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981B1 -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981B1
KR102471981B1 KR1020220036203A KR20220036203A KR102471981B1 KR 102471981 B1 KR102471981 B1 KR 102471981B1 KR 1020220036203 A KR1020220036203 A KR 1020220036203A KR 20220036203 A KR20220036203 A KR 20220036203A KR 102471981 B1 KR102471981 B1 KR 10247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elevator
household
tenant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로켓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로켓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로켓
Priority to KR1020220036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지 내 입주자를 관리하는 입주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입주자 관리 앱이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이, 단지명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이, 복수의 시기마다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 각각에 대해서 전체 세대 각각에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은,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상기 전체 세대 각각으로부터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MANAGING MAINTENANCE COST FOR TENANT USING AI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지 내 입주자를 관리하는 입주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입주자 관리 앱이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이, 단지명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이, 복수의 시기마다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 각각에 대해서 전체 세대 각각에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은,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상기 전체 세대 각각으로부터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150 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의 경우 공동주택관리법상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에 해당하여 동대표 등 자치 의결기구를 의무적으로 구성해야 하는 의무, 관리규약 신고 의무가 부가되며, 미신고시 500만원 이하의 처분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중소형 빌라 등의 경우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않아 관리규약 등의 신고의무는 없으나, 관리비용 등 공금은 따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이때, 동대표로 선출된 사람은 대규모 단지와는 다르게 부족한 정보 속에서 수동적으로 모든 관리를 해야하는 불편이 존재하므로, 단지를 관리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단지를 관리하고 각 세대에 대한 정보를 통해 관리비용을 자동적으로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비용 청구 및 수금 관련하여 자동 발송 및 대납 기능을 수행하며, 실시간 수금 현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주자로 하여금 관리비 내역을 보는 화면에서 버튼 하나로 관리비용을 즉시 납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지 내 입주자를 관리하는 입주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입주자 관리 앱이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이, 단지명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이, 복수의 시기마다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 각각에 대해서 전체 세대 각각에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은,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상기 전체 세대 각각으로부터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단지명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하고, 복수의 시기마다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 각각에 대해서 전체 세대 각각에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상기 전체 세대 각각으로부터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주자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앱에 있어서, 단지 내 입주자를 관리하는 입주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고, 관리자 단말에 설치되며, 단지명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하고, 복수의 시기마다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 각각에 대해서 전체 세대 각각에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상기 전체 세대 각각으로부터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주자 관리 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단지를 관리하고 각 세대에 대한 정보를 통해 관리비용을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리비용 청구 및 수금 관련하여 자동 발송 및 대납 기능을 수행하며, 실시간 수금 현황을 모니터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주자로 하여금 관리비 내역을 보는 화면에서 버튼 하나로 관리비용을 즉시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주자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사용료 미부과세대 체크 및 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그룹 관리비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관리비 항목이 인원수별로 부과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주자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주자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를 포함하고, 경우에 따라 도 1과는 달리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주자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관리자 단말(200) 및 이에 포함된 입주자 관리 앱(300) 등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고,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5G, 6G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인터넷과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의 데이터베이스(130)는 해당하는 단지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입주자 관리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자 단말(200)에 대해서 살펴보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스마트 리모컨, 각종 IOT 메인기기 등과 같이 통신을 수행하면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관리자는 단지(ex 아파트, 빌라 등)에 대한 입주자 대표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단지는 일반적으로 중소형 아파트, 중소형 빌라 등으로서, 공동주택관리법 상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대상에 해당할 것이다.
상기 관리자 단말(200)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입주자 관리 앱(300)은 단지 내 입주자를 관리하는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100)와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관리자 단말(200)에서 별도의 앱을 거치지 않고 사이트 등을 통해 입주자 관리 서버(100)와 연동되어 수행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관리자 단말(200)에 설치된 입주자 관리 앱(300)을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프로세스는 앱(300)을 통해서 진행되거나, 앱(300)을 거치지 않고 서버(100)가 운영하는 사이트 상에서 진행될 수 있고, 이는 채널이 상이할 뿐 진행되는 프로세스는 동일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 도 2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까지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단지명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S210).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20)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300)은, 관리자 단말(200)로부터 단지명(ex 제주 블로켓 빌라), 단지 주소, 관리비 계좌(ex 은행명, 계좌번호, 예금주명)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관리비 계좌는 각 세대로부터 관리비용을 입금받을 수 있는 계좌에 해당할 것이며, 일반적으로 관리자(ex 단지 대표, 동대표)가 관리하는 계좌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관리자 단말(200)에서의 입력으로부터 단지에 포함된 전체 건물 동수(ex 6동)를 획득하고, 관리자로 하여금 단말(200)을 통해 전체 건물 동 각각에 대해 존재하는 세대 정보 및 엘리베이터의 존재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여 초기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엘리베이터 사용료 미부과세대 체크 및 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관리자로 하여금 단말(200)을 통해 단지에 포함된 건물 동 수(ex 6동)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6동 각각에 존재하는 세대 정보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대 정보는 실제로 존재하는 호수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동부터 6동까지 각각 101호, 102호, 201호, 202호, 301호는 존재하나, 302호는 실제로 없는 호수임을 세대 정보로서 입력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말(200) 상에는 상기 302호에 해당하는 심볼만 X 표시로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존재 호수인지가 아닌 공실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동에서는 101호, 102호, 201호, 202호, 301호가 존재하고, 2동에서는 101호, 201호, 202호, 301호, 302호가 존재한다고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1동의 302호, 2동의 102호에는 입주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전체 건물 동 각각에 대해 엘리베이터의 존재 여부를 획득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각 세대별로 엘리베이터 사용료가 부과되는지, 미부과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우선,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관리자 단말(200)에는 전체 건물 동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대를 심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심볼들은 층에 따라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어, 101호, 102호가 가장 아래에, 501호가 가장 위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관리자로 하여금 관리자 단말(200)을 통해 엘리베이터 사용료 미부과 세대에 대응하는 특정 심볼을 선택하도록 하여, 선택된 특정 심볼의 색깔을 다른 심볼들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도 3(a)의 경우, 1동에서 101호, 102호, 201호, 202호, 즉 1층, 2층에 위치하는 세대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사용료가 미부과된 세대로 선택되었고, 이에 따라 해당 심볼들은 색깔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관리비 항목에 대한 상세 내역을 확인하는 경우, 상기 도 3(b)와 같이, 각 세대별로 부과된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15,720원)이 대응하는 심볼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도 3(b)와 같이, 부과된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이 모두 동일할 수도 있지만, 최저층(ex 1층, 2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을 저층(ex 3층 ~5층), 중간층(ex 6층 ~10 층), 고층(ex 11층 ~ 15층)으로 구분하여, 고층에 부과된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이 중간층, 저층보다 크고, 중간층에 부과된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이 저층보다 크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엘리베이터 사용량 정보를 획득한 후 인공지능(AI)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ex 1달) 동안의 엘리베이터의 사용량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세대별로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을 설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일정 기간 동안 엘리베이터 내 각 층의 버튼이 클릭(선택)되는 횟수를 획득하고, 제1 소정 수치(ex 100번) 이상으로 특정 층의 버튼(ex 3층)이 클릭되는 경우, 해당 층(ex 3층)의 각 세대에는 추가 수수료(ex 5000원)를 더한 금액을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으로 청구할 수 있다. 도 3(b)의 경우, 301호, 302호 각각에는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으로 20,720원이 부과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엘리베이터 내 층 버튼이 클릭되는 횟수를 카운팅할 때,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층 버튼이 클릭된 후 엘리베이터가 해당 층에 도착하였을 때 상기 카운팅에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엘리베이터 층 버튼이 클릭된 후 다시 취소되는 경우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상기 특정 층(엘리베이터 버튼이 클릭되는 횟수가 제1 소정 수치 이상인 층)에서 엘리베이터 도착 직후의 조명 on/off를 AI를 통해 분석하고, 특정 층에서도 어느 세대에 상기 추가 수수료를 부과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센서가 부착된 조명은 off 상태에 있다가 사람이 움직이는 것을 감지할 때, on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특정 층에서 일정 기간(ex 1달) 동안 각 조명의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의 변경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AI 모듈을 통해 엘리베이터가 특정 층 도착 직후 소정 시간(ex 3분) 동안 어느 쪽 조명이 제2 소정 수치(제1 소정 수치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음) 이상으로 off 상태에서 on상태로 변경되는지 정보를 파악하여, 특정 층에서도 어느 세대가 엘리베이터의 사용량이 많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결국,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AI 모듈을 통해 엘리베이터 사용량이 많은 특정 층을 판단하고, 해당 특정 층에서도 어느 세대가 엘리베이터 사용량이 많은지를 파악하여, 해당 세대에만 추가 수수료를 더 부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다른 단지에 부과된 고지서에 포함된 타 관리비 항목 또는 타 그룹 관리비용을 획득하고, 이들을 AI 모듈을 통해 해당 단지에 부과된 관리비 항목(310) 또는 그룹 관리비용(311)과 비교하여, 해당 관리비 항목(310) 및 해당 그룹 관리비용(311)이 타 관리비 항목 또는 타 그룹 관리비용 보다 과부과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해당 단지의 관리비 항목(310) 중에서 타 관리비 항목에 존재하지 않는 항목이 있는지 여부, 해당 단지의 그룹 관리비용(311)이 타 그룹 관리비용보다 일정 비율(ex 10%) 이상 부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AI 모듈을 이용하여 이전 시기(ex 1월)에 납부한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과 이번 시기(ex 2월)에 납부할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의 차이를 각각 비교하고, 그 차이가 일정 비율(ex 10%) 이상인 특정 관리비용에 대해서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2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그룹 관리비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복수의 시기마다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310)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311)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시기는 1월, 2월 및 12월 또는 1분기, 2분기 등 일정 간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310)은 해당 시기(ex 2월)에 부과된 공동전기세, 수도세, 소방점검료, 엘리베이터 사용료, 미화관리료, 소독비, 하자보수공사비, 부품교체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그룹 관리 비용(311)은 해당 시기에 부과된 공동전기세에 대한 비용(ex 119,000), 해당 시기에 부과된 수도세에 대한 비용(ex 150,00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관리자로 하여금 삭제 입력 버튼(312)을 통해 이미 입력한 관리비 항목(310) 및 그룹 관리비용(311)을 삭제하도록 하거나, 비용설정 버튼(313)을 통해 이미 추가된 관리비 항목에 대한 그룹 관리비용을 설정하도록 하거나, 추가 버튼(314)을 통해 새로운 관리비 항목(310) 및 새로운 그룹 관리비용(311)을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도 4(a) 참조).
참고로, 상기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310)은 시기별로 비용이 변동되는 제1 항목인 공동전기세, 수도세와, 시기별로 비용이 고정되는 제2 항목인 소방점검료, 엘리베이터 사용료, 미화관리료, 소독비와, 불규칙적으로 추가되는 제3 항목인 하자보수 공사비, 부품교체비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관리자 단말(200)에 상기 제1 항목에 대해서는 그룹 관리비용 설정없이 비용설정 버튼(313)을 표시하고, 제2 항목에 대해서는 고정된 그룹 관리비용(31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3 항목에 대해서는 별도로 추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해당 시기(ex 2월)에 필요한 경우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추가 버튼(314)을 통해 제3 항목 및 그룹 관리 비용을 추가하도록 할 수 있다.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AI 모듈을 통해 상기 제3 항목이 자주 입력되는 시기(ex 12개월 중 3월에 제3 항목이 입력되는 비중이 50%이상인 경우, 3월로 설정)를 분석한 뒤, 해당 시기가 다시 도래한 경우 제3 항목 및 그룹 관리 비용을 상기 관리자의 설정없이도 미리 추가해 놓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311) 각각에 대해서 전체 세대 각각에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315)을 산출할 수 있다(S220).
구체적으로, 상기 세대별 관리비용(315)은 어느 하나의 그룹 관리비용(311)을 전체 세대에 대해 구분하여 부과할 때, 어느 한 세대에 부과되는 관리비용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200)에는 관리비 항목(310) 옆에 상세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세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도 4(b)와 같은 상세 내역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상세 내역은 그룹 관리비용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315), 청구해야하는 전체 금액으로서의 그룹 관리비용(316), 상기 그룹 관리비용이 부과될 세대 수(317), 세대별 관리비용(318)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공동전기세가 세대별로 동일하게 부과된다고 할 때, 그룹 관리비용(316)이 119,000원이고 부과세대수(317)가 15세대인 경우, 상기 세대별 관리비용(318)은 119,000/15 = 약 7940 원에 해당할 것이다.
또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해당 관리비 항목(ex 공동전기세)을 부과하지 않을 세대가 있는 경우, 관리자로 하여금 단말(200)을 통해 상기 부과 제외 세대 버튼(319)을 입력하도록 하고, 연결된 페이지에서 특정 세대를 제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된 페이지에는 세대에 대응하는 심볼이 존재하고, 제외할 세대에 대응하는 심볼에 별도의 표시(ex 색깔 다르게)를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엘리베이터 사용료 미부과 세대에 대응하는 특정 심볼을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특정 심볼의 색깔을 다르게 표시하는 것과 동일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관리비 항목이 인원수별로 부과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서, 특정 관리비 항목(ex 수도세)은 세대 인원 수를 기초로 부과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특정 관리비 항목이 인원수별로 부과되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 있다(도 5(a) 참조).
특정 관리비 항목이 인원수별로 부과된다고 확인한 경우,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전체 세대 각각에 대한 인원수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관리자로 하여금 단말(200)을 통해 각 세대에 대한 인원수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a) 참조하면 확인할 수 있듯이, 특정 관리비 항목(ex 수도세)에 대응하는 특정 그룹 관리비용(ex 150,000)을 획득한 상태에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특정 그룹 관리비용을 전체 세대 각각에 대한 인원수를 기초로 분할하고 AI 모듈을 통해 복수의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도세의 그룹 관리비용이 150,000원이고, 각 세대 인원수로 101호-3명, 102호-4명, 201호-3명 및 501호-1명(도 4(b) 참조 - 전체 인원수는 27명)이라고 할 때, 101호에 대한 수도세의 세대별 관리비용은 150,000 x 3/27 = 16.667원, 102호에 대한 수도세의 세대별 관리비용은 150,000 x 4/27 = 22.222원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전체 세대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전체 세대 각각으로부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230).
참고로, 관리비용 고지서를 발송한 후에는 발송완료 표시가 디스플레이되어,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관리비용 고지서의 발송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채널(ex 카카오톡)로 발송하였으나 발송 실패로 확인된 세대의 단말에 대해서는 다른 채널(ex 문자메시지)을 통해 관리비용 고지서를 재발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310) 각각에 대한 그룹 관리비용(311)을 분할하고, AI 모듈을 통해 전체 세대 각각에 대한 세대별 관리비용(318)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 세대에는 상기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310) 각각에 대한 세대별 관리비용(318)이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되어 청구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특정 세대(ex 301호)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는 특정 세대에 부과된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310)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특정 세대별 관리비용(318)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특정 세대별 관리비용의 합인 특정 전체 청구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비용 고지서에 공동전기세 16,880원, 수도세 4180원, 청소비(미화관리료) 14,700원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이들의 합인 35760원이 특정 전체 청구 금액으로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정 세대에 대한 관리비용 고지서는 납부 기한(ex 2022년 3월 3일까지), 납부 은행, 납부 계좌, 예금주명, 특정 세대의 인원 수(ex 3명) 및 미납 관리 비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각 세대에 대응하는 각 블록에 입금 완료 또는 미납 등으로 표시하여 어느 세대에서 관리비용을 미납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대개,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전체 세대 모두 각각에 대해 관리비용 고지서를 한 번에 전송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 세대가 아닌 일부 세대에 대해서만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전 달까지의 관리비용 중 미납한 사례가 있는 세대가 존재하는 경우,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미납 세대만을 필터링하여 선정할 수 있고, 본래 전체적으로 관리비용 고지서를 발송하는 시기보다 소정 기간(ex 일주일) 빠른 시점에 상기 미납한 세대에 대해 이전 관리비용 고지서를 미리 발송할 수 있다. 즉, 독촉 알림 메시지(이전 관리비용 고지서 포함)를 송부하는 것이다.
또한,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AI 모듈을 이용하여 이전 달까지의 관리비용 중 일정 수치(ex 2번) 이상 미납한 사례가 있는 미납 우려 세대 또는 이전 미납 여력이 있는 미납 세대를 산출하고, 해당 세대(미납 우려 세대, 미납 세대)에 대해서는 SNS 또는 문자 메시지 등으로 독촉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에서는, 관리자로 하여금 단말(200)을 이용하여 공동 공과금 고지서에 기재된 납부 요금을 용이하게 납부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관리자 단말(300)로 하여금 공동 공과금 고지서(ex 공동 전기세, 수도세 등)에 대하여 OCR 기능을 이용하여 납부 요금, 가상계좌 또는 전자납부번호 등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동 전기세, 수도세 등의 고지서 형태가 다른 경우에도 OCR 기능을 통해 납부 요금, 가상계좌 또는 전자납부번호 등을 인식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금융/PG사 서버를 통해 즉시 수동납부(ex toss) 또는 자동납부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직접 은행 앱 또는 은행 창구를 방문하지 않고, 상기 공동 공과금 고지서에 기재된 납부 요금을 납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입주자 관리 서버(100)의 프로세서(120) 또는 입주자 관리 앱(300)은, 입주자(세대) 각각으로 하여금 SNS(ex 카카오톡) 또는 문자로 받은 관리비용 고지서를 단말을 통해 확인하도록 하고, 금융/PG사 서버를 통해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즉시 수동 납부(ex toss)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입주자 역시 은행 앱 또는 은행 창구를 방문하지 않고, 관리비용 고지서에 기재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납부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입주자 관리 서버
110 : 통신부
120 : 프로세서
130 : 데이터베이스
200 : 관리자 단말
300 : 입주자 관리 앱
310 :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311 : 그룹 관리비용
312 : 삭제 입력 버튼
313 : 비용설정 버튼
314 : 추가 버튼
315 : 세대별 관리비용
316 : 그룹 관리비용(청구용)
317 : 그룹 관리비용이 부과될 세대 수(청구용)
318 : 세대별 관리비용(청구용)
319 : 부과 제외 세대 버튼

Claims (8)

  1.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지 내 입주자를 관리하는 입주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는 입주자 관리 앱이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상태에서,
    (a)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이, 단지명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하는 단계;
    (b)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이, 복수의 시기마다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 각각에 대해서 전체 세대 각각에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은,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상기 전체 세대 각각으로부터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단지에 포함된 전체 건물 동수를 획득하고, 상기 관리자로 하여금 단말을 통해 전체 건물 동 각각에 대해 존재하는 세대 정보 및 엘리베이터의 존재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초기 설정을 완료하며,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은,
    상기 관리자 단말에 상기 전체 건물 동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대를 심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엘리베이터 사용료 미부과 세대에 대응하는 특정 심볼을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심볼의 색깔을 다른 심볼들과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대 중에서 상기 특정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들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은,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 내 각 층의 버튼이 클릭되는 횟수를 획득하고, 제1 소정 수치 이상으로 특정 층의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특정 층의 각 세대에 추가 수수료를 더한 금액을 상기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으로 부과하며,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 내 각 층의 버튼이 클릭되는 횟수는 상기 버튼이 클릭된 후 취소되는 경우를 제외하기 위해 상기 버튼이 클릭된 후 상기 엘리베이터가 해당 층에 도착하였을 경우를 카운팅한 횟수에 해당하고,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은,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특정 층 도착 직후 소정 기간 동안 어느쪽 조명이 제2 소정 수치 이상으로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되는지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특정 층에서도 어느 세대가 엘리베이터 사용량이 많은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특정 관리비 항목이 세대 인원 수를 기초로 부과되는 것으로 확인한 경우, 상기 입주자 관리 서버 또는 상기 입주자 관리 앱은,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한 인원수를 획득하고,
    상기 특정 관리비 항목에 대응하는 특정 그룹 관리비용을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한 인원수를 기초로 분할하여 복수의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특정 세대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는 납부 기한, 납부 계좌, 상기 특정 세대의 인원 수, 상기 특정 세대에 부과된 상기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특정 세대별 관리비용, 상기 복수 개의 특정 세대별 관리비용의 합인 특정 전체 청구 금액 및 미납 관리 비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은 시기별로 비용이 변동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그룹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관리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데이터베이스; 및
    단지명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하고, 복수의 시기마다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 각각에 대해서 전체 세대 각각에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상기 전체 세대 각각으로부터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서버는,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단지에 포함된 전체 건물 동수를 획득하고, 상기 관리자로 하여금 단말을 통해 전체 건물 동 각각에 대해 존재하는 세대 정보 및 엘리베이터의 존재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초기 설정을 완료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에 상기 전체 건물 동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대를 심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엘리베이터 사용료 미부과 세대에 대응하는 특정 심볼을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심볼의 색깔을 다른 심볼들과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대 중에서 상기 특정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들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 내 각 층의 버튼이 클릭되는 횟수를 획득하고, 제1 소정 수치 이상으로 특정 층의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특정 층의 각 세대에 추가 수수료를 더한 금액을 상기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으로 부과하며,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 내 각 층의 버튼이 클릭되는 횟수는 상기 버튼이 클릭된 후 취소되는 경우를 제외하기 위해 상기 버튼이 클릭된 후 상기 엘리베이터가 해당 층에 도착하였을 경우를 카운팅한 횟수에 해당하고,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특정 층 도착 직후 소정 기간 동안 어느쪽 조명이 제2 소정 수치 이상으로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되는지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특정 층에서도 어느 세대가 엘리베이터 사용량이 많은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서버.
  8.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앱에 있어서,
    단지 내 입주자를 관리하는 입주자 관리 서버와 연동되고, 관리자 단말에 설치되며,
    단지명을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획득하고 초기 설정을 완료하고, 복수의 시기마다 복수 개의 관리비 항목 및 이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 개의 그룹 관리비용 각각에 대해서 전체 세대 각각에 부과된 세대별 관리비용을 산출하며, 상기 전체 세대 각각에 대응하는 단말에 매칭하는 관리비용 고지서를 전송하고, 상기 전체 세대 각각으로부터 상기 관리비용 고지서에 포함된 전체 청구 금액이 입금되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상기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앱은,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상기 단지에 포함된 전체 건물 동수를 획득하고, 상기 관리자로 하여금 단말을 통해 전체 건물 동 각각에 대해 존재하는 세대 정보 및 엘리베이터의 존재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초기 설정을 완료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에 상기 전체 건물 동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대를 심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관리자로 하여금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엘리베이터 사용료 미부과 세대에 대응하는 특정 심볼을 선택하도록 하여, 상기 선택된 특정 심볼의 색깔을 다른 심볼들과 다르게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대 중에서 상기 특정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들에 대해서는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 내 각 층의 버튼이 클릭되는 횟수를 획득하고, 제1 소정 수치 이상으로 특정 층의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특정 층의 각 세대에 추가 수수료를 더한 금액을 상기 엘리베이터 사용료 금액으로 부과하며,
    상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엘리베이터 내 각 층의 버튼이 클릭되는 횟수는 상기 버튼이 클릭된 후 취소되는 경우를 제외하기 위해 상기 버튼이 클릭된 후 상기 엘리베이터가 해당 층에 도착하였을 경우를 카운팅한 횟수에 해당하고,
    상기 엘리베이터가 상기 특정 층 도착 직후 소정 기간 동안 어느쪽 조명이 제2 소정 수치 이상으로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변경되는지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특정 층에서도 어느 세대가 엘리베이터 사용량이 많은지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앱.
KR1020220036203A 2022-03-23 2022-03-23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47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203A KR102471981B1 (ko) 2022-03-23 2022-03-23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203A KR102471981B1 (ko) 2022-03-23 2022-03-23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1981B1 true KR102471981B1 (ko) 2022-11-29

Family

ID=84235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203A KR102471981B1 (ko) 2022-03-23 2022-03-23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1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328B1 (ko) * 2023-02-01 2023-11-29 (주) 한국주택정보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036A (ko) * 2009-11-19 2011-05-25 김현영 세대별 엘리베이터 차등 과금 서비스
KR20190007951A (ko) *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모바일 앱을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347343B1 (ko) * 2021-03-26 2022-01-05 주식회사 아이티로 실내 공간의 실시간 관리 비용 산출 및 정보 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5036A (ko) * 2009-11-19 2011-05-25 김현영 세대별 엘리베이터 차등 과금 서비스
KR20190007951A (ko) *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모바일 앱을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347343B1 (ko) * 2021-03-26 2022-01-05 주식회사 아이티로 실내 공간의 실시간 관리 비용 산출 및 정보 활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328B1 (ko) * 2023-02-01 2023-11-29 (주) 한국주택정보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981B1 (ko)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047019B1 (ko) 공동주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06209B1 (ko) 임대주택 원상복구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1693354B1 (ko) 부동산 임대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233926B1 (ko) 아파트 통합 관리 시스템
JPWO2013108451A1 (ja) 生産実績評価処理システム、生産実績評価処理方法
KR101658109B1 (ko) 입주민 주거 생활 안정을 위한 부동산 관리 시스템
JP5336981B2 (ja) 会議室予約支援装置および会議室予約支援方法
CN108182645A (zh) 云能源管理系统
CN104700334A (zh) 一种房产交易税收一体化房屋评估价方法
CN104537006A (zh) 一种新型房产全景展示方法
JP3187701U (ja) 居住者生活支援システム
KR20190142561A (ko) 집합건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59351B1 (ko)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웹 기반의 스마트 건물 관리 시스템
CN112424817B (zh) 节电辅助系统、远程管理装置和节电辅助方法
JP2012014538A (ja) 住宅維持管理情報収集システムおよび住宅維持管理情報収集プログラム
US8433600B2 (en) Configurabl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ies
JP2009042809A (ja) 価格設定システム及び価格設定方法並びに価格設定プログラム
Plimmer et al. Property taxation for developing economies
KR101878261B1 (ko) 임대사업자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0697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공동건물 시설관리 시스템
TWI383331B (zh) 社區管理互動平台
KR20200123963A (ko) 상가 임대 관리 방법
US20210133901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lassification of a tangible property expenditure
KR102175455B1 (ko) 건물관리 자동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