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5839B1 -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5839B1
KR102585839B1 KR1020200175039A KR20200175039A KR102585839B1 KR 102585839 B1 KR102585839 B1 KR 102585839B1 KR 1020200175039 A KR1020200175039 A KR 1020200175039A KR 20200175039 A KR20200175039 A KR 20200175039A KR 102585839 B1 KR102585839 B1 KR 102585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dule
fixed
carrying channel
brac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5181A (ko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8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181A/ko
Priority to KR1020230129261A priority patent/KR20230141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2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nging at a distance below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슬라브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된 단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슬라브에 고정되어 천장시스템의 하중을 분담하는 지지모듈체; 및 상기 지지모듈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모듈체와 함께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연결모듈체;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MODULE TYPE CEILING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품질관리가 용이한 모듈형 천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브레이스 저항형 내진천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체 천장 면적에서 일정 면적당 브레이스가 저항할 수 있는 면적을 산정하여 일정간격으로 X-Y 방향으로 브레이스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 경우 브레이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많고 브레이스를 설치하기 위하여 부품들을 연결하는 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리며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브레이스저항형 내진천장의 경우 브레이스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시공이 되어야만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브레이스 설치시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므로 품질관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KR 10-1387345 B1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공장제작으로 인한 품질관리가 우수해지고, 현장 작업이 용이해 시공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천장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천장슬라브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된 단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슬라브에 고정되어 천장시스템의 하중을 분담하는 지지모듈체; 및 상기 지지모듈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모듈체와 함께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연결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단위공간의 전후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지지모듈; 상기 단위공간의 좌우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지지모듈; 및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의 교차지점 상에서, 상기 제1 지지모듈과 상기 제2 지지모듈을 연결하는 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직육면체 형상 또는 정육면체 형상의 상기 단위공간을 차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단위공간의 상하방향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4개의 상기 교차지점 상에서 각각 설치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천장슬라브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된 단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슬라브에 고정되어 천장시스템의 하중을 분담하는 지지모듈체; 및 상기 지지모듈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모듈체와 함께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연결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단위공간의 전후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지지모듈; 상기 단위공간의 좌우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지지모듈; 및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의 교차지점 상에서, 상기 제1 지지모듈과 상기 제2 지지모듈을 연결하는 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모듈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 캐링채널;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좌우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1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1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1 가새;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한 쌍의 제1 테두리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격자형으로 교차되면서 상기 제1 지지모듈 및 상기 제2 지지모듈에 고정되는 보강캐링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은 좌우방향 중앙영역에는 상기 보강캐링채널이 삽입되는 보강삽입부; 상기 보강삽입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삽입되는 제1 채널삽입부; 및 상기 제1 채널삽입부의 높이방향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새가 삽입되는 제1 가새삽입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지지모듈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 캐링채널;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좌우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1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1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1 가새;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한 쌍의 제1 테두리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격자형으로 교차되면서 상기 제1 지지모듈 및 상기 제2 지지모듈에 고정되는 보강캐링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은 좌우방향 중앙영역에는 상기 보강캐링채널이 삽입되는 보강삽입부; 상기 보강삽입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삽입되는 제1 채널삽입부; 및 상기 제1 채널삽입부의 높이방향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새가 삽입되는 제1 가새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지지모듈은,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 캐링채널;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전후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2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2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2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2 가새;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중앙연결철물은,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 채널삽입부; 및 상기 제2 채널삽입부의 높이방향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한 쌍의 제2 가새가 삽입되는 제2 가새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교차지점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제1 가새유닛의 상단과, 상기 제2 가새유닛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상부교차점 연결철물; 및 상기 교차지점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제1 캐링채널과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삽입 고정되는 하부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지지모듈체의 상부영역의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는 제1 연결철물본체; 상기 제1 연결철물본체에서 제1-1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제1 가새유닛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1-1 고정부분; 및 상기 제1 연결철물본체에서 상기 제1-1 삽입방향과 교차되는 제1-2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제2 가새유닛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1-2 고정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천장슬라브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된 단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슬라브에 고정되어 천장시스템의 하중을 분담하는 지지모듈체; 및 상기 지지모듈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모듈체와 함께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연결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단위공간의 전후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지지모듈; 상기 단위공간의 좌우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지지모듈; 및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의 교차지점 상에서, 상기 제1 지지모듈과 상기 제2 지지모듈을 연결하는 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모듈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 캐링채널;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좌우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1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1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1 가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모듈은,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 캐링채널;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전후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2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2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2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2 가새;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교차지점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제1 가새유닛의 상단과, 상기 제2 가새유닛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상부교차점 연결철물; 및 상기 교차지점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제1 캐링채널과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삽입 고정되는 하부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지지모듈체의 하부영역의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는 제2 연결철물본체; 상기 제2 연결철물본체에서 제2-1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캐링채널 및 상기 제2 캐링채널 중 어느 일측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2-1 고정부분; 및 상기 제2 연결철물본체에서 상기 제2-1 삽입방향과 교차되는 제2-2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캐링채널 및 상기 제2 캐링채널 중 어느 나머지 타측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2-2 고정부분;을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한 쌍의 제1 테두리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격자형으로 교차되면서 상기 제1 지지모듈 및 상기 제2 지지모듈에 고정되는 보강캐링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모듈체는, 상기 지지모듈체의 하부영역과 연결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향과 교차되는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어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기본연결모듈; 및 상기 기본연결모듈은 상기 천장슬라브에 고정하는 연결행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모듈체는, 상기 기본연결모듈에 교차되도록 상기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격자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교차연결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시공방법이고, 상기 천장슬라브에 이격하여 복수 개의 상기 지지모듈체를 설치하는 지지모듈체 설치단계; 상기 지지모듈체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모듈체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모듈체와 함께 천장마감재와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연결모듈체 설치단계; 및 상기 설치면에 천장마감재를 설치하는 천장마감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장제작으로 인한 품질관리가 우수해지고, 현장 작업이 용이해 시공성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지지모듈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연결모듈체가 설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확대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지지모듈체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B'부분의 확대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4의 'C'부분의 확대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D'부분의 확대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천장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천장시스템은 지지모듈체(10) 및 연결모듈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천장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설명한다.
지지모듈체(10)는 천장슬라브(S)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된 단위공간(M)에 배치되고, 천장슬라브(S)에 고정되어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하중을 분담할 수 있다.
지지모듈체(10)는 천장슬라브(S)의 하측에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 정육면체 형상 등의 단위공간(M)을 차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단위공간(M)은 한 쌍의 제1 테두리면(M1) 및 한 쌍의 제2 테두리면(M2)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일 수 있다.
지지모듈체(10)의 사이에는 타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빈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모듈체(10)가 설치된 이후의 빈 공간 상에서 연결모듈체(20)가 설치될 수 있다.
천장슬라브(S)에는 복수 개의 지지모듈체(1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모듈체(10)는 천장슬라브(S)에 고정되어 구조설계를 통해 도출된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단위면적당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총하중이 600 KG 이고, 천장슬라브(S)에 6개의 지지모듈체(10)가 설치된 경우, 각각의 지지모듈체(10)가 100 KG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수 있다.
지지모듈체(10)는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최소이격거리를 가지고 설치될 수 있다. 즉 인접하게 배치되는 2개의 지지모듈체(10)는 최소이격거리 이상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최소이격거리는 지지모듈체의 전후방향 길이 및 좌우방향 길이 중 작은 것의 1배 이상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지지모듈체(10)의 최소이격거리는 지지모듈체(10)의 전후방향 길이 및 좌우방향 길이 중 작은 것의 1.5배 이상일 수 있다.
즉, 지지모듈체(10)가 좌우방향으로 6m, 전후방향으로 8 m의 길이를 가질 경우, 지지모듈체(10)의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 최소이격거리는 7.5m 일 수 있다.
지지모듈체(10)는 타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은 천장슬라브(S)에 이격하여 설치됨으로써, 다른 구조물과의 간섭을 받지 않고 지지모듈체(10)가 설치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개선되면서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연결모듈체(20)는 지지모듈체(10)에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지지모듈체(10)와 함께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모듈체(20)는 평면상에서 적어도 지지모듈체(10)의 사이를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연결모듈체(20)는, 인접한 지지모듈체(10) 사이의 하부영역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지지모듈체(10)의 하부영역과 함께 천장마감재의 설치를 위한 설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모듈체(20)의 상부는 천장슬라브(S)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모듈체(20)는 지지모듈체(10)의 하부공간 및 인접한 지지모듈체(10)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연결모듈체(20)는 인접한 지지모듈체(10)의 사이에 공간에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듈형 천장시스템은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된 복수 개의 지지모듈체(10)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품질관리가 용이하고 시공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모듈체(10)는 제1 지지모듈(100), 제2 지지모듈(200) 및 교차점 연결철물(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모듈(100)은 단위공간(M)의 전후방향(D1)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테두리면(M1)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단위공간(M)에는 2개의 제1 지지모듈(10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모듈(200)은 단위공간(M)의 좌우방향(D2)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테두리면(M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단위공간(M)에는 2개의 제2 지지모듈(200)이 설치될 수 있다.
교차점 연결철물(300)은 제1 테두리면(M1)과 제2 테두리면(M2)의 교차지점 상에서, 제1 지지모듈(100)과 제2 지지모듈(200)을 연결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지지모듈(100)은 제1 캐링채널(110), 제1 중앙연결철물(130) 및 제1 가새(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링채널(110)은 좌우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테두리면(M1)의 하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캐링채널(110)은 제1 테두리면(M1)의 하부영역에서 배치되고, 2개의 제1 캐링채널(110)은 제1 중앙연결철물(130)에 의해 좌우방향(D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중앙연결철물(130)은 제1 캐링채널(110)이 설치되는 좌우방향(D2)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제1 캐링채널(110)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중앙연결철물(130)은 제1 캐링채널(110)과 제1 가새유닛(150U)이 고정된 상태에서, 달대볼트(K)를 매개로 천장슬라브(S)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가새(150)는 일측은 제1 중앙연결철물(130)에 고정되고 타측은 교차점 연결철물(300)에 고정되는 2개의 제1 가새유닛(150U)이 'V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새유닛(150U)은 일측은 제1 중앙연결철물(130)에 고정되고, 타측은 교차지점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는 상부교차점 연결철물(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모듈체(10)는, 한 쌍의 제1 테두리면(M1)과 한 쌍의 제2 테두리면(M2)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격자형으로 교차되면서 제1 지지모듈(100) 및 제2 지지모듈(200)에 고정되는 보강캐링채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중앙연결철물(130)은 보강삽입부(131), 제1 채널삽입부(133), 제1 가새(150)삽입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삽입부(131)는 좌우방향(D2) 중앙영역에는 보강캐링채널(400)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채널삽입부(133)는 보강삽입부(131)의 좌우방향(D2)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고, 제1 캐링채널(110)이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채널삽입부(133)에 각각 제1 캐링채널(110)이 삽입되면서 2개의 제1 캐링채널(110)이 제1 중앙연결철물(130)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새(150)삽입부(135)는 제1 채널삽입부(133)의 상하방향(D3)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제1 가새(150)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가새(150)삽입부(135)에 한 쌍의 제1 가새유닛(150U)이 삽입되어 'V자형'으로 배치되면서 제1 중앙연결철물(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지지모듈(200)은 제2 캐링채널(210), 제2 중앙연결철물(230) 및 제2 가새(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캐링채널(210)은 전후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테두리면(M2)의 하부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캐링채널(210)은 제2 테두리면(M2)의 하부영역에서 배치되고, 1개의 제2 캐링채널(210)이 제2 중앙연결철물(23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 중앙연결철물(230)은 제2 캐링채널(210)이 설치되는 전후방향(D1)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제2 캐링채널(210)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중앙연결철물(230)은 제2 캐링채널(210)과 제2 가새유닛(250U)이 고정된 상태에서, 달대볼트(K)를 매개로 천장슬라브(S)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새(250)는 일측은 제2 중앙연결철물(230)에 고정되고 타측은 교차점 연결철물(300)에 고정되는 2개의 제2 가새유닛(250U)이 'V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새유닛(250U)은 일측은 제2 중앙연결철물(230)에 고정되고, 타측은 교차지점의 상부영역에 설치되는 상부교차점 연결철물(3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캐링채널(110)과 제2 캐링채널(210)을 길이방향 단부가 서로 연결되고, 평면상에서 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사각형 형상의 모서리부분에는 각각 하부교차점 연결철물(330)이 설치되어 제1 캐링채널(110)과 제2 캐링채널(21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4개의 하부교차점 연결철물(33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중앙연결철물(230)은 제2 채널삽입부(233) 및 제2 가새(250)삽입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채널삽입부(233)는 제2 캐링채널(210)이 전후방향(D1)으로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새(250)삽입부(235)는 제2 채널삽입부(233)의 상하방향(D3)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제2 가새(25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새(250)삽입부(235)에 한 쌍의 제2 가새유닛(250U)이 삽입되어 'V자형'으로 배치되면서 제2 중앙연결철물(2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교차점 연결철물(300)은 상부교차점 연결철물(310) 및 하부교차점 연결철물(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교차점 연결철물(310)은 교차지점의 상부영역에서 제1 가새유닛(150U)의 상단과, 제2 가새유닛(250U)의 상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하부교차점 연결철물(330)은 교차지점의 하부영역에서 제1 캐링채널(110)과 제2 캐링채널(21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부교차점 연결철물(310)은 제1 연결철물본체(311), 제1-1 고정부분(313) 및 제1-2 고정부분(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철물본체(311)는 지지모듈체(10)의 상부영역의 모서리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철물본체(311)에는 달대볼트(K)가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1-1 고정부분(313)은 제1 연결철물본체(311)에서 제1-1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제1 가새유닛(150U)의 상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1 고정부분(313)에는 제1 가새유닛(150U)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1 고정분분은 제1 연결철물본체(311)에 연결되고, 제1 가새유닛(150U)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가새(150)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2 고정부분(315)은 제1 연결철물본체(311)에서 제1-1 삽입방향과 교차되는 제1-2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제2 가새유닛(250U)의 상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1-2 고정부분(315)에는 제2 가새유닛(250U)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2 고정분분은 제1 연결철물본체(311)에 연결되고, 제2 가새유닛(250U)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가새(250)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철물본체(311)의 하측에는 고정브라켓이 설치되고, 달대볼트(K) 상에서 상부교차점 연결철물(3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브라켓은 'ㄷ'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ㄷ'자형의 단면의 개방된 부분이 제1 연결철물본체(311)의 하단부분을 둘러싼 상태에서 너트를 매개로 달대볼트(K)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교차점 연결철물(330)은 제2 연결철물본체(331), 제2-1 고정부분(333) 및 제2-2 고정부분(3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철물본체(331)는 지지모듈체(10)의 하부영역의 모서리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연결철물본체(331)에는 상측의 천장슬라브(S)에 고정되는 달대볼트(K)가 설치될 수 있다.
제2-1 삽입방향과 제2-2 삽입방향은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1 고정부분(333)은 제2 연결철물본체(331)에서 제2-1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제1 캐링채널(110) 및 제2 캐링채널(210) 중 어느 일측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1 고정부분(333)은 중앙영역에 배치되고, 제1 캐링채널(110) 및 제2 캐링채널(210) 중 어느 일측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2 고정부분(335)은 제2-1 고정부분(333)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2 고정부분(335) 중 어느 일측에 제1 캐링채널(110) 및 제2 캐링채널(210) 중 어느 나머지 타측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을 참조하면, 하부교차점 연결철물(330)은 제2-1 고정부분(333)에 제2 캐링채널(210)이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제2-2 고정부분(335)에 제1 캐링채널(110)이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제1 캐링채널(110)과 제2 캐링채널(210)은 서로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는 다른 하부교차점 연결철물(330)은, 제2-1 고정부분(333)에 제1 캐링채널(110)이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제2-2 고정부분(335)에 제2 캐링채널(210)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1 고정부분(333)은 중앙역영에 배치되고, 제1 캐링채널(110) 및 제2 캐링채널(210) 중 어느 일측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1 고정분분은 제1 캐링채널(110) 또는 제2 캐링채널(210)이 삽입 고정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캐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2 고정부분(335)은 제2 연결철물본체(331)에서 제2-1 삽입방향과 교차되는 제2-2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제1 캐링채널(110) 및 제2 캐링채널(210) 중 어느 나머지 타측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2 고정부분(335)은 제2-1 고정부분(33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고, 한 쌍의 제2-2 고정부분(335)의 어느 일측에 제1 캐링채널(110) 및 제2 캐링채널(210) 중 나머지 타측이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제2-2 고정분분은 제1 캐링채널(110) 또는 제2 캐링채널(210)이 삽입 고정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제2 캐링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모듈체(10)는 보강캐링채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캐링채널(400)은 한 쌍의 제1 테두리면(M1)과 한 쌍의 제2 테두리면(M2)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격자형으로 교차되면서 제1 지지모듈(100) 및 제2 지지모듈(200)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캐링채널(400)은 제1 캐링채널(110) 및 제2 캐링채널(210)에 고정되면서, 한 쌍의 제1 테두리면(M1)과 한 쌍의 제2 테두리면(M2)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하부영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캐링채널(400)은 제1 캐링채널(110)과 제2 캐링채널(210)에 의해 둘러싸이는 사각형 형상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캐링채널(400)은 격자형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되면서 제1 캐링채널(110) 및 제2 캐링채널(210)과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모듈체(20)는 기본연결모듈(600) 및 연결행거(7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연결모듈(600)은 지지모듈체(10)의 하부영역과 연결되도록 전후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후방향(D1)과 교차되는 좌우방향(D2)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어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기본연결모듈(600)은 전후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좌우방향(D2)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기본연결모듈(600)은 하부교차점 연결철물(330)의 제2-1 고정부분(333)에 삽입되면서 제2 캐링채널(210)과 연장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기본연결모듈(600)은 제2 캐링채널(210)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모듈체(10)의 캐링채널 및 연결모듈체(20)의 기본연결모듈(600)에 천장마감재가 직접 고정되면서 천장마감면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행거(700)는 기본연결모듈(600)은 천장슬라브(S)에 고정할 수 있다.
연결행거(700)는 기본연결모듈(600)의 길이방향인 전후방향(D1)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되어, 기본연결모듈(600)을 천장슬라브(S)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모듈체(20)는 교차연결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교차연결모듈(800)은 기본연결모듈(600)에 교차되도록 좌우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어 격자구조를 형성하고, 전후방향(D1)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교차연결듈은 좌우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전후방향(D1)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기본연결모듈(600)의 하측에 교차연결모듈(800)이 교차되도록 고정되고, 교차연결모듈(800)에 천장마감재가 고정될 수 있다.
교차연결모듈(800)은 기본연결모듈(600)과 함께 격자구조를 형성하여 천장마감재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교차연결모듈(800)은 엠바 또는 티바로 구성될 수 있고, 엠바 또는 티바의 하측에 천장마감재가 고정되어 천장마감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지지모듈체(10) 설치단계, 연결모듈체(20) 설치단계 및 천장마감재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모듈체(10) 설치단계는 천장슬라브(S)에 이격하여 복수 개의 지지모듈체(10)를 설치할 수 있다.
천장슬라브(S)에는 복수 개의 지지모듈체(10)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하여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모듈체(10)는 천장슬라브(S)에 고정되어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일정한 단위면적당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연결모듈체(20) 설치단계는 지지모듈체(10)에서 연장되도록 연결모듈체(20)를 설치하여 지지모듈체(10)와 함께 천장마감재와의 설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결모듈체(20)의 상부는 천장슬라브(S)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모듈체(20)는 지지모듈체(10)의 하부공간 및 인접한 지지모듈체(10)의 사이의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연결모듈체(20)는 인접한 지지모듈체(10)의 사이에 공간에만 설치될 수 있다.
천장마감재 설치단계는 설치면에 천장마감재를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기본연결모듈(600)의 하측에 교차연결모듈(800)이 교차되도록 고정되고, 교차연결모듈(800)에 천장마감재가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지지모듈체(10)의 캐링채널 및 연결모듈체(20)의 기본연결모듈(600)에 천장마감재가 직접 고정되면서 천장마감면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시공방법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시공방법에서 활용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지지모듈체(10) 및 연결모듈체(2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지지모듈체 20: 연결모듈체
100: 제1 지지모듈 110: 제1 캐링채널
130: 제1 중앙연결철물 131: 보강삽입부
133: 제1 채널삽입부 135: 제1 가새삽입부
150: 제1 가새 150U: 제1 가새유닛
200: 제2 지지모듈 210: 제2 캐링채널
230: 제2 중앙연결철물 233: 제2 채널삽입부
235: 제2 가새삽입부 250: 제2 가새
250U: 제2 가새유닛 300: 교차점 연결철물
310: 상부교차점 연결철물 311: 제1 연결철물본체
313: 제1-1 고정부분 315: 제1-2 고정부분
330: 하부교차점 연결철물 331: 제2 연결철물본체
333: 제2-1 고정부분 335: 제2-2 고정부분
400: 보강캐링채널 600: 기본연결모듈
700: 연결행거 800: 교차연결모듈
D1: 전후방향 D2: 좌우방향
D3: 상하방향 K: 달대볼트
M: 단위공간 M1: 제1 테두리면
M2: 제2 테두리면 S: 천장슬라브

Claims (13)

  1. 천장슬라브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된 단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슬라브에 고정되어 천장시스템의 하중을 분담하는 지지모듈체; 및
    상기 지지모듈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모듈체와 함께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연결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단위공간의 전후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지지모듈;
    상기 단위공간의 좌우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지지모듈; 및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의 교차지점 상에서, 상기 제1 지지모듈과 상기 제2 지지모듈을 연결하는 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직육면체 형상 또는 정육면체 형상의 상기 단위공간을 차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단위공간의 상하방향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4개의 상기 교차지점 상에서 각각 설치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2. 천장슬라브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된 단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슬라브에 고정되어 천장시스템의 하중을 분담하는 지지모듈체; 및
    상기 지지모듈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모듈체와 함께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연결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단위공간의 전후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지지모듈;
    상기 단위공간의 좌우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지지모듈; 및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의 교차지점 상에서, 상기 제1 지지모듈과 상기 제2 지지모듈을 연결하는 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모듈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 캐링채널;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좌우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1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1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1 가새;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한 쌍의 제1 테두리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격자형으로 교차되면서 상기 제1 지지모듈 및 상기 제2 지지모듈에 고정되는 보강캐링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은
    좌우방향 중앙영역에는 상기 보강캐링채널이 삽입되는 보강삽입부;
    상기 보강삽입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삽입되는 제1 채널삽입부; 및
    상기 제1 채널삽입부의 높이방향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새가 삽입되는 제1 가새삽입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모듈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 캐링채널;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좌우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1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1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1 가새;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한 쌍의 제1 테두리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격자형으로 교차되면서 상기 제1 지지모듈 및 상기 제2 지지모듈에 고정되는 보강캐링채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은
    좌우방향 중앙영역에는 상기 보강캐링채널이 삽입되는 보강삽입부;
    상기 보강삽입부의 좌우방향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삽입되는 제1 채널삽입부; 및
    상기 제1 채널삽입부의 높이방향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새가 삽입되는 제1 가새삽입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모듈은,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 캐링채널;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전후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2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2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2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2 가새;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앙연결철물은,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 채널삽입부; 및
    상기 제2 채널삽입부의 높이방향 상부영역에 형성되고, 한 쌍의 제2 가새가 삽입되는 제2 가새삽입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교차지점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제1 가새유닛의 상단과, 상기 제2 가새유닛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상부교차점 연결철물; 및
    상기 교차지점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제1 캐링채널과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삽입 고정되는 하부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지지모듈체의 상부영역의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는 제1 연결철물본체;
    상기 제1 연결철물본체에서 제1-1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제1 가새유닛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1-1 고정부분; 및
    상기 제1 연결철물본체에서 상기 제1-1 삽입방향과 교차되는 제1-2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제2 가새유닛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제1-2 고정부분;을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9. 천장슬라브의 하측에 이격하여 형성된 단위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천장슬라브에 고정되어 천장시스템의 하중을 분담하는 지지모듈체; 및
    상기 지지모듈체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모듈체와 함께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연결모듈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단위공간의 전후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지지모듈;
    상기 단위공간의 좌우방향에 대향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지지모듈; 및
    상기 제1 테두리면과 상기 제2 테두리면의 교차지점 상에서, 상기 제1 지지모듈과 상기 제2 지지모듈을 연결하는 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모듈은,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1 캐링채널;
    상기 제1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좌우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1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1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1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1 가새;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모듈은,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테두리면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는 제2 캐링채널;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설치되는 전후방향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캐링채널을 고정하는 제2 중앙연결철물; 및
    일측은 상기 제2 중앙연결철물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에 고정되는 2개의 제2 가새유닛이 'V자형'으로 배치되는 제2 가새;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교차지점의 상부영역에서 상기 제1 가새유닛의 상단과, 상기 제2 가새유닛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는 상부교차점 연결철물; 및
    상기 교차지점의 하부영역에서 상기 제1 캐링채널과 상기 제2 캐링채널이 삽입 고정되는 하부교차점 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교차점 연결철물은,
    상기 지지모듈체의 하부영역의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는 제2 연결철물본체;
    상기 제2 연결철물본체에서 제2-1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캐링채널 및 상기 제2 캐링채널 중 어느 일측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2-1 고정부분; 및
    상기 제2 연결철물본체에서 상기 제2-1 삽입방향과 교차되는 제2-2 삽입방향이 개방되고, 상기 제1 캐링채널 및 상기 제2 캐링채널 중 어느 나머지 타측의 길이방향 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제2-2 고정부분;을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모듈체는,
    상기 한 쌍의 제1 테두리면과 상기 한 쌍의 제2 테두리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격자형으로 교차되면서 상기 제1 지지모듈 및 상기 제2 지지모듈에 고정되는 보강캐링채널;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체는,
    상기 지지모듈체의 하부영역과 연결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전후방향과 교차되는 좌우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어 천장마감재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기본연결모듈; 및
    상기 기본연결모듈은 상기 천장슬라브에 고정하는 연결행거;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모듈체는,
    상기 기본연결모듈에 교차되도록 상기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격자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격하여 복수 개가 설치되는 교차연결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시공방법이고,
    상기 천장슬라브에 이격하여 복수 개의 상기 지지모듈체를 설치하는 지지모듈체 설치단계;
    상기 지지모듈체에서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모듈체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모듈체와 함께 천장마감재와의 설치면을 형성하는 연결모듈체 설치단계; 및
    상기 설치면에 천장마감재를 설치하는 천장마감재 설치단계;를 포함하는 모듈형 천장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0200175039A 2020-12-15 2020-12-15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2585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039A KR102585839B1 (ko) 2020-12-15 2020-12-15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20230129261A KR20230141722A (ko) 2020-12-15 2023-09-26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039A KR102585839B1 (ko) 2020-12-15 2020-12-15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9261A Division KR20230141722A (ko) 2020-12-15 2023-09-26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181A KR20220085181A (ko) 2022-06-22
KR102585839B1 true KR102585839B1 (ko) 2023-10-06

Family

ID=822162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039A KR102585839B1 (ko) 2020-12-15 2020-12-15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20230129261A KR20230141722A (ko) 2020-12-15 2023-09-26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9261A KR20230141722A (ko) 2020-12-15 2023-09-26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858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8258A (ja) * 2013-04-22 2018-02-22 清水建設株式会社 吊り天井のブレース接続用金具及びこれを備えた吊り天井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345B1 (ko) 2014-01-28 2014-04-21 현대금속산업(주) 니들펀칭형 방염 섬유 및 단백질계 친환경 접착제를 이용한 천장 판넬 및 역 v자 형상 클립을 이용한 천정 판넬 설치방법
KR101707559B1 (ko) * 2015-08-04 2017-02-16 현대건설 주식회사 프리패브리케이션(Prefabrication) 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건축구조물의 천정구조
KR101833822B1 (ko) * 2016-05-24 2018-04-13 지희선 천장틀 및 이를 위한 내진부재
KR20200128831A (ko) * 2019-05-07 2020-11-17 주식회사 포스코 천장연결철물 및, 천장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28258A (ja) * 2013-04-22 2018-02-22 清水建設株式会社 吊り天井のブレース接続用金具及びこれを備えた吊り天井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1722A (ko) 2023-10-10
KR20220085181A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703515A (ko) 조립식 판넬벽구조물
KR101843882B1 (ko) 엑세스 플로어의 조립 공차를 줄일 수 있는 페데스탈
JP2010084465A (ja) 連結構造、ユニット式建物、その施工方法
KR102585839B1 (ko)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JP2928832B2 (ja) 柱の構成方法
KR100878184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2200236B1 (ko)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JPS62117936A (ja) 金属製フロア−パネル
JPH0816350B2 (ja) ユニット住宅の施工方法
JP2009209550A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0878183B1 (ko) 물탱크용 기초 프레임
KR102098025B1 (ko) 저장탱크
JP2018016944A (ja) ユニット建物
JP2680495B2 (ja) 住戸ユニットからなる建築物
JP2018178708A (ja) 吊り天井構造
JP7307600B2 (ja) 建物
JP6473293B2 (ja) ユニット式建物
AU2021421274B2 (en) Seismic restraint of ceilings
CN217811581U (zh) 一种建筑的多层大空间悬挑式钢筋混凝土框架结构
KR20210058115A (ko) 천장연결철물 및, 천장시스템
CN210976181U (zh) 一种剪力墙
JPH0734115U (ja) フラットデッキ
CN110206195B (zh) 一种钢隔断
JP2011021443A (ja) 形状保持部材付き天井野縁、天井野縁ユニット及び天井面の構造
JP4854388B2 (ja) ユニット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