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584B1 -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584B1
KR102597584B1 KR1020230107266A KR20230107266A KR102597584B1 KR 102597584 B1 KR102597584 B1 KR 102597584B1 KR 1020230107266 A KR1020230107266 A KR 1020230107266A KR 20230107266 A KR20230107266 A KR 20230107266A KR 102597584 B1 KR102597584 B1 KR 10259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wder
extract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프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프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프롬
Priority to KR102023010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5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Skin pore and sebum improvement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제일 바깥층부터 표피, 진피, 피하 지방층으로 나뉘며 표피의 가장 밑부분에는 기저층이있고, 이곳에서 계속해서 세포분화가 일어나며 분화된 세포는 유극층, 과립층 그리고 죽은 세포인 각질층을 거쳐 탈락되며,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28일을 주기로 반복된다. 이러한 주기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면 각질층이 두꺼워지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원인이 된다. 또한 모공주위에서는 이러한 각질이 모공의 입구를 막아 분비된 피지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모공 안에서 굳어 화이트헤드와 블랙헤드를 거쳐 여드름으로 발전하기도 하며, 화농성 균에 감염되어 염증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모공 트러블은 모공주위의 진피층에 영향을 주어 모공이 넓어지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
모공이란 피지선에서 분비되는 유분이 피부 표면으로 흘러나오는 작은 구멍으로, 털이 자라나는 입구를 말한다. 피부에는 ㎠당 100 ~ 120개의 모공이 존재하여 사람의 얼굴에는 약 2만 개의 모공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공의 지름은 약 0.02~0.05 mm로 매우 작아 보통 눈에 잘 띄지 않으나 나이, 계절, 여성의 생리주기, 임신,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지분비가 많아서 눈에 띌 만큼 커지게 된다. 모공이 넓은 피부는 깨끗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항상 얼굴이 번들거려 지저분하게 보인다. 또한, 모공이 열려 있으면 모낭 내로 세균이 침입하기 쉬워져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화장품을 이용하여 모공을 축소하는 모공 관리가 중요하게 되었다.
모공이 확장되는 원인에는 피지 과다 분비, 피부 노화, 모공 속 노폐물 축적 등이 있다. 피지 과다 분비의 경우, 피지분비가 많아지게 되면 많아진 피지를 배출하기 위해 모공이 커지게 되며, 피지가 모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생기게 되면 모공은 점점 더 커지게 된다. 사춘기 이후 본격적으로 피지분비가 늘어나면 피지가 나오는 길인 모공은 넓어지게 되며,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모공이 피지분비량을 따라가지 못해 막히고 이로 인해 여드름의 원인이 된다. 자외선과도 깊은 관계가 있다. 자외선은 피지분비 촉진 작용을 하므로 여름철에는 금방 세안을 해도 곧 얼굴이 번들거린다. 그러나, 자외선 양이 덜한 겨울에는 지성피부라도 번들거리는 것이 덜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지성 또는 여드름 피부인 사람들은 피지의 분비가 많으므로 점차 모공이 늘어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20대 후반부터 모공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피부가 나이 들면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와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활성이 감소하게 되고, 콜라겐 합성능력 및 엘라스틴 합성능력의 감소, 수분보유능력이 감소하면서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면서 모공이 커지게 된다.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모공 벽을 지지하던 콜라겐과 탄력섬유가 점차 감소하고, 모공을 조여주는 힘이 떨어지기 때문에 모공이 늘어나게 된다.
모공과 관련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수렴제로서 홍경천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공을 수축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7-00706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감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감나무잎추출물, 등나무잎추출물 및 산자나무잎추출물이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잎추출물 1-5 중량부, 포도나무줄기추출물, 붉가시나무줄기추출물 및 동백나무줄기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줄기추출물 1-5 중량부,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추출물 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5 중량부, 아데노신 1-5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5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5-1.5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0.5-1.5 중량부, 변성알코올 0.5-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5 중량부, 자일리톨 0.5-1.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5-1.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5-1.5 중량부, 덱스트린 1-5 중량부, 리날룰 1-5 중량부, 리모넨 1-5 중량부 및 정제수 57-6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잎추출물은,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제조하고, 상기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잎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분말을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잎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아세톤과 클로로포름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잎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물을 68-7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줄기추출물은,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식초물로 1차 세척하고, 정제수로 2차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0.095-0.105 MPa의 압력 및 170-190℃의 온도에서 80-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줄기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에탄올과 아세톤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줄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물을 78-8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8-12 중량부 및 에탄올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게; 상기 복합혼합물을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5-7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여과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상층액을 감압농축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제조하고, 상기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잎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분말을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잎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아세톤과 클로로포름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잎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물을 68-7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잎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식초물로 1차 세척하고, 정제수로 2차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0.095-0.105 MPa의 압력 및 170-190℃의 온도에서 80-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줄기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에탄올과 아세톤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줄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물을 78-8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8-12 중량부 및 에탄올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게; 상기 복합혼합물을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5-7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여과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상층액을 감압농축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잎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줄기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복합추출물 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5 중량부, 아데노신 1-5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5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5-1.5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0.5-1.5 중량부, 변성알코올 0.5-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5 중량부, 자일리톨 0.5-1.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5-1.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5-1.5 중량부, 덱스트린 1-5 중량부, 리날룰 1-5 중량부, 리모넨 1-5 중량부 및 정제수 57-61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에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감나무잎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감나무잎추출물, 등나무잎추출물 및 산자나무잎추출물이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잎추출물 1-5 중량부, 포도나무줄기추출물, 붉가시나무줄기추출물 및 동백나무줄기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줄기추출물 1-5 중량부,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추출물 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5 중량부, 아데노신 1-5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5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5-1.5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0.5-1.5 중량부, 변성알코올 0.5-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5 중량부, 자일리톨 0.5-1.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5-1.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5-1.5 중량부, 덱스트린 1-5 중량부, 리날룰 1-5 중량부, 리모넨 1-5 중량부 및 정제수 57-6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감나무잎추출물, 등나무잎추출물 및 산자나무잎추출물이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잎추출물 2-4 중량부, 포도나무줄기추출물, 붉가시나무줄기추출물 및 동백나무줄기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줄기추출물 2-4 중량부,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추출물 2-4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4 중량부, 아데노신 2-4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2-4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8-1.2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4-6 중량부, 글리세린 0.8-1.2 중량부, 변성알코올 0.8-1.2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2-4 중량부, 자일리톨 0.8-1.2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8-1.2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8-1.2 중량부, 덱스트린 2-4 중량부, 리날룰 2-4 중량부, 리모넨 2-4 중량부 및 정제수 58-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잎추출물은,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제조하고, 상기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잎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분말을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잎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아세톤과 클로로포름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잎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물을 68-7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감나무(Diospyros kaki)는 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교목으로, 한방에서는 감꼭지를 딸꾹질, 구토, 야뇨증 등에 달여서 복용한다. 곶감은 해소, 토혈, 객혈, 이질의 치료에 쓰이고, 곶감의 시설(誇雪)은 진해, 거담에 효능이 있고 영양식품으로 쓰인다. 감잎은 비타민 C가 풍부한 차로 애용되며, 고혈압증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감나무잎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등나무(Wisteria floribunda)는 콩목 콩과의 나무이다. 낙엽이 지는 덩굴성 갈잎나무로 덩굴은 10m 이상이나 길게 뻗어 오른쪽으로 돌면서 다른 물체를 감싼다. 잎은 깃꼴 겹잎으로 어긋나며, 4~6쌍의 작은 잎을 가지는데, 작은 잎들은 끝이 뾰족한 달걀 모양으로 짧은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봄이 되면 많은 청자색 나비꽃들이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수십 센티미터의 총상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린다. 열매는 길이가 15cm정도 되는 긴 협과를 이루는데, 아래로 늘어지며, 익으면 벌어져 씨가 튀어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등나무잎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산자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는 일반적으로 보리수과(Elaeagn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갈매보리수나무, 비타민나무로도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 중국, 일본에서 각각 시베리아파인애플, 사극(莎棘), 싸지(sajee)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고, 극한의 악조건 기후와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자라며, 열매, 잎, 씨 모두가 식용이 가능하며, 화장품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어 러시아, 유럽, 캐나다, 중국, 몽골, 히말라야 산맥 주변 국가 등지에서 폭 넓게 재배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산자나무잎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줄기추출물은,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식초물로 1차 세척하고, 정제수로 2차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0.095-0.105 MPa의 압력 및 170-190℃의 온도에서 80-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줄기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에탄올과 아세톤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줄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물을 78-8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포도(Vitis vinifera)는 포도과에 속하는 낙엽덩굴성 수목으로 세계 과일 생산량 중 약 30%로 가장 많이 재배되는 과일 중 하나이다. 포도에는 포도당, 과당, 자당, 구연산, 주석산, 초산 및 사과산 등의 다양한 유기산과 비타민 A, B 및 C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포도의 껍질에는 페오니딘, 델피니딘, 말비딘 및 페츄니딘 등의 안토시안계 성분들이 잘 알려져 있지만, 포도나무줄기에 대한 효과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포도나무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붉가시나무(Quercus acuta THUNB. )는 전라남도, 경상남북도 및 제주도의 표고 170~500m의 양지바른 산기슭과 계곡에서 많이 자라는 참나무과 참나무속의 상록활엽교목이다. 높이 20m, 지름 60㎝ 이상으로 자라는 나무로 어린 가지에는 갈색 털이 밀포한다. 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 또는 긴 난형으로 길이 7∼13㎝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1가화로서 5월에 피고 열매는 길이 2㎝로서 다음해 10월에 익는다. 목재의 빛깔이 붉은빛을 띄기 때문에 붉가시나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본 발명에서는 붉가시나무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차나무과에 속하며, 전북 고창, 전남 해남, 완도, 강진, 여수, 광양, 경남, 거제, 남해안 지역과 제주도 등지에서 자라는 상록활엽 소교목이다. 키는 약 15 m, 직경이 약 50 ㎝ 정도로 자라며,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나며 뒷면은 황록색이고 타원형으로 마주나며 길이는 5~12 ㎝, 폭이 3~7 cm 이고 물결 모양의 잔 톱니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동백나무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8-12 중량부 및 에탄올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게; 상기 복합혼합물을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5-7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여과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상층액을 감압농축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복사나무(Prunus persica)는 장미목 장미과에 속하는 관속식물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널리 재배된다. 밭에 과수로 널리 식재하는 낙엽 활엽 작은큰키나무로 꽃은 4~5월 피는데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며, 묵은 가지의 잎겨드랑이에 1~2개씩 달린다. 꽃줄기는 짧고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5개, 타원형, 털이 있다. 꽃잎은 5개, 긴 타원형, 끝은 둥글다. 수술은 30~40개다. 씨방에 털이 있다. 복사, 복사나무, 복성아나무라고도 부른다. 중국 원산이며, 우리나라 전역에서 널리 재배된다(국립생물자원관). 특히 복사나무꽃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 부종과 홍반을 완화하고, DNA 손상과 피부암을 억제하는 효능이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복사나무꽃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스테비아는 잎이나 줄기에 저칼로리의 단 맛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다이어트 감미료에 이용된다. 스테비아의 잎을 뜯어 맛을 보면 설탕보다 더 단맛을 느낄 수 있다.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라고 하는 성분을 가지고 있어 설탕에 비해 200-300배의 단 맛을 내며 칼로리는 1g 당 4칼로리로 매우 낮아 당뇨병환자나 다이어트를 요하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스테비오사이드는 물이나 알코올에 잘 녹으며 내열성을 지니고 있고 독성이 없으므로, 샤베트, 추잉껌, 청량음료, 약품 등의 감미료로 쓰인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비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스테비아는 스테비아잎일 수 있다.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생존과 번식을 위해 여러 식물에서 뽑아낸 물질에 꿀벌의 침과 효소 등을 섞어서 만든 물질로, 항염, 항산화, 면역증강 등의 작용을 하며 천연 항생물질로도 잘 알려져있다. 프로폴리스는 기원전 300년경부터 유럽이나 브라질 등에서 민간요법 약재로써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근래에 들어 건강식품, 화장품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감초는 주요 성분으로 글리시리진(Glycyrrhizin), 사포닌(Sapon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글라브리딘(Glabridin), 글루코즈(Glucose), 수크로즈(Sucrose), 만니톨(Mannitol), 아스파라진(Asparagine) 및 리퀴리티제닌(Liquiritigenine)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성분들 중 글리시리진(Glycyrrhizin), 글라브리딘(Glabridin) 및 리퀴리티제닌(Liquiritigenine) 등은 중요 생리활성 물질로서 화장품의 미백제나 의약품에는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모밀발효추출물 및 슈도알테로모나스발효추출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발효추출물 0.5-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추출물은,
약모밀 및 슈도알테로모나스를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약모밀 및 슈도알테로모나스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약모밀분말 및 슈도알테로모나스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약모밀분말 23-27 중량부, 상기 슈도알테로모나스분말 23-27 중량부 및 정제수 48-52 중량부를 혼합한 약모밀혼합물에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 효모를 0.5-1.5 중량부 첨가하는 단계; 첨가 후, 34-38℃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배양하는 단계; 및 배양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약모밀은 어성초라고도 한다. 응달진 숲 속에서 자란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고 가늘며 흰색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50cm이며, 몇 개의 세로줄이 있고,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3∼8cm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턱잎이 잎자루 밑 부분에 붙어 있다. 약모밀은 강한 생명력만큼이나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다. 약모밀에 들어있는 퀘르시트린이라는 성분은 향균 및 소염효과가 있어, 독소를 제거하고 피부를 맑게 해준다. 피부염증, 각종 트러블, 아토피, 여드름에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약모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효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슈도알테로모나스는 남극의 지방에서 발견된 미생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슈도알테로모나스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발효추출물을 적용하여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효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제조하고, 상기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잎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분말을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잎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아세톤과 클로로포름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잎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물을 68-7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잎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식초물로 1차 세척하고, 정제수로 2차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0.095-0.105 MPa의 압력 및 170-190℃의 온도에서 80-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줄기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에탄올과 아세톤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줄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물을 78-8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줄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복사나무꽃, 스테비아,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8-12 중량부 및 에탄올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게; 상기 복합혼합물을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5-7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여과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상층액을 감압농축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잎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줄기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복합추출물 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5 중량부, 아데노신 1-5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5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5-1.5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0.5-1.5 중량부, 변성알코올 0.5-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5 중량부, 자일리톨 0.5-1.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5-1.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5-1.5 중량부, 덱스트린 1-5 중량부, 리날룰 1-5 중량부, 리모넨 1-5 중량부 및 정제수 57-61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1
잎추출물 3 중량부, 줄기추출물 3 중량부, 복합추출물 3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3 중량부, 아데노신 3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3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1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5 중량부, 글리세린 1 중량부, 변성알코올 1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3 중량부, 자일리톨 1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1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1 중량부, 덱스트린 3 중량부, 리날룰 3 중량부, 리모넨 3 중량부 및 정제수 59 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화장품 조성물에 발효추출물 1 중량부를 첨가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효과 분석
얼굴에 피지 분비가 많고 모공이 크다고 느끼는 남녀 15명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양 볼과 코 주위 피부에 매일 저녁 세안 후 4주 동안 바르도록 하였다. 측정은 항온항습 조건에서 샘플 사용 전과 사용 후 육안 평가와 기기 측정으로 수행하였다. 육안 평가는 시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점수화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0은 효과 거의 없음이고, 1은 약간의 효과 있음이고, 2는 효과 있음이고, 3은 효과 좋음이고, 4는 효과 매우 좋음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 모공 크기는 모공크기 측정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피지는 피지측정기(sebumeter)를 이용하여 피지량을 측정하였고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간 모공상태
실시예 1 2주 경과 2.8
4주 완료 3.0
실시예 2 2주 경과 3.2
4주 완료 3.4
시간 모공크기(픽셀)
실시예 1 사용전 205
2주 경과 199
4주 완료 193
실시예 2 사용전 206
2주 경과 197
4주 완료 189
시간 피지량(㎍/cm2ㆍh)
실시예 1 사용전 69
2주 경과 60
4주 완료 58
실시예 2 사용전 68
2주 경과 58
4주 완료 56
상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모공 축소 및 피지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감나무잎추출물, 등나무잎추출물 및 산자나무잎추출물이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잎추출물 1-5 중량부, 포도나무줄기추출물, 붉가시나무줄기추출물 및 동백나무줄기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줄기추출물 1-5 중량부, 복사나무꽃, 스테비아잎,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추출물 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5 중량부, 아데노신 1-5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1-5 중량부, 베르가모트오일 0.5-1.5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3-7 중량부, 글리세린 0.5-1.5 중량부, 변성알코올 0.5-1.5 중량부,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1-5 중량부, 자일리톨 0.5-1.5 중량부,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5-1.5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5-1.5 중량부, 덱스트린 1-5 중량부, 리날룰 1-5 중량부, 리모넨 1-5 중량부 및 정제수 57-6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잎추출물은,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감나무잎, 등나무잎 및 산자나무잎을 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제조하고, 상기감나무잎분말, 등나무잎분말 및 산자나무잎분말을 3: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잎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분말을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잎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아세톤과 클로로포름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잎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잎혼합물을 68-7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줄기추출물은,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식초물로 1차 세척하고, 정제수로 2차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0.095-0.105 MPa의 압력 및 170-190℃의 온도에서 80-100분 동안 증숙하는 단계; 증숙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118-12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포도나무줄기, 붉가시나무줄기 및 동백나무줄기를 열풍건조한 후 분쇄하여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포도나무줄기분말, 붉가시나무줄기분말 및 동백나무줄기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줄기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분말 8-12 중량부 및 에탄올과 아세톤을 1:1의 부피비율로 혼합한 혼합용매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줄기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줄기혼합물을 78-82℃의 온도로 가열하여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추출물은,
    복사나무꽃, 스테비아잎,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세척한 후, 48-52℃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복사나무꽃, 스테비아잎, 프로폴리스 및 감초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잎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사나무꽃분말, 스테비아잎분말, 프로폴리스분말 및 감초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물 8-12 중량부 및 에탄올 88-92 중량부를 혼합하여 복합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게; 상기 복합혼합물을 98-102℃의 온도로 가열하여 5-7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고 여과액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상층액을 감압농축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공 깊이 축소 및 피지 억제 화장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107266A 2023-08-16 2023-08-16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10259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266A KR102597584B1 (ko) 2023-08-16 2023-08-16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7266A KR102597584B1 (ko) 2023-08-16 2023-08-16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584B1 true KR102597584B1 (ko) 2023-11-03

Family

ID=8874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7266A KR102597584B1 (ko) 2023-08-16 2023-08-16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866B1 (ko) 2023-09-27 2024-06-10 김기천 인지질 입자 코팅 공법으로 제조되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89B1 (ko) * 2009-06-29 2010-04-29 (주)바이오에프디엔씨 천연물을 함유한 모공 축소 및 피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4767B1 (ko) * 2012-04-04 2012-10-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풋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64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모공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1000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피앤비그룹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89B1 (ko) * 2009-06-29 2010-04-29 (주)바이오에프디엔씨 천연물을 함유한 모공 축소 및 피지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94767B1 (ko) * 2012-04-04 2012-10-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풋사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5564B1 (ko) * 2019-07-22 2020-10-14 주식회사 오퍼스아시아 모공축소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1000A (ko) * 2021-02-01 2022-08-09 주식회사 피앤비그룹 병풀, 어성초, 산삼, 녹차, 커피, 감나무잎, 카카오, 포도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에멀젼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미백 및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blog.naver.com/mikiwonjin/223179150815, 네이버블로그, 두피케어 앰플 사용후 잔머리가 올라와요, 2023. 08. 09.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3866B1 (ko) 2023-09-27 2024-06-10 김기천 인지질 입자 코팅 공법으로 제조되는 리포좀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912411B2 (ja)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12231A (ko) 약용 잎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KR102470177B1 (ko)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5873B1 (ko)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167786B1 (ko) 락토바실러스를 이용한 병풀, 접시꽃, 푸른연꽃, 쓴풀 화장료용 발효물 및 그 제조방법과 화장료용 발효물을 함유한 상처치유, 피부 재생, 진정,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3978B1 (ko) 잇몸에 좋은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N111228162A (zh) 含有葫芦提取物的美白、抗氧化及保湿用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68300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05692B1 (ko)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CN113143820A (zh) 一种抗衰老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597584B1 (ko) 피부 모공 및 피지 개선 화장품 조성물
KR102100345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0432A (ko) 칠화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10005B1 (ko) 천정팔진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1839A (ko) 탈모방지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모방지용 효소 조성물
KR20180138245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486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 함유 목욕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