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5121A -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 Google Patents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5121A
KR20100105121A KR1020090023978A KR20090023978A KR20100105121A KR 20100105121 A KR20100105121 A KR 20100105121A KR 1020090023978 A KR1020090023978 A KR 1020090023978A KR 20090023978 A KR20090023978 A KR 20090023978A KR 20100105121 A KR20100105121 A KR 20100105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protector
oral
dental
or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신연
최종수
우용운
Original Assignee
조신연
최종수
우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신연, 최종수, 우용운 filed Critical 조신연
Priority to KR102009002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05121A/ko
Publication of KR20100105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1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진료에 사용되는 구강내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과 진료시 환자의 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혀보호체에 있어서, 하악의 양측 치아 사이에 위치되어 혀가 구강저에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혀보호몸체와, 이 혀보호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혀보호몸체가 하악의 양측 치아 사이에 밀착되도록 하는 지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치과 진료시 환자의 구강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에 있어서, 하악의 양측 치아 사이에 위치되어 혀가 구강저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혀보호몸체와 이 혀보호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지지홈이 구비된 혀보호체와, 일측은 혀보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목구멍을 밀폐하도록 협점막과 입천장에 접하여 눌러주는 구강밀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가 제공된다.
치과, 혀, 구강, 혀보호체, 구강밀폐체, 구강보호대, 구강내 고정

Description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PROTECTOR FOR AN ORAL CAVITY}
본 발명은 치과용 구강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진료시 환자의 혀와 구강내 점막을 보호하고, 물이나 치료 용액, 침, 피와 금속성 등의 치과 재료, 치과 기구가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치과 진료 중에는 피와 제거조직을 씻어내고 기구와 조직간 마찰열을 식히기 위해 물과 용액을 많이 사용한다. 스케일링, 충치치료, 보철치료, 잇몸치료, 신경치료, 잇몸수술, 발치 및 소수술 등 거의 모든 치료시에 그러하다. 이로 인해 환자는 목으로 물이 넘어가지 않게 목구멍을 막고 있어야 하는데 환자들이 불편하고 힘들어한다. 특히 구역질 반사가 있는 환자나 코막힘 환자는 더욱 힘들어한다.
치과에서는 작은 기구나 재료를 많이 사용하는데 술자가 실수로 환자의 입 안에 떨어뜨려 환자가 삼키게 되는 사고에 대한 우려가 크다. 특히 인레이나 크라운을 장착하기 위해 입안으로 나를 때, 임플란트 시술시 사용하는 작은 스크류, 뽀 족한 파일과 기구들을 사용할 때 그러하다. 삼켜서 식도로 넘어가 배설되면 그나마 다행이지만 배설되지 않고 위장에 꽂혀 있거나 바로 기도로 넘어가는 경우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실제 치과계에서 이런 사고들이 자주 발생되고 있어 술자와 환자에게 큰 걱정을 안겨주고 있다.
치과 치료 중에 혀와 볼이 치아 쪽으로 밀려 들어옴으로써 치료를 방해하고 날카로운 기구에 의해 다칠 수도 있는 우려가 있다. 특히나 혀는 술자가 예상치 못한 움직임을 보이면 더욱 위험하다.
치과에는 보조인력이 항상 필요하다. 위에서 언급한 혀와 볼을 잡아주기 위해서, 또 치료중 발생하는 물과 찌꺼기를 즉시 제거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이런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보조인력을 줄일 수 있다면 환자와 술자에게 모두 좋은 일일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치과 진료시 입을 벌리고 있는 환자의 구강 내에 장착되어 혀를 눌러줌으로써 치과용 기구에 혀가 다치는 것을 보호함과 더불어 물이나 치료 용액, 침, 피 등과 같은 액체가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치과 진료시 환자의 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혀보호체에 있어서, 하악의 양측 치아 사이에 위치되어 혀가 구강저에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혀보호몸체와, 이 혀보호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혀보호몸체가 하악의 양측 치아 사이에 밀착되도록 하는 지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치과 진료시 환자의 구강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에 있어서, 하악의 양측 치아 사이에 위치되어 혀가 구강저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혀보호몸체와 이 혀보호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지지홈이 구비된 혀보호체와, 일측은 혀보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목구멍을 밀폐하도록 협점막과 입천장에 접하여 눌러주는 구강밀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치과 진료시 입을 벌리고 있는 환자의 혀를 눌러주어 술자가 혀에 방해받지 않고 진료를 할 수 있으며 치과용 기구에 혀가 다치는 것을 보호함과 더불어 물이나 치료 용액, 침, 피와 금속성 등의 치과 재료, 치과 기구 등이 목구멍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강내 고정에 의한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혀보호몸체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의해 혀보호체가 하악의 양측 치아 사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셋째,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인해서 어금니간 거리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넷째, 구강밀폐체에 형성된 측면돌출부에 의해서 협측 점막까지 밀폐가 가능하다.
다섯째, 치료 중 발생되는 물의 흡입(suction)이 용이해지고, 혀의 통제에 대한 부담이 없어지므로 치과보조인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구강보호대의 측면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에 채용된 혀보호체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혀보호체의 사용 상태도이고,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1)는 혀보호체(10)와 구강밀폐체(20)를 포함한다.
혀보호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을 벌리고 있는 환자의 구강내에 장착되어 고정되고 혀를 눌러주어 술자가 혀에 방해받지 않고 진료할 수 있고 치과용 기구에 혀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외에 다양한 치과용 기구가 혀보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혀보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 형상이며 하악(100) 양쪽 어금니(100a) 혀쪽의 치아머리와 잇몸 경계부 언더컷(undercut)에 위치되는 혀보호몸체(11)와, 이 혀보호몸체(11)의 측면에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보호몸체(11)가 하악(100)의 어금니(100a)의 치아머리와 잇몸 경계부에 밀착되도록 하는 지지홈(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혀보호체(10)는 고정력과 허용되는 탄성력을 갖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한다.
구강밀폐체(20)는 바람직하게는 혀보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목구멍을 밀폐하여 진료 중에 발생되는 물, 찌꺼기 등이 목 구멍 쪽으로 흘러가지 않도록 막아줄 뿐만 아니라 시술자가 작고 예리한 치과 기구나 보철물을 실수로 떨어뜨려 환자가 삼키게 되면서 발생되는 위험한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강밀폐체(20)는 혀보호체(10)에서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목구멍을 밀폐하는 막 형상의 밀폐몸체(21)와, 이 밀폐몸체(21)의 좌우측에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내의 협점막(200)을 밀폐하는 날개 형상의 측면돌출부(22)로 구성된다.
상기 밀폐몸체(21)의 일측면 바람직하게는 구강의 외부로 향하는 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나 치료 용액 등을 흡입하는 흡입 기구(미도시)에 의해서 구강밀폐체(20)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흡착방지돌기(21a)가 형성된다. 또한, 이 흡착방지돌기(21a)가 형성된 밀폐몸체(21)의 중앙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가 편리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채널 형상의 공기유통구(21b)가 형성된다.
상기 구강밀폐체(20)는 전술한 혀보호체(10)와 같이 구강내에서 구부려져서 목구멍을 밀폐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을 사용한다.
이하에서 도 5를 중심으로 구강내 고정에 의한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치과 진료시 진료 담당 의사는 환자에게 입을 벌리게 한 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보호대(1)를 구강 내에 삽입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보호몸체(11)로 환자의 혀를 눌러준 후 지지홈(12)이 하악(100)의 양쪽 어금니(100a) 혀쪽의 치아머리와 잇몸 경계부 언더컷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밀폐몸체(21)를 밀어넣어 목구멍을 밀폐하게 하고 측면돌출부(22)가 협점막(200)에 밀착되도록 한 후 밀폐몸체(21)의 끝머리가 입 천장에 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보호대(1)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므로 다양한 어금니간 거리(D)를 갖는 환자에 맞도록 적절히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물이나 치료 용액 등의 흡착 작업시 구강밀폐체(20)에 형성된 흡착방지돌기(21a)에 의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구강보호대(1)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구강밀폐체(20)에 형성된 공기유통구(21b)에 의해서 환자의 구강을 안전하게 밀폐하면서도 편리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보호대(1)를 구강내에 삽입하게 되면 혀보호체(10)에 의해서 혀의 움직임이 최소화되고, 구강밀폐체(20)가 목구멍을 밀폐시키고 있으므로 진료시 발생되는 물, 찌꺼기 등이 목구멍으로 넘어갈 염려가 없어 환자는 편안하고 담당 의사는 안전하게 진료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구강보호대(1)는 구강 위생상 고온고압증기 멸균소독이 가능하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성인용 등 대중소로 구분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구강보호대의 측면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에 채용된 혀보호체의 사시도,
도 4 는 도 3에 도시된 혀보호체의 사용 상태도,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10 : 혀보호체 11 : 혀보호몸체
12 : 지지홈 20 : 구강밀폐체
21 : 밀폐몸체 21a : 흡착방지돌기
21b : 공기유통구 22 : 측면돌출부
100 : 하악 100a : 어금니
200 : 협점막 D : 어금니간 거리

Claims (7)

  1. 치과 진료시 환자의 혀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혀보호체에 있어서,
    하악의 양측 치아 사이에 위치되어 혀가 구강저에 밀착되도록 눌러주는 혀보호몸체; 및
    상기 혀보호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혀보호몸체가 하악의 양측 치아에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지지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혀보호몸체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다양한 어금니간 거리에 맞게 적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3. 치과 진료시 환자의 구강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에 있어서,
    하악의 양측 치아 사이에 위치되어 혀가 구강저에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혀보호몸체와, 상기 혀보호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지지홈이 구비된 혀보호체; 및
    일측은 상기 혀보호체에 연결되고, 타측은 목구멍을 밀폐하도록 협점막과 입천장에 접하여 눌러주는 구강밀폐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밀폐체에는 협점막에 밀착되는 측면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혀보호몸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혀보호몸체에는 공기유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혀보호체와 구강밀폐체는 탄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구강보호대.
KR1020090023978A 2009-03-20 2009-03-20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KR201001051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978A KR20100105121A (ko) 2009-03-20 2009-03-20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978A KR20100105121A (ko) 2009-03-20 2009-03-20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040A Division KR20120044951A (ko) 2012-03-14 2012-03-14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121A true KR20100105121A (ko) 2010-09-29

Family

ID=43009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978A KR20100105121A (ko) 2009-03-20 2009-03-20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051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621A (zh) * 2014-04-21 2014-07-16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可调式正畸开口器
KR101633917B1 (ko) * 2016-01-08 2016-06-27 정필호 치과용 구강치료 보조기구
CN113230005A (zh) * 2021-04-22 2021-08-10 宁德市闽东医院 一种防止麻醉苏醒期咬伤自己的防护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621A (zh) * 2014-04-21 2014-07-16 重庆医科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可调式正畸开口器
KR101633917B1 (ko) * 2016-01-08 2016-06-27 정필호 치과용 구강치료 보조기구
WO2017119705A1 (ko) * 2016-01-08 2017-07-13 정필호 치과용 구강치료 보조기구
CN113230005A (zh) * 2021-04-22 2021-08-10 宁德市闽东医院 一种防止麻醉苏醒期咬伤自己的防护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62546B2 (ko)
US11103334B2 (en)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US20070197876A1 (en) Dental guard for airway intubation
Moturi et al. A novel,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in the management of a large cyst involving the maxilla in a child: a case report
EP3366194A1 (en) Mouth protector device with tongue depressor
KR20100105121A (ko)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Saraf et al. Accidental ingestion of endodontic file: a case report
KR101633917B1 (ko) 치과용 구강치료 보조기구
US20030031980A1 (en) Airways, lungs, and gastrointestinal tract protection system aginst aspiration and ingestion of foreign dental bodies in conscious and consciously sedated dental patients
JP2022516982A (ja) 解剖学的自己把持歯科用バリアデバイス
Ballal et al. Rubber dam in endodontics: An overview of recent advances
KR20120044951A (ko) 구강내에 고정되는 혀보호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구강보호대
Behuria Isolation of Teeth in Children: A Review.
Windsor et al. Anaesthesia and dental trauma
Brown et al. Splinting of traumatized teeth in children
RU2808197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ретрактор с фиксаторами для языка и крепления слюноотсоса
RU2129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оляции операционного поля при хирургических манипуляциях на альвеолярных отростках челюстей
Biria et al. Freeman-Sheldon syndrome: a case report
Castellucci Tooth isolation: The rubber dam
Johnson et al. Anaesthesia and dental trauma
Usmani et al. Iatrogenic factors and oral health
CN112437645B (zh) 唇舌牵开器
Song et al. Management of Premature Loss of Primary Molars with Flexible Denture
Navya et al. Foreign Body Ingestion in Dentistry: A Unique Case Report on Decision-Making and Successful Management Strategies
AKSOY et al. CLINICAL AND RADIOLOGICAL EVALUATION OF THE PROBLEMS OCCURED DUE TO INAPPROPRIATE TREATMENT OF A PATIENT WITH ANTERIOR OPEN BITE: A MALPRACTIC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