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829A - 치과용 개구기 - Google Patents

치과용 개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829A
KR20140013829A KR1020120082516A KR20120082516A KR20140013829A KR 20140013829 A KR20140013829 A KR 20140013829A KR 1020120082516 A KR1020120082516 A KR 1020120082516A KR 20120082516 A KR20120082516 A KR 20120082516A KR 20140013829 A KR20140013829 A KR 20140013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tongue
suction
dentistr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9393B1 (ko
Inventor
박병활
Original Assignee
박병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활 filed Critical 박병활
Priority to KR102012008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939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9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9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개구기 측에 환자의 혀를 가압하는 혀 가압부재가 구비되어 혀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해 치과 치료가 방해받거나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해 상처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강 내의 이물질 및 분비물이 흡입되는 흡입부재가 구비되어 치위생사의 도움없이 치과의사 단독으로 치료행위가 가능한 치과용 개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는 치아의 내측에 고정되어 치과 치료시 턱 벌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치과용 개구기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개구기의 일측에서 구강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환자의 혀 부위를 가압해 그 움직임이 제어되는 혀 고정부재와, 상기 혀 고정부재의 일면에 구비되고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흡입력이 발휘되는 석션호스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치과 치료시 구강 내의 이물질과 분비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개구기{MOUTH GAG FOR DENTISTRY}
본 발명은 치과용 개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용 개구기 측에 환자의 혀를 가압하는 혀 가압부재가 구비되어 혀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해 치과 치료가 방해받거나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해 상처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강 내의 이물질 및 분비물이 흡입되는 흡입부재가 구비되어 치위생사의 도움없이 치과의사 단독으로 치료행위가 가능한 치과용 개구기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시 어린이나 노인, 장애인 등과 같이 치료가 이루어지는 동안 지속적으로 턱을 벌리지 못하는 환자를 위해 윗니와 아랫니에 지지되어 턱 벌림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치과용 개구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로는 입의 측면에 위치되고 그 전방 양측을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고정 지지시킨 상태로 후방의 손잡이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턱의 벌어짐 상태가 고정되도록 하는 가위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가 있고, 입 속에 완전히 넣어져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치합 된 상태로 사용되는 마우스피스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가 있다. 특히 가위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는 치료의 제한이 적고 어린이, 노인, 장애인에게 사용되기에 적합하다는 점에서 마우스피스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 보다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치과용 개구기의 사용시 그 불편함으로 인해 환자가 혀를 지속적으로 움직일 경우 치료가 방해됨은 물론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해 상처가 발생 될 수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치위생사가 석션기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구강 내부의 이물질과 분비물을 흡수 제거해야 하는바 치위생사 도움없이 치과의사 단독으로 치료가 진행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과용 개구기 측에 환자의 혀를 가압하는 혀 가압부재가 구비되어 혀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해 치과 치료가 방해받거나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해 상처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치과용 개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 내의 이물질 및 분비물이 흡입되는 흡입부재가 구비되어 치위생사의 도움없이 치과의사 단독으로 치료행위가 가능한 치과용 개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치아의 내측에 고정되어 치과 치료시 턱 벌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치과용 개구기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개구기의 일측에서 구강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환자의 혀 부위를 가압해 그 움직임이 제어되는 혀 고정부재와, 상기 혀 고정부재의 일면에 구비되고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흡입력이 발휘되는 석션호스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치과 치료시 구강 내의 이물질과 분비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개구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치과용 개구기는 가위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 또는 마우스피스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흡입부재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혀 고정부재가 혀를 가압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는 첫째, 치과용 개구기 측에 환자의 혀를 가압하는 혀 가압부재가 구비되어 혀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해 치과 치료가 방해받거나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해 상처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구강 내의 이물질 및 분비물이 흡입되는 흡입부재가 구비되어 치위생사의 도움없이 치과의사 단독으로 치료행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의 사용상태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는 치아의 내측에 고정되어 치과 치료시 턱 벌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치과용 개구기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개구기의 일측에서 구강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환자의 혀 부위를 가압해 그 움직임이 제어되는 혀 고정부재(10)와, 상기 혀 고정부재(10)의 일면에 구비되고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흡입력이 발휘되는 석션호스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치과 치료시 구강 내의 이물질과 분비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부재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1)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치과용 개구기(1)는 가위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 또는 마우스피스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 중 선택된 하나인 것으로 하되,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1)에는 가위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가 사용됨을 밝혀둔다.
여기서 혀 고정부재(10)는 치과용 개구기(1)의 전방 고정돌기(30) 일측으로부터 구강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환자의 혀 부위를 측면에서 가압해 그 움직임을 제어함으로써 이 부분이 완벽하게 노출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혀 고정부재(10)는 치과용 개구기(1)에서 환자의 치아에 고정되는 양측 고정부재 중 아랫니에 고정되는 고정돌기(30)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고정돌기(30) 측과는 나사결합될 수도 있으며 용접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혀 부분이 부드럽게 가압 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으로 넓게 형성되며 그 재질은 멸균 및 항균처리가 가능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혀 고정부재(10)는 치료부위가 좌측인지 우측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좌측 치료용 치과용 개구기(1)와 우측 치료용 치과용 개구기(1) 2개가 1개 조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혀 고정부재(10)의 일면에는 관 형상의 흡입부재(20)가 구비되는데 이 흡입부재(20)는 흡입력이 발휘되는 석션호스(22)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치과 치료시 구강 내의 이물질과 분비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흡입부재(20)는 흡입부재(20)는 외부면에 다수의 흡입공(21)이 관통 형성되며 전술한 혀 고정부재(10)가 혀를 가압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위치됨으로써 흡입부재(20)에 의해 혀가 흡입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한다. 전술한 흡입부재(20)는 석션호스(22)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바 별도의 석션장비가 사용될 경우 석션호스(22)는 흡입부재(20)로부터 분리해 치과용 개구기(1)가 환자의 혀를 가압하는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개구기(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치료될 치아의 위치에 따라 치과용 개구기(1)를 선택한 다음 흡입부재(20)에 석션호스(22)를 연결시키고 윗니와 아랫니 사이에 고정돌기(30)를 위치시킨 뒤 확장시켜 환자의 턱이 벌려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혀 고정부재(10)는 이 부위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환자의 혀를 측면에서 가압한 상태로서 치과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혀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해 치과 치료가 방해받거나 치과용 핸드피스에 의해 상처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석션호스(22)가 연결된 흡입부재(20)의 흡입공(21) 측을 통해 치과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발생되는 구강 내의 이물질 및 분비물이 흡입됨으로써 치위생사의 도움없이 치과의사 단독으로 치료행위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치과용 개구기
10 : 혀 고정부재
20 : 흡입부재
21 : 흡입공
22 : 석션호스
30 : 고정돌기

Claims (3)

  1. 치아의 내측에 고정되어 치과 치료시 턱 벌림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치과용 개구기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개구기의 일측에서 구강 내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고 환자의 혀 부위를 가압해 그 움직임이 제어되는 혀 고정부재; 및
    상기 혀 고정부재의 일면에 구비되고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흡입력이 발휘되는 석션호스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치과 치료시 구강 내의 이물질과 분비물이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개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개구기는 가위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 또는 마우스피스 형상의 치과용 개구기 중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개구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재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혀 고정부재가 혀를 가압하는 면의 반대쪽 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개구기.
KR1020120082516A 2012-07-27 2012-07-27 치과용 개구기 KR101409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516A KR101409393B1 (ko) 2012-07-27 2012-07-27 치과용 개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516A KR101409393B1 (ko) 2012-07-27 2012-07-27 치과용 개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829A true KR20140013829A (ko) 2014-02-05
KR101409393B1 KR101409393B1 (ko) 2014-06-20

Family

ID=5026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516A KR101409393B1 (ko) 2012-07-27 2012-07-27 치과용 개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93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5999A (zh) * 2016-08-31 2016-12-21 万庆 一种口腔内侧卫生检验装置
KR101954027B1 (ko) * 2018-08-29 2019-03-07 정재호 의료용 개구기
JP2019170660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菊池製作所 歯科補助具及び歯科補助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658B1 (ko) 2019-02-28 2020-04-14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128U (ja) * 1997-06-06 1997-12-16 保三 中島 虫歯治療用舌押さえ
KR20100083207A (ko) * 2009-01-13 2010-07-22 김형종 치과용 멀티 석션,
KR100936221B1 (ko) 2009-03-06 2010-01-11 (주) 덴토존 타액흡입기능을 갖는 혀 보호용 팁스, 바이트 블럭 및 구강조명기
JP4819955B2 (ja) 2010-02-25 2011-11-24 学校法人松本歯科大学 口唇開口器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35999A (zh) * 2016-08-31 2016-12-21 万庆 一种口腔内侧卫生检验装置
JP2019170660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菊池製作所 歯科補助具及び歯科補助システム
KR101954027B1 (ko) * 2018-08-29 2019-03-07 정재호 의료용 개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9393B1 (ko) 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505702A (ja) 唾液吸引機能を有する舌保護用ティップス、バイトブロックおよび口腔照明器
US11103334B2 (en)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KR101409393B1 (ko) 치과용 개구기
KR102061779B1 (ko) 구강 액체 흡입 장치
EP2593155B1 (en) Suction device for evacuating fumes
KR101235084B1 (ko)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CA2880364C (en) Gauze pad holder for post-surgical intraoral use
JP2019170660A (ja) 歯科補助具及び歯科補助システム
CN204562089U (zh) 一种多用途口腔镜
KR101522314B1 (ko) 석션용 마우스 프롭
CN205626147U (zh) 一种可固定吸唾管的橡皮障面弓
KR101082826B1 (ko) 마우스프롭 착탈식 구강조명장치
KR200483494Y1 (ko) 의료용 니들링 기구
WO2004006798A3 (en) A device for local sub-gingival applications of dental medications
US11147651B2 (en) Steam clea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CN205612568U (zh) 一种易于固定吸唾管的橡皮障面弓
CN201108419Y (zh) 开口支撑钳
KR101720604B1 (ko) 약물 주입 장치
JP3668744B2 (ja) (熱可塑性材を使用したバイトブロック)
CN208677845U (zh) 一种牙科综合治疗机的手柄控制台
CA3034505A1 (en) Dental suction device with a camera
KR200483411Y1 (ko) 치과 치료용 삼킴 방지기구
CA2499284A1 (en) Multifunctional dental tool with disposable soft touch tip
KR20230127809A (ko)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KR20210115201A (ko) 위생용 고무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