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396B1 -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396B1
KR102474396B1 KR1020200096024A KR20200096024A KR102474396B1 KR 102474396 B1 KR102474396 B1 KR 102474396B1 KR 1020200096024 A KR1020200096024 A KR 1020200096024A KR 20200096024 A KR20200096024 A KR 20200096024A KR 102474396 B1 KR102474396 B1 KR 102474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bell mouth
rear end
vacuum pressure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686A (ko
Inventor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이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호 filed Critical 이명호
Priority to KR102020009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39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12Control devices, e.g. f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시트 및 등받이와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분배하는 분배기를 가지며, 상기 분배기에 튜브로 연결되어 진공압을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을 흡입하는 석션용 핸드피스가 구비된 유니트 체어; 상기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어 수직을 이루는 폴과, 상기 폴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을 이루는 메인 아암 및 상기 메인 아암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서브 아암을 갖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의 상기 서브 아암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니트 체어의 주변에 에어로졸 형태로 비산된 비산물질을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통해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며, 집진기를 통해 비산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SELF-ASSISTANT ASSEMBLY DEVICE FOR MEDICAL APPARATUS}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를 치료하거나 수술하는 병원의 특정 장소에는 치료나 수술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이 구비된다. 이러한 석션은 대부분 진공펌프나 폐기물 탱크는 별개의 커버에 차폐되어 미관상 안보이도록 구성되고, 석션튜브와 핸드피스만 주로 노출되며, 핸드피스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여 폐기물 탱크에 수집한다.
이러한 병원들 중 치과는 치아의 제거, 연마, 치아의 봉합 및 임플란트 등의 치료가 주를 이룬다. 이와 같은 치과는 환자가 최대한 편안한 자세를 취한 상태로 진료받을 수 있고 시술자는 환자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치과용 유닛 체어가 설치되며, 치과용 유닛 체어에는 환자의 환부를 시술하기 위한 다양한 시술장치들이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체어는 환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 환자의 엉덩이 및 다리가 지지되는 시트, 환자의 팔이 지지되는 팔걸이용 암레스트 및 치료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머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유니트 체어는 조명등과 같이 의료에 필요한 각종 기구나 선반 또는 모니터 등이 장착된 관절식 크레인이 일체로 설치되고, 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통형 지지대(베이스)의 내부에는 석션을 위한 진공펌프 및/또는 폐기물 탱크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석션용 핸드피스 등과 같은 기구가 착탈가능하게 거치된다. 진공펌프 및 폐기물 탱크는 베이스와 별개로 구비된 하우징에 내장되어 유니트 체어와 떨어져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1745434호는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셕을 위한 다양한 흡입관 및 다관절식 석션용 크레인이 구비된 전술한 바와 같은 유니트 체어를 개시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공개 제2011-33201호는 '혈액 흡수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나팔형태의 콘이 장착된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된 하우징(5), 하우징(5)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피스톤(7) 및 핸들(11)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핸들(11)을 잡아당김으로써, 부압 또는 진공이 발생하여 다공(19)을 갖는 접촉 디바이스(17)에 혈액이 흡수되며, 피스톤(7)을 랙 앤 피니언 기어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또,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2079347호는 '치과용 유닛체어'에 관한 것으로, 의자 본체와 상기 의자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타구대 및 의자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된 구동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의자 본체의 자세 변화에 따라 조명등의 위치 및 각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다관절식 크레인과 석션 등의 의료용 기구를 거치하는 거치대가 의자 본체에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0968280호는 '이비인 후과용 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의료기기 및 다관절식 크레인, 그리고 석션 및 석션용 핸드피스 등이 장착된 책상형태의 본체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신체나 구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나 혈액 등을 진공펌프의 음압 및 이러한 진공펌프에 연결된 핸드피스와 같은 석션기로 직접 흡입하여 포집할 수 있으나, 수술이나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이나 혈액 등의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기기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의료를 진행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 하우징(5)의 전방에 구비된 나팔형태의 콘에 다공(19)을 갖는 접촉 디바이스(17)가 설치된 전술한 종래기술의 '혈액 흡수용 디바이스'의 경우, 하우징(5)에 내장된 피스톤(7)을 작동시켜 접촉 디바이스(17)의 다공(19)를 통해 혈액을 흡수할 수 있으나, 이물질이나 혈액 등의 비산물질을 포집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도 비위생적인 의료환경을 제공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745434호(이민정/ 2017.06.02. 등록)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1-33201호(티.에이. 덴탈 이노베이션스 에스.에이.알.엘/ 2011.03.30. 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79347호(문현규/ 2020.02.13. 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68280호(가자마 이엔티(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통상의 유니트 체어에 일체로 구비되어 유니트 체어의 주변에 비산되는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수술이나 치료가 실시되는 주변에 진공압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기기가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수술이나 치료가 실시되는 주변의 비산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흡입력을 제공하는 기기가 원활하게 비산물질을 흡입할 수 있고, 내부를 필요시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된 일부의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기기에 공급되는 진공압을 이러한 기기의 후단에서 선단의 측방으로 전환시켜 공급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는, 환자가 착좌 내지 누울 수 있는 시트 및 등받이가 구비되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분배하는 분배기를 가지며, 상기 분배기에 튜브로 연결되어 진공압을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을 흡입하는 석션용 핸드피스가 구비된 유니트 체어; 상기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어 수직을 이루는 폴과, 상기 폴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을 이루는 메인 아암 및 상기 메인 아암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서브 아암을 갖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의 상기 서브 아암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니트 체어의 주변에 에어로졸 형태로 비산된 비산물질을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통해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진공펌프 및 상기 분배기를 연결하는 유로에서 분기되는 분기튜브나 상기 유니트 체어의 분배기에 연결되는 연결튜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진공압을 통하여 상기 비산물질을 집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기는,
양단이 개방되고,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비산물질의 유입을 위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된 후단 보다 선단이 확관된 형태로 이루어진 벨마우스;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후방을 차폐하고, 상기 비산물질을 소통시키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캡을 통해 상기 벨마우스의 후단으로 진공압이 제공되도록, 상기 캡의 중공 및 상기 벨마우스의 후단을 기밀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벨마우스의 선단으로 유입되는 상기 비산물질을 상기 캡의 중공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는 내부를 점검하도록 개폐되는 점검도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도어는, 상기 실린더의 점검을 위해 상기 실린더의 일부분이 타공되어 절개됨에 따라 마련되는 타공판; 및 상기 타공판의 일측을 상기 실린더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를 포함한다.
상기 캡은,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구비고,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결합되는 후단니플; 및 상기 후단에 링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후단니플의 측방을 차폐하는 환형의 측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상기 벨마우스의 측방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결합되도록 상기 벨마우스의 측방에 관통상태로 설치되는 측방 니플; 및 상기 벨마우스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T형으로 관통형성된 바이패스 유로를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상기 벨마우스에 제공되는 진공압을 상기 측방 니플로 안내하는 볼밸브;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의 유니트 체어에 집진기의 고정을 위한 크레인이 설치되되, 크레인의 서브 아암이 수평회전되도록 메인 아암에 연결되고, 서브 아암에 집진기가 수직회전되도록 연결됨에 따라 집진기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진기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서 비산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특히, 유니트 체어에 착좌하여 수술이나 치료를 받는 환자의 얼굴 주변으로 집진기가 위치하여 환자의 얼굴 주변에서 비산되는 비산물질을 곧바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비산물질에 의해 환자 및 주변인들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펌프 및 유니트 체어의 분배기를 연결하는 유로로부터 분기된 분기튜브나 유니트 체어의 분배기에 연결된 연결튜브가 집진기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기튜브나 연결튜브를 집진기에 연결하여 진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 집진기가 선단이 확관된 벨마우스를 통해 비산물질을 흡입하므로 비산물질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고, 내부에 가이드 배관이 배관됨에 따라 흡입되는 비산물질을 용이하게 폐기물 탱크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집진기에 점검도어가 구비됨에 따라 필요시 수시로 집진기의 내부를 점검하여 가이드 배관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점검도어를 통해 가이드 배관을 새것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집진기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캡에 후단니플이 구비되고, 이러한 후단니플을 차폐하는 환형의 측벽이 캡의 후단에 구비됨에 따라 후단니플을 은폐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집진기에 바이패스 유닛이 구비될 경우 바이패스 유닛의 볼밸브 및 집진기의 벨마우스에 구비된 측방 니플을 통해 진공압을 집진기의 후방으로 공급하거나 방 니플로 공급할 수 있고, 벨마우스의 측방 니플에 핸드피스를 갖는 연결튜브가 연결될 경우 측방 니플로 공급되는 진공압을 통해 핸드피스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 및 집진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의 유압회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선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진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진기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집진기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벨마우스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캡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4의 집진기에 적용되는 볼밸브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볼밸브가 적용된 벨마우스의 평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벨마우스가 적용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의 유압회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선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크레인 및 집진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크레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체어(UC), 크레인(50) 및 집진기(60)를 포함한다.
유니트 체어(UC)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기기로서, 환자가 착좌 내지 누울 수 있는 시트 및 등받이가 구비되고, 진공펌프(P)에 연결되어 진공펌프(P)의 진공압을 분배하는 분배기(D)를 갖는다. 유니트 체어(UC)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D)에 연결튜브(T)로 연결되어 분배기(D)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압을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을 흡입하는 통상의 석션용 핸드피스(도 11 참조)가 구비된다. 그리고, 유니트 체어(U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를 위한 통상의 각종 기구가 적치되는 선반이나 모니터 등의 툴(Tool)이 구비된다. 이러한 툴들은 통상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다관절식 붐(Boom)을 갖는 행거에 설치된다.
유니트 체어(UC)는 전술한 진공펌프(P)가 시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기둥식 지지대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별개의 하우징에 내장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를 통해 분배기(D)에 연결될 수도 있다. 진공펌프(P)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탱크(TK)와 함께 전술한 지지대나 하우징에 내장되어 진공압에 의해 후술되는 집진기(60)로 집진되는 이물질이나 혈액 등의 비산물질을 포집한다. 이러한 진공펌프(P) 및 폐기물 탱크(TK)는 통상의 기기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크레인(50)은 도 1과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 메인 아암(52) 및 서브 아암(5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폴(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을 이루는 기둥이다. 이러한 폴(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PD)를 통해 유니트 체어(UC)에 일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하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하단을 통해 유니트 체어(UC)에 일체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폴(51)의 설치방법은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아암(52)은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을 이룬다. 메인 아암(52)은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볼조인트(BJ)를 통해 후술되는 서브 아암(53)이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 아암(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BJ)가 설치되는 단부가 볼조인트(BJ)의 설치 및 미관을 위해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서브 아암(53)은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아암(52)의 자유단 측 단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되, 수평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브 아암(53)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BJ)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된다. 서브 아암(5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아암(52)이 연결되는 일단부 및 반대편의 타단부가 볼조인트(BJ) 또는 힌지(H)의 설치 및 미관을 위해 상방 및 하방으로 제각기 절곡될 수 있다.
볼조인트(BJ)는 예컨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판(52a), 볼샤프트(52b) 및 걸림판(53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부판(5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아암(52)의 자유단 측 단부에 설치되어 단부를 차폐한다. 볼샤프트(5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판(52a)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단부에 볼이 구비된다. 걸림판(5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아암(53)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볼샤프트(52b)의 축이 관통되고, 볼샤프트(52b)의 볼이 걸려서 고정된다. 걸림판(5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샤프트(52b)의 축이 관통되는 중앙부에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B)이 설치될 수 있다.
볼조인트(BJ)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샤프트(52b)가 걸림판(53a)에 관통상태로 고정된 후 단부판(52a)에 볼샤프트(52b)의 축이 고정되고, 이러한 걸림판(53a) 및 단부판(52a)이 각각 서브 아암(53) 및 메인 아암(52)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됨에 따라 서브 아암(53)을 메인 아암(5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서브 아암(5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BJ)를 중심으로 메인 아암(52)의 단부에서 수평상태로 회전된다.
한편, 전술한 집진기(60)는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50)의 서브 아암(53)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유니트 체어(UC)의 주변에 에어로졸 형태로 비산된 비산물질을,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진공펌프(P)의 진공압을 통해 흡입하여 집진한다. 즉, 집진기(60)는 크레인(50)에 설치되어 서브 아암(53)의 주변에 비산되는 이물질이나 혈액과 같은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집진한다.
집진기(60)는 예컨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 벨마우스(61), 캡(63) 및 가이드 배관(G)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62))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되고, 길이를 갖는 원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린더(6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점검을 위해 개폐식 점검도어(DR)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도어(DR)는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일부분이 타공되어 절개됨에 따라 마련되는 타공판(62b) 및 타공판(62b)의 일측을 실린더(62)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H)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타공판(62b)은 레이저나 커팅기로 실린더(62)의 일부분이 타공되어 제조되는 실린더(62)의 일부분이다. 힌지(H)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62b) 및 실린더(62)에 제각기 마련되는 복수의 판형 브래킷(B)에 관통되고, 단부가 너트(N)로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된다. 점검도어(DR)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편축회전되면서 실린더(62)의 절개된 부위를 개폐한다.
점검도어(DR)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MG) 및 타공판(62b)에 설치되어 타공판(62b)과 함께 회전되면서 마그네트(MG)에 착탈되는 자성체 재질의 착탈돌기(62c)가 구비된다. 타공판(62b)은 이러한 마그네트(MG) 및 착탈돌기(62c)로 인하여 폐쇄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한다.
점검도어(DR)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62b)의 일부분이 절개되고, 타공판(62b)에 투시창(W)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W)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타공판(62b)의 절개된 부위에 실리콘이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투시창(W)은 사용자가 실린더(62)의 내부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실린더(62)의 내부를 투과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술되는 가이드 배관(G)의 오염상태나 노후 상태 등을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다.
점검도어(DR)는 위와 같은 투시창(W)으로만 구비되어 전술한 힌지(H)로 실린더(6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점검도어(DR)는 전술한 타공판(62b)이 없이 투시창(W) 및 힌지(H)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검도어(DR)는 투시창(W)이 힌지(H)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실린더(62)의 절개된 부위를 점검가능하게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벨마우스(61)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팔처럼 벌어진 원뿔형태의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실린더(62)의 전방에 후단이 결합된다. 즉, 벨마우스(61)는 후단보다 선단이 확관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실린더(62)의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벨마우스(61)는 주변의 비산물질이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선단이 후단에 비해 확관된 형태로 형성된다.
벨마우스(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태의 본체(61a), 이러한 본체(61a)의 후단에 구비되고, 실린더(62)의 선단에 결합되는 중공의 삽입부(61b) 및 삽입부(61b)의 단부에 삽입부(61b)의 중공과 연통상태로 마련되고, 본체(61a)로 유입되는 비산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니플(61c)로 구성된다. 삽입부(61b)는 벨마우스(61)가 실린더(62)에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선단에 삽입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실린더(62)의 선단에 결합된다. 배출니플(6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가이드 배관(G)이 결합되어 배출되는 비산물질을 가이드 배관(G)으로 안내한다.
한편, 전술한 캡(6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후방에 결합되어 실린더(62)의 후방을 차폐한다. 캡(63)은 비산물질이 소통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갖는 관체(63a)로 구성된다. 캡(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에 중공과 연통된 선단니플(63b) 및 후단니플(63c)을 갖는다. 캡(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니플(63b)에 후술되는 가이드 배관(G)이 연결되고, 후단니플(63c)에 전술한 바와 같이 분배기(D)에 연결된 연결튜브(T)가 연결된다. 캡(6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니플(63c)에 결합된 연결튜브(T)가 분배기(D)에 연결됨에 따라 연결튜브(T) 및 분배기(D)를 통해 진공펌프(P)의 진공압이 전달되고, 이러한 진공압을 선단니플(63b)에 연결된 가이드 배관(G)을 통해 벨마우스(61)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벨마우스(61)는 진공압의 진공에 의해 주변의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가이드 배관(G)을 통해 연결튜브(T)로 안내한다. 따라서, 비산물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튜브(T)에 의해 분배기(D)로 공급된 후 폐기물 탱크(TK)에 포집된다.
여기서, 전술한 캡(63)은 후단니플(63c)에 분배기(D)의 연결튜브(T)가 연결될 경우,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튜브(T)의 단부에 구비된 커플러(CP)를 통해 연결튜브(T)가 연결된다. 이러한 커플러(CP)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D)의 연결튜브(T)에 일체로 구비된 통상의 커플러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캡(63)은 후단니플(63c)에 전술한 연결튜브(T) 대신, 도 3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P) 및 분배기(D)를 연결하는 유로에서 분기되는 분기튜브(T2)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캡(63)은 진공펌프(P) 및 분배기(D)를 연결하는 유로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으며, 가이드 배관(G)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벨마우스(61)의 비산물질이 폐기물 탱크(TK)에서 포집되도록 분기튜브(T2)로 안내한다.
캡(63)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후단니플(63c)이 차폐되도록 링형태의 측벽(63d)이 후단에 구비된다. 측벽(63d)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니플(63c)의 차폐가 가능한 길이로 캡(63)의 후단부 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캡(63)은 후단니플(63c)이 측벽(63d)에 의해 차폐되므로 미관이 향상된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 배관(G)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로 형성되며, 입구 및 출구가 각각 전술한 벨마우스(61)의 후단 및 캡(63)의 선단에 연결된다. 이때, 가이드 배관(G)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벨마우스(61)의 후단에 구비된 배출니플(61c)에 입구가 결합되고, 캡(63)의 선단니플(63b)에 출구가 연결된다. 즉, 가이드 배관(G)은 벨마우스(61) 및 캡(63)을 기밀상태로 연결한다. 따라서, 가이드 배관(G)은 캡(63)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을 벨마우스(61)에 전달하고, 벨마우스(61)에서 흡입되는 비산물질을 캡(63)으로 전달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를 통해 폐기물 탱크(TK)에 공급한다.
여기서, 전술한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50)의 폴(51), 메인 아암(52) 및 서브 아암(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통상의 'C'형 탄성클램프(C)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는 사용시 꼬이지 않는다.
다른 한편, 전술한 벨마우스(61)는 전술한 바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형 마그네트(MG)에 의해 실린더(62)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링형 마그네트(MG)는 실린더(62)의 전방에 용접이나 접합 또는 억지끼움과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실린더(62)의 전방에 고정된다. 벨마우스(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삽입부(61b)가 링형 마그네트(MG)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링형 마그네트(MG)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링형 마그네트(MG)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후방에도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실린더(62)의 후방에 구비되는 링형 마그네트(MG)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캡(63)의 관체(63a)가 삽입된다. 따라서, 캡(63)은 링형 마그네트(MG)에 의해 실린더(62)의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벨마우스(61) 및 캡(6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마그네트(MG)에 삽입되는 부위에 단턱(PL)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마우스(61) 및 캡(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PL)이 링형 마그네트(MG)에 밀착되어 걸림에 따라 삽입깊이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링형 마그네트(MG)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상과 같은 집진기(60)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아암(53)의 단부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부착된 판상의 브래킷(53c)에 힌지(H)로 고정됨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회동된다. 판상의 브래킷(53c)은 미관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H)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판상의 브래킷(53c)을 관통한 후 너트(N)가 체결됨에 따라 판상의 브래킷(53c)에 고정되는 볼트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집진기(60)는 진공펌프(P)의 진공압을 벨마우스(61)의 측방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닛은 예컨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니플(NP) 및 볼밸브(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측방 니플(NP)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마우스(61)의 측방에 관통상태로 설치된다. 측방 니플(NP)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튜브(T)가 결합된다. 이러한 측방 니플(NP)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용 핸드피스(HP)가 구비된 통상의 연결튜브(T)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밸브(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마우스(61)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일직선의 직선유로(71a) 및 이러한 직선유로(71a)에 직교상태로 연통된 분기유로(71b)가 관통형성되어 대략 'T형으로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를 갖는 볼(71), 이러한 볼(71)에 연결된 연결축(73) 및 연결축(73)의 단부에 수평상태로 결합된 노브(75)로 구성된다. 볼밸브(70)는 노브(75)의 회전에 의해 연결축(73)이 회전되면서 볼(71)을 회전시킨다.
볼밸브(70)는 평상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유로(71a)가 벨마우스(61)의 축방향과 평행을 이루면서 개방되고, 분기유로(71b)가 벨마우스(61)를 구성하는 삽입부(61b)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차폐된다. 이러한 볼밸브(70)는 직선유로(71a)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후단에 마련된 캡(63)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을 벨마우스(61)의 선단에 제공한다. 따라서, 벨마우스(61)는 선단에서 흡입되는 비산물질을 실린더(62)의 내측으로 전달한다.
이와 달리, 볼밸브(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75)의 조작에 의해 바이패스 유로의 방향이 전환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유로(71a)의 일단부가 측방 니플(NP)과 연통되고, 직선유로(71a)의 타단부가 벨마우스(61)를 구성하는 삽입부(61b)의 내주면에 의해 차폐되며, 분기유로(71b)가 벨마우스(61)의 배출니플(61c)과 평행을 이룬다. 볼밸브(70)는 이러한 직선유로(71a) 및 분기유로(71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캡(63)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을 전술한 측방 니플(NP)로 전달한다. 따라서, 벨마우스(61)는 측방 니플(NP)에 연결된 핸드피스(HP)에 진공압을 전달하여 핸드피스(HP)를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과 같은 오염물질을 흡입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는, 집진기(60)를 파지한 후 수평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50)의 서브 아암(53)이 볼조인트(BJ)에 의해 메인 아암(52)을 중심으로 수평회전되며, 수직으로 회전시킬 경우 집진기(60)가 판상의 브래킷(53c)에 고정된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집진기(60)가 수평회전 및 수직회전됨에 따라 환자의 수술부위나 치료부위와 인접한 원하는 위치에 집진기(6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집진기(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튜브(T2)나 연결튜브(T)를 통해 제공되는 진공펌프(P)의 진공압에 의해 수술부위나 치료부위에서 발생되는 비산물질을 흡입한다. 집진기(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3)의 후단니플(63c)에 분기튜브(T2)나 연결튜브(T)가 결합됨에 따라 캡(63)을 통해 진공압이 유입되고, 가이드 배관(G) 및 벨마우스(61)로 진공압이 전달됨에 따라 벨마우스(61)를 통해 비산물질이 흡입된다. 집진기(60)는 진공펌프(P)와 연결된 폐기물 탱크(TK)에 비산물질을 포집되도록 흡입된 비산물질을 가이드 배관(G) 및 캡(63)을 통해 분기튜브(T2)나 연결튜브(T)로 안내한다.
집진기(60)는 비산물질에 의한 가이드 배관(G)의 오염상태를 실린더(62)의 투시창(W)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집진기(60)는 가이드 배관(G)이 심하게 오염되었을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도어(DR)를 열고 가이드 배관(G)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점검도어(DR)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편축회전됨에 따라 실린더(62)를 개폐하고, 폐쇄시 실린더(62)의 내측에 구비된 마그네트(MG)에 착탈돌기(62c)가 부착됨에 따라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집진기(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마우스(61)의 측방에 구비된 측방 니플(NP)에 기존의 연결튜브(T)가 커플러(CP)에 의해 연결될 경우, 캡(63)을 통해 유입되는 진공압이 볼밸브(70)에 의해 연결튜브(T)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볼밸브(7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75)에 의해 회전되어 'T'형의 바이패스 유로가 'ㅓ'와 같은 형태를 이룸에 따라 진공압이 측방 니플(NP)에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니플(NP)의 연결튜브(T)에 구비된 핸드피스(HP)를 이용하여 이물질이나 혈액 등의 오염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크레인(5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아암(53)에 추가 아암(54)이 설치될 수 있다. 추가 아암(54)은 전술한 볼조인트(BJ)에 의해 서브 아암(53)에 연결된다. 추가 아암(54)은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 'ㄷ'과 같이 절곡된 밴딩파이프로 구성되고, 단부에 전술한 집진기(60)가 힌지(H)로 고정되거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60)의 벨마우스(61)가 힌지(H)로 고정된다. 이러한 크레인(50)은 추가 아암(54)이 도 1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아암(53)의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집진기(60)나 벨마우스(61)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벨마우스(61)는 도 1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61b)의 후단에 구비된 배출니플(61c)에 전술한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가 연결된다. 벨마우스(61)는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에서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주변의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를 통해 전술한 폐기물 탱크(TK)에 공급한다. 따라서, 집진기(60)는 벨마우스(61)로만 구성되어도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폐기물 탱크(TK)에 포집할 수 있다. 이렇게, 집진기(60)가 벨마우스(61)로만 구성될 경우 집진기(6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도 절감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메인 아암(52)이나 서브 아암(53)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P)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펌프(P)는 전술한 유니트 체어(UC)에 구비된 진공펌프(P)와 별개로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에 설치되거나 메인 아암 (52) 또는 서브 아암(53)에 연결된다. 진공펌프(P)는 도 14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튜브(T)와 연결되어 유니트 체어(UC)의 진공펌프(P)와 별개로 진공압을 제공한다. 따라서, 집진기(60)는 유니트 체어(UC)의 진공펌프(P)와 상관없이 이물질을 흡입한다.
여기서, 전술한 연결튜브(T)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방향 원터치식 튜브피팅(TP)을 통해 하방튜브(T3)가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방튜브(T3)는 진공펌프(P)에 의해 연결튜브(T)로 흡입되는 흡입물질들 중에서 이물질만을 수용한다. 하방튜 브(T3)는 연결튜브(T)를 관류하는 흡입물질들 중에서 자중을 갖는 혈액 등의 이물질이 유입된다. 이때, 이물질은 하방튜브(T3)가 수직으로 연결튜브(T)에 연결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방튜브(T3)로 자연적으로 유입된다.
하방튜브(T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을 포집하는 폐기물용 포집박스(WB)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이물질을 집박스(WB)에 포집한다. 따라서, 연결튜브(T)는 하방튜브(T3)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흡입물질만 흡입한다.
한편, 집진기(60)는 도 14의 하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집진기(6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나팔관 형태의 관체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 집진기(60)는 전술한 메인 아암 (520이나 서브 아암 (53) 또는 앞서 설명된 추가 아암(54)을 통해 별개의 진공펌프(P)와 연결된다. 따라서, 집진기(60)는 진공펌프(P)의 진공압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진공펌프(P)가 유니트 체어(UC)의 진공펌프(P)와 별개로 구성되므로 유니 체어(UC)의 진공펌프(P)와 별개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유니트 체어 ( UC ) 진공펌프(P)에 무리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니트 체어(UI)와 별개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튜브(T)에 하방튜브(T3)가 하방으로 분기될 경우, 연결튜브(T)로 유입되는 흡입물질들 중 혈액과 같은 이물질을 하방튜브(T3)가 분리하여 폐기물용 포집박스(WB)에 포집하므로 자중을 갖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하방튜브(T3)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60)와 인접상태로 분기되므로 이물질이 집진기(60)에서 배출되는 즉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튜브(T)의 유입구측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므로 연결튜브(T)에 작용하는 진공펌프(P)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50: 크레인 51: 폴
52: 메인 아암 53: 서브 아암
54: 추가 아암 60: 집진기
61: 벨마우스 62: 실린더
63: 캡 70: 볼밸브
71: 볼 73: 연결축
75: 노브

Claims (5)

  1. 환자가 착좌 내지 누울 수 있는 시트 및 등받이가 구비되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분배하는 분배기를 가지며, 상기 분배기에 튜브로 연결되어 진공압을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을 흡입하는 석션용 핸드피스가 구비된 유니트 체어;
    상기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어 수직을 이루는 폴과, 상기 폴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을 이루는 메인 아암 및 상기 메인 아암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서브 아암을 갖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의 상기 서브 아암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니트 체어의 주변에 에어로졸 형태로 비산된 비산물질을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통해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진공펌프 및 상기 분배기를 연결하는 유로에서 분기되는 분기튜브나 상기 유니트 체어의 분배기에 연결되는 연결튜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진공압을 통하여 상기 비산물질을 집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집진기는,
    양단이 개방되고,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비산물질의 유입을 위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된 후단 보다 선단이 확관된 형태로 이루어진 벨마우스;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후방을 차폐하고, 상기 비산물질을 소통시키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캡을 통해 상기 벨마우스의 후단으로 진공압이 제공되도록, 상기 캡의 중공 및 상기 벨마우스의 후단을 기밀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벨마우스의 선단으로 유입되는 상기 비산물질을 상기 캡의 중공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는 내부를 점검하도록 개폐되는 점검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검도어는,
    상기 실린더의 점검을 위해 상기 실린더의 일부분이 타공되어 절개됨에 따라 마련되는 타공판; 및
    상기 타공판의 일측을 상기 실린더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구비고,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결합되는 후단니플; 및
    상기 후단에 링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후단니플의 측방을 차폐하는 환형의 측벽;을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상기 벨마우스의 측방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결합되도록 상기 벨마우스의 측방에 관통상태로 설치되는 측방 니플; 및
    상기 벨마우스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T형으로 관통형성된 바이패스 유로를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상기 벨마우스에 제공되는 진공압을 상기 측방 니플로 안내하는 볼밸브;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KR1020200096024A 2020-07-31 2020-07-31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KR102474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024A KR102474396B1 (ko) 2020-07-31 2020-07-31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024A KR102474396B1 (ko) 2020-07-31 2020-07-31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686A KR20220015686A (ko) 2022-02-08
KR102474396B1 true KR102474396B1 (ko) 2022-12-05

Family

ID=8025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024A KR102474396B1 (ko) 2020-07-31 2020-07-31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3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8158A (ko) * 2022-08-02 2024-02-13 (주)세코바이오텍 구강외 집진기
WO2024053753A1 (ko) * 2022-09-06 2024-03-14 주식회사 세코바이오텍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683A (ja) * 2000-09-25 2002-04-02 Osada Res Inst Ltd 歯科用口腔内バキュームハンドピース
JP2010115306A (ja) * 2008-11-12 2010-05-27 Morita Mfg Co Ltd バキューム管路洗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歯科用診療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0625B2 (ja) * 1994-02-07 2001-03-05 株式会社長田中央研究所 歯科治療ユニット
KR100968280B1 (ko) 2008-02-13 2010-07-06 가자마 이엔티 (주) 이비인후과용 의료장치
DE102009005058A1 (de) 2008-06-16 2010-07-22 T.A. Dental Innovations S.A.R.L. Blutaufnahmevorrichtung
KR101745434B1 (ko) 2016-04-06 2017-06-09 이민정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KR102079347B1 (ko) 2018-11-30 2020-02-19 문현규 치과용 유닛 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5683A (ja) * 2000-09-25 2002-04-02 Osada Res Inst Ltd 歯科用口腔内バキュームハンドピース
JP2010115306A (ja) * 2008-11-12 2010-05-27 Morita Mfg Co Ltd バキューム管路洗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歯科用診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686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396B1 (ko)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KR102188226B1 (ko) 치과 치료용 음압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JP5871869B2 (ja) 統合歯科治療装置
US20220401282A1 (en) Integrated dental care system
CA1308228C (fr) Dispositif de nettoyage et de desinfection d'instruments medicaux et chirurgicaux
WO2015059651A1 (en) Dental operating unit consisting of original single equipment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hoses and cables which allow operating under absolute sterility conditions
US20210378802A1 (en) Dental downdraft suction
KR101477980B1 (ko)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US20040007904A1 (en) Protecting medical-treatment chair with air-curtain shield
US20170128177A1 (en) Spittoon with steri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s and dental unit chair using the same
US6308707B1 (en) Vacuum equipment for medical tables
US11219500B2 (en) Aerosol reduction systems and methods
KR20200141902A (ko) 치아 석션용 집진 헤드
WO2024053753A1 (ko)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CN209236937U (zh) 牙科综合治疗台管道消毒系统
US4958963A (en) Mobile work station for podiatrist
KR200462840Y1 (ko) 집진기
CN214343303U (zh) 一种非手持可调式强吸罩的牙椅
JP3279808B2 (ja) 歯科用スピットン
JP3475016B2 (ja) 医療用診療装置
JP3688351B2 (ja) 汚染防止装置
JP2007260229A (ja) 歯科治療用椅子
JP3290839B2 (ja) 歯科用バキューム及び排唾ホースの洗浄装置
CN216933560U (zh) 用于口腔临床清洁的新型喷洗装置
CN215229823U (zh) 一种口腔综合治疗牙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