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7809A -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 Google Patents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7809A
KR20230127809A KR1020220025567A KR20220025567A KR20230127809A KR 20230127809 A KR20230127809 A KR 20230127809A KR 1020220025567 A KR1020220025567 A KR 1020220025567A KR 20220025567 A KR20220025567 A KR 20220025567A KR 20230127809 A KR20230127809 A KR 20230127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agnetic
fixing
bar
esophag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724B1 (ko
Inventor
이도상
Original Assignee
이도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상 filed Critical 이도상
Priority to KR102022002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724B1/ko
Publication of KR20230127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7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8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with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Abstract

본 발명의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에 따르면,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오목하게 내입홈이 형성되고,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치료시 떨어지는 비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걸러내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갖고, 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부착시키는 자기수단;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구강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타단이 석션기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Dental tool for preventing swallowing}
본 발명은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의사가 환자의 구강 내부의 치아상태를 확인할 때와 진료할 때 치경을 이용하여 살펴본다.
치과 진료용 치경은 거울이 부착되어 있는 헤드부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진다.
환자를 진료할 때. 한 손에는 치경을 들고 다른 한 손으로 기구나 핀셋, 보철물을 들고 시술을 하는데. 시술 중 기구나 보철물을 실수로 놓치게 되면, 진료의자 브라켓의 트레이에 있는 핀셋을 들어야 하는데. 핀셋을 들러 한 손을 움직일 시간에 환자는 기구나 보철물을 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임플란트의 환자인 경우 한 손에는 치경을 들고, 한 손에는 기구을 들고 진료을 해야 하는데 이때, 환자의 임플란트 스크류가 빠지게 되면 진료의자 브라켓의 트레이에 있는 핀셋을 가져와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경은 헤드부와 손잡이부가 나사산으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미러 홀더의 한 쪽만 자석치경이 결합되어 사용되어 자성력이 없는 보철물이나 기구들에는 효과가 없어 간혹 구강 속으로 흡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조하던 보조원이 잠시 자리를 뜨면 셕션하는데 문제점들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241374호 대한민국 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491947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치경과 본체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고, 치경과 본체에는 자기수단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자성을 갖는 자성부재는 자기수단에 의해 부착되고, 자성이 없는 비자성부재는 본체에 걸러져 환자가 부재를 삼키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구강치료를 할 수 있는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석션이 가능하도록 고정바에 흡입공이 형성됨으로써, 본체의 관통공으로 통과되는 냉각수와 침은 석션되는 동시에 별도의 석션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가 구강치료를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에 따르면,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오목하게 내입홈이 형성되고,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치료시 떨어지는 비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걸러내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갖고, 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부착시키는 자기수단;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구강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타단이 석션기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오목하게 내입홈이 형성되고,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치료시 떨어지는 비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걸러내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갖고, 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부착시키는 자기수단;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구강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바와, 일단이 상기 고정바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바 및 상기 파지바의 타단에 결합되고 끝단에 치경이 구비되는 치경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내입홈의 내부에서 내입되어 타측면으로 돌출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수단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자기수단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자기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치경과 본체를 번갈아가면서 사용하고, 치경과 본체에는 자기수단이 각각 구비됨으로써, 자성을 갖는 자성부재는 자기수단에 의해 부착되고, 자성이 없는 비자성부재는 본체에 걸러져 환자가 부재를 삼키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한 구강치료를 할 수 있는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본체에 석션이 가능하도록 고정바에 흡입공이 형성됨으로써, 본체의 관통공으로 통과되는 냉각수와 침은 석션되는 동시에 별도의 석션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가 구강치료를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가 구강에 삽입된 평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는, 본체(10), 자기수단(20) 및 파지부(3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10)는 다수의 관통공(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는, 일측면이 오목하게 내입홈(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치료시 떨어지는 비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걸러낼 수 있다.
이때, 비자성부재는 자성력이 없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금니, 보철물, 임플란트 스크류, 지대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체(10)의 관통공(11)을 통해서, 침이나 핸드피스의 냉각수 등이 통과되고, 구강에 추가로 삽입되는 석션기(40)로 흡입될 수 있다.
또한, 구강치료 중 환자가 침이나 냉각수를 삼키는 경우, 본체(10)의 관통공(11)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가 통과할 수 있어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대로, 관통공(11)이 없으면 구강을 막는 형태가 됨에 따라 호흡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본체(10)에는 다수의 관통공(11)이 형성되며, 그 크기는 통상적인 치과치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찌꺼기나 상술한 비자성부재 및 자성부재가 통과할 수 없는 정도로 형성되면 충분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체(10)는, 구강의 내부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타측면 즉 하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체(10)는 측면과 하측면이 연결되는 모서리는 둥근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수단(20)은, 본체(10)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갖고, 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부착시킨다.
이때, 자성부재는 자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핸드피스의 삭제바, 신경치료 기구, 임플란트 기구 중 자성이 있는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본체(10)는, 내입홈(12)의 내부에서 내입되어 타측면으로 돌출된 고정홈(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자기수단(20)은, 고정홈(13)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또한, 고정홈(13)에도 관통공(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고정홈(13)은 본체(10)의 타측면에서 내입홈(12)의 내부로 내입되어, 내입홈(12)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고정홈(13)은 본체(10)의 타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구강치료 중에, 찌꺼기나 부재가 모두 본체(10)를 통해서 걸러지지 않고, 본체(10)와 구강 사이의 틈으로 빠지는 경우, 구강과 식도가 연결되는 부위 즉, 식도 입구로 이동되는 자성부재를 본체(10)의 타측면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자기수단(20)으로 부착시켜 빼낼 수 있으며,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내입홈(12) 내부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걸러진 부재를 핀셋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반대로 자기수단(20)이 내입홈(12)의 내부에 구비되는 경우 식도로 넘어가는 자성부재를 용이하게 부착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입홈(12)으로 돌출된 자성부재에 의해서 핀셋 등으로 부재를 용이하게 잡아내기 어려운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홈(13)은, 본체(10)의 내입홈(12)에서 더 내입되어 본체(10)의 타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자기수단(20)은, 본체(10)의 타측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홈(13)에 구비되는 자기수단(20)이 분실 또는 고정홈(13)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고정홈(13)의 입구에 구비되어, 자기수단(20)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자기수단(2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자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자기수단(20)의 자성에 의해 전체적으로 자성력을 갖을 수 있어, 자성부재의 부착을 보다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파지부(30)는, 본체(10)에 구비되어, 구강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30)는, 2가지의 실시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파지부(30)는, 본체(1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바(31)를 포함하고, 고정바(31)는 일단이 본체(10)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타단이 석션기(40)에 연결되어 관통공(11)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공(32)이 관통형성된다. 즉, 석션기(40)는 관통공(11)을 통과하는 찌꺼기나 냉각수, 침 등의 이물질을 흡입공(32)으로 흡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석션기(40)를 구강안으로 넣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석션기(40)를 조작하지 않고 본 발명의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의 조작으로 석션과 부재의 걸음을 동시에 할 수 있어 용이한 구강치료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로는, 도 4와 같이, 파지부(30)는, 본체(1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바(31)와, 일단이 고정바(31)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봉 및 파지봉의 타단에 결합되고 끝단에 치경이 구비되는 치경바(34)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는 본체(10)와 치경을 번갈아 가면서 구강치료를 할 수 있어, 치경을 사용하고자 할 때, 별도의 치경을 사용하지 않고 즉시 본 발명의 치경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편한 구강치료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31)와 파지봉, 치경바(34)는 나사결합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고정바(31)는, 일단이 본체(10)의 타측면에 융착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31)는, 일단이 본체(10)의 타측면 즉, 하측면에 구비되고, 본체(10)의 외형을 따라 연장되며, 2~3회의 절곡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36)가 형성됨에 따라, 입술이나 치아와 마주하는 측면에 절곡홈이 형성되는데, 이 절곡홈을 통해서 치아와 입술을 건들이지 않으며 구강치료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절곡홈으로 입술을 눌러서 구강을 개구시킬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바(31)는, 2개의 자기수단(20)이 구비되는 경우, 그 사이에 일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자기수단(20)의 외측인 본체(10) 하측면 끝단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고정바(31)의 타단은 'Y'형상으로 분기되어 제1결합구와 제2결합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바(31)의 타단이 분기된 제1결합구에는 파지봉이 결합될 수 있으며, 제2결합구에는 석션기(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흡입공(32)은 제2결합구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경바(34)에는 거울(35)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안착부가 형성되고, 안착부의 하측면 즉, 안착홈의 반대측면에는 자기수단(20)이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바(31), 파지바(33), 치경바(34)의 나사결합을 위한 수나사에는 풀림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풀림방지부재는, 수나사의 끝단 반대편인 내측에 끼움결합되며, 내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게 형성된다.
풀림방지부재에 의해서, 억지 나사결합이 됨에 따라, 견고한 고정으로 구강치료 중에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각 바의 연결부위에 틈이 발생하지 않아 불순물이나 세균이 침투되지 않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며 구강치료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본체 11 : 관통공
12 : 내입홈 13 : 고정홈
14 : 고정부재 20 : 자기수단
30 : 파지부 31 : 고정바
32 : 흡입공 33 : 파지바
34 : 치경바 35 : 거울
36 : 절곡부 40 : 석션기

Claims (3)

  1.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오목하게 내입홈이 형성되고,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치료시 떨어지는 비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걸러내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갖고, 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부착시키는 자기수단;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구강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바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바는, 일단이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고, 타단이 석션기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는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흡입공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2.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오목하게 내입홈이 형성되고, 구강에 삽입되어 구강치료시 떨어지는 비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걸러내는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자기력을 갖고, 자성부재를 식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부착시키는 자기수단;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구강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정바와, 일단이 상기 고정바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바 및 상기 파지바의 타단에 결합되고 끝단에 치경이 구비되는 치경바를 포함하는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내입홈의 내부에서 내입되어 타측면으로 돌출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기수단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고정홈의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자기수단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자기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KR1020220025567A 2022-02-25 2022-02-25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KR10265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567A KR102650724B1 (ko) 2022-02-25 2022-02-25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5567A KR102650724B1 (ko) 2022-02-25 2022-02-25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7809A true KR20230127809A (ko) 2023-09-01
KR102650724B1 KR102650724B1 (ko) 2024-03-21

Family

ID=8797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567A KR102650724B1 (ko) 2022-02-25 2022-02-25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72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76A (ja) * 2000-02-10 2001-08-14 Hisahiro Tagami 歯科修復物等の誤嚥下防止具
KR20090000138U (ko) * 2007-06-29 2009-01-08 강태현 물막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강 개구기
KR20100033877A (ko) * 2008-09-22 2010-03-31 임두만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KR20100085637A (ko) * 2009-01-21 2010-07-29 주식회사 메디와이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
JP2010537706A (ja) * 2007-08-31 2010-12-09 メディワイ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口腔治療用補助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ユニットチェアー
KR101241374B1 (ko) 2011-01-28 2013-03-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용 거울
KR101491947B1 (ko) 2014-01-21 2015-02-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 거울
KR101851063B1 (ko) * 2016-07-24 2018-04-23 이승환 부재를 부착시키는 자기력을 갖는 치경
US20200383762A1 (en) * 2016-01-08 2020-12-10 Pil Ho JONG Dental treatment assisting tool
JP2022129179A (ja) * 2021-02-24 2022-09-05 佳代 中村 デンタルミラ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8776A (ja) * 2000-02-10 2001-08-14 Hisahiro Tagami 歯科修復物等の誤嚥下防止具
KR20090000138U (ko) * 2007-06-29 2009-01-08 강태현 물막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강 개구기
JP2010537706A (ja) * 2007-08-31 2010-12-09 メディワイド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口腔治療用補助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ユニットチェアー
KR20100033877A (ko) * 2008-09-22 2010-03-31 임두만 반사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구강거울
KR20100085637A (ko) * 2009-01-21 2010-07-29 주식회사 메디와이드 구강치료용 보조장치
KR101241374B1 (ko) 2011-01-28 2013-03-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용 거울
KR101491947B1 (ko) 2014-01-21 2015-02-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 거울
US20200383762A1 (en) * 2016-01-08 2020-12-10 Pil Ho JONG Dental treatment assisting tool
KR101851063B1 (ko) * 2016-07-24 2018-04-23 이승환 부재를 부착시키는 자기력을 갖는 치경
JP2022129179A (ja) * 2021-02-24 2022-09-05 佳代 中村 デンタルミ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724B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5105B2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ry field during dental procedures
EP0958787B1 (en) Tongue cleaning device
KR102061779B1 (ko) 구강 액체 흡입 장치
US11103334B2 (en) Device for removing material from the oral cavity of a patient
US20070113844A1 (en) Endoscopic bite block
US20170281309A1 (en) Cannulae for evacuating saliva and/or blood flow
KR101851063B1 (ko) 부재를 부착시키는 자기력을 갖는 치경
US20050074720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ry field during dental procedures
KR20120140028A (ko)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KR200487941Y1 (ko) 스토퍼가 결합된 치실을 이용한 헥사 드라이버 연결 장치
KR20230127809A (ko)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KR101409393B1 (ko) 치과용 개구기
JP3178977U (ja) 口腔鏡装置
CN205626147U (zh) 一种可固定吸唾管的橡皮障面弓
KR102008375B1 (ko) 러버댐 클램프
US20040101804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ry field during dental procedures
CN217066660U (zh) 用于口腔科吸唾管的变径连接头
WO2015080505A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제 플라이어
JPH0446735Y2 (ko)
JP3040304U (ja) 歯科用サクションミラー
KR101538917B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개 및 박리를 위한 블레이드 핸들
CN211674669U (zh) 一种口镜吸唾器
KR101925713B1 (ko) 부재를 부착시키는 자기력을 갖는 치경
JP2018079051A (ja) 口腔内保清用具
JP3044128U (ja) 虫歯治療用舌押さ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