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247B1 -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 Google Patents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247B1
KR102470247B1 KR1020200103244A KR20200103244A KR102470247B1 KR 102470247 B1 KR102470247 B1 KR 102470247B1 KR 1020200103244 A KR1020200103244 A KR 1020200103244A KR 20200103244 A KR20200103244 A KR 20200103244A KR 102470247 B1 KR102470247 B1 KR 10247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bending line
quadrangular portion
b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2277A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riority to KR102020010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2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2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comprising extruded supporting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에서 상부사각형부, 하부사각형부 및 상기 상부사각형부와 상기 하부사각형부 사이에 개재된 중간사각형부가 일체로 된 블랭크를 재단하여 만들고 나서, 상기 블랭크가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채널형 단면 또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와 가로바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블랭크의 상부사각형가 세로방향으로 뻗은 세로바의 윗면과 가로방향에 면하고 있는 양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고, 블랭크의 하부사각형부가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의 밑면과 세로방향에 면하고 있는 양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고, 그리고 상기 세로바의 다른 한측면과 상기 가로바의 다른 한측면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가 절곡되어 형성된 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중간사각형부가 적어도 3번 절곡되어 만들어진 크로스바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clip for cross bars of drop ceiling system}
본 발명은 금속판의 폐기량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크로스바의 시공성을 높이기 위한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천장에는 콘크리트 등의 거친 천장표면을 차폐하거나, 천장에 설치된 전기배선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패널이 설치되는데, 근래에는 이러한 마감패널을 쉽고 편리하게 시공하기 위한 경량철골 시스템이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은 천장에 다수개 고정설치되는 앵커와, 열 또는 행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개 배열되도록 상기 앵커 하부에 결합되는 캐링바와, 상기 캐리어가 배열된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다수개 배열되도록 상기 캐링바 하부에 결합되며, 마감패널이 설치되는 직교바(M바, T바, SQ바, Clip바 등)를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캐링바 상부에 캐링바를 보강하기 위해 마이너 채널바를 직교로 설치하기도 한다.
또한, 서로 직교하는 상기 캐링바와 상기 직교바를 직교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캐링바와 상기 직교바는 크로스바용 클립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클립의 결합홈을 만들기 위해 캐링바와 직교바의 모양도 변화를 주게 된다.
상기 크로스바용 클립은 상기 캐링바의 형상과 상기 직교바의 형상에 따라 CT바용 클립, 와아어클립, M바용 클립 등으로서, 다양하게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이들 클립들은 바들의 외면에 형성된 암형부에 암수결합되는 숫형부를 구비하고서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바들을 결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바들 대부분(M바, T바, CT바, 채널바)는 상하좌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지진이나 강풍 에 문제가 있고, SQ바는 상하좌우방향 모두 막혀있어서, 다른 바에 비해 구조적으로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크로스바용 클립에 결합되기 위해 외면에 스롯형 홈이 바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어서, SQ바의 제조비용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태풍으로부터 안전을 확보가 위한 캐링바의 보강이 중요시 되고 있으나, 이를 위한 캐링바의 보강방법과 이를 위한 결합클립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의 일부에 결어서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몸체를 체결함으로써, 채널형 또는 ㅁ자형 등의 단면을 가진 바를 쉽게 체결가능하도록 하였다.
ㅁ 자형 단면을 가진 바 2개를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게 한 상태에서 서로 결합시키는 클립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클립은, 금속판에 ㄴ자 모양으로 줄을 그어서 현도한 다음, 이를 재단하여 블랭크를 만들고 나서, 도 1에 도시된 클립 형태로 절곡하게 된다.
하지만, 클립이 절곡되지 전의 ㄴ자 모양으로 줄을 그어서 금속판에 현도하게 되면, ㄴ자 모양의 안쪽에 위치된 부위가 폐기되는 부산물로서 남게 되어, 금속판의 전체 부위를 이용하지 못하고 금속판의 많은 부위를 폐기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금속판에서 상부사각형부, 하부사각형부 및 상기 상부사각형부와 상기 하부사각형부 사이에 개재된 중간사각형부가 일체로 된 블랭크를 재단하여 만들고 나서, 상기 블랭크가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채널형 단면 또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와 가로바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블랭크의 상부사각형가 세로방향으로 뻗은 세로바의 윗면과 가로방향에 면하고 있는 양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 접촉하게 1번 절곡되고, 블랭크의 하부사각형부가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의 밑면과 세로방향에 면하고 있는 양측면 중 어느 한측면에 접촉하게 1번 절곡되고, 그리고 상기 세로바의 다른 한측면과 상기 가로바의 다른 한측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가 절곡되어 형성된 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게 중간사각형부가 적어도 3번 절곡되어 만들어진 크로스바용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종래보다 폐기되는 부산물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크로스바용 클립의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낮춤과 동시에, 지구의 자원낭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캐링바와 직교바의 몸체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하부사각형부에 형성된 절결부에 의해, 결합력도 강화사킬 수 있고, 세로바와 가로바의 일부를 걸어서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가로바와 세로바의 몸체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캐링바의 다양성에 대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로스바용 클립에 대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크로스바용 클립들을 만들이 위해 금속판에 현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금속판에서 재단된 블랭크들에서 절곡부위들을 표시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4은 도 3의 블랭크들에서 절곡하여 만들어진 본 실시예들의 크로스바용 클립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5은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바에 도 4의 크로스바용 클립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별도 실시예의 크로스바용 클립과 이 클립이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7은 도 3의 블랭크의 다른 실시에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4에는 제1실시예의 크로스바용 클립이 부호 100으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바용 클립(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채널형 단면 또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1)와 가로바(2) 중 상기 세로바(1)의 상변모서리에 면접촉하여 걸음하는 상부걸음부(110), 상기 가로바(2)의 하변모서리에 면접촉하여 걸음하는 하부걸음부(120), 및 양단이 상기 상부걸음부(110)와 상기 하부걸음부(1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4개의 모서리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상기 세로바(1)의 측면과 상기 가로바(1)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게 절곡된 몸체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설명에서,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ㅁ 자형 단면을 가진 것으로 설명 및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채널형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크로스바용 클립(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에서 상기 상부걸음부(110)로 될 상부사각형부(10), 상기 하부걸음부(120)로 될 하부사각형부(20) 및 상기 상부사각형부(10)와 상기 하부사각형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부(130)로 될 중간사각형부(30)를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블랭크(B)를 재단하여 만들어 진 것이다.
상기 블랭크(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경사-수직으로 뻗은 제1블랭크(Ba), 수직으로 뻗은 제2블랭크(Bb) 및 수직-경사로 뻗은 제3블랭크(Bc) 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1블랭크(Ba)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한측면(1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한측면(2a)에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한측면(2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다른 한측면(1b)에 면접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한측면(2a)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아래방향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2블랭크(Bb)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선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블랭크(Bb)에서 상기 절곡선(21)과 절곡선(32)이 경사지게 뻗은 이유는, 상기 절곡선(33)에서 상기 중간사각형부(30)를 절곡하게 되면,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위로 딸려 올라가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절곡선(21)과 절곡선(32)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블랭크(B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1블랭크(Bb')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2-1블랭크(Bb')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선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1블랭크(Bb')에서 상기 절곡선(21)과 절곡선(32)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곡선(33)에서 상기 중간사각형부(30)를 절곡할 시에,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위로 딸려 올라가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절곡선(32)이 수평방향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뻗도록, 상기 졀곡선(32)에 인접한 일측 부위를 아래방향으로 신장시켜야 한다.
상기 제2블랭크(Bb)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2블랭크(Bb")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2-2블랭크(Bb")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동시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 34)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하부 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과 하부 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동시에 면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4)은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3)은 상기 절곡선(31)과 상기 절곡선(34) 사이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2블랭크(Bb")에서 상기 절곡선(21), 절곡선(32) 및 절곡선(34)이 수평방향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곡선(33)에서 상기 중간사각형부(30)를 절곡할 시에,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위로 딸려 올라가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상기 절곡선(34)이 수평방향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뻗도록, 상기 졀곡선(34)에 인접한 일측 부위를 아래방향으로 신장시켜야 한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3블랭크(Bc)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뻗었다가 절곡되어 경사지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동시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 34)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하부 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과 하부 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동시에 면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4)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 부위 중 절곡지점에 양단이 위치되어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3)은 상기 절곡선(31)의 일단과 상기 절곡선(34)의 타단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2블랭크(Bc)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3-1블랭크(Bc')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블랭크(B)가 상기 제3블랭크(Bc')인 경우에,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다.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선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블랭크(Ba, Bb, Bc) 및 상기 제2-1블랭크(Bb')와 제2-2블랭크(Bb") 에서 상기 하부사각형부(20)에 절곡선(21)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사각형부(20)의 한변에 V자형 절결부(22)를 형성하고,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골부에 인접한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의 부위가 절곡지점이 되어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자유단을 절곡하게 되면,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을 상기 가로바(2)의 한측면(2a)으로 쇄기식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자유단 내면이 접촉 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별도의 실시예에서 편의적으로 제3블랭크(Bc)에 V자형 절결부(22)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내지 제2블랭크(Ba, Bb) 및 상기 제2-1블랭크(Bb')와 제2-2블랭크(Bb")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바용 클립(100)은,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1)와 가로바(2) 중 위에 배치된 세로바(1)의 상부에 상부걸음부(10)를 끼워서 얹어 놓은 상태에서, 하부걸음부(120)를 상기 세로바(1) 밑에 배치된 가로바(2)의 하부에 끼우게 되면,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크로스 상태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걸음부(120)의 선단에 위로 기립되어 형성된 턱부(121)는, 하부걸음부(120)를 상기 세로바(1) 밑에 배치된 가로바(2)의 하부에 끼우기 위해, 상기 턱부(121)을 상기 가로바(2)의 밑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몸체부(130)를 상기 몸체부(130)에 등을 진 상기 가로바(2)의 한 쪽 측면 쪽으로 밀게 되면, 상기 몸체부(130)에 대하여 상기 하부걸음부(120)가 탄성변형되어 벌어지면서, 상기 턱부(121)가 상기 가로바(2)의 밑면을 타고 넘어가 상기 가로바(2)의 한 쪽 측면에 밀착되게 되는 정도의 높이를 가진 것으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 턱부(121)의 높이는 세로바(1)와 가로바(2)의 높이와 가로바(2)의 폭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각형에서 사각형의 높이 길이와 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 편차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걸음부(120)가 턱부(121) 대신에 V자형 절결부(22)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바(1)의 상부에 상부걸음부(10)를 끼워서 얹어 놓은 상태에서, 하부걸음부(120)를 상기 세로바(1) 밑에 배치된 가로바(2)의 밑면에 맞닿음시킨 상태에서,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골부에 인접한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의 부위가 절곡지점이 되어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자유단을 절곡하게 되면, 상기 가로바(2)의 한측면(2a)을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으로 쇄기식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일측면(2a)에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자유단 내면이 접촉되어,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크로스 상태로 서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V자형 절결부(22)는 밑변(20a) 쪽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사진 거리변화에 대한 폭(D) 만큼 오차 범위의 가로바(2)도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크로스바용 클립(100)은, 종래보다 폐기되는 부산물이 현저하게 줄어들게 되어, 크로스바용 클립의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낮춤과 동시에, 지구의 자원낭비을 줄일 수 있다.
1: 세로바, 2: 가로바, 1a: 한측면, 2a: 한측면, 1b: 다른 한측면, 2b: 다른 한측면, 10: 상부사각형부, 11: 절곡선, 20: 하부사각형부, 20a: 밑변, 21: 절곡선, 22: V자형 절결부, 30: 중간사각형부, 31: 절곡선, 32: 절곡선, 33: 절곡선, 34: 절곡선, 100: 크로스바용 클립, 110: 상부걸음부, 120: 하부걸음부, 121: 턱부, 130: 몸체부, B: 블랭크, Ba: 제1블랭크, Bb: 제2블랭크, Bc: 제3블랭크

Claims (9)

  1. 서로 직교하여 교차하는 채널형 단면 또는 ㅁ 자형 단면을 가진 세로바(1)와 가로바(2)를 결합하는 크로스바용 클립(100)에 있어서,
    상기 세로바(1)의 상변모서리에 면접촉하여 걸음하는 상부걸음부(110),
    상기 가로바(2)의 하변모서리에 면접촉하여 걸음하는 하부걸음부(120), 및 양단이 상기 상부걸음부(110)와 상기 하부걸음부(120)에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세로바(1)와 상기 가로바(2)가 교차하여 이루어지는 4개의 모서리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를 구성하는 상기 세로바(1)의 측면과 상기 가로바(2)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지지되게 절곡된 몸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크로스바용 클립(100)은,
    금속판에서 상기 상부걸음부(110)로 될 상부사각형부(10),
    상기 하부걸음부(120)로 될 하부사각형부(20) 및
    상기 상부사각형부(10)와 상기 하부사각형부(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몸체부(130)로 될 중간사각형부(30)를 전체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고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블랭크(B)를 재단하여 만들어 지며,

    상기 블랭크(B)는,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으로 뻗은 제2블랭크(Bb)이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으며,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선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거나,

    상기 블랭크(B)는,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으로 뻗은 제2-1블랭크(Bb')이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있으며,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선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거나,

    상기 블랭크(B)는,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으로 뻗은 제2-2블랭크(Bb")이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수평으로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동시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 34)이 있으며,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하부 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과 하부 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동시에 면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4)은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3)은 상기 절곡선(31)과 상기 절곡선(34) 사이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거나,

    상기 블랭크(B)는,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경사로 뻗은 제3블랭크(Bc) 이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뻗었다가 절곡되어 경사지게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동시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 34)이 있으며,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하부 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상부 일부분과 하부 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과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동시에 면접촉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4)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 부위 중 절곡지점에 양단이 위치되어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3, 34) 중 절곡선(33)은 상기 절곡선(31)의 일단과 상기 절곡선(34)의 타단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거나, 또는

    상기 블랭크(B)는,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경사로 뻗은 제3-1블랭크(Bc') 이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수직하게 뻗은 상부사각형부(10)에는, 세로방향으로 뻗은 상기 세로바(1)의 윗면과 다른 한측면(1b)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11)이 수평으로 뻗어 있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뻗은 하부사각형부(20)에는,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이 수평방향에서 경사지게 뻗어 있는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뻗은 가로바(2)의 밑면과 한측면(2a)에 면접촉하게 1번 절곡되게 절곡선(21)이 상기 밑변(20a)에 평행하게 뻗어 있고, 그리고
    위에서 아래로 뻗은 양변이 서로에 평행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뻗은 중간사각형부(30)에는, 중간사각형부(30)가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사각형부(1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과 상기 하부사각형부(20)가 절곡되어 형성된 수평개구방향이 서로 직교하도록 절곡되게 절곡선(31, 32, 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선(31)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이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도록 수평으로 뻗어 있고,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가로바(2)의 상기 다른 한측면(2b)에 선면접촉하도록 상기 절곡선(21)에 평행하게 뻗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절곡선(33)은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일부분과 다른 일부분이 동시에 상기 세로바(1)의 상기 한측면(1a)에 면접촉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선접촉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사각형부(30)의 양변에 양단이 위치되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경사지게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걸음부(120)의 선단에 위로 기립되어 형성된 턱부(121)의 높이는, 세로바(1)와 가로바(2)의 높이 길이와 가로바(2)의 폭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각형에서, 사각형의 높이 길이와 사각형의 대각선 길이의 편차보다 작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사각형부(20)의 한변에는, V자형 절결부(22)가 형성되고,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골부에 인접한 하부사각형부(20)의 밑변(20a)의 부위가 절곡지점이 되어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자유단을 절곡하게 되면,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을 상기 가로바(2)의 한측면(2a)으로 쇄기식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가로바(2)의 다른 한측면(2b)에 상기 V자형 절결부(22)의 자유단 내면이 접촉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KR1020200103244A 2020-08-18 2020-08-18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KR102470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44A KR102470247B1 (ko) 2020-08-18 2020-08-18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3244A KR102470247B1 (ko) 2020-08-18 2020-08-18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277A KR20220022277A (ko) 2022-02-25
KR102470247B1 true KR102470247B1 (ko) 2022-11-23

Family

ID=80490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3244A KR102470247B1 (ko) 2020-08-18 2020-08-18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2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012A (ja) * 2007-04-20 2008-11-06 Tokyu Construction Co Ltd 天井落下防止クリップ
JP2019218683A (ja) * 2018-06-15 2019-12-26 株式会社サワタ 天井裏配設部材取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4065A (ko) * 2005-08-26 2007-03-02 김완철 캐리어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장 마감재 부착용프레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7012A (ja) * 2007-04-20 2008-11-06 Tokyu Construction Co Ltd 天井落下防止クリップ
JP2019218683A (ja) * 2018-06-15 2019-12-26 株式会社サワタ 天井裏配設部材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2277A (ko) 2022-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75109A (en) Building construction
US4805364A (en) Wall construction
EP0204281A2 (en) Load-bearing structure for raised floors
US2565875A (en) Ribbed metal cross bridging
KR102470247B1 (ko) 경량철골천장시스템의 크로스바용 클립
DE2814095A1 (de) Verbinder fuer zwei sich kreuzende schienen
US3130821A (en) Clip for securing suspended ceiling structural members
JP2009030415A (ja) 鋼製床パネルを用いた床構造体
KR102628120B1 (ko) 교차하는 구조바를 결합하는 클립
CN107386516B (zh) 一种相交条形格栅及其安装方法
US3696572A (en) Support for panels and the like
KR100700148B1 (ko) 건축용 안전발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2473A (ko) 천정판 고정구조
KR102654515B1 (ko) 슬라이딩 체결 방식의 천장판 설치용 클립바 어셈블리
KR200294416Y1 (ko) 보강재를구비하고초기인장력이가해진스틸스터드
KR102595348B1 (ko) 패널 고정브라켓 잠금장치
EP0645505B1 (en) Suspension frame for a false ceiling
KR102585839B1 (ko)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CN211523472U (zh) 预制空调板及其配筋结构
DE102004037909B4 (de) Anordnung zur hängenden Halterung von Schallabsorbern
JPH10266458A (ja) 建築物用角パイプ材
JP201621129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床の段状部を含む配筋床構造
JP2514971Y2 (ja) 線材保持構造
JPH0421950Y2 (ko)
JPH0683817U (ja) 嵌込みキャップ式金属瓦棒屋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