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53753A1 -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53753A1
WO2024053753A1 PCT/KR2022/013319 KR2022013319W WO2024053753A1 WO 2024053753 A1 WO2024053753 A1 WO 2024053753A1 KR 2022013319 W KR2022013319 W KR 2022013319W WO 2024053753 A1 WO2024053753 A1 WO 20240537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ube
cylinder
bell mouth
vacuum pressure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3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바이오텍
Priority to PCT/KR2022/01331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53753A1/ko
Publication of WO20240537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537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12Control devices, e.g. for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assisted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and to a self-assisted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that can use the vacuum pressure of a vacuum pump for medical purposes.
  • dentistry mainly provides treatments such as tooth removal, polishing, tooth suturing, and implants.
  • patients can receive treatment in the most comfortable position and a dental unit chair is installed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he operator can easily perform procedures on the patient.
  • Various surgical devices are equipped for this purpose.
  • the unit chair includes a backrest that supports the patient's back, a seat that supports the patient's hips and legs, an armrest that supports the patient's arms, and a headrest that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head position depending on the treatment area. etc. are provided.
  • the unit chair is equipped with an articulated crane equipped with various medical equipment such as lights, shelves, or monitors, and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upport (base) that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seat is equipped with a vacuum pump for suction and /Or a waste tank is provided, and on one side, instruments such as a suction handpiece are detachably mounted.
  • the vacuum pump and waste tank may be built into a housing separate from the base and installed away from the unit chair.
  • Patent Registration No. 1745434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lates to 'dental self-assistance device' and discloses a unit chair as described above equipped with various suction pipes for suction and a multi-joint suction crane.
  • Patent Publication No. 2011-33201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lates to a 'device for blood absorption', which consists of a housing 5 consisting of a cylindrical pipe with a trumpet-shaped cone mounted on the front, and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5.
  • the moving piston (7) and handle (11) are disclosed.
  • this prior art by pulling the handle 11, negative pressure or vacuum is generated, blood is absorbed into the contact device 17 with pores 19, and the piston 7 is operated using a rack and pinion gear. You can.
  • Patent Registration No. 2079347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lates to a 'dental unit chair', which includes a chair body, a cuspido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hair body, and one side of a driving frame connected to the base frame supporting the chair body.
  • a technology including a lighting lamp that is provided and irradiates light can automatically control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lighting according to changes in the posture of the chair body, and a stand for holding medical instruments such as an articulated crane and suction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chair body.
  • Patent Registration No. 0968280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relates to 'medical device for otolaryngology' and discloses a desk-shaped body equipped with various medical devices, an articulated crane, and suction and suction handpiece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elf-assistance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that is integrally equipped with a typical unit chair and can absorb and collect flying substances scattered around the unit chair. It's purpose.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lf-assistance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that is configured to move a device that provides suction force by vacuum pressure around where surgery or treatment is performed, so that it can absorb flying substances around where surgery or treatment is performed.
  •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self-assistance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that allows the device that provides suction power to smoothly absorb flying substances, inspect the interior when necessary, and replace some of the built-in parts. am.
  •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self-assistance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that can supply the vacuum pressure supplied to devices that provide suction power by switching from the rear end to the side of the front end of these devices.
  • the self-assistance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s provided with a seat and backrest on which a patient can sit or lie down, and has a distributor connected to a vacuum pump to distribute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A unit chair equipped with a suction handpiece that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with a tube and sucks foreign substances or blood through vacuum pressure; A crane having a vertical pole installed on the unit chair, a main arm that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pole and is horizontal, and a sub arm that is connected to the main arm and rotates horizontally; and a dust collector which is rotatably mounted vertically on the sub-arm of the crane and collects dust by sucking in flying substances in the form of aerosol around the unit chair through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 the dust coll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llects the flying materials through vacuum pressure provided by either a branch tube branching from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vacuum pump and the distributor or a connection tube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of the unit chair. do.
  • the dust collector includes a cylindrical cylinder that is open at both ends and has a length; a bell mouth whose rear e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and whose front end is more enlarged than the rear end coupled to the cylinder for the introduction of flying materials; A cap coupled to the rear of the cylinder to shield the rear of the cylinder, having a hollow through which the flying substances communicate, and coupled to the rear end so that the branch tube or the connecting tube communicates with the hollow; And the hollow of the cap and the rear end of the bell mouth are airtightly connected so that vacuum pressure is provided to the rear end of the bell mouth through the cap, so that the flying substances flowing into the front end of the bell mouth are discharged into the hollow of the cap.
  • guide piping to guide you.
  • the cylinder further includes an inspection door that opens and closes to inspect the interior.
  • the inspection door includes a perforated plate provided as a portion of the cylinder is perforated and cut for inspection of the cylinder; and a hinge that fixes one side of the perforated plate to the cylinder so that it can rotate uniaxially.
  • the main arm and the sub arm are composed of a straight tube and a bent tube.
  • the straight tube and the bent tube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aight tubular members and elbow-shaped tubular members, respectively,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 the cap includes a rear nipple provided at the rear end to communicate with the hollow, and to which the branch tube or the connection tube is coupled; and an annular side wall provided in a ring shape at the rear end to shield the side of the rear end nipple.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ypass unit that bypasses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to the side of the bell mouth.
  • the bypass unit includes a side nipple installed in a penetrating state on a side of the bell mouth so that the branch tube or the connection tube is coupled; And it is rotatably built into the bell mouth, has a bypass passage formed through a 'T' shape, and guides the vacuum pressure provided to the bell mouth to the side nipple as the direction of the bypass passage is changed by rotation. It includes a ball valve that does.
  • a crane for fixing a dust collector is installed on a typical unit chair, and the sub-arm of the crane is connected to the main arm so as to rotate horizontally, and the dust collector is connected to the sub-arm to rotate vertically. It can be easily moved to a desired location, and as a result, flying substances can be sucked in from a desired location through a dust collector.
  • a dust collector is located around the face of a patient undergoing surgery or treatment while seated in a unit chair, so that flying substances scattered around the patient's face can be directly inhaled, thereby preventing the patient and surrounding people from being contaminated by flying substances. there is.
  • branch tube branched from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vacuum pump and the distributor of the unit chair or the connection tube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of the unit chair can be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the branch tube or connection tube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or as needed. Pneumatic pressure can be provided.
  • the dust collector sucks in flying materials through a bell mouth with an enlarged tip, flying materials can be easily sucked in, and since a guide pipe is piped inside, the inhaled flying materials can be easily guided to the waste tank.
  •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or can be inspected from time to time to check the contamination status of the guide pipe, and if necessary, the guide pipe can be replaced with a new one through the inspection door.
  • a rear end nipple is provided on the cap of the cylinder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or, and an annular side wall that shields the rear end nipple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ap, thereby improving aesthetics by hiding the rear end nipple.
  • vacuum pressure can be supplied to the rear of the dust collector or to the room nipple through the ball valve of the bypass unit and the side nipple provided on the bell mouth of the bell mouth, and the side nipple of the bell mouth
  • the handpiece can be operated through vacuum pressure supplied to the side nipp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assistance assembly for a med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crane and dust collector shown in Figure 1;
  • Figure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hydraulic circuit of a self-assistance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or shown in Figure 1;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dust collector shown in Figure 4.
  •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ust collector shown in Figure 4.
  •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bell mouth shown in Figure 4.
  • 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cap shown in Figure 4;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ll valve applied to the dust collector of Figure 4.
  • Figure 10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a bell mouth to which the ball valve of Figure 9 is applied;
  • Figure 1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hydraulic circuit of a self-assistance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to which the bell mouth of Figure 10 is applied;
  • Figure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crane and dust collector shown in Figure 2 in use.
  • Figure 13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ne shown in Figure 2.
  • the self-assistance assembly for medical devices includes a unit chair (UC), a crane 50, and a dust collector 60, as shown in FIG. 1.
  • the unit chair (UC) is a common device mainly used in dentistry, and is equipped with a seat and backrest on which the patient can sit or lie down, and is connected to a vacuum pump (P) to operate the vacuum pump. It has a distributor (D) that distributes the vacuum pressure (P).
  • the unit chair (UC)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D) with a connection tube (T) and is used for general suction to suck foreign substances or blood through vacuum pressure supplied from the distributor (D).
  • a handpiece (see FIG. 11) is provided.
  • the unit chair (UC) is equipped with tools such as a shelf or monitor on which various medical equipment is stored. These tools are typically installed on a hanger with an articulated boom as shown.
  • the unit chair (UC) may have the above-described vacuum pump (P)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at and be built into the interior of a pillar-type support supporting the seat.
  • the unit chair (UC) may be built into a separate housing (not shown), as shown in FIG. 3. As shown, it may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D) through a hose.
  • the vacuum pump (P) is built in the above-described support or housing together with the waste tank (TK) and collects flying substances such as foreign substances or blood collected by the dust collector 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vacuum pressure. do. Since the vacuum pump (P) and waste tank (TK) are common devices, thei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crane 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ole 51, a main arm 52, and a sub arm 53, as shown in FIGS. 1, 2, and 12.
  • the pole 51 is a vertical pole as shown.
  • This pole 51 can be installed integrally in the unit chair (UC) through the pedestal (PD) as shown, and unlike shown, the lower end is bent horizontally and is installed on the unit chair (UC) through the horizontal lower end. ) can also be installed integrally. Since this method of installing the pole 51 is a common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main arm 52 protrudes to the side of the pole 51 and is horizontal, as shown in FIGS. 1 and 12 .
  • the sub arm 5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end of the main arm 52 through a ball joint (BJ),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BJ ball joint
  • the end of the main arm 52 where the ball joint (BJ) is installed may be bent downward for installation of the ball joint (BJ) and aesthetics.
  • the sub arm 53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the free end of the main arm 52 and can rotate horizontally.
  • the sub arm 53 is rotated horizontally by the ball joint (BJ) as shown enlarged in FIG. 2.
  • the sub arm 53 has one end to which the main arm 52 is connected and the other end on the opposite side angled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for installation of a ball joint (BJ) or hinge (H) and for aesthetics. It can be bent.
  • the ball joint (BJ)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nd plate (52a), a ball shaft (52b), and a locking plate (53a) as shown enlarged in FIG. 2.
  • the end plate 52a is installed at the free end side of the main arm 52 to shield the end.
  • the ball shaft 52b is installed vertically at the lower part of the end plate 52a as shown, and a ball is provided at the end.
  • the locking plate 53a is installed on one end of the sub-arm 53 so that the axis of the ball shaft 52b passes through it, and the balls of the ball shaft 52b are caught and fixed.
  • the locking plate 53a may have a bearing (B)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axis of the ball shaft 52b passes through to support the axis.
  • the ball shaft (52b) is fixed in a penetrating state to the engaging plate (53a), and then the axis of the ball shaft (52b) is fixed to the end plate (52a).
  • the locking plate 53a and the end plate 52a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sub arm 53 and the main arm 52 by welding or bolting, the sub arm 5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arm 52. Accordingly, the sub arm 53 is rotated in a horizontal state at the end of the main arm 52 around the ball joint BJ, as shown in FIG. 12.
  • the above-described dust collector 60 is rotatably mounted vertically on the sub-arm 53 of the crane 50, as shown in FIGS. 1 and 12, and scatters in the form of an aerosol around the unit chair UC.
  • the flying substances are collected by suction through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P),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dust collector 60 is installed on the crane 50 and collects dust by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or blood flying around the sub-arm 53.
  • the dust collector 6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er 62, a bell mouth 61, a cap 63, and a guide pipe (G), as shown in FIGS. 4 and 6.
  • the cylinder 62 is open at both ends as shown in FIGS. 4 and 6 and is composed of a long cylinder.
  • This cylinder 62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open/close inspection door (DR) for internal inspec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 DR open/close inspection door
  • the inspection door DR has a perforated plate 62b, which is provided as a portion of the cylinder 62 is perforated and cut, and one side of the perforated plate 62b is aligned with the cylinder 62.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hinge (H) that fixes it so that it can rotate.
  • the perforated plate 62b is a part of the cylinder 62 that is manufactured by perforating a portion of the cylinder 62 with a laser or cutting machine. As shown in FIG.
  • the hinge H is composed of a bolt that penetrates a plurality of plate-shaped brackets B provided on the perforated plate 62b and the cylinder 62, respectively, and whose ends are fastened with nuts N. As shown, the inspection door DR opens and closes the cut portion of the cylinder 62 while rotating on one axis around the hinge H.
  • the inspection door (DR) is a magnetic material that is installed on the magnet (MG) and the perforated plate (62b)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62 and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gnet (MG) while rotating with the perforated plate (62b).
  • a detachable protrusion 62c made of material is provided.
  • the perforated plate 62b is easily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due to the magnet MG and the detachable protrusion 62c.
  • the inspection door DR may have a portion of the perforated plate 62b cut away, and a viewing window W may be provided in the perforated plate 62b.
  • This viewing window (W) is made of a permeable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and is fixed to the cut portion of the perforated plate 62b with silicone or adhesive.
  • the viewing window W transmits the inside of the cylinder 62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inspect the inside of the cylinder 62. 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inspect the contamination or deterioration of the guide pipe (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inspection door (DR) may be provided only with a viewing window (W) as above and may be fixed to the cylinder (62) with the hinge (H) described above. That is, the inspection door DR may be composed of only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hinge H without the above-described perforated plate 62b. This inspection door (DR) can open and close the cut portion of the cylinder 62 for inspection as the viewing window (W) is opened and closed by the hinge (H).
  • the above-described bell mouth 61 is composed of a conical hollow tube that opens like a trumpet, as shown in FIGS. 4 and 6, and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62. That is, the bell mouth 61 has a front end expanded more than the rear end, and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62.
  • This bell mouth 61 is formed in a shape where the front end is enlarged compared to the rear end so that surrounding flying substances can be easily sucked in.
  • the bell mouth 61 includes a cone-shaped body 61a, a hollow insertion portion 61b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61a, and a hollow insertion portion 61b coupled to the tip of the cylinder 62.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portion (61b)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low of the insertion portion (61b) and is composed of a discharge nipple (61c) that discharges flying substances flowing into the main body (61a).
  • the insertion portion 61b is inserted into the tip of the cylinder 62 and coupled to the tip of the cylinder 62 by screwing, as shown, so that the bell mouth 61 is fixed to the cylinder 62.
  • the discharge nipple (61c) is coupled with a guide pipe (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guides the discharged flying substances to the guide pipe (G).
  • the cap 63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ylinder 62 and shields the rear of the cylinder 62, as shown in FIG. 6.
  • the cap 63 is composed of a hollow tube body 63a as shown to allow flying substances to pass through.
  • the cap 63 has a front end nipple (63b) and a rear end nipple (63c)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at the rear end.
  • a guide pipe (G) to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front nipple (63b), and a connection tube (T)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D) as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nipple (63c).
  • the connecting tube (T) coupled to the rear nipple (63c) is connected to the distributor (D), and the vacuum pump (P)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ube (T) and the distributor (D).
  • the vacuum pump (P)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ube (T) and the distributor (D).
  • this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bell mouth (61) through the guide pipe (G) connected to the tip nipple (63b).
  • the bell mouth 61 sucks in surrounding flying substances by vacuum pressure and guides them to the connection tube (T) through the guide pipe (G). Therefore, as shown in FIG. 3, the flying materials are supplied to the distributor (D) through the connecting tube (T) and then collected in the waste tank (TK).
  • connection tube (T) of the distributor (D) is connected to the rear nipple (63c)
  • the above-mentioned cap (63) is a coupl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tube (T) as shown in FIGS. 3 and 6.
  • the connecting tube (T) is connected through (CP). Since this coupler (CP) is a typical coupler integrally provided in the connection tube (T) of the distributor (D) as shown in FIGS. 1 and 3, its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cap 63 is a branch tube (T2) branched from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vacuum pump (P) and the distributor (D), as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3, instead of the connecting tube (T) described above on the rear nipple (63c). ) can also be combined.
  • the cap 63 receives vacuum pressure from the passage connecting the vacuum pump (P) and the distributor (D), and the flying material of the bell mouth 61 flows in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e guide pipe (G). It is guided to the branch tube (T2) to be collected in the waste tank (TK).
  • the cap 63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side wall 63d at its rear end to shield the rear nipple 63c described above.
  • the side wall 63d is formed along the rear edge of the cap 63 to a length capable of shielding the rear nipple 63c. Accordingly, the aesthetics of the cap 63 are improved because the rear nipple 63c is shielded by the side wall 63d.
  • the above-described guide pipe (G) is formed in a tube shape as shown in FIG. 6, and the inlet and outlet ar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above-described bell mouth 61 and the front end of the cap 63, respectively.
  • the guide pipe (G) has an inlet coupled to the discharge nipple (61c)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ell mouth 61, and an outlet connected to the tip nipple (63b) of the cap 63. That is, the guide pipe (G) connects the bell mouth 61 and the cap 63 in an airtight state.
  • the guide pipe (G) transfers the vacuum pressure provided from the cap 63 to the bell mouth 61 and transfers the flying substances sucked from the bell mouth 61 to the cap 63, making the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supplied to the waste tank (TK) through the tube (T) or branch tube (T2).
  •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tube (T) or branch tube (T2) is connected to at least any of the pole 51, main arm 52, and sub arm 53 of the crane 50, as shown in FIGS. 1 and 2. It can be fixed to a typical 'C' type elastic clamp (C) provided in one. Therefore, the connecting tube (T) or branch tube (T2) does not twist when used.
  • the bell mouth 61 may be detachably fix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62 by a ring-shaped magnet MG as shown in FIG. 7.
  • the ring-shaped magnet (MG)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62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welding, joining, or press fitting.
  • the bell mouth 61 is detachably fixed to the ring-shaped magnet MG as the hollow insertion portion 61b is inserted into the ring-shaped magnet MG.
  • the ring-shaped magnet MG may also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ylinder 62 as shown in FIG. 8. In this way, the tube body 63a of the cap 63 described above is inserted into the ring-shaped magnet MG provided at the rear of the cylinder 62, as shown. Accordingly, the cap 63 is detachably fixed to the rear of the cylinder 62 by the ring-shaped magnet MG.
  • the above-described bell mouth 61 and cap 63 are preferably formed with a step PL at the portion where they are inserted into the ring-shaped magnet MG,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insertion depth of the bell mouth 61 and the cap 63 is limited as the step PL is closely attached to the ring-shaped magnet MG and is caught, and the bell mouth 61 and the cap 63 are firmly attached to the ring-shaped magnet MG.
  • the dust collector 60 as described above is fixed with a hinge (H) to a plate-shaped bracket 53c attached to the end of the sub-arm 53 by welding or bolting, as shown in FIG. 2 enlarged. It rotates up and down as shown.
  • the plate-shaped bracket 53c is preferably made of a disk as shown for aesthetics.
  • the hinge (H) may be composed of a bolt that has threads formed at the end, penetrates the plate-shaped bracket (53c), and then is fixed to the plate-shaped bracket (53c) by fastening the nut (N).
  • the dust collector 60 may be equipped with a bypass unit that bypasses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P) to the side of the bell mouth (61).
  • the bypass un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ide nipple (NP) and a ball valve 70, as shown in FIGS. 9 to 11.
  • the side nipple (NP) is installed in a penetrating state on the side of the bell mouth 61, as shown in FIG. 10.
  • the lateral nipple (NP) is coupled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tube (T) as shown in FIG. 11. It is preferable that this side nipple (NP) is coupled to a normal connection tube (T) equipped with a suction handpiece (HP) as shown.
  • the ball valve 70 is rotatably built into the bell mouth 61, and includes a straight flow path 71a and a branch flow path 71b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straight flow path 71a.
  • a ball 71 having a bypass passage formed through an approximately 'T shape, a connecting shaft 73 connected to the ball 71, and a knob 75 horizontally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necting shaft 73. It consists of The ball valve 70 rotates the ball 71 as the connection shaft 73 rotates due to rotation of the knob 75.
  • the ball valve 70 is normally opened with the straight flow path 71a being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bell mouth 61, as shown in FIG. 10, and the branch flow path 71b is inserted into the bell mouth 61. It is closely adhered to and shielde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rtion 61b.
  • This ball valve 70 provides vacuum pressure provided from the cap 63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cylinder 62 to the tip of the bell mouth 61 through the straight flow path 71a. Therefore, the bell mouth 61 delivers the flying substances sucked in from the tip 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62.
  • the ball valve 70 has a side nipple (NP) at one end of the straight passage 71a as shown. ), the other end of the straight flow path (71a) is shield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61b) constituting the bell mouth (61), and the branch flow path (71b)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nipple (61c) of the bell mouth (61). ) is parallel to The ball valve 70 transmits the vacuum pressure provided from the cap 63 to the above-described side nipple NP, as shown by the straight flow path 71a and the branch flow path 71b. Accordingly, the bell mouth 61 transmits vacuum pressure to the handpiece (HP) connected to the side nipple (NP) and sucks contaminants such as foreign substances or blood through the handpiece (HP).
  • the sub-arm 53 of the crane 50 is connected to the ball joint (BJ) as shown in FIGS. 2 and 12. It rotates horizontally around the main arm 52, and when rotated vertically, the dust collector 60 rotates around the hinge H fixed to the plate-shaped bracket 53c. Accordingly, the user can position the dust collector 60 at a desired location adjacent to the patient's surgical site or treatment site as the dust collector 60 rotate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 the dust collector 60 absorbs flying substances generated from the surgical site or treatment site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vacuum pump (P) provided through the branch tube (T2) or connection tube (T). .
  • vacuum pressure flows into the dust collector 60 through the cap 63 as the branch tube (T2) or connection tube (T) is coupled to the rear nipple (63c) of the cap 63, As the vacuum pressure is transmitted to the guide pipe (G) and the bell mouth (61), flying substances are sucked in through the bell mouth (61).
  • the dust collector 60 collects the flying materials in the waste tank (TK)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P) and collects the flying materials in the branch tube (T2) or connection tube (T) through the guide pipe (G) and cap 63. ).
  • the dust collector 60 can check the contamination state of the guide pipe (G) due to flying substances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of the cylinder (62). If the guide pipe (G) is severely contaminated, the dust collector 60 can open the inspection door (DR) and replace the guide pipe (G) with a new one, as shown in FIGS. 4 and 5. At this time, the inspection door (DR) opens and closes the cylinder 62 as it rotates about the hinge H as shown, and when closed, a detachable protrusion (MG) is attached to the magnet MG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ylinder 62. As 62c) is attached, it remains closed.
  • the dust collector 60 has a cap 63 when the existing connection tube (T) is connected to the side nipple (NP)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ell mouth 61 by a coupler (CP). Vacuum pressure flowing through can be provided to the connection tube (T) by the ball valve 70. At this time, the ball valve 70 is rotated by the knob 75 as shown in (b) of FIG. 10, so that the 'T'-shaped bypass passage takes a ' ⁇ ' shape, so that the vacuum pressure is lateral.
  • nipple (NP) Provided on nipple (NP). Therefore, the user can suction contaminants such as foreign substances or blood using the handpiece (HP) provided in the connection tube (T) of the side nipple (NP), as shown in FIG. 11.
  • the above-described crane 50 may have an additional arm 54 installed on the sub arm 53 as shown in FIG. 13.
  • the additional arm 54 is connected to the sub arm 53 by the ball joint BJ described above.
  • the additional arm 54 is composed of a bending pipe bent approximately like a 'C', and the dust collector 60 described above is fixed at the end with a hinge H or as shown enlarged, the dust collector 60 is attached to the bending pipe.
  • the bell mouth (61) is fixed with a hinge (H).
  • the additional arm 54 rotates around the end of the sub-arm 53 as shown in (a) and (b) of FIG. 13, so that the dust collector 60 or the bell mouth 61 is not used. The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 the above-described bell mouth 61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tube (T) or branch tube (T2) to the discharge nipple (61c)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portion (61b), as shown enlarged in FIG. 13. .
  • the bell mouth 61 sucks in surrounding flying substances by the vacuum pressure provided from the connection tube (T) or branch tube (T2) and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tube (T) or branch tube (T2) into the waste tank (TK). ) is supplied to. Therefore, even if the dust collector 60 consists of only the bell mouth 61, it can suck in flying substances and collect them in the waste tank (TK). In this way, when the dust collector 60 consists of only the bell mouth 61, the dust collector 60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also be reduced.
  • the above-described main arm 52 or sub arm 53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P) as shown in FIG. 14.
  • This vacuum pump (P)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vacuum pump (P)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unit chair (UC), and is installed on the pole 51 or on the main arm 52 or sub arm 53 as shown.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P)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ube (T), as shown enlarged in the upper part of FIG. 14, and provides vacuum pressure separately from the vacuum pump (P) of the unit chair (UC). Therefore, the dust collector 60 sucks foreign substances regardless of the vacuum pump (P) of the unit chair (UC).
  •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tube (T) can b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tube (T3) through a three-way one-touch tube fitting (TP) as shown in FIG. 15.
  • the lower tube (T3) accommodates only foreign substances among the substances sucked into the connection tube (T) by the vacuum pump (P). Foreign substances such as blood, which have their own weight, are introduced into the lower tube (T3) among the suction substances that perfuse the connecting tube (T). At this time, foreign matter naturally flows into the lower tube (T3) due to its own weight as the lower tube (T3)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ube (T).
  • the lower tube (T3) is connected to the waste collection box (WB), which collects foreign substances, and collects incom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collection box (WB). Therefore, the connection tube (T) only sucks the substances from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have been separated by the lower tube (T3).
  • the dust collector 60 may be composed of only a tube body with an empty interior, as shown enlarged at the bottom of FIG. 14.
  • the dust collector 60 may be composed of only a fallopian tube-shaped tube body as shown enlarged.
  • the dust collector 60 is connected to a separate vacuum pump P through the main arm 520 or sub arm 53 or the additional arm 54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dust collector 60 is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P. Foreign substances are sucked in by the vacuum pressure of the pump (P).
  • the vacuum pump (P)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vacuum pump (P) of the unit chair (UC), so it can be operated separately from the vacuum pump (P) of the unit chair (UC). there is. Therefore, not only does it not put a strain on the expensive unit chair (UC) vacuum pump (P), but also foreign substances can be sucked in separately from the unit chair (UI).
  • the lower tube (T3) branches downward to the connection tube (T)
  • the lower tube (T3)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such as blood from the suctio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connection tube (T) and wastes them. Since it is collected in the collecting box (WB), foreign substances with their own weight can be easily separated.
  • the lower tube T3 branches adjacent to the dust collector 60 as shown in FIG. 14, foreign substances can be separated as soon as they are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or 60. Therefore, since foreign substances are separated from the inlet side of the connecting tube (T), the suction power of the vacuum pump (P) acting on the connecting tube (T) can be improved.
  • the above-described main arm 52 and sub-arm 53 may be composed of a straight tube (ST) and a bent tube (ET) as shown in FIG. 16.
  • the straight tube (ST) and the bent tube (ET)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raight tube members and elbow-shaped tubular members, respectively, as shown, and form the first pipe member 211 to the fourth pipe member 214.
  • It provides a main arm (52) and a sub arm (53) consisting of.
  • the first to fourth pipe members 211 to 214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231 to 235 as shown. Since these coupling members 231 to 235 are composed of ordinary ball couplers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with one touch,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first pipe member 211 to the fourth pipe member 214 rotates respectively around the coupling members 231 to 235, so that the dust collector 60 can be easily placed at a desired angle. You can do it.
  •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as a dust collector for cleaning other than medical purposes if some of the configuration is changed to collect dust on walls or flo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시트 및 등받이와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분배하는 분배기를 가지며, 상기 분배기에 튜브로 연결되어 진공압을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을 흡입하는 석션용 핸드피스가 구비된 유니트 체어; 상기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어 수직을 이루는 폴과, 상기 폴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을 이루는 메인 아암 및 상기 메인 아암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서브 아암을 갖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의 상기 서브 아암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니트 체어의 주변에 에어로졸 형태로 비산된 비산물질을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통해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를 포함하며, 집진기를 통해 비산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본 발명은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의료에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를 치료하거나 수술하는 병원의 특정 장소에는 치료나 수술시 발생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석션이 구비된다. 이러한 석션은 대부분 진공펌프나 폐기물 탱크는 별개의 커버에 차폐되어 미관상 안보이도록 구성되고, 석션튜브와 핸드피스만 주로 노출되며, 핸드피스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하여 폐기물 탱크에 수집한다.
이러한 병원들 중 치과는 치아의 제거, 연마, 치아의 봉합 및 임플란트 등의 치료가 주를 이룬다. 이와 같은 치과는 환자가 최대한 편안한 자세를 취한 상태로 진료받을 수 있고 시술자는 환자를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치과용 유닛 체어가 설치되며, 치과용 유닛 체어에는 환자의 환부를 시술하기 위한 다양한 시술장치들이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유니트 체어는 환자의 등이 지지되는 등받이, 환자의 엉덩이 및 다리가 지지되는 시트, 환자의 팔이 지지되는 팔걸이용 암레스트 및 치료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머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유니트 체어는 조명등과 같이 의료에 필요한 각종 기구나 선반 또는 모니터 등이 장착된 관절식 크레인이 일체로 설치되고, 시트의 하부를 지지하는 원통형 지지대(베이스)의 내부에는 석션을 위한 진공펌프 및/또는 폐기물 탱크가 구비되며, 일측에는 석션용 핸드피스 등과 같은 기구가 착탈가능하게 거치된다. 진공펌프 및 폐기물 탱크는 베이스와 별개로 구비된 하우징에 내장되어 유니트 체어와 떨어져서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1745434호는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셕을 위한 다양한 흡입관 및 다관절식 석션용 크레인이 구비된 전술한 바와 같은 유니트 체어를 개시한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공개 제2011-33201호는 '혈액 흡수용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나팔형태의 콘이 장착된 원통형 파이프로 구성된 하우징(5), 하우징(5)의 내부에 설치되어 이동하는 피스톤(7) 및 핸들(11)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핸들(11)을 잡아당김으로써, 부압 또는 진공이 발생하여 다공(19)을 갖는 접촉 디바이스(17)에 혈액이 흡수되며, 피스톤(7)을 랙 앤 피니언 기어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또,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2079347호는 '치과용 유닛체어'에 관한 것으로, 의자 본체와 상기 의자 본체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타구대 및 의자 본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연결된 구동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광을 조사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의자 본체의 자세 변화에 따라 조명등의 위치 및 각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다관절식 크레인과 석션 등의 의료용 기구를 거치하는 거치대가 의자 본체에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0968280호는 '이비인 후과용 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의료기기 및 다관절식 크레인, 그리고 석션 및 석션용 핸드피스 등이 장착된 책상형태의 본체를 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신체나 구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나 혈액 등을 진공펌프의 음압 및 이러한 진공펌프에 연결된 핸드피스와 같은 석션기로 직접 흡입하여 포집할 수 있으나, 수술이나 치료시 발생되는 이물이나 혈액 등의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하는 기기가 구비되지 않음에 따라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의료를 진행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 하우징(5)의 전방에 구비된 나팔형태의 콘에 다공(19)을 갖는 접촉 디바이스(17)가 설치된 전술한 종래기술의 '혈액 흡수용 디바이스'의 경우, 하우징(5)에 내장된 피스톤(7)을 작동시켜 접촉 디바이스(17)의 다공(19)를 통해 혈액을 흡수할 수 있으나, 이물질이나 혈액 등의 비산물질을 포집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도 비위생적인 의료환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통상의 유니트 체어에 일체로 구비되어 유니트 체어의 주변에 비산되는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포집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수술이나 치료가 실시되는 주변에 진공압으로 흡입력을 제공하는 기기가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수술이나 치료가 실시되는 주변의 비산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흡입력을 제공하는 기기가 원활하게 비산물질을 흡입할 수 있고, 내부를 필요시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장된 일부의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기기에 공급되는 진공압을 이러한 기기의 후단에서 선단의 측방으로 전환시켜 공급할 수 있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는, 환자가 착좌 내지 누울 수 있는 시트 및 등받이가 구비되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분배하는 분배기를 가지며, 상기 분배기에 튜브로 연결되어 진공압을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을 흡입하는 석션용 핸드피스가 구비된 유니트 체어; 상기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어 수직을 이루는 폴과, 상기 폴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을 이루는 메인 아암 및 상기 메인 아암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서브 아암을 갖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의 상기 서브 아암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니트 체어의 주변에 에어로졸 형태로 비산된 비산물질을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통해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진공펌프 및 상기 분배기를 연결하는 유로에서 분기되는 분기튜브나 상기 유니트 체어의 분배기에 연결되는 연결튜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진공압을 통하여 상기 비산물질을 집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기는, 양단이 개방되고,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비산물질의 유입을 위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된 후단 보다 선단이 확관된 형태로 이루어진 벨마우스;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후방을 차폐하고, 상기 비산물질을 소통시키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캡을 통해 상기 벨마우스의 후단으로 진공압이 제공되도록, 상기 캡의 중공 및 상기 벨마우스의 후단을 기밀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벨마우스의 선단으로 유입되는 상기 비산물질을 상기 캡의 중공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배관;을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는 내부를 점검하도록 개폐되는 점검도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검도어는, 상기 실린더의 점검을 위해 상기 실린더의 일부분이 타공되어 절개됨에 따라 마련되는 타공판; 및 상기 타공판의 일측을 상기 실린더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를 포함한다.
상기 크레인은, 상기 메인 아암 및 상기 서브 아암이 직선튜 브 및 절곡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직선튜브 및 상기 절곡튜브는 복수로 구성되되, 일직선 형상의 관형 부재 및 엘보 형상의 관형 부재로 각각 구성되어 복수의 커플링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은,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결합되는 후단니플; 및 상기 후단에 링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후단니플의 측방을 차폐하는 환형의 측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상기 벨마우스의 측방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결합되도록 상기 벨마우스의 측방에 관통상태로 설치되는 측방 니플; 및 상기 벨마우스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T형으로 관통형성된 바이패스 유로를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상기 벨마우스에 제공되는 진공압을 상기 측방 니플로 안내하는 볼밸브;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통상의 유니트 체어에 집진기의 고정을 위한 크레인이 설치되되, 크레인의 서브 아암이 수평회전되도록 메인 아암에 연결되고, 서브 아암에 집진기가 수직회전되도록 연결됨에 따라 집진기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진기를 통해 원하는 위치에서 비산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특히, 유니트 체어에 착좌하여 수술이나 치료를 받는 환자의 얼굴 주변으로 집진기가 위치하여 환자의 얼굴 주변에서 비산되는 비산물질을 곧바로 흡입할 수 있으므로 비산물질에 의해 환자 및 주변인들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진공펌프 및 유니트 체어의 분배기를 연결하는 유로로부터 분기된 분기튜브나 유니트 체어의 분배기에 연결된 연결튜브가 집진기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기튜브나 연결튜브를 집진기에 연결하여 진공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 집진기가 선단이 확관된 벨마우스를 통해 비산물질을 흡입하므로 비산물질을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고, 내부에 가이드 배관이 배관됨에 따라 흡입되는 비산물질을 용이하게 폐기물 탱크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집진기에 점검도어가 구비됨에 따라 필요시 수시로 집진기의 내부를 점검하여 가이드 배관의 오염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필요시 점검도어를 통해 가이드 배관을 새것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아울러, 집진기를 구성하는 실린더의 캡에 후단니플이 구비되고, 이러한 후단니플을 차폐하는 환형의 측벽이 캡의 후단에 구비됨에 따라 후단니플을 은폐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집진기에 바이패스 유닛이 구비될 경우 바이패스 유닛의 볼밸브 및 집진기의 벨마우스에 구비된 측방 니플을 통해 진공압을 집진기의 후방으로 공급하거나 방 니플로 공급할 수 있고, 벨마우스의 측방 니플에 핸드피스를 갖는 연결튜브가 연결될 경우 측방 니플로 공급되는 진공압을 통해 핸드피스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크레인 및 집진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의 유압회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선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집진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집진기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집진기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벨마우스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캡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4의 집진기에 적용되는 볼밸브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볼밸브가 적용된 벨마우스의 평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벨마우스가 적용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의 유압회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럭선도;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크레인 및 집진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크레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니트 체어(UC), 크레인(50) 및 집진기(60)를 포함한다.
유니트 체어(UC)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치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기기로서, 환자가 착좌 내지 누울 수 있는 시트 및 등받이가 구비되고, 진공펌프(P)에 연결되어 진공펌프(P)의 진공압을 분배하는 분배기(D)를 갖는다. 유니트 체어(UC)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D)에 연결튜브(T)로 연결되어 분배기(D)로부터 공급되는 진공압을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을 흡입하는 통상의 석션용 핸드피스(도 11 참조)가 구비된다. 그리고, 유니트 체어(U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를 위한 통상의 각종 기구가 적치되는 선반이나 모니터 등의 툴(Tool)이 구비된다. 이러한 툴들은 통상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다관절식 붐(Boom)을 갖는 행거에 설치된다.
유니트 체어(UC)는 전술한 진공펌프(P)가 시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기둥식 지지대의 내부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미도시된 별개의 하우징에 내장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를 통해 분배기(D)에 연결될 수도 있다. 진공펌프(P)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탱크(TK)와 함께 전술한 지지대나 하우징에 내장되어 진공압에 의해 후술되는 집진기(60)로 집진되는 이물질이나 혈액 등의 비산물질을 포집한다. 이러한 진공펌프(P) 및 폐기물 탱크(TK)는 통상의 기기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크레인(50)은 도 1과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 메인 아암(52) 및 서브 아암(5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폴(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을 이루는 기둥이다. 이러한 폴(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PD)를 통해 유니트 체어(UC)에 일체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하단이 수평으로 절곡되어 수평을 이루는 하단을 통해 유니트 체어(UC)에 일체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폴(51)의 설치방법은 통상적인 기술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아암(52)은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을 이룬다. 메인 아암(52)은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볼조인트(BJ)를 통해 후술되는 서브 아암(53)이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 아암(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BJ)가 설치되는 단부가 볼조인트(BJ)의 설치 및 미관을 위해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서브 아암(53)은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아암(52)의 자유단 측 단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되되, 수평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서브 아암(53)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BJ)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된다. 서브 아암(5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아암(52)이 연결되는 일단부 및 반대편의 타단부가 볼조인트(BJ) 또는 힌지(H)의 설치 및 미관을 위해 상방 및 하방으로 제각기 절곡될 수 있다.
볼조인트(BJ)는 예컨대,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판(52a), 볼샤프트(52b) 및 걸림판(53a)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부판(52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아암(52)의 자유단 측 단부에 설치되어 단부를 차폐한다. 볼샤프트(5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판(52a)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단부에 볼이 구비된다. 걸림판(5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아암(53)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볼샤프트(52b)의 축이 관통되고, 볼샤프트(52b)의 볼이 걸려서 고정된다. 걸림판(53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샤프트(52b)의 축이 관통되는 중앙부에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B)이 설치될 수 있다.
볼조인트(BJ)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샤프트(52b)가 걸림판(53a)에 관통상태로 고정된 후 단부판(52a)에 볼샤프트(52b)의 축이 고정되고, 이러한 걸림판(53a) 및 단부판(52a)이 각각 서브 아암(53) 및 메인 아암(52)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고정됨에 따라 서브 아암(53)을 메인 아암(5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한다. 따라서, 서브 아암(5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조인트(BJ)를 중심으로 메인 아암(52)의 단부에서 수평상태로 회전된다.
한편, 전술한 집진기(60)는 도 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50)의 서브 아암(53)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유니트 체어(UC)의 주변에 에어로졸 형태로 비산된 비산물질을, 후술되는 바와 같이 진공펌프(P)의 진공압을 통해 흡입하여 집진한다. 즉, 집진기(60)는 크레인(50)에 설치되어 서브 아암(53)의 주변에 비산되는 이물질이나 혈액과 같은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집진한다.
집진기(60)는 예컨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 벨마우스(61), 캡(63) 및 가이드 배관(G)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실린더(62))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되고, 길이를 갖는 원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린더(6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점검을 위해 개폐식 점검도어(DR)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검도어(DR)는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일부분이 타공되어 절개됨에 따라 마련되는 타공판(62b) 및 타공판(62b)의 일측을 실린더(62)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H)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타공판(62b)은 레이저나 커팅기로 실린더(62)의 일부분이 타공되어 제조되는 실린더(62)의 일부분이다. 힌지(H)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62b) 및 실린더(62)에 제각기 마련되는 복수의 판형 브래킷(B)에 관통되고, 단부가 너트(N)로 체결되는 볼트로 구성된다. 점검도어(DR)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편축회전되면서 실린더(62)의 절개된 부위를 개폐한다.
점검도어(DR)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내부에 설치되는 마그네트(MG) 및 타공판(62b)에 설치되어 타공판(62b)과 함께 회전되면서 마그네트(MG)에 착탈되는 자성체 재질의 착탈돌기(62c)가 구비된다. 타공판(62b)은 이러한 마그네트(MG) 및 착탈돌기(62c)로 인하여 폐쇄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한다.
점검도어(DR)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판(62b)의 일부분이 절개되고, 타공판(62b)에 투시창(W)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W)는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타공판(62b)의 절개된 부위에 실리콘이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된다. 투시창(W)은 사용자가 실린더(62)의 내부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실린더(62)의 내부를 투과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후술되는 가이드 배관(G)의 오염상태나 노후 상태 등을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다.
점검도어(DR)는 위와 같은 투시창(W)으로만 구비되어 전술한 힌지(H)로 실린더(6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즉, 점검도어(DR)는 전술한 타공판(62b)이 없이 투시창(W) 및 힌지(H)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검도어(DR)는 투시창(W)이 힌지(H)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실린더(62)의 절개된 부위를 점검가능하게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벨마우스(61)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팔처럼 벌어진 원뿔형태의 중공관으로 구성되어 실린더(62)의 전방에 후단이 결합된다. 즉, 벨마우스(61)는 후단보다 선단이 확관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실린더(62)의전방에 결합된다. 이러한 벨마우스(61)는 주변의 비산물질이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선단이 후단에 비해 확관된 형태로 형성된다.
벨마우스(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태의 본체(61a), 이러한 본체(61a)의 후단에 구비되고, 실린더(62)의 선단에 결합되는 중공의 삽입부(61b) 및 삽입부(61b)의 단부에 삽입부(61b)의 중공과 연통상태로 마련되고, 본체(61a)로 유입되는 비산물질을 배출시키는 배출니플(61c)로 구성된다. 삽입부(61b)는 벨마우스(61)가 실린더(62)에 고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선단에 삽입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실린더(62)의 선단에 결합된다. 배출니플(61c)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가이드 배관(G)이 결합되어 배출되는 비산물질을 가이드 배관(G)으로 안내한다.
한편, 전술한 캡(6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후방에 결합되어 실린더(62)의 후방을 차폐한다. 캡(63)은 비산물질이 소통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갖는 관체(63a)로 구성된다. 캡(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에 중공과 연통된 선단니플(63b) 및 후단니플(63c)을 갖는다. 캡(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니플(63b)에 후술되는 가이드 배관(G)이 연결되고, 후단니플(63c)에 전술한 바와 같이 분배기(D)에 연결된 연결튜브(T)가 연결된다. 캡(6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니플(63c)에 결합된 연결튜브(T)가 분배기(D)에 연결됨에 따라 연결튜브(T) 및 분배기(D)를 통해 진공펌프(P)의 진공압이 전달되고, 이러한 진공압을 선단니플(63b)에 연결된 가이드 배관(G)을 통해 벨마우스(61)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벨마우스(61)는 진공압의 진공에 의해 주변의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가이드 배관(G)을 통해 연결튜브(T)로 안내한다. 따라서, 비산물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튜브(T)에 의해 분배기(D)로 공급된 후 폐기물 탱크(TK)에 포집된다.
여기서, 전술한 캡(63)은 후단니플(63c)에 분배기(D)의 연결튜브(T)가 연결될 경우,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튜브(T)의 단부에 구비된 커플러(CP)를 통해 연결튜브(T)가 연결된다. 이러한 커플러(CP)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D)의 연결튜브(T)에 일체로 구비된 통상의 커플러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캡(63)은 후단니플(63c)에 전술한 연결튜브(T) 대신, 도 3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P) 및 분배기(D)를 연결하는 유로에서 분기되는 분기튜브(T2)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캡(63)은 진공펌프(P) 및 분배기(D)를 연결하는 유로로부터 진공압을 제공받으며, 가이드 배관(G)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벨마우스(61)의 비산물질이 폐기물 탱크(TK)에서 포집되도록 분기튜브(T2)로 안내한다.
캡(63)은 도 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후단니플(63c)이 차폐되도록 링형태의 측벽(63d)이 후단에 구비된다. 측벽(63d)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니플(63c)의 차폐가 가능한 길이로 캡(63)의 후단부 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캡(63)은 후단니플(63c)이 측벽(63d)에 의해 차폐되므로 미관이 향상된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 배관(G)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태로 형성되며, 입구 및 출구가 각각 전술한 벨마우스(61)의 후단 및 캡(63)의 선단에 연결된다. 이때, 가이드 배관(G)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벨마우스(61)의 후단에 구비된 배출니플(61c)에 입구가 결합되고, 캡(63)의 선단니플(63b)에 출구가 연결된다. 즉, 가이드 배관(G)은 벨마우스(61) 및 캡(63)을 기밀상태로 연결한다. 따라서, 가이드 배관(G)은 캡(63)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을 벨마우스(61)에 전달하고, 벨마우스(61)에서 흡입되는 비산물질을 캡(63)으로 전달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를 통해 폐기물 탱크(TK)에 공급한다.
여기서, 전술한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50)의 폴(51), 메인 아암(52) 및 서브 아암(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통상의 'C'형 탄성클램프(C)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는 사용시 꼬이지 않는다.
다른 한편, 전술한 벨마우스(61)는 전술한 바와 달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형 마그네트(MG)에 의해 실린더(62)의 전방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링형 마그네트(MG)는 실린더(62)의 전방에 용접이나 접합 또는 억지끼움과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실린더(62)의 전방에 고정된다. 벨마우스(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삽입부(61b)가 링형 마그네트(MG)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링형 마그네트(MG)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링형 마그네트(MG)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후방에도 구비될 수도 있다. 이렇게, 실린더(62)의 후방에 구비되는 링형 마그네트(MG)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캡(63)의 관체(63a)가 삽입된다. 따라서, 캡(63)은 링형 마그네트(MG)에 의해 실린더(62)의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전술한 벨마우스(61) 및 캡(6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마그네트(MG)에 삽입되는 부위에 단턱(PL)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벨마우스(61) 및 캡(6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PL)이 링형 마그네트(MG)에 밀착되어 걸림에 따라 삽입깊이가 제한될 뿐만 아니라 링형 마그네트(MG)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상과 같은 집진기(60)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아암(53)의 단부에 용접이나 볼팅으로 부착된 판상의 브래킷(53c)에 힌지(H)로 고정됨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회동된다. 판상의 브래킷(53c)은 미관을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H)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판상의 브래킷(53c)을 관통한 후 너트(N)가 체결됨에 따라 판상의 브래킷(53c)에 고정되는 볼트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집진기(60)는 진공펌프(P)의 진공압을 벨마우스(61)의 측방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닛은 예컨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니플(NP) 및 볼밸브(7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측방 니플(NP)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마우스(61)의 측방에 관통상태로 설치된다. 측방 니플(NP)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연결튜브(T)가 결합된다. 이러한 측방 니플(NP)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석션용 핸드피스(HP)가 구비된 통상의 연결튜브(T)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밸브(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마우스(61)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일직선의 직선유로(71a) 및 이러한 직선유로(71a)에 직교상태로 연통된 분기유로(71b)가 관통형성되어 대략 'T형으로 형성된 바이패스 유로를 갖는 볼(71), 이러한 볼(71)에 연결된 연결축(73) 및 연결축(73)의 단부에 수평상태로 결합된 노브(75)로 구성된다. 볼밸브(70)는 노브(75)의 회전에 의해 연결축(73)이 회전되면서 볼(71)을 회전시킨다.
볼밸브(70)는 평상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유로(71a)가 벨마우스(61)의 축방향과 평행을 이루면서 개방되고, 분기유로(71b)가 벨마우스(61)를 구성하는 삽입부(61b)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차폐된다. 이러한 볼밸브(70)는 직선유로(71a)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62)의 후단에 마련된 캡(63)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을 벨마우스(61)의 선단에 제공한다. 따라서, 벨마우스(61)는 선단에서 흡입되는 비산물질을 실린더(62)의 내측으로 전달한다.
이와 달리, 볼밸브(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75)의 조작에 의해 바이패스 유로의 방향이 전환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유로(71a)의 일단부가 측방 니플(NP)과 연통되고, 직선유로(71a)의 타단부가 벨마우스(61)를 구성하는 삽입부(61b)의 내주면에 의해 차폐되며, 분기유로(71b)가 벨마우스(61)의 배출니플(61c)과 평행을 이룬다. 볼밸브(70)는 이러한 직선유로(71a) 및 분기유로(71b)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캡(63)으로부터 제공되는 진공압을 전술한 측방 니플(NP)로 전달한다. 따라서, 벨마우스(61)는 측방 니플(NP)에 연결된 핸드피스(HP)에 진공압을 전달하여 핸드피스(HP)를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과 같은 오염물질을 흡입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는, 집진기(60)를 파지한 후 수평으로 회전시킬 경우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50)의 서브 아암(53)이 볼조인트(BJ)에 의해 메인 아암(52)을 중심으로 수평회전되며, 수직으로 회전시킬 경우 집진기(60)가 판상의 브래킷(53c)에 고정된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집진기(60)가 수평회전 및 수직회전됨에 따라 환자의 수술부위나 치료부위와 인접한 원하는 위치에 집진기(60)를 위치시킬 수 있다.
집진기(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튜브(T2)나 연결튜브(T)를 통해 제공되는 진공펌프(P)의 진공압에 의해 수술부위나 치료부위에서 발생되는 비산물질을 흡입한다. 집진기(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63)의 후단니플(63c)에 분기튜브(T2)나 연결튜브(T)가 결합됨에 따라 캡(63)을 통해 진공압이 유입되고, 가이드 배관(G) 및 벨마우스(61)로 진공압이 전달됨에 따라 벨마우스(61)를 통해 비산물질이 흡입된다. 집진기(60)는 진공펌프(P)와 연결된 폐기물 탱크(TK)에 비산물질을 포집되도록 흡입된 비산물질을 가이드 배관(G) 및 캡(63)을 통해 분기튜브(T2)나 연결튜브(T)로 안내한다.
집진기(60)는 비산물질에 의한 가이드 배관(G)의 오염상태를 실린더(62)의 투시창(W)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집진기(60)는 가이드 배관(G)이 심하게 오염되었을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도어(DR)를 열고 가이드 배관(G)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점검도어(DR)는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편축회전됨에 따라 실린더(62)를 개폐하고, 폐쇄시 실린더(62)의 내측에 구비된 마그네트(MG)에 착탈돌기(62c)가 부착됨에 따라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집진기(6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마우스(61)의 측방에 구비된 측방 니플(NP)에 기존의 연결튜브(T)가 커플러(CP)에 의해 연결될 경우, 캡(63)을 통해 유입되는 진공압이 볼밸브(70)에 의해 연결튜브(T)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볼밸브(7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75)에 의해 회전되어 'T'형의 바이패스 유로가 'ㅓ'와 같은 형태를 이룸에 따라 진공압이 측방 니플(NP)에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니플(NP)의 연결튜브(T)에 구비된 핸드피스(HP)를 이용하여 이물질이나 혈액 등의 오염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크레인(5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아암(53)에 추가 아암(54)이 설치될 수 있다. 추가 아암(54)은 전술한 볼조인트(BJ)에 의해 서브 아암(53)에 연결된다. 추가 아암(54)은 도시된 바와같이 대략 'ㄷ'과 같이 절곡된 밴딩파이프로 구성되고, 단부에 전술한 집진기(60)가 힌지(H)로 고정되거나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60)의 벨마우스(61)가 힌지(H)로 고정된다. 이러한 크레인(50)은 추가 아암(54)이 도 1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아암(53)의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집진기(60)나 벨마우스(61)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벨마우스(61)는 도 1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61b)의 후단에 구비된 배출니플(61c)에 전술한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가 연결된다. 벨마우스(61)는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에서 제공되는 진공압에 의해 주변의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연결튜브(T)나 분기튜브(T2)를 통해 전술한 폐기물 탱크(TK)에 공급한다. 따라서, 집진기(60)는 벨마우스(61)로만 구성되어도 비산물질을 흡입하여 폐기물 탱크(TK)에 포집할 수 있다. 이렇게, 집진기(60)가 벨마우스(61)로만 구성될 경우 집진기(60)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 단가도 절감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메인 아암(52)이나 서브 아암(53)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P)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펌프(P)는 전술한 유니트 체어(UC)에 구비된 진공펌프(P)와 별개로 구비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폴(51)에 설치되거나 메인 아암(52) 또는 서브 아암(53)에 연결된다. 진공펌프(P)는 도 14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튜브(T)와 연결되어 유니트 체어(UC)의 진공펌프(P)와 별개로 진공압을 제공한다. 따라서, 집진기(60)는 유니트 체어(UC)의 진공펌프(P)와 상관없이 이물질을 흡입한다.
여기서, 전술한 연결튜브(T)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방향 원터치식 튜브피팅(TP)을 통해 하방튜브(T3)가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방튜브(T3)는 진공펌프(P)에 의해 연결튜브(T)로 흡입되는 흡입물질들 중에서 이물질만을 수용한다. 하방튜브(T3)는 연결튜브(T)를 관류하는 흡입물질들 중에서 자중을 갖는 혈액 등의 이물질이 유입된다. 이때, 이물질은 하방튜브(T3)가 수직으로 연결튜브(T)에 연결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하방튜브(T3)로 자연적으로 유입된다.
하방튜브(T3)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을 포집하는 폐기물용 포집박스(WB)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집박스(WB)에 포집한다. 따라서, 연결튜브(T)는 하방튜브(T3)에 의해 이물질이 분리된 흡입물질만 흡입한다.
한편, 집진기(60)는 도 14의 하측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관체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집진기(6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은 나팔관 형태의 관체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집진기(60)는 전술한 메인 아암(520이나 서브 아암(53) 또는 앞서 설명된 추가 아암(54)을 통해 별개의 진공펌프(P)와 연결된다. 따라서, 집진기(60)는 진공펌프(P)의 진공압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진공펌프(P)가 유니트 체어(UC)의 진공펌프(P)와 별개로 구성되므로 유니트 체어(UC)의 진공펌프(P)와 별개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유니트 체어(UC) 진공펌프(P)에 무리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니트 체어(UI)와 별개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튜브(T)에 하방튜브(T3)가 하방으로 분기될 경우, 연결튜브(T)로 유입되는 흡입물질들 중 혈액과 같은 이물질을 하방튜브(T3)가 분리하여 폐기물용 포집박스(WB)에 포집하므로 자중을 갖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특히, 하방튜브(T3)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60)와 인접상태로 분기되므로 이물질이 집진기(60)에서 배출되는 즉시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튜브(T)의 유입구측에서 이물질이 분리되므로 연결튜브(T)에 작용하는 진공펌프(P)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크레인(50)은 전술한 메인 아암(52) 및 서브 아암(53)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튜브(ST) 및 절곡튜브(ET)로 구성될 수 있다. 직선튜브(ST) 및 절곡튜브(ET)는 복수로 구성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 형상 관형 부재 및 엘보 형상 관형 부재로 각각 구성되어, 제1 관부재(211) 내지 제4 관부재(214)로 이루어진 메인 아암(52) 및 사브 아암(53)을 제공한다. 제1 관부재(211) 내지 제4 관부재(2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커플링부재(231~235)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러한 커플링부재(231~235)는 원터치식 착탈이 가능한 통상의 볼커플러로 구성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크레인(50)은, 제1 관부재(211) 내지 제4 관부재(214)가 커플링부재(231~235)들을 중심으로 제각기 회전되므로 집진기(60)를 원하는 각도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이나 바닥의 먼지를 포집하도록 일부의 구성이 변경될 경우 의료용 이외의 청소용 집진기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환자가 착좌 내지 누울 수 있는 시트 및 등받이가 구비되고,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분배하는 분배기를 가지며, 상기 분배기에 튜브로 연결되어 진공압을 통해 이물질이나 혈액을 흡입하는 석션용 핸드피스가 구비된 유니트 체어;
    상기 유니트 체어에 설치되어 수직을 이루는 폴과, 상기 폴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을 이루는 메인 아암 및 상기 메인 아암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회전되는 서브 아암을 갖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의 상기 서브 아암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유니트 체어의 주변에 에어로졸 형태로 비산된 비산물질을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통해 흡입하여 집진하는 집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기는,
    상기 진공펌프 및 상기 분배기를 연결하는 유로에서 분기되는 분기튜브나 상기 유니트 체어의 분배기에 연결되는 연결튜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공되는 진공압을 통하여 상기 비산물질을 집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는,
    양단이 개방되고, 길이를 갖는 원통형의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후단이 결합되고, 상기 비산물질의 유입을 위해 상기 실린더에 결합된 후단 보다 선단이 확관된 형태로 이루어진 벨마우스;
    상기 실린더의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실린더의 후방을 차폐하고, 상기 비산물질을 소통시키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결합되는 캡; 및
    상기 캡을 통해 상기 벨마우스의 후단으로 진공압이 제공되도록, 상기 캡의 중공 및 상기 벨마우스의 후단을 기밀상태로 연결하여 상기 벨마우스의 선단으로 유입되는 상기 비산물질을 상기 캡의 중공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배관;을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내부를 점검하도록 개폐되는 점검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점검도어는,
    상기 실린더의 점검을 위해 상기 실린더의 일부분이 타공되어 절개됨에 따라 마련되는 타공판; 및
    상기 타공판의 일측을 상기 실린더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은,
    상기 메인 아암 및 상기 서브 아암이 직선튜 브 및 절곡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직선튜브 및 상기 절곡튜브는 복수로 구성되되, 일직선 형상의 관형 부재 및 엘보 형상의 관형 부재로 각각 구성되어 복수의 커플링부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중공과 연통되도록 후단에 구비되고,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결합되는 후단니플; 및
    상기 후단에 링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후단니플의 측방을 차폐하는 환형의 측벽;을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의 진공압을 상기 벨마우스의 측방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분기튜브나 상기 연결튜브가 결합되도록 상기 벨마우스의 측방에 관통상태로 설치되는 측방 니플; 및
    상기 벨마우스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고, 'T형으로 관통형성된 바이패스 유로를 가지며, 회전에 의해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상기 벨마우스에 제공되는 진공압을 상기 측방 니플로 안내하는 볼밸브;를 포함하는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PCT/KR2022/013319 2022-09-06 2022-09-06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WO202405375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3319 WO2024053753A1 (ko) 2022-09-06 2022-09-06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3319 WO2024053753A1 (ko) 2022-09-06 2022-09-06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3753A1 true WO2024053753A1 (ko) 2024-03-14

Family

ID=90191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319 WO2024053753A1 (ko) 2022-09-06 2022-09-06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5375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541A (ja) * 1994-02-07 1995-08-15 Osada Res Inst Ltd 歯科治療ユニット
JP2002095683A (ja) * 2000-09-25 2002-04-02 Osada Res Inst Ltd 歯科用口腔内バキュームハンドピース
JP2010115306A (ja) * 2008-11-12 2010-05-27 Morita Mfg Co Ltd バキューム管路洗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歯科用診療装置
KR20220015686A (ko) * 2020-07-31 2022-02-08 이명호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KR102365149B1 (ko) * 2020-12-29 2022-02-18 백인규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3541A (ja) * 1994-02-07 1995-08-15 Osada Res Inst Ltd 歯科治療ユニット
JP2002095683A (ja) * 2000-09-25 2002-04-02 Osada Res Inst Ltd 歯科用口腔内バキュームハンドピース
JP2010115306A (ja) * 2008-11-12 2010-05-27 Morita Mfg Co Ltd バキューム管路洗浄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歯科用診療装置
KR20220015686A (ko) * 2020-07-31 2022-02-08 이명호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KR102365149B1 (ko) * 2020-12-29 2022-02-18 백인규 치과 시술을 위한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6226A1 (en) Dental imag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12505702A (ja) 唾液吸引機能を有する舌保護用ティップス、バイトブロックおよび口腔照明器
US20050175961A1 (en) Backflow prevention sleeve for suctioning devices
KR102474396B1 (ko)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US20220104927A1 (en) Extraoral suction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aerosol emissions during dental procedures
US6308707B1 (en) Vacuum equipment for medical tables
WO2015059651A1 (en) Dental operating unit consisting of original single equipment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hoses and cables which allow operating under absolute sterility conditions
JP4247809B2 (ja) 使い捨てチップを備える自照式吸引器具
WO2024053753A1 (ko) 의료기기용 셀프 어시스턴트 어셈블리
US5782045A (en) Dental treatment unit
CN111772845A (zh) 一种口外抽吸面罩
CN209236937U (zh) 牙科综合治疗台管道消毒系统
Ojajärvi Preven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the dental unit caused by suction into the turbine drive air lines
CN115024939A (zh) 口腔综合治疗台生命基础体征监测及急救系统
US6419487B1 (en) Multiport antibackflow manifold for dental handpiece system
JP2002303436A (ja) 空気清浄装置
CN111839952A (zh) 一种口腔综合诊疗舱系统
CA3076645A1 (en) Suction system for dental aerosols
JP3688351B2 (ja) 汚染防止装置
JPH1033569A (ja) 医療用診療装置
ITMI20012656A1 (it) Studio medico, in particolare studio dentistico, a condizioni migliorate di sterilita'
CN219817351U (zh) 可视化内镜清洗装置
US20220000597A1 (en) Extra-oral aerosol capture hood
CN212996842U (zh) 一种用于吸除口腔飞沫唾液的多功能吸引头
CN212973132U (zh) 一种口外抽吸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5820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