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842B1 - 분진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분진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842B1
KR102470842B1 KR1020200122906A KR20200122906A KR102470842B1 KR 102470842 B1 KR102470842 B1 KR 102470842B1 KR 1020200122906 A KR1020200122906 A KR 1020200122906A KR 20200122906 A KR20200122906 A KR 20200122906A KR 102470842 B1 KR102470842 B1 KR 102470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ust
hopper
clos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2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0107A (ko
Inventor
여진이
Original Assignee
여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진이 filed Critical 여진이
Priority to KR1020200122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84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9/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othe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호퍼로더, 자재를 담기 위한 타워호퍼, 자재에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부, 자재를 필요한 양만큼 배출시켜 포장이 가능토록 하는 배출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장치는 호퍼로더에서 1차로 분진을 분리해내고, 진동부에서 2차, 3차로 분진을 분리하여 자재의 상품성이 높고, 자재에서 분진을 바로 분리하고 나서 필요한 양만큼 바로 포장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이 뛰어나다.

Description

분진 제거장치{Dust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입자형태의 각종 산업자재 종류에서 필요한 입자크기 이하의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품질과 성능을 향상시키고 분진을 포함한 자재의 사용에 의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미연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분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입자형태를 갖는 산업자재의 한 예는 야자활성탄인데, 이러한 야자활성탄은 야자수를 숯으로 만들어 대부분 대량 포장형태로 수입되고 여기에는 필요한 크기 이하의 분진이 많이 포함된 형태이다.
이와 같이 분진이 포함된 상태로 포장된 야자활성탄을 주용도인 탈취, 정수 등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포장을 뜯는 순간부터 분진이 계속 비산 되므로 모든 작업에 지장을 받게 되는 것이고, 미세한 분진이 포함된 상태로 필터 등에 사용하게 되면 분진에 의해 공기나 물의 흐름을 막게 되고 따라서 원래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로 이어진다.
입자형태의 또 다른 산업자재의 예는 목재를 파쇄한 입자이거나 고양이 모래 등이 있다.
이러한 예들 역시 제조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많이 포함된 상태이고 그러한 상태로 판매 및 사용을 하다 보면 품질의 불만, 환경오염 등 많은 문제로 이어진다.
한편, 종래에도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한 가지 예로 아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분리를 위한 호퍼가 상부에 위치하므로 분진을 제거할 활성탄을 동력이나 인력을 이용하여 높게 들어올린 후 호퍼에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고, 진동을 이용하여 분진을 제거하는 원리이므로 소음과 진동이 많아 산업환경에 좋지 않으며, 호퍼 내에 활성탄이 가득 적층된 상태에서 진동만으로 분진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그 효율이 매우 낮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량의 활성탄을 대상으로 분진제거를 실시한 후에는 이를 다시 다른 용기나 공정으로 이동하여 포장을 할 수 있으므로 포장까지 이어지는 공정상 능률성이 저조하며, 분진제거작업이 호퍼의 용량단위로 한 번씩 반복실시되므로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매우 지연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15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써, 활성탄 등의 자재에 섞여있는 필요한 크기 이하의 분진을 공급과정과 진동 및 낙하과정 등 3차에 걸쳐 빠르고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분진의 제거와 동시에 균일한 용량으로 바로 포장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이 높은 분진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분진 제거장치는, 필터가 내장되어 있어 활성탄에 섞여있는 필요한 크기 이하인 분진을 우선적으로 걸러내는 호퍼로더, 분진이 걸러내진 자재가 모여지는 타워호퍼, 자재에 남아있는 분진을 한번더 분리하기 위해서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와 진동자의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하는 진동판으로 구성되는 진동부, 진동부에서 분진이 완전히 제거된 자재를 포장에 필요한 만큼 배출할 수 있도록 자재를 모아두는 배출호퍼와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서 편심부와 스프링으로 개폐되는 개폐구로 구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진 제거장치는, 필터가 장착된 호퍼로더에서 분진을 우선적으로 분리하고, 분리되지않아 남아있는 분진은 진동을 일으켜 공기중에 부유되게 한다음 흡입관으로 빨아들여 분진을 완전히 분리하며, 분진이 분리된 활성탄 등의 자재를 소분으로 바로 포장할 수 있도록 공급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에 대한 배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출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분진 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을 본 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기재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 제거장치(1)는 입고된 활성탄 등의 자재(M)가 위치하는 저장고(2)와 저장고(2)에 위치한 자재(M)를 빨아들여 분진 제거장치(1)로 이동시키는 흡입장치(3)가 함께 구성된다.
저장고(2)와 흡입장치(3)는 분진 제거장치(1)의 상부에 위치한 호퍼로더(10)에 각각 자재흡입관(2a)과 분진흡입관(3a)이 연결되는데, 호퍼로더(10)의 측면에 자재흡입관(2a)이 연결되고 상면에 분진흡입관(3a)이 연결되며, 호퍼로더(10)의 내부 상면에 자재흡입관(2a) 위에 필터(11)를 구성하여 분진만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였다. 흡입장치(3)가 가동하게 되면 저장고(2)에 위치한 자재(M)를 빨아들여 분진 제거장치(1)로 이동시키면서 내부에 위치한 필터(11)로 인해 분진(D)만 흡입장치(3)로 이동한다.
호퍼로더(10)의 아래에는 타워호퍼(20)가 위치해 있어 호퍼로더(10)를 지나온 자재(M)가 한꺼번에 분진 제거장치(1) 내부로 쏟아지지 않고 저장되게 한다.
타워호퍼(20)의 아래에는 분진 제거장치(1)가 위치하는데, 내부에는 진동부(30), 배출부(40), 가이드호퍼(50)가 구성된다.
먼저, 타워호퍼(20)의 아래에는 상기 호퍼로더(10)에서 1차적으로 분진이 제거되고 타워호퍼(20)를 통과한 자재(M)를 수 개의 진동판(32)으로 분산공급하기 위한 가이드호퍼(50)가 위치하는데, 가이드호퍼(50)의 아래의 진동부(30)는 자재(M)가 안착되어 진동으로 서서히 이동하면서 분진을 분리하는 진동판(32)이 구성되고, 진동판(32)의 아래에는 진동판(32)에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자(31)가 구성된다.
진동판(32)의 끝에는 진동과정을 거친 자재가 포집되는 배출호퍼(41)가 위치해 있고 배출호퍼(41)의 하단 끝에는 배출호퍼(41)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구(42)를 포함하는 배출부(40)가 위치한다.
상기 분진 제거장치(1)의 진동판(32) 후방에 별도의 분진 흡입관(1a)이 내부를 지속적으로 흡입하도록 구성하고 진동판(32)에서 떨어지는 자재가 낙하하는 위치의 상부에 또 다른 분진 흡입관(1a)을 구성하였다.
배출부(40)에는 개폐구(42)가 열릴 수 있도록 개폐 회전축(43)의 뒤쪽에는 개폐 작동봉(44)이 형성되어 있고, 개폐 작동봉(44)을 조작할 수 있는 회전모터(45)와 회전축(46), 편심축(47)이 형성된다.
또한, 열려있는 개폐구(42)가 닫힐 수 있도록 개폐구(42)와 배출호퍼(41) 사이에는 스프링(48)이 연결된다.
배출호퍼(41)의 아래에는 개폐여부에 따라 흘러나오는 자재(M)를 포집하기 위한 가이드호퍼(50)가 추가로 위치하며, 가이드호퍼(50)의 아래에는 자재(M)를 담을 수 있는 포댓자루 등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고(2)에 포장을 하기 위한 자재(M)를 넣어두고, 흡입장치(3)를 가동하게 되면 저장고(2)에 있던 자재(M)가 자재흡입관(2a)을 타고 호퍼로더(10)로 이동하게 되고, 자재(M)에 섞여있던 분진(D)은 필터(11)를 통과하여 분진흡입관(3a)을 지나서 흡입장치(3)로 포집되게 된다. 이로 인해 1차적인 분진제거가 이루어진다.
필터(11)로 분리된 자재(M)는 호퍼로더(10)를 지나 타워호퍼(20)에 쌓이면서 필요한 만큼 분진 제거장치(1)로 공급된다.
타워호퍼(20)에서 공급되는 자재(M)는 가이드호퍼(50)를 지나면서 포집되어 진동판(32)에 놓여지게 되고 진동자(31)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진동판(32)에 전달되어 진동함에 따라 놓여있는 자재(M)도 함께 진동하게 된다.
이때, 호퍼로더(10)에서 미처 분리되지 못한 분진(D)은 자재(M)보다 가벼운 무게로 인해 부유하여 퍼지게 되는데 분진 제거장치(1)의 진동판(32) 후방에 연결되어 있는 분진 흡입관(1a)이 내부를 지속적으로 흡입하고 있어 진동판(32)에 의해 비산되는 분진을 제거하는 2차 분진 제거가 이루어진다.
또한, 자재(M)가 이동하는 중에도 무게가 비교적 가벼운 분진(D)은 쉽게 부유하기 때문에 진동판(32)에서 떨어지는 자재가 낙하하는 위치의 상부에 또 다른 분진 흡입관(1a)을 통해 진동판(32)에 의해 비산되는 분진 및 낙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제거하고 3차 분진제거가 빠르게 이루어진다.
진동부(30)에서 진동과정을 거쳐 분진(D)이 완전히 제거된 자재(M)는 배출부(40)를 통해 배출되어 포장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판(32)의 끝 아래에 위치한 배출호퍼(41)와 개폐구(42)로 자재(M)가 쌓이게 되는데, 개폐구(42)는 배출호퍼(41)와 연결되어있는 스프링(48)의 힘으로 인해 닫혀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어느정도 쌓이게 되는 자재(M)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모터(45)에 의해서 개폐구(42)가 열리게 되는데, 회전모터(45)의 회전축(46)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 편심축(47)의 돌출된 부분이 개폐 작동봉(44)에 맞닿게 되면서 개폐구(42)를 들어올려 개폐 회전축(43)을 기준으로 개폐구(42)가 열리도록 한다.
개폐구(42)가 열리면서 쌓여있던 자재(M)는 아래에 위치한 가이드호퍼(50)를 따라 포집되면서 쏟아지게 되고, 앞서 가이드호퍼(50) 아래에 포댓자루 등을 준비하여 배출부(40)에서 나오는 자재(M)를 받아 포장한다. 회전모터의 속도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분진 제거장치(1)는 우선적으로 호퍼로더(10)에서 자재(M)와 분진(D)을 분리하고, 진동부(30)에서 분리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분진(D)을 자재(M)에서 분리시키고 분진 흡입관(1a)으로 흡입해 제거함으로써 자재(M)에서 분진(D)을 완전하게 제거하여 자재(M)의 상품성을 높인다.
또한, 분진(D)이 제거된 자재(M)를 배출부(40)를 통해 바로 포장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1: 분진 제거장치 1a: 분진 흡입관
2: 저장고 2a: 자재흡입관
3: 흡입장치 3a: 분진흡입관
10: 호퍼로더
11: 필터
20: 타워호퍼
30: 진동부
31: 진동자 32: 진동판
40: 배출부
41: 배출호퍼 42: 개폐구
43: 개폐 회전축 44: 개폐 작동봉
45: 회전모터 46: 회전축
47: 편심축 48: 스프링
50: 가이드호퍼
M: 자재
D: 분진

Claims (3)

  1. 활성탄 등의 자재에 섞여있는 필요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분진을 분리하는 분진 제거장치(1)에 있어서,
    자재가 보관되는 저장고(2)와, 저장고(2)의 자재를 빨아들여 이동시키는 흡입장치(2)가 연결되면서 이동되어온 자재에서 1차적으로 분진을 분리시키기 위한 필터(11)가 내장되어 분진만 필터를 통과하고 자재는 아래로 낙하하도록 하는 호퍼로더(10)와,
    상기 호퍼로더(10)를 지나온 자재가 저장되는 타워호퍼(20)와,
    상기 호퍼로더(10)에서 분리되지 않고 남아있는 분진을 한번 더 분리하기 위해서 자재를 진동시키기 위해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자(31)와 진동자(31)의 진동을 전달받아 진동하는 진동판(32)으로 구성되는 진동부(30)와,
    상기 진동판(32) 후방에 별도의 분진 흡입관(1a)이 내부를 지속적으로 흡입하도록 구성하여 2차적인 분진 제거가 이루어지고, 진동판(32)에서 떨어지는 자재가 낙하하는 위치의 상부에 또 다른 분진 흡입관(1a)을 구성하여 3차적인 분진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진동부를 통과한 자재를 받아 일정한 양을 반복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배출호퍼가 있고 배출호퍼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구를 포함하는 배출부를 구성하되, 개폐구(42)가 열릴 수 있도록 개폐 회전축(43)의 뒤쪽에는 개폐 작동봉(44)이 형성되어 있고, 개폐 작동봉(44)을 조작할 수 있는 회전모터(45)와 회전축(46), 편심축(47)이 형성되고, 열려있는 개폐구(42)가 닫힐 수 있도록 개폐구(42)와 배출호퍼(41) 사이에는 스프링(48)이 연결 구성되어,
    배출호퍼의 내부에 쌓이게 되는 자재(M)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모터(45)에 의해서 개폐구(42)가 열리게 되는데, 회전모터(45)의 회전축(46)에서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 편심축(47)의 돌출된 부분이 개폐 작동봉(44)에 맞닿게 되면서 개폐구(42)를 들어올려 개폐 회전축(43)을 기준으로 개폐구(42)가 열리도록 하며,
    개폐구(42)가 열리면서 쌓여 있던 자재(M)는 아래에 위치한 가이드호퍼(50)를 따라 포집되면서 쏟아지게 되고, 앞서 가이드호퍼(50) 아래에 포댓자루를 준비하여 배출부(40)에서 나오는 자재(M)를 받아 포장할 수 있도록 하며,
    회전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배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D)이 제거된 자재(M)를 배출부(40)를 통해 바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진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00122906A 2020-09-23 2020-09-23 분진 제거장치 KR102470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06A KR102470842B1 (ko) 2020-09-23 2020-09-23 분진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2906A KR102470842B1 (ko) 2020-09-23 2020-09-23 분진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107A KR20220040107A (ko) 2022-03-30
KR102470842B1 true KR102470842B1 (ko) 2022-11-28

Family

ID=8094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2906A KR102470842B1 (ko) 2020-09-23 2020-09-23 분진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578B1 (ko) * 2022-05-19 2023-07-27 (주)진우산업기계 금속 스크랩 자동 분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935Y1 (ko) * 2001-01-11 2001-06-01 임종진 식품 또는 의약품의 분말 또는 과립 이송장치
KR101305635B1 (ko) * 2012-03-22 2013-09-0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마재 재생장치
KR101444893B1 (ko) * 2012-05-30 2014-09-26 해표산업 주식회사 펠릿성형방법 및 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13322D0 (en) * 1992-06-23 1992-08-05 Efamol Holdings Antioxidant compositions
KR101411576B1 (ko) 2012-06-29 2014-06-24 주식회사 한새 활성탄필터의 활성탄분진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5935Y1 (ko) * 2001-01-11 2001-06-01 임종진 식품 또는 의약품의 분말 또는 과립 이송장치
KR101305635B1 (ko) * 2012-03-22 2013-09-0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연마재 재생장치
KR101444893B1 (ko) * 2012-05-30 2014-09-26 해표산업 주식회사 펠릿성형방법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107A (ko)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996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plastics from compost and other recyclable materials
CN204247374U (zh) 一种水稻种子除杂筛选机
KR102470842B1 (ko) 분진 제거장치
CN206631954U (zh) 一种色选机的进料装置及该色选机
CN208555030U (zh) 一种旋振谷物清理筛
GB2521827A (en) Separating waste materials
CN108607671A (zh) 一种建筑垃圾干式分类分离方法
CN111790717B (zh) 废弃物处理装置
CN217797225U (zh) 一种具有砂石筛离功能的土壤肥料分离装置
JP4115825B2 (ja) 集塵装置における混入物除去装置
CN208194973U (zh) 一种砂处理设备
EP0472242A1 (en) Method for separating waste
RU2012128807A (ru) Пылесос
CN210284906U (zh) 一种无尘筛分自动拆包装置
CN113335682A (zh) 一种全自动小袋开袋站
CN209317819U (zh) 一种食用菌栽培基质回收分离装置
CN209255183U (zh) 一种可移动防尘式筛沙机
CN206436408U (zh) 一种具有除尘作用的塑胶颗粒收集装置
CN206184771U (zh) 一种复式精选筛
CN104826798A (zh) 一种农用环保型农作物清尘除杂装置
CN218704489U (zh) 一种可自动割破包装袋的振筛投料站
CN214931324U (zh) 一种全自动小袋开袋站
KR100766908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CN218173972U (zh) 一种松香树脂输料用下料管疏通装置
JP5852278B1 (ja) 減容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