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798B1 - 치과용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치과용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798B1
KR100879798B1 KR1020070055558A KR20070055558A KR100879798B1 KR 100879798 B1 KR100879798 B1 KR 100879798B1 KR 1020070055558 A KR1020070055558 A KR 1020070055558A KR 20070055558 A KR20070055558 A KR 20070055558A KR 100879798 B1 KR100879798 B1 KR 100879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al cavity
light
tissu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7603A (ko
Inventor
김진홍
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상테크
김진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상테크, 김진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상테크
Priority to KR1020070055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798B1/ko
Publication of KR20080107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7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진료 또는 치료시에 구강 내부 조직을 견인할 때, 빛을 조사하여 구강 내부를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는 파지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길이 연장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단부에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견인부와, 견인부가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하였을 때, 구강 내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발광부와,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의 공급전원을 단속하도록 바디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광유니트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는 구강 내 조직을 견인시한 견인된 환부 또는 구강 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환부를 비롯한 구강 내부를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치료와 진료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치과용 리트랙터, 발광

Description

치과용 리트랙터 {Retra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치과용 리트랙터
11; 바디부
14; 견인부
16; 발광램프
17; 전원공급부
18; 스위치
본 발명은 치과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치과 진료 또는 치료시에 구강 내부 조직을 견인할 때, 빛을 조사하여 구강 내부를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환자의 진료 또는 치료를 위해 구강 내부를 관찰할 때,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하기 위한 치과용 리트랙터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치과용 리트랙터는 견인하는 구강 내 조직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된다.
특히, 치과 치료가 수행될 때에는 치료를 하는 치과 의사를 대신하여 치과용 리트랙터를 사용하여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하여 치료 공간을 확보해주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에는 치과용 리트랙터에 의해서 견인된 안쪽의 공간에 견인된 구강 내 조직이나 보조요원의 신체에 가려져 치과 진료용 램프의 광원이 전달되지 못하여 충분한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치과용 리트랙터를 이용한 구강 내 조직의 견인 시, 구강내부를 치과 의사가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할 때, 구강 내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발광유니트를 구비하는 치과용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는 파지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길이 연장된 바디부와, 바디부의 단부에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견인부와, 견인부가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하였을 때, 구강 내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발광부와,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의 공급전원을 단속하도록 바디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광유니트를 구비한다.
발광부는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발광램프와,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입사 받을 수 있게 설치되되, 견인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는 바디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와,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된 빛을 입사 받을 수 있게 설치되되 견인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광섬유와, 광섬유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해 광섬유의 종단에 대향되게 설치된 오목렌즈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치과용 리트랙터는 구강 내 견인 조직과 접촉하는 견인부의 전면에 마련된 반사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를 보다 상세 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10)의 제1 실시예를 참조하면, 치과용 리트랙터(10)는 파지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길이 연장된 바디부(11)와, 바디부(11)의 단부에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견인부(14)와, 구강 내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발광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디부(11)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형성된 손잡이(12)와, 손잡이(12)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연장된 지지대(13)를 구비한다. 지지대(13)는 견인부(14)가 구강 내부로 충분히 인입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연장되어 있다.
견인부(14)는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대(13)의 선단부에서 일정각도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고, 바디부(11)를 향하여 노출되는 전면(14a)을 견인시 견인 조직에 접촉시켜 사용한다. 견인부(14)의 형상은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견인되는 조직의 형태에 따라 견인 조직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발광유니트는 견인부(14)를 이용하여 구강 내 조직을 견인했을 때, 구강 내부로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환자의 치료시에는 보통 환부에 대한 치료공간과 시야를 확보해주기 위해 치료에 동참하는 보조원이 치과용 리트랙터(10)를 이용해 치료에 방해가 되는 구강 내 조직을 일측으로 견인시키게 되는데, 이렇게 보조원이 치과용 리트랙터(10)를 사용할 때, 보조원의 손과 치과용 리트랙터(10)에 의해 환부에 조사되는 빛이 가려져 치과의사가 환부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발광유니트를 이용하여 치과용 리트랙터(10)로 견인한 구강 내 조직의 후방으로 환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여 환부의 식별이 용이하게 한다.
발광유니트는 지지대(13)에 설치되는 발광램프(16)와, 손잡이(12)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17)와,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18)를 구비한다.
발광램프(16)는 구강 내부에서 견인부(14)를 사용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작게 형성되되, 구강 내부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조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대(13)를 기준으로 견인부(14)가 절곡된 방향과 반대되는 측에 설치되어 지지대(13)의 연장방향을 따라 구강 내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램프(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3)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해 지지대(13)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램프(16)는 소비 전력이 작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으며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17)는 손잡이(12)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데, 치과용 리트랙터(10)의 휴대성과 이동성을 고려하여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연결하지 않고 배터리 타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과용 리트랙터(10)의 손잡이(12)의 부피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는 수은전지를 전원공급부(17)로 적용하였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손잡이(12)와 지지대(13)의 내부로 전원공급부(17)와 발광램프(16)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도선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공급부(17)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건전지와 같은 여러종류의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스위치(18)는 손잡이(12)에 형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발광램프(16)를 발광시키고자 할 때 사용한다. 전원공급부(17)와 발광램프(16)를 연결하는 도선상에 설치되어 도선을 단락 시킴으로써 발광램프(16)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게 된다.
전원공급부(17) 및 스위치(18)는 후술하는 제2 내지 제6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형태와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20)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리트랙터(20)의 발광유니트는 손잡이(28)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22)와, 발광램프(22)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손잡이(28)의 내부로부터 지지대(29)의 외주면을 따라 견인부(14)까지 연장되는 도광판(23)을 포함한다.
발광램프(22)에 의해 견인부(14)가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하는 것이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발광램프(22)는 손잡이(28)의 내부에 인입시킨다. 발광램프(22)는 스위치(18)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며, 발광램프(22)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발광램프(22)의 전단에 마련되는 도광판(23)에 입사된다.
도광판(23)은 일측 단부가 손잡이(28)의 내부에서 발광램프(22)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손잡이(28)의 내부에 설치되는 입사부분(24)과, 입사부분(24)으로부터 지지대(29)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분(25)과, 연장부분(25)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견인부(14)에 결합되어 연장부분(25)을 도파한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조사부분(26)을 포함한다. 조사부분(26)은 견인부(14) 전면(14a)의 반대편에 결합되므로 치과용 리트랙터(20)를 이용해 견인 조직을 견인하면, 조사부분(26)에서 구강 내부로 빛을 조사한다. 연장부분(25)에서는 입사부분(24)을 통해 입사된 빛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차단 코팅 처리가 되어 있어서 조사부분(26)에서만 빛이 집중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30)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리트랙터(30)는 내부공간을 갖는 바디부(31)와, 바디부(31)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견인부(32)와, 바디부(31)에 설치되는 발광유니트를 포함한다.
바디부(31)는 견인부(32)와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이 구강 내부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충분히 작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 부분으로부터 견인부(3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수록 발광램프(36)의 설치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직경이 커지게 형성된다.
견인부(32)는 제1 실시예의 견인부(32)와 마찬가지로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하기가 용이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는데, 바디부(31)의 선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넥부분(33)과, 넥부분(33)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견인 조직과 접촉하는 접촉부분(34)을 포함한다.
발광유니트는 바디부(3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36)와, 발광램프(36)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일단에 입사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바디부(31)의 내부에서 바디부(31)의 선단부까지 연장되는 광섬유(37)와, 광섬유(37)의 타단에서 조사되는 빛이 바디부(31)의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바디부(31)의 선단에 설치되는 오목렌즈(38)를 포함한다. 오목렌즈(38)는 바디부(31)의 상면에 넥부분(33)과 결합되지 않는 일정영역에 마련되는데, 넥부분(33)을 기준으로 접촉부분(34)이 절곡된 방향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견인부(32)에 의해 오목렌즈(38)를 통과한 빛의 진행이 간섭받지 않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리트랙터(30)는 견인부(32)와 연결되는 바디부(31)의 선단 내부에 광섬유(37)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바디부(31) 선단의 직경이 구강 내부로 인입하기 용이하도록 충분히 작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빛은 직진성이 있기 때문에 광섬유(37)의 타단에서 조사되는 빛이 구강 내부의 일 지점에만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목렌즈(38)를 통해서 빛이 바디부(31)의 외부로 발산되게 함으로써 오목렌즈(38)를 설치하지 않았을 때보다 비교적 넓은 면적에 빛을 조사하여 시야를 확보하기가 용이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40)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리트랙터(40)는 바디부(41)와, 바디부(41)의 단부에 연결된 견인부(44)와, 견인부(44)로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하였을 때, 구강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디부(41)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 손잡이(42)와, 손잡이(42)의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된 지지대(43)를 포함한다.
견인부(44)는 지지대(43)의 단부에서 일측으로 소정각도 절곡되어 있는데, 견인부(44)의 전면은 일정영역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분에 반사체(45)가 부착되어 있다. 치과의사 또는 보조원은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할 부위를 확인하거나, 구강 내부의 모습을 체크 할 때, 별도의 구강 거울을 사용하지 않고도 반사체(45)를 이용해 용이하게 구강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사체(45)로써 견인부(44) 전면의 영역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거울이 적용되었으나, 구강 내부의 상을 치과 의사가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면 은 또는 니켈과 같이 반사도가 높은 물질이 코팅된 코팅판이 반사체(45)로써 사용될 수도 있다.
발광유니트는 지지대(43)에 설치되는 소형의 발광램프(47)와, 손잡이(42)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17) 및 스위치(18)를 구비하는데, 발광램프(47)는 구강 내부에서 견인부(44)를 이용한 구강 내 조직의 견인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충분히 작으면서도 구강 내부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조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50)의 제5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치과용 리트랙터(50)는 바디부(51)와 견인부(54) 및 발광램프(56)와 도광판(57)을 포함하는 발광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디부(51)는 손잡이(52)와 지지대(53)를 포함하며, 손잡이(52)의 내부 공간에는 발광램프(56)가 설치되어 있다. 견인부(54)는 제4 실시예의 견인부(54)와 마찬가지로 구강 내 조직의 견인이 용이하도록 일측으로 소정각도 절곡되어 있으며, 견인 조직과 접촉하는 견인부(54)의 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다. 견인부(54)의 전면은 반사체에 반사되는 구강 내부의 상이 왜곡되지 않 도록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광판(57)은 제2 실시예의 도광판(57)과 마찬가지로 손잡이(52)의 내부에 설치되는 입사부분(57a)과, 입사부분(57a)으로부터 지지대(53)를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분(57b)과, 연장부분(57b)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견인부(54)의 후면에 결합되어 연장부분(57b)을 도파한 빛이 외부로 조사되는 조사부분(57c)을 포함한다. 연장부분(57b)에서는 입사부분(57a)을 통해 입사된 빛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도록 차단 코팅 처리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60)의 제6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치과용 리트랙터(60)는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형성된 바디부(61)와, 바디부(61)에 연결되어 구강내 조직을 견인하도록 형성된 견인부(64)와, 바디부(61)에 형성된 발광유니트를 포함한다.
바디부(61)는 내부 공간을 갖는 손잡이(62)와, 손잡이(62)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구강 내부로 인입이 용이하도록 직경이 작은 지지대(63)를 포함하는데, 손잡이(6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형성된 전원공급부와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램프(66)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63)는 손잡이(62)로부터 연장되며 손잡이(62)로부터 일정길이 이격된 지점에 소정각도 절곡된 절곡부분(63a)을 갖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견인부(64)는 구강 내의 견인조직과 접촉하는 접촉면에 반사체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의 왜곡이 일어나지 않도록 견인부(64)의 전면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견인부(64)는 지지대(63)의 단부에 결합되는데, 지지대(63) 의 일측이 절곡부분(63a)에 의해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견인부(64)는 손잡이(62)의 연장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 경사지게 된다.
발광유니트는 상기 손잡이(62)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66)와, 손잡이(62)에 일측 단부가 발광램프(66)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입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견인부(64)의 내부를 통해 절곡부분(63a)과 인접하는 지점까지 지지대(63)의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광섬유(67)와, 절곡부분(63a)에 설치되는 오목렌즈(68)를 포함한다.
광섬유(67)는 발광램프(66)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일단부에서 입사받아 타단부에서 조사하는데, 광섬유(67)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자의 구강 내부로 인입되는 지지대(63)는 직경이 충분히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분(63a)에 설치된 오목렌즈(68)에 의해 광섬유(67)에서 조사되는 빛은 구강 내부로 발산되어 구강 내부의 넓은 영역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리트랙터는 구강 내 조직을 견인시 견인된 환부 또는 구강 내부를 향해 빛을 조사함으로써, 환부를 비롯한 구강 내부를 보다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하여 치료와 진료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파지가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길이 연장된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단부에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견인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리트랙터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가 구강 내 조직을 견인하였을 때, 구강 내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치과용 리트랙터에 마련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공급전원을 단속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광유니트와;
    구강 내 견인 조직과 접촉하는 상기 견인부의 전면에 마련된 반사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입사 받을 수 있게 설치되되, 상기 견인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는 발광램프와,
    상기 발광램프로부터 조사된 빛을 입사 받을 수 있게 설치되되 상기 견인부 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설치된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기 위해 상기 광섬유의 종단에 대향되게 설치된 오목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리트랙터.
  4. 삭제
KR1020070055558A 2007-06-07 2007-06-07 치과용 리트랙터 KR100879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58A KR100879798B1 (ko) 2007-06-07 2007-06-07 치과용 리트랙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558A KR100879798B1 (ko) 2007-06-07 2007-06-07 치과용 리트랙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603A KR20080107603A (ko) 2008-12-11
KR100879798B1 true KR100879798B1 (ko) 2009-01-22

Family

ID=40367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558A KR100879798B1 (ko) 2007-06-07 2007-06-07 치과용 리트랙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7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44Y1 (ko) * 2008-02-22 2009-07-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리트렉터
WO2011129504A1 (ko) * 2010-04-16 2011-10-20 비엔엘바이오테크 주식회사 치과용 리트랙터
KR101011538B1 (ko) * 2010-11-01 2011-01-28 김기수 통증완화 덴탈 미러
WO2021029884A1 (en) * 2019-08-14 2021-02-18 B&L Biotech USA, Inc. Dental retractor with micro mirr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1134A (en) 1991-11-19 1994-01-25 Schultz Allen J Fiber optic illumination system for dental instruments
US5520611A (en) 1993-12-16 1996-05-28 Rao; Shekar Illuminated retractor
US6080105A (en) * 1997-06-26 2000-06-27 Spears; Robert A. Illuminated dental and surgical retractor and kit including plurality of blades and blades recharging base
US6504985B2 (en) * 1995-06-27 2003-01-07 Lumitex, Inc. Illuminated surgical retra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1134A (en) 1991-11-19 1994-01-25 Schultz Allen J Fiber optic illumination system for dental instruments
US5520611A (en) 1993-12-16 1996-05-28 Rao; Shekar Illuminated retractor
US6504985B2 (en) * 1995-06-27 2003-01-07 Lumitex, Inc. Illuminated surgical retractor
US6080105A (en) * 1997-06-26 2000-06-27 Spears; Robert A. Illuminated dental and surgical retractor and kit including plurality of blades and blades recharging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7603A (ko)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97270A1 (en) Illuminator for medical use
KR100879798B1 (ko) 치과용 리트랙터
US6406293B1 (en) Hand-held dental transilluminating device
JP3607843B2 (ja) 内視鏡
WO2016017349A1 (ja) レーザー治療器
JP2011135973A (ja) 光照射用チップ、光照射用ヘッド及び光照射器
JP6498028B2 (ja) 内視鏡用光線力学的治療装置
WO2019045054A1 (ja) 活性ガス照射装置
JP6134896B2 (ja) レーザハンドピース
CN213491560U (zh) 鼻炎治疗仪
US20210038909A1 (en) Optical medical treatment device
KR20230106028A (ko) 치아와 치아사이 잇몸 국소 부위용 광조사기
WO1994009701A1 (en) Self-luminous laryngoscope and stroboscopic larynx inspection device
US20110287380A1 (en) Clinical root canal therapy instrument equipped with illumination
US7577344B2 (en) Light-shielding device for oral photography
KR20080077933A (ko) 조명이 구비된 추질경 리트랙터
CN213272107U (zh) 可拆换照射头的口腔照明灯
KR101510134B1 (ko) 레이저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핸드피스 레이저 치료장치
US2013002928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forming photodynamic therapy to specific anatomic locations
JP2016087299A (ja) 口腔内照明具およびそのカバー部材
JP4464164B2 (ja) 撮影用照明装置
JP2016135274A (ja) 導光部に湾曲部を有する照明器具
JP2012050511A (ja) 内視鏡用フード及びフード付き内視鏡
JPH039687Y2 (ko)
JP3082269U (ja) 口腔用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