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858B1 -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 Google Patents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58B1
KR102320858B1 KR1020210010033A KR20210010033A KR102320858B1 KR 102320858 B1 KR102320858 B1 KR 102320858B1 KR 1020210010033 A KR1020210010033 A KR 1020210010033A KR 20210010033 A KR20210010033 A KR 20210010033A KR 102320858 B1 KR102320858 B1 KR 10232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nit
chair
input unit
d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승
Original Assignee
김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희 filed Critical 김두희
Priority to KR102021001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38Pneumatic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1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feet
    • A61G15/125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6Touch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유니트 체어는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체어와, 버의 회전에 의해 경조직을 제거하는 핸드피스와, 체어에 마련되며, 환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부와, 입력부 및 핸드피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DENTAL UNIT CHAIR TO BLOCK SALIVA SCATTERING}
이하의 실시예들은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유니트 체어는 치과 치료를 받기 위한 환자가 앉거나 누울 수 있으며, 의료진은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 구비된 각종 치료용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과 치료를 수행할 수 있다.
치과용 유니트 체어에서 환자의 치과 치료를 진행하는 동안, 환자는 입을 연 상태에서 치료를 진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치과 치료 도중 환자는 통증, 입안에 물 고임 등의 다양한 이유로 인해 치료를 중단하고 싶은 의사를 전달하고 싶으나, 환자는 치료를 위해 입을 연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의료진에게 진료의 중단 의사를 전달하기엔 어려움이 있었다. 환자의 의사 전달이 치과 치료 진행 중인 의료진에게 용이하게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의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치료기기의 작동으로 인해 환자의 구강 내로부터 타액이 비산하여 의료진에게 전파되거나 외부의 이물질이 환자의 구강 내로 침투하는 등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환자와 의료인 간의 의사 표시 및 의사 확인이 개선되고 치료 중 타액 또는 이물질의 전파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는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체어; 버의 회전에 의해 경조직을 제거하는 핸드피스; 상기 체어에 마련되며, 상기 환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핸드피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어는 환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부와, 환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환자의 머리 양측부에 배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상부 송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등 받침부는 환자의 양측 어깨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 상측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 송풍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상기 상부 송풍구는 환자의 머리 양측부 각각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하 방향 및 측방으로 조절되며, 복수의 상기 하부 송풍구는 환자의 양측 어깨 상부 각각에 측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하 방향 및 측방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입력부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 구동부, 감지부, 메모리, 표시부 및 입력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표시부 및 입력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어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를 이용한 치과 치료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를 이용한 치과 치료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 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 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상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입력부(40) 상면도이며,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0), 구동부(70), 감지부(15), 메모리(60), 표시부(20) 및 입력부(4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치과용 유니트 체어(1)는 환자가 앉을 수 있으며 환자를 감지하는 감지부(15)가 마련된 체어(10), 복수의 치과용 기구(80, 88)를 포함하는 기구 어셈블리(30),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20), 체어(10)가 움직이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70), 체어(10)에 마련되며 환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부(40) 및 감지부(15), 표시부(20), 구동부(70) 및 입력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15), 표시부(20), 구동부(70) 및 입력부(4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50)를 포함할 수 있다.
체어(1)는 치과 치료를 위한 환자가 앉을 수 있으며, 환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부(13), 환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14) 및 환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안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3), 등 받침부(14) 및 안착부(12)는 각각 조인트 연결되어 조인트 부분을 중심으로 상호간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13)와 등 받침부(14)의 연결부인 조인트 포인트(P)를 중심으로 헤드부(13)와 등 받침부(14)는 반 시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헤드부(13)와 등 받침부(14)의 연결부인 조인트 포인트(P)를 중심으로 헤드부(13)와 등 받침부(14)는 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등 받침부(14)와 안착부(12)는 서로 간의 조인트 포인트(미도시)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헤드부(13)는 환자의 머리 양측부에 배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상부 송풍구(16)를 구비하고, 등 받침부(14)는 환자의 양측 어깨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 상측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 송풍구(17)를 구비할 수 있다. 환자의 양측부 후방의 헤드부(13)로부터 환자의 안면 전방을 향하여 상부 송풍구(16)에 의해 압축 공기가 토출되고 환자의 양측 어깨 상부로부터 환자의 안면 전방을 향하여 하부 송풍구(17)에 의해 압축 공기가 토출됨으로써 환자와 의료진 사이에 공기 유동이 발생하여 환자와 의료진 간의 타액 또는 이물질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양측부로부터 환자의 안면 전방을 향하여 압축 공기가 모이도록 토출됨으로써 환자의 안면 전체가 압축 공기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부터의 이물질 침투도 차단할 수 있다.
복수의 상부 송풍구(16)는 환자의 머리 양측부 각각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입력부(40)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하 방향 및 측방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하부 송풍구(17)는 환자의 양측 어깨 상부 각각에 측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입력부(40)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하 방향 및 측방으로 조절될 수 있다. 환자마다 앉은 키가 상이하여 헤드부(13) 상에 머리가 안착되는 위치가 상이하여 압축 공기가 토출되는 상하 간 위치의 조정이 필요하며, 환자마다 머리의 앞뒤 폭이 상이하여 상부 송풍구(16)로부터 안면 측부를 향하여 압축 공기가 직접 토출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상부 송풍구(16)와 하부 송풍구(17)로부터 토출되는 압축 공기의 방향이 상하 방향 및 측방으로 조절됨으로써 환자에 따라 적절한 방향으로 압축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각각의 상부 송풍구(16)와 하부 송풍구(17)는 별도의 압력 수단과 체어 내부를 통해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전달된 압축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송풍구(16)와 하부 송풍구(17)의 외측에 노출된 개구에는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블레이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송풍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송풍캡의 회전과 블레이드의 회전을 통해 상하 방향 및 측방으로 압축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송풍캡과 블레이드는 별도의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하여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밖에 상부 송풍구(16) 및 하부 송풍구(17)에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는 점이 유의되어야 한다.
감지부(15)는 체어(10)의 안착부(12)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환자가 체어(10) 상에 앉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5)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부(15)는 체어(10)에 환자가 앉은 상태를 감지하여 프로세서(50)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50)는 이러한 환자안착상태를 확인하여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구 어셈블리(30)는 치과 치료에 필요한 복수의 치과용 기구(80, 88)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구 어셈블리(30)는 버의 회전에 의해 경조직을 제거하는 핸드피스(80, 도 8a 참조), 환자의 경구 내에 액체를 흡입하는 석션,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기, 물을 배출하는 물 분사기 등 치과 치료에 필요한 다양한 치과용 기구들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20)는 진료 과정에 있어서, 환자 또는 의료진에게 필요한 정보를 나타내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0)는 메인 디스플레이(21), 서브 디스플레이(22) 및 환자의 구강 내를 비춰주는 조명(23)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디스플레이(21)는 환자에게 주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체어(10)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22)는 의료진에게 주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 디스플레이(21)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메인 디스플레이(21)와 서브 디스플레이(22)의 위치는 고정적인 것이 아니라, 유동적으로 다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표시부(20)는 프로세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 디스플레이(21), 서브 디스플레이(22)의 형상 및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조명(23)은 환자 및 의료진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색을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23)은 LED조명을 구비하여 R, G, B 및 이를 조합한 다양한 색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명(23)은 프로세서(50)에 의해 전달하기 위한 상태를 색의 변화를 통해 환자 및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23) 환자의 구강 내를 비출 뿐만 아니라, 정보를 환자 및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70)는 체어(10)에 동력을 제공하여, 체어(10)가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70)는 모터(미도시)를 구비하여, 체어(10)의 헤드부(13), 등 받침부(14) 및 안착부(12) 등을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40)는 치과 진료를 위해 체어(10)에 앉은 환자가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40)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손 받침대(11)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손의 움직임을 통해 간편하게 환자의 의사를 의료진에게 전달하거나, 체어(10)의 배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40)는 치료의 중단을 나타내는 제1 입력부(41) 및 환자의 의사를 확인하는 제2 입력부(42), 체어 위치 입력부(43) 및 볼 마우스(4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부(41), 제2 입력부(42) 및 체어 위치 입력부(43)는 기계식 버튼 방식 또는 터치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부(41)는 치료가 진행된 상태에서 프로세서(50)에 의해 활성화되며, 치료 진행 중에 환자가 제1 입력부(41)를 누르는 경우 환자의 치료 중단 의사가 표시부(20)를 통해 의료진에게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부(41)는 제1 입력 버튼(41-1), 제2 입력 버튼(41-2), 제3 입력 버튼(4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 버튼(41-1)은 환자의 통증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입력 버튼(41-2)은 환자가 구강 내의 세척 및 헹굼을 원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제3 입력 버튼(41-3)은 환자가 구강 내의 물 및 침의 고임으로 인해 석션을 원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치료 도중 환자가 제1 내지 제3 입력 버튼을 누르는 경우, 표시부(20)는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여 의료진에게 환자의 치료 중단 의사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치료 도중 환자가 제1 입력 버튼(41-1)을 누르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21), 서브 디스플레이(22) 및 조명(23)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색을 나타낼 수 있으며, 환자가 제2 입력 버튼(41-2)을 누르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21), 서브 디스플레이(22) 및 조명(23)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색을 나타낼 수 있고, 환자가 제3 입력 버튼(41-3)을 누르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21), 서브 디스플레이(22) 및 조명(23) 중 적어도 하나는 제3 색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색은 서로 다른 색일 수 있다.
따라서, 치료 도중 환자가 입을 벌리고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구체적인 중단 사유를 의료진에게 간단하고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입력 버튼(41-1, 41-2, 41-3)은 환자의 손(S1)이 자연스럽게 놓아진 경우 각각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직관적인 버튼의 위치에 따라, 간편하게 환자의 의사를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2 입력부(42)는 환자의 의사를 확인하는 버튼으로서, 환자의 긍정의 의사를 나타내는 동의 버튼(42-1) 및 환자의 부정의 의사를 나타내는 비동의 버튼(4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42)는 치료 도중 환자가 제1 입력부(41)를 실수로 눌러 의료진에게 잘못된 의사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환자의 제1 입력부(41)의 입력 이후 입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제1 입력부(41)를 누른 이후 메모리(6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입력부(42)의 비동의 버튼(42-2)을 누르는 경우, 표시부(20)에는 환자의 치료 중단 의사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환자가 제1 입력부(41)를 누른 이후 메모리(60)에 저장된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제2 입력부(42)의 동의 버튼(42-2)을 누르는 경우, 표시부(20)에는 환자의 치료 중단 의사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42)는 치료 도중 환자의 의료진이 환자의 동의/비동의의 의견을 물어보는 경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진이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의사확인버튼(미도시)을 누르고 난 이후, 환자에게 질문을 하는 경우, 제2 입력부(42)는 활성화되며 환자는 동의/비동의 버튼(42-1. 42-2)을 통해 의료진에게 의사를 전달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치료를 위해 입을 연 상태에서, 의료진과의 간단한 의사 소통을 직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42)는 환자의 손가락의 자유도가 가장 높은 검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제2 입력부(42)를 다른 입력부에 비해 빠르게 조작할 수 있다.
아울러, 체어 위치 입력부(43)는 환자가 앉은 체어(1)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볼 마우스(44)는 치료의 시작 전 환자가 대기하는 동안, 메인 디스플레이(21)를 통해,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볼 마우스(44)는 환자의 손가락의 자유도가 가장 높은 검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볼 마우스(44)의 위치 및 형태는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50)는 감지부(15), 메모리(60), 구동부(70), 표시부(20), 입력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15), 메모리(60), 구동부(70), 표시부(20), 입력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50)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5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0)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메모리(60)는 프로세서(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리 저장된 여러가지 정보를 프로세서(5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롬(ROM), 램(RAM), 하드 디스크(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20)의 동작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에에 따른 표시부(20) 및 입력부(4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어(1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를 이용한 치과 치료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 치료를 위한 환자가 체어(10)에 앉을 경우, 프로세서(50)는 감지부(15)를 통해 환자가 체어(10)에 앉은 상태를 알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50)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1)가 대기 단계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0).
이에 따라, 프로세서(50)는 감지부(15)를 통해 체어(10)에서 환자가 감지되는 경우, 입력부(40)가 활성화되도록 입력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단계(S10)에서 체어 위치 입력부(43)를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단계(S10)에서 환자는 체어 위치 입력부(43)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50)는 메모리(60)에 저장된 의료진의 치과 치료에 필요한 최소한의 높이(H) 및 제1 각도(θ1) 내지 제2 각도(θ2) 내에서 체어(10)가 움직이도록 구동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로부터 헤드부(13)와 등 받침부(14)의 연결부인 조인트 포인트(P)를 통과하는 수직 중심선(Y)을 따라, 최소한의 높이(H) 이상에서 조인트 포인트(P)가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체어(10)의 헤드부(13)와 등 받침부(14)는 수직 중심선(Y)에 대한 기 설정된 제1 각도(θ1)의 연장선인 제1 기준선(G1)및 수직 중심선(Y)에 대한 기 설정된 제2 각도(θ2)의 연장선인 제2 기준선(G2) 내에서, 조인트 포인트(P)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어(10)는 제2 기준선(G2)의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준선(G1)에 인접하게 배치될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대기 단계에서, 환자는 환자 자신에게 편안한 상태의 체어(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진의 치과 치료에 필요한 최소한의 영역 내에서 환자가 체어(10)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치과 치료에 있어서 환자의 자세에 대한 의사가 유동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또한, 대기 상태(S10)에서, 프로세서(50)는 볼 마우스(4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볼 마우스(44)를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21)를 통해 컴퓨터로서 이용함과 동시에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다.
즉, 환자가 체어(10)에 앉아서 대기하는 동안, 환자는 능동적으로 치과용 유니트 체어(1)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교정 또는 보철 치료 과정에서 대기하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환자는 체어(10)에 앉은 상태에서 능동적으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50)는 복수의 치과용 기구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하는 경우, 치료 진행 단계(S20)로 판단하여, 볼 마우스(44)를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할 때, 프로세서(50)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치료 진행 단계임을 판단할 수 있다(S20). 여기서, 치료 진행 단계는 의료진이 치료 시작 버튼(미도시)을 입력하거나, 기구 어셈블리(30)에서 치과용 기구(80, 88)를 작동시키는 경우, 프로세서(50)는 이를 인지하여 치료 진행 단계임을 판단할 수 있다(S20).
아울러, 프로세서(50)는 치료 진행 단계(S20)임을 인지하는 경우, 체어 위치 입력부(43)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치료 진행 상태에서, 환자가 실수로 체어(10)를 조절하여 치료가 중단되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는 치료 진행 단계(S20)에서 입력부(40)를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는 치료 진행 단계(S20)에서 제1 입력부(4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 진행 단계(S20) 이후에 환자가 치료의 중단을 위해 제1 입력부(41)를 조작하는 경우, 표시부(20)에는 치료를 중단 여부를 재확인하는 화면이 나타남과 동시에 제2 입력부(42)가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부(41)는 구체적인 중단 사유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입력 버튼(41-1, 41-2, 4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버튼(41-1)은 환자의 통증을 나타낼 수 있으며(S30-1), 제2 입력 버튼(41-2)은 환자가 구강 내의 세척 및 헹굼을 원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S30-2), 제3 입력 버튼(41-3)은 환자가 구강 내의 물 및 침의 고임으로 인해 석션을 원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S30-3).
이에 따라, 환자가 제1 내지 제3 입력 버튼(41-1, 41-2, 41-3)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경우, 프로세서(50)는 일괄적으로 제2 입력부(42)를 활성화하여 재확인 단계(S30-4)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50)는 제1 입력부(41)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재확인 단계(S30-4)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20)는 메인 디스플레이(21)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50)는 환자가 제1 입력부(41)의 입력 신호를 수신한 이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 제2 입력부(42)의 동의 버튼(42-1)을 누르는 경우, 표시부(20)에 환자의 중단 의사가 나타낼 수 있다(S40).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이란, 메모리(60)에 저장된 시간으로서, 제1 입력부(41)의 입력 신호가 수신된 이후로부터 카운팅되는 시간일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50)는 제1 입력부(41)의 입력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동의 버튼(42-1)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표시부(20)에 중단 표시를 나타내지 않고 다시 치료 진행 단계(S20)가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는 제1 입력부(41)의 입력 신호가 수신된 이후에 비동의 버튼(42-2)의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도 표시부(20)에 중단 표시를 나타내지 않고 다시 치료 진행 단계(S20)가 될 수 있다.
아울러, 표시부(20)에 환자의 중단 의사가 표시되는 경우, 프로세서(50)는 환자의 중단 사유에 따라 표시부(20)가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S40).
예를 들어, 프로세서(50)는 환자가 제1 입력 버튼(41-1)을 누르는 경우, 표시부(20)가 제1 색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는 환자가 제2 입력 버튼(41-2)을 누르는 경우, 표시부(20)가 제2 색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50)는 환자가 제3 입력 버튼(41-3)을 누르는 경우, 표시부(20)가 제3 색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색 내지 제3 색은 서로 다른 색상일 수 있다. 아울러, 제1 색 내지 제3 색은 표시부(20)의 메인 디스플레이(21), 서브 디스플레이(22), 조명(2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치료 진행 도중, 환자의 선택적인 중단 사유를 표시부(20)를 통해 즉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지함으로써, 환자의 불편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으며, 치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치과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입을 벌리고 있는 상태에서도, 환자는 의료진에게 환자의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의료진은 표시부(20)에 나타난 정보를 통해 치료 진행을 중단할 수 있다(S50).
다음으로, 의료진은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 다시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며(S20), 치료 진행 과정에 있어서 환자의 중단 사유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치료는 종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8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8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핸드피스(80)는 버(81a)의 회전에 의해 치아의 경조직(hard tissue) 제거할 수 있는 치과용 기구이며, 버(81a)와 연결된 제1 부분(81) 및 제1 부분(81)과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연결된 제2 부분(82) 및 제1 부분(81)과 제2 부분(82) 사이에 배치되어 다양한 색의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8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84)는 표시부(20)의 일부로서 프로세서(5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제1 부분(81)과 제2 부분(82)은 버(81a)를 고속의 rpm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전달부재(미도시)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핸드피스(80)는 전기식 및 에어구동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핸드피스(80)의 회전전달부재(미도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부분(82)은 제1 부분(81)에 대해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제1 부분(8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인이 핸드피스(80)를 사용하는 경우 핸드피스(80)의 자연스러운 그립(grip)을 통해 의료인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발광부(84)는 제1 부분(81)과 제2 부분(8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인이 핸드피스(80)를 사용하는 경우, 의료인의 손(S2)에 의해 발광부(82)가 가려지지 않을 수 있다. 즉, 발광부(84)는 의료인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인이 핸드피스(80)를 사용하여 치료를 진행하는 도중, 발광부(84)에서 광이 나타나더라도 의료인은 자신의 손에 의해 광이 가려지지 않아 즉각적으로 발광부(84)의 작동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84)는 핸드피스(80)의 둘레를 따라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피스(80)의 둘레가 원형일 경우, 발광부(84)는 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인이 환자의 구강 내에서 핸드피스(80)를 다양한 각도로 사용하는 중에, 발광부(84)에서 광이 나타나더라도, 의료인은 이를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인은 환자의 중단 의사를 빠르게 인지하여 치료 과정을 중단할 수 있다.
아울러, 핸드피스(80)는 제1 부분(81)에서 연장되는 연장부(83)를 더 포함하며, 발광부(84)는 연장부(83)와 제2 부분(82) 사이의 단차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부(83)는 버(81a)가 배치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제1 부분(81)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장부(83)와 제2 부분(82)에는 직경의 차이로 인한 단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84)가 연장부(83)와 제2 부분(82) 사이에 핸드피스(80) 둘레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발광부(84)는 제2 부분(82)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발광부(84)는 핸드피스(80)의 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인이 핸드피스(80)를 환자의 구강 내에서 사용하는 도중 발광부(84)에서 광이 조사되더라도, 발광부(84)는 핸드피스(80)의 후방을 향해 집중적으로 광을 조사하므로, 핸드피스(80)의 후방에 위치하는 의료인은 발광부(84)의 광을 바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84)는 핸드피스(80) 내부에 배치되고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8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85)은 R, G, B 및 R, G, B의 조합을 통해 다양한 색상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85)은 LED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0)는 입력부(40)의 조작에 따라 발광부(84)에서 표시되는 광의 색상을 다르게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0)는 환자가 제1 입력 버튼(41-1)을 누르는 경우, 발광부(84)가 제1 색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0)는 환자가 제2 입력 버튼(41-2)을 누르는 경우, 발광부(84)가 제2 색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50)는 환자가 제3 입력 버튼(41-3)을 누르는 경우, 발광부(84)가 제3 색을 나타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색 내지 제3 색은 서로 다른 색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력부(41)는 구체적인 중단 사유를 나타내는 제1 내지 제3 입력 버튼(41-1, 41-2, 4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버튼(41-1)은 환자의 통증을 나타낼 수 있으며, 제2 입력 버튼(41-2)은 환자가 구강 내의 세척 및 헹굼을 원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제3 입력 버튼(41-3)은 환자가 구강 내의 물 및 침의 고임으로 인해 석션을 원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진은 치료 진행 도중, 환자의 선택적인 중단 사유를 발광부(84)를 통해 즉각적이고 직관적으로 인지함으로써, 환자의 불편을 빠르게 해결할 수 있으며, 치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치과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입을 벌리고 있는 상태에서도, 환자는 의료진에게 환자의 상태를 적극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50)는 제2 입력부(42)가 입력되는 경우, 발광부(84)가 광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제1 내지 제3 입력 버튼(41-1, 41-2, 41-3)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경우, 프로세서(50)는 일괄적으로 제2 입력부(42)를 활성화하여 재확인 단계(S30-4)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0)는 제1 입력부(41)가 입력된 이후에 제2 입력부(42)의 동의 버튼(42-1)의 신호가 인지되는 경우, 발광부(84)를 작동함으로써, 환자가 실수로 제1 입력부(41)를 누르는 것으로 인해 치료 진행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0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즉, 치과용 유니트 체어(101)가 리모컨(1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1)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유니트 체어(101)는 환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부(140), 진동을 나타내는 진동부(160), 소리를 나타내는 스피커(170)를 구비한 리모컨(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40)는 전술한 입력부(4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입력 버튼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리모컨(100)은 유 무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환자가 손에 쥐기 편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100)이 유선으로 구성되는 경우, 리모컨(100)과 프로세서(50)는 전기적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리모컨(100)이 무선일 경우, 리모컨(100)과 프로세서(50)는 다양한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진동부(160)는 프로세서(50)의 제어에 의해 진동하여 환자에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으며, 스피커(170)는 프로세서(50)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음을 방출하여 환자에게 소리를 전달할 수 있다.
리모컨(100)에서 진동부(160)와 스피커(170)가 배치되는 위치 및 형상을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a 내지 도 12를 통해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01)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개시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유니트 체어(101)를 이용한 치과 치료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치료 과정에 있어서, 프로세서(50)는 복수의 치과용 기구(80, 88) 중 통증 유발 기구가 작동하는 경우 통증 유발 단계(S110)를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통증을 유발하는 통증 유발 기구는 메모리(60)를 통해 저장된 기구이며, 핸드피스(8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50)가 통증 유발 기구가 작동하는 것을 인지하는 경우, 리모컨(100)의 진동부(160)를 진동시키거나, 스피커(170)를 통해 특정 소리를 방출함으로써, 환자가 통증이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알려줄 수 있다(S120).
이에 따라, 환자는 통증을 수반하는 단계를 미리 대비하여, 예상치 못한 통증으로 인한 쇼크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50)는 통증 유발 기구가 작동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의료인이 통증 유발 버튼(미도시)을 직접 눌러 환자에게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 치료 단계를 알릴 수 있다.
또한, 리모컨(100)은 압력 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150)는 환자가 리모컨(100)을 쥐고 있는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환자의 긴장 상태를 알 수 있다(S130).
따라서, 프로세서(50)는 압력 센서(150)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값을 인지하는 경우, 표시부(20)를 통해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표시부(20)를 제어할 수 있다(S140).
여기서, 기 설정된 값의 압력값은 메모리(60)에 미리 저장된 임의의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21)에는 압력 센서(150)에서 측정되는 압력 값을 나타내는 압력바(C)가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가 진행되는 도중에 환자의 긴장으로 인한 압력 센서(150)의 압력 값(R)을 초과하는 경우, 프로세서(50)는 표시부(20)의 색상이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의료인은 환자의 긴장 상태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어, 진료 행위를 잠시 중단하거나 환자를 안심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치료 과정을 더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치과 치료 과정에서 환자는 치료 과정에서 수반되는 통증을 경험적, 수동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치과용 유니트 체어(101)가 예측적, 능동적으로 환자에게 알림으로써, 환자가 통증을 미리 대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각 실시예들은 반드시 단독으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실시예들의 구성 및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들과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상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101: 치과용 유니트 체어 10: 체어
20: 표시부 30: 기구 어셈블리
40, 140: 입력부 50: 프로세서
60: 메모리 70: 구동부
80: 핸드피스 100: 리모컨
150: 압력 센서 160: 진동부
170: 스피커

Claims (3)

  1. 환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체어;
    버의 회전에 의해 경조직을 제거하는 핸드피스;
    상기 체어에 마련되며, 상기 환자가 조작할 수 있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핸드피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체어는 환자의 머리를 받치는 헤드부와, 환자의 등을 받치는 등 받침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환자의 머리 양측부에 배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상부 송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등 받침부는 환자의 양측 어깨 상부에 배치되어 전방 상측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토출하는 하부 송풍구를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상부 송풍구는 환자의 머리 양측부 각각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하 방향 및 측방으로 조절되며,
    복수의 상기 하부 송풍구는 환자의 양측 어깨 상부 각각에 측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전달된 입력 신호에 따라 압축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하 방향 및 측방으로 조절되고,
    환자의 양측부 후방의 상기 헤드부로부터 환자의 안면 전방을 향하여 상기 상부 송풍구에 의해 압축 공기가 토출되고 환자의 양측 어깨 상부로부터 환자의 안면 전방을 향하여 상기 하부 송풍구에 의해 압축 공기가 토출됨으로써 환자의 양측부로부터 환자의 안면 전방을 향하여 압축 공기가 모이도록 토출되어 환자의 안면 전체가 압축 공기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2. 삭제
  3. 삭제
KR1020210010033A 2021-01-25 2021-01-25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KR102320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33A KR102320858B1 (ko) 2021-01-25 2021-01-25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033A KR102320858B1 (ko) 2021-01-25 2021-01-25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858B1 true KR102320858B1 (ko) 2021-11-02

Family

ID=7847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033A KR102320858B1 (ko) 2021-01-25 2021-01-25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791A (ko) * 2007-12-12 2009-06-17 엠제이라드(주) 무균 치료를 위한 치과용수 및 공기 공급 장치
KR101477980B1 (ko) * 2013-08-08 2015-01-06 이현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KR102058743B1 (ko) * 2019-01-30 2019-12-27 김두희 치과용 유니트 체어
JP2020099580A (ja) * 2018-12-25 2020-07-02 日機装株式会社 感染抑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791A (ko) * 2007-12-12 2009-06-17 엠제이라드(주) 무균 치료를 위한 치과용수 및 공기 공급 장치
KR101477980B1 (ko) * 2013-08-08 2015-01-06 이현화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JP2020099580A (ja) * 2018-12-25 2020-07-02 日機装株式会社 感染抑制装置
KR102058743B1 (ko) * 2019-01-30 2019-12-27 김두희 치과용 유니트 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2395B1 (ko) 치과용 유니트 체어
US20210225140A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medical system
KR101492101B1 (ko) 치과치료용 의사표시전달시스템
KR102058743B1 (ko) 치과용 유니트 체어
WO2016192294A1 (zh) 按摩指示仪和按摩指示方法
TWI592131B (zh) 用於控制一外科手持件之裝置
JP7444823B2 (ja) フッ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医療用診療装置
JP5607912B2 (ja) 診療装置
KR102062396B1 (ko) 치과용 유니트 체어
KR102212506B1 (ko) 마사지 치료가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KR102320858B1 (ko) 타액 비산 차단이 가능한 치과용 유니트 체어
KR102286628B1 (ko) 의사 소통 기능이 포함된 치과용 유니트 체어
WO2017104744A1 (ja) 医療用診療システム、医療用診療装置、通信装置、および医療用診療装置の誤操作防止方法
JP5277192B2 (ja) 医療用診療装置
KR102154357B1 (ko) 치과용 유니트 체어
KR102232674B1 (ko) 실시간으로 치료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치과용 유니트 체어
KR101263581B1 (ko) 실시간 피드백 제어를 이용하는 신체 자극장치
KR20140013829A (ko) 치과용 개구기
KR102294077B1 (ko) 의료용 의사 소통 장치
JP2006122383A (ja) 歯科治療装置の動作状態表示装置
JP5162059B2 (ja) 医療用診療装置
CN115551440A (zh) 牙科系统中冲洗模式的自动激活
KR20110133090A (ko) 치과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 치과용 의자
KR20210000372A (ko) 핸드 피스 및 그를 가지는 유니트 체어
KR102336843B1 (ko) 유니트 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