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811B1 -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811B1
KR102510811B1 KR1020220059191A KR20220059191A KR102510811B1 KR 102510811 B1 KR102510811 B1 KR 102510811B1 KR 1020220059191 A KR1020220059191 A KR 1020220059191A KR 20220059191 A KR20220059191 A KR 20220059191A KR 102510811 B1 KR102510811 B1 KR 102510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hose
suction
mouth
or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현
김수진
Original Assignee
박기현
김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현, 김수진 filed Critical 박기현
Priority to KR1020220059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811B1/ko
Priority to PCT/KR2023/006446 priority patent/WO202321944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96Bendable saliva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되어, 구강 내부에 고인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는, 일 단에서 타 단까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환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되어 구강 내부에 고여있는 액체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호스; 및 상기 배출호스와 연결되며 환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흡입호스;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에 의해 상기 흡입호스 내부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된 상기 배출호스 내부의 공기도 흡입되면서,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구강 내부에 고여있는 액체가 구강 내에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MOUTH GAG AND SUCTION DEVICE FOR DENTISTRY}
본 발명은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진료 또는 치료를 위해, 환자는 장시간 입을 벌리고 있어야만 한다. 이로 인해 환자는 턱 관절에 무리가 가해지게 되어, 턱이 떨리거나, 턱에서 소리가 나는 등의 불편함을 겪게 된다.
또한, 치과 진료 또는 치료 중 환자의 구강 내 침, 혈액, 물, 치석, 치아 절삭물 등을 흡입하기 위한 석션팁이 환자의 구강 내에 위치된다. 대부분 석션팁을 구부려 환자의 입에 걸거나, 의료진이 직접 석션기를 잡아 환자의 입 안에 위치시켜 사용된다.
그러나 석션팁을 구부려 사용할 경우에는 연구개에 고이는 침, 물 등을 흡입하기 위해, 의료진이 별도로 석션기를 잡아 연구개 부분에 위치시켜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만일, 의료진이 석션기 사용에 미숙할 경우에는 석션팁에 연조직이 함께 빨아들여져 상처가 발생되거나, 연구개 또는 구개수(목젖)에 닿게 되면 구토 반사가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00658호(2020.04.08.)
본 발명은 치과 치료 시, 환자의 구강을 벌려주도록 하는 동시에 구강 내부에 고인 액체를 배출할 수 있으며, 의사나 치위생사 1인이 치료와 석션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고정하면서 원활한 석션 및 진료자의 시야 확보가 가능한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되어, 구강 내부에 고인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부는, 일 단에서 타 단까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환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되어 구강 내부에 고여있는 액체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배출호스; 및 상기 배출호스와 연결되며 환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흡입호스;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에 의해 상기 흡입호스 내부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된 상기 배출호스 내부의 공기도 흡입되면서,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구강 내부에 고여있는 액체가 구강 내에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출호스에는, 환자의 목구멍과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홀; 및 환자 구강 내부의 양 측 잇몸과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구간에 형성되어 연장 및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상기 배출호스와 상기 흡입호스를 연결하는 호스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 결합부는, 상기 배출호스의 양 단 각각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및 상기 흡입호스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자의 구강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구강 내부에 고인 액체를 구강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환자의 입이 벌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치아와 입술 사이의 잇몸에 위치되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환자의 구강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환자 입술에 밀착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일 단에서 타 단까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 각각이 상기 호스결합부에 연결되며 원형의 형태로 환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되는 배출호스; 상기 호스결합부에 연결되며 환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흡입호스; 및 상기 배출호스와 상기 흡입호스를 연결하되,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호스결합부;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에 의해 상기 흡입호스 내부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된 상기 배출호스 내부의 공기도 흡입되면서,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구강 내부에 고여있는 액체가 구강 내에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호스에는, 환자의 목구멍과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홀; 및 환자 구강 내부의 양 측 잇몸과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구간에 형성되어 연장 및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스결합부는, 환자의 아랫입술과 밀착되는 확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호스의 양 단 각각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및 상기 흡입호스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환자의 윗입술과 윗니 사이에 위치되어, 환자의 잇몸을 보호할 수 있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가 결합될 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쿠선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실리콘과 같은 쿠션감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환자의 아랫입술과 아랫니 사이에 위치되어, 환자의 잇몸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치과 치료 시, 환자의 구강을 벌려주도록 하는 동시에 구강 내부에 고인 액체를 배출할 수 있으며, 의사나 치위생사 1인이 치료와 석션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입을 벌린 상태를 고정하면서 원활한 석션 및 진료자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의 흡입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의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의 본체와 흡입부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의 흡입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의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가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1)는 치과 치료 시, 환자의 구강을 벌려주고, 환자 구강 내부에 고이는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1)는 본체(10) 및 흡입부(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환자의 구강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며 중앙에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본체(10)는 베이스(11), 확장부(12), 쿠션결합부(13) 및 쿠션부재(14)를 포함한다.
베이스(11)는 환자의 입이 벌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치아와 입술 사이의 잇몸에 위치되며, 중앙에 개구부(11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는 구강 내부에 삽입되어 환자의 치아와 입술 사이의 잇몸과, 볼 안쪽의 잇몸과 접촉되며 위치될 수 있도록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개구부(111)가 형성된 도넛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11)는 치아의 배열과 같이, 완만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12)는 베이스(1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베이스(11)가 구강 내부에 위치된 경우 확장부(12)는 환자의 구강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환자 입술에 밀착될 수 있다.
확장부(12)는 제1 확장부(121), 제2 확장부(122), 제3 확장부(123) 및 제4 확장부(124)를 포함한다.
제1 확장부(121) 및 제2 확장부(122) 각각은 베이스(11)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서 전방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확장부(121)는 베이스(11)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구강 내측에서 외측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확장부(121)는 환자의 윗입술과 접촉되며 환자의 윗 입술을 코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확장부(121)는 전방에서 상측으로 만곡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윗 입술을 상측(즉, 얼굴의 눈과 코 방향)으로 밀어올리며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확장부(122)는 베이스(11)의 하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구강 내측에서 외측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확장부(122)는 환자의 아랫입술과 접촉되며 환자의 아랫 입술을 턱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확장부(122)는 전방에서 하측으로 만곡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아랫 입술을 상측(즉, 얼굴의 턱 방향)으로 밀어올리며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확장부(123) 및 제4 확장부(124) 각각은 베이스(11)의 좌우 양 측 각각에서 전방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3 확장부(123)는 베이스(11)의 우측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구강 내측에서 외측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확장부(123)는 환자의 우측 입꼬리 부분과 접촉되며 환자의 입 꼬리 부분을 우측 볼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확장부(123)는 베이스(11)의 우측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우측으로 만곡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우측 입꼬리 부분을 우측 방향으로 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확장부(124)는 베이스(11)의 좌측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구강 내측에서 외측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확장부(124)는 환자의 좌측 입꼬리 부분과 접촉되며 환자의 입 꼬리 부분을 좌측 볼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확장부(124)는 베이스(11)의 좌측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좌측으로 만곡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좌측 입꼬리 부분을 좌측 방향으로 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결합부(13)는 쿠션부재(14)가 결합될 될 수 있도록 베이스(11)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결합부(13)는 베이스(11)에서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구강 내측(즉, 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쿠션결합부(13)가 베이스(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쿠션결합부(13)는 베이스(11)의 상부에서 구강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좌우 양측에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즉, 한 쌍이 좌우 양측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제1 확장부(121)에서 후방 길이 소정 길이 연장된 후, 좌우 양 측 방향으로 각각 절곡되어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쿠션결합부(13)가 베이스(11)에서 형성되는 위치는, 베이스(11)가 환자의 잇몸에 위치되었을 때, 쿠션결합부(13)가 환자의 앞니 위쪽 잇몸에 위치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재(14)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쿠션감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부재(14)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재(14)는 쿠션결합부(13)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쿠션결합부(13)가 끼워질 수 있는 장공의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재(14)는 환자의 앞니와 입술 사이에 위치되어 환자의 잇몸을 보호할 수 있다. 즉, 구강 구조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입술과 이빨 사이의 잇몸에 위치되어 환자의 잇몸을 보호할 수 있다.
흡입부(20)는 본체(10)에 연결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 장치와 연결되어 구강 내부에 고인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흡입부(20)는 배출호스(21), 흡입호스(22) 및 호스연결부(23)를 포함한다.
배출호스(21)는 일 단에서 타 단까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 각각이 호스결합부(23)에 연결되며 원형의 형태로 환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호스(21)의 일 단부는 제1 연결부(231) 내부로 삽입되고, 타 단부는 제2 연결부(232) 내부로 삽입되어, 호스결합부(23)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배출호스(21)에는 배출홀(211) 및 자바라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211)은 배출호스(21)의 일정 구간에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홀(211)은 배출호스(21)에서 환자의 목구멍과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환자가 치과 치료를 받을 때, 구강 구조 상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목구멍과 인접한 곳에 침이나 치료에 사용되는 액체가 고이게 된다. 구강 내부에서 액체가 고이게 되는 곳에 위치되는 배출호스(21) 구간에 배출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자바라부(212)는 환자 구강 내부의 양 측 잇몸과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구간에 형성되어 연장 및 수축이 가능하다. 일 예로, 환자 마다 구강 내부의 구조나 구강 내부 크기가 다르다. 자바라부(212)를 통해 환자의 구강 구조에 맞춰서 배출호스(21)의 길이를 연장하거나 수축할 수 있다.
흡입호스(22)는 호스결합부(23)에 연결되며 환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어, 외부 장치에 의해 배출호스(21)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입호스(22)는 일 단에서 타 단까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흡입호스(22)의 일 단부는 제3 연결부(233)의 내부로 삽입되어, 호스결합부(23)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결합부(23)에 의해 배출호스(21)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호스(22)의 타 단부는 외부의 공기 흡입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석션장치에 의해, 흡입호스(22)의 내부 공기와 배출호스(21)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며, 배출호스(21)에 형성된 배출홀(211)을 통해 구강 내부의 액체가 배출호스(21)로 흡입되고, 배출호스(21)로 흡입된 액체는 흡입호스(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1)는 구강 내부에 배치되어, 환자의 구강을 벌려주고, 환자 구강 내부에 고이는 액체를 배출할 수 있다.
호스결합부(23)는 배출호스(21)와 흡입호스(22)가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스결합부(23)는 배출호스(21)와 흡입호스(22)가 연결하며, 베이스(11)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호스결합부(23)는 제2 확장부(122)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호스결합부(23)는 쿠션감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쿠션부재(14)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호스결합부(23)는 베이스(11)의 하부에 위치된다. 일 예로, 호스결합부(23)는 제2 확장부(122)에 위치되어, 아래 앞니측에 배치될 수 있다.
호스결합부(23)는 제1 연결부(231), 제2 연결부(232) 및 제3 연결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31)는 구강 내측에 위치되며 구강 내측의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32)는 제1 연결부(231)와 연결되며 구강 내측에서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연결부(233)는 제1 연결부(231) 및 제2 연결부(232)와 연결되며 구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31), 제2 연결부(232) 및 제3 연결부(233)는 모두 연결되고, 각각의 내부에는 서로 연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231), 제2 연결부(232) 및 제3 연결부(233) 내부에는 서로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31)와 제2 연결부(232)에는 배출호스(21)의 양 단부가 삽입되어, 배출호스(21)와 연통되고, 제3 연결부(233)에는 흡입호스(22)의 일 단부가 연결되어 흡입호스(22)와 연통된다. 이처럼, 제1 연결부(231)와 제2 연결부(232)에 배출호스(21)가 연결되고 제3 연결부(233)에 흡입호스(22)가 연결됨으로써, 호스연결부는 배출호스(21)와 흡입호스(22)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부(231)와 제2 연결부(232)는 구강 내부에서, 아래 앞니와 잇몸 사이에 위치되어, 환자의 앞니와 입술 사이에 위치되어 환자의 잇몸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231)와 제2 연결부(232)는 구강 구조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입술과 이빨 사이의 잇몸에 위치되어 환자의 잇몸을 보호하며, 쿠션부재(14)와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의 본체와 흡입부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는 본체와 흡입부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본체와 흡입부는 고정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클립 형태로 형성되며 흡입부의 하면에 고정되며, 본체의 제2 확장부에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즉, 고정부가 클립 또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흡입부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2 확장부를 그립하는 방식으로 본체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가 클립이나 집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는 본체와 흡입부를 탈부착 또는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체결 구조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10: 본체 11: 베이스
111: 개구부 12: 확장부
121: 제1 확장부 122: 제2 확장부
123: 제3 확장부 123: 제4 확장부
13: 쿠션결합부 14: 쿠션부재
20: 흡입부 21: 배출호스
211: 배출홀 212: 자바라부
22: 흡입호스 23: 호스결합부
231: 제1 연결부 232: 제2 연결부
233: 제3 연결부 30: 고정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환자의 구강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며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구강 내부에 고인 액체를 구강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환자의 입이 벌려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치아와 입술 사이의 잇몸에 위치될 수 있도록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되, 치아의 배열에 따라 완만한 곡면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환자의 구강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환자 입술에 밀착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서, 구강 내측에서 외측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환자의 윗입술과 접촉되며 환자의 윗입술을 코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돌출 형성되는 제1 확장부;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서, 구강 내측에서 외측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되, 환자의 아랫입술과 접촉되며 환자의 아랫입술을 턱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만곡되며 돌출 형성되는 제2 확장부;
    상기 베이스의 우측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우측으로 만곡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되, 환자의 우측 입꼬리 부분과 접촉되며 우측 입 꼬리 부분을 우측 볼 방향으로 밀어내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3 확장부; 및
    상기 베이스의 좌측 부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좌측으로 만곡되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되, 환자의 좌측 입꼬리 부분과 접촉되며 좌측 입 꼬리 부분을 좌측 볼 방향으로 밀어내는 형태로 형성되는 제4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일 단에서 타 단까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 각각이 호스결합부에 연결되며 원형의 형태로 환자의 구강 내부에 배치되는 배출호스;
    상기 호스결합부에 연결되며 환자의 구강 외부에 배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흡입호스; 및
    상기 배출호스와 상기 흡입호스를 연결하되,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한 호스결합부;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에 의해 상기 흡입호스 내부의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상기 흡입호스와 연결된 상기 배출호스 내부의 공기도 흡입되면서, 상기 배출호스를 통해 구강 내부에 고여있는 액체가 구강 내에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배출호스에는,
    환자의 목구멍과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구간에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홀; 및
    환자 구강 내부의 양 측 잇몸과 인접한 곳에 위치되는 구간에 형성되어 연장 및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호스결합부는,
    환자의 아랫입술과 밀착되는 확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배출호스의 양 단 각각이 연결되는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및
    상기 흡입호스의 일 단부가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3 연결부가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환자의 윗입술과 윗니 사이에 위치되어, 환자의 잇몸을 보호할 수 있는 쿠션부재; 및
    상기 쿠션부재가 결합될 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쿠선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실리콘과 같은 쿠션감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환자의 아랫입술과 아랫니 사이에 위치되어, 환자의 잇몸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KR1020220059191A 2022-05-13 2022-05-13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KR102510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191A KR102510811B1 (ko) 2022-05-13 2022-05-13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PCT/KR2023/006446 WO2023219449A2 (ko) 2022-05-13 2023-05-12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191A KR102510811B1 (ko) 2022-05-13 2022-05-13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811B1 true KR102510811B1 (ko) 2023-03-16

Family

ID=8598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191A KR102510811B1 (ko) 2022-05-13 2022-05-13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10811B1 (ko)
WO (1) WO202321944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449A3 (ko) * 2022-05-13 2023-12-28 박기현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8764A1 (en) * 2004-07-12 2006-01-12 Takeshi Abo Dental suction device
JP2020507435A (ja) * 2017-02-13 2020-03-12 アストラデンティウム ヘルス テクノロジーズ、エセ.エレ. 歯科処置用の補助装置
KR102100658B1 (ko) 2019-02-28 2020-04-14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US20220008179A1 (en) * 2020-07-08 2022-01-13 Élie Stephan Cheek retra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779B1 (ko) * 2019-01-24 2020-01-02 안상훈 구강 액체 흡입 장치
KR102510811B1 (ko) * 2022-05-13 2023-03-16 박기현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08764A1 (en) * 2004-07-12 2006-01-12 Takeshi Abo Dental suction device
JP2020507435A (ja) * 2017-02-13 2020-03-12 アストラデンティウム ヘルス テクノロジーズ、エセ.エレ. 歯科処置用の補助装置
KR102100658B1 (ko) 2019-02-28 2020-04-14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의 구강 진료용 개구기
US20220008179A1 (en) * 2020-07-08 2022-01-13 Élie Stephan Cheek retracto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449A3 (ko) * 2022-05-13 2023-12-28 박기현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449A2 (ko) 2023-11-16
WO2023219449A3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4076B1 (en) Intraoral dental suction and isolation system
US6267591B1 (en) Dental prop, throat dam and retractor
US9788924B2 (en) Intraoral device with bridge
CA2949997C (en) Intraoral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2061779B1 (ko) 구강 액체 흡입 장치
US20180193120A1 (en) Dental suction arrangement
CN105792769A (zh) 患者自控牙科设备和方法
TW202202104A (zh) 用於高容量抽吸器之嘴唇牽開器及吸頭
KR102510811B1 (ko) 치과 치료용 개구 석션 장치
US20200214799A1 (en) Intra-oral appliance for field isolation and moisture control
JP2000139963A (ja) 口腔内清掃装置および歯ブラシ装置並びに歯ブラシ
KR102286241B1 (ko) 착탈이 용이한 의료용 개구 석션 장치
CN211834824U (zh) 一种新型改良吸唾管
JP4293950B2 (ja) 口腔内吸引器具及び装置
CN215130614U (zh) 一种便携式颞颌关节支撑吸唾器
CN113208760B (zh) 一种口腔科用可调节吸唾装置及系统
CN217186062U (zh) 一种带吸唾功能的开口器
CN209770571U (zh) 一种口内吸唾支撑器
CN210095970U (zh) 带照明的口腔隔离装置
BR202015024320U2 (pt) disposição construtiva aplicada em equipamento sugador bucal
ITRC940011U1 (it) Pancallo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