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328B1 -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328B1
KR102607328B1 KR1020230013626A KR20230013626A KR102607328B1 KR 102607328 B1 KR102607328 B1 KR 102607328B1 KR 1020230013626 A KR1020230013626 A KR 1020230013626A KR 20230013626 A KR20230013626 A KR 20230013626A KR 102607328 B1 KR102607328 B1 KR 102607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fee
data
fixed
fee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백수
박진기
유성국
이윤곤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주택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주택정보 filed Critical (주) 한국주택정보
Priority to KR102023001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7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2Bill distribution or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은 건물에 포함된 복수의 세대 중 적어도 일부 세대에 각각 부과할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는 데 이용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건물의 일월 분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고정 관리비는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고,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고정 관리비에 제1 추가 항목과 연관된 추가 고정 관리비가 더해지도록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변동 관리비는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고,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변동 관리비에 제2 추가 항목과 연관된 추가 변동 관리비가 더해지도록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를 각각 수정하여, 일부 세대 중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고정 관리비 및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최종 고정 관리비와 최종 변동 관리비를 더하여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최종 관리비에 제3 추가 항목에 대한 제3 추가 관리비를 빼거나 또는 더하여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고지 총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ALCULATING MAINTENANCE CHARGE}
본 개시는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디딤돌) 소규모 건물에 대한 에너지 데이터 수집 플랫폼 구축 및 탄소 배출량 분석 모델 개발(과제번호: S3308343, 연구기간: 2022.07.01. ~ 2023.06.30.)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서 한국 정부의 재산 이익은 없다.
종래 소규모 건물의 관리비는 수기로 관리되고 있으며 표준화된 방법이 부재하여 입주민과 관리자에 불편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소통을 야기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항목별 관리비 부과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은 건물에 포함된 복수의 세대 중 적어도 일부 세대에 각각 부과할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는 데 이용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제1 데이터는 임시 관리비로부터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기 위한 어림 방법 및 절삭 단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 건물의 일월 분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고정 관리비는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고,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고정 관리비에 제1 추가 항목과 연관된 추가 고정 관리비가 더해지도록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변동 관리비는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고,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변동 관리비에 제2 추가 항목과 연관된 추가 변동 관리비가 더해지도록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를 각각 수정하여, 일부 세대 중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고정 관리비 및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최종 고정 관리비와 최종 변동 관리비를 더하여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최종 관리비에 제3 추가 항목에 대한 제3 추가 관리비를 빼거나 또는 더하여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고지 총액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를 각각 수정하여, 일부 세대 중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고정 관리비 및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는, 제2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관리비를 일부 세대의 개수로 나누어,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임시 고정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제1 데이터를 기초로 임시 고정 관리비의 절삭 단위에 대하여 어림 방법에 따른 어림을 수행하여 최종 고정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제2 데이터를 기초로 변동 관리비를 일부 세대의 개수로 나누어,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임시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제1 데이터를 기초로 임시 변동 관리비의 절삭 단위에 대하여 어림 방법에 따른 어림을 수행하여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은,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하여 추가 액수를 할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경우, 추가 고정 관리비와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한 추가 액수의 총합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한 결과 추가 고정 관리비가 추가 액수의 총합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것을 기초로, 고정 관리비에 더해진 추가 고정 관리비가 추가 액수의 총합으로 변경되도록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는 최종 관리비의 고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고지 총액을 확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고지일 이전에 수신된 경우, 고지일에 고지 총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데이터가 임의의 한 세대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는 최종 관리비의 고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고지 총액을 확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고지일 당일 또는 고지일 이후에 수신된 경우, 고지 총액을 확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날에 고지 총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데이터가 임의의 한 세대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는 최종 관리비의 납입 기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납입 기한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일수보다 빠른 날 이전에, 고지 총액을 위한 가상 계좌가 생성된 외부 서버로부터 가상 계좌로 고지 총액이 입금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고지 총액의 입금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임의의 한 세대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소규모 주택의 관리자는 관리비 정산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소규모 주택의 입주민은 관리자의 관리비 정산을 감독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관리비 조회 및 수납이 가능하여 관리비 납부에 있어 관리자 및 입주민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물 별 관리비 부과 기준이 설정된 관리자 단말의 제1 화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별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관리자 단말의 제2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별 변동 관리비가 미리 결정된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어 표시된 관리자 단말의 제3 화면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의 제4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의 제5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세대를 위한 고지 총액이 산출된 관리자 단말의 제6 화면을 나타낸다.
도 10a 및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시스템(100)(이하, '시스템'이라 한다)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관리비 정산 및/또는 고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110), 건물(120)을 관리하는 사용자의 관리자 단말(122), 건물(120)에 거주중인 사용자의 거주자 단말(124) 및 복수의 기관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건물(120)과 연관된 거주자 단말(124)이란 건물(120)에 포함된 하나의 가구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122)은 건물(120)을 소유한 자의 단말 및/또는 시설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을 지칭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22)은 복수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로부터 에너지 소비에 따라 발생한 관리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122)은 복수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 각각으로부터 에너지 유형(예를 들어, 전기, 수도, 가스 등) 별 관리비 관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관리자 단말(122)은 로컬 서버(140 내지 160)으로부터 획득한 관리비 관련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의 건물(120)에서 발생하는 공용 관리비 및/또는 건물(120)내 세대 별 관리비 등을 산출하고, 산출된 관리비를 거주자 단말(124)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의 구현을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11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도 1의 관리자 단말(122) 및/또는 거주자 단말(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관리비 정산 및/또는 고지 서비스를 위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에 의해 제공되는 관리비 정산 및/또는 고지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되어 등을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를 이용하는 사용자(즉, 관리자 및 거주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비 정산 및/또는 고지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은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통계 분석 등과 연관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1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11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각각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복수의 스마트폰이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세 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1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1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입력 장치 등에 의하여 획득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프로세서 등에 의하여 가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네트워크(220)를 통해 다른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21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거주자 단말 및/또는 관리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은 관리비 정산 및/또는 고지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의 관리자 단말(122) 및/또는 거주자 단말(1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1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관리비 정산 및/또는 고지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316, 336)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11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11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2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수단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 경우, 입출력 장치(320)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2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정보 처리 시스템(11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11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마이크 모듈,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2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110) 각각에서 관리비 정산 및/또는 고지를 위한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 334)는 각각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와 연결된 입출력 장치(320, 340)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수치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수치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12, 33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3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서로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34)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예: 관리비, 입주민 등과 연관된 정보의 입력, 관리비 납부 요청에 대한 응답 입력 등) 및 해당 사용자 입력에 따른 로그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334)는 네트워크(220)와 연결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등으로부터 사용자 단말(210)의 관리비 정산 및/또는 고지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 및/또는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건물 별 관리비 부과 기준이 설정된 관리자 단말(예: 관리자 단말(122))의 제1 화면(400)을 나타낸다. 여기서, 관리비 부과 기준은 특정 건물의 '관리비'를 산출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관리비 부과 기준은 '관리비'를 입주민에 고지하는 시기 및/또는 '관리비'의 입금 기한과 연관된 정보를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관리비를 산출하는 데 이용되는 정보, 관리비를 입주민에 고지하는 시기 및/또는 관리비의 입금 기한과 연관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어림 방법(여기서, '어림'), 절삭 단위, 고지일 및 납부 마감일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에 포함되거나 또는 연결된 입력 장치(예: 입출력 장치(32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어림 방법은 수(예를 들어, 관리비의 액수)에서 특정 단위 이하의 값이 0이 되도록 해당 액수를 근사화하는 것을 지칭하며, 어림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통상의 버림, 반올림 또는 올림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절삭 단위는 수에서 특정 단위 보다 낮은 단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례로 13,789원의 절삭 단위를 10원으로 하여 어림한 수는, 어림 방법이 버림, 반올림 및 올림인 경우 각각, 13780, 13790 및 13790 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별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 관리자 단말의 제2 화면(500)을 나타낸다. 관리자 단말(예: 관리자 단말(120))의 프로세서는 건물의 일월 분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관리자 단말과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 해당 건물의 일월 분 고정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관리자 단말과 연결된 로컬 서버(예: 도 1의 로컬 서버(140 내지 160))로부터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서버는 에너지 사용에 따른 관리비를 정산하는 기관의 서버를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특정 건물에 포함된 복수의 세대 중 관리비 고지 대상인 일부 세대를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관리자 단말과 연결된 입력 장치를 통해 해당 건물의 세대 별 입주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관리자 단말의 메모리(예: 메모리(332))로부터 해당 건물의 세대 별 입주 현황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관리비가 고지되는 해당 월의 입주민 정보, 관리비가 고지되는 해당 월의 입주민 변경 정보 등)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세대 별 입주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건물 내 복수의 세대 중 관리비 고지 대상인 일부 세대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인 '관리비책 오피스텔 1'의 복수의 세대는 101호 내지 105호, 201호 내지 205호 및 301 내지 305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를 참고하면, 프로세서는 '관리비책 오피스텔 1'의 복수의 세대 중, 세대 별 입주 현황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초로, 관리비 고지 대상인 일부 세대로 101호 내지 104호, 201호 내지 204호 및 301호가 추출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세대 별 입주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기초로, 관리비가 고지되는 해당 월의 입주민이 제1 입주민에서 제2 입주민으로 변경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입주민의 사용자 단말로 관리비의 승계 여부 회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제2 입주민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리비 승계 승인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입주민이 해당 월에 거주하는 동안 산출된 고정 관리비 및/또는 변동 관리비를 제2 입주민이 해당 월에 거주하는 동안 산출된 고정 관리비 및/또는 변동 관리비에 각각 더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비를 승계한 제1 입주민 및 제2 입주민 각각에 대한 고정 관리비 및/또는 변동 관리비는 거주 일수에 따라 일할로 산출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는 제2 입주민의 사용자 단말로 관리비 승계 거절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입주민이 해당 월에 거주하는 동안 산출된 고정 관리비 및/또는 변동 관리비와 제2 입주민이 해당 월에 거주하는 동안 산출된 고정 관리비 및/또는 변동 관리비를 각각 제1 입주민과 제2 입주민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당월 입주민이 변경되지 않은 상황에서 관리비를 정산하는 다음 단계의 방법이 후술되나, 해당 방법은 상술한 제1 입주민 및 제2 입주민에 대한 관리비 정산 방법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별 변동 관리비가 미리 결정된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어 표시된 관리자 단말(예: 관리자 단말(122))의 제3 화면(600)을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관리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변동 관리비의 총액을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변동 관리비의 총액 724,020(원)을, 공용 전기료 항목의 총액 362,020(원)과 공동 수도 사용료 항목의 총액 362,020(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항목 별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는 각각 서로 다른 외부 기관의 로컬 서버로부터 각각 획득된 데이터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예: 관리자 단말(122))의 제4 화면(700)을 나타낸다. 도 7을 참고하면, 관리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미리 결정된 변동 관리비의 항목(들)에 특정 항목(또는, '추가 항목'이라 한다)을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특정 항목의 추가 변동 관리비를 세대 별로 분할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추가 변동 관리비를 세대 별로 분할하는 방법은 초기값으로 도 7과 같이 '세대 분할'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빌라나 오피스텔과 같은 소규모 주택에서는, 에너지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변동 관리비의 일부를 입주민 전체에 균등하게 분배하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란 추가 변동 관리비의 액수를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도 있다.
프로세서는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경우, 변동 관리비에 추가 항목과 연관된 추가 변동 관리비가 더해지도록 데이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변동 관리비 724,020(원)에 사용자 입력에 따라 획득된 추가 항목인 공용 가스 사용료와 연관된 추가 고정 관리비 362,020(원)이 더해지도록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도 5의 설명 참조)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건물 관리자는 추가 항목의 고정 관리비(여기서, 공용 가스 사용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의 전송처인 로컬 서버로부터 획득하지 못 한 시점에도, 관리비 고지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특정 항목의 추가 변동 관리비를 세대 별로 분할하는 방법으로 '세대 분할'이 선택된 예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 항목의 추가 변동 관리비를 세대 별로 분할하는 방법으로 '수기 분할'이 선택될 수 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관리자 단말(예: 관리자 단말(122))의 제5 화면(800)을 나타낸다. 도 8을 참고하면, 관리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미리 결정된 고정 관리비의 항목(들)에 특정 항목(또는, '추가 항목'이라 한다)을 추가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특정 항목의 추가 고정 관리비를 세대 별로 분할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관리비 고지 대상인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하여 추가 액수(즉, 세대 별 추가 고정 관리비)를 할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추가 고정 관리비를 세대 별로 분할하는 방법은 초기값으로 도 8과 같이 '수기 분할'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빌라나 오피스텔과 같은 소규모 주택에서, 임의의 세대에 특정 항목의 추가 고정 관리비를 고지할 지 여부는, 해당 세대 내에서 특정 설비(또는, 서비스) 사용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 8과 같이 건물 전체의 '전산사용료'는 세대 내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입주민에게만 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관리비 고지 대상인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하여 추가 액수를 할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도 8과 같이 세대 별로 추가 항목의 추가 고정 관리비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고정 관리비의 추가 항목을 기초로 해당 추가 항목의 추가 고정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된 고정 관리비의 추가 항목을 기초로, 메모리(예: 메모리(312))로부터 미리 결정된 추가 고정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가 항목이 전산 사용료로 결정된 것에 응답하여, 전산 사용료의 추가 고정 관리비 55,000(원)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특정 건물에서 달마다 발생하는 고정 관리비는 고정적이어서, 관리자가 사전에 특정 항목에 대한 고정 관리비를 관리자 단말에 저장해 놓기 때문이다. 따라서, 특정 추가 항목이 선택된 경우, 해당 추가 항목에 대한 추가 고정 관리비는 사용자의 입력 없이도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자동으로 획득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하여 추가 액수를 할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경우, 추가 고정 관리비와 일부 세대 각각에 할당된 추가 액수(즉, 세대별 추가 고정 관리비)의 총합을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비교한 결과 추가 고정 관리비가 추가 액수의 총합보다 크다고 판단한 것을 기초로, 고정 관리비에 이미 더해진 추가 고정 관리비를 추가 액수의 총합으로 변경(즉,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고하면, 프로세서는 고정 관리비(여기서, '반영 후 고정비 총액') 1,141,060(원)에 더해진 전산 사용료의 추가 고정 관리비 55,000(원)을, 각 세대에 할당된 전산 사용료의 총 액수 6,870(원)*8 = 54,960(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리자는 수기 입력에 의해 입주민들에게 초과 금액이 청구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세대를 위한 고지 총액이 산출된 관리자 단말(예: 관리자 단말(120))의 제6 화면(900)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관리자 단말의 프로세서는 도 4의 설명에 따라 획득된 관리비 부과 기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하, '제1 데이터'라 한다)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8을 참고하면, 프로세서는 세대 별 고정 관리비 및 최종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이하, '제2 데이터'라 한다)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기초로 이미 획득된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를 각각 수정하여, 세대 별 최종 고정 관리비 및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제2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관리비를 상기 일부 세대의 개수로 나누어,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임시 고정 관리비를 산출한 후, 제1 데이터를 기초로 임시 고정 관리비의 절삭 단위에 대하여 어림 방법에 따른 어림을 수행하여 최종 고정 관리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제2 데이터를 기초로 변동 관리비를 일부 세대의 개수로 나누어,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임시 변동 관리비를 산출한 후, 제1 데이터를 기초로 임시 변동 관리비의 절삭 단위에 대하여 어림 방법에 따른 어림을 수행하여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최종 고정 관리비와 최종 변동 관리비를 더하여 세대 별 최종 관리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최종 고정 관리비 30,000(원)과 최종 변동 관리비 4,890(원)을 합하여 최종 관리비 34,890(원)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특정 세대에 대하여 최종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최종 관리비에 추가 항목에 대한 추가 관리비를 빼거나 또는 더하여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고지 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최종 관리비 34,890(원)에서 수리비 부담액 3000(원)을 빼는 비용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세대에 대한 고지 총액을 31,890(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전월(들)의 미납액 및 해당 미납액에 따라 발생한 연체료를 고지 총액에 추가적으로 반영하여 고지 총액을 산출할 수도 있다.
도 10a 및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1000)의 흐름도이다. 방법(1000)은 관리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에 포함된 복수의 세대 중 적어도 일부 세대에 각각 부과할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는 데 이용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100)로 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데이터는 임시 관리비로부터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기 위한 어림 방법 및 절삭 단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건물의 일월 분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200).
고정 관리비는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고, 프로세서는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고정 관리비에 제1 추가 항목과 연관된 추가 고정 관리비가 더해지도록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300).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변동 관리비는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고, 프로세서는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변동 관리비에 제2 추가 항목과 연관된 추가 변동 관리비가 더해지도록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400).
프로세서는,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를 각각 수정하여, 일부 세대 중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고정 관리비 및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할 수 있다(S1500).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최종 고정 관리비와 최종 변동 관리비를 더하여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관리비를 산출할 수 있다(S1600). 또한, 프로세서는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최종 관리비에 제3 추가 항목에 대한 제3 추가 관리비를 빼거나 또는 더하여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고지 총액을 산출할 수도 있다(S17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를 각각 수정하여, 일부 세대 중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고정 관리비 및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는, 제2 데이터를 기초로 고정 관리비를 일부 세대의 개수로 나누어,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임시 고정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제1 데이터를 기초로 임시 고정 관리비의 절삭 단위에 대하여 어림 방법에 따른 어림을 수행하여 최종 고정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제2 데이터를 기초로 변동 관리비를 일부 세대의 개수로 나누어,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임시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제1 데이터를 기초로 임시 변동 관리비의 절삭 단위에 대하여 어림 방법에 따른 어림을 수행하여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은,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하여 추가 액수를 할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경우, 추가 고정 관리비와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한 추가 액수의 총합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한 결과 추가 고정 관리비가 추가 액수의 총합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것을 기초로, 고정 관리비에 더해진 추가 고정 관리비가 추가 액수의 총합으로 변경되도록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는 최종 관리비의 고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고지 총액을 확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고지일 이전에 수신된 경우, 고지일에 고지 총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데이터가 임의의 한 세대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리자는 고지일 이전에 시간적 편의에 따라 관리비 정산을 마칠 수 있고, 정산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고지일 이전에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는 최종 관리비의 고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고지 총액을 확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고지일 당일 또는 고지일 이후에 수신된 경우, 고지 총액을 확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날에 고지 총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데이터가 임의의 한 세대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데이터는 최종 관리비의 납입 기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납입 기한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일수보다 빠른 날 이전에, 고지 총액을 위한 가상 계좌가 생성된 외부 서버로부터 가상 계좌로 고지 총액이 입금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고지 총액의 입금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임의의 한 세대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관리자는 기한 이전에 관리비를 납부하지 않은 입주민에게만 선택적으로 관리비 납부를 촉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앞선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개시를 행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예들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
비록 예시적인 구현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의 맥락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을 언급할 수도 있으나, 본 주제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디바이스들에서 또는 그들에 걸쳐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디바이스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핸드헬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관리비 정산 시스템
110: 정보 처리 시스템
120: 건물
122: 관리자 단말
124: 거주자 단말
140 내지 160: 복수의 로컬 서버

Claims (7)

  1. 건물에 포함된 복수의 세대 중 적어도 일부 세대에 각각 부과할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는 데 이용되는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데이터는 임시 관리비로부터 상기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기 위한 어림 방법 및 절삭 단위에 대한 정보와 상기 건물의 세대 별 입주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 -;상기 건물의 일월 분 고정 관리비 및 변동 관리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고정 관리비는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고, 상기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정 관리비에 제1 추가 항목과 연관된 추가 고정 관리비가 더해지도록 상기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 임의의 세대에 상기 제1 추가 항목과 연관된 상기 추가 고정 관리비를 고지할 지 여부는, 상기 임의의 세대 내에서 특정 서비스를 사용하는 지 여부를 기초로 결정되고, 상기 추가 고정 관리비를 세대 별로 분할하는 방법은 상기 추가 고정 관리비 고지 대상인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하여 추가 액수를 할당하는 수기 분할 방법이 초기값으로 결정됨 -;
    상기 변동 관리비는 미리 결정된 하나 이상의 항목 각각에 대한 액수로 구분되고, 상기 변동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변동 관리비에 제2 추가 항목과 연관된 추가 변동 관리비가 더해지도록 상기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 상기 추가 변동 관리비를 세대 별로 분할하는 방법은 입주민 전체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세대 분할 방법이 초기값으로 결정됨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정 관리비 및 상기 변동 관리비를 각각 수정하여, 상기 일부 세대 중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고정 관리비 및 상기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최종 고정 관리비와 상기 최종 변동 관리비를 더하여 상기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상기 최종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상기 최종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최종 관리비에 제3 추가 항목에 대한 제3 추가 관리비를 빼거나 또는 더하여 상기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고지 총액을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정 관리비 및 상기 변동 관리비 각각을 수정하는 단계는,
    상기 세대 별 입주 현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관리비가 고지되는 해당 월의 입주민이 제1 입주민에서 제2 입주민으로 변경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입주민의 사용자 단말로 관리비의 승계 여부 회신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입주민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리비 승계 거절을 수신하는 경우, 제1 고정 관리비 및 제1 변동 관리비를 상기 제1 입주민에 할당하고, 제2 고정 관리비 및 제2 변동 관리비를 상기 제2 입주민에 할당하는 단계 - 상기 제1 고정 관리비, 상기 제1 변동 관리비, 상기 제2 고정 관리비 및 상기 제2 변동 관리비는 상기 제1 입주민 및 상기 제2 입주민의 거주 일수에 따라 산출됨 -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및 상기 제2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정 관리비 및 상기 변동 관리비를 각각 수정하여, 상기 일부 세대 중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최종 고정 관리비 및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고정 관리비를 상기 일부 세대의 개수로 나누어, 상기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임시 고정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임시 고정 관리비의 상기 절삭 단위에 대하여 상기 어림 방법에 따른 어림을 수행하여 최종 고정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2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변동 관리비를 상기 일부 세대의 개수로 나누어, 상기 임의의 한 세대를 위한 임시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임시 변동 관리비의 상기 절삭 단위에 대하여 상기 어림 방법에 따른 어림을 수행하여 최종 변동 관리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관리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상기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하여 상기 추가 액수를 할당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추가 고정 관리비와 상기 일부 세대 각각에 대한 상기 추가 액수의 총합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한 결과 상기 추가 고정 관리비가 상기 추가 액수의 총합 보다 크다고 판단한 것을 기초로, 상기 고정 관리비에 더해진 상기 추가 고정 관리비가 상기 추가 액수의 총합으로 변경되도록 상기 제2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최종 관리비의 고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고지 총액을 확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상기 고지일 이전에 수신된 경우, 상기 고지일에 상기 고지 총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데이터가 상기 임의의 한 세대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최종 관리비의 고지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고지 총액을 확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상기 고지일 당일 또는 상기 고지일 이후에 수신된 경우, 상기 고지 총액을 확정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날에 상기 고지 총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4 데이터가 상기 임의의 한 세대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최종 관리비의 납입 기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납입 기한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일수보다 빠른 날 이전에, 상기 고지 총액을 위한 가상 계좌가 생성된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계좌로 상기 고지 총액이 입금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고지 총액의 입금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상기 임의의 한 세대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
  7.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소규모 주택을 위한 관리비 정산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30013626A 2023-02-01 2023-02-01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KR102607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626A KR102607328B1 (ko) 2023-02-01 2023-02-01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3626A KR102607328B1 (ko) 2023-02-01 2023-02-01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7328B1 true KR102607328B1 (ko) 2023-11-29

Family

ID=8896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3626A KR102607328B1 (ko) 2023-02-01 2023-02-01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73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951A (ko) *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모바일 앱을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90084705A (ko) * 2018-01-09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사 곱셈기를 구비하는 뉴럴 네트워크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온 칩
KR102347343B1 (ko) * 2021-03-26 2022-01-05 주식회사 아이티로 실내 공간의 실시간 관리 비용 산출 및 정보 활용 시스템
KR102471981B1 (ko) * 2022-03-23 2022-11-29 주식회사 블로켓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951A (ko) *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임진에스티 모바일 앱을 이용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 플랫폼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20190084705A (ko) * 2018-01-09 2019-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사 곱셈기를 구비하는 뉴럴 네트워크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온 칩
KR102347343B1 (ko) * 2021-03-26 2022-01-05 주식회사 아이티로 실내 공간의 실시간 관리 비용 산출 및 정보 활용 시스템
KR102471981B1 (ko) * 2022-03-23 2022-11-29 주식회사 블로켓 Ai를 이용하여 입주자에 대한 관리비용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0271B2 (en) Method or system for management of a device for energy consumption by applying blockchain protocol
US20140164620A1 (en) Cloud-shared resource providing system
CN114666333B (zh) 一种基于多租户理论面向云计算资源调度问题的控制方法
CN104468136A (zh) 计费方法、分析中心和计费中心
US20230069836A1 (en) Blockchai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roperty loan information
CN104601624A (zh) 一种数据交互方法和装置
US20220300928A1 (en) Cloud Computing Metering and Charging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3516507A (zh) 一种多云管理平台资源计费方法及装置
CN111445299A (zh) 发票开具方法及设备
KR101306173B1 (ko) 보조금 사업 통합 관리 서버 및 방법
KR102607328B1 (ko) 소규모 주택의 관리비 정산 방법 및 시스템
JP6418428B1 (ja) 民泊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民泊管理支援方法
JP6305758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システムによる管理方法、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331196B1 (en)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of a network providing resource to a user
CN115695210A (zh) 云服务器部署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6469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ervice cost calculation method
CN114841673A (zh) 业务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4493756A (zh) 一种资源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062364B1 (en) Pricing usage of software products
CN110740052A (zh) 数据服务授权方法及系统、存储介质及管理平台
US20170351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oud service based on redistribution of processing power
KR101568693B1 (ko) 모바일 단말의 대여 서비스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13089099A (ja) アプリケーション利用管理システム
Dorokhova et al. Blockchain-Supported Framework for Charging Management of Electric Vehicles. Energies 2021, 14, 7144
EP425021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rmining data of energy uti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