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461B1 - 신경 질환의 치료 - Google Patents

신경 질환의 치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461B1
KR102472461B1 KR1020187035896A KR20187035896A KR102472461B1 KR 102472461 B1 KR102472461 B1 KR 102472461B1 KR 1020187035896 A KR1020187035896 A KR 1020187035896A KR 20187035896 A KR20187035896 A KR 20187035896A KR 102472461 B1 KR102472461 B1 KR 102472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luoromethyl
amine
triazin
pyridin
azabicycl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294A (ko
Inventor
데니스 라게오트
폴 헤베이센
플로랑 보피으
도리아노 파브로
페트라 힐르만-울르너
호아 후 푸크 구엔
볼프강 뢰세르
클라우디아 브란트
알렉산더 마르쿠스 셀레
Original Assignee
토르쿠르 아게
우니베르시태트 바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르쿠르 아게, 우니베르시태트 바젤 filed Critical 토르쿠르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0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hree nitrogen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e.g. chlorazanil, mel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861,4-Oxazines, e.g. morpholine spiro-condensed or forming part of bridged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1Non-condensed thiazines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5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8-azabicyclo [3.2.1] octane, 9-azabicyclo [3.3.1] nonane, or 3-oxa-9-azatricyclo [3.3.1.0<2,4>] nonane ring systems, e.g. tropane or granatane alkaloids, scopolamine; Cyclic acetals thereof
    • C07D45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8-azabicyclo [3.2.1] octane, 9-azabicyclo [3.3.1] nonane, or 3-oxa-9-azatricyclo [3.3.1.0<2,4>] nonane ring systems, e.g. tropane or granatane alkaloids, scopolamine; Cyclic acetals thereof containing not further condensed 8-azabicyclo [3.2.1] octane or 3-oxa-9-azatricyclo [3.3.1.0<2,4>] nonane ring systems, e.g. tropane; Cyclic acetal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5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8-azabicyclo [3.2.1] octane, 9-azabicyclo [3.3.1] nonane, or 3-oxa-9-azatricyclo [3.3.1.0<2,4>] nonane ring systems, e.g. tropane or granatane alkaloids, scopolamine; Cyclic acetals thereof
    • C07D45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8-azabicyclo [3.2.1] octane, 9-azabicyclo [3.3.1] nonane, or 3-oxa-9-azatricyclo [3.3.1.0<2,4>] nonane ring systems, e.g. tropane or granatane alkaloids, scopolamine; Cyclic acetals thereof containing 9-azabicyclo [3.3.1] nonane ring systems, e.g. granatane, 2-aza-adamantane; Cyclic acetal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8Bridg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491/1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153Ortho-condensed systems the condensed system containing two rings with oxygen as ring hetero atom and one ring with nitrogen as ring hetero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8/08Bridg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체의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전구약물, 대사물,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235
(I)
식 중
X1, X2 및 X3 은, 서로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2개는 N이고;
Y는 N 또는 CH;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i) 식 (II)의 모르폴린일
Figure 112018124033118-pct00236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은 함께 1 내지 4개의 F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237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또는
(ii)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R7로 치환되는 티오모르폴린일 및 피페라지닐에서 선택되는 포화 6-원 헤테로고리 Z; 식 중 R7 은 독립적으로 각각 존재하는 경우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C1-C3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두 개의 R7 치환체는 함께 1 내지 4개의 F 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또는 -O-CH2CH2-O-에서 선택되는2가 잔기 -R8R9-를 형성하고;
단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식 II의 모르폴린일이다.

Description

신경 질환의 치료
본 발명은 대상체의 예방 또는 신경 질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백질 키나제 mTOR (포유류 라파마이신 표적)은 에너지 대사, 분화, 세포 성장 및 생존에 있어 흥미로운 인자이다. 또한, mTOR은 시냅스 가소성, 학습 및 피질 발달과 같은 뇌의 특정 메커니즘에 중요한 기능을 갖는다 (Wong, M., Biomed J, 2013. 36(2): p. 40-50). mTOR 신호 전달 경로는 많은 질병에서 활성화된다. 특히, 헌팅턴병과 간질 발작 등의 다양한 신경 질환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3-키나제 (PI3K)/mTOR경로와 연관된다.
지금까지 이러한 라파마이신, 면역 억제 및 항 염증 효능을 갖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및 밀접하게 관련된 라파로그와 같은 입수 가능한 mTOR 억제제는 mTORC1의 FKBP 결합 포켓에 입체성 다른 자리 결합한다 (Laplante, M. 및 D.M. Sabatini, Cell, 2012. 149(2): p. 274-93.). mTOR의 저명한 하류 작용자는 S6 키나제 (S6K), 리보솜 단백질 S6 (S6rP) 및 4E-결합 단백질 (4E-BP)이다. mTORC2에 대한 억제 효과는 신경 질환에서 mTOR의 효과의 부분적인 억제를 초래하는 미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바람직하지 못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INK128 같은 ATP 부위 지향 mTOR 억제제의 1 세대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억제제는 mTORC1 및 mTORC2을 억제하여 mTOR의 기능을 모두 차단하지만, 반면에 높은 목표 특이성이 부족하여 낮은 내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비-선호적 PK 프로필은 혈액 뇌 장벽을 통해 침투, 따라서 CNS 질환 치료에 필요한 CNS에서 표적 억제를 제한한다.
단백질의 응집은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어떤 단백질은 전신 발현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중추 신경계 (CNS)에서 독성이다. 이러한 신경 퇴행성 질환은 (헌팅턴병 및 척추소뇌 운동실조와 같은) 폴리글루타민 확대 질환의 경우와 같이 병리 단백질이 핵 내에 축적되는 질환, (파킨슨병에 알파-시누클레인과 같은) 세포질 내 봉입체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및 병리 단백질이 세포 외에 (예를들면 프리온 질환) 또는 세포 내외 모두에 축적되는 (예를들면, 알츠하이머병에서 타우 및 아밀로이드-β (Αβ)) 질환을 포함한다 (Aguzzi, A. and T. O'Connor, Nat Rev Drug Discov, 2010. 9(3): p. 237-248).
헌팅턴병, 상염색체 우성 질환은 헌팅틴 단백질 (HTT)에 폴리글루타민의 트리뉴클레오티드 반복 확대에 관한 기저핵과 피질에서 상대적으로 선택적 신경 퇴행을 포함한다.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 (mHTT)을 효율적으로 신경세포에서 없어지지 않아 독성 세포내 응집체 축적 및 관련 신경세포 사멸로 이어진다. mHTT의 수준을 낮추거나 독성이 적은 종으로 mHTT를 변환하는 것은 효과적인 치료법의 개발을 위한 가장 유망한 전략이다. HTT 유전자 억제 접근 외에도 특히 자가포식에 의한 mHTT 단백질의 제거 강화가 개시되었다 (Nopoulos, P.C., Dialogues Clin Neurosci, 2016. 18(1): p. 91-98).
자가포식은 손상 또는 병리 단백질 및 세포기관이 리소좀과 융합되는 이중-막 자가포식 소체에 의해 포획되는 세포 경로로서 카고 (cargo) 분해에 이를 수 있다 (Nyfeler, B., 등, Methods Mol Biol, 2012. 821: p. 239-250.). 자가포식 작용은 잘못 접힌 단백질의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헌팅턴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단백질 병증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손상된 자가포식 작용과 단백질 응집은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같은 다른 신경 질환과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유류 라파마이신 표적 (mTOR)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는 거대 자가포식 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Jung, C.H., 등, FEBS Lett, 2010. 584(7): p. 1287-95), mHTT는 mTOR 신호 전달을 촉진시킨다 (Pryor, W.M., 등, Sci Signal, 2014. 7(349): p. ra103). 헌팅턴병의 마우스 모델 및 인간 두뇌에서, mTOR은 폴리글루타민 응집체에 격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TOR 억제제는 자기포식 작용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mHTT 축적 및 헌팅턴병의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관련된 신경 세포의 사멸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Ravikumar B. 등, Nat Genet, 2004. 36: p. 585-595.; Floto RA 등, Autophagy, 2007. 3: p. 620-622). 입체성 다른 자리 결합 mTOR 억제제 (예를들면, 라파마이신/라파로그)는 mHTT 단편 제거를 매개하고 자극된 자기포식 작용에 의해 비-신경 세포에서 mHTT-유도된 독성으로부터 보호한다 (Ravikumar, B. 등, Hum Mol Genet, 2002. 11(9): p. 1107-1117). 그러나 최근의 연구는 라파로그는 R6/2 마우스 HD 모델에서 신경 퇴행 예방에 비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Fox, J.H., 등, Mol Neurodegener, 2010. 5: p. 26).
입체성 다른 자리 결합 mTOR 억제제에 비해 촉매성 ATP-부위 지향 mTOR의 억제제는 mHTT를 자가포식을 유도하고 비-신경세포에서 mHTT 축적을 감소시키고 (Roscic, A., 등, J Neurochem, 2011. 119(2): p. 398-407), mHTT 응집체 축적 및 독성을 줄이는데 더 강력한 것으로 최근 나타났고, R6/2 마우스의 피질선조체 뇌 조각에서 중간돌기신경 퇴행을 방지하였다 (Proenca, C.C., , PLoS One, 2013. 8(7): p. e68357). 불행하게도, 현재 입수 가능한 촉매성 mTOR 억제제는 충분한 뇌 침투가 부족하고 생체내 개념 검증 (PoC) 연구에서 장기적으로 너무 독성이 있을 수 있다.
현재까지 가장 발전된 치료 방법은 중추 투여에 의한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siRNA를 이용한 HTT 유전자 억제를 기반으로 한다. HD 동물 모델에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질병의 진행에 강한 감소를 설득력 있게 증명하고 있다. 안티센스 접근 방식의 현재 주요 과제는 침투적 중추 투여뿐만 아니라 이러한 안티센스 분자가 인간의 두뇌에 충분한 확산을 달성할 수 있는지의 여부이다.
전세계적으로 활성화 간질 5천만 명 중 30 ~ 40 %가 치료 저항성이다 (Loscher, W. 등, Nat Rev Drug Discov, 2013. 12(10): p. 757-776.). 현재 표준 치료의 예시로는 페노바르비탈 및 레비티라세탐이다. 페노바르비탈은 뚜렷한 항경련 효능을 가지지만 인간의 환자와 동물 모델에서 강한 진정 작용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는1 세대 항발작 약물이다. 레비티라세탐은 2 세대 항발작 약물에 속하고 간질의 치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물 중 하나이다.
상승된 mTOR 신호 전달 (TOR병증)과 연관된 여러 유전자 결함은 간질 발작을 일으킨다. TSC 발작은 TSC1 또는 TSC2의 상염색체 우성 비활성화에 의해 유발되는 간질의 한 형태이고 항시 mTOR의 활성을 유도하여 양성 종양 간질, 정신 지체 및 발작의 형성을 초래한다. 임상 연구에서, 에베로리무스 치료는 TSC 환자와 TSC 관련 SEGA 환자의 발작 빈도를 감소시켰다. 간질을 일으키는 다른 "TOR병증"은 양수 과다증, 증상 간질 증후군, PMSE, 국소 피질 이형성증 (FCD) 및 PTEN 돌연변이가 있는 "TOR병증"이다 (Cardamone, M., 등, J Pediatr, 2014. 164(5): p. 1195-200; Sadowski, K., 등, Pharmacol Rep, 2015. 67(3): p. 636-46).
간질발생기는 예비 간질 발작의 발생 (예를들면 뇌 손상 또는 유전적 결함) 및 제1 자발적 발작 사이의 기간이다. 간질발생기의 다른 유형에 관여하는 많은 인자들이 설명되었고, mTOR의 활성화는 간질의 많은 유형에서 관찰되는 하나의 인자이다 (Sadowski, K., K. Kotulska-Jozwiak, and S. Jozwiak, Pharmacol Rep, 2015. 67(3): p. 636-46.). 현재의 모든 발작 억제제는 증상에 따라 작용하고 간질발생기를 변경하지 않는다. mTOR 활성화는 간질발생기 동안 다른 프로세스에 관여된다: 신경 성장과 비대 신경세포의 형성, 자가포식 작용 억제 및 신경 염증. 또한, mTOR의 억제제 라파마이신이 다른 간질 동물 모델에서 간질발생기 및 발작의 회수/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있다.
현재 치료법의 가장 큰 단점은 mTOR 또는 이중 mTOR / PBK 억제제가 혈액 뇌 장벽 (BBB)을 통과할 수 없는 제한된 능력 또는 무능력, 및 종래 기술의 화합물의 세포 독성 잠재성이고, 이는 신경 질환의 치료를 위한 제한된 의료적 이익으로 이어진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신경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은 mTOR의 특이적 억제제 또는 PI3K / mTOR의 이중 억제제이로 혈액 뇌 장벽을 통과할 수 있고, 즉 뇌에서 PI3K/mTOR경로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놀랍게도 비-독성이고 경구 생체이용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은 놀랍게도 시험관내 및 생체내 자가포식 작용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시험관 내에서 신경독성 돌연변이 헌팅 응집체의 형성을 감소시키고 마우스에서 전기 충격 유도된 발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임상 모델에서 입증된 효능 때문에, 본 발명의 내약성 및 혈액 뇌 장벽 침투성 mTOR 억제제는 현재까지 파괴적이고 종종 치명적인 질환인 HD 및 간질 등 신경 질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임상 후보로 개발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서, 대상체의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전구약물, 대사물,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 제공되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01
(I)
식 중
X1, X2 및 X3 은, 서로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2개는 N이고;
Y는 N 또는 CH;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i) 식 (II)의 모르폴린일
Figure 112018124033118-pct00002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은 함께 1 내지 4개의 F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03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또는
(ii)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R7로 치환되는 티오모르폴린일 및 피페라지닐에서 선택되는 포화 6-원 헤테로고리 Z; 식 중 R7 은 독립적으로 각각 존재하는 경우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C1-C3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두 개의 R7 치환체는 함께 1 내지 4개의 F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또는 -O-CH2CH2-O-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8R9-를 형성하고;
단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식 II의 모르폴린일이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 및 구현예는 이러한 설명이 계속됨에 따라 명백할 것이다.
도 1A: 스프라그 돌리 (SD) 랫트에서 화합물 3 (“Cpd. 3”) 수준에 대한 약동학 분석. Cpd. 3 (10 mg/kg) 단일 경구 투여 후, 상이한 시점들에서 LC-MS. n=3로 화합물 수준을 위하여 조직 샘플을 분석하였다.
도 1B: 6마리 Balb 6 마우스에서 Cpd. 3 및 화합물 8 (Cpd. 8) 수준에 대한 약동학 분석. Cpd. 3 또는 Cpd. 8 (50 mg/kg) 단일 경구 투여 후, 상이한 시점들에서 LC-MS. n=3로 화합물 수준을 위하여 조직 샘플을 분석하였다.
도 2 A: 6마리 Balb 6 마우스에 50 mg/kg 단일 경구 적용하여 투여한 Cpd. 3의 약역학 분석. 웨스턴 블롯으로 뇌 용해물을 분석하였다. mTOR 신호전달은 30 분 내지 8 시간 사이 시점에서 S6 인산화 감소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Cpd. 3에 의해 억제된다. 웨스턴 블롯 밴드 정량화는 mTOR 신호전달 경로의 유의한 감소를 보인다. n=3, 분산 분석 (ANOVA), *** p<0.0005, ** p<0.005, * p<0.05
도 2B: 6마리 Balb 6 마우스에 50 mg/kg 단일 경구 적용하여 투여한 Cpd. 8의 약역학 분석. 웨스턴 블롯으로 뇌 용해물을 분석하였다. mTOR 신호전달은 30 분 내지 8 시간 사이 시점에서 S6 인산화 감소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Cpd. 8에 의해 억제된다. 웨스턴 블롯 밴드 정량화는 mTOR 신호전달 경로의 유의한 감소를 보인다. n=3, 분산 분석 (ANOVA), *** p<0.0005, ** p<0.005, * p<0.05
도 2C: 6마리 Balb 6 마우스에 50 mg/kg 단일 경구 적용하여 투여한 Cpd. 3의 약역학 분석. 웨스턴 블롯으로 대퇴부 근육 용해물을 분석하였다. mTOR 신호전달은 30 분 내지 8 시간 사이 시점에서 S6 인산화 감소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Cpd. 3에 의해 억제된다. 웨스턴 블롯 밴드 정량화는 mTOR 신호전달 경로의 유의한 감소를 보인다. n=3, 분산 분석 (ANOVA), *** p<0.0005, ** p<0.005, * p<0.05
도 2D: 마리 Balb 6 마우스에 50 mg/kg 단일 경구 적용하여 투여한 Cpd. 8의 약역학 분석. 웨스턴 블롯으로 대퇴부 근육 용해물을 분석하였다. mTOR 신호전달은 30 분 내지 8 시간 사이 시점에서 S6 인산화 감소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Cpd. 8에 의해 억제된다. 웨스턴 블롯 밴드 정량화는 mTOR 신호전달 경로의 유의한 감소를 보인다. n=3, 분산 분석 (ANOVA), *** p<0.0005, ** p<0.005, * p<0.05
도 3A: 필로카르핀-사전처리된, 간질 마우스 및 이들의 무처리 상대방의 용해된 마우스 뇌에 대한 웨스턴 블롯 분석. mTOR 신호전달은 필로카르핀 간질지속상태 (SE) 모델에서 상승된다. n=9 (원시 마우스), n=8 (간질 마우스), ANOVA * p<0.05
도 3B: 화합물 3 및 8의 단일 경구 투여로 처리된 간질/필로카르핀 사전처리된 및 원시 마우스의 용해된 마우스 뇌에 대한 웨스턴 블롯 분석은 뇌에서 S6 인산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원시 마우스에서 더욱 강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에베로리무스는 뇌에서 유의한 mTOR 신호전달 억제를 보이지 않았다. MEAN ± SEM, ANOVA, * p<0.05, # p<0.05, n=5
도 4: mTOR 억제제, 페노바르비탈 또는 레비티라세탐로 간질 및 비간질 마우스 치료 후 최대 전기 충격 발작 임계 테스트 (MEST)를 수행하였다. 억제제의 항간질 효과가 관찰되었다.
도 4 A, B: 원시 마우스의 MEST.
도 4 C, D: 필로카르핀 처리된, 간질 마우스의 MEST.
Pheno= 페노바르비탈, LEV=레비티라세탐, Evero=에베로리무스, Rapa=라파마이신, 괄호: 투여량 mg/kg, 사전처리 시간 h, 투여 경로 경구 (po) 또는 복강내 (ip). A, C: mA ± 평균 표준오차 (SEM)로 CC50; B, D: 비히클 CC50로 CC50 % 변화, ANOVA 및 사후 던네트 검정, * p<0.05
도 5: 상이한 농도의 Cpd. 3 및 Cpd. 8 및 mTORC1/2 억제제 INK 128 (사파니서팁) (100 nM) 및 라파마이신 (400 nM)으로 배양한 후, 7 (STHdhQ7/Q7) 또는 111 CAG-반복틀 (STHdhQ111/Q111)을 가지는 전장 HTT를 발현하는 녹-인 (knock-in) 마우스 모델에서 유래되는 불멸화 선조체 세포의세포 생존 및 단백질 합성.
도 5 A+B 젖산탈수소효소 (LDH) 분석 A: STHdhQ7/Q7. B: STHdhQ111/Q111. 양자 모두, 24h 내지 48 h 사이의 시점에서 Cpd. 3 및 Cpd. 8은 LDH 생성을 감소시켰다; n=3-6
도 5 Cpd. 3, Cpd. 8 및 참고 화합물 INK128 (100 nM) 및 라파마이신 (400 nM)과 함께 배양 후 상이한 시점에서 C+D STHdhQ7/Q7 및 STHdhQ111/Q111 의 미토콘드리아 활성 검출을 위한 PrestoBlue 분석. 화합물들은 용인되고 1230 nM의 Cpd. 3으로 72 시간 배양 후 단지 약간의 억제가 있을 뿐이다. n=6-9
ANOVA *** p<0.0005, ** p<0.005, * p<0.05
도 6: Cpd. 3 (200 nM, 400 nM, 1230 nM), Cpd. 8 (130 nM, 1230 nM), INK 128 (100 nM), 라파마이신 (400 nM) 또는 DMSO 대조군으로 4 시간 처리 후 STHdhQ7/Q7 및 STHdhQ111/Q111 세포에 있어서 mTOR 신호전달 경로 억제 및 자가포식 유도. 세포 용해물의 웨스턴 블롯 분석.
도 6 A+B: mTOR 신호전달 분자 mTOR, S6rp 및 4E-PB의 인산화 감소는 농도 의존적이다. n=3
도 6 C+D: LC3-II 증가로 자가포식 유도를 나타낸다. n=3
ANOVA *** p<0.0005, ** p<0.005, * p<0.05
도7: 각각 Q51 또는 Q19 확장을 가지는 mHTT의 엑손 1로 세포 형질 전환된 인간 배아 신장 세포 (HEK293)에서 mHTT 응집체 형성 감소.
도 7 A+B: Cpd. 8 (130 nM, 1230 nM), cpd. 3 (400 nM), 1230 nM), INK128 (100 nM), 라파마이신 (400 nM) 또는 DMSO 대조군으로 사전처리된 Q51 및 DMSO 대조군으로 처리된 Q19 확장을 가지는 mHTT의 엑손 1로 형질 전환된 HEK293 세포 용해물에 대한 필터 트랩 분석. mTOR 억제제로 처리하면 응집체 형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n=3, ANOVA *** p<0.0005, ** p<0.005, * p<0.05
도 7 C+D: Cpd. 8 (130 nM, 1230 nM), cpd. 3 (400 nM), 1230 nM), INK128 (100 nM), 라파마이신 (400 nM) 또는 DMSO 대조군으로 사전처리된 Q51을 가지는 mHTT의 엑손 1로 형질 전환된 HEK293 세포의 면역 염색. 응집체는 샘플 당 10000 세포에서 수동 계수되었다. ANOVA **** p<0.00005, *** p<0.0005, ** p<0.005, * p<0.05
도 8A: Cpd. 3, 50 mg/kg 단일, 경구 투여 후 각각 0.5 h, 4 h, 8h 후 BALB/C 마우스 뇌에서 자가포식 유도. 뇌 용해물을 웨스턴 블롯으로 분석하였다. 자가포식 마커 LC3-II 및 p62는 30 분 내지 8 시간 사이의 시점에서 변경되었다. 웨스턴 블롯 밴드의 정량화는 자가포식 유도를 보였다. n=3, ANOVA, *** p<0.0005, ** p<0.005, * p<0.05
도 8B: Cpd. 8, 50 mg/kg 단일, 경구 투여 후 BALB/C 마우스 뇌에서 자가포식 유도. 뇌 용해물을 웨스턴 블롯으로 분석하였다. 자가포식 마커 LC3-II 및 p62는 30 분 내지 8 시간 사이의 시점에서 변경되었다. 웨스턴 블롯 밴드의 정량화는 자가포식 유도를 보였다. n=3, ANOVA, *** p<0.0005, ** p<0.005, * p<0.05
도 9A: 출생 후 비히클, Cpd. R, Cpd. 3 및 Cpd. 8로 처리된 (P21) 전 및 (P22-P50) 치료 동안의 TSC1 GFAP 마우스의 체중. 평균 ± SEM. 일부 동물은 관찰 기간 동안 사망하였으므로 n은 6 내지 14로 변하였다.
도 9B: Tsc1 GFAP 마우스에서 자발적 전기촬영술 발작에 대한 특정 치료 요법의 효과. Cpd. 3 및 Cpd. 8은 강력하게 자발적 발작을 감소시키지만 참고 분자 Cpd. R는 더 약한 효과를 가진다. 데이터는 시험 각 주마다 평균 ± SEM (N=27-48 기록/그룹)으로 제시된다. 통계적 유의성은 비히클을 대조군으로 다중-조정된 (multiplicity-adjusted) p<0.05로 표시된다 (월콕슨 비-지표 검정).
도 10: R6/2 마우스 및 하나의 wt 동물로부터의 선조체 IHC 분석. 마우스를 비히클, Cpd. 3 및 Cpd. 8로 11.5 주 처리하고 선조체를 절제하였다. mutHTT 응집체 염색 후, 4개의 샘플에 대하여 응집체 개수를 계수하고 응집체 면적을 분석하였다. mutHTT 응집체 개수는 변하지 않았지만, Cpd. 3 치료 후 이들 응집체에 의한 면적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이는 mutHTT 응집체는 치료 후 더 작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ANOVA, p<0.05)
이제 본 발명에 대한 제시된 및 추가 측면들 및 제시된 및 추가 구현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이들 실시예는 동반된 구조 및 식으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열거된 구현예들과 연관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을 이들 구현예로 한정할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당업자는 본원에 기재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많은 방법 및 물질을 인지할 수 있고, 이들은 본 발명 실시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떠한 경우에도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물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 구현예 또는 실시예와 연관되어 설명되는 특징부, 정수 및 특성은 달리 모순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다른 측면, 구현예 또는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본원에 (임의의 첨부 청구항,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 개시되는 모든 특징부, 및/또는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모든 단계들은, 임의의 조합을 조합될 수 있지만, 적어도 일부 이러한 특징부 및/또는 단계가 상호 배타적인 경우의 조합은 그렇지 않다. 본 발명은 임의의 전기 구현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원에 (임의의 첨부 청구항, 요약서 및 도면을 포함) 개시되는 특징부의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 또는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공정의 모든 단계들의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신규한 조합으로 연장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보통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원 해석 목적으로, 다음 정의가 적용되고 적당하다면, 단수로 쓰이는 용어는 또한 복수를 포함하고 역도 성립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기술용어는 특정 구현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한정될 의도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정의:
용어 "포함하는", "가지는", 및 "함유하는" 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개방 가능한 용어로 해석된다 (즉,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 ").
용어 "개인," "대상체" 또는 "환자"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치료”/”치료하는”은 다음을 포함한다: (1) 상태, 장애 또는 병태를 앓거나 취약하지만 상태, 장애 또는 병태의 임상적 또는 준임상적 증상을 아직 경험하거나 보이지 않는 대상체에서 전개되는 상태, 장애 또는 병태의 임상적 증상의 출현을 예방하거나 지연하는 것; (2) 상태, 장애 또는 병태의 억제 (예를들면 질환 이의 적어도 하나 임상적 또는 준임상적 증상의 전개, 또는 유지 치료의 경우 이의 재발을 저지, 감소 또는 지연); 및/또는 (3) 병태 완화 (즉 상태, 장애 또는 병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임상적 또는 준임상적 증상의 퇴행 유발). 치료 대상 환자의 유익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거나 또는 적어도 환자 또는 의사가 지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약제가 환자에게 질환 치료를 위하여 투여될 때, 결과는 언제나 유효한 치료가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치료하는”이란, 치료적 처리를 의미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치료하는”이란, 예방적 처리를 의미한다.
용어 "키랄"은 거울상 파트너의 비-포개짐의 특성을 갖는 분자를 지칭하고, 한편 용어 "비키랄"은 그것의 거울상 파트너 상에서 겹쳐 놓을 수 있는 분자를 지칭한다.
용어 "입체이성질체"는 동일한 화학 구성을 갖지만, 공간에서 원자 또는 그룹의 배열이 상이한 화합물을 지칭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화합물이 서로 거울상이 아닌 키랄성의 2개 이상의 중심을 갖는 입체이성질체를 지칭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상이한 물리적 특성, 예를 들면 용융점, 비점, 스펙트럼 특성, 및 화학 및 생물학적 반응성을 갖는다.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은 고해상도 분석적 절차 예컨대 전기영동 및 크로마토그래피 하에서 분리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는 서로 겹칠 수 없는 거울상인 화합물의 2개의 입체이성질체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 입체화학적 정의 및 규약은 하기를 따른다: S.P. Parker, Ed., McRaw-Hiff Dictionary of Chemical Terms (1984),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and Eliel, E. 및 Wilen, S.,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4.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대칭 또는 키랄 중심을 함유할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 거울상이성질체 및 회전장애이성질체, 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라세미 혼합물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입체이성질체 형태는,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많은 유기 화합물은 광학 활성 형태로 존재하고, 즉, 평면-편광의 편을 회전시키는 능력을 갖는다. 광학 활성 화합물을 기재할때, 접두어 d 및 l, 또는 R 및 S은, 그것의 키랄 중심(들) 주위의 분자의 절대 배열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접두어 d 및 l 또는 (+) 및 (-)은 화합물에 의한 평면-편광의 회전 부호를 나타내도록 이용되고, (-) 또는 l는, 화합물 좌측회전성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또는 d를 갖는 화합물 접두어는 우측 회전성이다. 주어진 화학 구조에 대해, 이들 입체이성질체는 동일하고, 단, 그것은 서로 서울상이다. 특정 입체이성질체는 또한, 거울상 이성질체로 칭할 수 있고, 그와 같은 이성질체의 혼합물은 종종 소위 거울상이성질체성 또는 스칼레믹 혼합물이다. 거울상이성질체의 50:50 혼합물은 라세미 혼합물 또는 라세미체라 한다. 용어 "호변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 형태"는 낮은 에너지 장벽을 통해 상호전환가능한 상이한 에너지의 구조 이성질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양성자 호변이성질체는 양성자의 이동, 예컨대 케토엔올 및 이민-엔아민 이성질체화를 통한 상호전환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이란 어휘는 본 발명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기 또는 무기염을 의미한다. 염들의 예로는 이것들만 국한하지는 않으나, 황산염(sulfate), 구연산염(citrate), 아세테이트, 옥살산염 (oxalate), 염화물 (chloride), 브롬화물 (bromide), 요오드화물 (iodide), 질산염 (nitrate), 중황산염 (bisulfate), 인산염 (phosphate), 산성인산염 (acid phosphate), 이소니코틴산염 (isonicotinate), 젖산염 (lactate), 살리실산염 (salicylate), 산성구연산염 (acid citrate), 주석산염 (tartrate), 올레인산염 (oleate), 탄닌산염 (tannate), 판토텐산염 (pantothenate), 산성주석산염 (bitartrate), 아스코르빈산염 (ascorbate), 숙신산 (succinate), 말레인산염 (maleate), 겐티시네이트 (gentisinate), 푸마르산염 (fumarate), 글루콘산염 (gluconate), 글루쿠론산염, 사카레이트 (saccharate), 포름산염, 벤조에이트, 글루탐산염, 메탄설폰산염(메실레이트), 에탄설폰산염, 벤젠설폰산염, p-톨루엔설폰산염 및 파모에이트(pamoate)염들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아세테이트 이온, 숙시네이트 이온, 또는 다른 반대이온(counter ions)과 같은 다른 분자의 포함에 관여할 수도 있다. 반대이온은 모핵 화합물의 전하를 안정화시키는 어떤 유기 또는 무기 부분일수 있다. 더나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이의 구조에 하나 이상의 전하를 띤 원소를 가지기도 한다. 다수의 전하를 띤 원소가 약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염의 일부분일 경우에는 다수의 반대이온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하나 이상의 전하를 띤 원소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반대이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기이면, 바람직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본 분야에서 가능한 임의의 적절한 방법, 예를 들면 유리 염기(free base)를 염산, 브롬화수소산 (hydrobromic acid), 황산, 질산, 메탄설폰산 (methanesulfonic acid), 인산 및 이와 비슷한 것과 같은 무기산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rifluoroacetic acid), 말레인산, 숙신산, 만델산, 푸마르산, 말론산, 피루빈산, 옥살산, 글리콜산, 살리실산, 글루쿠론산 또는 갈락투론산과 같은 피라노시딜산 (pyranosidyl acid), 구연산 또는 주석산과 같은 α 하이드록시산(alpha 하이드록시 acid),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과 같은 아미노산(amino acid), 벤조산 또는 신남산 같은 방향족산, p-톨루엔설폰산 또는 에탄설폰산과 같은 설폰산, 또는 비슷한 것과 같은 유기산으로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라는 문구는 그 물질 또는 조성물이 제제를 구성하는 다른 성분들 및/또는 치료 대상 포유류와 화학적으로 및/또는 독성적으로나 양립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용매화물 (solvate)"은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와 본 발명 화합물과 회합되어 있거나 복합제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용매화물을 형성하는 용매들의 예시로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물,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메탄올, 디메틸술폭사이드(DMSO),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트산 및 에타놀아민 등이다. “수화물 (hydrate)" 이라는 용어는 용매 분자가 물인 복합체 (complex)일 때를 의미한다.
용어 "보호기"는 화합물에 대한 다른 작용기의 반응 동안에 특정한 작용기를 차단 또는 보호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이용된 치환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아미노-보호기"는 화합물에서 아미노 작용기를 차단 또는 보호하는 아미노기에 부착된 치환체이다. 적합한 아미노-보호기는 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tert-부톡시카보닐 (BOC), 벤질옥시카보닐 및 9-플루오레닐메틸엔옥시카보닐 (Fmoc)를 포함한다. 보호기 및 그것의 용도의 일반적인 설명에 대해, 참고 T. W.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1.
용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본 발명의 화합물들" 및 "식 (I)의 화합물"은 그것의 입체이성질체, 기하이성질체,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염의 용매화물을 포함한다.
용어 "포유동물"은, 비제한적으로, 인간, 마우스, 랫트, 기니아 피그, 원숭이, 개, 고양이, 말, 소, 돼지, 및 양을 포함한다. 용어 "포유동물"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지칭한다.
용어 “알츠하이머병” 및 “알츠하이머 질환”은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신경 질환”은 일반적으로 중추 신경계 및 말초 신경계를 포함한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를 의미한다. 특정 중추 신경계 (CNS) 장애에서 신경 질환은, 무엇보다도 신경 퇴행성 질환, 예컨대 헌팅턴병 및 다수의 중추 신경계 기능 장애, 예컨대 간질을 포함하는 여러 병증을 포함한다.
용어 “신경 퇴행성 질환”이란 중추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질환을 의미하고 진행성 기능 장애, 퇴행 및 때로 상호 시냅스 연결되는 특정 뉴런 집단 사멸로 확인된다. 신경퇴화는 운동 및/또는 정신 기능의 장애를 유발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신경 퇴행성 질환”은 단백질 미스폴딩 (misfolding) 및/또는 응집과 연관되고 이로써 유발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을 기술하는 것이다. 예시적 신경 퇴행성 질환은 헌팅턴병,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ALS), 낭포성 섬유증, 가족성 아밀로이드성 다발신경병증, 해면상뇌증,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 수반 전두측 두엽성 치매,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척수-안구 근위축증, 유전성 치상핵적핵-담창구시상하부 위축증 (hereditary dentatorubral-pallidoluysian atrophy), 가족성 영국형 치매, 가족성 덴마크형 치매및 프리온병을 포함하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간질”은 재발성 발작으로 특정되는 임의의 만성 신경 질환을 의미한다. 각각의 발작은 자극받지 않고 출현하거나 또는 스트레스, 불안, 수면박탈, 질병, 화학물질 노출 (예를들면, 약물 남용 또는 알코올 섭취), 광 자극 (예를들면, 섬광/류광), 및/또는 기타 등에 의해 유발 또는 자극된다. 장애는 알지 못하는 원인 (“특발 간질”)을 가지거나 또는, 예를들면, 무엇보다도, 두부 외상, 뇌 종양, 유전적 소인, 감염, 발달 결함,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증후성 간질”). 예시적 유형의 간질 발작은 (적어도 초기에는) 뇌에 편재되는 부분 또는 국소 발작, 및 뇌에 광범위하게 퍼진 전신 발작을 포함하다. 부분 발작은 또한 의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단순 부분 발작, 및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복잡 부분 발작으로 구분된다. 전신 발작은, 의식 상실을 초래하며, 무엇보다도 결신, 무긴장성, 간대성, 근간대성, 긴장성, 및 긴장성-간대성 발작을 포함한다. 간질 및/또는 간질 발작은 임의의 적합한 기술 또는 기술들 조합 무엇보다도 예를들면 뇌파검사 (EEG), 뇌자도, 자기공명영상 (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 (PET), 단일 광자방출단층촬영 (SPECT), 또는 비디오-EEG로 진단될 수 있다.
”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발작은, 적어도 하나 임상적 증상에 이르는 뇌에서 비정상 전기적 활성으로 특정되는신경 사건을 의미한다. 전기적 활성은 뇌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뉴런의 전위차파장이상고치, 과다활동, 및/또는 과다흥분성으로 특정된다. 발작에 의해 생기는 예시적 증상은 급성 및 비자발적 근육 수축 (예를들면, 경련), 신체 일부 또는 전부의 무감각, 기억 상실, 의식 상실, 집중 불가, 환각, 및/또는 기타 등을 포함한다. 발작은 따라서 무엇보다도 운동, 자율, 인지, 감각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및/또는 정서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각각의 발작은 간질에 의한 간질 발작, 또는 임의의 다른 원인으로 인한 비-간질 발작으로 특정된다.
상기와 같이, “증후성”으로 분류되는 간질은 상당한 원인이 존재하고 이러한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특정의 치료 과정이 시도될 수 있지만, “특발”로 분류되는 것은 명백한 원인이 없는 것이다.
용어 “TSC” 양성 종양 형성, 정신 지연 및 발작을 일으키는 구성적 mTOR 활성을 유도하는 TSC1 또는 TSC2의 상염색체 우성 비활성 돌연변이로 인한 간질 형태와 관련된다. 따라서, TSC는 간질발생기 및 간질 발작에 대한 mTOR 억제제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간질 모델 형태이다. 뇌실막하거대세포성상세포종 (SEGAs)은 TSC가 있는 환자90%에서 발생된다. 뇌에서, 정상적인 세포 발생 및 기능 교란으로 간질 및 신경인지, 거동, 및 정신의학적 결함에 이른다. 간질은 TSC가 있는 환자중 80-90%에서 발생하고, 약물 내성은 일반적이다 (Curatolo, P., R. Moavero, 및 P.J. de Vries, The Lancet Neurology. 14(7): p. 733-745). 라파마이신으로 mTOR의 억제는 거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종양 형성을 줄이고 TSC 마우스 모델에서 발작을 억제한다. 라파마이신으로 조기 치료하면 간질 발전 및 조기 사망을 예방한다 (Meikle, L., 등, J Neurosci, 2008. 28(21): p. 5422-5432). 다자란 마우스에서 라파마이신으로 간단하게 치료하면 TSC의 이형접합체 모델에서 시냅스 가소성, 및 거동 결손을 구할 수 있다 (Ehninger, D., 등, Nat Med, 2008. 14(8): p. 843-848.). 또한, 라파마이신 치료는 TSC 돌연변이가 있는 뉴런의 세포 이상을 바꿀 수 있다 (Goto, J., 등,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1. 108(45): p. E1070-E1079.).
기타 “TOR병증”, 즉 간질을 유발하는 mTOR 상류 조절로 인한, 주요 질환은 양수과다증, 거뇌증, 증후성 간질 증후군, PMSE, 국소 피질 이형성증 (FCD) 및 PTEN 돌연변이와 관련된“TOR병증”이다.
용어 “PMSE”는 양수과다증, 거뇌증, 및 증후성 간질, 일부 아미시 (Amish) 아동에서 나타나는 희귀 증후군을 의미하고 비정상적 거대 뇌, 인지 장애, 및 중증, 치료-내성 간질로 특정된다.
용어 “PTEN”은 포스파타아제 및 텐신 동족체, PIP3에서 이노시톨 고리의3` 포스페이트를 탈 인산화하는 포스파타아제를 의미한다. PTEN은 암에서 통상 변이되는 종양 억제자이고, mTOR 경로의 신호전달을 증가시킨다. CNS에서 PTEN 결실은 발작과 관련된다.
용어 “간질발생기”는 간질 발작 전 발생 (예를들면 뇌 손상 또는 유전적 결함) 및 첫번째 자발적 발작 사이의 구간을 의미한다. “간질발생기”는 1차 간질발생기 (제1 발작 전) 및 2차 간질발생기 (제1 발작 후 간질 진행)로 나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1차 간질발생기 및 2차 간질발생기 (부분 발작) 모두 및 완전 진행된 간질 장애 (전신 발작)에 사용될 수 있다.
간질을 치료한다는 것은, 예를들면 하나 이상의 발작을 억제 및/또는 발작 활동을 억제, 즉 발작 주기를 감소; 심각도, 신체 연장, 및/또는 적어도 하나 발작 기간을 감소;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 발작을 억제; 또는 간질발생기 지연/감소/금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한다. 특정 대상체에 대한 발작 억제는 대상체로부터 직접 측정할 수 있고 (예를들면, 발작이 치료 과정에서 진행하는 경우) 및/또는, 더욱 전형적으로, 대상체 그룹에 대한 제어된 시험 또는 임상 시험으로부터의 통계적 예측 결과일 수 있다.
용어 "유효량"이란 (i) 특정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ii) 특정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를 약화, 완화, 제거하고, 또는 (iii) 본원에 기술되는 특정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하나 이상의 증상 발생을 예방 또는 지연하는본 발명의 화합물 함량을 의미한다.
간질의 경우, 약물 유효량은 발작 및 간질 진행으로 이어지는 간질발생기 사건의 강도 또는 회수를 줄일 수 있다.
신경 퇴행성 질환의 경우, 약물 유효량은 일반적으로 및 인지, 정신 및 운동 증상 관련 뉴런 또는 다른 세포 및 CNS에서 단백질 응집체의 함량을 줄일 수 있다. 신경 퇴행성 질환 치료에 있어서, 효능은, 예를들면, 단백질 응집체 개수, 인지 및 운동 기능을 평가하여 측정할 수 있다.
용어 “최대내약용량” (MTD)이란 허용되지 않는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약물 또는 치료제의 최고 투여량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는, 최대내약용량은 임상 시험 과정에서 치료가 필요한 종들, 예를들면 설치류 또는 인간에 허용가능한 부작용으로 최대 투여량이 확인될 때까지 주어진 종의 상이한 그룹에 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결정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치료 범위 내에서 MTD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되었다 (실시예 3 및 4 참고).
본원에서 사용되는 "전구약물(prodrug)"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형을 의미하며, 모핵 화합물 또는 약물에 비해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고, 효소적으로나, 가수분해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능력이 있거나, 또는 좀 더 활성이 있는 모핵형으로 전환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본 발명의 전구약물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하나 또는 둘의 수소는 적합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될 수 있고 피리딘 또는 피리미딘 핵에 연결되는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R2 가 피페라진-1-일이면 고리 아미노 작용기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전구약물의 예는 20 종의 가장 많이 발생하는 천연 L-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 아미노산에 의해 아실화된, 디펩타이드 예컨대 L-Ala-L-Ala, 카본산, 황산 또는 인산에 의해 아실화된 화합물, 뿐만 아니라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대사물"은 명시된 화합물 또는 그것의 염의 신체 대사를 통해 생산된 생성물이다. 화합물의 대사물은 당해 기술에서 공지된 일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확인될 수 있고, 그것의 활성은 시험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것을 사용하여 결정된다. 그와 같은 생성물은 예를 들면 투여된 화합물의 산화, 환원, 가수분해, 아미드화, 탈아미드화, 에스테르화, 탈에스테르화, 효소 절단,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특히, 모르폴린, 피페라진 또는 티오모폴린 고리 R1 및/또는 R2 중 임의의 위치에서 산소화되거나 하이드록실화된 상기 정의된 식 (I)의 화합물은 고려된 대사물이다. 또한, 고려된 대사물은 티오모폴린 S-옥사이드 및 티오모르폴린 S,S-디옥사이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유동물과 그것의 대사 생성물을 얻는데 충분한 일정한 기간 동안 접촉시키는 과정에 의해 생산된 화합물을 포함하여 본 발명 화합물의 대사물에 관한 것이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대상체의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전구약물, 대사물,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04
(I)
식 중
X1, X2 및 X3 은, 서로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2개는 N이고;
Y는 N 또는 CH;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
Figure 112018124033118-pct00005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은 함께 1 내지 4개의 F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06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또는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R7로 치환되는 티오모르폴린일 및 피페라지닐에서 선택되는 포화 6-원 헤테로고리 Z; 식 중 R7 은 독립적으로 각각 존재하는 경우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C1-C3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두 개의 R7 치환체는 함께 1 내지 4개의 F 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또는 -O-CH2CH2-O-에서 선택되는2가 잔기 -R8R9-를 형성하고;
단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식 II의 모르폴린일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07
(I)
식 중
X1, X2 및 X3 은, 서로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2개는 N이고;
Y는 N 또는 CH;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 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이다.
각각의 알킬 부분은 단독 또는 더 큰 그룹 예컨대 알콕시의 일부로서 선형 또는 분지 사슬이고 바람직하게는 C1-C3알킬,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이다. 실시예는 특히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프로프-2-일 (iso-프로필)을 포함한다. 알콕시의 실시예는 특히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및 iso-프로폭시를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알콕시는 추가 치환체 예컨대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여 할로알콕시 부분이 된다.
용어 “알콕시알킬”은 R-O-R’ 부분을 의미하고 R 및 R’기는 본원에서 정의되는 알킬기이다. 실시예는 메톡시메틸, 메톡시에틸, 에톡시에틸 및 메톡시프로필을 포함한다.
각각의 알킬렌 부분은 선형 또는 분지 사슬이고, 특히 예를들면, -CH2-, -CH2-CH2-, -CH(CH3)-, -CH2-CH2-CH2-, -CH(CH3)-CH2-, 또는 -CH(CH2CH3)-, 바람직하게는 -CH2-, -CH2-CH2- 또는 -CH(CH3)-이다.
각각의 할로알킬 부분은 단독 또는 더 큰 그룹 예컨대 할로알콕시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동일 또는 상이한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되는 알킬기이다. 할로알킬 부분은 예를들면 1 내지 5 할로 치환체, 또는 1 내지 3 할로 치환체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특히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클로로디플루오로메틸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틸을 포함한다.
각각의 할로알케닐 부분은 단독 또는 더 큰 그룹 예컨대 할로알케닐옥시의 일부로서 하나 이상의 동일 또는 상이한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는 알케닐기이다. 실시예는 2-디플루오로-비닐 및 1,2-디클로로-2-플루오로-비닐을 포함한다. 할로알케닐 부분은 예를들면 1 내지 5 할로 치환체, 또는 1 내지 3 할로 치환체를 포함한다.
각각의 시클로알킬 부분은 모노- 또는 바이-환형이고, 전형적으로는 및 바람직하게는 모노-환형이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모노시클릭 시클로알킬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고리"는 고리 멤버로서 질소, 산소 및 황에서 선택되는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부분적 불포화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고리는 고리 내에서 인접 산소 원자, 인접 황 원자, 또는 인접 산소 및 황 원자를 가지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특히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피롤리디닐, 피라졸리디닐, 이미다졸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디옥사닐, 모르폴린일, 옥사졸리디닐 및 이소옥사졸리디닐을 포함한다.
그룹이 선택적으로 치환된다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1-3 치환체, 더욱 바람직하게는 선택적으로 1-2 치환체가 존재하는 것이다.
식 (I)의 소정의 화합물은 하나 또는 둘 또는 이상의 키랄 중심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화합물은 순수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순수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임의의 비율로 이들의 혼합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식 (I) 화합물의 모든 호변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본원에서 정의되는 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하고, 식 중 X1, X2 및 X3 은 N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i) 상기 X1 및 상기 X2 는 N, 및 상기 X3 은 CH; (ii) 상기 X1 및 상기 X3 은 N, 및 상기 X2 는 CH; 또는 (iii) 상기 X2 및 상기 X3 은 N, 및 상기 X1 은 CH, 및 바람직하게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i) 상기 X1 및 상기 X2 는 N, 및 상기 X3 은 CH; 또는 (ii) 상기 X2 및 상기 X3 은 N, 및 상기 X1 은 CH, 및 바람직하게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X1 및 상기 X3 은 N, 및 상기 X2 는 CH; 및 바람직하게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Y 는 N, 및 바람직하게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Y 는 CH, 및 바람직하게는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및 상기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다음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008
Figure 112018124033118-pct00009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및 상기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다음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0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및 상기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다음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1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5-(4,6-bis((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bis((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S S)-3-메틸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2,6-bis((S)-3-메틸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5-(4-(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6-(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2,2-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2S,6R)-2,6-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5-[4,6-비스[(2R,6S)-2,6-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5-[4,6-비스(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3-옥사-6-아자바이시클로[3.1.1]헵탄-6-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6-옥사-3-아자바이시클로[3.1.1]헵탄-3-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1R,4R)-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1S,4S)-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5-[4,6-비스[(3R)-3-에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3R)-3-이소프로필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 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3R)-4-[4-[6-아미노-4-(디플루오로메틸)-3-피리딜]-6-(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모르폴린-3-일]메탄올;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5-[4-(4-시클로프로필피페라진-1-일)-6-(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4-(2-메톡시에틸)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3R)-4-[4-[6-아미노-4-(디플루오로메틸)-3-피리딜]-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모르폴린-3-일]메탄올;4-(디플루오로메틸)-5-[4-[(3R,5R)-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S,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6-비스[(3S,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S)-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S S)-3-메틸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2,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5-(4-(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6-(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2,2-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5-(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S)-4'-(디플루오로메틸)-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2S,6R)-2,6-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5-[4,6-비스[(2R,6S)-2,6-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5-[4,6-비스(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6-비스[(3S,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S)-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6-비스(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5-[4,6-비스(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5-[4,6-비스[(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6-비스[(3S,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S)-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이다.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이다.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이다.
또 다른 매우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의 화합물은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이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은 R2와 같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은 R2와 같지 않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 및 상기 포화 6-원 헤테로고리 Z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I)의 모르폴린일에서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2
(II)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는 함께 1 내지 4 F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3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을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을 나타낸다.
R3 및 R4가 함께 2가 잔기를 형성하고 인접 탄소 원자에 결합되면 고리형 모르폴린일 치환체가 형성된다. R3 및 R4 가 함께 2가 잔기를 형성하고 모르폴린 고리에 걸쳐 있다면 가교형 모르폴린일 치환체가 형성된다. R3 및 R4가 함께 2가 잔기를 형성하고 모르폴린의 동일 탄소 원자에 결합되면, 스피로 모르폴린일 치환체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3 및 R4 은 함께 1 내지 4 F 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4
에서 선택되는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및 가교형 모르폴린일 치환체를 형성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식 중 R3 및 R4 는 함께 가교형 모르폴린일에 이르는2가 잔기를 형성하고, 식 중 R3 및 R4 는 함께 C1-C3알킬렌,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렌, -CH2CF2-, -CHFCHF-, -CH2CF2CH2-,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5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을 나타낸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I)의 모르폴린일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6
(II)
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3알킬, CH2OH, CH2CH2OH, CH2F, CHF2, CF3, CH2CF3,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는 함께 C1-C3알킬렌,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렌, -CH2CF2-, -CHFCHF-, -CH2CF2CH2-,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7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이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I)의 모르폴린일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식 중 R3 및 R4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또는 CH3이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I)의 모르폴린일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C2-C3알킬, CH2OH, CH2CH2OH, CH2F, CHF2, CF3, CH2CF3,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는 함께 -CH2- 또는 C3알킬렌, 바람직하게는 -CH2-, -CH2CF2-, -CHFCHF-, -CH2CF2CH2-,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8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을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이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I)의 모르폴린일은 서로 독립적으로 다음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019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0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식 (II)의 모르폴린일은 서로 독립적으로 다음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1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헤테로고리 Z 은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R7로 치환되는 티오모르폴린일 및 피페라지닐에서 선택되는 포화 6-원 헤테로고리 Z; 식 중 R7 은 독립적으로 각각 존재하는 경우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C1-C3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두 개의 R7 치환체는 함께 1 내지 4개의 F 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또는 -O-CH2CH2-O-에서 선택되는2가 잔기 -R8R9-를 형성한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헤테로고리 Z 는 다음에서 선택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2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및 상기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3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및
식 중 R3 및 R4 은 서로 독립적으로 H,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는 함께 1 내지 4 F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4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이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은 상기 R2와 동일하고, 상기 R1 및 상기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5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및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는 함께 C1-C3알킬렌 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1 내지 4 F,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6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을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이다.
본 발명의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R1 및 상기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7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및
식 중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3알킬, CH2OH, CH2CH2OH, CH2F, CHF2, CF3, CH2CF3,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는 함께 C1-C3알킬렌,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렌, -CH2CF2-, -CHFCHF-, -CH2CF2CH2-,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8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 을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이다.
본 발명의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1 은 R2와 동일하고, 상기 R1 및 상기 R2 는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29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및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3알킬, CH2OH, CH2CH2OH, CH2F, CHF2, CF3, CH2CF3,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는 함께 C1-C3알킬렌, 바람직하게는 C1-C2알킬렌, -CH2CF2-, -CHFCHF-, -CH2CF2CH2-,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0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을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및 바람직한 구현예, 본 발명은 화합물 (I) 을 제공하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1
(I)
식 중
X1, X2 및 X3 은, 서로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2개는 N; Y is N 또는 CH; 및 식 중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2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및 R1 은 R2와 같지 않고, 상기 R1 및 상기 R2 중 적어도 하나는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3
(II)
식 중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C2-C3알킬, CH2OH, CH2CH2OH, CH2F, CHF2, CF3, CH2CF3,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는 함께 -CH2- 또는 C3알킬렌, 바람직하게는 -CH2-, -CH2CF2-, -CHFCHF-, -CH2CF2CH2-,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4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3 및 R4 는 함께 -CH2- 또는 C3알킬렌, 바람직하게는 -CH2-, -CH2CF2-, -CHFCHF-, -CH2CF2CH2-,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5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 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4-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 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4-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이고, X1, X2 및 X3 은 N;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하게는 Y는 N 또는 CH;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 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4-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 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4-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 및 X1 및 X3 은 N, 및 X2 는 CH;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하게는 Y는 N 또는 CH;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 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4-피페라진-1-y,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 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4-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 및 X1 및 X2 는 N, 및 X3 은 CH;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하게는, Y는 N 또는 CH;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4-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 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4-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 및 X2 및 X3 은 N, 및 X1 은 CH;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하게는, Y는 N 또는 CH; R1 은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또는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및 R2 는 4-모르폴린일, 2-메틸-4-모르폴린일, 3-메틸-4-모르폴린일, 옥타듀테리오-4-모르폴린일, 8-아자-3-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8-일, 3-아자-8-옥사바이시클로[3.2.1]옥트-3-일, 4-피페라진-1-일, 4-메틸피페라진-1-일, 또는 4-티오모르폴린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신경 질환은 간질 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식 (I)의 화합물은 1차 간질발생기 또는 2차 간질발생기 동안 또는 완전 진행된 간질 상태의 상기 대상체에 투여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간질은 증후성 간질 또는 특발 간질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간질은 증후성 간질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간질은 특발 간질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증후성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증후성 간질은 뇌 손상, 뇌 종양, 뇌 감염, 부신백질이영양증, 라스무센 증후군, 스터지-웨버 증후군, 거뇌증, 양수과다증, 결절성 경화증 (TSC), 증후성 간질 증후군, PMSE, PTEN 돌연변이 또는 국소 피질 이형성증 (FCD)에 의해 유발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증후성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증후성 간질은 mTOR 상향 조절에 의한 질환 (“TOR병증”)에 의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증후성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증후성 간질은 mTOR 상향 조절에 의한 질환 (“TORopathy”)에 의하고, 상기 “TOR병증” 은 TSC, 양수과다증, 거뇌증, 증후성 간질 증후군, PMSE, 국소 피질 이형성증 (FCD) 및 PTEN 돌연변이 관련 “TOR병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증후성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증후성 간질은 뇌 손상, 뇌 감염, 부신백질이영양증, 라스무센 증후군, 스터지-웨버 증후군, 거뇌증, 양수과다증, 결절성 경화증 (TSC), 증후성 간질 증후군, PMSE, PTEN 돌연변이 또는 국소 피질 이형성증 (FCD)에 의해 유발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증후성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증후성 간질은 뇌 손상, 뇌 감염, 부신백질이영양증, 라스무센 증후군 또는 스터지-웨버 증후군에 의해 유발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증후성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증후성 간질은 TSC에 의해 유발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특발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특발 간질은 두스 증후군 (소아기의 근간대성 무정위성 간질), 웨스트 증후군, 양성 롤란딕 간질, 레녹스-가스토 증후군, 란다우-클레프너 증후군, 증후성 간질 증후군, PMSE 및 청소년 근간대성 간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상기와 같이, 간질은 부분 또는 전신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간질 부분 간질 또는 전신 간질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간질은 부분 특발 간질, 부분 증후성 간질, 전신 특발 간질 또는 전신 증후성 간질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부분 간질은 측두엽 간질이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신경 퇴행성 질환은 단백질 미스폴딩 및/또는 단백질 응집과 연관되거나 이로 인하여 유발된다.
추가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신경 퇴행성 질환은 헌팅턴병,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ALS), 낭포성 섬유증, 가족성 아밀로이드성 다발신경병증, 해면상뇌증,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 수반 전두측 두엽성 치매,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척수-안구 근위축증, 유전성 치상핵적핵-담창구시상하부 위축증, 가족성 영국형 치매, 가족성 덴마크형 치매및 프리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신경 퇴행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신경 퇴행성 질환은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및 프리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의 헌팅턴병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의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헌팅턴병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 이 제공되고,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인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헌팅턴병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인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다음 화합물이 제공된다: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다음 화합물이 제공된다: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다음 화합물이 제공된다: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인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화합물이 제공된다: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화합물이 제공된다: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또한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헌팅턴병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화합물이 제공된다: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인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식 중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헌팅턴병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인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식 중 R1은 R2와 동일하고;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R1은 R2와 동일하고;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헌팅턴병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 이 제공되고, R1은 R2와 동일하고;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인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R1은 R2와 같지 않고;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식 중 R1은 R2와 같지 않고;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헌팅턴병 예방 또는 치료 용도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 이 제공되고, 식 중 R1은 R2와 같지 않고;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신경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신경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신경 질환은 간질 또는 헌팅턴병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상기 유효량은 1차 간질발생기 또는 2차 간질발생기 동안 또는 완전 진행된 간질 상태에서 투여된다.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헌팅턴병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인 신경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유효량을 상기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신경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신경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용도가 제공되고, 신경 질환은 간질 또는 헌팅턴병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인 신경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이 제공되고,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추가 측면에서, 대상체에서 신경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신경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용도가 제공되고, 신경 질환은 간질 또는 헌팅턴병이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대상체에서 간질 또는 헌팅턴병인 신경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식 (I)의 화합물의 용도가 제공되고,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된다: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다음 화합물은 식으로 제시된다: (상응하는 구조 명칭은 ChemDraw Ultra, version 13.0.1 및 이의 상하 소프트웨어 버전, CambridgeSoft Corp., Cambridge MA에 의한다).
화합물 1: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6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2: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7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3: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8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4:
Figure 112018124033118-pct00039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5: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0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6: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1
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7: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2
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8: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3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9: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4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10: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5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11: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6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12: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7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13: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8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14:
Figure 112018124033118-pct00049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15: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0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16: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1
4-(디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17: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2
4'-(디플루오로메틸)-2,6-디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18: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3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19: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4
4'-(디플루오로메틸)-4,6-디모르폴리노-[2,5'-바이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20: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5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티오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21: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6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티오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또한 다음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22: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7
5-(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2-(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23: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8
5-(2-(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24:
Figure 112018124033118-pct00059
2-(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4′-(디플루오로메틸)-6-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25: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0
5-(2,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26: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1
4'-(디플루오로메틸)-2,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27: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2
(S)-4-(디플루오로메틸)-5-(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28: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3
(S)-4'-(디플루오로메틸)-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29: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4
5-(4-(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6-(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30: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5
5-[4,6-비스(2,2-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31: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6
(S)-4-(디플루오로메틸)-5-(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32: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7
(S)-4'-(디플루오로메틸)-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화합물 33: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8
4-(디플루오로메틸)-5-[4-[(2S,6R)-2,6-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34:
Figure 112018124033118-pct00069
5-[4,6-비스[(2R,6S)-2,6-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37: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0
5-[4,6-비스(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38: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1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39: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2
5-[4,6-비스(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40: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3
5-[4,6-비스[(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41: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4
5-[4,6-비스[(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42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5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44: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6
4-(디플루오로메틸)-5-[4-[(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45: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7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46: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8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47:
Figure 112018124033118-pct00079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50: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0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3-옥사-6-아자바이시클로[3.1.1]헵탄-6-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51: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1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6-옥사-3-아자바이시클로[3.1.1]헵탄-3-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52: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2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1R,4R)-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53: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3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1S,4S)-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54: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4
5-[4,6-비스[(3R)-3-에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55: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5
5-[4,6-비스(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56: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6
5-[4,6-비스[(3R)-3-이소프로필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66: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7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67: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8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68:
Figure 112018124033118-pct00089
[(3R)-4-[4-[6-아미노-4-(디플루오로메틸)-3-피리딜]-6-(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모르폴린-3-일]메탄올
화합물 69: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0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70: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1
5-[4-(4-시클로프로필피페라진-1-일)-6-(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71: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2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4-(2-메톡시에틸)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77: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3
[(3R)-4-[4-[6-아미노-4-(디플루오로메틸)-3-피리딜]-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모르폴린-3-일]메탄올
또한 바람직한 화합물 are
화합물 78: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4
4-(디플루오로메틸)-5-[4-[(3R,5R)-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79: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5
4-(디플루오로메틸)-5-[4-[(3S,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80: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6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82: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7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83: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8
5-[4,6-비스[(3S,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화합물 84:
Figure 112018124033118-pct00099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85: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0
4-(디플루오로메틸)-5-[4-[(3S)-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86: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1
4-(디플루오로메틸)-5-[4-[(3R)-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화합물 88: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2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본 발명의 화합물 제조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본원에서 포함된 설명에 비추어 화학 분야에서 잘 알려진 과정과 비슷한 과정을 포함하는 합성 경로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개시 물질은 일반적으로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이용가능하거나 쉽게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시, 중간체의 원격 작용기 (예를 들면, 1차 또는 2차 아민)의 보호가 필요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보호의 필요는 제조 방법의 원격 작용기 및 조건의 본성에 따라 변할 것이다. 적합한 아미노-보호기는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BOC), 비스-tert-부틸옥시카르보닐 또는 디메틸아미노메틸레닐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보호의 필요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쉽게 결정된다. 보호기 및 그것의 용도의 일반적인 설명에 대해, T. W.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1 참고.
분리 방법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서, 반응 생성물을 서로 및/또는 개시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각 단계 또는 일련의 단계의 원하는 생성물은 당해 기술에서 공통의 기술에 의해 원하는 정도의 균질성으로 분리 및/또는 정제된다. 전형적으로 그와 같은 분리는 다중상 추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로부터의 결정화, 증류, 승화, 또는 크로마토그래피를 수반한다. 크로마토그래피는 하기 예를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방법을 수반할 수 있다: 역상 및 정상; 고압, 중간 및 저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및 장치; 소규모 분석; 및 분취 박층 또는 후층 크로마토그래피, 뿐만 아니라 소규모 박층 및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의 기술.
적절한 분리 방법의 선택은 관여된 물질의 본성, 예를 들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극성 작용기의 존재 또는 부재, 다중상 추출에서 산성 및 염기성 매질에서의 물질의 안정성, 등에 좌우된다. 당해 분야의 숙련가는 원하는 분리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가능한 기술을 적용할 것이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의도된다.
실시예에서 기재된 화학 반응은 본 발명의 수많은 다른 지질 키나제 저해제를 제조하기 위해 쉽게 적응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대안적인 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 따른 비-예시된 화합물의 합성은, 예를 들면, 간섭하는 그룹을 적절하게 보호하고, 기재된 것 이외의 다른 기술에서 공지된 다른 적합한 시약을 이용하고/거나, 반응 조건의 일상적인 변형을 통해 당해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한 변형에 의해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거나 당해 기술에서 공지된 다른 반응은 본 발명의 다른 화합물에 대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당업계에서 인식될 것이다.
원칙적으로서, 1H NMR 및 질량 스펙트럼은 제조된 화합물에 대해 수득되었다. 아래에 기재된 예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온도는 섭씨 온도 (℃)로 제시된다. 시약은 상업적 공급자 예컨대 Sigma Aldrich, Fluorochem, Acros, Lancaster, TCI 또는 Maybridge로부터 구매되었고,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추가 정제없이 사용되었다. 아래에서 제시된 반응은 일반적으로, 질소의 양압 하에서 또는 건조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과 함께 무수 용매에서 행해졌고, 반응 플라스크는 전형적으로 주사기를 통한 기질 및 시약의 도입을 위해 고무 격막이 끼워진다. 유리그릇은 오븐 건조되었다.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는 Merck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은 400 MHz에서 작동되는 Bruker 기기 상에서 기록되었다. 1H NMR 스펙트럼은 다양한 중수소화된 용매 예컨대 CDCl3, (CD3)2SO, CD3OD 또는 (CD3)2CO에서 용액에 대해 수득되었다. 화학적 이동 δ 값은 ppm으로 보고되었고 중수소화된 용매 (CDCl3에 대하여7.26 ppm) 또는 TMS (0 ppm)의 신호로 보정되었다. 19F NMR 스펙트럼은 외부 표준물질로서 CFCl3 (δ=0 ppm)에 대해 보정되었다. 19F NMR 스펙트럼은 1H-탈커플링된 것으로 기록되었다. 피크 다중도가 보고될 때, 하기 약어가 사용된다: s (단일), d (이중), t (삼중), m (다중), quint (오중), br (광폭). 커플링 상수는, 주어질 때, Hertz (Hz)로 보고된다. MALDI-ToF질량 스펙트럼 (MS)은 m/z 로 측정된 Voyager-DeTM Pro 상에서 수득되었다.
하기 약어는 아래와 같다: BSA (소 혈청 알부민), DMSO (디메틸 설폭사이드), ESI (전기분무 이온화), HCl (염산), M (몰), MALDI (매트릭스-보조 레이저 탈착/이온화), MS (질량 분광분석법), PBS (인산염 완충된 염수),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이다.
실시예 1
중간체 화합물 및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중간체화합물의제조
하기 방법을 사용하여, 식 (I)의 화합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중간체 화합물을 제조했다.
방법 1: 8-(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클로로-1,3,5-트리아진-2-일)-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 ( i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3
3-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ㆍHCl (Advanced ChemBlocks Inc, 제품 번호 A-861, 2.00 g, 13.4 mmol, 2.0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80 mL, 27.6 mmol, 4.1 eq.)을 플라스크에 충전하고 디클로로메탄 (20 mL)에서 용해시켰다. 플라스크를 빙욕에서 두고 그 뒤에 용액을 0 ℃로 냉각한다. 그 다음 이러한 용액을 디클로로메탄 (20 mL) 중 시아누르산 염화물의 용액에 0 ℃에서 적가했다. 수득한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한편 그것을 실온까지 승온되도록 한다. 추가의 디클로로메탄 (100 mL)을 부가하고 유기 층을 중황산나트륨의 포화된 수용액으로 세정했다. 그 다음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4:1)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 i1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79%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4.70-4.54 (m, 4 H), 3.80-3.58 (m, 8 H), 2.14-1.89 (m, 8 H); MS (MALDI): m/z = 338.4 ([M+H]+).
방법 1을, 하기 중간체 화합물 i2 내지 i10, 및 중간체 i79 내지 i81 i90 제조를 위해 또한 사용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4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5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6
방법 2: 2,4-디클로로-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 ( i1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7
디클로로메탄 (200 mL) 중 시아누르산 염화물 (18.1 g, 0.100 mol, 1.0 eq.)의 용액에 모르폴린 (17.4 g, 0.200 mol, 2.0 eq.)의 차가운 용액에 -78 ℃에서 2 시간에 걸쳐 적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0 ℃로 승온되도록 하고 물 중 중황산나트륨의 빙랭된 포화된 용액과 혼합했다.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반 농축된 염수로 세정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i11을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3.90-3.86 (m, 4 H), 3.77-3.72 (m, 4 H).
방법 3: 8-(4-클로로-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 ( i12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8
3-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ㆍHCl (Advanced ChemBlocks Inc, 제품 번호 A-861, 200 mg, 1.34 mmol, 1.1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0 μL, 2.69 mmol, 2.1 eq.)을 플라스크에서 충전하고 에탄올 (3 mL)에서 용해시켰다. 플라스크를 빙욕에서 두었다. 에탄올 (2 mL) 중 화합물 i11 (300 mg, 1.28 mmol, 1.0 eq.)의 용액을 상기 용액에 0 ℃에서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한편 실온까지 승온되도록 했다. 탈이온수 (20 mL)을 부가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30 mL)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9:1 → 8:2)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 i12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78%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4.69-4.56 (m, 2 H), 3.86-3.59 (m, 12 H), 2.12-1.91 (m, 4 H); MS (MALDI): m/z = 312.7 ([M+H]+).
방법 3을 또한 하기 중간체 화합물 i13 내지 i16,및 중간체 i87 i91 제조에 사용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109
방법 4: ( S )-4-(4,6-디클로로-1,3,5-트리아진-2-일)-3-메틸모르폴린 ( i1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0
디클로로메탄 (4 mL) 중 시아누르산 염화물 (450 mg, 2.44 mol, 1.0 eq.)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2 mL) 중 (S)-3-메틸모르폴린 (Activate Scientific, 제품 번호 AS3424, 0.28 mL, 2.44 mol, 1.0 eq.) 및 트리에틸아민 (0.35 mL, 2.51 mol, 1.02 eq.)의 용액을 -50 ℃에서 서서히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50 ℃에서 교반하고, 그 다음 교반하면서 0 ℃로 승온되도록 하고 물 중 중황산나트륨의 빙랭된 포화된 용액과 혼합했다.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상을 염수 황산나트륨으로 세정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i17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95%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4.78-4.69 (m, 1 H), 4.43-4.39 (m, 1 H), 3.98-3.96 (m, 1 H), 3.78-3.76 (m, 1 H), 3.67-3.65 (m, 1 H), 3.51-3.47 (m, 1 H), 3.40-3.37 (m, 1 H), 1.36 (m, 3 H).
방법 5: 8-(4-클로로-6-(( S )-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 ( i1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1
3-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ㆍHCl (Advanced ChemBlocks Inc, 제품 번호 A-861, 383 mg, 2.55 mmol, 1.1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0 mL, 5.60 mmol, 2.4 eq.)을 플라스크에서 충전하고 에탄올 (4 mL)에서 용해시켰다. 플라스크를 빙욕에서 두었다. 에탄올 (2 mL) 중 화합물 i17 (580 mg, 2.33 mmol, 1.0 eq.)의 용액을 상기 용액에 0 ℃에서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고, 한편 실온까지 승온되도록 했다. 탈이온수 (20 mL)을 부가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30 mL)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9:1 → 8:2)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 i18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88%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4.75-4.52 (m, 3 H), 4.37-4.24 (m, 1 H), 3.95-3.92 (m, 1 H), 3.73-3.70 (m, 3 H), 3.64-3.61 (m, 3 H), 3.52-3.42 (m, 1 H), 3.29-3.17 (m, 1 H), 2.11-1.89 (m, 4 H), 1.31 (m, 3 H).
방법 6: tert -부틸 4-(4,6-디클로로-1,3,5-트리아진-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 i19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2
디클로로메탄 (4 mL) 중 시아누르산 염화물 (1.0 g, 5.42 mmol, 1.0 eq.)의 냉각된 (- 50 ℃)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2 mL) 중 tert-부틸 피페라진-1-카복실레이트 (Sigma, 제품 번호 343536, 1.02 g, 5.48 mmol, 1.01 eq.) 및 트리에틸아민 (0.767 mL, 5.53 mmol, 1.02 eq.)의 용액을 적가했다. 수득한 반응 혼합물을 - 5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했다. 중황산나트륨 (10 mL) 및 디클로로메탄 (20 mL)의 포화된 수용액을 부가했다. 혼합물을 분별 깔때기로 이동시켰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중황산나트륨의 포화된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20 mL),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그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내지 give 순수한 중간체 i19를 얻었다 (80%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3.88-3.85 (m, 4 H), 3.53-3.51 (m, 4 H), 1.49 (m, 9 H).
방법 7: tert -부틸 4-(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클로로-1,3,5-트리아진-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 i20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3
3-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ㆍHCl (Advanced ChemBlocks Inc, 제품 번호 A-861, 235 mg, 1.57 mmol, 1.0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592 μL, 3.14 mmol, 2.1 eq.)을 플라스크에서 충전하고 에탄올 (6 mL)에서 용해시켰다. 플라스크를 빙욕에서 두었다. 에탄올 (2 mL) 중 화합물 i19 (500 mg, 1.5 mmol, 1.0 eq.)의 용액을 상기 용액에 0 ℃에서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한편 실온까지 승온되도록 했다. 탈이온수 (10 mL)을 부가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30 mL)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8:2)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 i20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77%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4.68-4.60 (m, 2 H), 3.76-3.70 (m, 6 H), 3.64-3.62 (m, 2 H), 3.47-3.45 (m, 4 H), 2.08-1.95 (m, 4 H), 1.48 (br s, 9 H); MS (MALDI): m/z = 411.8 ([M+H]+).
방법 7을, 하기 중간체 화합물 i21의 제조를 위해 또한 사용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4
방법 8: 4,4'-(6-클로로피리미딘-2,4-디일)디모르폴린 ( i22 ) 및 4,4'-(2-클로로피리미딘-4,6-디일)디모르폴린 ( i23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5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 (Manchester Organics, 제품 번호 Y17832, 11.2 g, 61 mmol, 1.0 eq.),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23.3 mL, 134.2 mmol, 2.2 eq.) 및 모르폴린 (11.7 mL, 134.2 mmol, 2.2 eq.)을 플라스크에서 충전하고 에탄올 (120 mL)에서 용해시켰다. 플라스크에 환류된 콘덴서를 구비하고 100 ℃로 예비가열된 오일 배쓰에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18교반했다. 이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휘발성물질은 감압 하에서 제거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100 mL)에서 용해시키고 중황산나트륨 (2 x 80 mL)의 수용액으로 2회 세정했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하여 감압 하에서 농축했다. 생성물 i22i23을 실리카겔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3:1→1:1)로 단리했다. 생성물 분획은 풀링하고 증발시켜 i22을 무색 분말 (13.8 g, 80%)로서 그리고 i23을 무색 분말 (2.2 g, 13% 수율)로서 얻었다.
4,4'-(6-클로로피리미딘-2,4-디일)디모르폴린 (i22): 1 H NMR (400 MHz, CDCl3): δ5.85 (s, 1 H), 3.71-3.75 (m, 12 H), 3.52-3.55 (m, 4 H); MS (MALDI): m/z: 285.4 ([M+H]+).
4,4'-(2-클로로피리미딘-4,6-디일)디모르폴린 (i23): 1 H NMR (400 MHz, CDCl3): δ5.38 (s, 1 H), 3.73-3.76 (m, 8 H), 3.52-3.54 (m, 8 H); MS (MALDI): m/z: 285.2 ([M+H]+).
방법 9: 8-(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클로로피리미딘-2-일)-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 ( i2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6
에틸 아세테이트 (18 용적) 중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 (0.676 mL, 5.88 mmol, 1.0 eq.), 3-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76 g, 11.8 mmol, 2.0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10 mL, 23.5 mmol, 4.0 eq.)의 용액을 16시간 동안 가열했다 (100 ℃). 그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60 용적)에서 용해시키고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3 x 60 용적)로 세정했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했다. 실리카겔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3:1→1:1)로 정제하여 원하는 중간체 i24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23 g, 62%). 1 H NMR (400 MHz, CDCl3): δ 5.80 (s, 1 H), 4.59 (s, 2 H), 4.35 (m, 2 H), 3.76 (t, 2 J H,H = 10.8 Hz, 4 H), 3.59 (d, 2 J H,H = 10.8 Hz, 4 H), 2.03 (m, 8 H);MS (MALDI): m/z = 337.7 ([M+H]+).
방법 9를 하기 중간체 화합물 i25의 제조를 위해 또한 사용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7
방법 10: 4-(4,6-디클로로피리미딘-2-일)모르폴린 ( i26 ) 및 4-(2,6-디클로로피리미딘-4-일)모르폴린 ( i2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8
EtOH (150 mL) 중 2,4,6-트리클로로피리미딘 (14.0 mL, 122 mmol, 1.0 eq.)의 용액에 EtOH (150 mL) 중 모르폴린 (11.2 mL, 256 mmol, 2.1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44.6 mL, 256 mmol, 2.1 eq.)의 용액을 0 ℃에서 적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했다. 조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 (3 x 100 mL)로 추출하고 유기상을 연속하여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 (3 x 400 mL)로 세정했다. 조합된 유기 층들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조 혼합물을 플래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SiO2,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3:1)로 정제하여 i26 (5.02 g, 18%) 및 i27 (16.7 g, 59%) 둘 모두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4-(4,6-디클로로피리미딘-2-일)모르폴린 (i26): 1 H NMR (400 MHz, CDCl3): δ 6.56 (s, 1H), 3.78 (m, 4H) 3.74 (m, 4H).
4-(2,6-디클로로피리미딘-4-일)모르폴린 (i27): 1 H NMR (400 MHz, CDCl3): δ 6.41 (s, 1H), 3.78 (m, 4H), 3.65 (m, 4H).
방법 11: ( S )-4-(2-클로로-6-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3-메틸모르폴린 ( i2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19
EtOH (5.0 mL) 중 i27 (694 mg, 2.97 mmol, 1.0 eq.), (S)-3-메틸모르폴린 (0.500 mL, 4.46 mmol, 1.5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1.29 mL, 7.43 mmol, 2.5 eq.)의 용액을 3 일 동안 가열 환류했다. 그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했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60 용적)에서 용해시키고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 (3 x 60 용적)로 세정했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했다. 조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3:1→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S)-4-(2-클로로-6-모폴리노피리미딘-4-일)-3-메틸모르폴린 (i28)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425 mg, 48%). 1 H NMR (400 MHz, CDCl3): δ 5.85 (s, 1 H), 4.62 (dd, 2 J H,H = 13.6 Hz, 3 J H,H = 2.9 Hz, 1 H), 4.25 (dd, 2 J H,H = 13.6 Hz, 3 J H,H = 2.9 Hz, 1 H), 3.93 (dd, 2 J H,H = 11.4 Hz, 3 J H,H = 3.8 Hz, 1 H), 3.75, (t, 3 J H,H = 5.0 Hz, 4 H), 3.71 (s, 1 H), 3.66 (dd, 2 J H,H = 11.3 Hz, 3 J H,H = 3.2 Hz, 1 H), 3.53 (m, 5 H), 3.23 (m, 1 H), 1.26 (d, 2 J H,H = 11.3 Hz, 3 H);MS (MALDI): m/z = 299.4 ([M+H]+).
방법 11을, 하기 중간체 화합물 i29의 제조를 위해 또한 사용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0
방법 12: ( S )-4-(6-클로로-2-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3-메틸모르폴린 ( i30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1
DMF (17 용적) 중 (S)-3-메틸모르폴린 (194 mg, 1.32 mmol, 1.5 eq.), i26 (300 mg, 1.28 mmol, 1.0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0 eq.)의 용액을 16시간 동안 가열했다 (130 ℃). 그 다음,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했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100 용적)에서 용해시키고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 (3 x 100 용적)으로 세정했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했다. 조 혼합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i30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257 mg, 67%). 1 H NMR (400 MHz, CDCl3): δ 5.84 (s, 1 H), 4.18 (m, 1 H), 3.94 (m, 2 H), 3.71 (m, 10 H), 3.53, (dt, 2 J H,H = 12.0 Hz, 3 J H,H = 3.1 Hz, 1 H), 3.20 (dt, 2 J H,H = 12.8 Hz, 3 J H,H = 3.8 Hz, 1 H), 1.27 (d, 3 J H,H = 6.8 Hz, 3 H);MS (MALDI): m/z =298.4 ([M]+).
방법 14: 8-(4,6-디클로로-1,3,5-트리아진-2-일)-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 ( i32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2
디클로로메탄(10 mL) 중 시아누르산 염화물 (1.97 g, 10.7 mmol, 1.0 eq.)의 용액을 -50 ℃로 냉각했다. 디클로로메탄(40 mL) 중 3-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60 g, 10.7 mmol, 1.0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3.73 mL, 21.4 mmol, 2.0 eq.)의 용액을 5 시간의 기간에 걸쳐 서서히 부가했다. 혼합물을 추가 5 시간 동안 이 온도에서 교반했다.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 (20 mL) 및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50 mL)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했다. 층들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 (2 x 50 mL)로 세정했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했다. 조 혼합물을 n-헵탄 / 디클로로메탄 (20 mL / 13 mL)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8-(4,6-디클로로-1,3,5-트리아진-2-일)-3-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 (i32)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2.47 g, 47%). 1 H NMR (400 MHz, CDCl3): δ 4.74 (m, 2 H), 3.72 (d, 3 J H,H = 1.5 Hz, 4 H), 2.08 (m, 4 H).
방법 14을, 하기 중간체 화합물 i33 i34의 제조를 위해 또한 사용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3
방법 15: 9-(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클로로-1,3,5-트리아진-2-일)-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 ( i35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4
1,4-디옥산 (1.0 mL) 중 3,7-디옥사-9-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난 (184 mg, 0.700 mmol, 1.0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70 mL, 0.970 mmol, 1.4 eq.)의 용액에 1,4-디옥산 (2.0 mL) 중 i32 (100 mg, 0.770 mmol, 1.1 eq.)의 용액을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70 ℃에서 가열했다.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 (50 mL) 및 물 (50 mL)을 부가했다.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3 x 50 mL)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 층들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킨다. 조 혼합물을 자동화 실리카겔상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2: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4-(3-옥사-8-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탄-8-일)-6-클로로-1,3,5-트리아진-2-일)-3,7-디옥사-9-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난 (i35)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92 mg, 77%). 1 H NMR (400 MHz, (CD3)2SO): δ 4.70 (m, 1 H), 4.55 (m, 2 H), 4.44 (m, 1 H), 4.12 (m, 4 H), 3.90 (m, 4 H), 3.72 (m, 2 H), 3.64 (m, 2 H), 2.08 (m, 2 H), 1.97 (m, 2 H); MS (MALDI): m/z = 354.3 ([M]+).
방법 16: 9-(4-클로로-6-(( R )-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 ( i36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5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중 3,7-디옥사-9-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난 (173 mg, 1.27 mmol, 1.05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50 mL, 2.52 mmol, 2.1 eq.)의 용액에 1,4-디옥산 (2.0 mL) 중 i33 (300 mg, 2.52 mmol, 2.1 eq.)의 용액을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가열했다 (70 ℃).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및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20 mL)을 부가했다.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 (2 x 20 mL)로 세정했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했다. 조 혼합물을 자동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2: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i36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316 mg, 76%). 1 H NMR (400 MHz, (CD3)2SO): δ 4.55-4.53 (m, 1 H), 4.42 (m, 1 H), 4.32 (m, 1 H), 4.25-4.16 (m, 1 H), 4.01-3.97 (m, 4 H), 3.87 (dd, 3 J H,H = 3.8 Hz, 2 J H,H = 11.2 Hz, 1 H), 3.73-3.65 (m, 5 H), 3.53 (dd, 3 J H,H = 3.0 Hz, 2 J H,H = 11.6 Hz, 1 H), 3.38 (m, 1 H), 3.15 (m, 1 H), 1.20 (d, 3 J H,H  = 6.9 Hz, 3 H).
방법 16을 또한 하기 중간체 화합물 i37 내지 i53,중간체 i82 및 중간체 i85, i86, i92, i93, i94 제조에 사용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6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7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8
Figure 112018124033118-pct00129
방법 17: 9-(4-클로로-6-(3,3-디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 ( i5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0
1,4-디옥산 (5 mL) 중 3,7-디옥사-9-아자바이사이클로[3.3.1]노난 (155 mg, 1.20 mmol, 1.05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42 mL, 2.40 mmol, 2.1 eq.)의 용액에 1,4-디옥산 (1 mL) 중 i34 (300 mg, 1.14 mmol, 1 eq.)의 용액을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가열했다 (70 ℃).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및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20 mL)을 부가했다.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포화된 수성 중황산나트륨 (2 x 20 mL)로 세정했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했다. 조 혼합물을 자동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SiO2,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2: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i54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178 mg, 44%). 1 H NMR (400 MHz, (CD3)2SO): δ 4.32 (m, 2 H), 4.05-3.98 (m, 4 H), 3.77 (m, 4 H), 3.71 (m, 4 H), 3.44 (m, 2 H), 1.41 (s, 6 H). MS (MALDI): m/z = 356.3 ([M+H]+).
방법 17을, 하기 중간체 화합물 i55 내지 i64의 제조를 위해 또한 사용한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1
방법 18: 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i65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2
팔라듐 아세테이트 (275 mg, 1.22 mmol, 0.05 eq.) 및 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바이페닐 (Sigma-Aldrich, 제품 번호 638064, 1.17 g, 2.45 mmol, 0.10 eq.)을 1,4-디옥산 (10 mL)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용해시키고, 및 수득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되도록 했다. 그 다음 이러한 용액을 1,4-디옥산 (80 mL) 중 tert-부틸카바메이트 (Sigma, 제품 번호 167398, 4.30 g, 36.7 mmol, 1.5 eq.), Cs2CO3 (15.9 g, 48.8 mmol, 2.0 eq.) 및 2-클로로-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 (Manchester Organics, 제품 번호 U15343, 4.00 g, 24.5 mmol, 1.0 eq.)의 혼합물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부가했다. 수득한 반응 혼합물을 그 다음 90 ℃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고, 그 동안에 갈색으로 변했다. 이 시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했다. 그 다음 그것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염화암모늄 (2 x 30 mL) 및 탈이온수의 수성 포화된 용액으로 세정했다.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갈색을 띤 잔류물을 디옥산 (50 mL, 과잉) 및 메탄올 (20 mL) 중 4 M HCl과 혼합하고, 및 그 다음 80 ℃에서 45분 동안 가열했다. 탈이온수을 부가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로 세정했다. 수성 층을 그 다음 고체 수산화나트륨으로 pH = 9로 염기성화했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 건조시켰다. 원하는 생성물 i65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했다 (98%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8.16 (d, 2 J H,H  = 5.2 Hz, 1 H), 6.74 (d, 2 J H,H  = 4.8 Hz, 1 H), 6.59 (s, 1 H), 6.51 (t, 2 J H,F  = 56 Hz, 1 H), 4.61 (br s, 2 H); 19 F NMR (376 MHz, CDCl3): δ- 116.0 (s, 2 F).
방법 19: 5-브로모-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i66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3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0 mL) 중 화합물 i65 (3.00 g, 20.8 mmol, 1.0 eq.)의 용액에 N-브로모석신이미드 (3.89 g, 21.9 mmol, 1.05 eq.)을 0 ℃에서 빙욕에서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고, 한편 그것을 실온까지 승온되도록 한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부가하고 유기 층을 수성 탄산나트륨 (8%)로 세정했다. 그 다음 유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3 M HCl-용액으로 산성화했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0 mL)로 세정하고 그 다음, 고체 수산화나트륨으로 pH = 10으로 염기성화했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50 mL)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 건조시켰다. 원하는 생성물 i66을 갈색을 띤 고형물로서 얻었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한다 (79%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8.20 (s, 1 H), 6.75 (s, 1 H), 6.71 (t, 2 J H,F  = 54 Hz, 1 H); 4.62 (br s, 2 H); 19 F NMR (376 MHz, CDCl3): δ- 118.9 (s, 2 F).
방법 20: N' -(5-브로모-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 N , N -디메틸포름이미드아미드 ( i6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4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 mL) 중 화합물 i66 (3.68 g, 16.5 mmol, 1.0 eq.)의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 아세탈 (Manchester Organics, 제품 번호 005030, 3.30 mL, 24.8 mmol, 1.5 eq.)을 부가하고 수득한 혼합물을 6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했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1:1)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i67을 황색을 띤 고형물로서 얻었다 (82%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8.43 (s, 1 H), 8.34 (br s, 1 H), 7.17 (s, 1 H), 6.73 (t, 2 J H,F  = 54 Hz, 1 H), 3.12 (s, 3 H), 3.10 (s, 3 H); 19 F NMR (376 MHz, CDCl3): δ- 118.6 (s, 2 F); MS (MALDI): m/z = 278.5 ([M+H]+).
방법 21: N' -(4-(디플루오로메틸)-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피리딘-2-일)- N , N -디메틸포름이미드아미드 ( i6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5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 mL) 중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 (Sigma, 제품 번호 230111, 3.10 mL, 6.20 mmol, 1.15 eq.)의 2 M 용액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중 화합물 i67 (1.50 g, 5.39 mmol, 1.0 eq.)의 용액을 0 ℃에서 서서히 부가했다. 수득한 갈색을 띤 혼합물을 0 ℃에서 45분 동안 교반하고 그 다음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했다. 이 시간 후, TLC 모니터링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1:1)는 개시 물질의 완벽한 소비를 보여주었다. 2-이소프로폭시-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 (Manchester Organics, 제품 번호 W23343, 1.43 mL, 7.00 mmol, 1.3 eq.)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60 ℃에서 3 시간 동안 가열했다. 혼합물을 그 다음 플라스크에서 두었고, 빙욕과 함께 0 ℃로 냉각하고 염화암모늄의15% 수용액으로 켄칭했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 x 40 mL)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들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헵탄을 부가하고 유기 층을 중탄산나트륨의 포화된 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그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 건조시켰다. 원하는 생성물 i68을 갈색을 띤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한다 (94%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8.66 (s, 1 H), 8.51 (s, 1 H), 7.34-7.04 (m, 2 H), 3.12 (s, 3 H), 3.12 (s, 3 H), 1.34 (s, 12 H); 19 F NMR (376 MHz, CDCl3): δ- 115.6 (s, 2 F); MS (MALDI): m/z = 326.0 ([M+H]+).
방법 22: 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 i69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6
피리딘 (4.10 mL, 50.7 mmol, 1.2 eq.) 및 디클로로메탄 (40 mL)의 혼합물 중 에틸 비닐 에테르 (4.00 mL, 41.8 mmol, 1.0 eq.)의 용액에 디클로로메탄 (5 mL) 중 2,2-디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Manchester Organics, (제품 번호 L24754, 5.90 mL, 50.1 mmol, 1.2 eq.)의 용액을 -70 ℃에서 드라이아이스 / 이소프로판올 배쓰에서 적가했다. 수득한 용액을 밤새 실온까지 승온되도록 했다. 혼합물을 그 다음 탈이온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키고 오렌지색 오일을 얻었다.
동시에, 에탄올 (20 mL) 중 구아니딘ㆍHCl (Sigma, 제품 번호 50940, 4.80 g, 50.2 mmol, 1.2 eq.)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했다. 이 용액에 수산화나트륨 펠렛 (2.00 g, 50.0 mmol, 1.2 eq.)을 한번에 부가했다. 수득한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했다.
오렌지색 오일을 디클로로메탄 (20 mL)로 희석하고 1 시간에 걸쳐 에탄올 현탁액에 적가했다. 수득한 현탁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했다. 디클로로메탄을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탈이온수 (25 mL)을 잔류물에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격렬하게 2시간 동안 교반하고 그 다음 실온에서 밤새 정치되도록 했다. 형성된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탈이온수 (2 x) 및 헵탄 (1 x)로 세정하고 그 다음 진공에서 건조시켰다. 원하는 생성물 i69를 무색 고형물로서 수득한다 (65%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8.43 (d, 2 J H,H  = 4.8 Hz, 1 H), 7.02 (br s, 2 H), 6.76 (d, 2 J H,H  = 5.2 Hz, 1 H), 6.67 (t, 2 J H,F  = 55 Hz, 1 H); 19 F NMR (376 MHz, CDCl3): δ- 120.5 (s, 2 F).
방법 23: 5-브로모-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 i70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7
테트라하이드로푸란 (90 mL) 중 화합물 i69 (3.00 g, 20.7 mmol, 1.0 eq.)의 용액에 N-브로모석신이미드 (3.86 g, 21.7 mmol, 1.0 eq.)을 0 ℃에서 나누어서 부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실온까지 승온되도록 했다. 이 시간 후,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에서 용해시키고, 탄산나트륨 (4 x)의 수성 포화된 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그 다음 감압 하에서 농축 건조시켰다. 원하는 생성물 i70을 황색을 띤 고형물로서 수득하고, 이것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없이 사용한다 (98% 수율). 1 H NMR (400 MHz, (CD3)2SO): δ8.50 (s, 1 H), 7.30 (br s, 2 H), 6.87 (t, 2 J H,F  = 53 Hz, 1 H); 19 F NMR (376 MHz, (CD3)2SO):δ- 121.4 (s, 2 F).
방법 24: N - tert - 부틸카르복실레이트 - N -(5- 브로모 -4-( 디플루오로메틸 )피리미딘-2-일)카바메이트 ( i7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8
화합물 i70 (4.35 g, 19.4 mmol, 1.0 eq.)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480 mg, 3.92 mmol, 0.20 eq.)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 mL)에서 용해시켰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7.50 mL, 42.1 mmol, 2.2 eq.) 및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 (9.33 g, 42.7 mmol, 2.2 eq.)을 그 다음 0 ℃에서 부가하고 수득한 용액을 밤새 실온까지 승온되도록 했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9:1 → 4:1)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 i71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85%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 8.92 (s, 1 H), 6.73 (t, 2 J H,F = 53 Hz, 1 H), 1.47 (s, 18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0.4 (s, 2F).
일반적인 절차 1:
Figure 112018124033118-pct00139
치환된 모노클로로-트리아진 또는 치환된 모노클로로-피리미딘 (1.0 eq.), 화합물 i68 (1.1 eq.), 인산칼륨 3염기성 (2.0 eq.) 및 클로로(2-디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바이페닐) [2-(2'-아미노-1,1'-바이페닐)]-팔라듐(II) (Sigma-Aldrich, 제품 번호 741825, 0.05 eq.)을 플라스크에서 충전했다. 질소 분위기 하에서, 1,4-디옥산 (30 용적) 및 탈이온수 (1.5 용적)을 부가하고 수득한 혼합물을 그 다음 직접적으로 예비-가열된 오일 배쓰에 95 ℃에서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했다. 5M 수성 HCl-용액 (20eq.)을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밤새 60 ℃로 가열했다. 수득한 혼합물의 pH을 수산화나트륨의 2 M 수용액의 부가로 8-9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용적)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들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구조 (I)의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일반적인 절차 2: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0
화합물 i71 (1.0 eq.), 4,4,4',4',5,5,5',5'-옥타메틸-2,2'-바이(1,3,2-디옥사보롤란) (Manchester Organics, 제품 번호 M23170, 1.5 eq.), 아세트산칼륨 (3.0 eq.)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Sigma-Aldrich, 제품 번호 697230, 0.099 eq.)을 1,4-디옥산 (12.5 용적)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용해시켰다. 수득한 혼합물을 100 ℃에서 15분 동안 가열했다 (용액은 흑색으로 변했다). TLC 모니터링 (사이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3:1)을 사용하여 개시 물질의 완벽한 소비를 나타낸다.
수득한 혼합물에, 치환된 클로로-트리아진 또는 치환된 클로로-피리미딘 (1.1 eq.), 탄산칼륨 (2M, 3.0eq.)의 수용액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 용적) 중 트리페닐포스핀 (0.12 eq.) 및 팔라듐 아세테이트 (0.04 eq.)의 이전에 혼합된 용액을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60 ℃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그 뒤에 실온으로 냉각되도록 했다.
5M 수성 HCl-용액 (20eq.)을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밤새 60 ℃로 가열했다. 수득한 혼합물의 pH을 수산화나트륨의 2 M 수용액의 부가로 8-9로 조정하고, 혼합물을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3 x 20 용적)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들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얻었다.
방법 27: tert -부틸 N - tert -부톡시카르보닐- N -(5-(4-클로로-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일)카바메이트 ( i7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1
중간체 i71 (2.00 g, 4.71 mmol, 1.0 eq.), 비스(피나콜레이트)디보론 (1.80 g, 7.09 mmol, 1.5 eq.), KOAc (1.60 g, 16.3 mmol, 3.4 eq.)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 (350 mg, 478 μmol, 0.10 eq.)을 1,4-디옥산에서 질소 분위기 하에서 혼합하고 95 ℃에서 45분 동안 가열했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 mL) 중 팔라듐(II) 아세테이트 (43.0 mg, 192 μmol, 0.04 eq.) 및 트리페닐포스핀 148 mg, 564 μmol, 0.12 eq.)의 전-촉매 용액을 또한 제조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다음 이러한 용액을 상기 냉각된 용액에 실온에서 부가하고, 그 다음 4-(4,6-디클로로-1,3,5-트리아진-2-일)모르폴린 i11 (1.65 g, 7.05 mmol, 1.5 eq.) 및 수성 K2CO3-용액 (2.4 M, 5.90 mL, 14.2 mmol, 3.0 eq.)을 부가했다. 수득한 혼합물을 55 ℃에서 밤새 가열했다. 이 시간 후, 혼합물을 수성 NH4Cl-용액 (15%) 에 부었고 에틸 아세테이트 (3 x)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서 농축했다. 실리카겔상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0→4:1)로 정제하여 생성물 i74를 무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36% 수율).
1 H NMR (400 MHz, CDCl3): δ-9.57 (s, 1 H), 7.55 (t, 2 J H,F = 54 Hz, 1 H), 3.99-3.91 (m, 4 H), 3.84-3.76 (m, 4 H), 1.49 (s, 18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1.0 (s, 2 F).
방법 32: (E)-4-에톡시-1,1-디플루오로-부트-3-엔-2-온 ( i83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2
디클로로메탄 (500 mL) 중 피리딘 (61.5 mL, 760.5 mmol, 1.2 eq)의 냉각된 (-70 ℃) 용액에 에틸 비닐 에테르 (60 mL, 626.5 mmol, 1 eq), 그 다음 디클로로메탄 (75 mL) 중 디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 (88.5 mL, 760.5 mmol, 1.2 eq)의 용액을 부가했다. 그 다음 혼합물을 밤새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했다. 혼합물을 분별 깔때기로 이동시키고 유기 층을, 수성 층의 pH가 중성이 될 때까지 물 (6x800 mL)로 세정했다. 유기 층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여 원하는 생성물 i83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얻었다 (76.7 g, 81%). 1 H NMR (400 MHz, DMSO-d6): δ 7.92 (d, 3 J H,H = 12.5 Hz, 1H), 6.34 (t, 2 J H,F = 53.6 Hz, 1H), 5.87 (d, 3 J H,H = 12.5 Hz, 1H), 4.14 (q, 3 J H,H = 7,1 Hz, 2H), 1.28 (t, 3 J H,H = 7,1 Hz, 3H); 19 F {1H} NMR (400 MHz, DMSO-d6): δ -127.39 (s, 2F).
방법 33: ( E )-3-(디플루오로메틸)-5-에톡시-3-하이드록시-펜트-4-엔니트릴 ( i8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3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35mL) 중 n-부틸 리튬 2.5M (102.9 mL, 256.7 mmol, 1 eq)의 냉각된 (-70 ℃) 용액에 아세토니트릴 (13.4 mL, 256.7 mmol, 1 eq)을 부가했다. 백색 현탁액이 형성되었고, -70 ℃에서 1 시간 30 분 동안 동안 교반했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5 mL) 중 (E)-4-에톡시-1,1-디플루오로-부트-3-엔-2-온 (i83) (38.5 g, 256.7 mmol, 1 eq)의 용액을 백색 현탁액에 부가하고 (혼합물은 오렌지 용액으로 되었다). 혼합물을 -7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했다. 물 (400 mL)을 부가했다. 그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600 mL)을 부가했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3×600 mL)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들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3:1)의 용출물로서 사용하는 짧은 실리카겔의 패드 상에서 여과하여 원하는 생성물 i84를 어두운 오렌지색 오일로서 얻었다다 (43.4 g, 88%). 1 H NMR (400 MHz, DMSO-d6): δ 6.66 (d, 3 J H,H = 12.8 Hz, 1H), 6.20 (s, 1H), 5.79 (t, 2 J H,F = 55.8 Hz, 1H), 4.75 (d, 3 J H,H = 12.8 Hz, 1H), 3.74 (q, 3 J H,H = 7.0 Hz, 2H), 2.88 (d, 3 J H,H = 16.8 Hz, 1H), 2.81 (d, 3 J H,H = 16.8 Hz, 1H), 1.21 (t, 3 J H,H =7.0 Hz, 1H); 19 F {1H} NMR (400 MHz, DMSO-d6): δ -129.32 (d, 2 J F,F = 311.2 Hz, 1F), -130.05 (d, 2 J F,F = 311.2 Hz, 1F).
방법 34: 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i65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4
아세트산 (80 mL) 중 (E)-3-(디플루오로메틸)-5-에톡시-3-하이드록시-펜트-4-엔니트릴 (i84) (8.1 g, 42.4 mmol, 1 eq)의 용액에 O-메틸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Fluorochem, 제품 번호 078603) (10.6 g, 127.2 mmol, 3 eq)을 부가했다. 혼합물을 50 ℃에서 7 시간 동안 교반했다.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아세트산 (33%) 중 브롬화수소산 (14.2 mL, 84.8 mmol, 2 eq)을 부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밤새 교반했다. 반응 혼합물을 탈기하고 질소 하에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아연 분말 (8.12 g, 127.2 mmol, 3 eq)을 나누어서 부가하면서 얼음있는 수조로 실온에서 유지했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했다. 혼합물을 짧은 셀라이트의 패드 상에서 여과하고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정했다. 그 다음 용매의 주요 일부를 감압 하에서 제거했다. 60 mL의 수성 수산화암모늄 (28%)을 부가했다.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3x150 mL)로 추출했다. 조합된 유기 층들을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화합물 i65를 항-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 및 헵탄로부터 재결정화했다 (용매는 회전증발기에서 스위칭된다). 화합물 i65를, 여과로 밝은 황색 고형물로서 수집한다 (5.12 g, 84%).
방법 35: 9-[4-클로로-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 ( i89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5
1,4-디옥산 (5 mL) 중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 염산 (176 mg, 1.20 mmol, 1.05 eq.)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42 mL, 2.40 mmol, 2.1 eq.) 용액에, 1,4-디옥산 (1 mL) 중i88 (300 mg, 1.14 mmol, 1 eq.) 용액을 첨가한다. 얻어진 혼합물을 3 시간 (75 °C) 동안 가열한다. 이어,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및 포화 수성 중황산나트륨(20 mL)을 첨가한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포화 수성 중황산나트륨 (2 x 20 mL)으로 세척한다. 유기층은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 제거한다. 조 혼합물을 자동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SiO2, 시클로헥산 / 에틸 아세테이트 2:1 에서 0:1) 표제 화합물 i89을 무색 고체 (297 mg, 75%)로 수득한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4.58 (m, 1 H), 4.44 (m, 1 H), 4.40 (m, 1 H), 4.32 (m, 1 H), 4.00-3.97 (m, 4 H), 3.94- 3.90 (m, 2 H), 3.72 - 3.64 (m, 6 H), 2.46 (m, 1 H), 1.90 - 1.70 (m, 4 H), 1.53 (m, 1 H). MS (MALDI): m/z = 368.0 ([M+H]+).
본발명화합물의제조
화합물 1: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6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1 은 개시 물질 i2i68 로부터 73%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9.02 (s, 1 H), 7.65 (t, 2 J H,F = 55 Hz, 1 H), 6.83 (s, 1 H), 4.85 (br s, 2 H), 3.89-3.79 (m, 8 H), 3.77-3.72 (m, 8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5.9 (s, 2 F); MS (MALDI): m/z = 393.9 ([M+H]+).
화합물 2: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 2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7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2 는 개시 물질 i2i71 로부터 74%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9.20 (s, 1 H), 7.62 (t, 2 J H,F = 54 Hz, 1 H), 5.97 (br s, 2 H), 3.91-3.68 (m, 16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1.5 (s, 2 F); MS (MALDI): m/z = 395.2 ([M+H]+).
화합물 3: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3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8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3 은 개시 물질 i1i68 로부터 75%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04 (s, 1 H), 7.71 (t, 2 J H,F = 55 Hz, 1 H), 6.83 (s, 1 H), 4.89 (br s, 2 H), 4.71-4.64 (m, 4 H), 3.79-3.76 (m, 4 H), 3.67-3.62 (m, 4 H), 2.09-1.98 (m, 8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5.4-(-117.3) (m, 2 F); MS (MALDI): m/z = 446.3 ([M+H]+).
화합물 4: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49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4 는 개시 물질 i12i68 로부터 5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03 (s, 1 H), 7.68 (m, 1 H), 6.83 (s, 1 H), 4.94 (br s, 2 H), 4.70-4.65 (m, 2 H), 3.93-3.57 (m, 12 H), 2.14-1.92 (m, 4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6.0-(-116.2) (m, 2 F); MS (MALDI): m/z = 420.6 ([M+H]+).
화합물 5: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 5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0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5 는 개시 물질 i71i12 로부터 50%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3 (s, 1 H), 7.65 (t, 2 J H,F = 54 Hz, 1 H), 5.66 (br s, 2 H), 4.68 (m, 2 H), 3.90-3.61 (m, 12 H), 2.13-1.92 (4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0.4-(-121.5) (m, 2 F); MS (MALDI): m/z = 420.9 ([M+H]+).
화합물 6: 5-(4,6-비스(( S )-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6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1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6 은 개시 물질 i3i68 로부터 79%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87 (s, 1 H), 7.70 (t, 2 J H,F = 55 Hz, 1 H), 6.86 (s, 1 H), 5.48 (br s, 2 H), 4.73-4.72 (m, 2 H), 4.41-4.38 (m, 2 H), 3.98 (dd, J H,H = 11.6, 3.8 Hz, 2 H), 3.78 (d, J H,H = 12 Hz, 2 H), 3.67 (dd, J H,H = 12, 3.2 Hz, 2 H), 3.52 (td, J H,H = 12, 3.0 Hz, 2 H), 3.27 (td, J H,H = 13, 3.8 Hz, 2 H), 1.33 (d, 3 J H,H = 6.8 Hz, 6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5.4-(-116.2) (m, 2 F); MS (MALDI): m/z = 421.9 ([M+H]+).
화합물 7: 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 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2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7 은 개시 물질 i71 i3 로부터 52%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4 (s, 1 H), 7.66 (t, 2 J H,F = 54 Hz, 1 H), 5.77 (br s, 2 H), 4.73 (br s, 2 H), 4.45-4.32 (m, 2 H), 3.98 (dd, J H,H = 12, 3.6 Hz, 2 H), 3.78 (d, J H,H = 12 Hz, 2 H), 3.67 (dd, J H,H = 11, 2.8 Hz, 2 H), 3.52 (td, J H,H = 12, 2.8 Hz, 2 H), 3.27 (td, J H,H = 13, 3.2 Hz, 2 H), 1.33 (d, 3 J H,H = 6.8 Hz, 6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0.5-(-122.7) (m, 2 F); MS (MALDI): m/z = 423.3 ([M+H]+).
화합물 8: ( S )-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3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8 은 개시 물질 i13i68 로부터 4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03 (s, 1 H), 7.70 (t, 2 J H,F = 55 Hz, 1 H), 6.84 (s, 1 H), 4.78 (br s, 2 H), 4.75 (m, 1 H), 4.42-4.38 (m, 1 H), 4.00-3.96 (m, 1 H), 3.84-3-66 (m, 10 H), 3.55-3.50 (m, 1 H), 3.30-3.25 (m, 1 H), 1.33 (d, 3 J H,H = 6.8 Hz, 3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6.1-(-115.9) (m, 2 F); MS (MALDI): m/z = 408.9 ([M+H]+).
화합물 9: ( S )-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 9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4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9 는 개시 물질 i71i13 로부터 60%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4 (s, 1 H), 7.66 (t, 2 J H,F = 54 Hz, 1 H), 5.67 (br s, 2 H), 4.74 (m, 1 H), 4.41-4.38 (m, 1 H), 4.00-3.97 (m, 1 H), 3.90-3.72 (m, 9 H9 H3.68-3.36 (m, 1 H), 3.56-3.49 (m, 1 H), 3.32-3.25 (m, 1 H), 1.33 (d, 3 J H,H = 6.9 Hz, 3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1.3-(-121.6) (m, 2 F); MS (MALDI): m/z = 409.4 ([M+H]+).
화합물 10: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 S )-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10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5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10 은 개시 물질 i18 i68 로부터 42%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04 (s, 1 H), 7.69 (t, 2 J H,F = 55 Hz, 1 H), 6.84 (s, 1 H), 4.85 (br s, 2 H), 4.71-4.65 (m, 3 H), 4.42-4.39 (m, 1 H), 3.98-3.95 (m, 1 H), 3.79-3.76 (m, 3 H), 3.70-3.65 (m, 3 H), 3.56-3.53 (m, 1 H), 3.30-3.27 (m, 1 H), 2.10-1.99 (m, 4 H), 1.33 (m, 3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5.9-(-116.2) (m, 2 F); MS (MALDI): m/z = 434.2 ([M+H]+).
화합물 11: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 S )-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 1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6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11 은 개시 물질 i71i18 로부터 46%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5 (s, 1 H), 7.68 (t, 2 J H,F = 55 Hz, 1 H), 5.81 (br s, 2 H), 4.71-4.65 (m, 3 H), 4.42-4.38 (m, 1 H), 4.00-3.96 (m, 1 H), 3.81-3.60 (m, 6 H), 3.55-3.50 (m, 1 H), 3.31-3.24 (m, 1 H), 2.11-2.00 (m, 4 H), 1.37-1.28 (m, 3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1.5-(-121.7) (m, 2 F); MS (MALDI): m/z = 434.6 ([M+H]+).
화합물 12: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12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7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12 는 개시 물질 i68i14 로부터 86%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5 (s, 1 H), 7.74 (t, 2 J H,F = 55 Hz, 1 H), 6.84 (s, 2 H), 6.75 (s, 1 H), 3.82-3.70 (m, 8 H), 3.69-3.60 (m, 4 H), 2.88-2.80 (m, 4 H); 19 F NMR (376 MHz, (CD3)2SO): δ-115.4 (s, 2 F); MS (MALDI): m/z = 393.8 ([M+H]+).
화합물 13: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 13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8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13 은 개시 물질 i71i14 로부터 55%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3 (s, 1 H), 7.64 (t, 2 J H,F = 55 Hz, 1 H), 5.60 (br s, 2 H), 3.83-3.75 (m, 12 H), 2.94-2.88 (m, 4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1.4 (s, 2 F);MS (MALDI): m/z = 394.1 ([M+H]+).
화합물 14: ( S )-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1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59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14 는 개시 물질 i21 i68 로부터 4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02 (s, 1 H), 7.67 (t, 2 J H,F = 56 Hz, 1 H), 6.84 (s, 1 H), 4.90 (br s, 2 H), 4.74 (s, 1 H), 4.40 (d, J H,H = 16 Hz, 1 H), 3.98 (dd, J HH , = 4.0 Hz, 12 Hz, 1 H), 3.91 (m, 4 H), 3.78 (d, J H,H = 12 Hz, 1 H), 3.68 (dd, J H,H = 4.0, 12 Hz, 1 H), 3.56 (t, J H,H = 4.0 Hz, 1 H), 3.26 (dt, J H,H = 4.0, 12 Hz, 1 H), 2.99 (t, J H,H = 4.0 Hz, 4 H), 1.32 (d, J H,H = 8.0 Hz, 3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5.9 (s, 2 F); MS (MALDI): m/z = 407.2 ([M+H]+).
화합물 15: ( S )-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 15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0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15 는 개시 물질 i71i21 로부터 30%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4 (s, 1 H), 7.66 (t, 2 J H,F = 56 Hz, 1 H), 5.69 (br s, 2 H), 4.74 (s, 1 H), 4.40 (d, J H,H = 16 Hz, 1 H), 4.38 (dd, J H,H = 4.0, 12 Hz, 1 H), 3.83 (m, 4 H), 3.78 (d, J H,H =12 Hz, 1 H), 3.68 (dd, J H,H = 4.0, 12 Hz, 1 H), 3.54 (dt, J H,H = 4.0, 12 Hz, 1 H), 3.28 (dt, J H,H = 4.0, 12 Hz, 1 H), 2.92 (t, J H,H = 8.0 Hz, 4 H), 1.33 (t, J H,H = 8.0 Hz, 3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1.4 (s, 2 F); MS (MALDI): m/z = 408.7 ([M+H]+).
화합물 16: 4-(디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 16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1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16 은 개시 물질 i22i68 로부터 73%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31 (s, 1 H), 7.30 (t, 2 J H,F = 55 Hz, 1 H), 6.85 (s, 1 H), 6.04 (s, 1 H), 4.73 (br s, 2 H), 3.81-3.72 (m, 12 H), 3.65-3.59 (m, 4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5.1 (s, 2 F); MS (MALDI): m/z = 393.3 ([M+H]+).
화합물 17: 4'-(디플루오로메틸)-2,6-디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 1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2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17 은 개시 물질 i71i22 로부터 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60 (s, 1 H), 7.11 (t, 2 J H,F = 55 Hz, 1 H), 6.02 (s, 1 H), 5.46 (br s, 2 H), 3.80-3.74 (m, 12 H), 3.64-3.60 (m, 4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9.5 (s, 2 F); MS (MALDI): m/z = 394.3 ([M+H]+).
화합물 18: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2-일)피리딘-2-아민 ( 1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3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18 은 개시 물질 i23i68 로부터 89%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94 (s, 1 H), 7.61 (t, 2 J H,F = 55 Hz, 1 H), 6.83 (s, 1 H), 5.50 (s, 1 H), 4.74 (br s, 2 H), 3.82-3.78 (m, 8 H), 3.61-3.57 (m, 8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5.4 (s, 2 F); MS (MALDI): m/z = 393.3 ([M+H]+).
화합물 19: 4'-(디플루오로메틸)-4,6-디모르폴리노-[2,5'-바이피리미딘]-2'-아민 ( 19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4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19 는 개시 물질 i71i23 로부터 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16 (s, 1 H), 7.58 (t, 2 J H,F = 55 Hz, 1 H), 5.75 (br s, 2 H), 5.50 (s, 1 H), 3.82-3.79 (m, 8 H), 3.61-3.58 (m, 8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1.1 (s, 2 F); MS (MALDI): m/z = 395.3 ([M+H]+).
화합물 20: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티오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20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5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20 은 개시 물질 i15i68 로부터 7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02 (s, 1 H), 7.65 (t, 2 J H,F = 55 Hz, 1 H), 6.84 (s, 1 H), 4.83 (br s, 2 H), 4.23-4.07 (m, 4 H), 3.90-3.79 (m, 4 H), 3.79-3.71 (m, 4 H), 2.71-2.62 (m, 4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6.0 (s, 2 F); MS (MALDI): m/z = 410.3 ([M+H]+).
화합물 21: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티오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 2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6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21 은 개시 물질 i71i15 로부터 70%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21 (s, 1 H), 7.60 (t, 2 J H,F = 54 Hz, 1 H), 5.90 (br s, 2 H), 4.22-4.06 (m, 4 H), 3.91-3.78 (m, 4 H), 3.78-3.71 (m, 4 H), 2.71-2.62 (m, 4 H); 19 F NMR (376 MHz, CDCl3): δ-120.5-(-121.5) (m, 2 F); MS (MALDI): m/z = 411.2 ([M+H]+).
화합물 22: 5-(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2-(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22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7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22 는 개시 물질 i24i68 로부터 61%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34 (s, 1 H), 7.55 (t, 2 J H,F = 55 Hz, 1 H), 6.76 (s, 1 H), 6.60 (br s, 2 H), 6.36 (s, 1 H), 4.64-4.47 (m, 4 H), 3.67-3.49 (m, 4 H), 3.56-3.49 (m, 4 H), 1.98-1.79 (m, 8 H); 19 F NMR (376 MHz, (CD3)2SO): δ-114.9-(-115.2) (m, 2 F);MS (MALDI): m/z = 445.3 ([M+H]+).
화합물 23: 5-(2-(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23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8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23 은 개시 물질 i29i68 로부터 54%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30 (s, 1 H), 7.30 (t, 2 J H,F = 55 Hz, 1 H), 6.84 (s, 1 H), 6.04 (s, 1 H), 4.85 (br s, 2 H), 4.62 (br s, 2 H), 3.82-3.74 (m, 6 H), 3.65-3.56 (m, 6 H), 2.09-2.00 (m, 2 H), 2.00-1.91 (m, 2 H); 19 F NMR (376 MHz, CDCl3): δ - 115.2 -(-116.2) (m, 2 F); MS (MALDI): m/z = 419.0 ([M+H]+).
화합물 24: 2-(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4′-(디플루오로메틸)-6-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 2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69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24는 개시 물질 i29i71 로부터 72%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71 (s, 1 H), 7.35 (s, 2 H), 7.32 (t, 2 J H,F = 54 Hz, 1 H), 6.45 (s, 1 H), 4.54 (br s, 2 H), 3.71-3.50 (m, 12 H), 1.95-1.78 (m, 4 H); 19 F NMR (376 MHz, (CD3)2SO): δ-119.2 (s, 2 F); MS (MALDI): m/z = 420.6 ([M+H]+).
화합물 25: 5-(2,6-비스(( S )-3-메틸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25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0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25 는 개시 물질 i25i68 로부터 5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31 (s, 1 H), 7.52 (t, 2 J H,F = 55 Hz, 1 H), 6.76 (s, 1 H), 6.59 (br s, 2 H), 6.30 (s, 1 H), 4.60-4.50 (m, 1 H), 4.44-4.33 (m, 1 H), 4.24-4.15 (m, 1 H), 4.12-4.04 (m, 1 H), 3.94-3.83 (m, 2 H), 3.74-3.64 (m, 2 H), 3.59-3.51 (m, 2 H), 3.45-3.35 (m, 2 H), 3.14-3.02 (m, 2 H), 1.18 (t, 3 J H,H = 7.2 Hz, 6 H); 19 F NMR (376 MHz, (CD3)2SO): δ-113.7-(-115.9) (m, 2 F);MS (MALDI): m/z = 421.1 ([M+H]+).
화합물 26: 4′-(디플루오로메틸)-2,6-비스(( S )-3-메틸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 26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1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26 은 개시 물질 i25i71 로부터 56%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60 (s, 1 H), 7.14 (t, 2 J H,F = 54 Hz, 1 H), 5.98 (s, 1 H), 5.48 (br s, 2 H), 4.71-4.62 (m, 1 H), 4.34-4.23 (m, 2 H), 4.08-3.92 (m, 3 H), 3.83-3.65 (m, 4 H), 3.61-3.49 (m, 2 H), 3.25 (dt, 2 J H,H = 13 Hz, 3 J H,H = 3.6 Hz, 2 H), 1.33-1.27 (m, 6 H); 19 F NMR (376 MHz, CDCl3): δ- 119.5 (s, 1 F), 119.7 (m, 1 F); MS (MALDI): m/z = 422.2 ([M+H]+).
화합물 27: ( S )-4-(디플루오로메틸)-5-(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 2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2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27 은 개시 물질 i30i68 로부터 74%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31 (s, 1 H), 7.30 (t, 2 J H,F = 55 Hz, 1 H), 6.85 (s, 1 H), 6.02 (s, 1 H), 4.75 (br s, 2 H), 4.35-4.25 (m, 1 H), 4.06-3.96 (m, 2 H), 3.83-3.69 (m, 10 H), 3.58 (dt, 2 J H,H = 12 Hz, 3 J H,H = 3.2 Hz, 1 H), 3.25 (dt, 2 J H,H = 13 Hz, 3 J H,H = 3.8 Hz, 1 H), 1.31 (d, 3 J H,H = 6.8 Hz, 3 H); 19 F NMR (376 MHz, CDCl3): δ- 114.9-(-115.0) (m, 2 F);MS (MALDI): m/z = 407.1 ([M+H]+)
화합물 28: ( S )-4′-(디플루오로메틸)-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 2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3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28 은 개시 물질 i30i71 로부터 53%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60 (s, 1 H), 7.13 (t, 2 J H,F = 54 Hz, 1 H), 6.01 (s, 1 H), 5.47 (br s, 2 H), 4.71-4.63 (m, 1 H), 4.31 (dd, 2 J H,H = 14 Hz, 3 J H,H = 2.4 Hz, 1 H), 3.97 (dd, 2 J H,H = 11 Hz, 3 J H,H = 3.4 Hz, 1 H), 3.79 (t, 3 J H,H = 4.6 Hz, 4 H), 3.72-3.66 (m, 2 H), 3.65-3.58 (m, 3 H), 3.58-3.50 (m, 2 H), 3.30-3.21 (m, 1 H), 1.30 (d, 3 J H,H = 6.8 Hz, 3 H); 19 F NMR (376 MHz, CDCl3): δ 119.7 (br s, 2 F); MS (MALDI): m/z = 408.9 ([M+H]+).
화합물 29: 5-(4-(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6-(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29)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4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29 는 개시 물질 i68i81 로부터 89%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9.03 (s, 1 H), 7.69 (t, 2 J H,F = 55 Hz, 1 H), 6.83 (s, 1 H), 4.85 (br s, 2 H), 4.50-4.24 (m, 8 H), 3.28-3.12 (m, 4 H), 1.94 (br s, 4 H), 1.86-1.71 (m,4 H); 19 F NMR (376 MHz, CDCl3): δ-115.1-(-117.2) (m, 2 F); MS (MALDI): m/z = 446.3 ([M+H]+).
화합물 30: 5-[4,6-비스(2,2-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30)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5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30 은 개시 물질 i68i80 로부터 63%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6 (s, 1 H), 7.71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6 (s, 1 H), 3.81-3.56 (m, 12 H), 1.14 (s, 12 H);MS (MALDI): m/z = 450.0 ([M+H]+).
화합물 31: ( S )-4-(디플루오로메틸)-5-(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 3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6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31 은 개시 물질 i28i68 로부터 58%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31 (s, 1 H), 7.52 (t, 2 J H,F = 55 Hz, 1 H), 6.74 (s, 1 H), 6.59 (br s, 2 H), 6.35 (s, 1 H), 4.59-4.51 (m, 1 H), 4.22-4.14 (m, 1 H), 3.91-3.84 (m, 1 H), 3.72-3.50 (m, 10 H), 3.44-3.35 (m, 1 H), 3.14-3.03 (m, 1 H), 1.16 (d, 3 J H,H = 6.7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3.7-(-115.3) (m, 2 F); MS (MALDI): m/z = 407.1 ([M+H]+).
화합물 32: ( S )-4′-(디플루오로메틸)-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 32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7
일반적인 절차 2에 따라, 화합물 32 는 개시 물질 i28i71 로부터 63%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 8.60 (s, 1 H), 7.13 (t, 2 J H,F = 54 Hz, 1 H), 5.99 (s, 1 H), 5.46 (br s, 2 H), 4.34-4.25 (m, 1 H), 4.06-3.97 (m, 2 H), 3.82-3.68 (m, 10 H), 3.58 (dt, 2 J H,H = 12 Hz, 3 J H,H = 3.2 Hz, 1 H), 3.26 (dt, 2 J H,H = 13 Hz, 3 J H,H = 3.7 Hz, 1 H), 1.31 (d, 3 J H,H = 6.8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9.5 (s, 2 F); MS (MALDI): m/z = 408.7 ([M+H]+).
화합물 33: 4-(디플루오로메틸)-5-[4-[(2 S ,6 R )-2,6-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33)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8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33 은 개시 물질 i68i82 로부터 71%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7 (s, 1 H), 7.74 (t, 2 J H,F = 55 Hz, 1 H), 6.83 (br s, 2 H), 6.76 (s, 1 H), 4.71-4.62 (m, 1 H), 4.45-4.34 (m, 2 H), 4.31-4.09 (m, 1 H), 3.90 (m, 1 H), 3.71 (m, 1 H), 3.55 (m, 3 H), 3.38 (m, 1 H), 3.13 (m, 1 H), 2.55 (m, 2 H), 1.20 (d, 3 J H,H = 6.9 Hz, 3 H), 1.19 (d, 3 J H,H = 6.9 Hz, 6 H);MS (MALDI): m/z = 436.1 ([M+H]+).
화합물 34: 5-[4,6-비스[(2 R ,6 S )-2,6-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34)
Figure 112018124033118-pct00179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34 는 개시 물질 i68i79 로부터 75%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6 (s, 1 H), 7.71 (t, 2 J H,F = 55 Hz, 1 H), 6.83 (br s, 2 H), 6.76 (s, 1 H), 4.64-4.46 (m, 4 H), 3.60-3.48 (m, 4 H), 2.63 (m, 4H), 1.14 (m, 12 H);MS (MALDI): m/z = 450.0 ([M+H]+).
화합물 37: 5-[4,6-비스(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3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0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37 은 개시 물질 i7i68 로부터 39%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5 (s, 1 H), 7.68 (t, 3 J H,F = 55 Hz, 1 H), 6.87 (br s, 2 H), 6.74 (s, 1 H), 4.51 (br s, 2 H), 4.45 (br s, 2 H), 4.07-3.93 (m, 8 H), 3.79-3.67 (m, 8 H); 19 F NMR (376 MHz, (CD3)2SO): δ-115.8 (s, 2 F); MS (MALDI): m/z = 478.1 ([M+H]+).
화합물 38: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3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1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38 은 개시 물질 i35i68 로부터 6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7 (s, 1 H), 7.73 (t, 3 J H,F = 55 Hz, 1 H), 6.87 (br s, 2 H), 6.75 (s, 1 H), 4.70-4.54 (m, 2 H), 4.53-4.43 (m, 2 H), 4.05-3.97 (m, 4 H), 3.79-3.67 (m, 4 H), 3.63-3.55 (m, 4 H) 2.00-1.83 (m, 4 H); 19 F NMR (376 MHz, (CD3)2SO): δ-115.8 (s, 1 F), - 115.9 (s, 1 F); MS (MALDI): m/z = 462.1 ([M+H]+).
화합물 39: 5-[4,6-비스(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39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2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39 는 개시 물질 i4i68 로부터 28%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78 (s, 1 H), 7.70 (t, 2 J H,F = 55 Hz, 1 H), 6.82 (br s, 2 H), 6.77 (s, 1 H), 3.87-3.75 (m, 8 H), 3.45 (br s, 4 H), 1.49 (s, 12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4.9-(-115.1) (m, 2 F); MS (MALDI): m/z = 450.1 ([M+H]+).
화합물 40: 5-[4,6-비스[(3 R ,5 S )-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0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3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40 은 개시 물질 i6i68 로부터 42%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90 (s, 1 H), 7.82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7 (s, 1 H), 4.59-4.43 (m, 4 H), 3.82-3.73 (m, 4 H), 3.60-3.51 (m, 4 H), 1.29 (d, 2 J H,H = 6.9 Hz, 12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4.9-(-115.0) (m, 2 F); MS (MALDI): m/z = 450.2 ([M+H]+).
화합물 41: 5-[4,6-비스[(3 R )-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4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41 은 개시 물질 i5i68 로부터 98%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Cl3): δ9.04 (s, 1 H), 7.70 (t, 2 J H,F = 52.0 Hz, 1 H), 6.84 (s, 1 H), 4.88 (br s, 2 H), 4.77-4.72 (m, 2 H), 4.41 (d, 2 J H,H = 12.0 Hz, 2 H), 3.98 (dd, 2 J H,H = 12.0 Hz, 3 J H,H = 4.0 Hz, 2 H), 3.78 (d, 2 J H,H = 12.0 Hz, 2 H), 3.68 (dd, 2 J H,H = 12.0 Hz, 3 J H,H = 4.0 Hz, 2 H), 3.53 (dt, 2 J H,H = 12.0 Hz, 3 J H,H = 4.0 Hz, 2 H), 3.28 (dt, 2 J H,H = 12.0 Hz, 3 J H,H = 4.0 Hz, 2 H), 1.33 (d, 2 J H,H = 8.0 Hz, 6 H); 19 F NMR (376 MHz, CDCl3): δ- 115.9 (s, 1 F), - 116.0 (s, 1 F); MS (MALDI): m/z = 421.7 ([M+H]+).
화합물 42: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2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5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42 는 개시 물질 i16i68 로부터 35%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3 (s, 1 H), 7.73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6 (s, 1 H), 3.85-3.76 (m, 4 H), 3.76-3.63 (m, 8 H), 3.45 (br s, 2 H), 1.49 (s, 6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6 (s, 2 F); MS (MALDI): m/z = 422.1 ([M+H]+).
화합물 44: 4-(디플루오로메틸)-5-[4-[(3 R ,5 S )-3,5-디메틸모르폴린-4-일]-6-[(3 R )-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6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44 는 개시 물질 i37i68 로부터 75%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9 (s, 1 H), 7.79 (t, 2 J H,F = 55 Hz, 1 H), 6.83 (br s, 2 H), 6.76 (s, 1 H), 4.65 (br s, 1 H), 4.50 (br s, 2 H), 4.37-4.25 (m, 1 H), 3.93 (dd, 3 J H,H = 11 Hz, 3 J H,H = 3.2 Hz, 1 H), 3.79-3.67 (m, 3 H), 3.59-3.51 (m, 3 H), 3.45-3.36 (m, 1 H), 3.22-3.11 (m, 1 H), 1.30 (d, 3 J H,H = 6.7 Hz, 6 H), 1.24 (d, 3 J H,H = 6.7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0 (br s, 2 F); MS (MALDI): m/z = 436.1 ([M+H]+).
화합물 45: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 R )-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5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7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45 는 개시 물질 i38i68 로부터 71%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4 (s, 1 H), 7.74 (t, 2 J H,F = 55 Hz, 1 H), 6.83 (br s, 2 H), 6.76 (s, 1 H), 4.58 (br s, 1 H), 4.31-4.19 (m, 1 H), 3.93 (dd, 2 J H,H = 12 Hz, 3 J H,H = 3.9 Hz, 1 H), 3.84-3.81 (m, 4 H), 3.76-3.69 (m, 1 H), 3.58 (dd, 2 J H,H = 11 Hz, 3 J H,H = 3.2 Hz, 1 H), 3.46-3.38 (m, 3 H), 3.23-3.13 (m, 1 H), 1.50 (br s, 6 H), 1.23 (d, 3 J H,H = 6.7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4.8-(-115.5) (m, 2 F); MS (MALDI): m/z = 436.0 ([M+H]+).
화합물 46: 4-(디플루오로메틸)-5-[4-[(3 R )-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6-[(3 R )-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6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8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46 은 개시 물질 i39i68 로부터 6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7 (s, 1 H), 7.77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6 (s, 1 H), 4.67 (br s, 2 H), 4.44-4.24 (m, 2 H), 3.96-3.83 (m, 3 H), 3.75-3.63 (m, 2 H), 3.60-3.36 (m, 5 H), 3.31 (s, 3 H), 3.21-3.04 (m, 2 H), 1.23 (d, 3 J H,H = 6.7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0 (br s, 2 F); MS (MALDI): m/z = 452.3 ([M+H]+).
화합물 47: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 R )-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89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47 은 개시 물질 i36i68 로부터 85%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6 (s, 1 H), 7.72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5 (s, 1 H), 4.64 (br s, 1 H), 4.53-4.42 (m, 2 H), 4.37-4.25 (m, 1 H), 4.05-3.96 (m, 4 H), 3.92-3.84 (m, 1 H), 3.77-3.66 (m, 5 H), 3.60-3.52 (m, 1 H), 3.44-3.35 (m, 1 H), 3.22-3.10 (m, 1 H), 1.23 (d, 3 J H,H = 6.7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4.9-(-117.1) (m, 2 F); MS (MALDI): m/z = 450.0 ([M+H]+).
화합물 50: 4-(디플루오로메틸)-5-[4-[(3 R )-3-메틸모르폴린-4-일]-6-(3-옥사-6-아자바이시클로[3.1.1]헵탄-6-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50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0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50 은 개시 물질 i40i68 로부터 52%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90 (s, 1 H), 7.82 (t, 2 J H,F = 55 Hz, 1 H), 6.87 (br s, 2 H), 6.76 (s, 1 H), 4.55-4.51 (m, 1 H), 4.34-4.14 (m, 3 H), 4.12-4.25 (m, 2 H), 3.92-3.80 (m, 1 H), 3.76-3.68 (m, 3 H), 3.55-3.51 (m, 1 H), 3.38 (m, 1 H), 3.20-3.13 (m, 1 H), 2.68 (m, 1 H), 1.78 (m, 1 H), 1.20 (d, 3 J H,H = 6.9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0 (br s, 2 F); MS (MALDI): m/z = 420.6 ([M+H]+).
화합물 51: 4-(디플루오로메틸)-5-[4-[(3 R )-3-메틸모르폴린-4-일]-6-(6-옥사-3-아자바이시클로[3.1.1]헵탄-3-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5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1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51 은 개시 물질 i41i68 로부터 36%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99 (s, 1 H), 7.89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7 (s, 1 H), 4.69 (m, 3 H), 4.37 (m, 1 H), 3.91-3.85 (m, 3 H), 3.75-3.53 (m, 4 H), 3.42-3.35 (m, 1 H), 3.22-3.15 (m, 1 H), 3.12-3.08 (m, 1 H), 1.85 (m, 1 H), 1.24 (d, 3 J H,H = 6.9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6.0 (br s, 2 F); MS (MALDI): m/z = 420.6 ([M+H]+).
화합물 52: 4-(디플루오로메틸)-5-[4-[(3 R )-3-메틸모르폴린-4-일]-6-[(1 R ,4 R )-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52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2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52 는 개시 물질 i42i68 로부터 44% 수율로 무색 고체를 얻었다 (1:1 회전이성질체 혼합물). 1 H NMR (400 MHz, (CD3)2SO): δ 8.89 (m, 1 H), 7.77 (m, 1 H), 6.84 (br s, 2 H), 6.76 (s, 1 H), 5.02-4.97 (m, 1 H), 4.68-4.66 (m, 2 H), 4.31 (m, 1 H), 3.89-3.85 (m, 1 H), 3.79-3.57 (m, 3 H), 3.57-3.44 (m, 4 H), 3.22 (m, 1 H), 1.90-1.83 (m, 2 H), 1.21 (d, 3 J H,H = 6.9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5 (br s, 2 F); MS (MALDI): m/z = 420.2 ([M+H]+).
화합물 53: 4-(디플루오로메틸)-5-[4-[(3 R )-3-메틸모르폴린-4-일]-6-[(1 S ,4 S )-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53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3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53 은 개시 물질 i43i68 로부터 53% 수율로 무색 고체를 얻었다 (1:1 회전이성질체 혼합물). 1 H NMR (400 MHz, (CD3)2SO): δ 8.90 (m, 1 H), 7.77 (m, 1 H), 6.84 (br s, 2 H), 6.76 (s, 1 H), 5.02-4.96 (m, 1 H), 4.68-4.62 (m, 2 H), 3.90 (m, 1 H), 3.80 (m, 1 H), 3.70 (m, 2 H), 3.57 (m, 2 H), 3.45 (m, 3 H), 3.20 (m, 1 H), 1.90-1.83 (m, 2 H), 1.21 (d, 3 J H,H = 6.9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0 (br s, 2 F); MS (MALDI): m/z = 420.2 ([M+H]+).
화합물 54: 5-[4,6-비스[(3 R )-3-에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5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4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54 는 개시 물질 i8i68 로부터 61%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7 (s, 1 H), 7.77 (t, 2 J H,F = 55 Hz, 1 H), 6.83 (br s, 2 H), 6.76 (s, 1 H), 4.47 (m, 4 H), 3.89-3.81 (m, 4 H), 3.51-3.34 (m, 4 H), 3.12 (m, 2 H), 1.71 (m, 4 H), 0.86 (m, 6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0 (br s, 2 F); MS (MALDI): m/z = 450.3 ([M+H]+).
화합물 55: 5-[4,6-비스(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55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5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55 는 개시 물질 i9i68 로부터 59%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74 (s, 1 H), 7.65 (t, 2 J H,F = 55 Hz, 1 H), 6.81 (br s, 2 H), 6.75 (s, 1 H), 3.68 (m, 8 H), 3.49 (m, 4 H), 2.46-2.38 (m, 4 H), 2.25-2.16 (m, 4 H), 1.72-1.66 (m, 4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5 (br s, 2 F); MS (MALDI): m/z = 474.3 ([M+H]+).
화합물 56: 5-[4,6-비스[(3 R )-3-이소프로필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56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6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56 은 개시 물질 i10i68 로부터 59%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7 (s, 1 H), 7.76 (t, 2 J H,F = 55 Hz, 1 H), 6.82 (br s, 2 H), 6.76 (s, 1 H), 4.50 (m, 2 H), 4.29 (m, 2 H), 4.02-3.84 (m, 4 H), 3.40 (m, 4 H), 3.08 (m, 2 H), 2.34 (m, 2 H), 1.02 (m, 6 H), 0.77 (m, 6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0 (br s, 2 F); MS (MALDI): m/z = 478.4 ([M+H]+).
화합물 66: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 R ,5 S )-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66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7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66 은 개시 물질 i55i68 로부터 61%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7 (s, 1 H), 7.77 (t, 2 J H,F = 55 Hz, 1 H), 6.83 (br s, 2 H), 6.76 (s, 1 H), 4.46 (m, 2 H), 3.81-3.77 (m, 6 H), 3.55 (m, 2 H), 3.44 (m, 2 H), 1.49 (s, 6 H), 1.28 (d, 3 J H,H = 6.9 Hz, 6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0 (br s, 2 F); MS (MALDI): m/z = 450.4 ([M+H]+).
화합물 67: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 R )-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6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8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67 은 개시 물질 i56i68 로부터 3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4 (s, 1 H), 7.89 (t, 2 J H,F = 55 Hz, 1 H), 6.85 (br s, 2 H), 6.76 (s, 1 H), 4.60 (m, 1 H), 4.31 (m, 1 H), 3.92 (m, 2 H), 3.83 (m, 4 H), 3.65 (m, 1 H), 3.51-3.41 (m, 5 H), 3.28 (s, 3 H), 3.12 (m, 1 H), 1.49 (s, 3 H), 1.48 (s,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5 (br s, 2 F); MS (MALDI): m/z = 466.4 ([M+H]+).
화합물 68: [(3 R )-4-[4-[6-아미노-4-(디플루오로메틸)-3-피리딜]-6-(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모르폴린-3-일]메탄올 ( 6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199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68 은 개시 물질 i57i68 로부터 58%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3 (s, 1 H), 7.77 (m, 1 H), 6.84 (br s, 2 H), 6.76 (s, 1 H), 4.91 (m, 1 H), 4.35 (m, 2 H), 4.05 (m, 1 H), 3.97-3.70 (m, 6 H), 3.54-3.38 (m, 5 H), 3.12 (m, 1 H), 1.49 (s, 3 H), 1.48 (s,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115.5 (br s, 2 F); MS (MALDI): m/z = 452.2 ([M+H]+).
화합물 69: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69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0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69 는 개시 물질 i54i68 로부터 5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3 (s, 1 H), 7.69 (t, 2 J H,F = 55 Hz, 1 H), 6.85 (br s, 2 H), 6.76 (s, 1 H), 4.47-4.37 (m, 2 H), 4.01 (m, 4 H), 3.80-3.71 (m, 8 H), 3.45 (m, 2 H), 1.48 (s, 6 H); 19 F NMR (376 MHz, (CD3)2SO): δ-115.7 (br s, 2 F); MS (MALDI): m/z = 464.3 ([M+H]+).
화합물 70: 5-[4-(4-시클로프로필피페라진-1-일)-6-(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70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1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70 은 개시 물질 i58i68 로부터 12%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2 (s, 1 H), 7.72 (t, 2 J H,F = 55 Hz, 1 H), 6.83 (br s, 2 H), 6.76 (s, 1 H), 3.82 (m, 4 H), 3.71 (m, 4 H), 3.44 (m, 2 H), 2.58 (m, 4 H), 1.64 (m, 1 H), 1.44 (s, 6 H), 0.45 (m, 2 H), 0.36 (m, 2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4 (br s, 2 F); MS (MALDI): m/z = 460.4 ([M]+).
화합물 71: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4-(2-메톡시에틸)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71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2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71 은 개시 물질 i59i68 로부터 42%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2 (s, 1 H), 7.73 (t, 2 J H,F = 55 Hz, 1 H), 6.83 (br s, 2 H), 6.76 (s, 1 H), 3.88-3.69 (m, 10 H), 3.47-3.44 (m, 4 H), 3.24 (m, 3 H), 2.52-2.45 (m, 4 H), 1.44 (s, 6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4 (br s, 2 F); MS (MALDI): m/z = 478.4 ([M]+).
화합물 77: [(3 R )-4-[4-[6-아미노-4-(디플루오로메틸)-3-피리딜]-6-[(3 R )-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모르폴린-3-일]메탄올 ( 77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3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77 은 개시 물질 i53i68 로부터 31%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8 (s, 1 H), 7.78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6 (s, 1 H), 4.96 (m, 1 H), 4.73 (m, 1 H), 4.58-4.24 (m, 3 H), 4.05 (m, 1 H), 3.90 (m, 2 H), 3.72 (m, 2 H), 3.59 (m, 1 H), 3.51-3.36 (m, 4 H), 3.23-3.02 (m, 2 H), 1.23 (d, 3 J H,H = 6.9 Hz, 3 H);MS (MALDI): m/z = 438.3 ([M+H]+).
화합물 78: 4-(디플루오로메틸)-5-[4-[(3 R ,5 R )-3,5-디메틸모르폴린-4-일]-6-[(3 R )-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7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4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78 은 개시 물질 i85i68 로부터 71%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90 (s, 1 H), 7.82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6 (s, 1 H), 4.66 (m, 1 H), 4.32 (m, 3 H), 4.15 - 4.11 (m, 2 H), 3.92 (m, 1 H), 3.70 (m, 3 H), 3.57 (m, 1 H), 3.40 (m, 1 H), 3.18 (m, 1 H), 1.37 (m, 6 H), 1.24 (d, 3 J H,H = 6.9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4.9 (br s, 2 F); MS (MALDI): m/z = 435.4 ([M]+).
화합물 79: 4-(디플루오로메틸)-5-[4-[(3 S ,5 S )-3,5-디메틸모르폴린-4-일]-6-[(3 R )-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79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5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79 는 개시 물질 i86i68 로부터 65%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91 (s, 1 H), 7.82 (t, 2 J H,F = 55 Hz, 1 H), 6.85 (br s, 2 H), 6.76 (s, 1 H), 4.66 (m, 1 H), 4.32 (m, 3 H), 4.15 - 4.11 (m, 2 H), 3.92 (m, 1 H), 3.70 (m, 3 H), 3.57 (m, 1 H), 3.40 (m, 1 H), 3.19 (m, 1 H), 1.37 (m, 6 H), 1.24 (d, 3 J H,H = 6.9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4.9 (br s, 2 F); MS (MALDI): m/z = 434.3 ([M]+).
화합물 80: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80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6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80 은 개시 물질 i87i68 로부터 5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5 (s, 1 H), 7.73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5 (s, 1 H), 4.61 - 4.57 (m, 2 H), 3.95 (m, 2 H), 3.75 - 3.65 (m, 10 H), 2.48 (m, 1 H), 1.88 - 1.72 (m, 4 H), 1.57 (m, 1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4 (m, 2 F); MS (MALDI): m/z = 434.3 ([M+H]+).
화합물 82: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82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7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82 는 개시 물질 i89i68 로부터 51%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4 (s, 1 H), 7.70 (t, 2 J H,F = 55 Hz, 1 H), 6.85 (br s, 2 H), 6.75 (s, 1 H), 4.62 (m, 1 H), 4.54 (m, 1 H), 4.52 (m, 1 H), 4.44 (m, 1H), 4.04 - 3.92 (m, 6 H), 3.75 - 3.62 (m, 6 H), 2.45 (m, 1 H), 1.89 - 1.75 (m, 4 H), 1.57 (m, 1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7 (m, 2 F); MS (MALDI): m/z = 476.2 ([M+H]+).
화합물 83: 5-[4,6-비스[(3 S ,5 S )-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 83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8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83은 개시 물질 i90i68 로부터 56%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92 (s, 1 H), 7.87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7 (s, 1 H), 4.32 (m, 4 H), 4.14 (m, 4 H), 3.70 (m, 4 H), 1.39 (d, 3 J H,H = 6.9 Hz, 12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5 (br s, 2 F); MS (MALDI): m/z = 448.3 ([M]+).
화합물 84: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84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09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84 는 개시 물질 i91i68 로부터 63%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6 (s, 1 H), 7.71 (t, 2 J H,F = 55 Hz, 1 H), 6.87 (br s, 2 H), 6.75 (s, 1 H), 4.49 (m, 2 H), 4.02 (m, 4 H), 3.74 - 3.65 (m, 12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6 (br s, 2 F); MS (MALDI): m/z = 436.4 ([M+H]+).
화합물 85: 4-(디플루오로메틸)-5-[4-[(3 S )-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85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0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85 는 개시 물질 i92i68 로부터 52%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8 (s, 1 H), 7.77 (t, 2 J H,F = 55 Hz, 1 H), 6.85 (br s, 2 H), 6.76 (s, 1 H), 4.70 - 4.25 (m, 4 H), 3.90 (m, 3 H), 3.72 (m, 1 H), 3.60 - 3.45 (m, 4 H), 3.16 (m, 2 H), 1.73 (m, 2 H), 1.22 (d, 3 J H,H = 6.9 Hz, 3 H), 0.86 (m,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4.9 (br s, 2 F); MS (MALDI): m/z = 436.9 ([M+H]+).
화합물 86: 4-(디플루오로메틸)-5-[4-[(3 R )-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 86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1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86 은 개시 물질 i93i68 로부터 47%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8 (s, 1 H), 7.77 (t, 2 J H,F = 55 Hz, 1 H), 6.85 (br s, 2 H), 6.76 (s, 1 H), 4.65 (m, 1 H), 4.49 - 4.30 (m, 3 H), 3.93 - 3.82 (m, 3 H), 3.72 (m, 1 H), 3.57 (m, 1 H), 3.50 (m, 1 H), 3.43 - 3.37 (m, 2 H), 3.19 - 3.14 (m, 2 H), 1.73 (m, 2 H), 1.22 (d, 3 J H,H = 6.9 Hz, 3 H), 0.86 (m,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5.3 (br s, 2 F); MS (MALDI): m/z = 436.9 ([M+H]+).
화합물 88: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88 )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2
일반적인 절차 1에 따라, 화합물 88 은 개시 물질 i94i68 로부터 50% 수율로 무색 고체로서 얻었다. 1 H NMR (400 MHz, (CD3)2SO): δ 8.82 (s, 1 H), 7.71 (t, 2 J H,F = 55 Hz, 1 H), 6.84 (br s, 2 H), 6.75 (s, 1 H), 4.55 (m, 1 H), 4.23 (m, 1 H), 3.91 (m, 1 H), 3.78 (m, 2 H), 3.69 (m, 3 H), 3.56 (m, 1 H), 3.50 (m, 2 H), 3.41 (m, 1 H), 3.16 (m, 1 H), 2.50 (m, 2 H), 2.26 (m, 2 H), 1.73 (m, 2 H), 1.21 (d, 3 J H,H = 6.9 Hz, 3 H); 19 F NMR (376 MHz, (CD3)2SO): δ- 114.9 (br s, 2 F); MS (MALDI): m/z = 446.8 ([M+H]+).
실시예 2
시험관내 mTOR 결합 분석 및 인-셀 (in-cell) 웨스턴 블롯
시험관내 mTOR 결합 분석
N-말단 GST-태그된mTOR (Cat. No. PR8683B; 0.45 mg/ml; 절단 버전: 아미노산 1360-2549), Alexa Fluor ® 647 표지 키나제 추적자 314 (Cat. No. PV6087), LanthaScreen Eu-항-GST 태그 항체 (Cat. No. PV5594)를 Life Technologies에서 구입하였다. 1x mTOR 키나제 완충액은 50mM HEPES pH 7.5, 5 mM MgCl2, 1 mM EGTA, 및 0.01% Pluronic F-127 (Sigma Cat. No. P2443-250G)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화합물을 10 포인트 4 배 연속 희석하여 (최고 농도 10 umol/L 및 최저 농도 40 pmol/L), 384 웰 플레이트에서 이차에 걸쳐 mTOR에 대한 결합을 시험하였다. LanthaScreen 키나제 결합 검정을 위하여 3x 농축 최종 농도의 시험 화합물5 ul, 9 nM GST-mTOR/6 nM Eu-항-GST 항체 혼합물 5 ul 및 30 nM 추적자 314 용액 5 ul를 혼합하여 최종 농도는 웰 당 3 nM GST-mTOR, 2 nM Eu-항-GST 항체 및 10 nM Tracer 314이 되었다. RT에서 30 분간 배양 후, 다음의 설정을 사용하여 시너지 4 멀티 모드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 (Biotek Instruments 로 시간-분해 FRET를 측정하였다: 데이터 수집 전 100 us (microsecs) 지연, 200 us 동안 데이터 수집, 데이터 포인트 당 10회 측정. 방출 필터: 감도 190 설정된 665 nm/8 nm 및 감도 130 설정된 620nm/10nm; 형광 필터: 340㎚/30nm; 다이크로익 미러 400nm.
데이터 분석을 위해, 평균 배경 (mTOR의 키나제 완충액만이 있는 웰)을 감산하고, 방출 비율은 수용체 (Alexa Fluor® 647 표지 추적자 314)로부터 620 nm에서 방출 된 신호를 도너 (Eu-표지된 항체)로부터 620 nm에서 방출된 신호로 나누어 계산하다. 각각의 화합물의 IC50 값은 GraphPadTM Prism을 사용하여 방출 비율 대 화합물 농도 (로그 스케일)로 도시한 후 데이터에 가변 기울기가 있는 S 자형 투여량-반응 곡선 피팅에 의해 결정하였다.
인-셀 웨스턴 블롯
A2058 세포 (Perkin Elmer, Cat. No. 6005558)를 96 웰 플레이트에 20,000세포/웰로 플레이팅하고, 24 시간 후에 1 시간 동안 다양한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각각의 화합물마다 7종의 다른 농도로 (5 μM, 1.25 μM, 0.625 μM, 0.3125 μM, 0.155 μM, 0.08 μM 및 0.04 μM) 세포에 인가된다.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로 30분 동안 실온에서 고정하고, PBS 중 1% BSA로 2회 세정하고, PBS/1% BSA 중0.1% 트리톤 X-100으로 30분 동안 실온에서 투과하고 PBS/1% BSA/0.1% 트리톤 X-100 중 5% 염소 혈청으로 30분 동안 실온에서 차단했다. 세포를, 마우스 항-α-튜불린 (1:2000; 정규화를 위해 사용됨; Sigma, Cat. No. T9026)과 조합된 토끼 항-pPKB S473 (1:500; 세포 Signalling Technology, Cat. No. 4058) 또는 마우스 항-α-튜불린 (1:2000; 정규화를 위해 사용됨)과 조합된 토끼 항-pS6 S235/S236 (1:500; 세포 Signalling Technology, Cat. No.4856)로 1차 항체와 함께 밤새 4 ℃에서 염색했다. PBS/1% BSA/0.1% 트리톤으로 5 분 동안 3회 세정한 후, 세포를, 어둠 속에서 진탕하면서 2차 항체 염소-항-마우스 IRDye680 (LICOR, Cat. No. 926-68070) 및 염소-항-토끼 IRDye800 (LICOR, 926-32211) (각각은 PBS/1% BSA/0.1% 트리톤에서 1:500로 희석됨) 로 1시간 동안 처리했다. 세포를 PBS/1% BSA/0.1% 트리톤으로 5 분 동안 3회 세정하고, 플레이트를 700 및 800 nm 채널을 사용하는 Odyssey 적외선 스캐닝 시스템으로 스캐닝 하였다. 0% 저해 대조군으로서 비히클 (0.2% DMSO)을 세포에 부가했다. 데이터 분석 웰들에서 배경 염색을 교정하기 위해 2차 항체만으로 처리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채널 700nm 및 800nm로부터의 평균 배경 신호를 채널 700 nm 및 800 nm 각각에서 감산하였다. 각 채널의 신호는 0% 억제로 정규화되었고, 그 다음 700nm에 대한 800nm의 신호 비율로 α-튜불린으로 정규화된 pPKB S473 또는 pS6 S235/S236에 대한 값을 얻었다.
각 화합물의 IC50 값을, 정규화된 pPBK S473 및 pS6 S235/S236 신호 각각 대 화합물 농도 (로그 스케일)을 플롯팅하고 그 다음 GraphPadTMPrism을 사용하여 데이터에 가변 기울기를 갖는 S자형 투여량- 반응 곡선을 피팅하여 결정하였다.
표 1: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3
표 2: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4
표 3: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5
표 4: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6
표 5: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7
표 6: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8
표 7: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19
표 8: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20
표 9: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21
표 10: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22
표11: 생물학적 활성 비교
Figure 112018124033118-pct00223
표 12: 인-셀 웨스턴 블롯 및 mTOR 결합 결과
Figure 112018124033118-pct00224
Figure 112018124033118-pct00225
실시예 3
마우스에서 화합물 (3) 및 화합물 (8)의 내약성
BALB/C 누드 마우스에서 Cpd. 3 및 Cpd. 8의 최대 허용 투여량 (MTD).
추가 실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투여량을 찾고 본 발명 화합물의 내성을 보여주기 위해, 암컷 BALB/C 누드 마우스를 5일간 이들 사이 이틀 투여를 중지하면서 경구 (p.o.) 위관 투여에 의해 2회 Cpd. 3 및 Cpd. 8로 처리하였다.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비히클로 투여하였다: 20 % 히드록시프로필- β-시클로덱스트린 (HPBCD), 10 % DMSO, 및 70 % 물. 주요 종말점에서 체중 감량 및 동물 생존을 평가하였다. 체중은 투여일 동안 매일 그리고 이후 적어도 일주일에 두 번 기록하였다. 동물 생존 여부는 매일 확인되었다. 최종 투여 후 7 일 동안 평가되었다. 허용 투여량은 20 % 미만의 평균 체중 손실을 초래하는 용량 및 연구 기간 동안 사망 관련없는 치료로 정의하였다. 무작위 블록 설계로서 실험 동물을 그룹으로 지정하였다. 우선, 실험 동물은 초기 체중에 따라 균일한 블록으로 분할하였다. 둘째, 각 블록 내에서, 무작위로 실험 동물을 치료에 수행 하였다.
동물 공급자: Shanghai Lingchang Bio-Technology Co. Ltd (LC, Shanghai, China). Animal Certificate No.: 2013001803305. 마우스는 각 케이지마다 5마리씩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개별 통풍 케이지 (IVC) 시스템에 보관되었다.
급이: 마우스 먹이, C060 조사 살균 건조 과립 사료. 동물은 연구 기간 동안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었다. 물: RO 물, 사용하기 전에 멸균. 동물들은 무균 식수를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었다.
OVCAR-3 및 SUDHL/6 종양이 있는 BALB/C 누드 마우스를 각각 동일한 조건에서 21 또는 15일간 100 mg/kg으로 PO에 의해 Cpd. 3.로 치료하였다. 마우스 체중은 안정적이었다.
BALB/c 마우스에서 다음 MTD를 측정하였다: Cpd. 3: 100 ㎎/㎏, Cpd. 8: 25 mg/ kg. 결론적으로, Cpd. 3 및 Cpd. 8 모두는 치료적으로 유효한 투여량에서 허용된다 (실시예 4 참조).
실시예 4
Cpd. 3 및 Cpd. 8의 약동학 (PK)
체내에서 화합물의 분포를 결정하기 위하여, 랫트 및 마우스에서 화합물의 PK를 측정하였다. 신경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혈액 뇌 장벽을 통과하여 뇌에서 효과적인 농도에 도달할 수 있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A. 스프라그 돌리 (SD) 랫트에서의 PK
단일 경구 투여로 DMSO/HPBCD 20 % (10/90)로 이루어진 비히클에서 10 mg/kg의 Cpd. 3이 암컷 SD 랫트에게 제공되었다. 동물은 통제된 환경 및 깔개, 사료와 물, 환경적 및 사회적 풍부화 (집단 수용)의 멸균되고 적절한 공간에 수용되었다. 각자의 체중에 따라 랫트는 무작위로 치료되고, 혈액, 뇌 및 간을 채취하고 다음과 같은 시점에 결빙 동결하였다: 0.5, 2, 4, 8 시간. 혈액 (마취하여 심장 천자를 통해 수집, 대략 500-700 μL)은 항응고제로서 리튬 헤파린을 함유하는 튜브로 바로 옮겼다 (Ref: T MLH, Venoject®, Terumo). 튜브를 +4°C에서 10 분간 1,300g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얻어진 혈장을 회수하고, 액체 질소에 결빙 동결하고 분석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화합물 농도는 HPLC-MS / MS로 검출하였다. 교정 곡선은 알려진 농도의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도시된다.
결과는 도 1A에 도시된다. Cpd 3은 양호한 경구 생체 이용률 및 뇌에 우수한 침투를 보인다. 혈장에서 1.4 ng/㎖ 및 뇌에서 1.3 ng/ml의 Cmax는 목표 결합에 대한 충분히 높은 노출을 나타낸다 (표 1).
B. B57BL/6J 마우스에서의 PK
위관을 통한해 Cpd. 3 및 Cpd. 8의 단일 경구 투여로 50 mg/kg이 B57BL/ 6J 마우스에 투여되었다. 동물은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접근할 수 있는 온도 조절 실에 수용되었다. 시험 대상들을 유리병에 칭량하고, DMSO에 먼저 용해시켰다. 이후에 트윈 80을 첨가하고, 마지막으로 HPβCD 20%로 제제가 완료되었다. 제제는 t=0 및 8개 시점 각각에서 위관을 통해 투여하고, , 각 처리 군의 3마리의 마우스를 이소플루란으로 마취시키고 안구후 정맥얼기의 천자를 통해 채혈하였다. 혈액을 K3-EDTA 함유 튜브에 수집하고, 3000xg (10분, 4℃)에서 원심 분리될 때까지 얼음에 보관하였다. 혈장 상등액을 분리하고, 분석될 때까지 -20℃에서 보관 하였다. 마우스의 대퇴부 근육과 뇌를 결빙 동결하였다. 뇌와 근육 샘플은 Precellys 24 / Dual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PBS에서 균질화되었다.
샘플을 LC-MS로 분석하였다. 교정 표준물질은 교정 용액으로 20ul의 무-약물 바탕 혈장을 소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내부 표준물질 (2015PQR002 샘플에 대하여는 150 ng/ml 디아제팜, 및 2015PQR004 샘플에 대하여는 300ng/㎖ 그리세오풀빈) 함유 아세토니트릴 40ul를 뇌나 근육 균질 현탁액, 뇌/근육 교정 표준물질 및 뇌/근육 QC 샘플 20ul에 첨가하였다. 샘플을 격렬하게 진탕하고 10분 동안 6,000g, 20°C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입자없는 상등액을 물 1 부피로 희석하였다. 분취액을 200 ul샘플러 바이알에 옮기고 1.5 ul 주입량으로 LC-MS를 실시하였다.
Cpd. 3 및 Cpd. 8 모두는 마우스에서 양호한 경구 생체 이용률을 가진다 (도 1B). 혈장 및 뇌 사이의 분포는 혈액 뇌 장벽을 통한 침투를 나타낸다. 마우스에서 화합물의 반감기는 약 4.7-4.8 시간으로 추정되었다. 약리학적 파라미터는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랫트 또는 마우스에 단일 경구 투여 후 Cpd. 3 및 Cpd. 8의 PK 파라미터
Figure 112018124033118-pct00226
실시예 5
뇌와 근육에서 Cpd. 3 및 Cpd. 8의 목표 결합
뇌 및 대퇴부 근육을 PK 분석 (실시예 4)에 사용되는 B57BL/6J 마우스로부터 채취하였다. 조직은 액체 질소에 결빙 냉동하고 -80°C에 보관하였다. 조직을 해동하고 RIPA 완충액 1 ㎖ /반뇌에 용해시켰다. 완전 프로테아제 억제제 및 PhosStop 포스파타제 억제제 (Roche)를 용해 전에 버퍼를 첨가하였다. 조직은 수동으로 균질화하고 16,000 rpm으로 20분 동안 4°C에서 이차에 걸쳐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액은 -80°C에서 10 % 글리세롤로 동결했다. 단백질 농도를 브래드포드 (Bradford) 시약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AKT 및 S6rP 인산화의 웨스턴 블롯 분석을 위해 단백질 30 μg을 95°C에서 β 머캅토에탄올로 변성하고, 100 V로 SDS 페이지 겔 상에서 분리하였다. 이어서 단백질을 80 V에서 니트로 셀룰로오스 막 (Bio-Rad, USA)으로 옮겼다. 비-특이적 결합은 5 % 소 혈청 알부민 (BSA) (Sigma-Aldrich, USA)로 차단하였다. 막은 4°C에서 TBST, 5 % BSA 에서 녹인 1차 항체 및 RT에서 1 시간 동안 겨자무과산화효소 ((GE Healthcare, UK)에 결합되는 2차 항체와 밤새 배양하고, 세정하였다. Luminol (Biozym, Hamburg, Germany. On a Li-Cor Odyssey FC 판독기를 이용하여 단백질 밴드 이미징을 수행하였다. 동일한 이미징 시스템으로 S6 인산화의 정량화를 측정하였다.
다음 항체를 사용하였다:
AKT, P-AKT (S473), S6rP, P-S6rP (S235/236): 세포 신호전달 (UK)
β-액틴: Sigma Aldrich, USA
Cpd. 3 및 Cpd. 8의 목표 결합은 마우스에 단일 경구 투여 (도 2) 후 뇌와 대퇴부 근육에 보여질 수 있다. S6계 및 AKT의 상당한 인산화 감소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합물은 혈액 뇌 장벽을 횡단하고 mTOR의 신호 전달 연쇄반응을 억제한다. 신호전달은 투여 30분 후 변하고, 적어도 8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실시예 6
간질 마우스에서 mTOR 경로의 활성화
본 연구에 사용되는 간질 모델에서 mTOR 신호전달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서 작용제인 필로카르핀의 투여에 의해 만성 간질을 유도했다. 랫트나 마우스에 필로카르핀의 전신 주사는 전신발작뇌전증지속증 (SE)에 이르고, 이어 몇 내에서 자발적 간질 발작으로 진행된다. 필로카르핀으로 SE 유도 6주 후 거의 100 %의 마우스가 만성 간질로 진행되었다.
필로카르핀을 개별적 마우스의 감수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램핑 업 투여 프로토콜을 적용하였다. 필로카르핀 (Sigma-Aldrich, Germany))을 복강 내로 100 ㎎/㎏ 용량으로 암컷 NMRI 마우스에게 투여하였다 (Pilo-SE 그룹). 마우스가 SE를 보이지 않는 경우 SE가 진행될 때까지, 100 ㎎/㎏의 필로카르핀을 매 20 분 동안 추가로 주사하였다. 마우스가 전신 발작 행위를 보이는 즉시, 필로카르핀 주사를 중지했다. 필로카르핀의 주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메틸스코폴라민 (Sigma-Aldrich, Germany)을 필로카르핀의 첫 주사 30 분 전에 투여하였다. 동물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경련성 SE의 지속 시간을 등록하였다 [라신 스케일이라 칭함]. SE 발병은 1 또는 2회의 전신강직간대발작 [라신 스케일 4-5 단계]의 발생 다음 연속 진행 발작으로 정의하였다. SE는 때때로 추가적인 전신강직간대발작에 의해 중단되는, 직립 (앉은) 자세에서 머리 끄덕임, 빳빳한 꼬리, 그리고 경도 내지 중증도 앞발 경련이 특징이다.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SE 발병 후 90 분, 디아제팜 (10 mg/kg i.p.; 디아제팜-라티오팜 10, 주사액)으로 SE는 종결시켰다. 다음 2-5일 마우스는 매일 2회 0.9 % 염화나트륨 용액을 주입하고, SE 후 며칠 동안 스스로 먹고 마시지 않기 때문에 아기 죽이 마우스에게 공급되었다. 모의-SE 그룹에서 마우스는 pilo-SE 그룹과 동일 처리 방식으로 처리되었지만 필로카르핀이 0.9 % 염화나트륨 용액으로 대체되었다. pilo-SE 모델에서 마우스 치사율이 비교적 높고 (전체 약 50 %) 실험 그룹/일 간에 크게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MEST를 위하여 20-22마리의 동물 그룹을 얻기 위해 SE 유도를 위하여 상당한 수의 마우스로부터 시작하였다.
A. 뇌 샘플에서 mTOR 신호 전달
필로카르핀 처리된 마우스와 처리되지 않은 마우스의 뇌 샘플을 결빙 동결하고 조직을 25 mM Tris-HCl, pH 8, 50 mM NaCl, 0.5% (w/v) 소듐 디옥시콜레이트 (DOC), 및 0.5% (w/v) 트리톤 X-100을 함유하고 완전 프로테아제 억제제 (Roche, Mannheim, Germany) 및 Phosphostop (NEB, USA)으로 보충되는 완충액에 용해하였다. 얼음에 작은 게이지 바늘 (21G)이 있는 주사기로 세포 현탁액을 20 회 빨아들여 세포 용 해물 분열을 수행하였다. 용해물에서 단백질 농도를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Pierce BCA 단백질 Assay kit (Thermo Scientific, Bon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동량의 총 단백질을 4-20 % SDS-PAGE 젤에서 분리하고, 4°C에서 트윈 20 (PBST: 137 mM NaCl, 2.7 mM KCl, 4.3 mM Na2HPO4, 1.4 mM KH2PO4, pH 7.3, 0.05% (w/v) Tween-20)으로 보충된 인산염 완충 식염수 중 5 % 밀크에서 밤새 차단된 PVDF 막에 옮겼다. 막을 1차 항체 anti S6 1:1000, anti S6 Phospho Serin (240/244) 1:1000, anti S6 Phospho Serin (235/236) 1:2000 (NEB) 및 anti-Actin 1:100 (Sigma-Aldrich)와 함께 1 h 동안 PBST 중 2% 밀크에서 실온 (RT) 배양하고 10 분 동안 PBST에서 3회 세척하였다. 2차 항체 anti-rabbit-HRP 1:1000 (Dako, Hamburg, Germany)를 1 h 동안 PBST 중 2% 밀크에서 RT 배양하고 10 분 동안 PBST에서 3회 세척하였다. 단백질은 SuperSignal West Femto Chemiluminescent Substrate (Thermo Scientific) 및 ChemiDoc 시스템 (Bio-Rad, Munich, Germany)을 QuantityOne 소프트웨어 (Bio-Rad)와 함께 제조업자 프로토콜에 따라 사용하여 증대된 화학발광에 의해 검출하였다.
상대 단백질 발현은 QuantityOne (Bio-Rad) 소프트웨어로 단백분화적으로 정량화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 (GraphPad, San Diego, CA, USA)로 액틴 기준 신호로 정규화하여 계산하였다.
간질-유발 마우스는 뇌 샘플에서 총 S-단백질뿐만 아니라, P-S6rP (SER 240/244)의 상당한 상승 수준을 보였다 (도 3). S6rP 인산화는 mTOR 활성화의 하류 사건이므로, mTOR의 신호 전달은 간질 발작을 유도하기 위하여 필로카르핀으로 사전-처리된 마우스에서 과도 활성화되었다. 결론적으로, 데이터는 mTOR의 과대활성화는 필로카르핀 모델의 간질발생기와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B. Cpd. 3, Cpd. 8 및 에베로리무스 투여 후 뇌 샘플에서 mTOR 신호전달
필로카르핀 사전-처리 및 무처리 마우스에 대하여 Cpd. 3 (40 mg/kg), Cpd. 8 (25 mg/kg), 에베로리무스 (5 mg/kg) 또는 비히클을 단일 경구 투여량으로 처리하였다. 그룹 당 5 마리가 이용되고 3 시간 후에 희생되었다. 뇌 용해물을 만들어 실시예 6 A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웨스턴 블롯에 의해 분석하였다.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QuantityOne 소프트웨어 (Bio-Rad)로 S6 인산화 (S235/236)를 정량하였다.
무처리 마우스 및 간질 마우스 모두에서, Cpd. 3 (각각, 4.6 배; 4.3 배) Cpd. 8 (각각, 10.9 배; 2.8 배) (도 3B)로 S6 인산화 (S235/236)는 대조군 대비 크게 감소되었다. 에베로리무스 처리 마우스에서 mTOR 신호전달에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이는 Cpd. 3 및 Cpd. 8 모두는 유효한 용량에서 뇌를 침투하고 간질 및 무처리 마우스의 뇌 조직에서 신호전달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에베로리무스에 의해서는 mTOR 신호전달이 억제되지 않으므로 적용된 조건에서 에베로리무스는 뇌에서 유효 농도에 도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실시예 7
Cpd. 3 및 Cpd. 8은 최대 전기 충격 발작 임계 테스트 (MEST)에서 발작을 억제한다.
Cpd. 3 및 Cpd. 8의 항 간질 효과는 최대 전기 충격 발작 임계 테스트 (MEST), 마우스 간질 모델을 사용하여 테스트되었다. 전에 이미 라파마이신이 본 모델에서 발작 임계치를 증가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Macias, M., 등, PLoS One, 2013. 8(5): p. e64455.).
Charles River (Sulzfeld, Germany)에서 입수한 총 166마리의 성숙 암컷 NMRI 마우스를 이용하였고 체중 범위는 21-25 g (마우스)였다. 다음 조건으로 수용하였다: 하우징: 통제 조건 (온도: 22 ± 1°C; 습도: 50% 60%), 12-h 명-암 사이클 (6:00 a.m. 점증)에서 최대 8마리 마우스를 그룹으로 수용한다. 급이: 표준 실험실 사료 (Altromin 1324 표준 먹이, Altromin Spezialfutter GmbH, Lage, Germany)가 자유로이 제공. 음용수: 수돗물이 자유로이 제공.
필로카르핀의 투여에 의한 동물의 절반을 간질 유도하였다 (실시예 4 참조). MEST는 개별적 동물에 대한 임계가 아닌 ~ 20 동물 그룹의 집단 발작 임계치를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MEST는 계단 절차에 의해 결정되었다. 0.2 초 동안 사인파 펄스 (50/초)로 (동물의 임피던스에 관계없이 1-200 mA에서 조정되는) 정전류를 공급하는 자극기 (BMT MEDIZINTECHNIK, 베를린, 독일)를 사용하였다.
전류 인가는 (구리 전극을 사용하여) 양측 각막통과 자극을 통해 수행되었다. 각막통과 자극하기 전에, 국소 마취를 위하여 테트라케인 용액 (2 %) 한 방울을 마우스의 눈에 투여하였다. 2 분 후, 손으로 구리 전극을 양 각막에 눌러 마우스를 구속시키면서 자극기와 연결된 풋 페달 스위치를 눌러 자극을 인가하였다. 전극은 부드러운 가죽으로 덮고 각각의 전류 인가 전에 식염수로 적셔졌다. 자극 후 바로, 마우스는 구속에서 석방되고 발작이 관찰된다. 자극 강도는 선행 마우스가 긴장성 뒷다리 확장을 보이는지 보이지 않는지에 따라 전류를 0.06 mA 로그 간격에 의해 저하 또는 상승시키는 상하 방식으로 변화시켰다. 첫 번째 자극은 대조 임계값에 가까운 전류로 시작되었다.
약물 용액을 모든 실험 전에 새로 준비하였다:
페노바르비탈 (나트륨염): 10 ml 증류수 중 15mg
레비티라세탐: 10 ml 증류수 중 50mg
라파마이신: 10 ml 비히클 (4 % 에탄올 (100 %), 다음 5 % PEG 400 및 5 % 트윈 80) 중 5mg
에베로리무스: 10 ml비히클 (8 % 에탄올, 10 % PEG400, 및 10 % 트윈 80) 중 5/10㎎
Cpd. 3 (HC1): 10 ml (현탁액: 5 % PEG 400 및 2 % 트윈 80, HPBCD (10 %)) 중 40/100mg
Cpd. 8 (HC1): 10 ml (5 % PEG 400 및 2 % 트윈 80, HPBCD (10 %)) 중12.5/25mg
20-22 비-간질 대조군 (모의-SE) 및 20-25 간질 마우스 (pilo-SE)의 그룹으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는 (95% 확률에 대한 신뢰 한계로 그룹당 마우스의 50 %에서 긴장성 뒷다리 발작을 유도하는 경련 전류) CC50을 계산하는데 사용되었다. 통계 분석은 스튜던트 t-test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모두 양쪽 검정이 적용되었다; P <0.05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은 20-25 마우스의 그룹에 수행하였다. (비히클 주입 없는) 평균 CC50 대조 값은 비-간질 마우스에서는15.8 ± 0.36 mA (3종의 상이한 마우스 그룹에서 5회 임계치 결정의 평균 ± SEM)이고 간질 마우스에서는 15.6 ± 0.45 mA이다 (3종의 상이한 마우스 그룹에서 5회 임계치 결정의 평균 ± SEM). 페노바르비탈이 본 연구에서 시험된 화합물에서 가장 뚜렷한 항경련 효과를 주었다. CC50은 비-간질에서는 25.7 mA이고 간질 마우스에서는 26.56 mA이고 각각 69 % 및 66 % 증가된 임계값이다. 비-간질 및 간질 마우스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도 4). 간질 마우스 효과가 없었다 동안 레비티라세탐 (50㎎/㎏)은 비-간질 마우스에서 21 %로 유의한 CC50 증가를 보이지만 간질 마우스에서는 효과가 없었다 (표 2, 도 4).
5 mg/kg 라파마이신은 Hartman 등 [25]에 의해 이전에 보인 바와 같이, 비-간질에서 유의하게 13 % MEST의 발작 임계치를 증가시키지만, 간질 마우스에서는 5 %만 증가하였다 (도 4). 복강 주사 후 라파마이신은, 비-간질 마우스에서20 % 임계값을 증가하지만 간질 마우스에서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도 4). 10㎎/㎏ 및 5 ㎎/kg 에베로리무스는 비-간질 마우스에서 각각 10 % 및 13 % CC50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간질 마우스에서 낮은 용량만이 CC50를 16 % 증가시키고 10 mg/kg은 유효하지 않았다 (표 3 및 도 4).
40 ㎎/㎏ Cpd. 3이 임계값을 결정하기 1 시간 전에 적용될 때, CC50은 간질 및 비-간질 마우스에서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사전 처리 시간을 3시간으로 연장한 바, CC50은 비-간질 마우스에서만 유의하게 6 % 증가되지만 간질 마우스의 CC50는 더 이상 감소되지 않고 대조 수준을 유지하였다. 높은 투여량 (100 ㎎/㎏)을 적용하면 간질 마우스에서 9 % CC50의 유의한 증가가 있지만 비-간질 마우스에서는 그렇지 않다 (표 2 및 도 4).
전반적으로, Cpd. 3은 본 연구에서 시험된 매개 변수로는 약간의 그러나 일관성이 없는 항경련 효과를 보였다. 사전처리 시간의 연장이 유리한 효과를 보인다. 현탁액의 사용이 한계 효과 및 데이터의 명백한 불일치를 설명할 수 있다.
Cpd. 8은 비-간질 마우스에서 현저한 용량 의존적 항경련 효과를 보였다. CC50는 30 % (25 ㎎/㎏) 및 8 % (12.5 mg/kg)을 증가되었다. 이는 레비티라세탐의 항경련 효과와 비교할 수 있다. 1 시간으로 사전처리 시간을 감소하면 항경련 효과는 감소되었다. 사전처리 시간이 24 시간으로 증가되었을 때 항경련 효과는 사라진다 (표 3 및 도 4). 간질 마우스에서 Cpd. 8은 어떤 용량 또는 사전처리 시간으로도 항경련 효과를 발휘하지 않았다. 사전처리 시간이 1 시간으로 감소되면, Cpd. 8은 Cpd. 3과 유사하게 CC50을 9 % 감소시킨다 (표 3 및 도 4A-D).
부작용의 결정에 대한 특별한 시험을 수행하지 않았다. 주사 후 약 30분 마우스는 자신의 홈 케이지에서 명백한 진정 또는 웰빙 감소가 관찰되었다. 전기 자극 전 5 분 및 국소 마취로 치료 절차를 처리하는 동안 자극하기 전 2분에 자신의 홈 케이지 다시 관찰되었다. 정상적인 동작에서 벗어나는 모든 명백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페노바르비탈 만이 60분 이상 지속되는 진정 작용을 유도하였다. (비히클 용액을 포함한) 다른 모든 시험 약물은 명백한 부작용 없이 허용되었다.
표 2
Cpd 3 대 에베로리무스/레비티라세탐의 발작 임계값. 모든 임계값에 대하여 전류 (CC50)는 각각의 그룹의 마우스의 50 %에서 완전한 뒷다리 긴장의 발작을 유도하는 데 필요한 것이고 표준 편차가 표시된다.
또한, 각각의 테스트에서, 비히클의 임계값과 관련된 약물 시험의 임계값 변화 백분율 및 비-간질 및 간질 마우스의 임계값 차이 백분율이 제시된다. *: p <0.05; ANOVA+사후 던네트 검정은 항상 비히클 그룹 (노란색)과 비교된다. 비-간질 및 간질 마우스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표시되지 않는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227
표 3
Cpd 8 대 에베로리무스의 발작 임계값. 모든 임계값에 대하여 전류 (CC50)는 각각의 그룹의 마우스의 50 %에서 완전한 뒷다리 긴장의 발작을 유도하는 데 필요한 것이고 표준 편차가 표시된다.
또한, 각각의 테스트에서, 비히클의 임계값과 관련된 약물 시험의 임계값 변화 백분율 및 비-간질 및 간질 마우스의 임계값 차이 백분율이 제시된다. *: p <0.05; ANOVA+사후 던네트 검정은 항상 비히클 그룹 (노란색)과 비교된다. 비-간질 및 간질 마우스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표시되지 않는다.
Figure 112018124033118-pct00228
실시예 8
mTOR 억제제로 처리된 STHdh 세포의 생존 및 단백질 합성
STHdh 세포는 CAG-111 반복틀을 가지는 전장 HTT를 발현하는 녹-인 (knock-in) 마우스 모델에서 유래되는 불명화 선조체 세포이다 (STHdhQ111/Q111). 대조 STHdhQ7/Q7 세포는 야생형 마우스 배아에서 발생되었다. 세포는 도파민 함유 혼합체를 가지는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A. LDH 분석
LDH는 세포막 손상, 예를들면 세포자연사 동안 분비되는 세포질 효소이다. 시험 화합물의 독성은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Roche, Switzerland에서 입수한 젖산탈수소효소 (LDH)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STHdhQ111/Q111 및STHdhQ7/Q7 (Coriell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USA)를 FBS (Invitrogen, USA) 10%가 보충된 DMEM (Invitrogen, USA), Geniticine (G418, Biochrom, Germany)) 1% 및 항생제 항진균제 (Invitrogen, USA) 1% 중에 가습 인큐베이터에서 37 ºC 및 5% CO2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에 기술된 모든 실시예에서 STHdh 세포는 배양 배지에서 50 μM 포스콜린, 750 μM IBMX, 200 nM TPA, 10 μM 도파민, 10 μg/μl α- FGF의 최종 농도를 이용하여 화합물 첨가시 분화되었다. 웰 당 104 STHdhQ7/Q7 및STHdhQ111/Q111 세포들을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Cpd. 3 (130 nM, 1230 nM), Cpd. 8 (400 nM 및 1230 nM), INK128 (100 nM) 및 라파마이신 (400 nM)과 함께 배양하고, LDH을 8h, 24h, 34h, 48h 및 72h 후에 측정하였다 (도 5 A, B).
시험 화합물의 어떤 것도 LDH 활성 증가를 유도하지 않았고, 이는 mTOR 억제제에 의해 세포 독성이 유도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Cpd. 3 및 Cpd. 8의 높은 농도에서 LDH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mTOR 억제제가 STHdh 세포에 의해 용인되고, 사멸 세포의 수는 세포 처리에 의해 최대 72 시간까지 증가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들 세포주에서 평가에 적합하고 또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신경 세포의 일반적인 대사 활성에 직접적으로 효과를 나타내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B. PrestoBlue 분석
세포 생존율/대사활성은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PrestoBlue 생존 시약 (Invitrogen, USA)를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웰 당 104 STHdhQ7/Q7 및STHdhQ111/Q111 세포들을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Cpd. 3 (130 nM, 1230 nM), Cpd. 8 (400 nM 및 1230 nM), INK128 (100 nM) 및 라파마이신 (400 nM)과 함께 배양한 후 8h, 24h, 34h, 48h 및 72h 후에 PrestoBlue를 측정하였다.
결정된 비-독성 농도는 본 연구에서 나중에 사용될 초기 뉴런에 옮겼다. 각각의 시험 화합물에 대하여 세포는 8h, 24h, 34h 및 48h에서 대사 활성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 5 C, D). Cpd. 3 및 Cpd. 8의 낮은 농도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에 약간의 증가가 검출되었다. 72 시간에 있어서, Cpd. 3의 1230 nM 처리 후 대사 활성 감소가 검출되었고, (유의하지는 않지만) Cpd. 8의 경우도 STHdhQ111/Q111에서 그러하다. 이러한 효과는 STHdhQ7/Q7 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아 이러한 사실은, 1. 야생형 세포는 mTOR 억제에 덜 민감하며, 및 2. 화합물은 용인되고, 따라서 이들 세포주에서 자가포식-유도제로서 시험함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9
Cpd. 3 및 Cpd. 8은 STHdhQ7/Q7 및STHdhQ111/Q111 세포에서 mTOR 신호 전달을 억제하다.
Cpd. 3 및 Cpd. 8이 mTOR 신호전달을 억제하고 HD 신경 세포 모델에서 자가포식 작용을 유도하는지를 시험하기 위하여, STHdhQ111/Q111 및STHdhQ7/Q7 세포를 처리하였다. STHdhQ111/Q111 및STHdhQ7/Q7 세포를 실시예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지하였다. 세포를 10cm 접시에 접종하였다 세포가 80 % 융합되었을 때, 세포는 분화되고 동시에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세포를 Cpd 3 (200 nM, 400 nM, 1230 nM), Cpd 8 (130 nM, 1230 nM), INK128 (100 nM), 라파마이신 (400 nM) 또는 DMSO 대조군으로 4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배양 종료 시에 세포를 차가운 PBS 완충액으로 세척하고, 4 % 완전 프로테아제 억제제 (Roche, Switzerland) 및 10 % PhosStop (Roche, Switzerland)으로 보충되는 200 μl의 RIPA 완충액으로 용해하였다. 얼음에서 30 분 유지한 후, 용해물을 강하게 회전시켜 혼합하고 원심 분리 (20 분, 4 ℃, 16,000 RPM)하고 상층액을 수집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백질 농도를 측정했다. 다음 1차 항체를 사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샘플 당 30 μg의 단백질을 웨스턴 블롯에 의해 분석하였다:
4E-PB1 (1:1000), P-4E-BP1 (T37/46) (1:1000), mTOR (1:1000), P-mTOR(S2448) (1:1000), S6rP (1:1000), P-S6rP (S235/236) (1:1000) Cell 신호전달, UK
베타-액틴 (1:50000) Sigma-Aldrich, USA
LC3 (1:200) Nanotools, Germany
Cpd. 3은 S6rP 인산화 및 4E- BP 인산화 감소로 표시된 바와 같이 STHdhQ111/Q111 및STHdhQ7/Q7 세포 모두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mTOR 신호전달을 저해한다. 기준 화합물/양성 대조군 INK128 및 라파마이신은 유사한 정도의 경로 억제를 보였다 (도 6A). Cpd. 8 또한 mTOR 신호전달을 억제하였다. 효과가 STHdhQ7/Q7 세포에서 130nm의 낮은 농도로 이미 관찰될 수 있었다 (도 6B).
LC3-II, 자가포식소체에서 자가포식 마커의 수준을 검출하기 위해, Bafilomycin A, 자가포식소체 분해 억제제의 존재 및 부재 하에 세포를 처리하였다. 자가포식 작용이 유도되는 경우 화합물은 LC3-II 수준을 축적한다. Cpd. 3 (도 6C) 및 Cpd. 8 (도 6D)는 선조체 세포에서 자가포식 작용을 유도한다. Cpd. 3의 경우 STHdhQ111/Q111 세포에서 자가포식 작용에 강력한 효과가 관찰되었다.
자가포식 작용 유도는 비-mutHTT 상대방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LC3II -상승 흔적이 이러한 세포에서도 관찰되었다. Cpd. 8 역시 INK 128에 필적하는 수준으로 선조체 세포에서 자가포식 작용을 유도하였다.
데이터는 Cpd. 3 및 Cpd. 8은 mutHTT 또는 미변이-Q7 확장 헌팅틴을 가지는 선조체 세포주에서 mTOR 신호 전달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mTOR 경로의 억제는 자가포식 유도로 이어진다. 거대자가포식을 통한 헌팅틴 응집체 제거를 위한 기본 메커니즘은 뉴런 환경에서 mTOR 또는 PI3K/mTOR 억제제 Cpd. 3 및 Cpd. 8에 의해 유도되었다.
실시예 10
Cpd. 3 및 Cpd. 8은 mutHTT의 Exonl 발현 HEK 세포에서 응집체 형성을 억제한다.
HEK 세포 (DSMZ, Germany)를 DMEM/Glutamax (Invitrogen, USA), 1% 항생제/항진균제 (Invitrogen, USA), 10% FBS 중에 가습 인큐베이터에서 37 ºC 및 5% CO2로 유지하였다. HEK 세포를 19Q (무 응집) 또는 51Q 확장 및 Attractene 형질전환 시약 (Qiagen, Netherlands)을 이용한 향상된 녹색 형광 단백질 (eGFP) 태그를 가지고 HTT의 Exon1발현 서열을 함유한 Clontech (Mountain View, USA)에서 입수되는 pcDNA3.1/V5-His 벡터로 일시적 형질전환하였다. 1x106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다음날 2 μg DNA를 95.5 μl 형질전환 매질 및 4.5 μl 형질전환 시약과 혼합하였다. 15 min 배양 후 혼합물을 세포에 부가하였다. 72 시간 후 세포를 수확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고정시켰다.
필터 트랩 분석에서 Cpd. 3 및 Cpd. 8은 형질전환 HEK 세포에서 응집체 형성을 감소시킨다
19Q- 또는 51Q-HTT-Exon1-eGFP로 형질전환된 HEK 세포를 DMSO 대조군으로 처리하였다. 51Q-HTT-Exon1-eGFP HEK 세포는 응집체를 형성한다. 이들 세포를 Cpd. 3 (400, 1230 nM), Cpd. 8 (130, 1230 nM), INK128 (100 nM) 또는 라파마이신 (400 nM) 으로 8 시간 처리하고 RIPA 완충액으로 용해하였다. 30 min 얼음에 유지한 후, 세포를 균질화시켰다 (Dounce 균질화기, Thermo Fisher, USA). PBS 중 50 μg의 단백질 용액에 2% SDS (Roth, Germany)를 보충하였다. 샘플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0.45 μm)을 통해 흡입하고 PBS 완충액으로 2차에 걸쳐 세척하였다. 응집된 단백질은 SDS 용액에 용해되지 않고 막에 결합된다. 막에서 mutHTT는 5% 밀크 파우더가 보충되는 TBST에서 1:1000 희석되는 ployQ 항체 (1C2, Millipore, Germany)를 사용하여 검출되고 HRP 접합 2차 항-마우스 항체 (도 7A, B) 밴드는 Odyssey LI-CORE 시스템 (Li-Core, USA) (도 7B)으로 정량화되었다.
데이터에 의하면 51Q-HTT-Exon1 HEK 세포를 mTOR 억제제 (Cpd. 3, Cpd. 8, INK128 및 라파마이신)로 처리하면 이들 세포에서 독성 mutHTT 응집체의 유의한 감소에 이른다. 130 nM의 Cpd. 8은 유의한 응집체 감소에 충분하지 않았다. 응집체 제거는 응집체 감소에 이르지만 완전한 제거에 도달하지 않았다 (19Q-HTT와 비교). 이미 자가포식 유도가 입증된 바와 같이, 응집체 제거는 거대자가포식에 의해 수행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면역 세포화학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Cpd. 3 및 Cpd. 8은 형질전환 HEK 세포에서 응집체 형성을 감소시킨다
HEK 세포는 24 웰 플레이트에서 poly-L-lysine (Sigma-Aldrich, USA) 도포된 커버슬립에 웰 당 104 세포가 접종되고 19Q- 또는 51Q-HTT-Exon1-eGFP로 일시적으로 형질전환된다. 세포를 A에서 기재된 화합물로 8 또는 24 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형질전환 후7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 PFA로 고정시켰다. 커버슬립은 부착 매질을 이용하여 4′,6-디아미딘-2-페닐인돌 (DAPI)을 함유한 유리 슬라이드에 고정하였다 (도 7C). 핵 및 HTT-Exon1-eGFP 함유 응집체를 수동 계수하였다. 샘플 당 10000 세포들이 계수되었다 (도 7D).
eGFP 표지 HTT의 형광은 매우 밝아, DMSO로 처리된 샘플은 전체적으로 어둡게 보인다. mTOR 억제제는 거대자가포식에 의해 HEK 세포에서 mutHTT 응집체 개수를 줄이고 이는 이러한 메카니즘이 또한 동물 모델 또는 환자의 신경세포에서도 헌팅틴 응집체를 제거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효과는 처리 8 시간 (55% 감소 Cpd. 8, 130 nM; 66% 감소 Cpd. 3, 400 nM)과 비교하여 24 시간 후 더욱 현저하다 (77% 감소, Cpd. 8, 130 nM; 73% 감소, Cpd. 3, 400 nM). 용량 검색과 관련하여, 더 낮은 농도 Cpd. 3 (400 nM) 및 Cpd. 8 (130 nM)는 적어도 고농도 정도로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환자를 더 낮은 비-독성 용량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 11
Cpd. 3 및 Cpd. 8은 wt 마우스 뇌에서 자가포식 작용을 유도한다
Cpd. 3 및 Cpd. 8에 의한 mTOR 억제가 뇌에서 자가포식-헌팅틴 응집체 제거를 위한 실질적 메카니즘을 유도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BALB/c 누드 마우스를 샘플 5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Cpd. 3 및 Cpd. 8로 처리하였다.
뇌 용해물을 실시예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LC3 항체 (1:20, Nanotools, Germany) 및 p62 항체 (SQTS1/p62 1:1000, 세포 신호전달, USA) 및 2차 HRP-결합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롯으로 분석하였다 (도 8 A, B).
Cpd. 3 및 Cpd. 8 양자 모두 단일 경구 투여 후, 자가포식 유도는 자가포식 마커 LC3II (상부 밴드)에서 시간-의존적 증가 및 자가포식 마커 p62에서 감소를 보였다. 데이터는 뇌에서 화합물 농도는 신경 세포에서 자가포식을 유도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보인다. 자가포식 유도는 세포 모델에서 헌팅틴 응집체 제거로 이어지는 것이 보였으므로, Cpd. 3 및 Cpd. 8 및 다른 mTOR 억제제는 동물 또는 인간에서 mutHTT 응집체의 자가포식성 감소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12
TSC1GFAP ko 마우스에서 전기촬영술 (electrographic) 발작에 대한 Cpd. 3 및 Cpd. 8의 만성 치료 효과
본 연구는 Tsc1GFAP 녹아웃 (knockout) 마우스에서 비히클 처리와 비교하여 Cpd. 3, Cpd. 8 및 참고 화합물 (Cpd. R, CAS-No 1225037-39-7)의 자발적 발작 및 사망률에 대한 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Tsc1 (Tsc1flox/flox-GFAP-Cre (Tsc1GFAP 조건부 녹아웃)은 GFAP-양성 세포 (Tsc1GFAPCKO 마우스)에서 Tsc1 유전자에 대한 조건부 비활성화를 가지는 TSC의 마우스 모델로서, 진행형 간질, 뇌병증, 및 조기 사망, 및 간질 발생기에 기여할 수 있는 세포성 및 분자적 뇌 이상으로 발전된다.
A: 동물 및 처리
적절한 건강 및 적합성을 보장하고 인간의 취급과 관련된 비-특이적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 개시 전에 어느 한쪽 성별의 Tsc1 마우스를 환경에 적응시키고, 검사, 취급 및 체중을 계량하였다. 본 연구 과정에서, 12/12 명/암 사이클을 유지하였다. 실온을 20 내지 23°C 및 상대 습도를 약 50%로 유지하였다. 본 연구 기간 동안 먹이와 물을 자유로이 제공하였다. 각각의 마우스는 무작위로 지정된 처리 그룹에 할당되었다. 투여는 동물의 명기 사이클에 수행되었다.
아래 수술 절차 전반에 걸쳐 무균 기술이 적용되다. 마우스를 아소플루란 (유도용 3% 및 캐리어 가스로 산소와 함께 유지용 1-2%; 대략 유속, 분 당 1 리터)으로 마취하고 코어 온도가 37±1 °C로 유지되는 일정 히팅 패드에 놓았다. 발가락 핀치에 대한 움츠림 반응 없음 및 눈에 보이는 호흡 속도 변화로 적적한 마취가 보장된다. 마우스 머리를 정위 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코 피스로 마취제를 연속하여 공급하였다. 안 연고를 안구에 발라 각막 건조를 방지하였다. 수술 절개 부위를 확인하고 클로로헥시딘으로 문질러 닦아주고 이어 알코올로 닦았다. 등 피부 절개는 머리에서 전후 방향으로 수행되고 피부를 뒤집어 두개골을 노출시킨다. 피하조직을 살균 솜-말단의 도포기 및 염수로 비절제 박리하였다. 두개골을 세척하여 전정을 노출시킨다. 치과 드릴 또는 20-23 게이지 바늘을 이용하여, 작은 구멍을 만들고 유치 전극 선 또는 두개골 나사를 삽입시킨다. 전두엽 및 두정엽에서 양측- 반구 리드 및 CA1 상부 구역을 표적하는 유치 국소 영역 전위 전극을 가지는8201-EEG 헤드 마운트 (Pinnacle Technology, Inc., Lawrence, KS)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마운트를 두개골에 초기 고정하기 위하여 초강력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이어 헤드 마운트를 두개골에 치과용 아크릴로 붙였다. 헤드 마운트 및 나사를 치과용 시멘트로 덮었다. 치과용 시멘트를 도포하면 상처 또한 닫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피부를 임플란트/ 헤드 마운트 주위로 단단히 당기고 임플란트 끝에 있는 피부만 저지되지 않고 유지된다. 치과용 아크릴이 경화되면, 아소플루란을 중지하고 동물을 정위 장치에서 내려 놓는다.
수술 후, 동물이 보행할 때까지 케이지 절반이 가열 온수 순환되는 히팅 패드 위에 있는 청정 회복 케이지에 둔다. 수술 전, 동안, 및 후에, 실험동물 케어 프로그램 (PVC) 팀 및 IACUC에 의해 요구되고/추천되는, 실험동물전임수의사 및/또는 IACUC 가이드라인에 따라 동물에게 액체, 영양제, 항생제, 및 진통제를 투여하였다. 동물 관리원에 의해 동물은 매일 및 수술 후 7 일간 검진되었다. 수술에서 완전 회복된 (건강해 보이고 먹이활동, 털 손질, 탐지 및 둥지 틀기와 같은 정상 거동을 보이는) 동물 만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수술 후, 마우스를 단독 수용하였다. 동물을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다른 동물로부터의 수술 부위 오염 또는 임플란트 손상을 방지하였다. 마우스는 P22 내지 P27 기간 (age)에 전극이 이식되고 4주까지 (P35) 회복되었다. 총 56 마리의 마우스에 이식하고 ~ 10 마우스의 4 그룹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EEG는 Pinnacle Technology 8206 데이터 조절 및 수집 시스템 (DCAS)으로 연속하여 기록되고, 이는 USB 연결을 통한 회득을 위해 데이터를 Pinnacle’s Sirenia® 수집 소프트웨어로 보내기 전에 2차 증폭 및 필터링을 수행한다. EEG는 10x 또는 100x 이득 전치 증폭기를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진폭에서 거대 극파 (spike)를 내는 발작 활동에 있어서 10x 이득은 통상적으로 최적이다. 전치 증폭된 테더는 케이스 위에 장착된 낮은-토크의 정류자에 연결되어 구애 받지 않는 운동 자유를 가능하게 하고 잡음을 줄인다. 모든 마우스로부터 실시간 모든 EEG 채널 시각화는 Sirenia 또는 PAL-8400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관찰된다. 동기화된 비디오 기록은 EEG 기록 과정에서 수집되었다.
화합물을 수중 20% Dexolve-7 (Davos Pharma, Liberty, MO, USA), pH 3의 비히클에 녹인다. 연구에서 마우스는 다음 처리 그룹 중 하나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비히클 10 ml/kg (그룹 D; 출생 후 일수 (PND) 21-53; p.o. q.d.), Cpd. R 50 mg/kg (그룹 C; PND21-53; p.o. q.d.), Cpd. 8 25 mg/kg (그룹 A; PND21-53; p.o. q.d.), Cpd. 3 100 mg/kg (그룹; PND21-53; p.o. q.d.).
B: 뇌파 기록 및 분석
수술에서 완전 회복 후, 마우스를 홈 케이스에서 개별적으로 피너클 (pinnacle) 기록 시스템에 연결하고 다음 2 주간 (PND 35-48; 주 6 및 7) 자발적 EEG를 기록하였다. 동시에, 이 기간 동안 비디오 기록을 통해 마우스 거동 평가에 필요한 데이터 스트림을 제공하였다. 기록 구간이 완료되면, 비정상적인 EEG 활동에 대한 개별 EEG 추적이 평가된다. 전기촬영술 발작은 불연속 구간에서 율동적 극파 방출 (rhythmic spike discharges)의 특징적 패턴에 의해 식별되고, 이는 적어도 10 초 동안 주파수 및 진폭에서 전개되고, 전형적으로 반복 파열 방전 및 전압 억제로 종료된다. 이들은 매우 전형적인 개시, 종료 및 중간 전개를 가지는 것으로 규정되고, 낮은 진폭 빠른 활동 및 높은 주파수 극파 (강직)로 개시되고, 점차 더 느린 파열 (간대) 주기로 진행되고 이어 율동적 잡음이 중첩되는 심한 전압 억제로 이어지고, 이는 호흡을 나타내며 이는 EEG 자체가 억제되므로 명백하게 잡힌다. TS 마우스에서 대부분의 전형적인 발작은 적어도 30-40 초 유지된다. 이러한 마우스는 비정상 EEG 패턴을 가지고 이는 때로 빈번한 발작간 극파로 특징되고, 극파 트레인이라고 칭하지만, 상기 기준에 따라 이들은 발작으로 간주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통상 전형적인 전개가 없다). 6 주 (PND36), 7 주, 및 8 주 (PND55) 발작 발생은 각각의 마우스에 대하여 표로 정리하고 각각의 처리 그룹에 대하여 요약된다.
데이터를 분산 분석 (ANOVA)에 따라 분석하였다. 하나 이상의 이러한 인자들이 유의하다면 (P<0.05), 추가 사후 검정 (던네트 또는 월콕슨)이 수행되어 특정 차이 (즉 6 주 동안 비히클 대 Cpd. R)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P 값은 다중 비교에 대하여 조정되었고 p < 0.05는 유의한 것으로 간주된다. 요약 데이터는 그룹 평균 ± 평균 표준오차 (SEM)로 보고한다.
체중
임의의 처리 전에 상이한 처리 그룹에 할당되는 개별 객체의 체중은 도 9A에 도시된다. 일원 ANOVA는 그룹 간에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가 끝날 무렵 Cpd. 3 및 Cpd. 8로 처리된 동물의 체중이 더 높았다. 이때 정상적인 TSC 마우스 수명은 끝에 가깝다. 체중이 손실되고 사망할 것이다. 처리 동물은 더 높은 체중을 보이므로 건강 상태가 개선되고 따라서 수명 연장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전기촬영술 발작 및 사망률
매일 비히클로 처리된 PND21-55의 Tsc1 유전자형 마우스는 활발한 전기촬영술 발작 (n=150)을 보이지만, 동일 기간 동안, 25 mg/kg Cpd. 8로 처리된 PND21-53의 마우스는 showed 유의하게 더 낮은 발작 횟수 (n=8)를 보이고 100 mg/kg Cpd. 3로 치료된 PND21-53의 마우스는 유의하게 더 낮은 발작 횟수 (n=2)를 보인다. Cpd. R을 수용한 PND21-55의 참고 그룹은 보통의 발작 횟수 감소 (n=76)를 보이고 이는 모든 시점에 걸쳐 비히클과 유의하게 차별된다. 쌍별 월콕슨 검정을 수행하여 특정 차이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도 9B). 발작 발생은 비히클 및 Cpd. 8/Cpd. 8 6 주 (PND35-42; p=0.0009 및 p=0.0005 respectfully), 7 주 (PND43-48; p=0.0427 및 p=0.0023), 및 8 주 (PND49-55; p=0.0017 및 p=0.0002) 에서 유의하게 차별된다 (도 9B).
Tsc1 GFAP 조건부 녹아웃 마우스에서 발작에 대한 Cpd. 3 및 Cpd. 8의 보호 효과가 보여질 수 있다. Cpd. R은 시험되는 신규 화합물보다 약한 발작-억제 효과를 가진다. 유사하게, Cpd. 3 (5 시간) 및 Cpd. 8 (5 시간)와 비교하여 Cpd. R (1 시간)인 더욱 짧은 반감기로 설명될 수 있다.
실시예 13
R6/2 마우스 및 zQ175 마우스의 처리
R6/2 마우스는 160 ± 5 CAG 반복틀 확장을 가지는 인간 헌팅틴 유전자의 엑손 1을 발현하는 B6CBA-Tg(HDexon1)62Gbp/1J 마우스 모델이다. 마우스는 4 내지 12 주에 발전되는 심각한 표현형을 가진다. R6/2 마우스에서 PK/PD 연구가 수행되어 가능한 낮지만 상이한 뇌 구역 (선조체, 피질, 소뇌)에서 목표와 결합할 수 있는 용량을 결정하였다. 19 동물로 이루어진 다음 처리 그룹에서 R6/2 마우스 및 이들의 wt 상대방을 처리하였다: 1. Wt, 비히클; 2. R6/2 비히클; 3. R6/2 Cpd. 3; 4. R6/2 Cpd.8. 총 8 주 동안 경구 투여하되 5 일 동안 수행하고2일 약물 휴식이 있었다. 4 및 8 주 후 동물을 표현형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LabMaster 및 Rotarod. 연속하여, 마우스를 희생하고 웨스턴 블롯 분석에 의한 mTOR 신호전달 및 자가포식 유도 및 TR-FRET 분석을 이용한 용해성 및 응집성 mHTT 수준을 위한 뇌 분석을 수행하였다.
zQ175 녹-인 (KI) 마우스는 인간 질환이 연상되는 과도 행동, 조직병리학, 및 분자 표현형을 보인다. 이들 마우스는 2-12 개월 연령에 선조체 및 피질에서 연령-연관 mHTT 포함 증가를 보인다. 그룹 당3 개월 내지 5 개월 연령의 10마리 마우스를 1. 비히클; 2. Cpd. 3; 3. Cpd. 8로 처리하였다. 마우스에 화합물 또는 비히클을 5일 연속 경구 투여하고 이어 2일 약물 휴식을 가진다. 주요 판독값은 1) Singulex를 이용하여 선조체 및 근육 사두근 현탁액에서 mHTT 응집체 형성을 결정하는 것이다 (중앙 대 주변부 효과).
투여 마지막 날 (투여 후 2h) 실험 동물의 혈장, 뇌 및 사두근 근육에서 화합물 수준은. 위성 동물이 PK 및 기본 HTT 수준을 결정하기 위하여 연구 1일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4
헌팅턴병의 생체내 모델에서 R6/2 마우스 처리
헌팅턴병의 생체내 모델을 이용하여 선조체에서 mutHTT 응집체 형성을 감소시키는데 대한 Cpd. 3 및 cpd. 8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R6/2 마우스는 160 ± 5 CAG 반복틀의 확장이 있는 인간 헌팅틴 유전자의 엑손 1을 발현하는 B6CBA-Tg(HDexon1)62Gbp/3J 헌팅턴병 마우스 모델이다. 마우스는 4 내지 12 주 사이에 발생되는 심각한 표현형을 가진다. 동물이 극히 연약하므로, 투여량은 더 강건한 동물 모델에서 사용되는 투여량의 65%로 감소된다.
B6CBA-Tg(HDexon1)62Gpb/3J (R6/2) 마우스는 야생형 수컷과 Charles River (Charles River Laboratories, Sulzfeld, Germany)에서 구입된 난소 이식 암컷과의40 교배 쌍에서 획득하였다. 새끼는 HTT 유전자의 인간 N-말단 단편에 대하여 형질 전환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컷 마우스를 사용하고 별도 케이스에 수용하여 이유 이후 계급 투쟁에 따른 스트레스를 줄였다. 12 시간 명/암 사이클을 가지는 표준 케이지를 사용하였다. 표준 사료 및 물은 무한으로 제공되었다.
R6/2 약동학
뇌 영역 노출을 시험하기 위하여, 그룹 당 3마리 동물로서 R6/2 마우스에 대하여 Cpd. 3 (75 mg/kg, 50 mg/kg, 25 mg/kg) 또는 Cpd. 8 (25 mg/kg, 16 mg/kg, 8 mg/kg)의 단일 경구 투여로 처리하였다. 1시간 후 혈장 채취하고 동물이 희생되었다. 선조체, 소뇌 및 피질을 별도로 결빙 동결하고 LC/MS/MS로 화합물 농도를 분석하였다.
조직 농도는 모든 Cpd. 3 농도에 대하여 효능 범위에 이르렀다. Cpd. 8에 대하여는 모든 농도에 대하여 충분한 수준이 도달되었지만, 8 mg/kg은 약간은 너무 짧은 목표 범위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0A).
R6/2 마우스에 대한 화합물 장기간 처리
처리 그룹은 유전자형 및 무게, 로타로드 성능 및 리터 (litter) 측정으로 설정하였다. 동일하게 4 그룹으로 분배하고, 각각의 그룹은 12마리를 가진다. R6/2 마우스 및 이들의 wt 상대방에 다음 처리 그룹으로 투여하였다: 1. Wt, 비히클 (수중 20% SBECD, pH 3); 2. R6/2 비히클 (수중 20% SBECD, pH 3); 3. R6/2 Cpd. 3 (65 mg/kg); 4. R6/2 Cpd.8 (16.25 mg/kg). 총 11.5 주 동안 경구 투여는 6일 수행되고 이어 1일 약물 휴식이 있었다.
면역조직화학
mutHTT 응집체를 검출하기 위하여, 선조체의 면역염색을 수행하였다. 뇌를 4% 파라포름알데히드 (SAV LP GmbH, Flintsbach am Inn, Germany)로 고정시켰다. O.C.T (Sakura Finetek Germany GmbH, Staufen im Breisgau, Germany))에 삽입하기 전에, 전체 뇌를 수크로오스 용액 (30% w/v)에 3 일 동안 담지하고 크라이오스탯 (Leica CM-3050-S, Leica Biosystems Nussloch GmbH, Germany)에25 μm 두정 부위로 일렬로 절단하였다. 부위를 0.03% 아세트산나트륨으로 보충되는 PBS에 4°C로 보관하였다. 자유-부유 염색을 위하여, 선조체 부위를 새로운 PBS에 보관하였다. 모든 단계를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차단 (Blocking)을 PBS 중0.5% 수소화 붕소나트륨에서 30 분 동안 수행하고 이어 세척하였다. 1:1000로 희석되는 EM48 (MAB5374; Merck Chemicals GmbH, Darmstadt, Germany)와1차 항체 배양을 밤새 수행하였다. 다음날 부위를 TBST로 세척하고 1:1000 희석되는 비오틴화 염소 항-마우스 IG-G (Vecta BA9200, 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로 2 시간 동안 배양되었다. Avidin-biotin 복합체 (Vectastain® Elite ABC Kit, 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를 1:400 희석하여 이용하였다. 배양 시간은 1시간이었다. 신호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0.001% H202가 보충되는 비오틴화 티라민이 8분 동안 투여된 후 ABC 배양이 반복되었다. 색 현상을 위하여, 부위를 4 분 동안 완충액 (0.05 M Tris 중0.6% 니켈, 0.01% DAB 및 0.001% H2O2, 0.05 M 이미다졸)을 함유한 니켈 -DAB- H202에서 배양하였다. 부위를 TI 완충액 (0.05 M Tris, 0.05 M 이미다졸)에 놓아 반응을 중지시키고 물에 자유 부유시킨다. 부위를 에탄올 및 및 크실롤 희석액으로 연속 탈수시키고 부착 매질 (CV, Leica) 이 있는 커버슬립로 덮는다.
Zeiss Axioplan 현미경 (Plan-NEOFLUAR ×40/0.75 objective, AxioCam MRc) 및 Axiovision 4.8 소프트웨어 (Carl Zeiss Microscopy GmbH, Jena, Germany)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얻었다. 동물 마다 3회 연속 선조체 부위를 분석하고, 4마리를 분석하였다. EM48 양성 구조를 모든 사진들에 대한 고정 임계치와 함께 입자 분석이 내장된 ImageJ로 분석하였다 (ImageJ 1.47v; NIH, Bethesda, MD, USA). GraphPad Prism 6 (GraphPad Software Inc., La Jolla, CA, USA)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허위 그룹 및 던네트 교정 방법과의 다중 비교들에 대하여 일원 ANOVA을 수행하였다.
응집체가 wt 동물에서 검출되지 않으므로 염색된 선조체의 이미지 분석은 염색 특이성을 보였다 (도 10B). 또한, 계수된 응집체 개수는 Cpd. 3 또는 Cpd. 8 처리된 R6/2 마우스 대 비히클 대조군에서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Cpd. 8 처리된 동물에서 mutHTT 응집체 사이즈는 약간 (그러나 유의하지 않음) 감소되었고 Cpd. 3 처리된 동물에서 40% 감소되었다 (도 10B). 이러한 응집체 감소는 HD 환자의 질환 지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약학조성물로서, 상기 신경 질환은 간질 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인, 약학조성물.
    Figure 112022058864650-pct00229
    (I)
    식 중
    X1, X2 및 X3은, 서로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2개는 N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1 및 R2 는 서로 독립적으로
    (i) 식 (II)의 모르폴린일
    Figure 112022058864650-pct00230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식 중 R3 및 R4 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 은 함께 1 내지 4개의 F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22058864650-pct00231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또는
    (ii) 선택적으로 1 내지 3개의 R7로 치환되는 티오모르폴린일 및 피페라지닐에서 선택되는 포화 6-원 헤테로고리 Z; 식 중 R7은 독립적으로 각각 존재하는 경우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C1-C3알킬, C3-C6시클로알킬; 또는 두 개의 R7 치환체는 함께 1 내지 4개의 F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또는 -O-CH2CH2-O-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8R9-를 형성하고;
    단 R1 및 R2 중 적어도 하나는 식 II의 모르폴린일이다.
  2. 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호변이성질체, 용매화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대상체의 신경 질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의 약학조성물로서, 상기 신경 질환은 간질 또는 신경 퇴행성 질환인, 약학조성물.
    Figure 112022058864650-pct00267
    (I)
    식 중
    X1, X2 및 X3은, 서로 독립적으로, N 또는 CH; 단, X1, X2 및 X3 중 적어도 2개는 N이고;
    Y는 N 또는 CH이고;
    R1 및 R2는 다음에서 선택되고:
    Figure 112022058864650-pct00268

    Figure 112022058864650-pct00269

    단, R1 및 R2는 중 적어도 하나는 식 (II)의 모르폴린일이고,
    Figure 112022058864650-pct00270
    (II)
    식 중 화살표는 식 (I)에서 결합을 나타내고;
    식 중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H, 하나 또는 둘의 OH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 C1-C2플루오로알킬, C1-C2알콕시, C1-C2알콕시C1-C3알킬, CN, 또는 C(O)O-C1-C2알킬; 또는 R3 및 R4은 함께 1 내지 4개의 F로 선택적으로 치환되는 C1-C3알킬렌, -CH2-O-CH2-, -CH2-NH-CH2-, 또는 임의의 구조
    Figure 112022058864650-pct00271
    에서 선택되는 2가 잔기 -R5R6-를 형성하고;
    식 중 화살표는 식 (II)에서 결합을 나타낸다.
  3.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다음에서 선택되는, 약학조성물.
    Figure 112022058864650-pct0023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되는, 약학조성물.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2,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2,6-디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피리미딘-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4,6-디모르폴리노-[2,5'-바이피리미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티오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티오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2-(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2-(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2-(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4′-(디플루오로메틸)-6-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5-(2,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2,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6-(3-메틸모르폴리노)-2-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5-(4-(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6-(8-옥사-3-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3-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2,2-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피리미딘-4-일)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2-(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4,5'-바이피리미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2S,6R)-2,6-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6-비스[(2R,6S)-2,6-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6-비스(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3-옥사-6-아자바이시클로[3.1.1]헵탄-6-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6-옥사-3-아자바이시클로[3.1.1]헵탄-3-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1R,4R)-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1S,4S)-2-옥사-5-아자바이시클로[2.2.1]헵탄-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6-비스[(3R)-3-에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3R)-3-이소프로필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 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3R)-4-[4-[6-아미노-4-(디플루오로메틸)-3-피리딜]-6-(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모르폴린-3-일]메탄올;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4-시클로프로필피페라진-1-일)-6-(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4-(2-메톡시에틸)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3R)-4-[4-[6-아미노-4-(디플루오로메틸)-3-피리딜]-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모르폴린-3-일]메탄올;
    4-(디플루오로메틸)-5-[4-[(3R,5R)-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S,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6-비스[(3S,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S)-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조성물.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S)-3-메틸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미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모르폴리노-6-(피페라진-1-일)-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6-비스(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6-비스(3,3-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5-[4,6-비스[(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3-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톡시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3-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5-[4,6-비스[(3S,5S)-3,5-디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7-디옥사-9-아자바이시클로[3.3.1]노난-9-일)-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S)-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에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3R)-3-메틸모르폴린-4-일]-6-(8-옥사-5-아자스피로[3.5]노난-5-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되는, 약학조성물.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4-(디플루오로메틸)-5-(4,6-디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미딘-2-아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및
    4-(디플루오로메틸)-5-[4-[(3R,5S)-3,5-디메틸모르폴린-4-일]-6-[(3R)-3-메틸모르폴린-4-일]-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다음에서 선택되는, 약학조성물.
    5-(4-(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6-(3-옥사-8-아자바이시클로[3.2.1]옥탄-8-일)-1,3,5-트리아진-2-일)-4-(디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및
    (S)-4-(디플루오로메틸)-5-(4-(3-메틸모르폴리노)-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일)피리딘-2-아민.
  8.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 (II)의 모르폴린일인, 약학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R1은 R2와 같은, 약학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R1은 R2와 같지 않은, 약학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질환은 신경 퇴행성 질환이고, 상기 신경 퇴행성 질환은 헌팅턴병,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ALS), 낭포성 섬유증, 가족성 아밀로이드성 다발신경병증, 해면상뇌증, 루이소체 치매, 파킨슨병 수반 전두측 두엽성 치매,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 척수-안구 근위축증, 유전성 치상핵적핵-담창구시상하부 위축증 (hereditary dentatorubral-pallidoluysian atrophy), 가족성 영국형 치매, 가족성 덴마크형 치매및프리온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퇴행성 질환은 헌팅턴병인, 약학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질환은 간질인, 약학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은 증후성 간질이고, 상기 증후성 간질은 뇌 손상, 뇌 종양, 뇌 감염, 부신백질이영양증, 라스무센 증후군, 스터지-웨버 증후군, 거뇌증, 양수과다증, 결절성 경화증 (TSC), 증후성 간질 증후군, PMSE, PTEN 돌연변이 또는 국소 피질 이형성증 (FCD)로 인하여 유발되는, 약학조성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질은 증후성 간질이고, 상기 증후성 간질은 mTOR 상향 조절 (“TOR병증”)으로 특정되는 질환에 의한 것인, 약학조성물.
KR1020187035896A 2016-05-18 2017-05-17 신경 질환의 치료 KR102472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70107.3 2016-05-18
EP16170107 2016-05-18
PCT/EP2017/025136 WO2017198346A1 (en) 2016-05-18 2017-05-17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294A KR20190008294A (ko) 2019-01-23
KR102472461B1 true KR102472461B1 (ko) 2022-11-30

Family

ID=5602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896A KR102472461B1 (ko) 2016-05-18 2017-05-17 신경 질환의 치료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2) US20190284178A1 (ko)
EP (1) EP3458067B1 (ko)
JP (1) JP6991158B2 (ko)
KR (1) KR102472461B1 (ko)
CN (1) CN109475560B (ko)
AU (1) AU2017265383B2 (ko)
BR (1) BR112018073579A8 (ko)
CA (1) CA3022753A1 (ko)
CY (1) CY1124051T1 (ko)
DK (1) DK3458067T3 (ko)
ES (1) ES2863250T3 (ko)
HR (1) HRP20210477T1 (ko)
HU (1) HUE053494T2 (ko)
IL (1) IL263080B (ko)
LT (1) LT3458067T (ko)
MX (1) MX2018014168A (ko)
PL (1) PL3458067T3 (ko)
PT (1) PT3458067T (ko)
RS (1) RS61655B1 (ko)
RU (1) RU2765868C2 (ko)
SG (1) SG11201809792TA (ko)
SI (1) SI3458067T1 (ko)
TW (1) TWI753912B (ko)
WO (1) WO2017198346A1 (ko)
ZA (1) ZA2018073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8014167A (es) 2016-05-18 2019-08-16 Piqur Therapeutics Ag Tratamiento de lesiones de la piel.
AU2018371168A1 (en) * 2017-11-23 2020-04-30 Torqur Ag Treatment of skin disorders
EP4320115A1 (en) * 2021-04-09 2024-02-14 Universität Basel Triazine derivative as reversible and irreversible covalent inhibitors of pi3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4786A1 (en) 2006-01-20 2007-07-26 Novartis Ag Pyrimidine derivatives used as pi-3 kinase inhibitors
WO2008098058A1 (en) 2007-02-06 2008-08-14 Novartis Ag Pi 3-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their use
WO2010052569A2 (en) 2008-11-10 2010-05-14 University Of Basel Triazine, pyrimidine and pyridine analogs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agents and diagnostic prob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8268B2 (ja) 2006-02-09 2014-01-29 アルバ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タイトジャンクション・エフェクター用製剤
MX2008013584A (es) * 2006-04-26 2009-03-23 Genentech Inc Compuestos farmaceuticos.
US8022205B2 (en) 2006-08-08 2011-09-20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Pyrimidine derivatives as PI3K inhibitor and use thereof
GEP20125589B (en) * 2008-05-23 2012-07-25 Wyeth Llc TRIAZINE COMPOUNDS AS P13 KINASE AND mTOR INHIBITORS
MX364558B (es) 2013-10-04 2019-04-29 Univ Basel INHIBIDORES DE PI3K Y mTOR CONFORMACIONALMENTE RESTRINGIDOS.
MA40933A (fr) * 2014-11-11 2017-09-19 Piqur Therapeutics Ag Difluorométhyl-aminopyridines et difluorométhyl-aminopyrimidines
CA3022758C (en) 2016-05-18 2024-02-06 Piqur Therapeutics Ag Treatment of skin lesions
MX2018014167A (es) * 2016-05-18 2019-08-16 Piqur Therapeutics Ag Tratamiento de lesiones de la pi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4786A1 (en) 2006-01-20 2007-07-26 Novartis Ag Pyrimidine derivatives used as pi-3 kinase inhibitors
WO2008098058A1 (en) 2007-02-06 2008-08-14 Novartis Ag Pi 3-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their use
WO2010052569A2 (en) 2008-11-10 2010-05-14 University Of Basel Triazine, pyrimidine and pyridine analogs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agents and diagnostic prob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78972B2 (en) 2024-01-23
HRP20210477T1 (hr) 2021-05-14
RU2765868C2 (ru) 2022-02-04
RU2018140013A (ru) 2020-06-18
TWI753912B (zh) 2022-02-01
CA3022753A1 (en) 2017-11-23
IL263080A (en) 2018-12-31
US20190284178A1 (en) 2019-09-19
MX2018014168A (es) 2019-04-29
RU2018140013A3 (ko) 2020-07-09
EP3458067B1 (en) 2020-12-30
ES2863250T3 (es) 2021-10-11
CY1124051T1 (el) 2022-05-27
WO2017198346A1 (en) 2017-11-23
PT3458067T (pt) 2021-04-07
BR112018073579A2 (pt) 2019-03-19
EP3458067A1 (en) 2019-03-27
BR112018073579A8 (pt) 2023-01-10
TW201808944A (zh) 2018-03-16
SG11201809792TA (en) 2018-12-28
AU2017265383A1 (en) 2018-12-13
CN109475560B (zh) 2023-05-02
IL263080B (en) 2022-02-01
SI3458067T1 (sl) 2021-07-30
AU2017265383B2 (en) 2022-07-28
ZA201807393B (en) 2023-10-25
JP2019519507A (ja) 2019-07-11
DK3458067T3 (da) 2021-04-06
CN109475560A (zh) 2019-03-15
HUE053494T2 (hu) 2021-06-28
US20220135551A1 (en) 2022-05-05
RS61655B1 (sr) 2021-04-29
PL3458067T3 (pl) 2021-12-13
JP6991158B2 (ja) 2022-02-10
KR20190008294A (ko) 2019-01-23
LT3458067T (lt) 2021-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15325T3 (es) Derivados de 6-bencilo-6H-pirido[3.2-e][1.2.4]triazolo[1,5-c]pirimidina-5-ona y 6-bencilo-[1.2.4]triazolo[1,5-c]pteridina-5(6H)-ona como inhibidores de PDE1 para el tratamiento, p. ej. trastornos neurológicos
US11878972B2 (en) Treatment of neurological disorders
ES2945212T3 (es) Utilización de derivados de pirazolopirimidinas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relacionados con PI3K
JP6228310B2 (ja) ピラゾール誘導体及びdlkの阻害剤としてのその使用
CA2868156C (en) Substituted pyridopyrimidine compounds and their use as flt3 inhibitors
ES2798424T3 (es) Compuestos de triazolopiridina y usos de estos
CA2975033A1 (en) Cdk2/4/6 inhibitors
BR112014004971B1 (pt) compostos heterociclilaminas, sua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seus usos
PT3103802T (pt) Novo composto de pirrolopirimidina ou seu sal, composição farmacêutica que o contém, especialmente agente para prevenção e/ou tratamento de tumores etc. com base no efeito inibidor de nae
JP7464645B2 (ja) 皮膚病変の治療
CA3022758C (en) Treatment of skin lesions
WO2017012579A1 (zh) 取代的吲哚化合物及其使用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