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947B1 - 치과 진료 거울 - Google Patents

치과 진료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947B1
KR101491947B1 KR20140007335A KR20140007335A KR101491947B1 KR 101491947 B1 KR101491947 B1 KR 101491947B1 KR 20140007335 A KR20140007335 A KR 20140007335A KR 20140007335 A KR20140007335 A KR 20140007335A KR 101491947 B1 KR101491947 B1 KR 10149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flector
light
mirro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희
박종원
오준규
장자순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4000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61B1/25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with means for preventing fog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1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for radial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경, 상기 반사경이 수용되는 반사경 수용부, 일단으로 상기 반사경 수용부가 연결되고 로드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치과 진료 거울로서,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광원부; 상기 반사경 수용부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출광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부에서 발광된 광을 상기 복수의 단위 출광부로 각각 가이드하는 복수의 광 전달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X, Y, Z 축 상의 각 회전량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측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사경의 배면으로 배치되는 발열부; 를 포함하는 치과 진료 거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치아의 치료나 진찰시에 치료나 진찰을 할 때 구강내의 어두운 부위를 보다 쉽게 관찰할 수 있고, 치아의 치료나 진찰 시 미러에 김이 서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의사와 거울의 상대적인 각도에 따라 단위 발광부의 동작 상태를 달리하도록 하여 진료 도중 의사의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 진료 거울{Dental mirror}
본 발명은 치과 진료 거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 진료 시 의사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고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치과 진료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나 병원 등에서는 구강내부의 치아상태를 진찰하거나, 구강내의 치아가 치료되는 상황 등을 관찰하기 위하여 치과 진료 거울을 사용한다.
치과 진료 거울은 통상 원판형의 반사경과, 이 반사경에 대응되는 수용단을 가지는 반사경 수용 브라켓 및 반사경 수용 브라켓의 측면에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치아 관찰용 미러는 치과 의사가 그 작업 의도에 따라 손잡이 끝단의 반사경 수용 브라켓을 환자의 구강 내에 삽입하여 구강내의 깊숙한 곳의 치아 상태를 관찰하거나 치아의 치료상황을 관찰하며, 통상 어두운 구강 내부를 관찰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 조명수단이 사용된다.
그러나, 구강 내의 좌, 우 양측 깊은 곳이나, 치아의 뒷면 등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부 조명수단의 빛이 잘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이므로 기존의 치과용 미러는 치아의 치료나 진찰을 할 때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치아 관찰용 미러를 구강내에 삽입하는 경우에 미러의 온도와 입안의 온도차로 인하여 미러에 김이 서려 구강 내부를 잘 관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아의 치료나 진찰시에 구강 내부를 관찰하는데 사용되는 치아 관찰용 미러에 발광부를 배치하여 치료나 진찰을 할 때 구강내의 어두운 부위를 보다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치과 진료 거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의 치료나 진찰 시에 구강 내부를 관찰하는데 사용되는 치아 관찰용 미러의 반사경에 발열 수단을 배치하여 치아의 치료나 진찰 시 미러에 김이 서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치과 진료 거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부를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단위 발광부로 분할 구성하여 의사와 거울의 상대적인 각도에 따라 단위 발광부의 동작 상태를 달리하도록 하여 진료 도중 의사의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치과 진료 거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사경, 상기 반사경이 수용되는 반사경 수용부, 일단으로 상기 반사경 수용부가 연결되고 로드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치과 진료 거울로서,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광원부; 상기 반사경 수용부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출광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부에서 발광된 광을 상기 복수의 단위 출광부로 각각 가이드하는 복수의 광 전달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X, Y, Z 축 상의 각 회전량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측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사경의 배면으로 배치되는 발열부; 를 포함하는 치과 진료 거울을 제공한다.
상기 광원부의 개수는 상기 단위 출광부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단위 출광부는,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는, 상기 제어부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1 단위 몸체와, 상기 제1 단위 몸체의 일단으로 연결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반사경 수용부가 연결되는 제2 단위 몸체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몸체와 상기 제2 단위 몸체의 연결 부위의 외주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위 몸체와 상기 제2 단위 몸체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전달부는, 상기 제1 단위 몸체에 내장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단위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단위 광 전달부와, 상기 제2 단위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단위 광 전달부와 접속하는 제2 단위 광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X축은, 상기 몸체의 중심축과 평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치아의 치료나 진찰시에 구강 내부를 관찰하는데 사용되는 치아 관찰용 미러에 발광부를 배치하여 치료나 진찰을 할 때 구강내의 어두운 부위를 보다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아의 치료나 진찰 시에 구강 내부를 관찰하는데 사용되는 치아 관찰용 미러의 반사경에 발열 수단을 배치하여 치아의 치료나 진찰 시 미러에 김이 서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부를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복수의 단위 발광부로 분할 구성하여 의사와 거울의 상대적인 각도에 따라 단위 발광부의 동작 상태를 달리하도록 하여 진료 도중 의사의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진료 거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및 제2 단위 몸체의 연결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원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출광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및 제2 단위 몸체에 광 전달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단위 출광부로 연결되는 제1 단위 광 전달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센서부와 제어부의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센서부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센서부와 반사경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열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진료 거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 진료 거울(100)은 반사경(110), 반사경 수용부(120), 몸체(130), 복수의 광원부(140), 복수의 출광부(150), 복수의 광 전달부(160), 센서부(170), 제어부(180) 및 발열부(190)를 포함한다.
우선, 치과 진료 거울(100)은 반사경(110), 반사경 수용부(120) 및 몸체(130)를 포함한다.
반사경(110)은 진료 부위를 진료자인 의사에게 비춰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경(110)은 원형일 수 있다.
반사경 수용부(120)는 일측으로 반사경(110)이 고정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몸체(13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반사경 수용부(120)는 일측의 크기가 반사경(110)의 크기에 대응하고, 타측은 몸체(130)의 단면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반사경 수용부(120)는 단면 형태가 이등변삼각형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구성 요소의 배치를 위해 반사경 수용부(120)는 내측으로 공간을 제공한다.
몸체(130)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로서 제작되고, 그 외주면은 진료자인 의사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30)는 제1 및 제2 단위 몸체(130a, 130b)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및 제2 단위 몸체의 연결 부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 단위 몸체(130a)는 일단으로는 반사경 수용부(120)가 연결되고, 타단으로는 후술하는 제2 단위 몸체(130b)가 연결된다. 또한, 제1 단위 몸체(130a)의 내측으로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후술하는 광 전달부(160)가 배치되는 제1 배치홀(132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단위 몸체(130b)는 진료자인 의사가 파지한다. 제2 단위 몸체(130b)의 일단으로는 제1 단위 몸체(130a)가 연결된다. 또한, 제1 단위 몸체(130a)의 내측으로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후술하는 광 전달부(160)가 배치되는 제2 배치홀(13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배치홀(132b)은 제1 배치홀(132a)과 동일선상에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광 전달부(160)의 배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연결 어댑터(162)는 제1 및 제2 단위 몸체(130a, 130b)의 연결 부위의 외주상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단위 몸체(130a, 130b)의 연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연결 어댑터(162)는 그 내경이 각각의 단위 몸체의 외경에 대응하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광원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수의 광원부(140)는 몸체(130)의 내부에 내장되고,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광을 발광한다.
복수의 광원부(140)는 LED를 포함한다. 도면에 의하면, 광원부(140)는 4개의 LED가 배치되어 이루어지지만, 그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40)의 개수는 후술하는 출광부(150)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광원부(140) 각각은 동일한 광을 발광할 수 있지만, 후술하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각각 다른 밝기로 발광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출광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출광부(150)는 반사경 수용부(120)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출광부(150)는 광원부(140)에서 발광된 광을 인가받아 이를 치료 부위로 출광시킨다. 여기서, 출광부(150)의 출광 방향은 반사경(110)의 경면에 대하여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출광부(150)는 제1 내지 제4 단위 출광부(150a, 150b, 150c, 150d)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단위 출광부(150a, 150b, 150c, 150d)는 서로 동일한 형태와 크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출광부(150)는 반사경 수용부(120)의 외주측 곡률에 대응하는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광 전달부(160)는 몸체(130)에 내장되어, 복수의 광원부(140) 각각에서 발광된 광을 출광부(150) 각각으로 전달한다. 광 전달부(160)는 광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복수의 광섬유를 포함한다.
광 전달부(160)로서 사용되는 광섬유는 그 직경이 제1 및 제2 배치홀(132a, 132b)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광 전달부(160)는 제1 및 제2 단위 몸체(130a, 130b)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1 단위 광 전달부(160a)와 제2 단위 광 전달부(160b)를 포함한다.
제1 단위 광 전달부(160a)는 제1 단위 몸체(130a)의 제1 배치홀(132a)에 배치된다. 이때, 제1 단위 광 전달부(160a)의 일단은 출광부(150)로 연결되고, 타단은 제1 배치홀(132a)의 내측에 소정 깊이로 삽입된 상태로서 배치된다.
제2 단위 광 전달부(160b)는 제2 단위 몸체(130b)의 제2 배치홀(132b)에 배치된다. 이때 일단은 광원부(140)로 연결되고, 타단은 제2 배치홀(132b)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된다. 제1 및 제2 단위 몸체(130a, 130b)가 서로 연결되면, 제2 단위 광 전달부(160b)의 돌출 부위는 제1 배치홀(132a)로 삽입되어 제1 단위 광 전달부(160a)와 접속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1 및 제2 단위 몸체에 광 전달부가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단위 출광부로 연결되는 제1 단위 광 전달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위 광 전달부(160a)는 제1 단위 몸체(130a)의 내부를 통해 제1 내지 제4 단위 출광부(150a, 150b, 150c, 150d)로 연결된다. 단위 출광부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단위 광 전달부(160a)는 반사경 수용부(120)와 연결되는 제1 단위 몸체(130a)의 단부에서 단위 출광부 각각을 향하여 분산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센서부와 제어부의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센서부(170)는 제어부(180)와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어부(180)는 발광 제어부(182)와 배터리 충전부(184)의 제어가 가능하게 연결된다.
센서부(170)는 몸체(130)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센서부(170)는 몸체(130)의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센서부(17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면의 간략화와 이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체내에 센서부(170) 만을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센서부(170)는 센서부를 기준으로 하여 몸체(130)의 X, Y, Z 축 상의 각 회전량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센서부(170)는 사용자가 거울의 사용을 위해 광원부(140)의 동작을 온(on) 시키는 순간부터, 몸체(130)의 각 회전량을 계속 측정하고,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센서부(170)는 몸체(130)의 각 회전량을 측정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 따른 진료 거울(100) 어디에라도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센서부와 반사경의 상대적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센서부(17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은 후, 센서부(170)의 X축(본체의 중심축에 대응됨)과 반사경(110)과의 상대적인 각도(α)를 환산한 후, 환산된 각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부(140) 중, 의사의 시선 방향에 근접하는 출광부(150)에 연결되는 광원부(140)의 발광 정도가 약화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의사의 치과 진료 도중, 제어부(180)는 센서부(17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반사경(110)의 경면이 향하는 방향을 환산한다. 이때, 출광부(150)의 출광 방향은 반사경(110)의 경면에 대하여 수직일 수 있다.
이후, 복수의 출광부(150) 각각의 광 출광 방향과 진료 거울을 사용하는 의사의 시선 방향을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복수의 출광부(150) 중, 어느 하나의 출광부(150)의 광 출광 방향이 의사의 시선 방향과 일정 이상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제어 신호를 발광 제어부(182)로 출력하여 해당하는 출광부(150)에 광을 인가하는 광원부(140)의 광이 약해지도록 하고, 시선 방향과 일치하면 해당하는 광원부(140)의 동작이 오프(off)되도록 한다.
광원부(140)의 제어 방식은 전류 제어, 전압 제어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제어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발열부의 배치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발열부(190)는 반사경 수용부(120)의 내측에 배치되되, 반사경(110)의 후면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열이 발생되도록 하여, 반사경(110)의 전면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해 배터리(10)가 배치된다. 제어부(180)는 광원부(140)와 발열부(190)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10)의 전원이 소모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원이 일정 이상 소모되면 이에 따라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배터리(10)에 대한 충전을 제어하는 배터리 충전부(184)의 동작을 온/오프한다.
본 발명은 치아의 치료나 진찰시에 치료나 진찰을 할 때 구강내의 어두운 부위를 보다 쉽게 관찰할 수 있고, 치아의 치료나 진찰 시 미러에 김이 서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의사와 거울의 상대적인 각도에 따라 단위 발광부의 동작 상태를 달리하도록 하여 진료 도중 의사의 눈부심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치과 진료 거울
110: 반사경
120: 반사경 수용부
130: 몸체
140: 복수의 광원부
150: 복수의 출광부
160: 복수의 광 전달부
170: 센서부
180: 제어부
190: 발열부

Claims (7)

  1. 반사경, 상기 반사경이 수용되는 반사경 수용부, 일단으로 상기 반사경 수용부가 연결되고 로드 형태의 몸체를 포함하는 치과 진료 거울로서,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광을 발광하는 복수의 광원부;
    상기 반사경 수용부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출광부;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부에서 발광된 광을 상기 복수의 단위 출광부로 각각 가이드하는 복수의 광 전달부;
    상기 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의 X, Y, Z 축 상의 각 회전량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의 측정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반사경의 배면으로 배치되는 발열부; 를 포함하는 치과 진료 거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개수는 상기 단위 출광부의 개수에 대응하는 치과 진료 거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출광부는,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는 치과 진료 거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어부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파지하는 제1 단위 몸체와,
    상기 제1 단위 몸체의 일단으로 연결되고, 타단으로는 상기 반사경 수용부가 연결되는 제2 단위 몸체로 분할 구성되는 치과 진료 거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몸체와 상기 제2 단위 몸체의 연결 부위의 외주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단위 몸체와 상기 제2 단위 몸체의 연결 상태를 유지하는 연결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치과 진료 거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전달부는,
    상기 제1 단위 몸체에 내장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단위 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1 단위 광 전달부와,
    상기 제2 단위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제1 단위 광 전달부와 접속하는 제2 단위 광 전달부를 포함하는 치과 진료 거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축은, 상기 몸체의 중심축과 평행한 치과 진료 거울.
KR20140007335A 2014-01-21 2014-01-21 치과 진료 거울 KR10149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335A KR101491947B1 (ko) 2014-01-21 2014-01-21 치과 진료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7335A KR101491947B1 (ko) 2014-01-21 2014-01-21 치과 진료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947B1 true KR101491947B1 (ko) 2015-02-09

Family

ID=52591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7335A KR101491947B1 (ko) 2014-01-21 2014-01-21 치과 진료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809A (ko) 2022-02-25 2023-09-01 이도상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277Y1 (ko) 1998-02-14 2000-07-15 전안제 치과용 진료거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277Y1 (ko) 1998-02-14 2000-07-15 전안제 치과용 진료거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809A (ko) 2022-02-25 2023-09-01 이도상 부재 삼킴 방지용 치과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30184A1 (en) Handpiece assembly for laser treatment device
US7150629B2 (en) Lighted ultrasonic handpiece and color code grip system
US20070247867A1 (en) Portable LED Light Source for an Endoscope or Boroscope
JP2008508034A (ja) 触覚的フィードバックの先端部フェルールを有するコントラ・アングル回転型のハンドピース
US20160184046A1 (en) Surgical tool lights
US20050221250A1 (en) Ball lens for use with a dental curing light
CN107802230B (zh) 一种内窥镜用可调向套管组件及内窥镜装置
JP2013169256A (ja) 歯科ハンドピース用の映像取得機器、歯科ハンドピース用撮像装置、歯科ハンドピース、及び歯科ハンドピースシステム
US7066734B1 (en) Convertible dental instrument
US6406293B1 (en) Hand-held dental transilluminating device
KR101491947B1 (ko) 치과 진료 거울
CN205054311U (zh) 口腔内照明拉钩
CN105147231A (zh) 一种口腔镜
JP4755604B2 (ja) 歯科用の手用器具、歯科用の治療装置及び歯科用の手用器具で情報を表示する方法
US20090191504A1 (en) Intra-oral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method
US20220330803A1 (en) Physical assessment device
KR20080107603A (ko) 치과용 리트랙터
US20110287380A1 (en) Clinical root canal therapy instrument equipped with illumination
WO2016157416A1 (ja) 内視鏡、内視鏡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内視鏡システム
US20110292674A1 (en) Optical fiber teeth illumination apparatus
JP2016087299A (ja) 口腔内照明具およびそのカバー部材
JP5300942B2 (ja) 骨髄ガイドワイヤと結合可能な横方向発光装置
KR200409740Y1 (ko) 치과용 수술장비에 탈착이 가능한 조명장치
KR101796773B1 (ko) 복강경 수술용 조명유닛 및 이를 구비한 복강경 수술 시스템
JP3194328U (ja) 導光部の周面に拡散部を有する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