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177B1 -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177B1
KR102470177B1 KR1020220117027A KR20220117027A KR102470177B1 KR 102470177 B1 KR102470177 B1 KR 102470177B1 KR 1020220117027 A KR1020220117027 A KR 1020220117027A KR 20220117027 A KR20220117027 A KR 20220117027A KR 102470177 B1 KR102470177 B1 KR 10247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mixture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미
Original Assignee
김경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미 filed Critical 김경미
Priority to KR102022011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초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진다.

Description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Toner and mist composition with whitening function, wrinkle improvement function and moisturizing function}
본 발명은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먼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각종 화장품을 제조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현제에 이르기 까지 많은 각종 화장료, 특히 오늘날 미백, 보습,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가 많은 연구 결과로 출시된바 있다. 그러나 화학적 물질로 제조된 화장료로 피부에 기미유발 및 기타 부작용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천연물질를 이용하는 화장료가 출시되고 있다.
한편, 노화에는 프리라디칼 뿐만 아니라 MMP라는 효소가 관여하는데 생체 내에서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합성과 분해는 적절하게 조절되나 노화가 진행되면서 그 합성이 감소하며 콜라겐을 분해하는 효소인 기질 금속단백질 분해효소(MMP)의 발현이 촉진되어 피부의 탄력이 저하되고 주름이 형성된다. 또한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러한 분해효소가 활성화되기도 한다.
따라서 노화방지 및 주름제거를 가진 물질들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나, 기존의 화학물질들은 독성, 저활성, 용도의 한계성 및 과량복용에 따른 부작용 등의 여러 가지 문제로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어 부작용 가능성이 적은 소재를 개발하려는 일환으로 천연 식물에서의 유효 성분 추출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천연물 경우에도 안전성, 안정성 변색 가능성 등의 측면에서 화장품이나 의약품에 유효농도 이상으로 사용하는 데는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6-012445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분초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초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으름덩굴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1 추출물 3-7 중량부; 감차수국추출물, 황련뿌리추출물 및 지치뿌리추출물을 4:3:3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2 추출물 1-5 중량부; 카카오씨추출물, 대추씨추출물 및 살구씨추출물을 3: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3 추출물 1-5 중량부; 라벤더오일 0.1-1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1-1 중량부, 트레할로오스 0.1-1 중량부, 히알루론산 4-8 중량부, 아데노신 0.5-4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0.5-4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변성알코올 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1-1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1-1 중량부, 자일리톨 0.1-1 중량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1 중량부,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1 중량부, 다이페닐다이메티콘 0.05-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05-0.5 중량부, 트라이에틸헥사노인 0.05-0.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5-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1-1 중량부, 덱스트린 0.5-4 중량부, 리날룰 0.5-4 중량부, 리모넨 0.5-4 중량부 및 정제수 51-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초, 병풀 및 으름덩굴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자른 뒤 동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수분초분말, 병풀분말 및 으름덩굴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 및 물을 혼합하고, 교반을 수행하며 95-105℃의 온도에서 9-15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고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1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고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고, 125-135℃의 온도에서 6-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2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추출물 및 제2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초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으름덩굴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감차수국 잎, 황련뿌리 및 지치뿌리를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 후, 0.095-0.105 MPa의 압력 및 230-250℃의 온도에서 50-70분 동안 증숙하고, 45-55℃의 온도에서 280-32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증숙 및 건조시킨 제2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분말화된 제2 혼합물을 85-95℃의 온도로 볶아주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 90-110 중량부 및 증류수와 에탄올이 2:8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 900-1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디핑공정으로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차수국추출물, 황련뿌리추출물 및 지치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카카오씨, 대추씨 및 살구씨를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자른 뒤 동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카카오씨분말, 대추씨분말 및 살구씨분말을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3 혼합물,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에탄올 및 아세톤의 혼합 용매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EMIm][TFSI],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ylimide)를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용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씨추출물, 대추씨추출물 및 살구씨추출물을 포함하는 제3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 3-7 중량부, 상기 제2 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제3 추출물 1-5 중량부, 라벤더오일 0.1-1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1-1 중량부, 트레할로오스 0.1-1 중량부, 히알루론산 4-8 중량부, 아데노신 0.5-4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0.5-4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변성알코올 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1-1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1-1 중량부, 자일리톨 0.1-1 중량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1 중량부,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1 중량부, 다이페닐다이메티콘 0.05-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05-0.5 중량부, 트라이에틸헥사노인 0.05-0.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5-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1-1 중량부, 덱스트린 0.5-4 중량부, 리날룰 0.5-4 중량부, 리모넨 0.5-4 중량부 및 정제수 51-5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수분초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초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으름덩굴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1 추출물 3-7 중량부; 감차수국추출물, 황련뿌리추출물 및 지치뿌리추출물을 4:3:3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2 추출물 1-5 중량부; 카카오씨추출물, 대추씨추출물 및 살구씨추출물을 3: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3 추출물 1-5 중량부; 라벤더오일 0.1-1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1-1 중량부, 트레할로오스 0.1-1 중량부, 히알루론산 4-8 중량부, 아데노신 0.5-4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0.5-4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변성알코올 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1-1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1-1 중량부, 자일리톨 0.1-1 중량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1 중량부,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1 중량부, 다이페닐다이메티콘 0.05-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05-0.5 중량부, 트라이에틸헥사노인 0.05-0.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5-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1-1 중량부, 덱스트린 0.5-4 중량부, 리날룰 0.5-4 중량부, 리모넨 0.5-4 중량부 및 정제수 51-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초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으름덩굴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1 추출물 5-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분초(垂盆草)는 꿩의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 돌나물 Sedum sarmentosum Bunge의 지상부를 말한다. 수분초는 우리 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 약간 습기 있는 바위 겉이나 길가 언덕 등에 흔히 자생한다. 수분초는 다년생초본이며 높이 15cm 안팎으로 자라고, 지면으로 뻗는 포복지가 있으며, 각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수분초는 돈나물, 돌나물, 돋나물, 석상채, 파경천, 화건초 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다. 수분초의 알려진 약용 효능으로는 i) 청열소종 작용이 있어 인후염에 효력을 얻고, 만성 간염에도 유의성을 나타나며, 열이 있으면서 소변을 못 볼 때 쓰이고, ii) 종기, 불과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 및 독충이나 뱀에 물렸을 때에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여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미나리과의 병풀속으로 한반도 남부 섬의 산이나 들에 흔히 나는 호랑이풀, 조개풀 등으로 불리는 여러해살이풀로 화상이나 상처 치유 및 보호로 피부질환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병풀은 성장지역에 따라 아시아티코사이드와 마데카소사이드의 합량이 2 ~ 8%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을 에탄올로 추출하면 아시아티코사이드와 아시아틱산이 얻어지며, 이들 성분을 배합하여 화장용 크림 또는 상처치유 및 세포재생 등의 의약용으로 사용되고, 약리 기전은 피부세포에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활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여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으름덩굴(Akebia quinata)은 으름 또는 어름나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라며 길이는 약 5m이다. 가지는 털이 없고 갈색이고, 잎은 묵은 가지에서는 무리지어 나고 새가지에서는 어긋나며 손바닥 모양의 겹잎이다. 꽃은 암수한그루로서 꽃잎은 없고 3개의 꽃받침조각이 꽃잎같이 보인다. 열매는 장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10월에 자줏빛을 띤 갈색으로 익는다. 한방에서는 뿌리와 줄기가 소염, 이뇨, 통경 작용에 효능이 있으므로 약재로 쓴다. 한국(황해도 이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감차수국추출물, 황련뿌리추출물 및 지치뿌리추출물을 4:3:3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2 추출물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감차수국(Hydrangea serrata Seringe var. thumbergii Sugimoto)은 수국과 닮은 낙엽성 저목(低木)이다. 범의귀과(Saxifragaceae)에 속하는 식물로 천연적으로 단맛이 나기 때문에 당뇨환자에 도움이 되며, 설탕 대용의 단맛을 내는데 쓰이기도 한다. 감차수국 추출물은 천연 물질이어서 생체 안전성이 뛰어나고 독성이 거의 없는 생리활성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여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황련뿌리는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재배된다. 위를 건강하게 하고 진정, 소염, 항균 등의 효능이 있어 장이나 위에 열이 쌓여서 생기는 설사나 위열로 인한 구토 등의 치료에 사용하였다. 주성분인 berberine은 여러 세균에 대한 강한 억제효과가 있으며, 항염, 지혈, 혈압강하 작용 및 항암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여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지치뿌리(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old & Zuccarini)는 지치과 자초의 뿌리이며 자근이라고도 불린다. 주요성분으로는 나프토퀴논 유도체인 아세틸시코닌, 시코닌, 이소발 레릴시코닌 등이 있으며, 화상에 치료효과가 있으며, 자궁융모상피종에 좋은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여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카카오씨추출물, 대추씨추출물 및 살구씨추출물을 3: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3 추출물 2-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카카오씨는 프로시아닌 성분을 함유하여 혈관 확장 및 건강 증진, 당뇨 개선 및 다이어트에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카테킨이 풍부하여 체내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세포의 손상을 막아 주어 노화 예방에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여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대추씨는 대추의 과육 안에 있는 종자부위로써 대추 과육의 가공 후 생성되는 대추 가공 부산물이다. 대추 가공 시 생산되는 대추씨 부산물은 대추가공원료의 약 30% 중량을 차지한다. 예로부터 대추는 한방에서 감초처럼 감미를 내기 위해 첨가되는 경우가 많았고 그 자체로도 위경련, 불면증, 소화불량, 대장하혈, 청혈, 지각 과민증의 증상을 개선시키는 약리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여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살구씨(Prunus armeniaca L.)는 장미과 식물에 속하며, <본초경집주> 에 나온다. 기침, 가래, 천식을 그치게 하고, 기름기가 많아 장을 원활하게 해주어 통변이 잘되게 한다. 주성분으로 아미그달린 약 3%, 지방유 약 50%, 단백질 및 각종 유리산, Citric acid, Malic acid 등이며, 그 외에 칼륨과 인이 특히 많이 들어있고, 당질, 칼슘, 나트륨, 섬유질, 비타민 A, B,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여 피부 보습, 피부 탄력 유지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베르가모트오일 0.3-0.7 중량부, 트레할로오스 0.3-0.7 중량부, 히알루론산 5-7 중량부, 아데노신 1-3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4-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변성알코올 2-4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리콜 2-4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3-0.7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3-0.7 중량부, 자일리톨 0.3-0.7 중량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0.7 중량부,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3-0.7 중량부, 다이페닐다이메티콘 0.1-0.3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1-0.3 중량부, 트라이에틸헥사노인 0.1-0.3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1-0.3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1-0.3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3-0.7 중량부, 덱스트린 1-3 중량부, 리날룰 1-3 중량부, 리모넨 1-3 중량부 및 정제수 52-5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은 피부의 콜라겐과 엘라스틴 사이를 채우고 있는 바탕물질로 수분을 잃는 것을 막아주어 피부가 거칠어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대표적인 보습성분으로서, 그 구조는 β-N-아세틸-D-글루코사민과 β-D-글루쿠론산이 교대로 결합된 직쇄상의 고분자로 분자량이 보통 50,000-10,000,000Da 이상인 다당류이다.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는 생체 결합조직의 기본물질로, 주로 포유동물의 피부, 관절의 활액(synovial fluid), 눈의 초자체액(vitreous humor), 탯줄(umbilical cord), 혈청(serum), 닭 벼슬(cock's comb) 등에 분포해 있으며, 연쇄상구균류의 협막 등에도 존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아데노신은 세포 구성 성분에서 아데닌(Adenine)과 리보스(Ribose) 성분이 결합한 화합물로 RNA나 많은 조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동·식물과 미생물 등 모든 생명체 세포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계열의 단백질 성분으로서, 아데노신은 인체세포내의 성분으로 피부에 침투시 안정성과 지속력이 무척 우수한 원료로 빛이나 열에도 우수한 안정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피부 진피층 내에서 DNA와 단백질 합성을 활성화시켜 피부세포 자생력을 회복시키고 진피층 내 섬유아세포의 증식 강화와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주름 개선 기능성 원료이다.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비타민 B군인 나이아신류의 일종으로, 니코틴아마이드라고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 B3이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라마이드와 함께 라멜라 구조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합성을 동시에 촉진하여 표피의 수분 상실을 감소시키고 지질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우리 몸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녹색 채소나 씨리얼과 같은 식품에도 포함되어 있다. 식이에서 비타민 B3가 부족할 경우, 심각한 피부 병변을 일으키는 전염병인 라그라(pellagra)가 나타났으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이를 예방하는 비타민으로 알려져 왔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초, 병풀 및 으름덩굴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자른 뒤 동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수분초분말, 병풀분말 및 으름덩굴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 및 물을 혼합하고, 교반을 수행하며 95-105℃의 온도에서 9-15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고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1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고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고, 125-135℃의 온도에서 6-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2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추출물 및 제2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초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으름덩굴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감차수국 잎, 황련뿌리 및 지치뿌리를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 후, 0.095-0.105 MPa의 압력 및 230-250℃의 온도에서 50-70분 동안 증숙하고, 45-55℃의 온도에서 280-32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증숙 및 건조시킨 제2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분말화된 제2 혼합물을 85-95℃의 온도로 볶아주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 90-110 중량부 및 증류수와 에탄올이 2:8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 900-1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디핑공정으로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차수국추출물, 황련뿌리추출물 및 지치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카카오씨, 대추씨 및 살구씨를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자른 뒤 동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카카오씨분말, 대추씨분말 및 살구씨분말을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3 혼합물,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에탄올 및 아세톤의 혼합 용매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EMIm][TFSI],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ylimide)를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용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씨추출물, 대추씨추출물 및 살구씨추출물을 포함하는 제3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 3-7 중량부, 상기 제2 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제3 추출물 1-5 중량부, 라벤더오일 0.1-1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1-1 중량부, 트레할로오스 0.1-1 중량부, 히알루론산 4-8 중량부, 아데노신 0.5-4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0.5-4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변성알코올 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1-1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1-1 중량부, 자일리톨 0.1-1 중량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1 중량부,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1 중량부, 다이페닐다이메티콘 0.05-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05-0.5 중량부, 트라이에틸헥사노인 0.05-0.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5-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1-1 중량부, 덱스트린 0.5-4 중량부, 리날룰 0.5-4 중량부, 리모넨 0.5-4 중량부 및 정제수 51-5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에서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내었으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수분초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으름덩굴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분초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으름덩굴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수분초, 병풀 및 으름덩굴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자른 뒤 동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수분초분말, 병풀분말 및 으름덩굴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 및 물을 혼합하고, 교반을 수행하며 95-105℃의 온도에서 9-15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고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1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고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고, 125-135℃의 온도에서 6-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2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추출물 및 제2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감차수국추출물, 황련뿌리추출물 및 지치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차수국추출물, 황련뿌리추출물 및 지치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감차수국 잎, 황련뿌리 및 지치뿌리를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 후, 0.095-0.105 MPa의 압력 및 230-250℃의 온도에서 50-70분 동안 증숙하고, 45-55℃의 온도에서 280-32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증숙 및 건조시킨 제2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분말화된 제2 혼합물을 85-95℃의 온도로 볶아주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 90-110 중량부 및 증류수와 에탄올이 2:8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 900-1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디핑공정으로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카카오씨추출물, 대추씨추출물 및 살구씨추출물을 포함하는 제3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카카오씨추출물, 대추씨추출물 및 살구씨추출물을 포함하는 제3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카카오씨, 대추씨 및 살구씨를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자른 뒤 동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카카오씨분말, 대추씨분말 및 살구씨분말을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3 혼합물,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에탄올 및 아세톤의 혼합 용매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EMIm][TFSI],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ylimide)를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용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1 추출물 3-7 중량부, 상기 제2 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제3 추출물 1-5 중량부, 라벤더오일 0.1-1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1-1 중량부, 트레할로오스 0.1-1 중량부, 히알루론산 4-8 중량부, 아데노신 0.5-4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0.5-4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변성알코올 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1-1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1-1 중량부, 자일리톨 0.1-1 중량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1 중량부,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1 중량부, 다이페닐다이메티콘 0.05-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05-0.5 중량부, 트라이에틸헥사노인 0.05-0.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5-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1-1 중량부, 덱스트린 0.5-4 중량부, 리날룰 0.5-4 중량부, 리모넨 0.5-4 중량부 및 정제수 51-5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제1 추출물의 제조
수분초, 병풀 및 으름덩굴을 준비하여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잘라 동결건조 시킨 후, 믹서기로 갈아 분쇄시켜 혼합물말을 제조한다. 상기 혼합물은 수분초분말, 병풀분말 및 으름덩굴분말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10배의 물과 혼합하고, 교반하며 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12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1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여과된 고형물을 다시 고형물 중량 대비 10배의 물과 혼합하고, 교반없이 130℃의 온도로 가열하여 9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였다. 이후, 여과지로 여과하고,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2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제1 혼합추출물 및 제2 혼합추출물을 혼합하여 제1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2 추출물의 제조
감차수국 잎, 황련뿌리 및 지치뿌리를 준비하여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잘라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0.1 MPa의 압력 및 240℃의 온도에서 60분 동안 증숙하고, 50℃의 온도에서 300분 동안 건조시켰다. 증숙 및 건조시킨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였다. 분말화된 혼합물을 90℃의 온도로 볶아주어 혼합물분말을 제조하였다.
볶아진 혼합물을 10배의 증류수와 에탄올이 2:8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와 혼합한 후, 디핑공정(dipping process)으로 3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여과지로 여과한 뒤 농축기로 55℃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2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제3 추출물의 제조
카카오씨, 대추씨 및 살구씨를 준비하여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잘라 동결건조 시킨 후, 믹서기로 갈아 분쇄시켜 혼합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카카오씨분말, 대추씨분말 및 살구씨분말이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었다.
상기 혼합물을 8배의 에탄올 및 아세톤이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혼합용매와 혼합하고, 여기에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EMIM][TFSI],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ylimide)를 혼합물 중량 대비 1/20만큼 첨가하고, 디핑공정(dipping process)을 수행하여 3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뒤 농축기로 55℃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제3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제1 추출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제2 추출물,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제3 추출물 등을 사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 성분의 명칭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명 함량 (wt%)
제1 추출물 5
제2 추출물 3
제3 추출물 3
라벤더오일 0.5
베르가모트오일 0.5
트레할로오스 0.5
히알루론산 6
아데노신 2
나이아신아마이드 2
부틸렌글리콜 5
글리세린 3
변성알코올 3
다이프로필렌글리콜 3
글리세레스-26 0.5
1,2-헥산다이올 0.5
자일리톨 0.5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5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5
다이페닐다이메티콘 0.2
에틸헥실글리세린 0.2
트라이에틸헥사노인 0.2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2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2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5
덱스트린 2
리날룰 2
리모넨 2
정제수 53.5
<실험예 1>
1. 피부 주름 개선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령이 40-50대인 피시험자 20명 각각은 아침과 저녁으로 매일 2회에 걸쳐 약 3-4 g의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에 고루 펴서 바르는 식으로 30일간 시험을 실시하였다. 30일의 시험 종료 후에 주름 개선의 정도를 관찰자의 육안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주름 개선의 정도는 아래와 같이 1-4번 항목으로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번 : 주름 개선이 전혀 나타나지 않음
2번 : 주름 개선이 이루어지기는 하였으나, 크게 변화를 못느낌
3번 :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변화를 느낌
4번 : 주름 개선 효과가 확연히 우수함
항목 실시예 1
1번 0
2번 0
3번 22
4번 8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보습 효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남녀 1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1일 2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한 후 물로 씻어 냈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매 1주간,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수분 함유량 측정기기인 corneometer CM 820(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보습 효과 측정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사용전 23.6
사용 1주일 후 41.5
사용 2주일 후 54.7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수분초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으름덩굴추출물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1 추출물 3-7 중량부; 감차수국추출물, 황련뿌리추출물 및 지치뿌리추출물을 4:3:3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2 추출물 1-5 중량부; 카카오씨추출물, 대추씨추출물 및 살구씨추출물을 3: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3 추출물 1-5 중량부; 라벤더오일 0.1-1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1-1 중량부, 트레할로오스 0.1-1 중량부, 히알루론산 4-8 중량부, 아데노신 0.5-4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0.5-4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변성알코올 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1-1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1-1 중량부, 자일리톨 0.1-1 중량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1 중량부,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1 중량부, 다이페닐다이메티콘 0.05-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05-0.5 중량부, 트라이에틸헥사노인 0.05-0.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5-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1-1 중량부, 덱스트린 0.5-4 중량부, 리날룰 0.5-4 중량부, 리모넨 0.5-4 중량부 및 정제수 51-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수분초, 병풀 및 으름덩굴을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자른 뒤 동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수분초분말, 병풀분말 및 으름덩굴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 및 물을 혼합하고, 교반을 수행하며 95-105℃의 온도에서 9-15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고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1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고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고, 125-135℃의 온도에서 6-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제2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혼합추출물 및 제2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분초추출물, 병풀추출물 및 으름덩굴추출물을 포함하는 제1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감차수국 잎, 황련뿌리 및 지치뿌리를 4:3:3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 후, 0.095-0.105 MPa의 압력 및 230-250℃의 온도에서 50-70분 동안 증숙하고, 45-55℃의 온도에서 280-320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증숙 및 건조시킨 제2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분말화된 제2 혼합물을 85-95℃의 온도로 볶아주는 단계; 볶아진 제2 혼합물 90-110 중량부 및 증류수와 에탄올이 2:8의 부피비율로 혼합된 혼합용매 900-11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디핑공정으로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차수국추출물, 황련뿌리추출물 및 지치뿌리추출물을 포함하는 제2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카카오씨, 대추씨 및 살구씨를 세척하고, 적절한 크기로 자른 뒤 동결건조시키고, 분쇄하여 카카오씨분말, 대추씨분말 및 살구씨분말을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3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3 혼합물, 1:1의 부피비로 혼합된 에탄올 및 아세톤의 혼합 용매 및 1-에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설포닐)이미드([EMIm][TFSI], 1-Ethyl-3-methylimidazolium bis(trifluoromethylsulfylimide)를 혼합하여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용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카오씨추출물, 대추씨추출물 및 살구씨추출물을 포함하는 제3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추출물 3-7 중량부, 상기 제2 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제3 추출물 1-5 중량부, 라벤더오일 0.1-1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1-1 중량부, 트레할로오스 0.1-1 중량부, 히알루론산 4-8 중량부, 아데노신 0.5-4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0.5-4 중량부, 부틸렌글리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1-5 중량부, 변성알코올 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리콜 1-5 중량부, 글리세레스-26 0.1-1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1-1 중량부, 자일리톨 0.1-1 중량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1-1 중량부, 글리세레스-25피씨에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0.1-1 중량부, 다이페닐다이메티콘 0.05-0.5 중량부, 에틸헥실글리세린 0.05-0.5 중량부, 트라이에틸헥사노인 0.05-0.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5-0.5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레시틴 0.05-0.5 중량부, 폴리글리세릴-10올리에이트 0.1-1 중량부, 덱스트린 0.5-4 중량부, 리날룰 0.5-4 중량부, 리모넨 0.5-4 중량부 및 정제수 51-55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20117027A 2022-09-16 2022-09-16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KR102470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027A KR102470177B1 (ko) 2022-09-16 2022-09-16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027A KR102470177B1 (ko) 2022-09-16 2022-09-16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177B1 true KR102470177B1 (ko) 2022-11-22

Family

ID=8423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027A KR102470177B1 (ko) 2022-09-16 2022-09-16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1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489B1 (ko) * 2022-10-18 2023-02-27 (주)에이치앤아이코퍼레이션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공기 순환기
KR102542482B1 (ko) * 2023-02-06 2023-06-13 천경준 섬유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51196B1 (ko) * 2023-01-25 2023-07-04 (주)페르스 순수 비타민 c를 안정화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551199B1 (ko) * 2023-01-25 2023-07-04 (주)페르스 고농도 비타민 c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CN117159424A (zh) * 2023-09-25 2023-12-05 揭阳市嘉胜日用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保湿美白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815A (ko) * 2008-08-05 2010-02-1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돌나물 추출물 및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4450A (ko) 2015-04-20 2016-10-28 초임계연구소 주식회사 주름개선과 미백 복합기능을 갖는 당귀유래 펩타이드 제조방법
KR20210041152A (ko) * 2019-10-04 2021-04-15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6815A (ko) * 2008-08-05 2010-02-16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돌나물 추출물 및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4450A (ko) 2015-04-20 2016-10-28 초임계연구소 주식회사 주름개선과 미백 복합기능을 갖는 당귀유래 펩타이드 제조방법
KR20210041152A (ko) * 2019-10-04 2021-04-15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오클리앙]레이어드 토너미스트 (2022.07.29.)* *
블로그, 유수분밸런스 잡아주는 오클리앙 레이어드크림 (2022.05.08.)*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3489B1 (ko) * 2022-10-18 2023-02-27 (주)에이치앤아이코퍼레이션 피톤치드가 발생되는 공기 순환기
KR102551196B1 (ko) * 2023-01-25 2023-07-04 (주)페르스 순수 비타민 c를 안정화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551199B1 (ko) * 2023-01-25 2023-07-04 (주)페르스 고농도 비타민 c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542482B1 (ko) * 2023-02-06 2023-06-13 천경준 섬유 탈취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159424A (zh) * 2023-09-25 2023-12-05 揭阳市嘉胜日用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保湿美白组合物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177B1 (ko)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111132B1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1629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0438A (ko) 시서스 및 대파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0272463B1 (ko) 화장품에 이용하기 위한 천연물에서 추출한 추출물
KR102037030B1 (ko)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0081A (ko)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7951B1 (ko) 버섯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06356B1 (ko)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11026A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KR102062230B1 (ko) 비타민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92594A (ko) 야생화 함유 나노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79143B1 (ko)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탄력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4166B1 (ko) 담죽엽, 율초 및 구맥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EP3689330A1 (e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ach containing aloe extract and upland rice extract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57593B1 (ko) 톳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필라그린 활성이 우수한 피부장벽 강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26783B1 (ko) 곤약 뿌리 추출물, 골든베리 열매 추출물 및 월하미인 꽃 추출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2917B1 (ko) 쓴쑥, 범부채, 돌나물, 미역취 및 개다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