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488B1 - 흡입 관류기 - Google Patents

흡입 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488B1
KR101546488B1 KR1020130146221A KR20130146221A KR101546488B1 KR 101546488 B1 KR101546488 B1 KR 101546488B1 KR 1020130146221 A KR1020130146221 A KR 1020130146221A KR 20130146221 A KR20130146221 A KR 20130146221A KR 101546488 B1 KR101546488 B1 KR 10154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gas
perfusion
gas injec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6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1897A (ko
Inventor
정향진
Original Assignee
(주)레드메디칼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레드메디칼코리아 filed Critical (주)레드메디칼코리아
Priority to KR1020130146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4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61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관류기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와; 신체 내 액체를 관류공을 통해 흡입하거나 신체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흡입 관류관과; 상기 관류공 주변에서 가스를 주입하여 흡입 시 상기 관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주입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 관류관 및 가스 주입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입 관류기{suction and irrigator}
본 발명은 흡입 관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주입을 통해 조직이 관류공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 관류기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 이후 도입된 내시경(복강경) 수술법은 최소침습술(minimal invasive surgery)로서 환자의 통증, 감염, 상처, 입원 기간 등의 감소 등의 장점으로 최근 들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복강경 수술에는 수술 부위의 출혈 등을 제거하고 수술 시야를 좋게 하기 위해, 음압으로 혈액, 용액 등을 흡입하게 되는 흡입 관류기가 필요하다.
흡입 관류기는 관류를 위한 수액을 복강 내에 분사하는 기능과 복강 내의 혈액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기존 흡입 관류기를 복강경 시술에 적용하게 되면, 혈액, 용액 등을 복강 내에서 흡입하여 복강 외부로 배출시킬 때에 복강 내의 장기, 특히 창자(bowel), 장간막(omentum)과 피덩이(blood clot) 등이 흡입구(관류공)를 막아 복강 내 혈액 혹은 용액의 원활한 흡입이 방해되고 지연되어 이로 인해 수술 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111226호 (2013. 10. 10.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57250호 (2013. 05. 31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조직이 관류공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 관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부와; 신체 내 액체를 관류공을 통해 흡입하거나 신체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흡입 관류관과; 상기 관류공 주변에서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관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주입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 관류관 및 상기 가스 주입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흡입 관류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관류공의 둘레에서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가스 주입 방향과 흡입방향은 서로 역방향이며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흡입 관류관을 감싸는 관체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가스 주입부는 흡입 관류관의 외측에 배치되어 감싸는 형상을 갖으며 가스의 통로가 되는 가스 주입관과; 상기 가스 주입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과; 상기 가스 주입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가스 주입과 흡입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흡입 관류관 및 상기 가스 주입부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서로 다른 유량의 가스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 관류관의 내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소작을 실시하는 소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작부는 흡입 관류관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소작시술을 행할 수 있는 전기봉과; 상기 몸체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시술자가 당기거나 미는 경우 전기봉을 전후진시키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를 몸체에 고정시키는 안전바와; 상기 전기봉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봉의 선단에는 집게턱이 구비되어, 벌어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흡입 관류기는 복강경 수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직이 관류공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 관류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관류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흡입 관류기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스 분출구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흡입 관류기의 스위치부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의 스위치부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가스 유량 변화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의 선단부에 형성된 가스 분출구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의 선단부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흡입 관류기가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것을 예시로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흡입시 흡입 관류기를 막는 것을 신체 내 장기로 예시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흡입 관류기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관류기(1)는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의료기구이다.
흡입 관류기(1)는 복강(B) 내에 진입하여, 장기(S) 특히 창자, 장간막에 접촉함으로써 복강(B) 내 혈액 혹은 용액을 흡입하고, 이 과정에서 장기(S)가 흡입 관류기의 선단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복강(B)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흡입 관류기는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일측에 돌출된 선단부(5)의 내측에 배치되어 복강(B)으로부터 혈액 혹은 용액을 흡입하거나 수액을 주입하는 흡입 관류관(13)과, 흡입 관류관(13)을 감싸는 관체형상이며, 가스를 복강(B)내에 주입함으로써 흡입 관류관(13)의 선단이 장기(S)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주입부(4)와, 흡입 관류관(13)의 내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장기(S)에 대한 소작을 실시하는 소작부(6)와, 몸체(3)에 구비되어 흡입 관류관(13) 및 가스 주입부(4)를 개폐시키는 조작부(버튼부, 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흡입 관류기에 있어서, 몸체(3)는 시술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달린 형상을 갖는다.
몸체(3)의 일측에 돌출된 선단부(5)는 이중관 구조로 내측에는 흡입 관류관(13)이 배치되고, 외측에는 가스 주입관(11)이 배치된다.
흡입 관류관(13)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 관류관(13)은 일측은 외부에 연통되며, 타측은 흡입덕트(Inhalation Duct;25) 및 관류덕트(23)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흡입덕트(25) 및 관류덕트(23)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펌프(도시안됨) 등에 연결된다.
복강경 시술시, 흡입 관류관(13)의 일측이 복강(B) 내부로 진입하여 장기(S) 등의 시술부위에 접촉하고, 펌프(도시안됨)의 구동시 흡입 관류관(13)의 내부가 음압상태가 되므로 복강(B) 내의 혈액 혹은 용액이 관류공(15)을 통해 흡입되어 흡입덕트(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 관류관(13)은 관류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입 관류관(13)은 후술하는 관류버튼(17)을 조작하는 경우, 관류덕트(23)가 개방됨으로써 별도로 저장된 수액이 펌프(도시안됨)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흡입 관류관(13)을 통하여 신체 내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 관류관(13)의 흡입력에 의하여 장기(S)가 관류공(15)을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스 주입부(4)가 구비된다.
가스 주입부(4)는 관체 형상을 가지며 흡입 관류관(13)을 감싸는 구조이다.
가스 주입부(4)는 흡입 관류관(13)의 외측에 배치되어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가스의 통로가 되는 가스 주입관(11)과; 가스 주입관(11)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h)과; 가스 주입관(11)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덕트(21)를 포함한다. 노즐(h)의 분사방향은 흡입 방향의 반대방향이면서 평행하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가스 주입부(4)에 있어서, 노즐(h)은 가스 주입관(11)의 일측 전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따라서, 가스 주입관(11)으로부터 분사된 가스는 상기 노즐(h)을 통하여 복강(B)내의 장기(S)와 가스 주입부(4)의 사이로 분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스는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탄소(CO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노즐(h)을 통하여 가스가 분사됨으로써 장기(S)가 관류공(15)에 들러붙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노즐(h)은 관류공(15)의 주변에서 가스 주입관(11)의 측면에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스덕트(21)는 외부의 가스 소스와 연결됨으로써 가스가 가스 주입관(11)으로 공급되는 통로가 된다. 이러한 가스덕트(21)는 버튼부(7)에 의하여 개폐가 됨으로써 필요시 가스를 적절하게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가스덕트(21)는 가스 소스와 연결된 배관(40) 및 압력조절부(41)를 거쳐 가스를 공급받는다.
가스 소스는 복강경 수술 시 복강 내로 공급되는 이산화탄소 가스 소스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이산화탄소 탱크를 사용할 수 있다.
버튼부(7)는 흡입덕트(25)와, 관류덕트(23)와, 가스덕트(21)를 개방하거나 차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버튼부(7)는 몸체(3)에 장착되는 하우징(18)과; 하우징(18)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흡입덕트(25)를 개폐하는 흡입버튼(19)과; 하우징(18)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관류덕트(23) 및 가스덕트(21)를 개폐하는 관류/가스버튼(17)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버튼부(7)에 있어서, 상기 흡입버튼(19)은 통상적인 버튼 구조를 갖는다. 즉, 1회 누르면 흡입덕트(25)를 눌러서 폐쇄하고, 다시 1회 누르면 누르는 힘이 해제됨으로써 흡입덕트(25)를 개방하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흡입버튼(19)은 하우징(18)에 지지된다. 흡입버튼(19)의 하부에는 스프링(S2)이 배치되어 상기 흡입버튼(19)을 상향으로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시술자가 흡입버튼(19)을 누르는 경우에는 스프링(S2)이 압축되고, 반대로 흡입버튼(19)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스프링(S2)의 탄력에 의하여 흡입버튼(19)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흡입버튼(19)의 하부 중심부에는 흡입덕트(25)에 접촉하여 흡입덕트(25)를 가압하거나 해제하는 흡입 가압바(47)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흡입 가압바(47)는 시술자가 흡입버튼(19)을 누르는 경우, 하강하여 흡입덕트(25)를 누름으로써 흡입덕트(25)를 폐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시술자가 흡입버튼(19)을 1회 더 누르면, 흡입버튼(19)을 누르는 힘이 해제되고, 흡입버튼(19)은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상승하게 되어 흡입 가압바(47)가 흡입덕트(25)와 접촉상태에서 이탈할 수 있다. 결국, 흡입덕트(25)가 개방됨으로써 복강(B)내의 혈액 혹은 용액이 흡입덕트(25)를 통하여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술자는 흡입버튼(19)을 누르거나 해제함으로써 흡입덕트(25)를 개폐할 수 있다.
관류/가스버튼(17)도 흡입버튼(19)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관류버튼(17)도 하우징(18)에 지지되며, 이 관류버튼(17)의 하부에는 스프링(S1)이 배치됨으로써 관류버튼(17)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관류버튼(17)의 하부에는 2개의 가압바(43,4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2개의 가압바(43,45)는 관류덕트(23)를 가압하거나 해제하는 관류 가압바(45)와; 가스덕트(21)를 가압하거나 해제하는 가스 가압바(43)를 포함한다.
관류 가압바(45)와 가스 가압바(43)는 관류버튼(17)을 누르는 경우 같이 연동하여 승하강한다. 즉, 관류버튼(17)을 누르는 경우, 관류 가압바(45)와 가스 가압바(43)가 동시게 하강함으로써 각각 관류덕트(23)와 가스덕트(21)를 가압하게 된다.
반대로, 관류버튼(17)을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 관류 가압바(45)와 가스 가압바(43)가 동시에 관류덕트(23)와 가스덕트(21)로부터 이탈되어 상승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시술자가 관류버튼(17)을 누르는 경우, 관류덕트(23)가 개방되어 복강(B)내로 수액이 공급되며, 동시에 가스덕트(21)를 통하여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소작부(6)는 흡입 관류관(13)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장기(S) 등에 대하여 전기적인 소작시술을 행할 수 있는 전기봉(37)과; 몸체(3)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시술자가 당기거나 미는 경우 전기봉(37)을 전후진시키는 트리거(Trigger;29)와; 트리거(29)를 몸체(3)에 고정시키는 안전바(33)와; 전기봉(37)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플러그(2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소작부(6)에 있어서, 전기봉(37)은 흡입 관류관(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전기봉(37)의 선단에는 집게턱(J)이 장착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전기 소작을 실시할 수 있다.
전기봉(37)의 후단은 트리거(29)에 연결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트리거(29)를 당기는 경우, 전기봉(37)이 전진함으로써 시술부위로 접근할 수 있다.
트리거(29)는 몸체(3)에 힌지핀에 의하여 장착되며, 트리거(29)의 후방에는 인장스프링(미도시)이 연결되어 몸체(3)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트리거(29)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시술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 인장 스프링(S)에 의하여 뒤로 당겨지게 되므로 전기봉(37)은 후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트리거(29)는 손가락 등으로 이 트리거(29)를 당기는 경우 전기봉(37)이 전진하게 되고, 당기는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전기봉(37)이 인장 스프링(S)에 의하여 후진하게 된다.
전기봉(37)에 의한 소작시술을 지속적으로 행하여야 하는 경우, 안전바(33)에 의하여 트리거(29)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전기봉(37)이 시술부위에 접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안전바(33)는 몸체(3)의 하부에 힌지핀에 의하여 장착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기어산(35)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산(35)은 트리거(29)에 돌출된 돌기(31)에 순차적으로 걸릴 수 있다.
트리거(29)를 일정 각도로 위치시킨 후, 안전바(33)를 회전시켜서 다수의 기어산(35)중 하나의 기어산(35)에 돌기(31)가 걸리게 조작함으로써 트리거(29)가 일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전기봉(37)은 단극 방식 뿐만 아니라 양극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전기봉(37)을 단극방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전기봉(37)의 선단에 장착된 집게턱(J)이 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전기소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전기봉(37)을 양극방식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집게턱(J)의 작동으로 전기소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입관류기를 이용하여 복강경 시술을 하는 과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강경 시술을 하는 경우, 먼저 선단부(5)를 복강(B)내로 진입시키고, 흡입 관류관(13)의 선단이 시술부위에 접촉할 때까지 전진시킨다. 이때, 펌프가 구동됨으로써 흡입 관류관(13) 및 흡입덕트(25)의 내부는 음압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흡입 관류관(13)의 선단이 시술부위에 접촉하면, 흡입 관류관(13) 및 흡입덕트(25) 내부의 음압에 의하여 혈액 혹은 용액이 흡입 관류관(13)을 통하여 흡입되어 배출될 수 있다.
흡입시술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부(7)의 흡입버튼(19)을 누르게 되고, 흡입버튼(19)의 하강에 의하여 흡입 가압바(47)가 하강하여 흡입덕트(25)를 가압한다.
이이 따라, 흡입덕트(25)가 눌려져서 폐쇄되고, 흡입덕트(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됨으로써 흡입시술이 중단될 수 있다.
물론, 흡입시술을 다시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흡입버튼(19)을 누른 힘을 해제하면 흡입버튼(19)이 스프링(S2)의 탄력에 의하여 상승함으로써 흡입 가압바(47)가 흡입덕트(25)로부터 이탈되어 음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흡입시술 중, 장기(S)가 흡입 관류관(13)의 선단에 압력차에 의하여 들러붙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 주입관(11)을 통하여 가스를 복강(B)내로 주입하게 된다.
이러한 가스 주입 과정을 설명하면, 버튼부(7)의 관류버튼(17)을 1회 누르게 되면, 관류덕트(23) 및 가스덕트(21)를 누르고 있던 관류 가압바(45) 및 가스 가압바(43)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관류덕트(23)와 가스덕트(21)가 개방됨으로써 수액 혹은 가스가 복강(B)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수액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라면 가스만이 가스 주입관(11)과 노즐(h)을 통하여 복강(B)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노즐(h)을 통하여 장기(S)와 선단부(5)의 사이로 주입된 가스는 장기(S)가 흡입 관류관(13)의 흡입력에 의하여 관류공(15)을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가스 주입을 중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버튼부(7)의 관류버튼(17)을 한 번 더 누르게 된다. 이와 같이 관류버튼(17)을 한 번 더 누르게 되면 관류 가압바(45) 및 가스 가압바(43)가 하강함으로써 관류덕트(23) 및 가스덕트(21)를 가압하여 폐쇄시킨다.
한편, 전기 소작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안전바(33)를 해제한 후, 트리거(29)를 후방으로 당긴다. 트리거(29)가 당겨지면 전기봉(37)이 전진하여 시술부위에 도달한다. 이때 상기 전기봉(37)에는 전원이 공급된 상태이다.
전기봉(37)이 시술부위에 접촉함으로써 전기소작 시술이 행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흡입버튼(19)의 작동에 의해 가스덕트(21)와 흡입덕트(25)의 개폐가 동시에 결정된다. 흡입 시술 필요시 흡입버튼(19)을 조작하여 흡입과 가스 분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분사에 의해 장기가 관류공(15)을 막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흡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비해 흡입 시술이 간편해 진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스덕트(21)의 개폐와 흡입덕트(25)의 개폐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조작부(버튼부, 7)의 조작에 의해 가스 분사의 유량이 변환한다. 수술 상태 등에 따라 흡입 시 관류공(15)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 분사 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가스 분사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적절한 가스 분사 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가스 분사의 유량을 3단 이상 선택하도록 마련하거나, 가스 분사 유량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서는 노즐(h)이 불균일하게 배치된다. 직경이 큰 노즐(h1)이 3개 인접배치되어 있으며, 직경이 작은 노즐(h2) 5개가 인접배치되어 있다.
노즐(h)의 크기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으며, 관류공(15)은 가스 주입관(11)에 대하여 편심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서는 선단부(5)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노즐(h)외에 가스 주입관(11)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노즐(h3)이 형성되어 있다. 가스 분사 시 노즐(h)과 측면 노즐(h3)에서 동시에 가스가 분사되어 관류공(15)의 부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측면노즐(h3)의 형상, 크기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Claims (11)

  1. 몸체부와;
    신체 내 액체를 관류공을 통해 흡입하거나 신체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흡입 관류관과;
    상기 관류공 주변에서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관류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가스 주입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 관류관 및 상기 가스 주입부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흡입 관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관류공의 둘레에서 가스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3. 제2항에 있어서,
    가스 주입 방향과 흡입방향은 서로 역방향이며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흡입 관류관을 감싸는 관체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부는 흡입 관류관의 외측에 배치되어 감싸는 형상을 갖으며 가스의 통로가 되는 가스 주입관과; 상기 가스 주입관의 일측에 형성되어 가스가 분사되는 노즐과; 상기 가스 주입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덕트를 포함하는 흡입 관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가스 주입과 흡입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흡입 관류관 및 상기 가스 주입부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주입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서로 다른 유량의 가스를 선택적으로 주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관류관의 내측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소작을 실시하는 소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9. 제 1항에 있어서,
    소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작부는 흡입 관류관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전기적인 소작시술을 행할 수 있는 전기봉과; 상기 몸체에 힌지가능하게 장착되어 시술자가 당기거나 미는 경우 전기봉을 전후진시키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를 몸체에 고정시키는 안전바와; 상기 전기봉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봉의 선단에는 집게턱이 구비되어, 벌어지거나 접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11.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흡입 관류기는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관류기.
KR1020130146221A 2013-11-28 2013-11-28 흡입 관류기 KR10154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21A KR101546488B1 (ko) 2013-11-28 2013-11-28 흡입 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6221A KR101546488B1 (ko) 2013-11-28 2013-11-28 흡입 관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897A KR20150061897A (ko) 2015-06-05
KR101546488B1 true KR101546488B1 (ko) 2015-08-21

Family

ID=5349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6221A KR101546488B1 (ko) 2013-11-28 2013-11-28 흡입 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922A (ko) 2017-01-11 2018-07-19 이병갑 전극이 구비된 의료용 흡입 및 세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055B1 (ko) * 2017-10-17 2018-03-0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 및 세척을 위한 외과용 수술기구
KR102244228B1 (ko) 2019-03-28 2021-04-26 주식회사 화인메디 의료용 석션 및 세척 장치
CN110338879B (zh) * 2019-08-09 2024-05-03 刘飞德 一种高通量腹腔镜分离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006B1 (ko) 2000-05-30 2003-06-25 이희영 압축공기를 이용한 출혈점 탐색 및 처리기구
KR200357595Y1 (ko) 2004-04-21 2004-07-30 이두연 내시경 수술용 혈액흡입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006B1 (ko) 2000-05-30 2003-06-25 이희영 압축공기를 이용한 출혈점 탐색 및 처리기구
KR200357595Y1 (ko) 2004-04-21 2004-07-30 이두연 내시경 수술용 혈액흡입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922A (ko) 2017-01-11 2018-07-19 이병갑 전극이 구비된 의료용 흡입 및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897A (ko) 2015-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0410B2 (ja) 結腸洗浄装置
ES2297305T3 (es) Lapiz electro-quirurgico con culata con un aspirador/irrigador manual.
ES2398229T3 (es) Aparato y sistema de accionamiento manual para la pulverización de un sellante de tejidos
EP1991288B1 (en) Endoscopic suction device
AU745353B2 (en) Pneumatic tissue dissector with exhaust system
JP6431847B2 (ja) 瞬間的オン状態または一定のオン状態に設定可能な制御アセンブリを備える医療/外科用洗浄ユニット
KR101546488B1 (ko) 흡입 관류기
US7731713B2 (en) Versatile irrigation system dissector
US7540873B2 (en) Four function microsurgery instrument
JPH07500041A (ja) 最小侵入性外科手術用の多機能型プローブ
DK2841127T3 (en) DEVICE CONTAINING A PIPE HANDLING DEVICE
US20070213667A1 (en) Suction Irrigation Cleaner
JP2011507621A5 (ko)
US20160206369A1 (en) Laparoscopic suction device and method
KR20180082922A (ko) 전극이 구비된 의료용 흡입 및 세척 장치
CN204147118U (zh) 一种握持式钩吸消融电极
KR101477980B1 (ko) 치과용 유니트체어의 에어공급 및 흡입 시스템
JP2010263926A (ja) 内視鏡用注射具
EP0578376A1 (en) Ultrasonic surgical aspirator
WO2010070387A1 (en) Surgical device for washing wounds and surgical sites
JPH10155807A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2358496B1 (ko)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
JP6472078B2 (ja) 内視鏡システム
KR20200109702A (ko) 체내 삽입형 의료 기구 모듈
KR100948311B1 (ko) 전립선 수술용 워터젯의 캐뉼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