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658B1 -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 Google Patents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658B1
KR102100658B1 KR1020190023588A KR20190023588A KR102100658B1 KR 102100658 B1 KR102100658 B1 KR 102100658B1 KR 1020190023588 A KR1020190023588 A KR 1020190023588A KR 20190023588 A KR20190023588 A KR 20190023588A KR 102100658 B1 KR102100658 B1 KR 102100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tongue
support
treatment
or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수현
박하은
유영숙
Original Assignee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3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C17/04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구강 진료 시,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고, 높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구강의 크기에 맞게 개구된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부 치아와 하부 치아를 지지하고, 이를 통해 구강의 개방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 본 발명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혀 격리부를 구비하여 구강 내에서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하고, 혀 격리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혀의 격리 위치를 결정한다. 또 본 발명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구강 진료 시, 구강 내의 수분,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석션 호스를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구강의 조직을 자극하지 않고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혀의 움직임으로 인한 손상 및 치료 수행 시 발생되는 불편함과, 침, 약액 등의 수분, 이물질에 의한 치료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CUSTOMIZED MOUTH PROP}
본 발명은 구강 진료용 개구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개구 시, 구강의 조직을 자극하지 않고 편안함을 제공하고 혀의 움직임으로 인한 혀의 손상 및 치료 수행 시 발생되는 불편함과 수분, 이물질 등에 의한 치료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강의 크기에 맞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혀를 보호하기 위한 혀 격리 기능과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갖는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 과정은 대부분 장시간이 소요된다. 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구강은 제한된 공간이므로 시술자가 완전하게 확보된 시야를 통해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환자들이 스스로 장시간 입을 크게 벌리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그러다 보면, 환자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입이 자꾸만 다물어지게 된다. 이러한 것을 방지하고,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환자들이 장시간 스스로 입을 벌리고 있어야 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보조 장치들은 치과진료 과정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치과 치료 과정에서는 많은 종류의 보조 장치들이 활용되고 있다. 현재 다양한 종류의 보조 장치들이 시판되고 있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대부분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어 동양인의 구강 조직의 형태에 잘 맞지 않고, 단순히 대, 중, 소로 구분되어 표준적인 형태의 구강에 맞추어서 만들어진 기성품들은 표준에 맞지 않는 특별한 구강 구조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개개인 환자들의 구강진료 시, 조직을 자극하여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성공적인 구강병의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구강 내의 타액은 물론 기계와 치아의 마찰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열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기 위한 물의 사용으로 인한 습기를 조절하여 시술 부위의 건조한 상태의 유지가 중요하므로, 최적의 방법으로 시술 부위의 격리가 필요하다. 이에 혀를 견인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시야 확보하고, 시술 부위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구강은 저작 기능, 발음 기능, 심미 기능의 3 대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3 대 기능을 수행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을 발견하여 이를 사전에 방지하는 예방 과정을 수행하거나, 발생된 장애 요인을 적절하게 제거하여 구강병으로 인한 고통을 제거하고, 정상적인 구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구강 건강의 증진과 치아의 수명을 연장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만 현대인들은 불균형의 식단 및 식생활과, 정제되고 과도한 당류의 섭취 등으로 인해 구강병이 증가되고 있다.
2015년 건강 보험 통계 연보에 따르면, 2015 년도 요양 급여 비용이 가장 많이 증가한 분야는 연평균 14.11%가 증가된 치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치은염 및 치주 질환은 2008년도 기준 675만명에서 2015년에는 1,346만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그 외에도 치아 보존 치료, 치아 보철 치료, 구강 외과 치료, 소아 치과 치료, 예방 처치 등의 다양한 치료가 제공되고 있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의 의료 시장은 세계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은 양질, 첨단의 의료를 시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은 현재의 의료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고 보다 나은 시설에서 보다 나은 진료를 받기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병원은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발전을 시도하고 있다. 환자들이 바라는 양질의 진료는 치과 치료 시의 불안 및 공포감, 불편함, 통증의 최소화와 쾌적한 의료 환경과 첨단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 한다. 이러한 치과 진료 시의 만족도 향상 및 불편감 감소와 주변의 방해 요인으로부터 치과 재료의 성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는 양질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조적인 술식이 중요한 요건 중에 하나이다.
보조적인 술식으로는 격리법과 격벽법이 있다. 격리법에는 러버댐 격리법, 간이 격리법, 치은 압배법, 치간 이개법이 시행된다.
러버댐 격리법은 얇은 고무판에 구멍을 뚫어 대상 치아만 노출시켜 나머지 부위와 격리하는 방법으로 가장 확실한 방습법이다. 그렇지만 러버댐 시트의 라텍스 성분 때문에 과민 반응(예컨대, 라텍스 알레르기)가 나타날 수 있고, 치아의 맹출이 불완전한 경우, 호흡기 질환이 있어 코로 숨쉬기 어려운 구호흡 환자, 치료 중에 구토할 가능성이 있는 환자의 경우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간이 격리법으로는 흡습제, 흡인기, 타액 배출기(타액 흡인기), 목구멍 보호대, 개구기 등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 중 개구기를 사용하면 개구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고, 입을 계속 벌리고 있어야 하는 환자의 피로와 불편을 줄일 수 있다. 개구기에는 개구 정도를 조절 할 수 있는 톱니 바퀴 형태(ratchet-type)와 상하악의 치열 사이에 물리는 고무 뭉치 형태(black-type, bite black, mouth prop) 등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표준화되어 있는 개구기의 형태는 장시간 동안 장착하고 있을 경우 턱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고, 연조직을 자극하여 연조직에 상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주요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호기심이 많고, 움직임이 활발한 혀로 인해 날카로운 삭제 기구를 사용하여 치아를 삭제 할 때 혀의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혀에 묻어 있는 타액이 시술 부위에 닿았을 경우 수분으로 인하여 치료가 실패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 진료 시행 시 시술자와 보조자는 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3054호(공고일 2014년 02월 14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6607호(공고일 2007년 02월 26일)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774호(공고일 2010년 05월 18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9393호(공고일 2014년 06월 20일)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진료 시, 구강의 구조에 따라 구강의 개방된 높낮이를 조절하는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 진료 시, 혀를 보호하기 위한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강 진료 시, 구강 내의 수분,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구강 진료 시, 상악 및 하악의 치아들을 지지하도록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의 크기에 맞게 구강의 개방된 높낮이를 조절하고, 혀를 보호하기 위한 혀 격리 기능과 높낮이 조절 기능 그리고 구강 내의 수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석션 호스 장착 기능을 구비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구강 진료 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구강의 조직을 자극하지 않고 편안함을 제공하고, 혀의 움직임으로 인한 손상 및 치료 수행 시 발생되는 불편함과, 침, 약액 등의 수분, 이물질에 의한 치료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치아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복수 개의 요철부들이 형성된 하부면이 아래턱의 치아들을 지지하는 하악 지지부; 상부면에 상기 요철부들이 형성되어 윗턱의 치아들을 지지하고, 일단이 상기 하악 지지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하악 지지부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악 지지부;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구강이 개방된 높낮이를 조절 및 유지하도록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하악 지지부에 결합되어 구강 내에서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격리하는 혀 격리부; 및 끝단에 석션팁이 구비된 석션 호스가 구강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상기 하악 지지부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혀 격리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혀 격리부를 혀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이 특징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내측면이 상기 제1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상악 지지부 또는 상기 하악 지지부의 외측면과 결합되고, 외측면에 캐릭터 형상이 구비되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구강 진료 시, 상악 및 하악의 치아들을 지지하도록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의 크기에 맞게 구강의 개방된 높낮이를 조절하고, 혀를 보호하기 위한 혀 격리 기능과 높낮이 조절 기능 그리고 구강 내의 수분,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석션 호스 장착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구강의 조직을 자극하지 않고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혀의 움직임으로 인한 손상 및 치료 수행 시 발생되는 불편함과, 침, 약액 등의 수분, 이물질에 의한 치료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구조에 적합하게 제작함으로써, 유아, 어린이, 성인 등 환자의 구강 크기나 구조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제작 및 적용하여 편안한 진료를 제공하고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의료 전반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의 구강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의 구강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구강 진료 시,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추어 구강의 조직을 자극하지 않고 편안함을 제공하고, 혀(30)의 움직임으로 인한 손상 및 치료 수행 시 발생되는 불편함과, 침, 약액 등의 수분, 이물질에 의한 치료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강의 크기에 맞게 구강의 개방된 높낮이를 조절하고, 혀(30)를 보호하기 위한 혀 격리 기능과 높낮이 조절 기능 그리고 석션 호스 장착 기능을 갖는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는 구강 진료 시,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고, 높이 조절부(도 3의 130)를 이용하여 구강의 크기에 맞게 개구된 높낮이를 조절하여 윗턱의 치아(20)(즉, 상부 치아)와 아래턱의 치아(10)(즉, 하부 치아)를 지지하고, 이를 통해 구강의 개방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 본 발명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는 혀 격리부(150)를 구비하여 구강 내에서 혀(30)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하고, 혀 격리부(15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혀(30)의 격리 위치를 결정한다. 또 본 발명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는 구강 진료 시, 구강 내의 수분,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석션 호스(미도시됨)를 삽입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는 상부 치아(20)들을 지지하는 상악 지지부(120)와, 하부 치아(10)들을 지지하는 하악 지지부(110)와,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들 간의 간격 즉, 구강의 개구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130), 혀(3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혀 격리부(150), 구강 내에서의 혀 격리부(150)의 위치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152) 및 석션 호스를 장착하기 위한 삽입부(도 2의 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는 예를 들어, 유아, 어린이, 성인 등 환자의 구강 크기나 구조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크기로 제작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의 구성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는 상악 지지부(120), 하악 지지부(110), 제1 높이 조절부(130), 삽입부(140), 혀 격리부(150) 및 제2 높이 조절부(152)를 포함한다.
상악 지지부(12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비되고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과 유사하게 구비된다. 치아가 닿는 상악 지지부(120)의 상부면은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악 지지부(120)는 일단이 하악 지지부(110)와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에 의해 타단이 하악 지지부(110)의 타단과의 간격(H)이 조절되게 구비된다. 상악 지지부(120)는 상부면에 상부 치아(20)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복수 개의 요철부(122)들이 형성되어 상부 치아(20)들을 지지한다.
하악 지지부(11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구비되고 상악 지지부(120)와 대체로 유사한 크기를 갖는 직육면체 형성으로 구비된다. 하악 지지부(110)는 일단이 상악 지지부(120)와 힌지 결합되고, 힌지 결합에 의해 타단이 상악 지지부(120)의 타단과의 간격(H)이 조절되게 구비된다. 하악 지지부(110)는 하부면에 하부 치아(10)들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복수 개의 요철부들이 형성되어 하부 치아(20)들을 지지한다. 치아가 닿는 하악 지지부(110)의 상부면은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높이 조절부(130)는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가 힌지 결합된 일단에 구비되어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들 간의 간격(H)을 조절한다. 제1 높이 조절부(130)는 예를 들어, 축 나사와 연동되는 기어 형태로 구비되어, 축 나사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들 간의 간격(H)이 작아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들 간의 간격(H)이 커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힌지 결합된 일단의 내부에 기어와 맞물려서 상하로 회전되도록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 제1 높이 조절부(130)는 외측면에 축 나사의 끝단과 결합되어 축 나사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형 조절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1 높이 조절부(130)는 힌지 결합된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구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높이 조절부(130)는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들 간의 간격(H)을 조절하여 구강의 개방된 높낮이를 조절하고, 구강에 적합한 높낮이 위치에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들을 고정시켜서 상부 및 하부 치아(10, 20)들을 지지하도록 하여 구강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삽입부(140)는 구강 진료 시, 구강 내의 침, 약액 등의 수분이나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악 지지부(120)와 하악 지지부(1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끝단에 석션팁(suction tip)이 구비된 석션 호스(suction hose)를 삽입한다. 삽입부(140)는 예를 들어, 하악 지지부(110)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구강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석션 호스를 삽입하여 장착한다. 또 삽입부(140)는 도 5에 도시된 측면부(102)에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140)에 장착된 석션 호스는 석션팁과 흡입기를 통해 구강 내의 수분, 이물질 등을 흡입하여 제거한다.
측면부(102)는 치과에 대한 공포심이나 거부감을 갖고 있는 환자 예컨대, 유아, 어린이에게 공포심이나 거부감을 줄이기 위하여, 외측면에 동물, 만화 주인공 등의 캐릭터 형상이 형성된다. 측면부(102)는 캐릭터 형상을 평면이나 입체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02)는 상악 지지부(120)와 하악 지지부(110)가 상호 간격(H)이 조절 가능하도록 내측면 일부가 상악 지지부(120) 또는 하악 지지부(110)의 외측면과 결합된다. 또 측면부(102)에는 삽입부(140)가 구비될 수도 있다.
혀 격리부(150)는 상악 및 하악 지지부(110, 120) 사이에 구비된다. 혀 격리부(150)는 하악 지지부(110)의 상부면에 결합된 제2 높이 조절부(152)와 결합된다. 즉, 혀 격리부(150)는 일단이 제2 높이 조절부(152)와 결합되고, 타단이 하악 지지부(110)의 내측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혀 격리부(150)는 대체로 혀(30)의 표면에 대응하여 라운드(round)진 형상으로 구비된다. 혀 격리부(152)는 구강 내의 혀(30)의 크기 및 위치 등에 따라 제2 높이 조절부(152)에 의해 구강 내에서 상하 높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제2 높이 조절부(152)는 하악 지지부(11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혀 격리부(150)의 일단과 결합되어, 혀 격리부(150)를 혀(3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한다. 제2 높이 조절부(152)는 예컨대, 상하 조절 레버가 혀 격리부(150)의 일단과 결합되고, 상하 조절 레버가 제2 높이 조절부(152)의 일측에 노출되게 구비되어 외부에서 상하 조절 레버를 다단계(예를 들어, 상중하 3 단계)로 상하 조절하여 혀 격리부(15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는 구강 진료 시, 구강의 조직을 자극하지 않고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환자의 개별 구강 조직의 모양에 맞추어 3D 프린트를 통해 구현하고, 또한 혀의 움직임으로 인한 혀의 손상 및 치료 수행 시 발생하는 불편함과 수분, 이물질 등에 의한 치료의 실패를 최소화하기 위해 혀의 제어를 위한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는 환자 개별 구강 조직의 특성에 맞도록 최적화되어, 구강 진료나 치과 치료 시, 환자에게 편안한 진료와 함께 연조직의 손상을 보호하고, 수분, 이물질 등으로부터 시술 부위를 차단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성공적인 구강병의 치료를 수행하기 위한 또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 구강내의 타액은 물론 기계와 치아의 마찰에 의해 발생 할 수 있는 열로부터 치아를 보호하기 위한 물의 사용으로 인한 습기를 조절하여 시술 부위의 건조한 상태의 유지가 중요하므로, 최적의 방법으로 시술 부위의 격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100)는 혀를 견인할 수 있는 장치와 석션 호스를 장착하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시술 부위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 : 하부 치아
20 : 상부 치아
30 : 혀
100 : 구강 진료용 개구기
102 : 측면부
110 : 하악 지지부
120 : 상악 지지부
122 : 요철부
130 : 제1 높이 조절부
140 : 삽입부
150 : 혀 격리부
152 : 제2 높이 조절부

Claims (3)

  1.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에 있어서:
    치아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복수 개의 요철부들이 형성된 하부면이 아래턱의 치아들을 지지하는 하악 지지부;
    상부면에 상기 요철부들이 형성되어 윗턱의 치아들을 지지하고, 일단이 상기 하악 지지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하악 지지부와의 간격이 조절되는 상악 지지부;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에 따라 구강이 개방된 높낮이를 조절 및 유지하도록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들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높이 조절부;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 사이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하악 지지부에 결합되어 구강 내에서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격리하는 혀 격리부; 및
    끝단에 석션팁이 구비된 석션 호스가 구강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상기 하악 지지부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혀 격리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기 혀 격리부를 혀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강 진료용 개구기는,
    내측면이 상기 제1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상기 상악 지지부 또는 상기 하악 지지부의 외측면과 결합되고, 외측면에 캐릭터 형상이 구비되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악 및 상기 하악 지지부, 상기 측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KR1020190023588A 2019-02-28 2019-02-28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KR102100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88A KR102100658B1 (ko) 2019-02-28 2019-02-28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588A KR102100658B1 (ko) 2019-02-28 2019-02-28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658B1 true KR102100658B1 (ko) 2020-04-14

Family

ID=7029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588A KR102100658B1 (ko) 2019-02-28 2019-02-28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11B1 (ko) 2022-05-13 2023-03-16 박기현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WO2023146096A1 (ko) * 2022-01-28 2023-08-03 (주)디엑스엠 치과용 석션호스고정부재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2495A1 (en) * 2001-11-01 2003-05-01 Fischer Dan E. Tongue suppressing bite block adaptable to varying mouth and tongue sizes
KR100686607B1 (ko) 2006-03-21 2007-02-26 주식회사 예성기업 혀보호대가 구비된 치과환자용 개구기
KR100768030B1 (ko) * 2006-05-17 2007-10-17 김동빈 치과용 마우스 프롭
KR200448774Y1 (ko) 2008-04-17 2010-05-18 김한근 손잡이가 구비된 치과치료용 개구기
KR20120139180A (ko) * 2011-06-17 2012-12-27 김무갑 마우스 프롭
KR101363054B1 (ko) 2012-06-20 2014-02-14 김창원 치과치료용 개구기
KR101409393B1 (ko) 2012-07-27 2014-06-20 박병활 치과용 개구기
US20150335394A1 (en) * 2006-10-24 2015-11-26 Louie Khouri Illuminated Dental Prop
KR102061779B1 (ko) * 2019-01-24 2020-01-02 안상훈 구강 액체 흡입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82495A1 (en) * 2001-11-01 2003-05-01 Fischer Dan E. Tongue suppressing bite block adaptable to varying mouth and tongue sizes
KR100686607B1 (ko) 2006-03-21 2007-02-26 주식회사 예성기업 혀보호대가 구비된 치과환자용 개구기
KR100768030B1 (ko) * 2006-05-17 2007-10-17 김동빈 치과용 마우스 프롭
US20150335394A1 (en) * 2006-10-24 2015-11-26 Louie Khouri Illuminated Dental Prop
KR200448774Y1 (ko) 2008-04-17 2010-05-18 김한근 손잡이가 구비된 치과치료용 개구기
KR20120139180A (ko) * 2011-06-17 2012-12-27 김무갑 마우스 프롭
KR101363054B1 (ko) 2012-06-20 2014-02-14 김창원 치과치료용 개구기
KR101409393B1 (ko) 2012-07-27 2014-06-20 박병활 치과용 개구기
KR102061779B1 (ko) * 2019-01-24 2020-01-02 안상훈 구강 액체 흡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96A1 (ko) * 2022-01-28 2023-08-03 (주)디엑스엠 치과용 석션호스고정부재
KR102510811B1 (ko) 2022-05-13 2023-03-16 박기현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10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JP6047290B2 (ja) マウスピースとその製造方法
US20170165040A1 (e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KR101542349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KR102100658B1 (ko)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JP4217072B2 (ja) ラバーダム
KR101323271B1 (ko) 치과용 얼굴보호 커버기
GB2264868A (en)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KR101633917B1 (ko) 치과용 구강치료 보조기구
WO2020259890A1 (en) Anatomical self-gripping dental barrier device
KR102363254B1 (ko) 바나나 형상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AU2015306093B2 (en) Passive tongue retention device
KR200446039Y1 (ko) 물막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강 개구기
KR20220000791A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101764683B1 (ko) 구강 및 턱관절 보호장치
KR20100105121A (ko)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JP3816927B2 (ja) 歯列矯正用支持体
JP6120780B2 (ja) 口腔装置
KR102525907B1 (ko)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JP7432978B2 (ja) 下顎骨調整装置
Nam et al. Patient-orientated removable space maintainer as a decompression stent
Kamadjaja et al. Prosthodontic Management of a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 with Microstomia and Flat Ridge Mandible: A Case Report
KR20220000810A (ko) 턱관절 교정용 치아교정장치
KR20220144954A (ko) 이갈이 방지용 구강장치
US20180338856A1 (en) Systems, methods and oral applianc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