등의 다양한 문양으로 반사물질을 인쇄하고 코팅하여 형성되어서 미려한 심미감과 고퀄리티 감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a)를 참고하면, 국가별 규격에 따라 번호판(10)에 형성된 장착 볼트홀(11)을 커버하도록, 보호커버(130)의 내판(133)으로부터 연장된 마개(136)가 형성되어, 보호커버(130)의 고정시 마개(136)가 장착 볼트홀(11)을 막도록 하여서, 미관상 장착 볼트홀(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a)를 참고하면, 마개(136)는 장착 볼트홀(11)에 볼트체결된 볼트(114)를 단순 커버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번호판(10) 또는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로부터 노출되는 볼트(114)의 머리가 인입되어 감싸지도록 뚜껑이 개폐되는 원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보호커버(130)의 내판(133)에는 하나의 라인을 따라 다양한 색상, 특히 주광색의 OLED 라인조명(넘버등)이 형성되어 번호판(10)을 조사하도록 하여서, 야간 주행시 이면도로 등에서 상대 차량이 쉽게 식별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도 5를 참조하면,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보호테(112) 내측면에는 하나의 라인을 따라 다양한 색상, 특히 주광색의 OLED 라인조명(119)이 형성되어 번호판(10)을 조사하도록 하여서, 야간 주행시 이면도로 등에서 상대 차량이 쉽게 식별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보호테(112)의 내측공간에는 하나의 라인을 따라 다양한 색상, 특히 주광색의 OLED 라인조명이 내설되어 형성되어 번호판(10)을 조사하도록 하여서, 야간 주행시 이면도로 등에서 상대 차량이 쉽게 식별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하단면에는 반사경(118)이 부착 형성되어서, 앞서 언급한 OLED 라인조명의 조사효율을 높이도록 하여 번호판(10)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보호 커버(130)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는 모듈카메라(140)가 장착되어서, 주변을 살펴볼 수 있으며, 어두운 야간에 OLED 라인조명을 통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바로 밑 도로를 확인하여 장애물 등을 식별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커버(130)의 전면에는 쿠션백의 약자로 CSB를 표기하고,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110)의 크기에 따라, L, S, D를 추가하면, 추가되는 옵션기능의 수에 따라 숫자를 붙여, CSB3L, CSB5S, CSB8D 등과 같이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언급한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는, 현재 운행되는 차, 오토바이 뿐만아니라, 자율주행차, 로봇택시, 하늘을 나는 자동차 등의 차량의 전면과 후면에 소켓트 등 다른 부품이 필요치않아 쉽게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보호커버(130)는 번호판(10)의 상하좌우를 4각면, 6각면 또는 8각면 형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되어서, 획일적인 4각면의 번호판에 변화를 주어 보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의 구성에 의해서, 차량 충돌시 라바 및 보호커버에 의해 추가적으로 충격을 완화하여 탑승자들과 차량에 피해를 줄여줄 수 있으며, 또한, 번호판 장착을 위한 볼트가 전면방향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충돌사고시 찍힘 흠집을 방지하여 자차 및 상대 차량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보호커버가 번호판을 보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OLED 라인조명을 부착하여 야간 운전시에 번호판 및 자차의 시인성을 높이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모듈카메라를 장착하여 장애물을 식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 111 : 번호판 안착공간
112 : 보호테 113 : 제1볼트홀
114 : 볼트 115 : 홈
116 : 제2볼트홀 117 : 후크홀
118 : 반사경 119 : OLED 라인조명
120 : 라바 130 : 보호커버
131 : 외판 132 : 상판
133 : 내판 134 : 홀
135 : 후크 136 : 마개
137 : 볼트 140 : 모듈카메라
10 : 번호판

Claims (10)

  1. 연질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번호판의 형상에 상응하여 번호판 안착공간이 만입 형성되며, 사각면에는 일정 높이로 보호테가 형성되고, 한 쌍 또는 두 쌍의 제1볼트홀이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홀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차량의 전면 범퍼 또는 후면에 장착되는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의 보호테의 후면의 네 변을 따라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일부는 노출되어 차량의 전면 범퍼 또는 후면에 밀착되는 라바; 및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외판과 상판과 내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판은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의 양측면 외측 또는 상하면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상판은 상기 보호테의 상면에 밀착되고, 내판은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의 번호판 안착공간에 안착된 상기 번호판의 일부 영역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되,
    국가별 규격에 따라 상기 번호판에 형성된 장착 볼트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보호커버의 내판으로부터 연장된 마개가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고정시 상기 마개가 상기 장착 볼트홀을 막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테의 양측 또는 상하에 대향하여 한 쌍의 제2볼트홀이 측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호커버의 외판에는 상기 제2볼트홀에 상응하여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볼트홀에 볼트체결되는 볼트의 조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에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상기 번호판이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에 탈부착되고,
    국가별 규격에 따라 상기 번호판에 형성된 장착 볼트홀을 커버하도록, 상기 보호커버의 내판은 상기 장착 볼트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고정시 상기 장착 볼트홀을 가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연질재질로 사출성형되어 형성되며, 전면에는 반사시트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저면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테에는 상기 후크에 상응하여 후크홀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홀로의 상기 후크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가 상기 번호판 장착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시트는 상기 전면에 다양한 문양으로 반사물질을 인쇄하고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내판에는 하나의 라인을 따라 주광색의 OLED 라인조명이 형성되어 상기 번호판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번호판을 4각면, 6각면 또는 8각면 형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는 모듈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카메라와 OLED 라인조명을 통해, 차량 주변을 살펴보고, 어두운 야간에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바로 밑 도로를 확인하여 장애물을 식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색상 또는 로고가 인쇄되어 구분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KR1020220107170A 2022-08-25 2022-08-25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KR102474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170A KR102474676B1 (ko) 2022-08-25 2022-08-25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PCT/KR2023/010257 WO2024043534A1 (ko) 2022-08-25 2023-07-18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7170A KR102474676B1 (ko) 2022-08-25 2022-08-25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676B1 true KR102474676B1 (ko) 2022-12-05

Family

ID=8439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170A KR102474676B1 (ko) 2022-08-25 2022-08-25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4676B1 (ko)
WO (1) WO20240435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534A1 (ko) * 2022-08-25 2024-02-29 심준무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03B1 (ko) 2009-06-19 2012-01-03 심준무 자동차 번호판용 플레이트
KR101695441B1 (ko) * 2015-08-31 2017-01-23 김지민 차량 번호판용 범퍼
CN108216062A (zh) * 2018-02-11 2018-06-29 深圳市昂星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车载摄像头安装支架
KR101931881B1 (ko) 2017-07-13 2018-12-21 박래영 봉인 기능을 갖는 차량번호판용 보호판
KR20200067653A (ko) * 2018-12-04 2020-06-12 강종균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번호판 장착대
KR20200131000A (ko) * 2019-05-13 2020-11-23 주식회사 델타 자동차용 번호판 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9227U (ja) * 1992-10-23 1994-07-05 チェ ジョングチョン 車両用番号板の装飾フレーム
KR102474676B1 (ko) * 2022-08-25 2022-12-05 심준무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103B1 (ko) 2009-06-19 2012-01-03 심준무 자동차 번호판용 플레이트
KR101695441B1 (ko) * 2015-08-31 2017-01-23 김지민 차량 번호판용 범퍼
KR101931881B1 (ko) 2017-07-13 2018-12-21 박래영 봉인 기능을 갖는 차량번호판용 보호판
CN108216062A (zh) * 2018-02-11 2018-06-29 深圳市昂星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车载摄像头安装支架
KR20200067653A (ko) * 2018-12-04 2020-06-12 강종균 클립이 일체로 형성된 번호판 장착대
KR20200131000A (ko) * 2019-05-13 2020-11-23 주식회사 델타 자동차용 번호판 보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3534A1 (ko) * 2022-08-25 2024-02-29 심준무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3534A1 (ko) 2024-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5990A (en) High signal lights for automotive vehicles
KR102474676B1 (ko) 자동차 번호판 3중 쿠션구조 안전등 플레이트
US5479324A (en) Illuminated gas tank or shell
US8267462B2 (en) Versatile vehicle body protecto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4509010A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ユニット
CN207860120U (zh) 一种道路施工车辆防撞缓冲车
KR101380999B1 (ko) 자동차 번호판 점등 구조를 갖춘 다기능 플레이트
CN201863626U (zh) 一种侧面带有涂层标识的轮胎
CN201227972Y (zh) 自发光式后视镜
CN205952095U (zh) 一种汽车备胎罩
CN214028962U (zh) 摩托车装饰罩
CN218949114U (zh) 一种三段式组合前杠包围
CN220199493U (zh) 一种自带反光效果的车牌保护外框
CN217347637U (zh) 一种装于车身的挡泥板投影灯辅助行车安全系统
CN212175602U (zh) 一种用于分隔公路的防撞隔离装置
ITMI20120012U1 (it) Pneumatico migliorato per veicoli in genere
CN220859612U (zh) 一种带可吸塑花色反光膜的拉杆箱包
CN214492709U (zh) 一种抗撞防压反光三脚架
KR101414564B1 (ko) 삼각대 기능을 갖는 차량용 공구가방
CN2767250Y (zh) 一种机动车夜光号牌
JP2586444Y2 (ja) 反射器
JPH031354Y2 (ko)
KR20140117942A (ko) 차량용 번호판 보호대
KR200196282Y1 (ko) 입체야광 자동차 번호판
JPH0668706A (ja) リヤ 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用ガー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