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386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386B1
KR102471386B1 KR1020207019239A KR20207019239A KR102471386B1 KR 102471386 B1 KR102471386 B1 KR 102471386B1 KR 1020207019239 A KR1020207019239 A KR 1020207019239A KR 20207019239 A KR20207019239 A KR 20207019239A KR 102471386 B1 KR102471386 B1 KR 102471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bsorbent article
base
polymer particle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497A (ko
Inventor
가즈아키 오니시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6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13/5371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erformance of the layer, e.g. acquisition rate, distribution time, transfer ti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7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groo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흡수 코어(9)가, 두께 방향(T)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1 층(17) 및 제2 층(19)을 구비하고, 제1 층(17)이, 앞길(FP)에 배치된, (i)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25)로서,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후방(RD)의 위치에 종단(27)을 구비하고 있는 홈부(25)와, (ii) 종단(27)을 사이에 두고, 홈부(25)의 후방(RD)의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기부(29)를 구비하고, 제2 층(19)이, 홈부(25) 및 기부(29)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각각, 홈부 대응부(33) 및 기부 대응부(35)를 구비하고, 기부(29)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와, 기부 대응부(35)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홈부 대응부(33)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1).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개시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에서는, 뇨 등의 배설물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양호한 착용감을 실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개량이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되는 표면 시트,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되는 이면 시트, 및 양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세로 방향과 이것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가지며, 상기 흡수체는, 배설부 대응 영역의 피부 비접촉면측에, 평면 방향으로 비연속으로 점재하는 돌출 흡수부와, 상기 돌출 흡수부의 사이에서 세로 방향 및 폭 방향의 각각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통액 구조를 가지며, 상기 통액 구조는, 흡수체의 피부 비접촉면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우묵한 홈 형상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피부 접촉면측의 바닥부에 위치하는 오목부 흡수부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부 흡수부의 밀도가 상기 돌출 흡수부의 밀도보다 낮고, 상기 돌출 흡수부는, 그 피부 비접촉면측의 하부보다 피부 접촉면측의 상부의 면의 면적이 큰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흡수성 물품의 예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들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3036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는, 통액 구조를 형성하는 오목부 흡수부가,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폿적으로 공급되는 체액을 흡수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흡수체의 전체를 사용하여 체액을 흡수시키기 쉬운 구조를 갖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서, 뇨 등의 일시적으로 대량의 체액이 스폿적으로 공급되면, 체액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부 흡수부를 통과하여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후방으로 신속하게 이동함과 동시에, 오목부 흡수부에 미처 수용되지 못한 체액이 표면 시트의 표면을 흘러,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고간 영역 등에서 누설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자들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전방 및 후방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그리고 앞길 및 뒷길로 구획되고,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1 층 및 제2 층을 구비하고, 제1 층이, 상기 앞길에 배치된, (i)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로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후방의 위치에 종단을 구비하고 있는 홈부와, (ii) 상기 종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홈부의 상기 후방의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기부를 구비하고, 제2 층이, 상기 홈부 및 기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각각, 홈부 대응부 및 기부 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상기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을 발견하였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렵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체(7)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코어(9)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흡수 코어(9)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서의 체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에서의 체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2의 IX-IX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흡수 코어(9)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흡수 코어(9)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앞몸통 둘레 영역(FW), 뒤몸통 둘레 영역(RW) 및 고간 영역(C)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흡수 코어를 제조 가능한 제조 장치(201)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제조 장치(201)의 석션 드럼(205)의 외주면에 설치된 형부재(207)에 흡수성 재료가 퇴적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형부재(207)에 퇴적된 제1 적층체(217)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조 장치(201)의 석션 드럼(205)의 외주면에 설치된 형부재(207)에 흡수성 재료가 퇴적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정의]
ㆍ「평면시(平面視)」
본 명세서에서, 「평면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전개한 상태로 수평면 상에 놓은 대상물(예컨대, 흡수성 물품, 흡수체, 흡수 코어 등)을, 이들의 두께 방향의 상방 또는 하방측에서 보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대상물이 흡수성 물품인 경우는, 흡수성 물품을 전개한 상태로 표면 시트측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단순히 「평면시」라고 하는 경우가 있고, 그리고 대상물이 흡수 코어인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을 전개한 상태로 두께 방향으로 보는 것을 단순히 「평면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ㆍ「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
본 명세서에서, 「길이 방향」은, 「평면시에서의 세로로 긴 대상물의 길이의 긴 방향」을 가리키고, 「폭 방향」은, 「평면시에서의 세로로 긴 대상물의 길이의 짧은 방향」을 가리키고, 「두께 방향」은 「전개한 상태로 수평면 상에 놓은 대상물에 대하여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이들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으로 칭하는 경우에는, 각각,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의미한다.
ㆍ「길이 방향 축선」 및 「폭 방향 축선」
본 명세서에서, 「길이 방향 축선」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폭 방향 축선」은,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단순히 「길이 방향 축선」 및 「폭 방향 축선」으로 칭하는 경우에는, 각각,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축선」 및 「폭 방향 축선」을 의미한다.
ㆍ「전방」 및 「후방」
본 명세서에서, 「전방」 및 「후방」은, 각각, 길이 방향 중 착용자의 전면측 방향 및 배면측 방향을 의미한다.
ㆍ「피부 대향면(측)」 및 「피부 비대향면(측)」
본 명세서에서, 「피부 대향면측」은,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에서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근위측」을 의미하고, 그리고 「피부 비대향면측」은, 「흡수성 물품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 대향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원위측」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피부 대향면」 및 「피부 비대향면」은, 각각,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각종 부재(예컨대, 표면 시트, 흡수체, 이면 시트 등)의 「피부 대향면측의 표면」 및 「피부 비대향면측의 표면」을 의미한다.
ㆍ「앞길」 및 「뒷길」
본 명세서에서, 「앞길」 및 「뒷길」은 흡수성 물품의 구획이며, 「앞길」 및 「뒷길」은, 각각,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축선보다 전방의 영역 및 후방의 영역을 의미한다.
ㆍ「앞몸통 둘레 영역」, 「뒤몸통 둘레 영역」 및 「고간 영역(앞고간 영역 및 뒤고간 영역)」
본 명세서에서,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뒤몸통 둘레 영역」과 「고간 영역(앞고간 영역 및 뒤고간 영역)」은, 흡수성 물품이 일회용 기저귀인 경우에 이용되는 용어이며, 이들의 의의는 이하와 같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 영역은, 앞길 중, 앞길 및 뒷길을 접합하는 한쌍의 접합부 사이에 끼인 영역을 의미하고, 뒤몸통 둘레 영역은, 뒷길 중, 상기 한쌍의 접합부 사이에 끼인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고간 영역은,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평면에서 본 경우에, 앞몸통 둘레 영역과 뒤몸통 둘레 영역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고간 영역은 또한, 한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117)(도 14를 참조) 사이에 끼인 영역에 상당한다.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테이프 패스너용의 고정 영역(111)에, 한쌍의 테이프 패스너(109)의 선단(110)끼리 인접하도록 고정한 상태로, 앞몸통 둘레 영역(FW), 뒤몸통 둘레 영역(RW) 및 고간 영역(C)을 구획한다.
구체적으로는, 몸통 둘레 영역(FW+RW)은, 상기와 같이 고정한 상태로, 흡수성 물품(1) 중, 앞길의 몸통 둘레 형성 부재(113)와 뒷길의 몸통 둘레 형성 부재(114)가 중복되는 한쌍의 중복 부분(115)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앞몸통 둘레 영역(FW)은, 흡수성 물품(1)의 앞길 중 한쌍의 중복 부분(115)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뒤몸통 둘레 영역(RW)은, 흡수성 물품(1)의 뒷길 중 한쌍의 중복 부분(115)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고간 영역(C)은, 앞몸통 둘레 영역(FW)과 뒤몸통 둘레 영역(RW) 사이의 영역을 의미한다.
또, 고간 영역은, 앞길에 존재하는 「앞고간 영역」과 뒷길에 존재하는 「뒤고간 영역」으로 구획된다.
본 명세서에서, 「홈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를 의미하고, 그리고 상기 홈부는, 홈부의 축선이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길이 방향 축선과, 바람직하게는 45°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5° 미만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각도가 45° 이상이면, 홈부에 존재하는 체액이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기 어려워진다.
본 명세서에서, 홈부의 폭은, 홈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홈부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종(從)홈부」는, 상기 홈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홈부의 기단을 통해 연통하여 존재하는 홈부를 의미한다. 상기 종홈부는, 상기 홈부와 연통하는 부분(즉, 기단)에서, 상기 종홈부의 축선이 홈부의 축선과,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종홈부는, 직선형, 비직선형, 예컨대 만곡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종홈부의 폭은, 종홈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종홈부의 길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전방 및 후방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그리고 앞길 및 뒷길로 구획되고,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1 층 및 제2 층을 구비하고,
제1 층이, 상기 앞길에 배치된, (i)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로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후방의 위치에 종단을 구비하고 있는 홈부와, (ii) 상기 종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홈부의 상기 후방의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기부를 구비하고,
제2 층이, 상기 홈부 및 기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각각, 홈부 대응부 및 기부 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상기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
일반적으로, 뇨 등의 비교적 많은 양의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에서는, 스폿적으로 공급되는 체액을 흡수 코어의 전체에서 흡수시키기 위해,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설계가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설계의 하나로서,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홈부를 들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한번에 대량의 체액이 스폿적으로 공급되면, 흡수 코어가 미처 흡수하지 못한 체액이 흡수성 물품의 표면(액투과성 시트의 표면)을 통과하여, 흡수성 물품의 후방으로 단숨에 흘러가, 고간 영역에서 체액 누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소정의 홈부, 기부, 홈부 대응부 및 기부 대응부를 구비하고 있음과 더불어, 기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높다.
이하, 흡수성 물품의 표면에서 후방을 향해 흐르는 체액의 유속을 「표면 유속」으로 칭한다. 또한, 제1 층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흐르는 체액의 평균적인 유속을 「제1 층 평균 유속」으로 칭하고, 제1 층의 홈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흐르는 체액의 유속을 「제1 층 홈부 유속」으로 칭하고, 그리고 제1 층의 기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흐르는 체액의 유속을 「제1 층 기부 유속」으로 칭한다. 또한, 제2 층을 통과하여 후방으로 흐르는 체액의 평균적인 유속을 「제2 층 평균 유속」으로 칭하고, 제2 층의 홈부 대응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흐르는 체액의 유속을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으로 칭하고, 그리고 제2 층의 기부 대응부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흐르는 체액의 유속을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으로 칭한다.
제1 층 및 제2 층이, 각각, 피부측 및 착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재의 밀도가 낮은 홈부가 체액을 받아들여, 제1 홈부 유속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홈부가 받아들인 체액을, 상대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낮은 제2 층의 홈부 대응부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층의 홈부 대응부에서는, 체액을, 제1 층 홈부 유속보다 느린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으로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표면 유속, 제1 층 홈부 유속 및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 사이에는, 이하의 제1 관계식:
표면 유속>제1 층 홈부 유속>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
이 성립한다.
또한,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층의 홈부의 후방에는, 홈부보다 상대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높은 기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부가 홈부에 존재하는 체액을 일단 막음과 동시에, 기부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홈부에 존재하는 체액을 후방으로 제1 층 기부 유속으로 투과시키며, 홈부에 존재하는 체액을 일부 흡수한다. 또한, 제2 층의 홈부 대응부의 후방에는, 홈부 대응부보다 상대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높은 기부 대응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부 대응부가 홈부 대응부에 존재하는 체액을 일단 막음과 동시에, 홈부 대응부에 존재하는 체액을, 후방으로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으로 투과시키며, 기부 대응부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홈부 대응부에 존재하는 체액을 일부 흡수한다.
여기서, 표면 유속, 제1 층 기부 유속 및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 사이에는, 이하의 제2 관계식:
표면 유속>제1 층 기부 유속,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
이 성립한다.
이상으로부터, 표면 유속, 제1 층 평균 유속 및 제2 층 평균 유속 사이에는, 이하의 제3 관계식:
표면 유속>제1 층 평균 유속>제2 층 평균 유속
이 성립하고, 체액을 단계적으로 흡수 코어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층 및 제2 층이, 각각, 착의측 및 피부측에 배치된 경우에는, 체액을 제2 층의 홈부 대응부를 투과시키고 나서, 제1 층의 홈부로 이동시키는 것 외에는, 제1 식, 제2 식 및 제3 식의 관계를 갖기 때문에, 체액을 단계적으로 흡수 코어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체액을 제1 층의 홈부에 가둘 수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움직인 경우에도, 고간 영역(특히, 착용 시에 가장 낮은 위치가 되는 경우가 많은 뒤고간 영역)으로부터 누설이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렵다.
[양태 2]
상기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기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높은, 양태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2 층의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제1 층의 기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체액을 반복 흡수한 경우에, 제1 층 기부 유속 및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 사이에, 이하의 제4 관계식:
제1 층 기부 유속>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
이 성립하고, 제1 층 평균 유속과 제2 층 평균 유속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렵다.
[양태 3]
상기 홈부가,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홈부가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층의 홈부와 제2 층의 홈부 대응부의 경로를 길게 할 수 있고, 제1 층 홈부 유속과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을 느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표면 유속과, 제1 층 평균 유속 및 제2 층 평균 유속의 각각과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렵다.
[양태 4]
상기 홈부가, 상기 후방을 향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축선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양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홈부가, 후방을 향해,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 축선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유속과, 제1 층 평균 유속 및 제2 층 평균 유속의 각각과의 차를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체액을, 후방을 향해,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 축선, 즉,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중앙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렵다.
[양태 5]
제1 층이, 상기 홈부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를 더 구비하고,
제2 층이,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상기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양태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기부에 막혀 홈부에 체류하고 있는 체액을,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가 흡입하고, 이어서, 한쌍의 폭 방향 기부에서 미처 유지하지 못한 체액을,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보다 높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를 갖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가 빨아 올려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홈부 대응부, 폭 방향 기부 및 폭 방향 기부 대응부의 각각이, 소정량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홈부의 주위에 존재하는 폭 방향 기부 및 홈부 대응부의 팽윤이 억제되기 때문에, 홈부의 폭 방향에서의 길이 및 두께 방향에서의 높이를 유지하기 쉽고, 홈부의 통수 기능이 확보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이,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양태 6]
상기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양태 5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기 때문에, 체액을 반복 흡수한 경우에도, 홈부 대응부의 팽윤이 억제되고, 홈부 대응부가 체액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작용과, 두께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작용(특히, 제1 층이 착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이 저해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양태 7]
상기 홈부가, 상기 제1 층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홈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홈부와 종홈부 기단을 통해 연통하여 존재하는 종홈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양태 5 또는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은, 홈부가 소정의 종홈부를 구비하고 있다. 종홈부는, 홈부의 일부로 간주하면, 종홈부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홈부가, 기부에 막힐 때까지 받아들일 수 있는 체액의 양을 늘릴 수 있고, 그리고 홈부의 표면적을 늘릴 수 있어, 그 결과, 흡수성 물품의 표면을 후방을 향해 흐르는 체액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양태 8]
상기 종홈부가, 상기 종홈부 기단의 반대측에 종홈부 종단을 갖는, 양태 7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종홈부가 종홈부 종단을 갖기 때문에, 종홈부가 받아들인 체액이 인접하는 홈부 등으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체액이 길이가 짧은 흡수 코어의 폭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양태 9]
제2 층이,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종홈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종홈부 대응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양태 7 또는 8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기 때문에, 종홈부 대응부가 홈부 대응부와 동일한 작용을 갖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양태 10]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양태 9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기 때문에, 종홈부 대응부가 홈부 대응부와 동일한 작용을 보다 갖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체액을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양태 11]
제1 층이 제2 층보다 착의측에 배치되어 있는, 양태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층이 제2 층보다 착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을 제1 층의 홈부에 가둘 수 있으므로, 착용자가 움직인 경우에도 고간 영역(특히 뒤고간 영역)으로부터 누설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양태 12]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제1 층의, 제2 층과 반대측의 면에 배치된 코어랩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코어랩이, 상기 홈부에서 제2 층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양태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홈부에서, 피부 대향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는 코어랩을 더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홈부에서의 체액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관해,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9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하나(이하, 「제1 실시형태」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따른 흡수성 물품(1),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기저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은, 흡수성 물품(1)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흡수성 물품(1)의 흡수체(7)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물품(1)의 흡수 코어(9)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흡수 코어(9)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V-V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에서의 체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며, 도 2의 V-V 단면에 상당한다.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흡수성 물품(1)의 폭 방향(W)에서의 체액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며, 도 2의 VII-VII 단면에 상당한다. 도 9는, 도 2의 IX-IX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흡수성 물품(1)은, 전방(FD) 및 후방(RD)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L)과, 폭 방향(W)과, 두께 방향(T)을 가지며, 길이 방향 축선(LA) 및 폭 방향 축선(WA)을 갖는다.
또한, 흡수성 물품(1)은, 앞길(FP) 및 뒷길(RP)로 구획되고, 그리고 앞몸통 둘레 영역(FW), 뒤몸통 둘레 영역(RW) 및 고간 영역(C)(앞고간 영역(FC) 및 뒤고간 영역(RC))을 구비하고 있다.
또, 흡수성 물품(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03)를 포함하는 한쌍의 샘방지벽(101), 샘방지벽(101)을 액투과성 시트(3)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05), 탄성 부재(107), 테이프 패스너(109) 등을 갖지만, 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흡수성 물품(1)은, 액투과성 시트(3)와, 액불투과성 시트(5)와, 액투과성 시트(3) 및 액불투과성 시트(5) 사이의 흡수체(7)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7)는,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한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가지며, 피부 대향면(11) 및 피부 비대향면(13)을 갖는 흡수 코어(9)와, 흡수 코어(9)의 피부 대향면(11) 및 피부 비대향면(13)을 덮는 티슈로 이루어진 코어랩(15)으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 코어(9)는, 피부 비대향면(13)(액불투과성 시트(5))측에 배치된 제1 층(17)과, 피부 대향면(11)(액투과성 시트(3))측에 배치된 제2 층(19)으로 구성된다. 제1 층(17)과 제2 층(19)은 두께 방향(T)에서 서로 인접하고 있다. 제1 층(17) 및 제2 층(19)의 각각은, 펄프 섬유(21)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층(17)은, 앞길(FP)에 배치된 홈부(25) 및 기부(29)를 구비하고 있다. 홈부(25)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제1 층(17)을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고 있고, 그리고 홈부(25)의 가장 후방(RD)에 가까운 위치에 종단(27)을 구비하고 있다. 기부(29)는, 종단(27)을 사이에 두고 홈부(25)의 후방(RD)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기부(29)는, 종단(27)을 사이에 두고 홈부(25)에 인접하고 있다.
또, 홈부(25)는 홈부(25n)(n은 a, b, c, d, e 또는 f이다)로 구성되어 있고, 종단(27)은 종단(27n)(n은 a, b, c, d, e 또는 f이다)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기부(29)는 기부(29n)(n은 a, b, c, d, e 또는 f이다)로 구성되어 있다. 홈부(25n)는 종단(27n)을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기부(29n)는, 각각, 종단(27n)을 사이에 두고 홈부(25n)의 후방(RD)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이상, n은 a, b, c, d, e 또는 f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홈부(25a), 종단(27a) 및 기부(29a)를, 각각, 홈부(25), 종단(27) 및 기부(29)의 대표로서 설명하지만, 그 밖의 홈부(25n), 종단(27n) 및 기부(29n)의 사이의 관계도 동일하다(이상, n은 b, c, d, e 또는 f이다).
또, 흡수 코어(9)는, 가장 후방(RD)에 가까운 위치에 종단을 구비하지 않은 홈부(31)(홈부(31a), 홈부(31b), 홈부(31c) 및 홈부(31d))를 구비하고 있지만,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층(19)은, 홈부(25a) 및 기부(29a)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각각, 홈부 대응부(33a) 및 기부 대응부(35a)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2 층(19)은, 홈부(25) 및 기부(29)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각각, 홈부 대응부(33) 및 기부 대응부(35)를 구비하고 있다. 홈부 대응부(33)는 홈부 대응부(33n)(n은 a, b, c, d, e 또는 f이다)로 구성되고, 그리고 기부 대응부(35)는 기부 대응부(35n)(n은 a, b, c, d, e 또는 f이다)로 구성되지만, 도면에는 이들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홈부 대응부(33a) 및 기부 대응부(35a)를, 각각, 홈부 대응부(33n)(n은 a, b, c, d, e 또는 f이다) 및 기부 대응부(35n)(n은 a, b, c, d, e 또는 f이다)의 대표로서 설명하지만, 그 밖의 홈부 대응부(33n)(n은 b, c, d, e 또는 f이다) 및 기부 대응부(35n)(n은 b, c, d, e 또는 f이다)의 사이의 관계도 동일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29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와, 기부 대응부(35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는, 홈부 대응부(33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보다 높다. 또한, 기부 대응부(35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는, 기부(29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보다 높다.
도 6 및 필요에 따라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면, 흡수성 물품(1)의, 앞몸통 둘레 영역(FW)과 앞고간 영역(FC)의 경계 부근(배설구 접촉 영역에 상당)에, 착용자의 체액, 예컨대 뇨가 스폿적으로 공급되면, 체액은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표면 유속(V)으로 후방(RD)으로 이동한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홈부 대응부(33a)는,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흐르는 체액을 끌어들이고, 이어서, 체액을 자재 밀도가 대략 0인 홈부(25a)로 이동시킨다. 홈부(25a)에서는, 홈부(25a) 자체가 체액으로 채워질 때까지, 체액을 제1 층 홈부 유속(V1A)으로 후방(RD)으로 이동시킨다. 홈부(25a)는 자재 밀도가 대략 0이지만, 주위에 흡수 코어(9)를 구성하는 자재 및 코어랩(15)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1 층 홈부 유속(V1A)은 표면 유속(V)보다 느려진다.
한편, 홈부 대응부(33a)는 자재 밀도가 홈부(25a)보다 높기 때문에, 홈부 대응부(33a)는 체액을 제1 층 홈부 유속(V1A)보다 느린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V2A)으로 후방(RD)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표면 유속(V), 제1 층 홈부 유속(V1A) 및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V2A)의 사이에는, 이하의 제1a 관계식:
표면 유속(V)>제1 층 홈부 유속(V1A)>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V2A)
이 성립한다.
또한, 제1 층(17)의 홈부(25a)의 후방(RD)에는, 홈부(25a)보다 상대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높은 기부(29a)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부(29a)가 홈부(25a)에 존재하는 체액을 일단 막음과 동시에, 기부(29a)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홈부(25a)에 존재하는 체액을 흡수하면서, 홈부(25a)에 존재하는 체액을, 표면 유속(V)보다 느린 제1 층 기부 유속(V1B)으로 후방(RD)으로 투과시킨다(이동시킨다).
또한, 제2 층(19)의 홈부 대응부(33a)의 후방(RD)에는, 홈부 대응부(33a)보다 상대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높은 기부 대응부(35a)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부 대응부(35a)가, 홈부 대응부(33a)에 존재하는 체액을 일단 막음과 동시에, 기부 대응부(35a)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홈부 대응부(33a)에 존재하는 체액을 흡수하면서, 홈부 대응부(33a)에 존재하는 체액을, 표면 유속(V)보다 느린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V2B)으로 후방(RD)으로 투과시킨다(이동시킨다).
또한, 기부 대응부(35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기부(29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V2B)이 제1 층 기부 유속(V1B)보다 느려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표면 유속(V), 제1 층 기부 유속(V1B) 및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V2B)의 사이에는, 이하의 제2a 관계식:
표면 유속(V)>제1 층 기부 유속(V1B)>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V2B)
이 성립한다.
이상으로부터, 표면 유속(V), 제1 층 평균 유속(V1) 및 제2 층 평균 유속(V2)의 사이에는, 이하의 제3a 관계식:
표면 유속(V)>제1 층 평균 유속(V1)>제2 층 평균 유속(V2)
이 성립하고, 체액을 단계적으로 흡수 코어(9)의 후방(RD)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흡수성 물품(1)이, 체액을 흡수 코어(9)의 길이 방향(L)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C)(특히, 착용 시에 가장 낮은 위치가 되는 경우가 많은 뒤고간 영역(RC))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홈부(25a) 및 홈부(25b)는, 각각, 종단(27a) 및 종단(27b)보다 전방(FD)의 위치에서, 길이 방향(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홈부(25a) 및 홈부(25b) 각각은, 후방(RD)을 향해, 흡수 코어(9)의 길이 방향 축선(LA)에 근접하도록, 그리고 길이 방향 축선과 교차각 θ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렇게 하는 것에 의해, 제1 층(17)의 홈부(25a) 및 홈부(25b)의 경로와, 이들에 대응하는 제2 층(19)의 홈부 대응부(33)의 경로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층(17) 및 제2 층(19)의 내부를 후방(RD)으로 이동하는 체액이 고간 영역(C)(특히 뒤고간 영역(RC))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키고, 고간 영역(C)(특히 뒤고간 영역(RC))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홈부(25a) 및 홈부(25b) 각각은, 후방(RD)을 향해, 흡수 코어(9)의 길이 방향 축선(LA)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체액이 홈부(25a) 및 홈부(25b)를 따라 후방(RD)으로 흐르면, 체액이 흡수성 물품(1)(흡수 코어(9))의 폭 방향(W)의 중심을 향하게 되므로, 고간 영역(C)(특히 뒤고간 영역(RC))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에서는, 제1 층(17)은, 홈부(25)(구체적으로는 홈부(25a))의, 폭 방향(W)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41)(구체적으로는 폭 방향 기부(41a))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층(19)은, 두께 방향(T)에서, 한쌍의 폭 방향 기부(41)(구체적으로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41a))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43)(구체적으로는 폭 방향 기부 대응부(43a))를 더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폭 방향 기부(41)(구체적으로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41a))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와, 홈부 대응부(33)(구체적으로는 홈부 대응부(33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43)(구체적으로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43a))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보다 낮다. 또한, 홈부 대응부(33)(구체적으로는 홈부 대응부(33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한쌍의 폭 방향 기부(41)(구체적으로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41a))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보다 낮다.
그렇게 하는 것에 의해, 기부(29a)에 막혀 홈부(25a)에 존재하는 체액은, 도 8에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포함하는 폭 방향 기부(41a)에 흡입된다(화살표 A). 이어서, 폭 방향 기부(41a)에서 미처 유지하지 못한 체액은, 도 8에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 기부(41a)보다 높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를 갖는 폭 방향 기부 대응부(43a)에 빨아 올려져 유지된다.
또한, 홈부 대응부(33a), 폭 방향 기부(41a) 및 폭 방향 기부 대응부(43a)의 각각이, 소정량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포함하기 때문에, 홈부(25a)의 주위에 존재하는 폭 방향 기부(41a) 및 홈부 대응부(33a)의 팽윤이 억제되므로, 홈부(25a)의 폭 방향(W)에서의 길이(w) 및 두께 방향(T)에서의 높이(h)가 유지되기 쉬워지고, 홈부(25a)의 통수 기능이 확보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흡수성 물품(1)은, 체액을 흡수 코어(9)의 길이 방향(L)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C)(특히 뒤고간 영역(RC))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 제1 층(17)은, 홈부(25a) 이외에, 홈부(25n)(n은 b, c, d, e 또는 f이다)의 각각에 대응하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하고, 그리고 제2 층(19)은, 홈부(25a) 이외에, 홈부(25n)(n은 b, c, d, e 또는 f이다)의 각각에 대응하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도시하지 않음)를 갖지만, 이들의 관계는, 홈부(25a), 한쌍의 폭 방향 기부(41a) 및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43a) 사이의 관계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홈부(25)는, 제1 층(17)의 두께 방향(T)으로 관통하고, 홈부(25)와 교차하는 방향(구체적으로는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종홈부(51)를 더 구비하고 있다. 종홈부(51)는, 종홈부 기단(53)과, 종홈부 종단(55)을 구비하고 있고, 종홈부 기단(53)이 홈부(25)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2 층(19)은, 두께 방향(T)에서, 종홈부(51)와 중복되는 위치에 종홈부 대응부(57)를 더 구비한다.
또, 종홈부(51)는, 홈부(25n)에 대응하는 종홈부(51n)로 구성되어 있고, 종홈부 기단(53)은, 홈부(25n)에 대응하는 종홈부 기단(53n)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홈부 종단(55)은, 홈부(25n)에 대응하는 종홈부 종단(55n)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홈부 대응부(57)는, 홈부(25n)에 대응하는 종홈부 대응부(57n)로 구성되어 있지만(이상, n은, a, b, c, d, e 또는 f이지만, 도면에는 이들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음), 대표로서 n이 a인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또, n이 b, c, d, e 또는 f인 경우는, n이 a인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시는 하지만(종홈부 대응부(57n)를 제외함)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홈부 대응부(57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43a)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보다 낮다. 그렇게 하는 것에 의해, 종홈부 대응부(57a)가 홈부 대응부(33a)와 동일한 작용을 갖기 쉬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층(19)의 종홈부 대응부(57a)가, 체액을 두께 방향(T)으로 투과시키기 쉬워지고, 체액이 종홈부(51a)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홈부 대응부(57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한쌍의 폭 방향 기부(41a)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보다 낮다. 그렇게 하는 것에 의해, 종홈부 대응부(57a)가 홈부 대응부(33a)와 동일한 작용을 보다 갖기 쉬워진다.
또한, 종홈부(51a)는 종홈부 종단(55a)을 가지며, 흡수 코어(9)는, 종홈부(51a)의 종홈부 종단(55a)의 끝에, 흡수 코어(9)를 구성하는 펄프 섬유(21)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종홈부(51a)의 종홈부 종단(55a)에 도달한 체액이, 종홈부 종단(55a)을 통해, 폭 방향 기부(41a)(및 기부(29a))의 내부에 침투하고, 체액이 흡수 코어(9), 예컨대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43a)에 흡수되기 쉬워진다.
또한, 종홈부(51)가 존재하는 것에 의해, 흡수 코어(9), 나아가서는 흡수성 물품(1)의 길이 방향(L)의 변형을 유도하기 쉽고, 흡수성 물품(1)이 착용자의 몸에 피트되면서 액누설을 방지하기 쉬워진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형태(이하, 「제2 실시형태」로 칭함)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의 V-V 단면에서의 단면도에 상당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7)를 구성하는 흡수 코어(9)에서, 제1 층(17)이 피부 대향면(11)(액불투과성 시트)측에 배치되고, 그리고 제2 층(19)이 피부 비대향면(13)(액투과성 시트)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 외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과 동일하기 때문에, 적절하게 도 1∼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을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은, 흡수성 물품(1)의 앞몸통 둘레 영역(FW)으로부터 앞고간 영역(FC)의 경계 영역(배설구 접촉 영역에 상당)으로, 착용자의 체액, 예컨대 뇨가 스폿적으로 공급되면, 체액은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표면 유속(V)으로 후방(RD)으로 이동한다.
자재 밀도가 대략 0인 제1 층(17)의 홈부(25a)는, 흡수성 물품(1)의 표면을 흐르는 체액을 흡입한다. 홈부(25a)에서는, 홈부(25a) 자체가 체액으로 채워질 때까지, 체액을 제1 층 홈부 유속(V1A)으로 후방(RD)으로 이동시킨다. 홈부(25a)는 자재 밀도가 대략 0이지만, 주위에 흡수 코어(9)를 구성하는 자재 및 코어랩(15)이 존재하기 때문에, 제1 층 홈부 유속(V1A)은 표면 유속(V)보다 느려진다.
홈부 대응부(33a)는,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해 홈부(25a)로부터 체액을 인입하고, 체액을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V2A)으로 후방(RD)으로 이동시킨다. 홈부 대응부(33a)는 자재 밀도가 홈부(25a)보다 높기 때문에,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V2A)은 제1 층 홈부 유속(V1A)보다 느려진다.
여기서, 표면 유속(V), 제1 층 홈부 유속(V1A) 및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V2A)의 사이에는, 이하의 제1a 관계식:
표면 유속(V)>제1 층 홈부 유속(V1A)>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V2A)
이 성립한다.
제2 층(19)의 홈부 대응부(33a)의 후방(RD)에는, 홈부 대응부(33a)보다 상대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높은 기부 대응부(35a)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부 대응부(35a)가 홈부 대응부(33a)에 존재하는 체액을 일단 막음과 동시에, 기부 대응부(35a)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홈부 대응부(33a)에 존재하는 체액을 흡수하면서, 홈부 대응부(33a)에 존재하는 체액을, 표면 유속(V)보다 느린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V2B)으로 후방(RD)에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층(17)의 홈부(25a)의 후방(RD)에는, 홈부(25a)보다 상대적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높은 기부(29a)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부(29a)가 홈부(25a)에 존재하는 체액을 일단 막음과 동시에, 기부(29a)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홈부(25a)에 존재하는 체액을 흡수하면서, 홈부(25a)에 존재하는 체액을, 표면 유속(V)보다 느린 제1 층 기부 유속(V1B)으로 후방(RD)에 투과시킬 수 있다.
또, 기부 대응부(35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기부(29a)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V2B)은 제1 층 기부 유속(V1B)보다 느려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표면 유속(V), 제1 층 기부 유속(V1B) 및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V2B)의 사이에는, 이하의 제2a 관계식:
표면 유속(V)>제1 층 기부 유속(V1B)>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V2B)
이 성립한다.
이상으로부터, 표면 유속(V), 제1 층 평균 유속(V1) 및 제2 층 평균 유속(V2)의 사이에는, 이하의 제3a 관계식:
표면 유속(V)>제1 층 평균 유속(V1)>제2 층 평균 유속(V2)
이 성립하고, 체액을 단계적으로 흡수 코어(9)의 후방(RD)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흡수성 물품(1)이, 체액을 흡수 코어(9)의 길이 방향(L)으로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고간 영역(C)(특히 뒤고간 영역(RC))에서 누설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도 12는,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의 흡수 코어(9)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흡수 코어(9)는, 길이 방향 축선(LA)과 폭 방향 축선(WA)을 가지며, 앞몸통 둘레 영역(FW), 고간 영역(C)(앞고간 영역(FC) 및 뒤고간 영역(RC)) 및 뒤몸통 둘레 영역(RW)을 구비한다.
흡수 코어(9)는, 흡수 코어(9)의 두께 방향(도시하지 않음)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1 층(17) 및 제2 층(19)을 구비하고, 제1 층(17)이, 앞길(FP)에 배치된, (i)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두께 방향(도시하지 않음)으로 관통하고 있고, 가장 후방(RD)에 가까운 위치에 종단(27)을 구비하고 있는 홈부(25)와, (ii) 종단(27)을 사이에 두고 홈부(25)의 후방(RD)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기부(29)를 구비한다. 홈부(25)는, 홈부(25)와 교차하는 방향(폭 방향(W))으로, 홈부(25)와 종홈부 기단(53)을 통해 연통하여 존재하고, 종홈부 기단(53)과 반대측에 종홈부 종단(55)을 갖는 복수의 종홈부(51)를 더 구비하고 있다.
홈부(25)는 홈부(25a) 및 홈부(25b)로 구성되고, 종단(27)은 종단(27a) 및 종단(27b)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기부(29)는 기부(29a) 및 기부(29b)로 구성된다.
제1 층(17)은 또한, 가장 후방(RD)에 가까운 위치에 종단을 구비하지 않는 홈부(31)(홈부(31a), 홈부(31b), 홈부(31c) 및 홈부(31d))를 구비하고 있다.
홈부(25a)는, 종홈부 기단(53a) 및 종홈부 종단(55a)을 갖는 종홈부(51a)로서, 종홈부 기단(53a)을 통해 홈부(25a)와 연통하고 있는 것을 더 구비한다. 홈부(25b)는, 종홈부 기단(53b) 및 종홈부 종단(55b)을 갖는 종홈부(51b)로서, 종홈부 기단(53b)을 통해 홈부(25b)와 연통하고 있는 것을 더 구비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의 흡수 코어(9)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흡수 코어(9)는, 길이 방향 축선(LA)과 폭 방향 축선(WA)을 가지며, 앞몸통 둘레 영역(FW), 고간 영역(C)(앞고간 영역(FC) 및 뒤고간 영역(RC)) 및 뒤몸통 둘레 영역(RW)을 구비한다.
흡수 코어(9)는, 흡수 코어(9)의 두께 방향(도시하지 않음)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1 층(17) 및 제2 층(19)을 구비하고, 제1 층(17)이, 앞길(FP)에 배치된, (i)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두께 방향(도시하지 않음)으로 관통하고 있고, 가장 후방(RD)에 가까운 위치에 종단(27)을 구비하고 있는 홈부(25)와, (ii) 종단(27)을 사이에 두고 홈부(25)의 후방(RD)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기부(29)를 구비한다.
홈부(25)는, 홈부(25a), 홈부(25b), 홈부(25c) 및 홈부(25d)로 구성되고, 종단(27)은, 종단(27a), 종단(27b), 종단(27c) 및 종단(27d)로 구성되고, 그리고 기부(29)는, 기부(29a), 기부(29b), 기부(29c) 및 기부(29d)로 구성된다.
제1 층(17)은 또한, 뒷길(RP)에 배치되어 있는 홈부(31)(홈부(31a), 홈부(31b), 홈부(31c) 및 홈부(31d))를 구비하고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 코어는, 제1 층 및 제2 층이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고 있는 한, 제1 층 및 제2 층은, 각각, 흡수 코어의 피부 접촉면측 및 피부 비접촉면측, 또는 피부 비접촉면측 및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수 코어는, 제1 층 및 제2 층 외에, 추가의 층, 예컨대 피부 접촉면측에 배치된 제3 층(예컨대, 펄프 섬유를 포함하는 층, 펄프 섬유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피부 비접촉면측에 배치된 제3 층(예컨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층,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 이루어진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흡수 코어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이 특별히 제한없이 채용되고, 그리고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는, 예컨대, 폴리아크릴산염계, 폴리술폰산염계, 무수말레산염계,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에틸렌옥시드계, 폴리아스파라긴산염계, 폴리글루타민산염계, 폴리알긴산염계,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등의 고흡수성 폴리머;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 등의 전분계 또는 셀룰로오스계의 고흡수성 폴리머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흡수 코어에서는, 제1 층이, 바람직하게는 30∼1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 g/㎡의 평균 평량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2 층이, 바람직하게는 100∼18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60 g/㎡의 평균 평량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층 및 제2 층은, 제1 층 및 제2 층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바람직하게는 20∼45 질량% 및 55∼80 질량%,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35 질량% 및 65∼75 질량% 포함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 코어는, 고흡수성 폴리머에 더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자재, 예컨대, 섬유, 예컨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반합성 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섬유로는, 펄프 섬유 및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상기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로는, 레이온 섬유, 예컨대 비스코스로부터 얻어지는 비스코스 레이온, 폴리노직 및 모달, 셀룰로오스의 구리 암모니아염 용액으로부터 얻어지는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 섬유(「큐프라」라고도 칭해짐); 유기 화합물과 물의 혼합 용액인 유기 용제를 이용한 유기 용제 방사법에 의해 얻어지며,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거치지 않는 리오셀 및 텐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반합성 섬유로는,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 예컨대, 아세테이트 섬유, 예컨대, 트리아세테이트 섬유 및 디아세테이트 섬유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 코어가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은, 상기 섬유를, 바람직하게는 50∼15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80∼100 g/㎡의 평량으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 코어의 피부 접촉면 및/또는 피부 비접촉면을 덮는 코어랩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흡수 코어가, 흡수 코어의 제1 층과 접하도록 배치되면, 제1 층의 홈부가 찌부러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전술한 경우에는, 코어랩이, 홈부에서 제2 층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태 12에 기재되는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또, 흡수 코어와, 상기 흡수 코어를 덮는 코어랩을 합쳐서 흡수체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코어랩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것, 예컨대, 티슈, 부직포(예컨대 에어스루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5.0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5∼4.0 mm,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3.0 mm이다.
제1 층 및 제2 층의 두께는, 레이저 변위계(예컨대, 키엔스 주식회사 제조 고정밀도 2차원 레이저 변위계 LJ-G 시리즈(형식: LJ-G030))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에 콜드 스프레이를 분무하여 액투과성 시트, 액불투과성 시트 및 코어랩을 박리하여 얻은 흡수 코어를, 100 mm×100 mm의 사이즈로 절취하여 샘플로 한다. 상기 샘플을, 홈부 및 기부를 갖는 제1 층이 위가 되도록, 수평한 측정대에 얹고, 상이한 5개의 기부에 대해, 측정대로부터의 변위를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Ax(mm)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이한 5개의 홈부에 대해, 측정대로부터의 변위를 레이저 변위계로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Ay(mm)로 한다. 제2 층의 두께는 상기 Ay(mm)이며, 제1 층의 두께는 상기 Ax(mm)와 상기 Ay(mm)의 차로부터 산출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 코어의 제1 층은, 앞길에 배치된,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로서, 흡수성 물품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후방의 위치에 종단을 구비하고 있는 홈부(이하, 「특정 홈부」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를 구비하고 있고, 그리고 비특정 홈부, 예컨대 뒷길에 배치된 홈부, 예컨대 뒷길에만 배치된 홈부, 앞길로부터 뒷길에 걸쳐 배치된 홈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층이 구비하는 특정 홈부는, 평면시에 있어서 앞길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이 여성용인 경우에는, 특정 홈부는 적어도 앞고간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이 남성용인 경우에는, 특정 홈부는 적어도 앞몸통 둘레 영역, 바람직하게는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앞고간 영역의 양쪽에 배치된다. 또한,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이 남녀 공용인 경우에는, 특정 홈부는 앞몸통 둘레 영역 및 앞고간 영역의 양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홈부는, 배설구 접촉 영역 및 배설구 접촉 영역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 특정 홈부가 구비하는 종단은, 홈부 중 가장 후방의 위치에 배치된 단부 가장자리를 의미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층은, 상기 특정 홈부를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 갖는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또한,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층은, 상기 특정 홈부를 15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10개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개 이하,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개 이하 갖는다. 특정 홈부가 지나치게 많으면, 1개당의 작용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층이 구비하는 특정 홈부는, 흡수 코어(또는 흡수체)의 두께의, 바람직하게는 0.5∼3.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5배,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0배의 폭을 갖는다. 특정 홈부의 폭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흡수성 물품이 체액을 흡수한 후에도 특정 홈부가 찌부러지기 어렵다.
본 명세서에서는, 흡수 코어(또는 흡수체)의 두께(mm)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주식회사 다이에 과학 정기 제작소 제조 FS-60DS[측정면 44 mm(직경), 측정압 3 g/㎠]를 준비하고, 표준 상태(온도 23±2℃, 상대 습도 50±5%)하에, 흡수 코어(또는 흡수체)의 상이한 5개의 부위를 가압하고, 각 부위에서의 가압 10초 후의 두께를 측정하여, 5개의 측정치의 평균치를 흡수 코어(또는 흡수체)의 두께로 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 코어의 제1 층이,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사이에 두고 홈부의 후방의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기부를 구비한다. 상기 기부는, 특정 홈부의 종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축선과 평행하게 길이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기부는, 상기 종단을 시작점으로 하여, 홈부의 폭의 바람직하게는 0.5∼10.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0.7∼7.0배,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배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기부의 작용의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 제2 층의 홈부 대응부 및 기부 대응부는, 각각, 제1 층의 홈부 및 기부의,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기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높고, 바람직하게는 0.01∼0.20 g/㎤ 높고,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0.20 g/㎤ 높다. 또한,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기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15 g/㎤ 높고,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5 g/㎤ 높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또,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홈부 대응부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 g/㎤ 초과 0.15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g/㎤ 초과 0.10 g/㎤ 이하이며, 기부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 g/㎤ 초과 0.35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 g/㎤ 초과 0.30 g/㎤ 이하이며, 그리고 기부 대응부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0.10 g/㎤ 초과 0.5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 g/㎤ 초과 0.45 g/㎤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1) 흡수 코어로부터, 기부, 홈부 대응부 및 기부 대응부 등의 각 부의 각각의 샘플을, 평면시에서 소정의 면적(예컨대 4 mm×4 mm)을 갖도록 5개 이상 절취한다.
(2) 각 샘플의 두께를, 레이저 변위계(예컨대, 키엔스 주식회사 제조 고정밀도 2차원 레이저 변위계 LJ-G 시리즈(형식: LJ-G030))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3) 각 샘플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선별하여, 각 샘플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합계 질량을 각각 계측하고, 계측치를, 후술하는 샘플의 두께와 샘플의 면적으로 얻어지는 샘플의 체적으로 나누는 것에 의해 평균 밀도를 얻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의 고저는, 예컨대 이하와 같이 평가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을 액체 질소에 함침시켜 동결시킨 후, 면도칼 등을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두께 방향으로 컷트하여, 홈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면에서의 단면의 샘플을 얻는다. 이어서, 상기 샘플을 상온으로 복귀시키고, 전자 현미경(예컨대 키엔스사 VE7800)을 이용하여 50배 배율의 단면 화상을 얻는다. 그리고 상기 단면 화상에서, 기부, 홈부 대응부 및 기부 대응부 등의 각 부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의 고저를 육안으로 평가한다.
또, 후술하는 폭 방향 기부, 폭 방향 기부 대응부, 종홈부 대응부에서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는,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측정 또는 평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층의 특정 홈부가,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정 홈부의 축선이 임의의 점에서 길이 방향 축선과,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의 교차각을 갖도록 연장되어 있다. 본 개시의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또한, 상기 특정 홈부는, 후방을 향해, 길이 방향 축선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유속과, 제1 층 평균 유속 및 제2 층 평균 유속의 각각과의 차를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체액을, 후방을 향해, 흡수 코어의 길이 방향 축선, 즉,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중앙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제1 층이, 상기 특정 홈부의, 폭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를 더 구비하고, 제2 층이, 두께 방향에서, 한쌍의 폭 방향 기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15 g/㎤ 낮고,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5 g/㎤ 낮다. 양태 5에 기재되는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또한,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15 g/㎤ 낮고,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5 g/㎤ 낮다. 양태 6에 기재되는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이,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은, 홈부의 폭의, 바람직하게는 0.5∼5.0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배,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배의 폭을 갖는다. 그렇게 하는 것에 의해, 양태 5, 양태 6에 기재되는 효과를 달성하기 쉬워진다. 또, 제1 층이 복수의 특정 홈부 또는 비특정 홈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에는, 다른 특정 홈부, 다른 특정 홈부에 인접하는 기부, 비특정 홈부 등과 중복되는 부분은 제외된다. 또한, 제1 층이 복수의 특정 홈부를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는 다른 한쌍의 폭 방향 기부와 중복되어 있어도 좋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홈부가, 제1 층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홈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홈부와 종홈부 기단을 통해 연통하여 존재하는 종홈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태 7에 기재되는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상기 종홈부는, 종홈부 기단의 반대측에 종홈부 종단을 갖고 있어도, 그리고 갖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종홈부가, 종홈부가 연통하고 있는 홈부와 인접하는 특정 홈부 또는 비특정 홈부까지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흡수 코어의 폭 방향의 양 단부까지 도달해도 좋다. 그러나, 상기 종홈부는, 종홈부 기단의 반대측에 종홈부 종단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태 8에 기재되는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제1 층이 종홈부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2 층이, 두께 방향에서, 종홈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종홈부 대응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리고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양태 9에 기재되는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또한,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양태 10에 기재되는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상기 종홈부 대응부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바람직하게는 0∼0.15 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g/㎤의 평량으로 포함한다.
본 개시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재료 또는 제품의 반송 방향」을 「MD 방향」, 「MD 방향과 수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즉, 제조 라인의 폭 방향)을 「CD 방향」, 「이들 MD 방향과 C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제조 라인의 수직 방향)을 「TD 방향」이라고 각각 말한다. 또한, 석션 드럼(205)의 회전 방향을 RT 방향으로 칭한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흡수 코어를 제조 가능한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제조 장치(201)의 석션 드럼(205)의 외주면에 설치된 형부재(207)에 흡수성 재료가 퇴적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형부재(207)에 퇴적된 제1 적층체(217)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조 장치(201)의 석션 드럼(205)의 외주면에 설치된 형부재(207)에 흡수성 재료가 퇴적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제조 장치(201)는, 개섬(開纖)된 펄프 섬유(21)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를 반송하는 반송관(203)과, 반송관(203)의 반송관 노즐(203L) 및 반송관 노즐(203H)로부터 토출된 흡수성 재료를 흡인하여, 이들 흡수성 재료를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오목한 형부재(207)에 적층시키는 것에 의해, 후공정에서 흡수체(7)의 흡수 코어(9)가 되는 제1 적층체(217)를 형성하는 회전 가능한 석션 드럼(20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반송관(203)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상대적으로 저토출비로 토출하는 반송관 노즐(203L)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상대적으로 고토출비로 토출하는 반송관 노즐(203H)을 포함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송관 노즐(203L) 및 반송관 노즐(203H)의 각각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질량비는 30:70이다.
또한, 제조 장치(201)는, 석션 드럼(205)의 외주면에 있는 제1 적층체(217)를 얹고, 이 제1 적층체(217)를 피복하는 장척의 코어랩 연속체(219)를 풀어내어, 제1 적층체(217)를 코어랩 연속체(219)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제2 적층체(221)를 형성하는 코어랩 연속체(219)용의 권출 롤(209)을 갖고 있다.
또한, 제조 장치(201)는, 제2 적층체(221)를, 두께 방향으로 가압하여 압축시키는 상하(TD 방향) 한쌍의 프레스 롤(211a, 211b)을 구비한 프레스 장치(2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조 장치(201)는, 프레스 장치(211)보다 반송 방향(MD)의 하류에, 프레스 가공을 한 후의 제3 적층체(223)의 한 면(도 15의 경우 상면)에 대하여, 액투과성 시트(3)를 구성하는 장척의 액투과성 시트 연속체(227)를 풀어내어 적층시키는 액투과성 시트 연속체(227)용의 권출 롤(213)을 갖고 있다.
또한, 제조 장치(201)는, 제3 적층체(223)에 액투과성 시트 연속체(227)를 적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제4 적층체(225)에서의 액투과성 시트 연속체(227)와는 반대측의 면(도 15의 경우 하면)에 대하여, 액불투과성 시트(5)를 구성하는 장척의 액불투과성 시트 연속체(229)를 풀어내어 접합시켜, 제5 적층체(231)를 형성하는 액불투과성 시트 연속체(229)용의 권출 롤(215)을 갖고 있다.
또, 액불투과성 시트 연속체(229)용의 권출 롤(215)보다 반송 방향(MD)의 하류에는, 제5 적층체(231)를 제품으로서의 흡수성 물품(1)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단체의 흡수성 물품(1)으로 하는 절단 장치(도시하지 않음), 제5 적층체(231)에 샘방지벽(101), 테이프 패스너(109) 등을 압착하는 각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지만, 이들은 당업계에서 알려져 있는 통상의 장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조 장치(201)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1)을 제조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제1 적층체(217)를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코어랩 연속체(219)에 의해 제1 적층체(217)를 피복하여 제2 적층체(221)를 형성하는 제2 공정과, 제2 적층체(221)를 프레스 장치(211)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제3 적층체(223)로 하는 제3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또한, 제3 적층체(223)에 액투과성 시트 연속체(227)를 적층하여 제4 적층체(225)로 하는 제4 공정과, 제4 적층체(225)에 액불투과성 시트 연속체(229)를 접합하여 제5 적층체(231)로 하는 제5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제1 공정에서는, 펄프 섬유(21) 및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를 반송관(203)을 통해 석션 드럼(205)에 공급하고, 석션 드럼(205)의 외주면의 형부재(207)에 흡수성 재료를 적층시켜 제1 적층체(217)를 형성한다. 또, 제1 적층체(217)는, 최종적으로 흡수체(7)의 흡수 코어(9)를 구성하게 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재료는 상측으로부터 형부재(207) 내에 공급된다. 형부재(207)가, 형부재(207)의 바닥부(208)에, 형부재(207)의 상류측(도 16을 바라봤을 때 우측)으로부터, 회전 방향 오목부(233), 회전 방향 돌기(235), 회전 방향 오목부(237), 회전 방향 돌기(239) 및 회전 방향 오목부(24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층의 형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상대적으로 저토출비로 토출하는 반송관 노즐(203L)로부터 흡수성 재료가 형부재(207)에 공급되면, 펄프 섬유(21)는, 경량이며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회전 방향 돌기(235) 및 회전 방향 돌기(239)에 충돌하더라도 튀어 오르기 어려워, 형부재(207)에 거의 균등하게 퇴적된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는, 흡수성 재료가 형부재(207) 내에 공급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회전 방향 돌기(235) 및 회전 방향 돌기(239)의 각각의 선단면(235a) 및 선단면(239a)에 충돌하여 튀어 올라, 선단면(235a) 및 선단면(239a)에 머무르지 않고 이동하고, 회전 방향 오목부(233), 회전 방향 오목부(237) 및 회전 방향 오목부(241)에 도달하여 퇴적하게 된다.
이것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통상 입상일 뿐만 아니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질량이 비교적 크고, 또한, 석션 드럼(205)의 흡인에도 기인하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 자체의 운동 에너지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회전 방향 돌기(235) 및 회전 방향 돌기(239)의 각각의 선단면(235a) 및 선단면(239a)에 충돌했을 때에는 튀어 오르기 쉬워, 충돌한 위치에 머무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상으로부터, 흡수 코어(9)에서의 제1 층(17)이 적층되게 된다.
또, 석션 드럼(205)은, 통상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튀어 오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는, 상대적으로 형부재(207)의 하류측(도 17을 바라봤을 때 좌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지므로, 형부재(207)를, 흡수 코어의 앞길(FP)이 형부재(207)의 상류측(도 16을 바라봤을 때 우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석션 드럼(205)의 회전 속도를, 통상 제조할 때의 회전 속도보다 느리게 설정해도 좋다.
<제2 층의 형성>
계속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상대적으로 고토출비로 토출하고 또한 반송관 노즐(203L)보다 저위치에 존재하는 반송관 노즐(203H)로부터, 형부재(207)에 흡수성 재료를 공급한다. 형부재(207)에서, 펄프 섬유(21)가 회전 방향 돌기(235) 및 회전 방향 돌기(239)에도 퇴적되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고토출비로 포함되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충돌하면, 펄프 섬유(21)의 유연성에 의해서도 그 충격을 여전히 흡수하기 어렵고,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튀어 오르기 쉽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적층체(217)에는, RT 방향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흡수 코어(9)에 대한 평균 밀도가 상이한 부분이 복수 존재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흡수 코어(9)에서의 제2 층(19)이 적층되게 된다.
즉, 형부재(207)에서 회전 방향 돌기(235) 및 회전 방향 돌기(239)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회전 방향 돌기(235) 및 회전 방향 돌기(239)의 각각의 선단면(235a) 및 선단면(239a)에 충돌하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이동한 만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가장 낮아, 저밀도 영역(301)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 방향 돌기(235) 및 회전 방향 돌기(239)의 측벽 부분을 따른 부분이나 그 근방의 부분에 있어서는, 이동해 온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존재하는 만큼,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비교적 높아, 중밀도 영역(303)이 형성된다.
또한, 형부재(207)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회전 방향 돌기(235) 및 회전 방향 돌기(239)의 각각의 선단면(235a) 및 선단면(239a)에 튀어 오른 영향을 크게 받는 부분에 있어서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평균 밀도가 가장 높아, 고밀도 영역(305)이 형성된다.
또, 저밀도 영역(301)은, 본 개시에 따른 흡수 코어의 홈부 대응부에 상당하고, 중밀도 영역(303)은, 본 개시에 따른 흡수 코어의 기부에 상당하고, 그리고 고밀도 영역(305)은, 본 개시에 따른 흡수 코어의 기부 대응부에 상당한다.
도 18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따른 흡수 코어의 폭 방향 기부 및 폭 방향 기부 대응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형부재(207)는, 형부재(207)의 바닥부(208)에, 형부재(207)의 CD 방향으로 이격된 CD 방향 돌기(243) 및 CD 방향 돌기(245)와, CD 방향 오목부(247), CD 방향 오목부(249) 및 CD 방향 오목부(251)을 구비하고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상대적으로 저토출비로 토출하는 반송관 노즐(203L)로부터 흡수성 재료가 형부재(207)에 공급되면, 펄프 섬유(21)는 경량이며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CD 방향 돌기(243) 및 CD 방향 돌기(245)에 충돌하더라도 튀어 오르기 어려워, 형부재(207)에 거의 균등하게 퇴적된다.
한편,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는, 흡수성 재료가 형부재(207) 내에 공급되기 시작한 단계에서는, CD 방향 돌기(243) 및 CD 방향 돌기(245)의 각각의 선단면(243a) 및 선단면(245a)에 충돌하여 튀어 올라, 선단면(243a) 및 선단면(243a)에 머무르지 않고 이동하고, CD 방향 오목부(247), CD 방향 오목부(249) 및 CD 방향 오목부(251)에 도달하여 퇴적한다. 이상으로부터, 흡수 코어(9)에서의 제1 층(17)이 적층되게 된다.
계속해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를 상대적으로 고토출비로 토출하고 또한 반송관 노즐(203L)보다 낮은 위치에 존재하는 반송관 노즐(203H)로부터, 형부재(207)에 흡수성 재료를 공급한다. 형부재(207)에서, 펄프 섬유(21)가 CD 방향 돌기(243) 및 CD 방향 돌기(245)에도 퇴적되지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고토출비로 포함되기 때문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충돌하면, 펄프 섬유(21)의 유연성에 의해서도 그 충격을 여전히 흡수하기 어렵고,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가 튀어 오르기 쉽다. 그 결과, 제1 적층체(도시하지 않음)에는, CD 방향에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23)의 흡수 코어(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평균 밀도가 상이한 부분이 복수 존재하게 된다. 이상으로부터, 흡수 코어(도시하지 않음)에서의 제2 층(도시하지 않음)이 적층되게 된다.
제1 공정 후, 형부재(207)의 제1 적층체(217)를, 석션 드럼(205)의 회전에 의해,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한 상태로 코어랩 연속체(219) 상에 얹고, 코어랩 연속체(219)에 의해 제1 적층체(217)의 외주면을 피복하여 제2 적층체(221)로 하는 제2 공정을 행한다.
제2 공정은, 회전하고 있는 석션 드럼(205)이, 형부재(207)의 제1 적층체(217)를, 코어랩 연속체(219)용의 권출 롤(209)로부터 풀어내어 반송 방향(MD)으로 이동하고 있는 코어랩 연속체(219) 상에 전사하여 얹는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절곡 수단에 의해 코어랩 연속체(219)를 제1 적층체(217)의 외주면을 따라, 반송 방향(MD)과 직교하는 폭 방향(CD)으로 절곡하고, 코어랩 연속체(219)를 제1 적층체(217)에 감는 것에 의해 피복하여, 장척의 제2 적층체(221)로 한다.
제2 공정 종료 후, 제2 적층체(221)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여 제3 적층체(223)로 하는 제3 공정을 실시한다.
제3 공정에서는, 프레스 장치(211)의 한쌍의 프레스 롤(211a, 211b) 사이에 제2 적층체(221)를 통과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적층체(221)를 두께 방향(TD)으로 압축하여, 제3 적층체(223)를 형성한다.
제3 공정 종료 후, 제3 적층체(223)의 상면에,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액투과성 시트 연속체(227)용의 권출 롤(213)로부터 풀어낸 액투과성 시트 연속체(227)를 적층하여, 장척의 제4 적층체(225)를 형성하는 제4 공정을 행한다.
또한, 제4 공정 종료 후, 제4 적층체(225)의 하면에,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 액불투과성 시트 연속체용의 권출 롤(215)로부터 풀어낸 액불투과성 시트 연속체(229)를 접합하여, 장척의 제5 적층체(231)를 형성하는 제5 공정을 행한다.
제5 공정 종료 후, 절단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5 적층체(231)를 흡수성 물품(1)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흡수성 물품(1)을 형성한다.
[실시예]
이하, 예를 들어 본 개시를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1)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펄프 섬유(평균 평량: 250 g/㎡)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평균 평량: 250 g/㎡)를 포함하는, 350 mm×[120 mm(광폭부), 80 mm(협폭부)](길이 방향×폭 방향)의 사이즈의 흡수 코어 No.1을 제조하였다. 흡수 코어 No.1에서, 제1 층 및 제2 층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평량 비율은 30:70이었다. 또한, 흡수 코어 No.1은, 3차원 CT로 평가한 바,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가장 높고, 이어서, 기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높고, 그리고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가장 낮았다. 흡수 코어의 두께는 2.0 mm였다.
또, 흡수성 시험 및 리웨트 시험을 엄격한 조건으로 행함과 동시에, 흡수 코어의 구조 그 자체의 차이를 판별하기 쉽게 하기 위해,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는 흡수 속도가 마일드한 등급을 선택하였다.
흡수 코어 No.1을, 핫멜트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코어랩으로서의 2장의 티슈(평량: 16 g/㎡, 400 mm×150 mm)로 덮었다. 2장의 티슈로 덮인 흡수 코어 No.1을 유압 프레스기로 프레스하는 것에 의해 흡수 코어의 두께를 조정하여, 흡수체 No.1을 형성하였다.
흡수체 No.1의 제2 층측에 액투과성 시트(에어스루 부직포)를 부착하고, 그리고 제1 층측에 액불투과성 시트(폴리에틸렌 필름)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간이한 흡수성 물품 No.1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홈부의 패턴을, 도 12에 기재된 패턴의 변형 패턴으로서, 홈부(25a) 및 홈부(31c)를 홈부(31a)로 치환하고, 홈부(25b) 및 홈부(31d)를 홈부(31b)로 치환한 것(홈부(25a)의 종단(27a) 및 기부(29a), 및 홈부(25b)의 종단(27b) 및 기부(29b)를 갖지 않는 것)으로 변경한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 코어 No.2, 흡수체 No.2 및 간이한 흡수성 물품 No.2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홈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 외에는, 제조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 코어 No.3, 흡수체 No.3 및 간이한 흡수성 물품 No.3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및 2]
흡수성 물품 No.1∼No.3에, 이하에 규정하는 흡수성 시험 및 리웨트 시험을 행하여, 흡수 시간 및 리웨트량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흡수성 시험]
(1-1) 흡수성 물품을, 측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인 U자 기구에 셋트한다. 또, 흡수성 물품은, U자 기구에,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와, U자 기구 중앙부(가장 높이가 낮은 위치)의 위치를 맞추도록 셋트한다.
<제1 사이클>
(1-2) 흡수체의 중앙 위치에, 뷰렛으로부터 80 mL의 인공뇨(1회째)를 80 mL/10초의 속도로 주입한다.
(1-3) 1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U자 기구의 인공뇨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흡수 시간(80 mL)으로서 기록한다(표 1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
<제2 사이클>
(1-4) 1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10분 후, 흡수체의 중앙 위치에, 뷰렛으로부터 80 mL의 인공뇨(2회째)를 80 mL/10초의 속도로 주입한다.
(1-5) 2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U자 기구의 인공뇨가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흡수 시간(160 mL)으로서 기록한다.
<제3 사이클>
(1-6) (1-4) 및 (1-5)의 조작을 반복하고, 80 mL의 인공뇨(3회째)를 첨가하여, 흡수 시간(240 mL)을 측정한다.
[리웨트 시험]
(2-1) 흡수성 시험의 (1-1)∼(1-5)를 실시하고, 2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4분 후, U자 기구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취출하고, 아크릴제의 평판 상에, 액투과성 시트가 상면이 되도록 흡수성 물품을 펼쳐 1분간 정치한다.
(2-2) 2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5분 후, 100 mm×100 mm의 여과지 약 60 g을, 인공뇨 주입점을 중심으로 하여 흡수성 물품의 액투과성 시트 상에 정치한다. 또한, 그 위에 3.5 kg, 100 mm×100 mm×50 mm(높이)의 추를 정치한다. 또, 여과지에 관해서는 사전에 시험 전의 질량을 측정한다.
(2-3) 2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부터 8분 후 추를 제거하여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하고, 시험 전의 여과지의 질량을 차감하여 그 차분을 리웨트량(160 mL)으로 한다.
(2-4) 「흡수성 시험의 (1-1)∼(1-5)를 실시하고」를, 『흡수성 시험의 (1-1)∼(1-6)을 실시하고』로 변경하고, 그리고 「2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를, 『3회째의 인공뇨의 주입 개시』로 변경한 것 외에는, (2-1)∼(2-3)을 실시하여 리웨트량(240 mL)을 측정한다.
또, 인공뇨는, 이온 교환수 10 L에, 요소 200 g, 염화나트륨 80 g, 황산마그네슘 8 g, 염화칼슘 3 g 및 색소: 청색 1호약 1 g을 용해시키는 것에 의해 조제하였다.
Figure 112020069017076-pct00001
1: 흡수성 물품
3: 액투과성 시트
5: 액불투과성 시트
7: 흡수체
9: 흡수 코어
11: 피부 대향면
13: 피부 비대향면
15: 코어랩
17: 제1 층
19: 제2 층
21: 펄프 섬유
23: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25: 홈부
27: 종단
29: 기부
31: 홈부
33: 홈부 대응부
35: 기부 대응부
41: 폭 방향 기부
43: 폭 방향 기부 대응부
51: 종홈부
53: 종홈부 기단
55: 종홈부 종단
57: 종홈부 대응부
L: 길이 방향
W: 폭 방향
T: 두께 방향
FD: 전방
RD: 후방
FP: 앞길
RP: 뒷길
FW: 앞몸통 둘레 영역
RW: 뒤몸통 둘레 영역
C: 고간 영역
FC: 앞고간 영역
RC: 뒤고간 영역
LA: 길이 방향 축선
WA: 폭 방향 축선
V: 표면 유속
V1 : 제1 층 평균 유속
V1A: 제1 층 홈부 유속
V1B: 제1 층 기부 유속
V2: 제2 층 평균 유속
V2A: 제2 층 홈부 대응부 유속
V2B: 제2 층 기부 대응부 유속

Claims (13)

  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 코어를 구비하고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전방 및 후방을 포함하는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가지며, 그리고 앞길 및 뒷길로 구획되고,
    상기 흡수 코어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1 층 및 제2 층을 구비하고,
    제1 층이, 상기 앞길에 배치된, (i)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부로서,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후방의 위치에 종단을 구비하고 있는 홈부와, (ii) 상기 종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홈부의 상기 후방의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기부를 구비하고,
    제2 층이, 상기 홈부 및 기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복되는 위치에, 각각, 홈부 대응부 및 기부 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상기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기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높은 것인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상기 후방을 향해, 상기 흡수성 물품의 길이 방향 축선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층이, 상기 홈부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한쌍의 폭 방향 기부를 더 구비하고,
    제2 층이,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와, 상기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것인 흡수성 물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것인 흡수성 물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상기 제1 층의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홈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홈부와 종(從)홈부 기단을 통해 연통하여 존재하는 종홈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종홈부가, 상기 종홈부 기단의 반대측에 종홈부 종단을 갖는 것인 흡수성 물품.
  9. 제7항에 있어서, 제2 층이, 상기 두께 방향에서, 상기 종홈부와 중복되는 위치에, 종홈부 대응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 대응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것인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종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상기 한쌍의 폭 방향 기부의 각각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보다 낮은 것인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층이, 제2 층보다 착의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이, 제1 층의, 제2 층과 반대측의 면에 배치된 코어랩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코어랩이, 상기 홈부에서, 제2 층을 향해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흡수성 물품.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대응부에 포함되는 상기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균 밀도가 0 g/㎤ 초과인 흡수성 물품.
KR1020207019239A 2018-01-10 2018-12-20 흡수성 물품 KR102471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2254A JP6758332B2 (ja) 2018-01-10 2018-01-10 吸収性物品
JPJP-P-2018-002254 2018-01-10
PCT/JP2018/047119 WO2019138842A1 (ja) 2018-01-10 2018-12-20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97A KR20200106497A (ko) 2020-09-14
KR102471386B1 true KR102471386B1 (ko) 2022-11-25

Family

ID=6721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9239A KR102471386B1 (ko) 2018-01-10 2018-12-20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69327B2 (ko)
EP (1) EP3738563A4 (ko)
JP (1) JP6758332B2 (ko)
KR (1) KR102471386B1 (ko)
CN (1) CN111343955B (ko)
PH (1) PH12020551061A1 (ko)
TW (1) TWI777019B (ko)
WO (1) WO20191388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8332B2 (ja) * 2018-01-10 2020-09-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585751B2 (ja) * 2018-02-26 2019-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低体重児用おむつ
JP7134151B2 (ja) * 2019-09-30 2022-09-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270581B2 (ja) * 2020-06-30 2023-05-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5867243A (zh) * 2020-09-29 2023-03-2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WO2022071343A1 (ja) * 2020-09-29 2022-04-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5851A1 (en) 2001-08-31 2003-03-06 Kent Vartiainen Absorbent article having openings in the absorbent body
JP2010068954A (ja) 2008-09-17 2010-04-02 Uni Charm Corp 体液吸収性物品
JP2014014666A (ja) * 2012-06-11 2014-01-30 Kao Corp 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2952B1 (en) * 1996-03-22 2002-04-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nents having a sustained acquisition rate capability upon absorbing multiple discharges of aqueous body fluids
US6932800B2 (en) * 1997-03-27 2005-08-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 material having a high vertical wicking capacity
US7772455B1 (en) * 1997-11-14 2010-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rticle providing improved management of bodily exudates
US6570057B1 (en) * 1998-03-13 2003-05-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distribution properties under sur-saturation
MXPA00008957A (es) * 1998-03-13 2001-05-01 Gianfranco Palumbo Estructuras absorbentes que comprenden miembros de almacenamiento de fluido con habilidad mejorada para deshidratar miembros de distribuc
US6551295B1 (en) * 1998-03-13 2003-04-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s comprising fluid storage members with improved ability to dewater acquisition/distribution members
US6664439B1 (en) * 1998-04-28 2003-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distribution materials positioned underneath storage material
US6720471B1 (en) * 1998-04-28 2004-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reduced rewet with distribution materials positioned underneath storage material
KR20010053079A (ko) * 1998-06-29 2001-06-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배설물 환원제를 포함하는 흡수 제품
ID30291A (id) * 1998-06-29 2001-11-15 Procter & Gamble Piranti pengaturan limbah yang dapat dibuang
US6018093A (en) * 1998-06-29 2000-01-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calcium-based feces modification agent
US5998695A (en) * 1998-06-29 1999-12-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including ionic complexing agent for feces
JP3541144B2 (ja) * 1999-05-31 2004-07-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便処理用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691292B2 (ja) * 1999-06-29 2005-09-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便処理用の使い捨てパッド
JP3498035B2 (ja) * 2000-03-07 2004-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衛生物品用の多層構造吸収部材
JP3681320B2 (ja) * 2000-03-31 2005-08-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着用物品
US20020035354A1 (en) * 2000-06-21 2002-03-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barrier structures having a high convective air flow rat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3964611B2 (ja) * 2000-08-25 2007-08-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衛生物品用の体液吸収性パネル
TW532150U (en) * 2001-02-15 2003-05-11 Uni Charm Corp Disposable diaper
DE10144128A1 (de) * 2001-09-08 2003-03-27 Hartmann Paul Ag Saugkörper fü Hygieneartikel
JP3978406B2 (ja) * 2003-04-24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790233B2 (ja) * 2004-06-28 2011-10-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
JP4771756B2 (ja) * 2005-06-17 2011-09-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7202575A (ja) * 2006-01-30 2007-08-16 Livedo Corporation 吸収用積層体および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20080103287A1 (en) * 2006-10-30 2008-05-01 The Yokohama Rubber Co., Ltd. Thermoplastic elastomer and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JP5306773B2 (ja) * 2008-10-29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の吸液構造体
JP5566617B2 (ja) * 2009-02-27 2014-08-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タンポン
US8927803B2 (en) * 2009-03-19 2015-01-06 Uni-Charm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5581192B2 (ja) * 2010-12-17 2014-08-2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2086265A1 (ja) * 2010-12-24 2012-06-28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MY163522A (en) * 2010-12-24 2017-09-15 Kao Corp Absorbent body and absorbent article
EP2535698B1 (en) * 2011-06-17 2023-1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absorption properties
EP2535027B1 (en) * 2011-06-17 2022-08-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absorption properties
JP5869336B2 (ja) * 2011-12-27 2016-02-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IN2014DN09132A (ko) * 2012-04-13 2015-05-22 Libeltex
EP2671554B1 (en) * 2012-06-08 2016-04-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EP2679210B1 (en) * 2012-06-28 2015-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
EP2679208B1 (en) * 2012-06-28 2015-0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EP2679209B1 (en) * 2012-06-28 2015-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
US9131893B2 (en) * 2012-10-26 2015-09-15 Pixie Scientific, Llc Health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US20150065981A1 (en) * 2013-08-27 2015-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486368B2 (en) * 2013-12-05 2016-11-08 Medline Industries, Inc. Disposable hygienic article with means for diagnostic testing
US20150282998A1 (en) * 2014-04-08 2015-10-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substrates having zonal treatments
JP6081422B2 (ja) 2014-08-29 2017-02-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6031668A1 (ja) * 2014-08-29 2016-03-03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001713B2 (ja) * 2015-03-16 2016-10-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70246052A1 (en) * 2016-02-25 2017-08-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WO2017151712A1 (en) * 2016-03-01 2017-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product adapted for collection of urine sample from an infant
CN110740719B (zh) * 2017-06-05 2023-06-16 宝洁公司 具有改善的身体流出物可视化的可配置吸收制品
WO2019005650A1 (en) * 2017-06-27 2019-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YER PRODUCT FOR COLLECTING A SAMPLE OF INFANT EXUDATE
US11399992B2 (en) * 2017-08-24 2022-08-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figur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removable fastening members
JP6758332B2 (ja) * 2018-01-10 2020-09-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5851A1 (en) 2001-08-31 2003-03-06 Kent Vartiainen Absorbent article having openings in the absorbent body
JP2010068954A (ja) 2008-09-17 2010-04-02 Uni Charm Corp 体液吸収性物品
JP2014014666A (ja) * 2012-06-11 2014-01-30 Kao Corp 吸収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8722A (ja) 2019-07-22
PH12020551061A1 (en) 2021-05-31
KR20200106497A (ko) 2020-09-14
TWI777019B (zh) 2022-09-11
WO2019138842A1 (ja) 2019-07-18
TW201929810A (zh) 2019-08-01
JP6758332B2 (ja) 2020-09-23
EP3738563A4 (en) 2021-03-10
CN111343955A (zh) 2020-06-26
EP3738563A1 (en) 2020-11-18
CN111343955B (zh) 2023-04-11
US20200337914A1 (en) 2020-10-29
US11969327B2 (en) 202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386B1 (ko) 흡수성 물품
US11752046B2 (en) Absorbent article with dual core
JP5996638B2 (ja) 吸収性材料を使用した吸収性構造体の作製方法及び作製装置
JP4502586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102186055B1 (ko) 흡수성 물품
CN106456402A (zh) 包含吸收体用的无纺布片的吸收性物品、及在该吸收性物品中使用的无纺布片的制造方法
CN103596531A (zh) 用于制备具有吸收材料的吸收结构的方法和设备(1)
KR20170013246A (ko) 신축 탄성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 신축 탄성 부재를 사용한 일회용 기저귀
JP7160645B2 (ja) 吸収性物品
US20080015532A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multi fiber and density absorbent core
WO2022004499A1 (ja) 吸収性物品
KR20140042817A (ko) 옆으로 누운 누설 향상을 갖는 1회용 흡수성 물품
CN108472164A (zh) 具有通道的吸收制品
CN210384213U (zh) 一种超薄吸收性物品
CN105705126A (zh) 包括一个以上的堆叠吸收垫的吸收性物品
CN103732195B (zh) 一次性尿布
RU2531270C2 (ru) Удаление окрашенных веществ из водных жидкостей
US20210161731A1 (en) Absorbent article with spacer element
WO2024069969A1 (ja)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及び当該吸収体の製造方法
JP2023024182A (ja) 吸収性物品用の吸収体、及び当該吸収体の製造方法
JP2019136150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