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840Y1 - 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840Y1
KR200462840Y1 KR2020100004251U KR20100004251U KR200462840Y1 KR 200462840 Y1 KR200462840 Y1 KR 200462840Y1 KR 2020100004251 U KR2020100004251 U KR 2020100004251U KR 20100004251 U KR20100004251 U KR 20100004251U KR 200462840 Y1 KR200462840 Y1 KR 200462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dust collector
cas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209U (ko
Inventor
김종만
Original Assignee
김종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만 filed Critical 김종만
Priority to KR20201000042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840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8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Abstract

본 고안은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집진기는 작업대의 상측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는 집진기로서,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단 부재에 형성되는 제1 흡입 홀,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의 상단의 둘레가 상기 제1 흡입 홀 주변에 둘레를 따라 맞닿도록 상기 제1 필터의 하단을 받치는 갭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1 필터부, 그리고 상기 분진이 상기 제1 필터로 흡입되도록 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갭 조정 장치는 상기 제1 필터의 상단과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단 부재 하면 사이에 갭(gap)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필터의 높이를 조정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흡입구와 필터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최대한 줄여 필터링 되지 않은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중 필터를 통해 소형 피가공물의 연마 작업 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을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또한 숯이나 활성탄 입자 내부의 수많은 미공에 물로 인한 막이 형성되어 필터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잔여 분진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져 필터의 사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필터링 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을 머금게 하여 가습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공간을 거의 침범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집진기가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기{Dust collector}
본 고안은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치는 자연치아와 그와 연관된 조직이 결손 되었을 때 인공적으로 대치하는 치아보철물을 일컫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틀니나 임플란트 치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의치는 대부분 치과기공소에서 기공되어 각 치과 병의원에 보급되고, 치과에서는 이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아를 치료 및 시술한다.
한편, 의치는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는 한층 정밀한 치수 제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치과기공소에서는 의치의 치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의치의 연마 작업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의치와 같은 소형 피가공물의 연마 작업에서 미세분진은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장기간 반복적으로 연마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이러한 미세분진을 지속적으로 흡입하게 되면, 미세분진이 신체 내에 축적되면서 작업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치과기공소와 같은 소형의 피가공물 연마 작업장 등에는 작업장 내의 여러 곳에 흡입 덕트를 고정 설치해 두고 있으나, 이를 통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분진을 흡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고, 건물 외부 토출 쪽에는 분진이 육안으로 보이며, 도로변이나 주택가에 이러한 분진을 그대로 방출하는 상태로 집진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이와 같이 작업장 내의 여러 곳에 고정 설치된 흡입 덕트를 이용하는 경우 흡입 덕트가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미세 입자를 흡입하게 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는 없었다. 또한 흡입 덕트에 의한 미세 입자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흡입 덕트의 흡입구에 인접한 곳에서 연마 작업을 하여야 한다는 위치적인 제약이 따르게 된다. 그리고 작업 특성상 실내 공기는 지극히 건조할 수밖에 없어 작업자가 미세 분진을 흡입하게 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더욱 어려웠다.
따라서 연마 작업이 이루어지는 보다 가까운 곳에서 바로 분진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분진의 흡입과 동시에 습기를 토출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습도를 유지하여 실내를 쾌적하게 할 수 있는 집진기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작업 공간을 침범하지 않으면서 소형 피가공물의 연마 작업 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함과 동시에 가습 효과를 낼 수 있는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는 작업대의 상측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는 집진기로서,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단 부재에 형성되는 제1 흡입 홀,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의 상단의 둘레가 상기 제1 흡입 홀 주변에 둘레를 따라 맞닿도록 상기 제1 필터의 하단을 받치는 갭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1 필터부, 그리고 상기 분진이 상기 제1 필터로 흡입되도록 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갭 조정 장치는 상기 제1 필터의 상단과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단 부재 하면 사이에 갭(gap)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필터의 높이를 조정한다.
상기 갭 조정 장치는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단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직으로 설치되는 갭 조정 볼트,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의 하단을 받치도록 볼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갭 조정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갭 조정 너트는 연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동에 따라 상기 갭 조정 볼트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갭 조정 너트는 상기 회동의 조작을 위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갭 조정 볼트는 각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캡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제1 흡입 홀과 맞물리도록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캡 홀, 그리고 정면, 측면, 배면 또는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캡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2 캡 홀에 일단이 연결되는 흡입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흡입 홀에 상기 작업대의 하측으로부터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는 하단에 배치되는 금속 받침, 그리고 상기 금속 받침 위에 미리 설정된 두께의 튜브 형태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는 상기 여지 상단에 배치되는 고무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는 집진 에어필터일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는 상기 제1 필터부에서의 필터링 후의 잔여 분진이 필터링 되도록 제2 필터, 그리고 상기 제2 필터가 일면에 형성된 관통구에 배치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제2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잔여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제2 필터가 배치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잔여 분진을 흡착시키는 입자층, 상기 입자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섬유층, 그리고 상기 입자층과 상기 섬유층을 감싸는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자층은 야자활성탄 입자 또는 숯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층은 나노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망은 다이아몬드망 또는 철망일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2 필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일단에 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물 투입관, 상기 물 투입관의 타단과 상측이 연결되는 물통, 일단이 상기 물통의 하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필터의 상측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그리고 상기 제2 필터의 하단에 배치되는 물 받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관은 상기 제2 필터에 물이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타단에 상기 제2 필터가 배치된 수평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물 균등 공급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상기 물통에 투입된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게이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상기 물 공급 장치의 구동과 상기 모터부의 구동이 동시에 시작 또는 종료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는 상기 분진을 일측에서 흡입하여 타측으로 배출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배출관, 그리고 상기 모터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필터가 배치된 방향으로 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2 케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배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케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배출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관은 상기 제1 배출 홀로부터 상기 제2 배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모터와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필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잔여 분진이 상기 제2 필터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단부의 관경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잔여 분진이 상기 제2 필터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필터로 향하는 복수의 관으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작업대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의 하측의 좌우 방향 중 일측에 형성되는 다층 서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상판의 하측의 좌우 방향 중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다층 서랍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작업대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단에 롤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 전방이 개폐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부, 그리고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하우징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는 고무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 필터의 하단에 갭 조정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흡입구와 필터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최대한 줄여 필터링 되지 않은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중 필터를 통하여, 소형 피가공물의 연마 작업 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을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또한 제2 필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숯이나 활성탄 입자 내부의 수많은 미공에 물로 인한 막이 형성되어 필터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제2 필터에 집진되어 있는 잔여 분진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져 제2 필터의 사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제2 필터로부터 필터링 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을 머금게 하여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하는 가습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미세분진이 발생되는 작업대의 상측에서 바로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작업대에 본 발명을 설치함으로써, 작업 공간을 거의 침범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작업대에 롤러 장치가 설치되고 작업대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작업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집진기가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 및 작업환경에 따른 작업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가 설치된 작업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작업대의 서랍과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도어를 제거하여 작업대와 집진기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가 설치된 작업대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가 설치된 작업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VII-V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VIII-V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틀니, 임플란트, 기타 치과보철물과 같이 크기가 작은 소형 피가공물 등의 연마 작업 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을 물이 공급되는 이중 필터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으며, 연마 작업을 위한 테이블과 일체화하여 충분한 작업 공간을 조성하면서도 효율적인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가 설치된 작업대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도어와 작업대의 서랍을 제거하여 작업대와 집진기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가 설치된 작업대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가 설치된 작업대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VI-V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VII-V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VIII-VIII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100)는 작업대(200)의 상측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작업대(200)에 설치되는 집진기(100)로서, 제1 필터(111), 제1 필터(111)가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케이스(113), 제1 케이스(113)의 상단 부재에 형성되는 제1 흡입 홀(110a), 그리고 제1 필터(111)의 상단의 둘레가 제1 흡입 홀(110a) 주변에 둘레를 따라 맞닿도록 제1 필터(111)의 하단을 받치는 갭 조정 장치(117)를 포함하는 제1 필터부(110), 그리고 분진이 제1 필터(110)로 흡입되도록 하는 모터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100)는 제1 필터부(110)에서의 필터링 후의 잔여 분진이 필터링 되도록 제2 필터(121), 그리고 제2 필터(121)가 일면에 형성된 관통구(123b)에 배치되는 제2 케이스(123)를 포함하는 제2 필터부(120)를 더 포함하고, 모터부(130)는 잔여 분진을 흡입하여 제2 필터(121)가 배치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100)는 분진이 흡입되어 1차 필터링 되도록 하는 제1 필터부(110), 1차 필터링 후의 잔여 분진이 2차 필터링 되도록 하는 제2 필터부(120), 그리고 분진이 제1 필터부(110)로 흡입되도록 하고 잔여 분진이 제2 필터부(120)로 배출되도록 하는 모터부(1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작업대(200)의 상측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모터부(130)의 흡입력에 의해 1차적으로 제1 필터부(110)에서 필터링 되도록 하고, 제1 필터부(110)에서 필터링 되고도 여전히 남아있는 미세한 잔여 분진이 모터부(130)의 배출력에 의해 제2 필터부(120)를 통과하도록 하여 2차적으로 필터링 되도록 한다.
또한 도 2를 참고하면, 제1 필터(111)에서 1차 필터링 되고도 남아 있는 미세한 잔여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제1 케이스(113), 캡 하우징(119), 그리고 제2 케이스(123)는 통공된 연결부(110a, 110b, 110c, 120a, 119a, 119b)를 제외하고는 밀폐성이 갖추어져야 한다. 1차 필터링 후 제1 케이스(113)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잔여 분진은 모터부(130)의 흡입력에 의해 빨아들여져 제2 케이스(123) 일면의 제2 필터(121)로 배출되어 2차 필터링 된다.
이와 같은 이중 필터를 통하여, 소형 피가공물의 연마 작업 시 발생되는 미세분진을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도 3, 도 9를 참고하면, 제1 케이스(113)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113d), 전방이 개폐되도록 하우징(113d)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 도어(113a), 제1 도어(113a)의 개폐를 위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부(113b), 그리고 제1 도어(113a)와 하우징(113d)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는 고무 패드(113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어(113a)는 걔폐를 위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부(113b)는 이를테면 매미고리일 수 있다. 또한 제1 도어(113a)를 통하여 제1 케이스(113)의 내부 청소나 제1 필터(111)의 교체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2, 도 3, 도 6, 그리고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무 패드(113c)의 설치는 제1 도어(113a)의 설치로 인해 제1 케이스(113)의 밀폐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힌지부(113b)의 구조상 힌지부(113b)가 설치된 제1 케이스(113)와 제1 도어(113a) 사이의 부분에는 틈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특히 이 부분에는 고무 패드(113c)와 같은 밀폐 장치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케이스(113)에는 제1 도어(113a)에 대한 잠금 장치 등이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23) 역시 전방이 개폐되도록 하는 제2 도어(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어(123a)도 제1 도어(113a)와 유사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기존의 다른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도 2, 도 3, 도 5, 그리고 도 6을 참고하면, 제1 필터부(110)는 제1 케이스(113)의 상단에 형성되는 캡 하우징(119)을 더 포함하고, 캡 하우징(119)은 제1 흡입 홀(110a)과 맞물리도록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캡 홀(119a), 그리고 정면, 측면, 배면 또는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캡 홀(119b)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필터부(110)는 제2 캡 홀(119b)에 일단이 연결되는 흡입관(1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관(115)은 작업대(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흡입 홀(110b)에 작업대(200)의 하측으로부터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릎 서랍(250)의 뒷면에는 흡입관(115)이 무릅 서랍(25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2 흡입 홀(110b)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서랍 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흡입 홀(110b)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앞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러한 제2 흡입 홀(110b)에 흡입관(115)이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 무릎 서랍(250)의 뒷면에는 서랍 홈(25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흡입 홀(110b)의 위치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정해지는 것은 아니며, 작업 편의성을 고려하여 작업대(200)의 상판(210) 상의 적절한 위치로 조절될 수도 있다.
참고로, 제1 흡입홀(110a) 및 제2 흡입홀(110b) 구성의 명칭에 있어서 "제1", "제2"는 분진의 흡입 흐름 순서에 상관없이 부여된 것이며, 제1 캡 홀(119a) 및 제2 캡 홀(119b) 또한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흡입 홀(110b)에 휴대용 연결호스를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휴대용 연결호스를 진공 청소기와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작업대(200)의 상측에서 발생하는 분진은 작업대(2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흡입 홀(110b)을 통해 흡입관(115)으로 흡입되어 제2 캡 홀(119b)을 통해 캡 하우징(119)에 도달한다. 다음으로 분진은 캡 하우징(119)으로부터 서로 맞닿아 있는 제1 캡 홀(119a), 제1 흡입 홀(110a)을 통과하여 제1 필터(111) 내부로 빨려 들어가 1차 필터링이 진행된다.
또한 분진이 제2 흡입 홀(110b)로 쉽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2 흡입 홀(110b)의 주변에는 가이드 하우징이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가이드 하우징은 전방이나 전방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전방에서 발생되는 분진에 대한 흡입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갭 조정 장치(117)는 제1 필터(111)와 제1 흡입 홀(110a)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장치로, 제1 필터(111)의 상단의 둘레가 제1 흡입 홀(110a) 주변에 둘레를 따라 밀착되도록 상기 제1 필터의 하단을 받치면서 제1 필터(111)의 설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즉 갭 조정 장치(117)는 제1 필터(111)의 상단과 제1 케이스(113)의 상단 부재 하면 사이에 갭(gap)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 필터(111)의 높이를 조정한다.
이러한 갭 조정 장치(117)는 제1 케이스(113)의 하단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대(117c), 지지대(117c)에 연직으로 설치되는 갭 조정 볼트(117b), 그리고 제1 필터(111)의 하단을 받치도록 볼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갭 조정 너트(117a)를 포함하고, 갭 조정 너트(117a)는 연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동에 따라 갭 조정 볼트(117b)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필터(111)의 하단에 갭 조정 장치(117)를 배치함으로써, 흡입구와 필터 사이에 발생되는 갭을 최대한 줄여 필터링 되지 않은 분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구와 필터 사이에 고무 패드(111c)(도 2 및 도 6 참고) 등의 추가적인 설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조작 편의성을 위해 갭 조정 너트(117a)는 회동의 조작을 위한 레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갭 조정 볼트(117b)는 각 볼트일 수 있다. 다만 높이에 따라 갭이 조정되는 정도를 고려하여 각볼트 이외에 다른 종류의 볼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케이스(113)의 내부에 제1 흡입 홀(110a)과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1 필터(111)를 살펴보면, 도 2, 도 3, 도 6, 그리고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필터(111)는 하단에 배치되는 금속 받침(111a), 금속 받침(111a) 위에 미리 설정된 두께의 튜브 형태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여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필터(111)는 여지(111b) 상단에 배치되는 고무 패드(11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무 패드(111c)를 통해 분진이 새어나갈 수 있는 틈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갭 조정 장치(117)에 의해 제1 필터(111)의 높이가 조정되면서 분진이 새어나갈 수 있는 틈이 최소화되지만, 확실하게 틈을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무 패드(111c)가 여지(111b) 상단에 배치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필터(111)는 집진 에어필터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집진에 사용되는 규격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갭 조정 장치(117)에 의해 여러 종류의 일반적인 규격 필터에 대해 소정의 높이는 조정될 수 있다. 다만, 갭 조정 장치(117)는 비슷한 규격의 필터에 대해 필터의 상단에 분진이 새어 나갈 수 있는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무 패드(111c) 등의 추가적인 부착을 최소화하는 것이 주목적인 장치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갭 조정 장치(117)의 형태를 달리하여 여러 가지 규격의 필터의 높이 조정에 대한 적용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갭 조정 장치(117)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갭 조정 장치(117)에 의해 제1 필터(111)가 제1 흡입 홀(110a) 방향으로 밀착될 때 갭 조정 장치(117)로부터의 상향력을 제1 필터(111)에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제1 필터(111)에는 강성이 큰 금속 받침(111a)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여지(111b) 부분은 제1 흡입 홀(110a)에 밀착되더라도 여지(111b)의 특성상 분진이 새어나갈 틈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제1 필터(111)의 상단에는 소정의 강성을 지닌 필터 상단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필터(121)는 잔여 분진을 흡착시키는 입자층(121a), 입자층(121a)의 양면에 형성되는 섬유층(121b), 그리고 입자층(121a)과 섬유층(121b)을 감싸는 망(121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자층(121a)은 야자활성탄 입자 또는 숯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야자활성탄이란 야자열매의 껍질 등을 숯을 만드는 것과 유사한 일정공정을 거쳐 활성탄으로 만든 것으로, 숯처럼 시꺼멓게 생겼으며 미세한 물질들을 흡착시키는 성질이 있어 오염물질의 여과와 냄새 제거를 위해 사용된다. 숯이나 야자활성탄 같은 입자가 갖는 강한 흡착력을 갖는 이유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엄청난 양의 미공 때문이다(야자활성탄의 미공은 1g당 서울 운동장 크기인 약 1,200제곱미터 정도).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이라는 분자간의 상호 인력이 작용하여 오염물질을 끌어당겨 숯 또는 야자활성탄 입자 내부의 미공으로 흡착하여 버림으로써, 공기를 필터링하는 자연 정화 방식이다. 또한 이러한 입자의 직경은 1~2mm 정도로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섬유층(121b)은 나노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섬유는 지름이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에 불과한 초극세(超極細)실로서,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필터용으로 쓰면 탁월한 여과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망(121c)은 다이아몬드망 또는 철망일 수 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망이나 철망을 통해 제2 필터(121)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잔여 분진에 대한 제2 필터(121)의 흡착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도 2, 도 3, 그리고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필터부(120)는 제2 필터(12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 그리고 도 8을 참고하면, 물 공급 장치(140)는 일단에 물 투입구(141a)를 포함하는 물 투입관(141), 물 투입관(141)의 타단과 상측이 연결되는 물통(143), 일단이 물통(143)의 하측과 연결되어 제2 필터(121)의 상측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145), 그리고 제2 필터(121)의 하단에 배치되는 물 받침(149)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 투입구(141a)는 도 1, 도 2, 그리고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113)와 제2 케이스(123)의 사이의 작업대(200) 상판(2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물통(143)으로의 물 투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되도록 높은 곳에 물 투입구(141a)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필터(121)의 상측에 물이 공급되면 제2 필터(121)에 흡수되고 남은 물이 제2 케이스(123)의 바닥에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제2 필터(121)의 하단에는 물 받침(149)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물 공급관(145)은 제2 필터(121)에 물이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타단에 제2 필터(121)가 배치된 수평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복수의 홀(147a)이 형성되는 물 균등 공급기(14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8 그리고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필터(121)는 직사각형의 형상에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넬 형태이므로, 이러한 제2 필터(121)에 물이 균등하게 공급되려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복수의 홀(147a)이 형성되는 물 균등 공급기(147)가 필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필터(12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140)를 배치함으로써, 숯이나 활성탄 입자 내부의 수많은 미공에 물로 인한 막이 형성되어 필터링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고, 제2 필터(121)에 집진되어 있는 잔여 분진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져 제2 필터(121)의 사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제2 필터(121)로부터 필터링 되어 배출되는 공기에 수분을 머금게 하여 공기를 더욱 쾌적하게 하는 가습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 그리고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물 공급 장치(140)는 물통(143)에 투입된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게이지 장치(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작업대(200)의 다층 서랍부(220)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물통(143)이 안보이더라도 물통(143)에 담겨 있는 물의 양을 이러한 게이지 장치(151)를 통하여 체크하면서 물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물 공급 장치(140)는 물 공급 장치(140)의 구동과 모터부(130)의 구동이 동시에 시작 또는 종료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 장치(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장치(153)는 모터부(130)의 구동 여부(On/Off)를 선택적으로 제어함과 동시에, 모터부(130)의 구동이 시작될 때에는 물 공급 장치(140)의 구동도 시작되고, 모터부(130)의 구동이 종료될 때에는 물 공급 장치(140)의 구동도 종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터부(130)가 구동될 때에만 제1 필터(111) 및 제2 필터(121)에 집진이 이루어지므로, 제2 필터(121)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잔여 분진을 보다 잘 흡착하도록 하고 잔여 분진을 세척하는 역할을 하는 물 공급 장치(140) 역시 모터부(130)가 구동될 때에만 구동되면 되기 때문이다.
다만 모터부(130)와 물 공급 장치(140)가 반드시 동시에 구동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를테면 모터부(130)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에서 물 공급 장치(140)만 구동시켜 제2 필터(121)를 세척하는 동작 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위치 장치(153)가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러한 물 공급 장치(140)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서는 물 받침(149)의 측면 하단이나 하면을 통공하여 퇴수관(149a)을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이를테면 모터부(130)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에서 물 공급 장치(140)만 구동시켜 제2 필터(121)를 세척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퇴수관(149a) 끝단에 부착된 퇴수 마개(149b)를 열어 물을 받아 내고, 정상적인 집진 구동이 이루어질 때에는 퇴수 마개(149b)로 퇴수관(149a) 끝단을 막아둘 수 있다. 또한 물 받침(149)에 고인 물이 퇴수관(149a)을 통해 원활하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물 받침(149)의 내측 바닥은 퇴수관(149a)이 형성된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도 3, 도 8, 그리고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터부(130)는 분진을 일측에서 흡입하여 타측으로 배출하는 모터(131), 모터(13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배출관(133), 그리고 모터(131)의 타측으로부터 제2 필터(121)가 배치된 방향으로 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배출관(1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부(110)는 제2 케이스(123)와 마주하는 제1 케이스(113)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배출 홀(110c)을 더 포함하고, 제2 필터부(120)는 제1 케이스(113)와 마주하는 제2 케이스(123)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배출 홀(120a)(도 9 참고)을 더 포함하며, 제1 배출관(133)은 제1 배출 홀(110c)로부터 제2 배출 홀(120a)을 관통하여 제2 케이스(123) 내부로 삽입되어 모터 흡입구인 모터(131)의 일측에 연결되고, 모터(131)와 제2 배출관(135)은 제2 케이스(12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배출관(133)은 제1 케이스(113)의 측면에 부착되어 제1 케이스(113) 내부에 제1 필터(111)에 의해 1차 필터링 되고 남아 있는 잔여 분진을 모터(131) 쪽으로 배출시킨다. 제1 케이스(113)의 입장에서는 잔여 분진을 배출시키는 것이지만 모터(131)의 입장에서는 잔여 분진을 흡입하는 상황이 된다. 제2 케이스(123) 내부에 배치된 모터(131) 쪽으로 흡입된 잔여 분진은 제2 배출관(135)을 타고 제2 필터(121) 쪽으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 2차 필터링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관(135)은 제2 필터(121)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가 제2 필터(12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필터(121)의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잔여 분진이 필터링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거리라 함은 제2 필터(121)의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잔여 분진이 필터링 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있는지 여부와 제2 필터(121)로 잔여 분진이 충분한 속도를 갖고 도달할 수 있을 만큼 가까운지 여부를 모두 고려하여 결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2, 도 3, 도 8,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배출관(135)은 잔여 분진이 제2 필터(121)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단부의 관경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장될 수 있다. 이 또한 제2 필터(121)의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잔여 분진이 필터링 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미리 설정된 크기라 함은 제2 필터(121)의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잔여 분진이 필터링 될 수 있도록 단부의 관경이 확장되어 있는지 여부와 제2 필터(121)로 잔여 분진이 충분한 속도를 갖고 도달할 수 있을 만큼 단부의 관경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모두 고려하여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배출관(135)은 잔여 분진이 제2 필터(121)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단부가 제2 필터(121)로 향하는 복수의 관으로 분기될 수 있다. 이 또한 제2 필터(121)의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잔여 분진이 필터링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관으로의 분기 역시 제2 필터(121)의 전체에 걸친 고른 필터링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와 잔여 분진의 제2 필터(121)로의 도달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대(200)는 상판(210), 그리고 상판(210)의 하측의 좌우 방향 중 일측에 형성되는 다층 서랍부(220)를 포함하고, 제1 케이스(113)는 상판(210)의 하측의 좌우 방향 중 타측에 배치되고, 제2 케이스(123)는 다층 서랍부(2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작업하는 공간 쪽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케이스(123)는 다층 서랍부(220) 중 가장 아래 서랍부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3)는 도 6에서 보았을 때 제1 케이스(113)의 단면이 우측, 즉 작업대(200)의 안쪽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다리를 되도록 편안히 놓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작업 공간을 거의 침범하지 않는 한도에서, 분진이 주로 발생하는 작업대(200)의 상면과 최대한 가깝도록 작업대(200)의 하측에 제1 케이스(113)와 제2 케이스(123)를 배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미세분진이 발생되는 작업대(200)의 상측에서 바로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작업대(200)에 본 발명(100)을 설치함으로써, 작업 공간을 거의 침범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효율적인 집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작업대(20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존의 작업대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설치를 위해 개별적으로 제작된 작업대일 수도 있다. 반대로 생각하면, 작업대(200)의 형태에 맞추어 본 발명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1, 도 2,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200)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단에 롤러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롤러 장치(230)는 캐스터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대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집진기가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200)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 도 2, 그리고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업대(200)는 하단에 높이 조절 장치(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 장치(240)는 롤러 장치(230)의 상단에 롤러 장치(230)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높이 조절 장치(240)는 작업대(200)의 하단에 소정의 길이만큼 삽입되어 연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트와 이러한 볼트를 제어하는 노브(knob)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공기 압축식 높이 조절 장치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높이 조절 장치(240)는 작업대(200)의 하중, 높이 조절 빈도 등을 고려하여 내구성과 사용성이 적합한 구성으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 장치(240)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및 작업환경에 따른 작업대의 높이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집진기 110. 제1 필터부
110a. 제1 흡입 홀 110b. 제2 흡입 홀
110c. 제1 배출 홀 111. 제1 필터
111a. 금속 받침 111b. 여지
111c. 고무 패드 113. 제1 케이스
113a. 제1 도어 113b. 힌지부
113c. 고무 패드 113d. 하우징
115. 흡입관 117. 갭 조정 장치
117a. 갭 조정 너트 117b. 갭 조정 볼트
117c. 지지대 119. 캡 하우징
119a. 제1 캡 홀 119b. 제2 캡 홀
120. 제2 필터부 120a. 제2 배출 홀
121. 제2 필터 121a. 입자층
121b. 섬유층 121c. 망
123. 제2 케이스 123a. 제2 도어
123b. 관통구 130. 모터부
131. 모터 133. 제1 배출관
135. 제2 배출관 140. 물 공급 장치
141. 물 투입관 141a. 물 투입구
143. 물통 145. 물 공급관
147. 물 균등 공급기 147a. 복수의 홀
149. 물 받침 149a. 퇴수관
149b. 퇴수 마개 151. 게이지 장치
153. 스위치 장치 200. 작업대
210. 상판 220. 다층 서랍부
230. 롤러 장치 240. 높이 조절 장치
250. 무릎 서랍 251. 서랍 홈

Claims (28)

  1. 작업대의 상측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는 집진기로서,
    제1 필터, 상기 제1 필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단 부재에 형성되는 제1 흡입 홀,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의 상단의 둘레가 상기 제1 흡입 홀 주변에 둘레를 따라 맞닿도록 상기 제1 필터의 하단을 받치는 갭 조정 장치를 포함하는 제1 필터부, 그리고
    상기 분진이 상기 제1 필터로 흡입되도록 하는 모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갭 조정 장치는 상기 제1 필터의 상단과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단 부재 하면 사이에 갭(gap)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필터의 높이를 조정하는 집진기.
  2. 제1항에서,
    상기 갭 조정 장치는
    상기 제1 케이스의 하단 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직으로 설치되는 갭 조정 볼트,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의 하단을 받치도록 볼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갭 조정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갭 조정 너트는 연직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동에 따라 상기 갭 조정 볼트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집진기.
  3. 제2항에서,
    상기 갭 조정 너트는 상기 회동의 조작을 위한 레버를 포함하는 집진기.
  4. 제2항에서,
    상기 갭 조정 볼트는 각 볼트인 집진기.
  5. 제1항에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상단에 형성되는 캡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 하우징은
    상기 제1 흡입 홀과 맞물리도록 하면에 형성되는 제1 캡 홀, 그리고
    정면, 측면, 배면 또는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캡 홀을 포함하는 집진기.
  6. 제5항에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2 캡 홀에 일단이 연결되는 흡입관을 더 포함하는 집진기.
  7. 제6항에서,
    상기 흡입관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2 흡입 홀에 상기 작업대의 하측으로부터 타단이 연결되는 집진기.
  8. 제1항에서,
    상기 제1 필터는
    하단에 배치되는 금속 받침, 그리고
    상기 금속 받침 위에 미리 설정된 두께의 튜브 형태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여지를 포함하는 집진기.
  9. 제8항에서,
    상기 제1 필터는 상기 여지 상단에 배치되는 고무 패드를 더 포함하는 집진기.
  10. 제1항에서,
    상기 제1 필터는 집진 에어필터인 집진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제1 필터부에서의 필터링 후의 잔여 분진이 필터링 되도록 제2 필터, 그리고 상기 제2 필터가 일면에 형성된 관통구에 배치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는 제2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는 상기 잔여 분진을 흡입하여 상기 제2 필터가 배치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집진기.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필터는
    상기 잔여 분진을 흡착시키는 입자층,
    상기 입자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섬유층, 그리고
    상기 입자층과 상기 섬유층을 감싸는 망을 포함하는 집진기.
  13. 제12항에서,
    상기 입자층은 야자활성탄 입자 또는 숯 입자를 포함하는 집진기.
  14. 제12항에서,
    상기 섬유층은 나노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망은 다이아몬드망 또는 철망인 집진기.
  15. 제11항에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2 필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 장치를 더 포함하는 집진기.
  16. 제15항에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일단에 물 투입구를 포함하는 물 투입관,
    상기 물 투입관의 타단과 상측이 연결되는 물통,
    일단이 상기 물통의 하측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필터의 상측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관, 그리고
    상기 제2 필터의 하단에 배치되는 물 받침을 포함하는 집진기.
  17. 제16항에서,
    상기 물 공급관은 상기 제2 필터에 물이 균등하게 공급되도록 타단에 상기 제2 필터가 배치된 수평 방향을 따라 하향으로 복수의 홀이 형성되는 물 균등 공급기를 포함하는 집진기.
  18. 제16항에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상기 물통에 투입된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게이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집진기.
  19. 제15항에서,
    상기 물 공급 장치는 상기 물 공급 장치의 구동과 상기 모터부의 구동이 동시에 시작 또는 종료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 장치를 더 포함하는 집진기.
  20. 제11항에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분진을 일측에서 흡입하여 타측으로 배출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배출관, 그리고
    상기 모터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필터가 배치된 방향으로 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배출관을 포함하는 집진기.
  21. 제20항에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상기 제2 케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배출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상기 제1 케이스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2 배출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출관은 상기 제1 배출 홀로부터 상기 제2 배출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케이스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모터와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제2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는 집진기.
  22. 제20항에서,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필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집진기.
  23. 제20항에서,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잔여 분진이 상기 제2 필터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단부의 관경이 미리 설정된 크기로 확장되는 집진기.
  24. 제20항에서,
    상기 제2 배출관은 상기 잔여 분진이 상기 제2 필터로 균등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단부가 상기 제2 필터로 향하는 복수의 관으로 분기되는 집진기.
  25. 제11항에서,
    상기 작업대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의 하측의 좌우 방향 중 일측에 형성되는 다층 서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상판의 하측의 좌우 방향 중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다층 서랍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집진기.
  26. 제11항에서,
    상기 작업대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단에 롤러 장치를 포함하는 집진기.
  27. 제11항에서,
    상기 작업대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집진기.
  28. 제11항에서,
    상기 제1 케이스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
    전방이 개폐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 도어,
    상기 제1 도어의 개폐를 위한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부, 그리고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하우징이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는 고무 패드를 포함하는 집진기.
KR2020100004251U 2010-04-22 2010-04-22 집진기 KR200462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51U KR200462840Y1 (ko) 2010-04-22 2010-04-22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51U KR200462840Y1 (ko) 2010-04-22 2010-04-22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09U KR20110010209U (ko) 2011-10-28
KR200462840Y1 true KR200462840Y1 (ko) 2012-10-05

Family

ID=47560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51U KR200462840Y1 (ko) 2010-04-22 2010-04-22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8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901B1 (ko) 2017-05-31 2018-06-27 우승현 치과기공소의 집진시스템
KR102589479B1 (ko) 2023-02-21 2023-10-1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개량된 흡입구조를 갖는 치기공용 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832B1 (ko) * 2017-06-16 2019-08-02 주식회사 동아이엔씨 차량용 선택적 환원촉매 저감장치 재생 청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44Y1 (ko) 2005-02-14 2005-05-27 (주)일흥 용접흄용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744Y1 (ko) 2005-02-14 2005-05-27 (주)일흥 용접흄용 집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901B1 (ko) 2017-05-31 2018-06-27 우승현 치과기공소의 집진시스템
KR102589479B1 (ko) 2023-02-21 2023-10-1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개량된 흡입구조를 갖는 치기공용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09U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85808U (zh) 打磨工作台
KR200462840Y1 (ko) 집진기
JP6699963B2 (ja) 加湿機
KR102256116B1 (ko) 살균및탈취공조장치
KR20200133889A (ko) 공기청정기
JP7442279B2 (ja) 空気清浄機
JP4651741B2 (ja) 脱臭装置
JP2023153853A (ja) 空気処理装置
KR20210141187A (ko) 재단테이블
KR102474396B1 (ko)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KR20160113338A (ko) 정비공장용 비산먼지 포집 및 집진기
KR100972916B1 (ko) 치과용 이동식 집진기
CN211867334U (zh) 一种具有吸尘功能的建筑施工用墙面打磨装置
CN205514990U (zh) 口腔外抽吸机
CN211615068U (zh) 一种不锈钢管的打磨装置
KR200436110Y1 (ko) 집진장치가 구비된 테이블
CN212339506U (zh) 一种具有去甲醛功能的空气净化机
KR200420197Y1 (ko) 치과 유닛 체어 장착용 분진 처리장치
CN105757812A (zh) 湿式空气吸附净化消毒装置及方法
KR100917128B1 (ko) 기능성 책상
CN205988376U (zh) 一种医用电动扫床器
JPH1170307A (ja) 集塵装置
CN114832529B (zh) 一种车用高效消毒-臭氧毁灭一体空气滤芯及其生产设备
KR102172487B1 (ko) 공기청정기
CN216827642U (zh) 一种口罩生产用的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