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277Y1 - 치과용 진료거울 - Google Patents

치과용 진료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277Y1
KR200188277Y1 KR2019980001919U KR19980001919U KR200188277Y1 KR 200188277 Y1 KR200188277 Y1 KR 200188277Y1 KR 2019980001919 U KR2019980001919 U KR 2019980001919U KR 19980001919 U KR19980001919 U KR 19980001919U KR 200188277 Y1 KR200188277 Y1 KR 200188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upport
mirror
light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645U (ko
Inventor
강동민
Original Assignee
전안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안제 filed Critical 전안제
Priority to KR2019980001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277Y1/ko
Publication of KR980006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2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치과병원 등에서 환자의 구강내부나 의사가 관찰하기 어려운 부분에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환자 진료 거울로, 내부 일측에 트랜스(51)가 구비되어 송풍팬(53)을 구동하고 할로겐램프(52)를 점등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50)와 상기 할로겐램프(52)에서 발광하는 광을 전달하며 손잡이내부(26)로 관통하여 끼움부(27) 전단까지 연장설치된 광섬유(40), 이 광섬유(40)의 일단을 고정하는 조임구(25)와 원통 외주연 상방으로 스위치(24)가 구비된 손잡이(20), 이 손잡이(20)의 끼움부(27)에 고정되는 삽입부(28)와 원통으로 형성된 둥근 거울받침대(23)와 연결되며, 하단 상면에 투과홀(31)과 하부에 끼움구멍(32)이 구비된 지지대(21), 이 지지대(21)의 끼움구멍(32)에 끼워져 삽입부(28)내에 위치한 광섬유(40)와 맞닿아 광을 통과시키며 끝단부위가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투광 부재(29), 이 투광 부재(29)를 통과한 광이 투과홀(31)을 통과해 비쳐져 반사되는 거울(22)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치과용 진료거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진료거울
본 고안은 주로 치과병원 등에서 환자의 구강내부나 의사가 관찰하기 어려운 부분에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환자용 진료거울로 특히, 손잡이의 내측으로 광섬유를 통하여 광이 전달되어 지지대의 일단에 구비된 거울이나 반사면에 반사되어 환자의 진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치과용 진료거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환자를 진료하기 위하여 치과병원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거울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인레스 재질의 손잡이(10)와 이 손잡이(10)의 끝단에 연결된 지지대(11), 이 지지대(11)에 연결되어 거울(12)이나 반사판이 장착되어 있는 거울받침대(13)로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환자 진료 거울은 환자를 진료할 때 거울이나 반사면에 광이 비추어지도록 스탠드나 기타 보조전등장치를 환자의 치료부위나 구강의 상부에 설치하였으며, 이때 환자가 불빛을 가리지 않는 자세를 취하여야 하므로써 진료하는 의사나 진료를 받는 환자 모두 대단히 불편하였었다.
한편, 근래에는 진료거울의 손잡이를 방열구조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소형 할로겐램프와 램프의 광이 거울측으로 전달되도록 투명봉을 삽입하여 진료거울 자체에서 광이 구강내로 비춰질 수 있도록 된 진료거울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진료거울은 비록 광의 발생에 의한 진료의 편의는 향상되었으나 할로겐램프의 점등시 발열에 의하여 손잡이부가 뜨거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류가 손잡이부까지 전달되므로 자칫 감전의 우려도 없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진료를 받는 환자나 진료하는 의사 모두에게 편리하고 감전의 우려가 없는 안전한 진료거울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 일측에 트랜스가 구비되어 송풍팬을 구동하고 할로겐램프를 점등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와, 상기 할로겐램프에서 발광하는 광을 전달하며 손잡이내부를 관통하여 손잡이 끝단에 구비된 끼움부 전단까지 연장설치된 광섬유와, 이 광섬유의 일단을 고정하는 조임구와 원통 외주연 상방으로 전원의 ON / OFF 작동을 하도록 스위치가 구비된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끼움부에 고정되는 삽입부 및 원통으로 형성되고 일단에 둥근 거울받침대가 구비되며 상면에 투과홀과 하부에 끼움구멍이 구비된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끼움구멍에 끼워져 삽입부내에 위치한 광섬유와 맞닿아 광을 통과시키며 끝단부위가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투광 부재와, 이 투광 부재를 통과한 광이 투과홀을 통과해 비쳐져 반사되는 거울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진료거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진료거울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진료거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진료거울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진료거울의 전원공급장치 확대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손잡이 11, 21 : 지지대
12, 22 : 거울 13, 23 : 거울받침대
24 : 스위치 25 : 조임구
26 : 손잡이내부 27 : 끼움부
28 : 삽입부 29 : 투광 부재
30 : 분산면 31 : 투과홀
32 : 끼움구멍 40 : 광섬유
41 : 전선 42 : 피복재
50 : 전원공급장치 51 : 트랜스
52 : 할로겐램프 53 : 송풍팬
54 : 송풍구 55 : 고정부재
56 : 인입코드 57 : 개폐구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치과용 진료거울의 전체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료거울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진료거울의 선단부와 전원공급장치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진료거울은 전원을 공급하여 광을 발생하는 전원공급장치(50), 이 전원공급장치(50)에서 발생된 광을 전달하는 광섬유(40), 이를 감싸는 피복재(42), 상기 광섬유(40)가 내통하고 일측 선단에 끼움부(27)가 형성되고 타측단에 조임구(25)가 끼워지며 스위치(24)가 설치된 손잡이(20), 이 손잡이(20) 끝단에서 끼움부(27)와 삽입부(28)에 의해 결합되어지고 둥그스럼하게 형성되어 거울(22)을 지지하는 거울받침대(23)가 지지대(21)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전원공급장치(50)는 도 5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교류220V의 전압을 직류12V로 강하하는 트랜스(51)와, 이 트랜스(51)에서 공급된 전류에 의해 광을 발하는 고밀도 할로겐램프(52), 이 할로겐램프(52) 일측에 구비된 송풍구(54)와 송풍팬(53)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손잡이(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관통되어 있는 중공형상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손잡이내부(26)로 전원공급장치(50)의 할로겐램프(52)에서 발생된 광을 전달하는 광섬유(40)가 관통하며, 손잡이(20)의 일측, 즉 광섬유(40)가 인입되는 부위에는 조임구(25)가 타측에는 끼움부(27)가 구비되며 원통 외주연 일측에 스위치(24)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끼움부(27)에 끼워지는 삽입부(28)는 지지대(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21)의 타측은 둥근 거울받침대(23)가 부착되어진다. 지지대(21)의 내부는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지지대(21)의 하단 상부에는 투과홀(3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끼움구멍(32)이 형성되어 투광 부재(29)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지지대(21) 내측으로 삽입되는 투광 부재(29)는 손잡이(20)의 일단 끼움부(27) 전단에 돌출된 광섬유(40)에 밀착되어서 광섬유(40)에서 발하는 광이 이 투광 부재(29)를 통과하여 지지대(21) 상부의 투과홀(31)을 거쳐서 거울(22)에 비쳐지는 것이다.
또한, 광이 지지대(21) 하부에 형성된 끼움구멍(32)을 통과하여 거울받침대(23)의 이면을 비칠수 있도록 하므로써 의사가 진찰시 환자의 각 부위를 자유자재로 진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투광 부재(29) 하단부는 일측으로 각도를 갖을 수 있도록 절곡된 형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절곡된 부위의 상단에는 광섬유(40)에서 발하는 광이 투광 부재(29)를 통과한 후 광이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면취된 분산면(3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피복재(42)는 광섬유(40)가 전원공급장치(50)에서 손잡이(20)의 조임구(25)까지 스위치(24)의 작동을 위한 전선과 함께 피복하고 있으며, 이 피복재(42)에 감싸인 광섬유(40)가 손잡이내부(26)로 삽입되어지므로 전기로 인한 위험성이 없으며, 환자의 구강내부로 삽입되거나 접촉하는 거울받침대(23)와 지지대(21) 부위는 스테인레스재질로 감싸도록 하여 사용한 후에도 소독을 하며,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병원등지에서 의사가 환자들을 진찰할 때, 의사들이 직접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부위에 삽입하여 손잡이부 하단에서 발하는 광을 이용하여 거울에 반사되는 부위를 진찰하므로써, 의사의 진찰가능 부위를 넓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편리성을 향상시켰으며, 의사의 자유자재의 이동이 가능하여 진찰시 환자의 이동이 불필요하므로써 환자의 진찰에 편리성을 주는 것이다.
또한, 거울받침대 부위나 지지대등은 환자의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부위로 소독을 통하여 수회 사용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손잡이부가 뜨거워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손잡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감전의 위험이 배제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내부에 트랜스(51)와 송풍팬(53) 및 할로겐램프(52)가 설치된 전원공급장치(50)와, 상기 할로겐램프(52)측에 일단이 접속되어 광을 전달하는 광섬유(40)와, 상기 광섬유(40)의 타단에 접속되어 내부로 광섬유(40)가 연장설치된 손잡이(20)와, 상기 손잡이(20)의 선단에 결합되는 지지대(21)와, 상기 지지대(21)의 내부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내부(26)의 광섬유(40) 타단에 맞닿아 광을 통과시키는 투광 부재(2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투광 부재(29)를 통과한 광이 지지대(21) 상면의 투과홀(31)과 하부의 끼움구멍(32)을 통해 지지대(21) 선단에 부착된 거울(22)의 상·하부로 분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거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1) 상면의 투과홀(31)에는 투광 부재(29)의 상부면을 면취시킨 분산면(30)이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진료거울.
KR2019980001919U 1998-02-14 1998-02-14 치과용 진료거울 KR200188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919U KR200188277Y1 (ko) 1998-02-14 1998-02-14 치과용 진료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919U KR200188277Y1 (ko) 1998-02-14 1998-02-14 치과용 진료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645U KR980006645U (ko) 1998-04-30
KR200188277Y1 true KR200188277Y1 (ko) 2000-07-15

Family

ID=19531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919U KR200188277Y1 (ko) 1998-02-14 1998-02-14 치과용 진료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2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947B1 (ko) 2014-01-21 2015-02-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 거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873B1 (ko) * 2019-01-17 2019-11-14 안준환 미러용 이중 공기 분사 시스템을 구비한 치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947B1 (ko) 2014-01-21 2015-02-0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진료 거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645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98113A (en) Disposable laryngoscope construction
KR100227545B1 (ko) 치과진단용 검경
JPS6033071B2 (ja) 手術用ブラント・フツク
CA2669759A1 (en) Skin treatment device and attachment and handle portion of a skin treatment device
KR19990006482A (ko) 조명수단이 있는 치과용 핸드피스
US20090097270A1 (en) Illuminator for medical use
AU2004224455A1 (en) Illumination assembly having fluid-tight seal
KR20120105552A (ko) 휴대용 의료 기기의 작동을 위한 핸드피스 손가락 스위치
CA2384490A1 (en) Dental or surgical illuminated mirror
US6406293B1 (en) Hand-held dental transilluminating device
WO2000025684A1 (en) Infrared coagulator with disposable tip light guide
US4884568A (en) Radiation coagulator
EP0184928A2 (en) Hygienic attachments for therapy lasers
US2528458A (en) Dental mouth prop
KR200188277Y1 (ko) 치과용 진료거울
US6454045B1 (en) Stethoscope with optical fiber light
GB2257632A (en) Skin treatment device
KR200461052Y1 (ko) 처치용 검이경
KR100879798B1 (ko) 치과용 리트랙터
JP3078279U (ja) 歯科用チェックライト
CN214049056U (zh) 一种弧面理疗头
WO1994009701A1 (en) Self-luminous laryngoscope and stroboscopic larynx inspection device
EP1813307A1 (en) Phototherapy light with fresnel lens for infant care apparatus
TW202007351A (zh) 具照明之口腔鏡結構
KR200240524Y1 (ko) 가열형 청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