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068B1 -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068B1
KR100670068B1 KR1020060009385A KR20060009385A KR100670068B1 KR 100670068 B1 KR100670068 B1 KR 100670068B1 KR 1020060009385 A KR1020060009385 A KR 1020060009385A KR 20060009385 A KR20060009385 A KR 20060009385A KR 100670068 B1 KR100670068 B1 KR 100670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air
neck
connecto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9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욱
Original Assignee
최승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욱 filed Critical 최승욱
Priority to KR1020060009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0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068B1/ko
Priority to PCT/KR2007/000489 priority patent/WO20070890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7Dust removing devices on working places in dental laboratories, e.g. working by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는, 양 측면에 고무밴드(111) 및 브러시(112)로 이루어져 형성된 1쌍의 손 투입부(110)와, 작업 중 발생된 분진을 배출하는 넥 연결구(140)와, 내부 조사를 위한 조명 수단(130)이 내부 일 측에 장착되고 하부 면에 회전 가능한 볼 캐스터(ball caster)(160)를 구비한 헤드부(100); 상기 헤드부(100)에서 발생된 분진을 흡입하되 접철 및 휨이 가능한 자바라식으로 이루어진 넥(200); 상기 넥(200)과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넥 연결관(311) 및,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순환을 촉진하는 에어 흡입구(320,330)로부터 연결된 연결관(321,331)과, 상기 넥 연결관(311)과 상기 연결관(321,331)을 통합하여 하나로 이루어지되 연장 일 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메인 연결관(340), 상기 메인 연결관(340)의 하부에 마련된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분진 수납함(380)과, 상기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 상방에서 일 측으로 연장된 관을 통해 미세 분진을 유입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기(390) 및, 상기 공기정화기(390)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 배출관(391)과, 상기 연결관(321,331) 및 메인 연결관(34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공기의 순환을 이루는 팬(360)으로 이루어진 몸체(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PORTABLE DENTAL DEVICE OF TREATING DU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의 몸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의 헤드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의 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의 외부 배출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헤드부 300: 몸체
110: 손 투입부 310: 넥 연결구
120: 볼록렌즈부 320: 제 1 에어흡입구
130: 조명수단 330: 제 2 에어흡입구
140: 넥 연결구 340: 메인연결관
160: 볼 캐스터 348: 격벽
170: 조작패널 349: 먼지 거름부
190: 깔때기 360: 팬
200: 넥 380: 먼지 수납함
390: 여과처리수단 400: 공기분사기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치과에서 사용하는 간이 테이블 등에 용이하게 안착되거나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공기분사장치와의 유기적인 결합을 이루어 사용 상의 획기적인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분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의 진료 중 임시치아제작에 있어서 그 구성성분인 레진분말과 화학액을 섞어서 경화된 다음 환자의 치아 형태에 맞게 제작하는 과정에서 삭제형기구로 깎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유해성 화학물질이 발생하며, 엄청난 분진이 발생하여 환자와 진료자의 호흡기로 무차별 흡입되고 있다.
또한 틀니장착 환자들에게서도 새 틀니 제작과정에서든지 아니면 기존의 틀니를 수리하는데 있어서 삭제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이때도 역시 다량의 분진과 화학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환자와 진료인의 호흡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특히 틀니를 삭제하게 될 때는 틀니 내에 부착되어 있던 단단한 유해한 세균덩어리들이 삭제되면서 공기 중에 여과 없이 그대로 환자와 진료자의 호흡기에 직접적인 감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치과의 특수한 작업 시 발생하는 애로사항 때문에 분진제거기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러한 분진제거장치는 치과 의사가 틀니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한 헤드부가 세면대 등에 안착되어 세면대의 하부에 모터를 장착하여 모터의 동력으로 분진을 흡입한 다음 여과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공지의 분진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불필요한 삭제기구를 따로 장착해야 하므로 가격이 비싸고,
2) 필요 이상으로 부피가 큰 모터의 회전으로 소음이 크며,
3) 전체적인 부피가 크고 치과 진료실의 구조상 이동이 매우 불편하여 환자가 유닛체어에 착석한 상태에서 분진 처리 작업을 주변에서 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고,
4) 바닥면에 바퀴를 장착하여 적절한 위치로 설령 옮긴다 하더라도 헤드부위가 세면대 등의 구조물에 고정 안착되어야 하는 관계로 인해 진료인의 키, 체형에 따라 작업하기가 매우 힘들게 되고 동시에 2인 이상을 진료하는 경우가 빈번한 진료 상의 특징에 전혀 부응되지 못할 뿐 아니라,
5) 삭제하고자 하는 타겟 부위에서 이미 깎여진 분진이 없어져야 삭제작업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 옆에서 보조 인력이 고압공기로 분사해주어야 하는데 공기 분사기가 일체화되어 있지 관계로 반드시 보조 인력을 필요로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되고 인력의 낭비가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중 헤드부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개량된 것으로, 국내 공개 실용신안 공보 제 96-13372호 "치과의 분진흡입용 의치가공 작업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모터가 내장된 몸체와 깔때기판을 주름호스로 연결하여 깔때기판의 이동성을 보장함으로 작업의 편의성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고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은 이미 일본 등에 존재하여 거절이 된 상태이고 단순히 주름호스로 깔때기판을 몸체에 연결한 것 이외에 기존의 부피가 큰 몸체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문제점을 적절히 극복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더불어, 일본 특허 공보 등에서 헤드부의 개량 기술 내지 몸체의 분진 처리 기술에 관해 다수의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역시 공기분사장치와의 일체화를 꾀하거나 몸체 자체의 이동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지지 못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헤드부와 몸체의 부피를 줄여 휴대성 및 이동성을 확장하되, 단순히 부피만을 줄인 것이 아니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 처리 모터를 없애도 내장 모터가 구비된 팬의 회전으로 분진을 원활히 흡입할 수 있고 수납된 분진을 처리하기 간편한 분진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드부에 조명을 장착하여 치과 의사의 작업 효율을 증가함과 동시에 분진 량이 적은 경우 몸체의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편리하게 분진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화된 분진을 여과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을 마련하여 공기 정화를 동시에 이루고, 공기 분사장치와의 일체화를 추구하되 몸체에서 여과된 공기를 재활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동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몸체와 헤드부 등이 서로 분리가 가능하여 청소가 용이할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작업 용구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공간 활용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는, 양 측면에 고무밴드(111) 및 브러시(112)로 이루어져 형성된 1쌍의 손 투입부(110)와, 전면 외측에 정밀 시야 확보를 위해 장착된 볼록렌즈부(120) 및, 작업 중 발생된 분진을 배출하는 넥 연결구(140)와, 내부 조사를 위한 조명 수단(130)이 내부 일 측에 장착되고 하부 면에 회전 가능한 볼 캐스터(ball caster)(160)를 구비한 상태에서,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치과용 보형물을 작업자가 내부에서 작업할 수 있는 헤드부(100); 상기 헤드부(100)에서 발생된 분진을 흡입하되 접철 및 휨이 가능한 자바라식으로 이루어진 넥(200); 상기 넥(200)과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넥 연결관(311) 및,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순환을 촉진하는 에어 흡입구(320,330)로부터 연결된 연결관(321,331)과, 상기 넥 연결관(311)과 상기 연결관(321,331)을 통합하여 하나로 이루어지되 연장 일 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메인 연결관(340), 상기 메인 연결관(340)의 하부에 마련된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분진 수납함(380)과, 상기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 상방에서 일 측으로 연장된 관을 통해 미세 분진을 유입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기(390) 및, 상기 공기정화기(390)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 배출관(391)과, 상기 연결관(321,331) 및 메인 연결관(34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공기의 순환을 이루는 팬(360)으로 이루어진 몸체(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100)의 넥 연결구(140)에는 절곡 파이프(180)가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넥 연결구(140)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곡 파이프(180)의 상면에는 깔때기(190)가 안착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몸체(300)에서 상기 외부 배출관(391)으로 연장되는 일 측 지점에서 격벽(348)으로 구획됨으로 상기 외부 배출관(391)과 구분되어 상기 몸체(300) 내측으로 유통 연장되어 있는 분사 연결관(343);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분사 연결관(343)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팬(3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 연결관(343)의 외부 돌출 단부에는 나사산(345)이 형성되어 공기분사기(4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되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처리장치는 크게 헤드부(100)와 몸체(300), 이들을 연결하는 넥(neck)(200)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를 순서대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00)는 통상 작업자라 할 수 있는 치과의사가 틀니 등의 보형물을 작업할 때 사용되는 공간으로 틀니 등을 내부에 수용한 다음 공기 내지 워터 분사장치로부터 틀니를 청소하거나 기타의 장치로 삭제를 하는 곳으로 활용된다.
헤드부(100)는 치과의 작업 테이블에 올려놓거나 아니면 치과의사의 무릎 등에서도 작업이 용이하기에 적절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더불어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넥(200)으로부터 헤드 부위가 부각되어 구성되어 있는데 넥(20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헤드부(100)는 투명 합성수지재,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투명하게 이루어져 외부에서 내부가 식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헤드부(100)의 양측에는 작업을 위해 치과의사의 손이 투입될 수 있는 1쌍의 손 투입부(11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손 투입부(100)는 대략적으로 원형 내지 타원형의 외주면을 따라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어 있는 고무밴드(110)와 이 고무밴드(110)의 내측 종단에 방사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복수 개의 브러시(112)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치과의사의 손이 헤드부(100) 내측으로 투입되었을 때 발생될 수 있는 공간으로 분진 등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고무밴드(111)의 탄성으로 투입된 손이 고무밴드(111)에 맞물리게 되되, 만일 고무밴드(111)가 너무 탄성이 강할 경우 작업자의 손이 아플 수도 있기 때문에 손 투입부(110)의 중심부 주변에는 부드러운 브러시(112)가 방사형으로 무수히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의사의 손이 헤드부(100)의 내부로 투입되어도 손과 손 투입부(110) 사이에서 공간이 발생될 수 있는 여지를 없앨 수가 있다.
헤드부(100)의 전면에서 일정 부위에는 볼록렌즈부(120)가 구비되어 내부를 보다 용이하고 정밀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볼록렌즈부(120)는 치과의사가 작업하는 헤드부(100)의 전면 방향에 위치하여 미세한 틀니 등의 작업을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되도록 한다.
헤드부(100)의 내부 일 측, 구체적으로는 내측 바닥 면 주변에는 램프와 이를 지지하고 전기를 공급하는 소켓으로 이루어져 있는 조명수단(130)이 설치되어 별도의 외부 조명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헤드부(100) 내부인 작업 공간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의사의 작업 환경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조명 수단(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간접 조명과 같이 양측의 1쌍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헤드부(100)의 상부 전면 등의 기타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도 무방하다. 이러한 조명 수단(130)으로의 전원 공급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헤드부(100) 바닥 면 등의 특정 위치에 배터리 및 전원 공급부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될 수가 있고, 헤드부(100)의 일 측에 조작스위치(170)를 구비하여 조명 수단(130)의 ON/OFF 내지 조사의 강도 등을 조절/제어할 수가 있다.
헤드부(100)를 통해 의사가 틀니 작업 시에 발생되는 분진은 넥 연결구(140)를 통해 넥(200) 방향으로 배출이 된다. 넥 연결구(140)의 주변에는 넥(200)과 탈부착 관계를 주기 위해 약간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장 단부를 구비하여 이러한 연장 단부의 외측 면에 나사산(141)이 형성되어 있어 넥(20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210)과 나사 결합을 하게 된다.
헤드부(100)의 외측부에는 후술할 공기분사기(400) 내지 기타 작업에서 필요한 장비 등을 임시적으로 고정/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부(150)가 구비되어 의사의 작업 시에 필요한 장비를 헤드부(100) 자체에 고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상승시킬 수가 있다.
상술하였듯이, 이러한 헤드부(100)는 이동성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동성 확보를 위해 하부 면에는 바퀴(caster), 바람직하게는 마우스의 볼과 같이 볼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전 작용을 보장하는 볼 캐스터(ball caster)(160)가 장착되어 작업 테이블에 헤드부(100)를 안착하였을 때 이러한 볼 캐스터(160)의 회전으로 작업자가 요망하는 위치에 따라 헤드부(100)의 적절한 이동성을 보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넥(200)은 헤드부(100)와 몸체(300)를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헤드부(100)가 일정 범위 이내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바라식으로 이루어져 상황에 알맞게 접고 피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넥(200)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자바라식 구성으로 휨성을 주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으며, 또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넥(200)의 직경(굵기)이 헤드부(100)나 몸체(300)보다 훨씬 얇게 도시가 되어 있으나, 만일 헤드부(100)의 이동 반경을 한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헤드부(100)와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넥(200)의 양단부에는 나사산(210,220)이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헤드부(100)의 넥 연결구(140)에 구비된 나사산(141)과 몸체(300)의 넥 연결구(310)에 구비된 나사산(310a)과 나사(산) 결합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넥(200)은 헤드부(100)와 몸체(3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여 별도의 청소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의 몸체(300)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몸체(300)는 공지의 분진제거 장치에서 볼 수 없었던 특이한 형상과 구성을 가지도록 되어 있는 핵심 구성요소로서, 기존의 분진제거장치에서 소음 유발의 주범이 되었던 메인 모터를 없애는 대신 각각의 임펠러 내지 팬(360)에 내장 소형 모터를 구비하여 소음 및 전력 소모의 최소화를 추구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300)는 헤드부(100)에서 넥(200)을 거쳐 유입된 분진을 분리 처리하고 정화하며 더불어 공기의 재순환을 통해 공기 분사기(400)에 필요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몸체(300)의 하부 면에는 무게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중량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플레이트(301)가 구성되어 있다.
몸체(300)에 공급되는 공기는 제 1 에어흡입구(320)와 제 2 에어흡입구(330)를 통해 적절히 이루어진다. 헤드부(100)에서 발생된 분진은 오염공기와 함께 넥(200)을 통해 몸체(300)의 넥 연결구(310)로 유입되어 일정 공기가 몸체(300)로 유입되기는 하나, 이러한 공기만 가지고는 내부 공압의 증가로 적절한 공기의 유통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별도의 에어흡입구(320,330)를 두도록 구성이 되어 있되, 하나의 에어 흡입구 역시 에어 흡입량이 부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한 내압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2개의 에어 흡입구(320,330)를 형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물론 추가적인 제 3 에어 흡입구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에어 흡입구(320)는 몸체(300)의 바람직하게는 하부에 구성되어 메인 흡입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 2에어흡입구(330)는 몸체(330)의 상부면 일 측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에어흡입구(320)의 공기 흡입 역할을 보조한다. 이러한 제 1,2 에어흡입구(320,330)에는 그물망(332)이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체적이 큰 이물질이 공기를 타고 몸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도면에서는 선택적으로 그물망(332)이 제 2에어 흡입구(330)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다.
넥 연결구(310)에서 내부로 연장된 넥 연결관(311)과 제 1 내지 2 에어흡입구(320,330)에서 내부로 연장된 연결관(321,331)은 내부 일정 위치에서 만나 통합적으로 하나의 메인 연결관(340)을 형성한다. 이 때, 제 1 내지 2 에어흡입구(320,330)의 연결관(321,331)에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즉 적절한 개수의 팬(360)이 내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팬(360)은 메인 연결관(340)의 일 측 및 후술할 분사 연결관(343)의 일 측의 위치에서도 적절한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의 팬(360)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팬(360)은 내장 모터를 구비하여 전원 공급을 통해 회전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기존의 분진제거장치에서 존재하였던 메인 모터가 필요 없어 몸체(300)의 부피를 상당히 감소할 수가 있으며 더불어 전력 손실 및 소음을 줄일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공기의 분진처리장치는 애초부터 치과용으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일반 공업용으로 제작된 분진 처리기에서 사용되던 시스템과 구성을 차용한 것이기 때문에 모터의 체적이 필요 이상으로 컸고 더불어 물론 고압의 압축 공기 및 우수한 분진 분쇄 능력을 발휘한다는 특성은 있었으나 실제 치과용 작업에서는 이보다 적은 압축 공기 발생 및 분진 분쇄 능력만을 갖추어도 상술한 틀니 등의 작업을 이루는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팬(360)의 구성은 기존의 것보다 편리하고 진보된 구성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복수 개의 팬(360)에 공급되는 전원은 몸체(300) 내부에 구성된 전원공급제어수단(외부 전원공급 방식)(370) 내지 배터리(내부 전원공급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팬(360)의 회전은 몸체(300) 일 측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 패널(355)에 구비된 스위치(355a)를 통해 이루어진다. 배터리 방식은 충전식 내지 교환식 모두 가능하다.
메인 연결관(340)의 내부에는 예측 이상으로 체적이 큰 대형 분진을 1차적으로 거를 수 있도록 메인연결관(34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하되 대략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고 서로 다른 크기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분진 거름부(349)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가 있다.
유입된 분진은 팬(360)의 회전으로 인하여 일 방향으로 메인 연결관(360)을 통해 진행되다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연결관(360)이 수직으로 절곡된 지점에서 하방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체적이 큰 분진은 양단에 구비된 격벽에 의해 별도의 공간으로서 마련된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에 적층이 된다. 대신, 체적이 크지 않아 먼지 상태로 존재하는 분진 내지 오염공기는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의 바로 상단에서 정화수단 연결관(341)을 통해 이동이 된다.
즉, 중력에 의하여 체적이 큰 분진은 별도의 수납공간인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를 통해 편리하게 모을 수가 있고 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공기 중에 분산되어 있는 분진은 후술하겠지만 추가적인 여과/정화 작업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의 외측, 즉 몸체(300)의 바깥쪽으로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분진 수납함(38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진 수납함(380)을 통해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에 적층된 분진은 외부로 편리하게 배출이 가능하다. 분진수납함(380)의 외측에는 손잡이(381)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몸체(300)에서 분진 수납함(380)을 탈거할 수 있다.
체적이 작아 정화수단 연결관(341)으로 이동된 분진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공지된 소규모의 공기정화기(390)로 유입이 되어 분진 및 오염 공기를 정화한다. 이 때, 체적이 중간 정도인 분진이 공기 정화기(390)로 유입되었을 경우에는 피드백 파이프(feed back pipe)(342)를 통해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로 재이동되게 한다.
정화된 공기는 공기정화기(390)를 빠져 나와 외부 배출관(391)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물론 이 자체만으로도 몸체(300)의 구성이 가능하나 추가적으로 이 지점에서는 상방 수직으로 절곡된 분사 연결관(343)이 내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사 연결관(343)과 외부 배출관(391)의 경계 지점에는 관의 부피를 일정 비율로 등분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된 격벽(diaphragm)(348)이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 방향을 적절하게 구획한다.
즉, 정화된 공기의 일부는 외부 배출관(391)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되고 다른 일부는 분사 연결관(343)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분사 연결관(343)으로의 강제적인 공기의 이동 및 후술할 공기분사기(400)의 압축 공기 형성을 위해 분사 연결관(343)에는 1 내지 3개의 팬(360)이 설치되어 있다.
분사 연결관(343)으로 이동된 공기는 몸체(300)의 상면 일 측에 형성된 분사 배출구(344)까지 이동되는데, 분사 배출구(344)의 돌출 단부 상에는 나사산(345)이 구비되어 있고, 역시 단부에 나사산(410)을 구비한 공기분사기(40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이 된다.
즉, 정화된 공기를 실제 틀니 등의 작업 시에 사용되는 공지의 공기분사기(400)에서 재활용되도록 되도록 하여 공기분사기(400)와 몸체(300)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형성함과 아울러 실제 틀니 등의 작업 할 때 의사가 실제적으로 필요할 것을 캐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활용도를 다양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기분사기(400)는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단부에 노즐을 구비하여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헤드부(100)에서 치과의사가 틀니 등을 작업할 때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용도 등으로 활용이 된다. 이러한 공기분사기(400)는 분리하여 별도 보관을 할 수도 있으나, 헤드부(100) 내지 몸체(300)의 외부 일 측에 설치된 수납부(150,350)를 통해 임시적인 보관을 할 수도 있다.
외부 배출관(391)은 단부에 나사산(391a)을 구비하여 몸체(3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으며, 길이를 임의적으로 조절하여 작업 공간 외부, 즉 건물 바깥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고 아니면 곧바로 작업 공간 내에서 배출을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의 헤드부(10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해 크고 작은 다양한 분진을 처리할 수 있으나 완성된 보철물을 연마하는 과정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굳이 전력을 소비하면서까지 몸체(300)의 팬(360) 및 공기정화기(390)의 가동을 수행할 필요가 없을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분진 자체도 정형화된 일정 크기를 가지는 입자 상태로 존재하여 굳이 몸체(300)에서 여과 처리를 수행하는 것보다는 헤드부(100) 자체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보다 유용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헤드부(100)는 넥 연결구(140)에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한 절곡 파이프(180)와 이 절곡 파이프(180) 상에 안착되는 깔때기(190)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파이프(180)는 넥 연결구(140)가 헤드부(100)에 형성된 위치/높이에 따라 'ㄴ' 내지 'S'자 형상 등으로 공지의 다양한 형태를 가진 엘보우 관과 같이 절곡 구성이 되어 깔때기(190)를 상부에 안착시킬 수가 있으며, 이러한 깔때기(190) 상부 공간에서 보철물 작업을 하여 깔때기(190)에 수납된 분진을 버릴 수가 있는데, 수집된 분진을 버리는 것은 깔때기(190)를 손 투입구(110)를 통해 외부로 빼어 내는 방식으로 실현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의 외부 배출관(391)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서는 외부 배출관(391)의 일 측에 추가적인 공기정화기(390)를 부착시킨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는 위생보존 및 환경을 직접적으로 오염시킬 가능성이 강하기 때문에 보다 공기 오염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배출 공기의 2차적인 정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보다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배출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에 따르면,
1) 틀니 수리 및 임시치아 가공, 기존의 금속 보철물 삭제 시 엄청나게 발생하는 분진 및 세균 그리고 몸에 해로운 화학물질 발생물질 및 사용 시 발생하는 오염된 물 등을 흡입하여 환자와 진료인 모두에게 끼치는 인체오염으로부터 보호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완성된 보철물 및 임시치아가 회전기구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날아감으로 분실될 수 있는 염려를 100% 막을 수 있고,
2) 기존의 치과용 유닛 체어에 장착되어있는 저속엔진 및 고속엔진 기구모두를 사용가능하게 하며,
3) 몸체가 가볍고 작은 휴대형이어서 이동이 간편하기 때문에 어떤 공간이든지 사용하기가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4) 자바라식 넥으로 말미암아 진료인의 위치와 체형에 관계없이 누구나 사용이 자유로우며 이로 인해 작업환경이 탁월하게 개선됨과 동시에,
5) 공기분사기능이 있어서 작업 시에 따로 분진을 날려주어야 할 보조 인력의 소모적인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조명수단이 장착되어 있어서 유닛 체어에 장착되어있는 램프를 이동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고,
6) 작업 시에 필요한 삭제기구들을 체어에 붙어있는 기구들로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존의 값비싼 분진 처리장치의 구입비용이 크게 줄어든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로서,
    양 측면에 고무밴드(111) 및 브러시(112)로 이루어져 형성된 1쌍의 손 투입부(110)와,
    전면 외측에 정밀 시야 확보를 위해 장착된 볼록렌즈부(120) 및,
    작업 중 발생된 분진을 배출하는 넥 연결구(140)와,
    내부 조사를 위한 조명 수단(130)이 내부 일 측에 장착되고 하부 면에 회전 가능한 볼 캐스터(ball caster)(160)를 구비한 상태에서,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치과용 보형물을 작업자가 내부에서 작업할 수 있는 헤드부(100);
    상기 헤드부(100)에서 발생된 분진을 흡입하되 접철 및 휨이 가능한 자바라식으로 이루어진 넥(200);
    상기 넥(200)과 연결되어 분진을 흡입하는 넥 연결관(311) 및,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순환을 촉진하는 에어 흡입구(320,330)로부터 연결된 연결관(321,331)과,
    상기 넥 연결관(311)과 상기 연결관(321,331)을 통합하여 하나로 이루어지되 연장 일 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메인 연결관(340),
    상기 메인 연결관(340)의 하부에 마련된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분진 수납함(380)과,
    상기 분진 수납 스페이스(385) 상방에서 일 측으로 연장된 관을 통해 미세 분진을 유입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기(390) 및,
    상기 공기정화기(390)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부 배출관(391)과,
    상기 연결관(321,331) 및 메인 연결관(34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공기의 순환을 이루는 팬(360)으로 이루어진 몸체(3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와 넥(200) 및 몸체(300)의 단부에 형성된 연장부에는 나사산(141,210,220,310a,391a))이 형성되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의 넥 연결구(140)에는 절곡 파이프(180)가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넥 연결구(140)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곡 파이프(180)의 상면에는 깔때기(190)가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흡입구(320,330)는 제 1에어흡입구(320)와 제 2에어흡입구(33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에어흡입구(320,330)에는 망(33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0)에서 상기 외부 배출관(391)으로 연장되는 일 측 지점에서 격벽(348)으로 구획됨으로 상기 외부 배출관(391)과 구분되어 상기 몸체(300) 내측으로 유통 연장되어 있는 분사 연결관(343);을 추가로 구비하되,
    상기 분사 연결관(343)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팬(36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사 연결관(343)의 외부 돌출 단부에는 나사산(345)이 형성되어 공기분사기(4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연결관(340)에는 상기 메인 연결관(340)의 연장 방향에서 일정 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대형 체적의 분진을 1차적으로 거르는 분진 거름부(349);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0) 내지 상기 몸체(300)의 외부 일 측에는 수납부(150,350);가 추가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KR1020060009385A 2006-01-31 2006-01-31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KR1006700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385A KR100670068B1 (ko) 2006-01-31 2006-01-31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PCT/KR2007/000489 WO2007089090A1 (en) 2006-01-31 2007-01-29 Portable dental device of treating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9385A KR100670068B1 (ko) 2006-01-31 2006-01-31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769U Division KR200420189Y1 (ko) 2006-01-31 2006-01-31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0068B1 true KR100670068B1 (ko) 2007-01-16

Family

ID=38013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9385A KR100670068B1 (ko) 2006-01-31 2006-01-31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70068B1 (ko)
WO (1) WO200708909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536B1 (ko) 2018-09-21 2019-02-26 주식회사 코맥스 휴대가 용이한 조립형 집진기
KR102063699B1 (ko) 2018-09-21 2020-01-08 주식회사 코맥스 치과용 집진기의 조립형 그라인딩 박스
WO2020175746A1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프라임덴탈 치과전용 휴대집진기
KR20220085083A (ko) * 2020-12-14 2022-06-22 한국기계연구원 습식 낙탄을 처리하기 위한 흡입헤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청소로봇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89479B1 (ko) 2023-02-21 2023-10-1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개량된 흡입구조를 갖는 치기공용 집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622B (zh) * 2014-04-25 2015-11-18 钱能 一种便携式牙科治疗仪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903A (en) * 1976-03-31 1977-11-29 Futurecraft Corporation Controlled environment work enclosure
DE4203958C1 (ko) * 1992-02-11 1993-07-22 Kaltenbach & Voigt Gmbh & Co, 7950 Biberach, De
JPH11206787A (ja) * 1998-01-30 1999-08-03 Dental Technics:Kk 削片飛散防止装置
US6159086A (en) * 1998-07-20 2000-12-12 Mcclurkin; Walter J. Dust collecting work st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536B1 (ko) 2018-09-21 2019-02-26 주식회사 코맥스 휴대가 용이한 조립형 집진기
KR102063699B1 (ko) 2018-09-21 2020-01-08 주식회사 코맥스 치과용 집진기의 조립형 그라인딩 박스
WO2020059980A1 (en) * 2018-09-21 2020-03-26 Ko-Max Co.,Ltd Portable modular dust collector
WO2020175746A1 (ko) * 2019-02-26 2020-09-03 주식회사 프라임덴탈 치과전용 휴대집진기
KR20220085083A (ko) * 2020-12-14 2022-06-22 한국기계연구원 습식 낙탄을 처리하기 위한 흡입헤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청소로봇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51732B1 (ko) * 2020-12-14 2023-07-07 한국기계연구원 습식 낙탄을 처리하기 위한 흡입헤드장치, 이를 포함하는 청소로봇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89479B1 (ko) 2023-02-21 2023-10-1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개량된 흡입구조를 갖는 치기공용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89090A1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068B1 (ko)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US8627544B2 (en) Debris collec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0420189Y1 (ko) 휴대 가능한 치과용 분진 처리장치
KR200420197Y1 (ko) 치과 유닛 체어 장착용 분진 처리장치
CN112245782A (zh) 一种耳鼻喉科用喷药装置及喷药方法
CN111658212A (zh) 一种多功能牙科口外抽吸机
JP3046616U (ja) 歯科治療作業台バキューム装置
CN212511679U (zh) 一种空气净化用杀菌装置
CN202036584U (zh) 一种脚踏式牙科净化消毒器
CN108355161A (zh) 一种具有除味功能的术后医疗手术室用消毒装置
CN212071407U (zh) 一种义齿打磨装置
US5529533A (en) Removable dental work table with vacuum
CN211913241U (zh) 一种麻醉废气快速处理装置
JP2002303436A (ja) 空気清浄装置
CN212855121U (zh) 一种环保尾气处理装置
KR20220079141A (ko) 유니트 체어 부착형 집진기
CN209753494U (zh) 一种清扫消毒机器人
CN214560063U (zh) 一种台上式口腔科吸尘装置
CA3076645A1 (en) Suction system for dental aerosols
KR101858901B1 (ko) 치과기공소의 집진시스템
CN110841384A (zh) 一种基于口腔诊疗飞溅物的吸附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CN212818889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218048016U (zh) 一种药学用实验台
CN215021413U (zh) 一种系解解剖台
CN211411368U (zh) 一种基于口腔诊疗飞溅物的吸附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