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980B1 -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980B1
KR101477980B1 KR20130094042A KR20130094042A KR101477980B1 KR 101477980 B1 KR101477980 B1 KR 101477980B1 KR 20130094042 A KR20130094042 A KR 20130094042A KR 20130094042 A KR20130094042 A KR 20130094042A KR 101477980 B1 KR101477980 B1 KR 10147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mpressed air
suction
handpie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화
이진명
Original Assignee
이현화
이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화, 이진명 filed Critical 이현화
Priority to KR2013009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79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2Air-blowing devices, e.g. with means for heating the air
    • A61M1/0058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일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부재(10)와;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의 일측에 설치되며,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공급관(12)과; 상기 공급관(12)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관(12)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핸드피스(7)에 안내하는 핸드피스연결관(14)과; 상기 공급관(12)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12)의 압축공기를 분지하는 분지관(18)과; 상기 분지관(18)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분지관(18)에 의해 안내되는 압축공기의 유속을 상승시키는 오리피스관(22)과; 상기 오리피스관(22)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오리피스관(22)을 통해 지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하여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관(24)과; 상기 흡입관(24)과 연통되며, 치과 진료시에 피고름, 타액, 치아 절삭물 등 적출물을 흡입하는 석션부재(8);를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석션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진공펌프를 설치하지 않고 오리피스관을 설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므로,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한 소음 발생이 감소되어 치과 진료시 안정적인 치료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진공펌프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설치시 공간이 활용성이 향상되어 컴팩트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조작부를 이용하여 의사가 간단한 조작으로 제 1 개폐부재 및 제 2 개폐부재를 작동시켜 핸드피스 및 석션부재의 동력 및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치과 진료시 다양한 작업공정에 따라 조작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Dental chair unit and suction of the ai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므로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석션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환자가 누워 진료를 받는 유니트 체어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아 핸드피스 등을 회전시키게 되며 유니트 체어의 높이 조절등을 수행하게 된다. 치과에서는 에어의 공급을 위해서는 에어컴프레서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진료시 입에 공급된 물이나 환자의 피나 힘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음압 펌프(진공펌프)에 의해 발생한 음압을 사용하여 물과 피 침 등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석션도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에어컴프레서와 석션은 치과에서는 필수 구성기자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치과용 유니트체어와 연결되는 에어컴프레서와 석션은 한국공개특허 10-2011-0089217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에어컴프레서와 석션을 모두 유니트 체어에 연결해야 하므로 소음이 많이 발생하여 그로 인해 진료시 환자들에게 좋지 영향을 미친다.
또한, 에어컴프레서와 석션을 모두 유니트 체어에 연결해야 하므로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며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892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손쉽게 흡입력을 생성하여 압축공기로 핸드피스 및 석션부재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는,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일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부재와,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며,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관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핸드피스에 안내하는 핸드피스연결관과, 상기 공급관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의 압축공기를 분지하는 분지관과, 상기 분지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분지관에 의해 안내되는 압축공기의 유속을 상승시키는 오리피스관과, 상기 오리피스관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오리피스관을 통해 지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하여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과 연통되며 치과 진료시에 피고름, 타액, 치아 절삭물 등 적출물을 흡입하는 석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오리피스관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지관 및 상기 배출관 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압축공기의 유속이 빨라진다.
상기 핸드피스연결관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1 개폐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분지관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2 개폐부재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 1 개폐부재 및 상기 제 2 개폐부재는, 상기 핸드피스의 단독 사용시에는, 상기 제 1 개폐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핸드피스연결관을 개방하고, 상기 제 2 개폐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분지관을 차단하고, 상기 석션부재의 단독 사용시에는, 상기 제 1 개폐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핸드피스연결관을 차단하고, 상기 제 2 개폐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분지관을 개방하고, 상기 핸드피스 및 상기 석션부재의 동시 사용시에는, 상기 제 1 개폐부재 및 상기 제 2 개폐부재가 작동되어, 상기 핸드피스연결관 및 상기 분지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체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석션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진공펌프를 설치하지 않고 오리피스관을 설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므로,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한 소음 발생이 감소되어 치과 진료시 안정적인 치료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진공펌프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설치시 공간이 활용성이 향상되어 컴팩트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조작부를 이용하여 의사가 간단한 조작으로 제 1 개폐부재 및 제 2 개폐부재를 작동시켜 핸드피스 및 석션부재의 동력 및 흡입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치과 진료시 다양한 작업공정에 따라 조작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 및 석션부와 연결된 에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핸드피스 및 석션부와 연결된 에어조절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C)의 에어공급 및 흡입시스템은,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일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부재(10)와,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의 일측에 설치되며,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공급관(12)과, 상기 공급관(12)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관(12)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핸드피스(7)에 안내하는 핸드피스연결관(14)과, 상기 공급관(12)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12)의 압축공기를 분지하는 분지관(18)과, 상기 분지관(18)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분지관(18)에 의해 안내되는 압축공기의 유속을 상승시키는 오리피스관(22)과, 상기 오리피스관(22)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오리피스관(22)을 통해 지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하여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관(24)과, 상기 흡입관(24)과 연통되며, 치과 진료시에 피고름, 타액, 치아 절삭물 등 적출물을 흡입하는 석션부재(8) 등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치과용 유니트체어(C)는 환자가 앉을 수 있는 체어(1)와, 체어(1)를 지지하는 직립지지대(2) 및, 직립지지대(2)에서 여러 갈래로 분기되어 수평 방향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연장된 암(3), 암(3)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미러(4) 및 램프(5), 암(3)의 일측 끝단에서 치과용 치료기구 및 소규모의 각종 의료 기구를 수납하는 선반(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치과용 유니트체어(C)는 환자가 앉은 상태 또는 누운 상태에서 치과 진료가 이루어지도록 환자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치과용 유니트체어(C)의 선반(6)에는 핸드피스(7)가 설치된다. 상기 핸드피스(7)는 일반적인 핸드피스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핸드피스(7)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며, 툴 변경이 가능하여 다양한 치과 치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반(6)의 내부에는 석션부재(8)가 설치된다. 상기 석션부재(8)는 "ㄱ"자 형상의 중공된 관(管) 형상을 가지며, 후술할 석션부재연결관(26)과 연결되어 치과 치료시 발생하는 입안의 피고름, 타액, 치아 절삭물 등 적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반(6)과 이격된 위치에는 압축공기분사부재(10)가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는, 도 3과 같이, 일반적인 콤프레샤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는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의 상부에는 공급관(12)이 설치된다. 상기 공급관(12)은 내부가 중공된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의 외부로 안내한다.
상기 공급관(12)의 선단에는 핸드피스연결관(14)이 설치된다.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공급관(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핸드피스(7)에 연결된다.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은 상기 공급관(12)에 의해 안내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핸드피스(7)에 안내한다.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의 내부에는 제 1 개폐부재(16)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개폐부재(16)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개폐부재(16)는 상기 선반(6)에 설치된 조작부(9)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을 개방 및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1 개폐부재(16)는 상기 핸드피스(7) 사용시 항상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핸드피스(7)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을 차단하여 압축공기가 상기 핸드피스(7)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이 상기 제 1 개폐부재(16)에 의해 차단되면, 상기 핸드피스(7)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후술할 오리피스관(22)으로 배출되어 상기 석션부재(8)에 더욱 강한 흡입력이 발생한다.
상기 공급관(12)의 선단 하부에는 분지관(18)이 설치된다. 상기 분지관(18)은 내부가 중공된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공급관(12)에 의해 안내되는 압축공기의 일부를 후술할 배출관(28)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지관(18)의 내부에는 제 2 개폐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개폐부재(20)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밸브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 개폐부재(20)는 상기 선반(6)에 설치된 조작부(9)의 조작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분지관(18)을 개방 및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 2 개폐부재(20)는 상기 석션부재(8) 사용시 항상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석션부재(8)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분지관(18)을 차단하여 압축공기가 후술할 오리피스관(22)에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분지관(18)이 상기 제 2 개폐부재(20)에 의해 차단되면, 상기 오리피스관(22)으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으로 다량 배출되어 상기 핸드피스(7)에 더욱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분지관(18)은 선단에는 오리피스관(22)이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관(22)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관(22)은 상기 분지관(18)보다 내부 지름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분지관(18)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속을 상승시킨다.
즉, 상기 오리피스관(22) 보다 굵은 관 형태의 분지관(18)을 지나는 압축공기가 상기 분지관(18) 보다 가는 관 형태의 상기 오리피스관(22)에 유입되면서, 압축공기의 유속이 빨라지고 상기 오리피스관(22) 내부의 압력이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관(22) 내부의 압력 상승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관(22)과 연결되는 후술할 흡입관(24)을 따라 흡입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오리피스관(22)의 중앙에는 흡입관(24)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관(24)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오리피스관(22)과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흡입관(24)은 상기 오리피스관(22)에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오리피스관(22)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관(24)의 끝단에는 석션부재연결관(26)이 설치된다. 상기 석션부재연결관(26)은 내부가 중공된 관(管)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석션부재(8)와 연통된다. 상기 석션부재연결관(26)은 상기 석션부재(8)와 연통되어, 상기 오리피스관(22)을 지나는 압축공기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분지관(18)을 따라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오리피스관(22)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관(22)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오리피스관(22)과 연결되는 상기 흡입관(24)을 입속의 적층물이 흡입된다.
상기 오리피스관(22)의 하부에는 배출관(28)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관(28)은 내부가 중공된 관(管)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관(22)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 및 적출물을 저장탱크(미도시)로 안내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28)의 내면에 부착되는 적층물은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털어지며, 상기 배출관(28)은 압축공기에 의해 항상 청결하게 유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치과 치료시 환자는 치과용 유니트체어(C)에 앉아거나 누운 상태에서 치료를 받는다. 치료과정에서 의사는 핸드피스(7) 또는 석션부재(8)를 이용하여 치료를 실시한다.
의사는 각종 치료용 툴을 핸드피스(7)에 장착하여 이를 치료한다. 의사는 조작부(9)를 조작하여 압축공기분사부재(10)를 작동시킨다.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는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공급관(12)을 통해 외부로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에 의해 생성되는 압축공기는 공급관(12)을 따라 핸드피스연결관(14) 및 분지관(18)에 각각 공급된다. 이때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과 상기 분지관(18)의 제 1 개폐부재(16)와 제 2 개폐부재(20)는 개방된 상태로 작동된다.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의 끝단에는 상기 핸드피스(7)가 연결되어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분지관(18)의 끝단에는 오리피스관(22)이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관(22)은 상기 분지관(18) 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상기 오리피스관(22)을 통과하는 압축공기의 유속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관(22)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상기 오리피스관(22)에 연결된 흡입관(24)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관(24)은 석션부재연결관(26)과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석션부재연결관(26)의 끝단에 연결된 석션부재(8)를 통해 치과 진료시에 발생하는 피고름, 타액, 치아절삭물 등 적출물을 흡입한다.
상기 석션부재(8)를 통해 흡입된 적출물은 상기 오리피스관(22)으로 이동되고, 상기 오리피스관(22)의 하부에 연결된 배출관(28)을 통해 저장탱크(미도시)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분사부재(10)에 의해 생성되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압축공기 분사 및 공기 흡입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진공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핸드피스(7)의 작업 및 석션부재(8)의 작업이 동시에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의사 진료시 상기 핸드피스(7)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경우에는 조작부(9)를 조작하여 상기 제 2 개폐부재(20)를 작동시켜 상기 분지관(18)을 차단한다. 상기 분지관(18)이 차단되면 상기 분지관(18)으로 분지되어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차단되고,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으로 다량의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핸드피스(7)가 더욱 강한 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의사 진료시 상기 석션부재(8)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작부(9)를 조작하여 상기 제 1 개폐부재(16)를 작동시켜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을 차단한다.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이 차단되면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차단되고, 상기 분지관(18)으로 다량의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오리피스관(22) 내부의 유속이 더욱 증가한다. 상기 오리피스관(22)의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강한 흡입력이 발생되어 상기 석션부재(8)의 흡입력이 상승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9)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개폐부재(16) 및 상기 제 2 개폐부재(20)를 작동시켜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과 상기 분지관(18)을 개방 및 폐쇄시키고, 치료 작업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7) 및 상기 석션부재(8)의 동력 및 흡입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압축공기분사부재 12. 공급관
14. 핸드피스연결관 16. 제 1 개폐부재
18. 분지관 20. 제 2 개폐부재
22. 오리피스관 24. 흡입관
26. 석션부재연결관 28. 배출관

Claims (5)

  1. 압축공기를 생성하며, 일방향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부재(10)와;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의 일측에 설치되며, 관(管) 형태로 이루어져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공급관(12)과;
    상기 공급관(12)과 연통되며, 상기 공급관(12)을 통해 배출되는 압축공기를 핸드피스(7)에 안내하는 핸드피스연결관(14)과;
    상기 공급관(12)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급관(12)의 압축공기를 분지하는 분지관(18)과;
    상기 분지관(18)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분지관(18)에 의해 안내되는 압축공기의 유속을 상승시키는 오리피스관(22)과;
    상기 오리피스관(22)의 일측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오리피스관(22)을 통해 지나는 압축공기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하여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관(24)과;
    상기 흡입관(24)과 연통되며, 치과 진료시에 피고름, 타액, 치아 절삭물 등 적출물을 흡입하는 석션부재(8);를 포함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관(22)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지관(18) 및 배출관(28) 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압축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1 개폐부재(16)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관(18)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공기분사부재(1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 2 개폐부재(2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폐부재(16) 및 상기 제 2 개폐부재(20)는,
    상기 핸드피스(7)의 단독 사용시에는,
    상기 제 1 개폐부재(16)가 작동되어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을 개방하고, 상기 제 2 개폐부재(20)가 작동되어 상기 분지관(18)을 차단하고,
    상기 석션부재(8)의 단독 사용시에는,
    상기 제 1 개폐부재(16)가 작동되어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을 차단하고, 상기 제 2 개폐부재(20)가 작동되어 상기 분지관(18)을 개방하고,
    상기 핸드피스(7) 및 상기 석션부재(8)의 동시 사용시에는,
    상기 제 1 개폐부재(16) 및 상기 제 2 개폐부재(20)가 작동되어, 상기 핸드피스연결관(14) 및 상기 분지관(18)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KR20130094042A 2013-08-08 2013-08-08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KR101477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042A KR101477980B1 (ko) 2013-08-08 2013-08-08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042A KR101477980B1 (ko) 2013-08-08 2013-08-08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7980B1 true KR101477980B1 (ko) 2015-01-06

Family

ID=52587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4042A KR101477980B1 (ko) 2013-08-08 2013-08-08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79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962A (zh) * 2015-01-18 2016-08-24 李伟才 有洁净正压空气幕的口腔科诊疗椅
KR20160138795A (ko) 2015-05-26 2016-12-06 안상돈 치과용 석션장치
KR20190017214A (ko) 2017-08-10 2019-02-20 안창희 펌프식 의료용 석션장치
KR20190017220A (ko) 2017-08-10 2019-02-20 안창희 의료용 오염수 정화배출장치
KR102320858B1 (ko) * 2021-01-25 2021-11-02 김두희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765A (en) 1994-06-30 1998-09-22 Nidek Company, Ltd. Irrigation/aspiration apparatus
JP2001245901A (ja) 2000-03-06 2001-09-11 Yukio Yamamoto 携帯用歯科治療ユニット
KR20110089217A (ko) * 2010-01-30 2011-08-05 박성종 블록형 치과용 물과 에어 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0765A (en) 1994-06-30 1998-09-22 Nidek Company, Ltd. Irrigation/aspiration apparatus
JP2001245901A (ja) 2000-03-06 2001-09-11 Yukio Yamamoto 携帯用歯科治療ユニット
KR20110089217A (ko) * 2010-01-30 2011-08-05 박성종 블록형 치과용 물과 에어 공급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7962A (zh) * 2015-01-18 2016-08-24 李伟才 有洁净正压空气幕的口腔科诊疗椅
KR20160138795A (ko) 2015-05-26 2016-12-06 안상돈 치과용 석션장치
KR20190017214A (ko) 2017-08-10 2019-02-20 안창희 펌프식 의료용 석션장치
KR20190017220A (ko) 2017-08-10 2019-02-20 안창희 의료용 오염수 정화배출장치
KR102320858B1 (ko) * 2021-01-25 2021-11-02 김두희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980B1 (ko)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US5336170A (en) Surgical site visualization wand
AU2018201494A1 (en) Medical/surgical lavage unit with a control assembly that can be set to a momentary on state or a constant on state
JP2015511150A (ja) 創傷治療装置
JP2013517884A (ja) 結腸洗浄装置
CN108309558A (zh) 抽吸和灌注回路的可选择性移动阀元件
KR100272866B1 (ko) 치과용 장치
EP2496277A1 (en) Actuated self unplugging surgical sucker wand
KR101460227B1 (ko) 단일 콤프레셔 기반의 휴대용 구강 청결 장치
KR101546488B1 (ko) 흡입 관류기
KR20150144633A (ko) 살균 세척되는 타구대 및 이를 이용한 치과용 유닛트 체어
US10596306B2 (en) Suction device
KR100968280B1 (ko) 이비인후과용 의료장치
US20080202507A1 (en) Device for Generating a Jet of Liquid for Cleaning Wounds
CN209236937U (zh) 牙科综合治疗台管道消毒系统
JP7466900B2 (ja) エアロゾルの滅菌装置
KR101824558B1 (ko) 이비인후과 유닛
CN211911861U (zh) 一种新型口腔辅助治疗器械
EP1398003A3 (en) Cleaning device for medical instrument
CN211460587U (zh) 外接冷却式牙科高速反角手机
KR200395159Y1 (ko) 물과 공기를 이용한 마사지기
CN106580498B (zh) 洁牙喷嘴以及喷水式洁牙器
JP7398406B2 (ja) 油吸引装置および歯科用診療ユニット
KR20090117873A (ko) 상처 기부 치료 준비
JP4563597B2 (ja) 治療施設内除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