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152A -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152A
KR20210041152A KR1020190123236A KR20190123236A KR20210041152A KR 20210041152 A KR20210041152 A KR 20210041152A KR 1020190123236 A KR1020190123236 A KR 1020190123236A KR 20190123236 A KR20190123236 A KR 20190123236A KR 20210041152 A KR20210041152 A KR 20210041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oisture
composition
extract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748B1 (ko
Inventor
박진성
이상일
차소윤
윤지원
신송석
조정웅
김진국
차영권
조항의
서강진
방기태
이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19012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7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1Crassulaceae (Stonecrop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장벽 보호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보습 또는 피부장벽 보호 용도의 피부외용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Sedum sarmentosum gel and moisturiz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분초를 용매로 추출하거나 착즙하여 얻은 추출물과 추출 후 폐기되는 수분초 잔사를 원료로 하여 제작된 식물겔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피부장벽 강화 효능 및 보습효능이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 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 기능은 화학 물질, 대기오염 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는 조직학적으로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subcutis)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가장 외부에 존재함으로써 피부노화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피부 미용면에서도 가장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바로 표피이다. 표피에서도 최외각층인 각질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각질세포와 피부지질로서 피부지질은 피부의 장벽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와 같은 피부의 장벽기능은 각질의 세포분열과 분화를 조절하여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체내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며 피부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천연물, 특히 식물을 원료로 한 식품 및 미용 용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의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다. 식물을 원료로 한 조성물의 경우, 식물 원료를 분쇄한 식물 분말을 구성성분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식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한 추출물을 구성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식물의 분말 자체를 화장료 또는 약제학적 용도의 피부외용제의 구성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용액 중의 식물 분말의 분산성이 낮아, 용액 중에서 침전되거나 용매와 분말이 서로 분리되는 층분리 현상이 쉽게 일어난다. 한편, 식물 추출물을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경우에는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이 복잡하고 고가의 설비 및 비용이 들어 경제적이지 않으며, 식물의 종류마다 유효성분의 성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비한 추출설비 및 추출공정을 다양한 식물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식물을 원료로 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공정을 거치지 않으면서, 다양한 식물에도 적용이 가능한 식물 분말에 대한 용액 내 분산성 개선 방안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8139호
본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분초를 용매로 추출하거나 착즙하여 얻은 추출물로 제조 된 수분초 추출물과 추출한 후 폐기되는 부산물을 활용한 수분초 식물겔을 혼합한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의 피부장벽 강화, 수분손실 방지, 및 피부 수분량을 증가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강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또는 피부장벽 강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분초(垂盆草)"란 꿩의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 돌나물 Sedum sarmentosum Bunge의 지상부를 말한다. 수분초는 우리 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 약간 습기 있는 바위 겉이나 길가 언덕 등에 흔히 자생한다. 수분초는 다년생초본이며 높이 15cm 안팎으로 자라고, 지면으로 뻗는 포복지가 있으며, 각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수분초는 돈나물, 돌나물, 돋나물, 석상채, 파경천, 화건초 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다. 수분초의 알려진 약용 효능으로는 i) 청열소종 작용이 있어 인후염에 효력을 얻고, 만성 간염에도 유의성을 나타나며, 열이 있으면서 소변을 못 볼 때 쓰이고, ii) 종기, 불과 뜨거운 물에 데었을 때, 및 독충이나 뱀에 물렸을 때에도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일 성분인 수분초 겔은 산화된 미세분쇄 수분초 분말을 0.01-20 %(w/v)의 농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분초 겔은 수분초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고 난 후의 잔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수분초에서 추출물을 추출하고 난 후의 잔사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수분초 겔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수분초 겔 자체의 유용성분의 함량 또는 미용효과는 제한될 수 있으나, 겔 제형으로 제조됨에 따른 수분 보유 효과 및 분산안정성이 우수하므로 화장료 성분으로 이용시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초 추출물은 수분초를 착즙하여 제조된 수분초 착즙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초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이다. 상기 물 또는 유기용매는 구체적으로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르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노르말-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1:9 내지 9:1, 1:8 내지 8:1, 1:7 내지 7:1, 1:6 내지 6:1, 1:5 내지 5:1, 1:4 내지 4:1, 1:3 내지 3:1, 1:2 내지 2:1, 또는 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이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피부 보습, 주름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트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와 같은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피부장벽의 손상으로 야기되는 피부 질환(또는 피부장벽 손상에 의한 피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장벽의 손상으로 야기되는 피부 질환은 습진, 건선, 아토피 피부염, 또는 소양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어 "야기"는 피부장벽의 손상이 직접적으로 상술한 피부 질환의 원인이라는 의미는 아니고, 상기 질환의 소인이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손상에 의한 피부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완충액, 주사용 멸균수, 일반 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 식염수, 슈크로스, 히스티딘, 염 및 폴리솔베이트 등과 같은 여러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일반 의약품 제제의 형태, 예를 들어, 임상적 투여 시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약제학적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피부 보습, 주름 개선, 피부장벽 강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인간 각질세포에서 TGase-1과 OCLN 발현량을 증가시켜 피부 장벽 강화 효능이 우수하고, 천연보습인자(NMF) 유도인자인 FLG와 BLMH 발현량을 증가시키므로 피부 보습 효능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수분초를 원료로 포함하는 겔은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분산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보습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수분초 추출물은 피부장벽을 강화하여 수분손실을 최소한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지니며, 수분초 식물겔은 천연보습인자(NMF) 발현을 유도하여 수분량을 증가시키므로, 이로 인한 수분초 추출물과 수분초 식물겔을 혼합하여 제조한 조성물은 이중 시너지 보습효과가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분초 추출물과 그의 부산물을 원료로 포함하는 수분초 식물겔을 혼합하여 제조한 이중 보습용 피부외용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상기 수분초 겔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a) 미세분쇄된 수분초 분말에 적어도 하나의 산화제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b) 수분초 분말을 정제하고 수용성 용매에 희석시키는 단계; 및
(c) 수분초 분말 희석액을 균질화하고 농축 또는 여과하여 수분초 겔을 제조하는 단계.
이하 본 발명의 수분초 겔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a): 미세분쇄 수분초 분말의 산화 단계
먼저 미세분쇄 된 수분초 분말을 수득한다. 미세분쇄 된 수분초 분말은 구입하거나, 건조된 수분초를 그라인더로 분쇄하거나, 수분초 추출물을 제조하고 남은 잔여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단계의 미세분쇄 된 수분초 분말의 입경은 1 내지 300 μm 이하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세분쇄 된 수분초 분말의 입경은 그 크기가 작을수록 산화반응이 단시간에 높은 비율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단계에서는 수분초 분말에 적어도 하나의 산화제를 첨가하여 산화반응을 진행한다. 상기 산화제는 차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 또는 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차아할로겐산 또는 그 금속염, 및 아할로겐산 또는그 금속염에서의 할로겐은 염소, 브롬, 요오드일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차아염소산, 차아브롬산, 차아요오드산, 아염소산, 아브롬산, 아요오드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차아할로겐산 금속염, 및 아할로겐산 금속염에서의 금속은 리튬, 칼륨, 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 등의 알칼리토금속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아할로겐산염의 구체적인 예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륨, 차아염소산 칼슘, 차아염소산마그네슘, 차아염소산스트론튬, 차아염소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아할로겐산염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염소산의 경우, 아염소산리튬, 아염소산칼륨, 아염소산나트륨, 아염소산칼슘, 아염소산마그네슘, 아염소산스트론튬, 아염소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염소산염에 대응하는 아브롬산염, 아요오드산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단계의 산화 반응은 촉매로서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은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은 (2,2,6,6-Tetramethylpiperidin-1-yl)oxyl 이고, 니트록시 라디칼 화합물의 유도체는 4-Acetamido-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Amino-2,2,6,6-tetramethylpiperidine-d17-1-oxyl; 4-Amino-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2-Azaadamantane-N-oxyl; 4-Carboxy-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d17-1-oxyl;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benzoate; 4-(2-Iodoacetamido)-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Isothiocyanato-2,2,6,6-tetramethylpiperidine 1-oxyl; 4-Maleimido-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Methoxy-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Oxo-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Oxo-,2,2,6,6-tetramethylpiperidine-d16-1-oxyl; 4-Phosphonooxy-2,2,6,6-tetramethyl-1-piperidinyloxy; 4-Methacryloyloxy-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및 2,2,6,6-Tetramethyl-4-(methylsulfonyloxy)-1-piperidinooxy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단계의 산화 반응은 보조촉매로서 할로겐과 알칼리 금속의 염(알칼리 금속염), 할로겐과 알칼리 토류 금속의 염(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을 첨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을 형성하기 위한 할로겐으로서는, 염소, 브롬, 요오드를 들 수 있다. 알칼리 금속염을 형성하는 알칼리 금속으로서는, 리튬, 칼륨, 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형성하는 알칼리 토류 금속으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스트론튬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브롬화리튬, 브롬화칼륨, 브롬화나트륨, 요오드화리튬,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나트륨, 염화리튬,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브롬화칼슘, 브롬화마그네슘, 브롬화스트론튬, 요오드화칼슘, 요오드화마그네슘, 요오드화스트론튬,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스트론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암모늄염으로서는, 브롬화암모늄, 요오드화암모늄, 염화암모늄을 들 수 있다. 이들 보조촉매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보조촉매는 수화물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단계 (a)의 산화 반응은 pH를 9-11로 유지하면서 2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 산화된 수분초 분말의 정제 및 희석 단계
이어서 산화된 수분초 분말에서 미반응 원료와 불순물(반응에 사용된 니트록시 라디칼, NaBr, NaClO 등의 원료 및 NaCl 등의 반응 부가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분초 분말을 정제하고 추가적인 미세입자화(균질화)를 위하여 정제수에 희석시킨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정제는 (a) 단계의 반응액에 알코올을 첨가하여 수분초 분말을 침전시킨 후, 침전된 수분초 분말을 여과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5의 저가 알코올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알코올 첨가-수분초 분말 침전-여과 단계는 2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정제는 (a) 단계의 반응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멤브레인 여과(한외 여과)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다. 멤브레인 여과 방법을 사용하면 상기 알코올 침전 및 정제수 희석 단계를 수행하지 않아도 단일한 과정으로 수분초 분말의 산화 단계에서 발생한 미반응 원료와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단계 (c): 수분초 분말 희석액의 균질화 수분초 겔의 제조 단계
마지막으로 수분초 분말 희석액을 고압균질기(microfluidizer)를 통하여 균질화(미세입자화) 하고 농축 또는 여과하여 본 발명의 수분초 겔을 제조하였다. 상기 (c) 단계의 균질화는 800 내지 1000 bar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균질화 후 농축 단계는 50-65℃에서 감압 농축 또는 진공 농축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균질화 후 여과 단계는 (b) 단계에서와 동일하게 멤브레인 여과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제조된 수분초 겔의 수분초 분말 함유량은 0.01-2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입자화된 산화된 수분초 분말을 0.01 - 20 %(w/v)의 농도를 가지도록 조절하면 겔상을 나타내면서도 수분초 원료 자체의 기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수분초 겔의 수분초 분말 함유량이 0.01 %(w/v) 미만인 경우 수분초 분말 첨가에 따른 수분초의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고, 20 %(w/v)를 초과하는 경우 첨가량 대비 효능의 증대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분초 겔;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상기 수분초 겔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분초 겔은 수분초 자체를 이용하여서도 제조될 수 있지만, 수분초 추출물을 제조하고 난 후의 잔여물을 이용하여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피부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장벽 보호효과가 우수하므로 피부보습용도의 피부외용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의 피부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 처리 후 피부보습과 관련된 인자인 Bleomycin hydrolase (BLMH)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의 피부보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 처리 후 피부보습과 관련된 인자인 Filaggrin (FLG)의 단백질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의 피부장벽 기능 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 처리 후 피부장벽 기능과 관련된 인자인 Transglutaminase 1 (Tgase-1)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의 피부장벽 기능 강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 처리 후 피부장벽 기능과 관련된 인자인 occludin (OCLN)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의 수분 보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 처리 후 수분 보유 능력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의 수분 보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4의 혼합물 처리 후 경표피 수분손실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실시예 1: 수분초 추출물(1)의 제조
건조하지 않은 생(生) 수분초 100g을 메탄올에 1:5의 중량 비율로 넣고 50
Figure pat00001
에서 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250 mesh (약 1.0 μm)의 메시 크기를 가진 여과기로 수분초 추출물을 여과하였다. 여과된 여과액을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을 정제수와 1,2-Hexanediol 2%을 첨가하여 수분초 추출물(1) 1 kg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수분초 추출물(2)의 제조
건조하지 않은 생(生) 수분초 100g을 정제수에 1:8의 중량 비율로 넣고 90
Figure pat00002
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250 mesh (약 1.0 μm)의 메시크기를 가진 여과기로 수분초 추출물을 여과시켰다. 여과된 여과액에 1,2-Hexanediol 2% 을 첨가하여 수분초 추출물(2) 1.5 kg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수분초 추출물(3)의 제조
건조하지 않은 생(生) 수분초 100g을 착즙하여 나온 착즙물과 착즙액을 정제수에 1:3의 중량 비율로 넣고 60
Figure pat00003
에서 3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다음으로 250 mesh (약 1.0 μm)의 메시크기를 가진 여과기로 수분초 추출물을 여과시켰다. 여과된 여과액에 1,2-Hexanediol 2%를 첨가하여 수분초 추출물(3) 1 kg을 제조하여 하기 실험예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수분초 식물겔의 제조
건조하지 않은 생(生) 수분초를 착즙한 후의 착즙물을 건조한 후 그라인더로 분쇄한 뒤, 150 Mesh 체로 체별하여 100 μm 이하의 수분초 분말을 얻었다. 정제수 1 L에 상기 분쇄한 수분초 분말 50 g을 넣어 교반하고, TEMPO 1.6 g, NaBr 10.3 g을 넣어 용해시켰다. 30-40%(w/v)의 NaClO 수용액 330 mL를 적가한 후 NaOH로 적정하여 pH가 10~11이 되도록 유지하면서 상온에서 15시간 동안 산화시켰다. 상기 산화된 수분초 반응액에 HCl을 첨가하여 pH 6~7이 되도록 중화시키고, 상기 산화반응에 사용된 원료 및 반응부가 생성물을 제거하여 수분초 분말을 정제하였다. 정제는 상기 반응액에 에탄올 1L을 넣어 침전시킨 뒤 여과하여 여과물을 얻은 다음, 여과물을 50% 에탄올에 넣고 교반하여 세척한 뒤 여과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여과된 고형물은 희석한 후 멤브레인 여과기를 이용하여 불순물이 제거될 때까지 정제수를 계속 첨가하며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한 수분초 분말 50g에 정제수 10 L를 넣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2500 RPM에서 30분간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상기 수분초 분말 분산액을 고압균질기를 이용하여 800~1000 bar에서 5회 통과시켜 미세화시켰다. 상기 미세화한 수분초 조성물을 감압농축기 또는 멤브레인 여과기로 농축하여 본 발명의 수분초 식물겔을 얻었다.
실험예
실험예 1. 수분 보습 효과 - Filaggrin ( FLG ), Bleomycin hydrolase(BLMH)의 단백질 발현량 측정
본 발명의 i) 실시예 3의 수분초 추출물, ii) 실시예 4의 수분초 식물겔, 및 iii) 실시예 3의 수분초 추출물 및 실시예 4의 수분초 식물겔의 혼합물의 수분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분 보습 효과(natural moisturizing factor(NMF) pathway)와 관련된 인자로 알려진 단백질인 FLG 및 BLMH 단백질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100 mm 디쉬에 1% 인간성장인자 (human growth factor, gibco)와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포함된 Epilife (gibco) 배지에서 신생아 포피 유래 인간 케라틴 세포(normal human keratinocyte, gibco) 5.0Υ105 cells를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37℃, 5%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시료를 무혈청 (serum-free) 배지에 농도 별로 처리하여 3일 동안 배양하였다. 칼슘 클로라이드를 본 실험의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세포를 스크래퍼(scrapper)를 이용하여 긁어낸 후, 원심분리를 통해 펠렛(pellet)을 가라앉혔다. 이후, 단백질추출용액 (protein extraction solution)을 넣고 인큐베이션한 뒤, QubitTM fluorometer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정량한 단백질에 로딩 버퍼 (loading buffer)를 첨가한 후, SDS-PAGE에 로딩하였다.
iBlot Dry Blotting 시스템을 이용하여 트랜스퍼(transfer)한 후, 블로킹(blocking)하였다. 이후, 1차 (Filaggrin(santa cruz), Bleomycin hydrolase(santa cruz), GAPDH(santa cruz)) 및 2차 (GAM-HRP) 항체를 처리하였다. 항체 처리 후, west save cold ECL 용액을 처리한 후, chemi doc LuminoGraph±로 밴드를 촬영하고 이를 수치화 한 값을 정량하여 표로 나타내었다.
Sample 수분초 추출물 농도
(μg/mL)
수분초 겔 농도
(μg/mL)
BLMH FLG
intensity/ GAPDH intensity/GAPDH
Control - - 103.40 100.00
실시예 3 10 - 94.50 83.98
25 - 104.50 98.30
50 - 103.21 101.31
실시예 4 - 50 103.40 98.80
- 100 123.60 183.00
- 250 124.00 172.10
실시예 3 및 실시예 4 혼합물 5 25 123.50 113.62
12.5 50 142.14 197.92
25 125 142.60 210.45
실시예 3은 천연보습인자(NMF) 합성 기전과 관련된 단백질(BLMH, FLG)의 발현 증가에는 뚜렷한 발현 유도 효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실시예 4는 50, 100 μg/ml 농도에서 눈에 띄게 FLG과 BLMH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다당체(겔류)를 포함하는 실시예 4의 특성상 피부 내 hydration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천연보습인자(NMF) 생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실시예 3의 물질 5, 12.5, 25 μg/ml 과 실시예 4의 물질 25, 50, 125 μg/ml를 각각 혼합한 혼합물은 전 범위에서 실시예 3, 4 대비 뛰어나게 BLMH 및 FLG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켜 우수한 보습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1).
실험예 2. Skin Barrier Function - Tgase -1
본 발명의 i) 실시예 3의 수분초 추출물, ii) 실시예 4의 수분초 식물겔, 및 iii) 실시예 3의 수분초 추출물 및 실시예 4의 수분초 식물겔의 혼합물이 피부장벽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장벽(skin barrier)의 형성(formation)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효소 TGase-1 의 mRNA 발현량을 Real time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과 4의 혼합물을 1% 인간성장인자 (human growth factor, gibco)와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포함된 Epilife (gibco) 배지에서 신생아 포피 유래 인간 케라틴 세포(normal human keratinocyte, gibco)를 24시간 동안 5% CO2 및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60mm 배양 접시에 인간 케라틴 세포를 4.0 x 105 cell/ml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TRIzol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RNA를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코스모진텍사(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프라이머 서열은 표 2에 표시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skin layer마다 적정 농도로 존재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분화 과정; differentiation 및 각질탈락; desquamation)에 필수적인 calcium chloride를 사용하였다.
구분 방향 염기서열(5'to 3')
TGase-1 Forward TCC TCC AGT CAA TAC CCA TCA G
Reverse GCA GTC ATG TGC TTT TCC TCT TG
β-actin Forward GGC ACC CAG CAC AAT GAA G
Reverse CCG ATC CAC ACG GAG TAC TTG
Sample 수분초 추출물 농도
(μg/mL)
수분초 겔 농도
(μg/mL)
TGase-1 Expression rate
(% control, β-Actin 보정)
Stdev.
Control - - 100 0.00
Calcium chloride 1.2 mM (*) - 147.91 1.96
실시예 3 10 - 123.14 1.63
25 - 140.88 4.01
50 - 194.11 6.42
실시예 4 - 50 104.67 1.39
- 100 103.32 3.41
- 250 101.48 5.46
실시예 3 및 실시예 4 혼합물 5 25 141.61 1.87
12.5 50 162.01 4.61
25 125 223.23 7.38
(*)Calcium choloride의 농도
실시예 3은 10, 25, 50 μg/ml 전 농도에서 TGase-1 발현량을 증가시켜 피부장벽 강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실시예 4는 TGase-1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키지 않아 피부장벽 강화 효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4를 구성하는 고분자의 다당체가 해당 실험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투과되는 정도가 작아 피부 장벽에 대한 효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판단된다.
반면, 실시예 3의 물질 5, 12.5, 25 μg/ml 과 실시예 4의 물질 25, 50, 125 μg/ml를 각각 혼합한 혼합물은 전 범위에서 TGase-1 유전자 발현이 실시예 3, 4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어 물리적 장벽 역할을 하는 피부 장벽 형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함으로써, 장벽 강화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도 2).
실험예 3. Skin Barrier Function - OCLN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수분초 추출물, 실시예 4의 수분초 식물겔, 및 실시예 3의 수분초 추출물 및 실시예 4의 수분초 식물겔의 혼합물이 피부장벽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 장벽 강화 및 장벽 용질(solute)의 통로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는 Tight junction proteins 중 하나로써, OCLN 단백질의 mRNA 발현량을 Real time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초유 성분 중 하나로서 장벽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Lactoferrin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과 4의 혼합물을 1% 인간성장인자 (human growth factor, gibco)와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포함된 Epilife (gibco) 배지에서 신생아 포피 유래 인간 케라틴 세포(normal human keratinocyte, gibco)를 24시간 동안 5% CO2 및 37℃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60 mm 배양 접시에 인간 케라틴 세포를 4.0x105 cell/ml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뒤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를 TRIzol로 모아 제조사의 방법에 따라 RNA를 분리하고 분리된 RNA를 정량한 뒤 1 μg의 RNA로 cDNA를 합성하여 Real-time PCR을 실시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코스모진텍사(Korea)에서 합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유전자의 프라이머 서열은 표 4에 나타냈다.
구분 염기서열(5'to 3')
Occludin(OCLN) Forward CCA CCT ATC ACT TCA GAT CAA CAA A
Reverse TTC CTG TAG GCC AGT GTC AAA AT
beta-actin Forward GGC ACC CAG CAC AAT GAA G
Reverse CCG ATC CAC ACG GAG TAC TTG
Sample 수분초 추출물 농도
(μg/mL)
수분초 겔 농도
(μg/mL)
OCLN Expression rate
(% control, beta-actin 보정)
Stdev.
Control - 100 0.00
Lactoferrin 1 μM (*) 138.18 4.54
실시예 3 10 - 108.32 1.24
25 - 113.32 2.18
50 - 123.64 1.44
실시예 4 - 50 94.32 1.05
- 100 95.90 1.85
- 250 98.70 1.22
실시예 3 및 실시예 4 혼합물 5 25 110.32 1.43
12.5 50 129.75 2.51
25 125 143.54 1.66
* Lactoferrin의 농도
실험 결과, 실시예 4는 뚜렷한 효능을 확인할 수 없었는데, 앞선 결과(실험예2)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4를 구성하는 다당체의 특징으로 인해 투과력(permeability)이 상대적으로 낮아 효능이 해당 조건에서 효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실시예 3은 25, 50 μg/ml 농도에서 OCLN 발현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피부장벽 강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실시예 3의 물질 5, 12.5, 25 μg/ml 과 실시예 4의 물질 25, 50, 125 μg/ml를 각각 혼합한 혼합물은 전 범위에서 OCLN 유전자 발현이 실시예 3, 4 대비 눈에 띄게 증가되어 피부 장벽을 구성하는 밀착연접(Tight junction)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장벽 강화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실험예 4. 피부 표면 수분 보유 능(water holding capacity( % )) 측정, (clinical Corneometer)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수분초 추출물, 실시예 4의 수분초 식물겔, 및 실시예 3 및 4의 수분초 추출물 및 수분초 식물겔 혼합물이 피부 표면 수분 공급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대상은 26 ~ 35 (29.1±2.64)의 피험자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 부위는 팔 전박 부위로 한정하였다. 환경조건은 실내온도 26
Figure pat00004
, 실내습도 66 %로 한정하였다. 시료는 10명의 피험자에 대해 동일한 핸드워시를 이용하여 팔의 전박 부위를 흐르는 물로 씻고 크리넥스로 닦아낸 후 20분 동안 외적환경에 적응하게 하였다. 또한 팔의 전박 부위에 일정한 크기(2.5 cm2)의 시험 부위를 지정하여 시료를 각 부위에 10 μL/cm2 (25 μL)씩 도포하였다.
시료의 vehicle로는 하기 제조예 1의 표 10에서 실시예 3과 4의 혼합물을 제외한 세럼 제형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과 4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표 10의 조성으로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 및 4의 혼합물을 5 중량% 씩 첨가하여 세럼을 제조하였다.
시료를 도포하기 전 피부 표면 수분량(arbitrary unit, a.u.)을 측정한 후 시료를 각각 25 μL 씩 팔 전박부 지정한 시험부위에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도포한 후, 직후, 1시간, 3시간, 6시간, 9시간, 18시간, 24시간 간격으로 피부표면을 측정하였다. 단위는 수분 보유능(Water holding capacity, %)으로 나타내고 다음 식 1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최종 Water holding capacity (%)는 전체 피험자(10명)의 water holding capacity의 평균으로 계산하였다.
식 1
1명당 Water holding capacity (%)
= {(각 분당 5회 측정 평균 Corneometer value 값 - 시료적용 전 평균 Corneometer value 값)/ (시료적용 직후에 측정된 Corneometer value 값의 평균-시료적용 전 평균 Corneometer value 값)} × 100
피부 수분량(a.u.) 측정
<30 30-40 >40
Very dry dry Sufficiently moisturized
*a.u; arbitrary units
Time (HR) Vehicle(%) 실시예 3 포함 제형(%) 실시예 4 포함 제형 (%) 실시예 3 및 4 포함 제형 (%)
도포 직후 0.0 0.0 0.0 0.0
1시간 후 46.6 47.1 55.2 61.7
3 시간 후 31.0 32.3 44.4 50.4
6 시간 후 24.3 25.7 34.6 42.1
9 시간 후 19.7 20.6 32.5 37.4
18 시간 후 15.2 18.3 25.3 35.3
24 시간 후 12.2 17.1 20.1 32.1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 및 4 모두 vehicle 대비 피부 수분 보유량(Water holding capacity(%))을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4>4>3 순으로 수분 보유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3 및 4의 혼합물은 도포 후 즉시 관찰하였을 때, 가장 뛰어난 효능을 보여 피부 표면에 즉각적으로 많은 양의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촉촉한 피부로 개선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4시간이 지난 뒤에도 실시예 3,4 대비 그리고 vehicle 대비 2배 이상의 뛰어난 수분 공급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 및 4의 혼합물 모두 vehicle 대비 피부의 보습 지속성을 높여주고, 그 중 실시예 3 및 4의 혼합물이 가장 탁월한 보습 효능을 나타내 피부 건조증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4).
실험예 5. 경표피 수분손실량- TEWL (g/h/m 2 ), clinical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수분초 추출물, 실시예 4의 수분초 식물겔, 및 실시예 3의 수분초 추출물 및 실시예 4의 수분초 식물겔의 혼합물이 피부 표면 수분 손실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대상은 26 ~ 35 (29.1±2.64)의 피험자 10명 (여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 부위는 팔 전박 부위로 한정하였다. 환경조건은 실내온도 26
Figure pat00005
, 실내습도 66 %로 한정하였다. 시료는 10명의 피험자에 대해 동일한 핸드워시를 이용하여 팔의 전박 부위를 흐르는 물로 씻고 크리넥스로 닦아낸 후 20분 동안 외적환경에 적응하게 하였다. 또한 팔의 전박 부위에 일정한 크기(2.5 cm2)의 시험 부위를 지정하여 시료를 각 부위에 10 μL/cm2 (25 μL)씩 도포하였다.
시료의 vehicle로는 하기 제조예 1의 표 10에서 실시예 3 및 4 혼합물의 조성물을 제외한 세럼 제형을 사용하였고,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 및 4의 혼합물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형은 표 10의 조성으로 각 조성물을 5 중량% 씩 첨가하여 세럼을 제조하였다.
시료를 도포하기 전 경피 수분 손실량(TEWL)을 측정한 후 시료를 각각 25μL 씩 팔 전박부 지정한 시험부위에 완전히 흡수될 때까지 도포한 후, 3시간, 6시간, 9시간, 24시간 간격으로 피부표면을 측정하였다. 단위는 TEWL average value(g/h/m2)로 나타냈다.
경표피 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측정
TEWL-values g/h/m2 Interpretation help
0-10 Very healthy condition
10-15 Healthy condition
15-25 Normal condition
25-30 Strained skin
Above 30 Critical condition
*This table is only an approach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Time (hr) untreated vehicle 실시예3 포함 제형 실시예 4 포함 제형 실시예 3 및 4 포함 제형
baseline 8.06 7.93 7.66 7.88 7.81
After 3hr 7.53 7.51 6.14 6.06 6.35
Change rate(%) / -5.30 -19.84 -23.10 -18.69
After 6hr 7.62 7.21 6.59 5.88 5.80
Change rate(%) / -9.08 -13.97 -25.38 -25.74
After 9hr 7.58 7.02 5.91 6.73 5.51
Change rate(%) / -11.48 -22.85 -14.59 -29.45
After 24hr 7.76 7.01 5.89 6.51 5.31
Change rate(%) / -11.60 -23.11 -17.39 -32.01
실험 결과, vehicle 대비 실시예 3, 4, 및 실시예 3 및 4의 혼합물 모두 경피 수분 손실량을 낮춰 줌으로써 장벽 기능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은 도포 후 6시간 까지는 도포 후 3시간 보다 더 높은 TEWL 수치를 나타냈으나, 도포 후 9시간 이후부터는 더 낮은 TEWL수치를 나타냈다. 이는 도포 후 9시간 이후부터는 피부에 점차 투과되어 실험예 2,3결과와 같이 피부 장벽 강화 관련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더 낮은 TEWL 수치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4는 비록 본 발명에서 스크리닝 한 대표적인 장벽 관련 유전자에 대해서는 뚜렷한 효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gel 제형상 특징으로 인해 도포 즉시 피부 표면 hydrophilic film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내 천연 보습인자 합성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며(실험예 1), film막의 물리적인 특징으로 습윤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주는 보습 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 표면의 수분 손실을 낮춰 준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실시예 3 및 4의 혼합물은 피부 표면 hydrophilic film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피부 투과로 피부 장벽을 개선시켜 도포 후 점차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장 뛰어난 효능을 보였다. 실시예 3 및 4의 혼합물은 도포한지 24시간뒤, vehicle 대비 그리고 실시예 3, 4대비 가장 뛰어난 TEWL 개선율(32.01%)을 보임으로써 피부 표면 수분 손실을 막아주어 피부 건조증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5 및 도 6).
제조예
제조예 1 내지 3. 수분초 추출물과 수분초 식물겔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세럼의 제조 ( 가용화 타입 화장료 )
성분 중량(%)
Glycerin 10.0
Butylene Glycol 1.5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5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5
Sodium Hydoxide(20% Sol) 0.3
Water 81.6
실시예 3 및 4 5.0
1,2-Hexanediol 0.2
Ethylhexylglycerin 0.1
Phenoxyethanol 0.2
0.1
Total 100
제조예 2. 크림의 제조 (유화 타입 화장료 )
성분 중량(%)
Glycerin 8.0
Butylene Glycol 2.0
Carbomer 0.5
Hydroxethylcellulose 0.1
Sodium Hydoxide(20% Sol) 0.3
Water 71.3
실시예 3 및 4 5.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2.0
Glyceryl Stearate PEG-100 Stearate 2.0
Cyclopentasiloxane Cyclohexasiloxane 3.0
Caprylic-Capric Triglyceride 5.0
1,2-Hexanediol 0.3
Ethylhexylglycerin 0.1
Phenoxyethanol 0.3
0.1
Total 100
제조예 3 - 썬 크림의 제조 (분산 타입 화장료 )
성분 중량(%)
Glycerin 2.0
Butylene Glycol 5.0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5
Titanium Dioxide 3.2
Zinc Oxide 1.8
Sodium Hydoxide(20% Sol) 0.3
Water 60.4
실시예 3 및 4 5.0
1,2-Hexanediol 0.3
Ethylhexylglycerin 0.1
Phenoxyethanol 0.3
0.1
Ethylhexyl Methoxycinnamate 7.5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Benzoate 3.0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1.0
C12-15 Alkyl Benzoate 5.0
Cetearyl Olivate Sorbitan Olivate 3.5
Polyacrylate-1,3 polyisobutene Polysorbate 20Sorbitan isostearate 1.0
Total 100

Claims (10)

  1.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2.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초 겔은 산화된 미세분쇄(pulverized) 수분초 분말 및 잔량의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피부외용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초 겔은 상기 산화된 미세분쇄 수분초 분말을 0.01-20 %(w/v)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외용제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초 추출물은 수분초의 착즙액인, 피부외용제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초 추출물은 물 또는 유기용매 추출물인, 피부외용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또는 유기용매는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피부외용제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1:9 내지 9: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피부외용제 조성물.
  9.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손상에 의한 피부 질환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190123236A 2019-10-04 2019-10-04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KR10224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236A KR102247748B1 (ko) 2019-10-04 2019-10-04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236A KR102247748B1 (ko) 2019-10-04 2019-10-04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152A true KR20210041152A (ko) 2021-04-15
KR102247748B1 KR102247748B1 (ko) 2021-05-04

Family

ID=7544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236A KR102247748B1 (ko) 2019-10-04 2019-10-04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7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28B1 (ko) * 2021-04-22 2021-09-09 케이더블유케어 주식회사 보습 및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바디워시용 조성물
KR102470177B1 (ko) * 2022-09-16 2022-11-22 김경미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585A (ko) * 2005-08-19 2007-02-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돌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20100018139A (ko) 2008-08-06 2010-02-1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90008509A (ko) * 2017-07-16 2019-01-24 김영대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이 있는 식물성 자원의 개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1585A (ko) * 2005-08-19 2007-02-23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돌나물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조성물
KR20100018139A (ko) 2008-08-06 2010-02-17 한불화장품주식회사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90008509A (ko) * 2017-07-16 2019-01-24 김영대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이 있는 식물성 자원의 개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828B1 (ko) * 2021-04-22 2021-09-09 케이더블유케어 주식회사 보습 및 각질제거 효과가 우수한 저자극 바디워시용 조성물
KR102470177B1 (ko) * 2022-09-16 2022-11-22 김경미 미백 기능, 주름개선 기능 및 보습 기능을 가지는 토너 및 미스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748B1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23938A1 (en) Immunopotentiators
CN109833214B (zh) 一种温和水包油型pickering防晒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2247748B1 (ko) 수분초 겔 및 수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
JPH11263720A (ja) 抗老化剤
KR100953278B1 (ko) 항염 및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JPS5916816A (ja) 外用組成物
JP2002179529A (ja) 美白用の組成物
KR102263449B1 (ko) 고순도 발효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067718A (ja) カエデ科植物樹液のフェノール性化合物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90021083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5032A (ko) 꽃을 원료로 포함하는 겔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1039850A (ja) コラーゲンゲル収縮促進剤
KR101440844B1 (ko) 아마씨 점액 또는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522609B2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して成る皮膚外用剤
JP6807636B2 (ja) 外用組成物
KR101847720B1 (ko) 자초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2000096050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JP4653513B2 (ja) 皮膚外用剤
JPH11171784A (ja) 皮膚外用剤
JPS5913709A (ja) モイスチヤライザ−
JPH11106347A (ja) 免疫賦活剤
JPH1171295A (ja) 紫外線皮膚免疫機能低下防止用免疫賦活剤
JPH0825865B2 (ja) 皮膚老化予防用化粧品
JP2001253817A (ja) 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コラーゲン合成促進剤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