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015B1 -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015B1
KR102468015B1 KR1020200056833A KR20200056833A KR102468015B1 KR 102468015 B1 KR102468015 B1 KR 102468015B1 KR 1020200056833 A KR1020200056833 A KR 1020200056833A KR 20200056833 A KR20200056833 A KR 20200056833A KR 102468015 B1 KR102468015 B1 KR 102468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rotator
seating
supply devic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8878A (ko
Inventor
송준근
송경수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015B1/ko
Priority to CN202011529542.XA priority patent/CN113677181A/zh
Publication of KR20210138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2Feeding of components with orientation of th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품 공급장치에 수납되어 공급되되, 단자부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하방을 향하면서 제1 면이 상방으로 노출되게 수납되거나 상기 단자부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 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제2 면이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중 한면을 픽업하는 픽업부재; 상기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및 상기 부품 공급장치와 상기 기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픽업부재에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이 픽업된 경우, 픽업된 상기 부품이 안착되고 상기 제1 면이 상기 픽업부재를 향하도록 상기 부품을 90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having component rotat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트레이 수납된 부품을 픽업하여 기판에 장착 시, 부품의 수납 상태에 따라 부품의 다리가 기판을 향하게 위치될 수 있게 부품을 자동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레이, 스틱, 벌크 등의 부품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부품의 다리가 하방쪽(기판 방향)으로 공급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부품을 수납한 부품 공급장치의 포장, 운반의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부품의 다리가 측면 방향으로 공급되는 경우가 많다.
부품 공급장치에서 공급된 부품의 다리가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 방향을 향하도록 수납됨에 따라, 부픔은 부품 공급장치에 인쇄회로기판의 장착면에 90도 돌아간 상태로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부품 공급장치에서 픽업 장치를 통해 픽업된 부품은 다리가 측면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바로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할 수 없게 된다.
부품의 실장 상태에 따라 상기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을 향하여 다리가 실장된 부품들을 하나 하나 수작업으로 인쇄회로기판에 장착할 수밖에 없다.
또는,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을 향하여 90도 돌아가 있는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바로 장착할 수 있도록 부품 공급장치의 부품들의 다리가 하방을 향하도록 재포장한다. 이 경우, 90도 돌아가 있는 부품이 담긴 부품 공급장치와 별도로 새로운 부품 공급장치가 필요하며, 부품의 수납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별도 장비가 필요한다.
이와는 달리 부품을 픽업하는 헤드에서 피봇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피봇 기능이 있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며, 부품의 형상과 크기에 맞는 피봇 그리퍼가 필요하고, 회전 반경을 확보해야 하므로 헤드의 유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 방향으로 수납되어 공급되는 부품의 경우, 부품을 90도 회전시켜 부품의 다리가 인쇄회로기판을 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41838호(등록일:2015.07.29,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을 향하여 수납되어 공급된 부품을 90도 회전시켜줄 수 있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품의 회전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부품의 회전이 용이하며, 부품의 회전을 위한 회전 기기의 장비의 설치 비용이 저렴한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는,
부품 공급장치에 수납되어 공급되되, 단자부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하방을 향하면서 제1 면이 상방으로 노출되게 수납되거나 상기 단자부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 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제2 면이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중 한면을 픽업하는 픽업부재;
상기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및
상기 부품 공급장치와 상기 기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픽업부재에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이 픽업된 경우, 픽업된 상기 부품이 안착되고 상기 제1 면이 상기 픽업부재를 향하도록 상기 부품을 90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픽업부재에 픽업된 상기 부품의 흡착 상태를 확인하는 촬상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픽업부재의 구동 동작을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픽업부재에 픽업된 상기 부품의 흡착상태를 확인하는 보조 촬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동작과 상기 픽업부재의 구동 동작을 상기 제어부로 연동하기 위한 통신 부재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픽업부재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부품의 안착을 감지하며 상기 부품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부품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구성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에 이웃하고,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착면과 접촉되면서 상기 제1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부품을 안착하여 홀딩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로테이터의 안착면의 양측면 중 일측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닥면과 접철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안착면의 양측 중 다른 일측면은 상방을 향하여 노출되고,
상기 부품의 제1 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과 접철되면서 상기 부품의 제2 면은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유압식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방법은,
부품 공급장치에 제1 면 또는 상기 제1 면에 수직한 제2 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납된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
픽업부재의 노즐을 통해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납된 경우, 상기 픽업부재에 흡착된 상기 부품을 상기 회전부재에 릴리스하는 단계;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부품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픽업부재의 노즐을 통해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면이 흡착된 부품을 상기 기판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가 90도 회전되면,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은 측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부품의 단자부는 하방을 향할 수 있다.
상기 픽업부재에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이 흡착된 단계 이후,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구성된 촬상부재를 통해 상기 픽업부재가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의 흡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의 보조 촬상부재를 통해 상기 부품이 상기 회전부재에 안착되기 전 상기 픽업부재에 상기 부품의 흡착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의 픽업, 상기 부품의 회전 및 상기 부품의 안착을 위해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픽업부재는 통신부재를 통해 연동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은, 부품의 다리가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을 향하게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도, 부품 회전기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부품을 90도 회전시킬 수 있어, 부품 실장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생산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은, 픽업된 부품을 로테이터에 안착시키고, 안착된 부품이 로테이터의 회전에따라 회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회전 기기의 구조나 구성이 심플하며, 장비 단가도 저렴해질 수 있음은 물론 부품을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 확보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부품 공급장치에 수납된 부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회전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회전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회전부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부품의 회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개략적인 동작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에서, 추가 촬영부재에 구비한 전체 동작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실장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자부품 실장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서, 부품 공급장치(20)에 수납된 부품(1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는 부품 공급장치(20), 부품(110)과, 픽업부재(120), 기판(130) 및 회전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나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는 이와 더불어 후술하는 통신부재(160), 센서부재(149)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20)는 복수의 부품(110)들이 수납된 구성물이며, 복수의 부품(110)을 기판(130)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기판(130)은 부품 공급장치(20)에 수납되어 공급되는 구성으로 기판(13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기판(130)은 그 일면으로 단자부(110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130)은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수납되는데, 상기 기판(130)에 실장되기 위해서는 상기 단자부(110a)가 상기 기판(130)을 향하여, 즉 하방을 향하여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기판(130)들은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수납될 때, 후술하는 픽업부재(120)의 픽업 및 기판(130)에 실장을 위해 단자부(110a)가 하방을 향하도록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부품(110)들을 수납한 상기 부품 공급장치(20)는 크기나 이송 및 이송 시 단자의 파손 등을 고려하여, 상기 부품(110)들은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측면으로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품(110)의 단자부(110a)가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의 일 측면을 향하도록 수납되어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품(110)의 단자부(110a)가 측면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픽업부재(120)에 픽업될 수 있어, 상기 부품(110)의 단자부(110a)의 위치를 하방으로 바꿔줄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와 상기 기판(130) 사이에는 후술하는 회전부재(140)가 구비되어 상기 부품(110)의 픽업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부품(110)의 단자부(110a)의 실장면과 대향한 면을 제1 면(111)이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제1 면(111)에 이웃하여 상기 단자부(110a)의 실장면과 상기 제1 면(111) 사이에 위치된 면을 제2 면(112)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면(111)과 상기 제2 면(112)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품(110)이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수납 시, 단자부(110a)가 하방을 향하게 되면,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서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1 면(111)이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110)이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수납 시, 단자부(110a)가 측면을 향하게 되면,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서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2 면(112)이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수납된 상기 부품(110)의 수납 상태에 따라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1 면(111) 또는 상기 제2 면(112) 중 한 면을 픽업할 수 있다. 상기 부품(110)이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제1 면(111)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납되어 있다면,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부품(110)의 제1 면(111)을 픽업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부품(110)이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제2 면(112)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납되어 있다면,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부품(110)의 제2 면(112)을 픽업하게 된다.
상기 픽업부재(120)에서 픽업된 상기 부품(110)은 상기 픽업부재(120)의 이동으로 이동되고, 기판(13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부품(110)의 단자부(110a)가 상기 기판(130)을 향하도록, 즉, 하방을 향하도록 픽업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부품(110)의 제1 면(111)이 상기 픽업부재(120)에 픽업되었다면,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기 부품(110)을 상기 기판(130)으로 이송시켜 상기 기판(130)에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픽업부재(120)가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서 상기 부품(110)의 제2 면(112)을 픽업하는 경우, 상기 부품(110)은 상기 단자부(110a)가 기판(130)을 향할 수 있도록 픽업 위치를 변경해주어야 한다.
이에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와 상기 기판(130) 사이에는 상기 부품(110)의 단자부(110a)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서, 회전부재(1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서, 회전부재(140)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서, 회전부재(14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재(140)는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와 상기 기판(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40)는 상기 부품(110)을 안착한 후, 90도 회전하여 상기 부품(110)의 상방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업부재(120)에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2 면(112)이 픽업된 경우,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기 회전부재(140) 상에 위치된 후, 상기 제2 면(112)을 픽업한 상태의 상기 부품(110)을 상기 회전부재(14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부품(110)은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2 면(112)이 상방을 향한 상태로 상기 회전부재(140)에 안착된 후, 상기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다. 이에 따라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1 면(111)이 상방으로 놓여 상기 픽업부재(120)를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40)는 베이스 플레이트(141), 로테이터(142), 지지부재(143) 및 구동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1)는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와 상기 기판(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상방으로 후술하는 지지부재(143) 및 로테이터(142)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1)의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1)를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 탈부착할 수 있는 결합 베이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40)는 필요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40)가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서 탈부착될 수 있어, 상기 부품(110)의 크기나 형상에 대응하여 변경되어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로테이터(142)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1)에서 제1 축(142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142)는 상기 부품(110)이 안착되는 안착면(142a)과, 상기 안착면(142a)에 대향하는 베이스면(142b) 및 상기 로테이터(142)의 회전 전 상태에서 후술하는 지지부재(143)와 대면하는 제1 측면(142c)과 상기 제1 측면(142c)에 대향하는 제2 측면(142d)을 각각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142x)은 상기 제1 측면(142c)의 단부와 상기 베이스면(142b)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로테이터(142)의 회전의 중심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로테이터(142)가 상기 제1 축(142x)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로테이터(142)의 안착면(142a)의 양측면 중 일측면(상기 제1 측면(142c))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1)의 바닥면과 접철될 수 있고, 상기 로테이터(142)의 안착면(142a)의 양측 중 다른 일측면(상기 제2 측면(142d))은 상방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42a)은 상기 로테이터(142)의 회전에 따라 회전 전에는 상방에 위치되고, 회전후에는 후술하는 지지부재(143)와 대면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142a)에는 그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부품(110)이 안착되어 홀딩될 수 있는 안착홈(1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421)은 상기 로테이터(142)의 일측면에서 타측면 즉, 상기 제1 측면(142c)에서 상기 제2 측면(142d)까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홈(1421)은 상기 부품(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110)의 형상이 다양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안착홈(1421)의 양 측에 형성된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안착홈(1421)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도록 가변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변부재가 볼트와 같은 부재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142)에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부재가 상기 로테이터(142)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안착홈(1421)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홈(1421)에 실장되는 상기 부품(11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착홈(1421)에 상기 부품(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안착홈(1421)은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43)는 상기 로테이터(142)에 이웃하여 상기 로테이터(142)의 제1 측면(142c)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43)는 상기 로테이터(1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착면(142a)과 접촉되고, 상기 안착홈(1421)에 안착된 상기 부품(110)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45)는 상기 로테이터(142)의 회전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145)는 유압식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동부(145)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제1 축(142x)을 중심으로 상기 로테이터(14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서, 부품(110)의 회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는 촬상부재(150), 제어부(190), 통신부재(160) 및 센서부재(14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상부재(150)는 상기 회전부재(140)와 상기 기판(1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상부재(150)는 상기 부품 공급장치(20) 또는 상기 회전부재(140)에서 상기 제1 면(111)이 픽업된 상기 부품(110)의 흡착 상태, 상기 부품(110)의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부(110a)의 위치 등을 확인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상부재(150)는 업워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재(160)는 상기 회전부재(140)의 회전 동작과 상기 픽업부재(120)의 구동 동작을 상기 제어부(190)로 연동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부품(110)의 회전으로 픽업 가능한 형태를 가지기 위한 작업 시간의 필요하다. 상기 통신부재(160)는 상기의 최적의 시간을 얻기 위해, 더불어 상기 픽업부재(120)와의 간섭 또는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140)의 구동 동작 및 상기 픽업부재(120)의 구동 동작 간의 통신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재(149)는 상기 회전부재(14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픽업부재(120)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부품(110)의 안착을 감지하며 상기 부품(11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재(149)는 상기 회전부재(140)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위치센서일 수도 있고, 상기 픽업부재(120)의 근접을 검출하는 근접센서일 수도 잇으며, 상기 부품(110)의 안착을 검출할 수 잇는 가압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회전부재(140) 및 상기 픽업부재(120)의 구동 동작을 상기 통신부재(160)의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센서부재(149)의 검출을 전달받아 이에 따른 상기 회전부재(140)의 구동 및 상기 픽업부재(12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 및 이의 개략적인 동작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부품 실장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부품 실장장치(10)는 먼저 부품 공급장치(20)가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픽업부재(120)를 통해 부품(110)을 픽업할 수 있다. 상기 픽업부재(120)에 픽업된 부품(110)의 상태에 따라, 예컨대 상기 픽업부재(120)가 상기 부품(110)의 제2 면(112)을 픽업하게 되면, 상기 제1 면(111)으로 재 픽업되기 위해 상기 부품(110)은 상기 회전부재(14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40), 구체적으로 상기 로테이터(142)의 안착홈(1421)에 상기 부품(110)이 놓이고,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기 부품(110)을 상기 회전부재(140)에 안착시킨 후 흡착상태를 해제하고 상승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2 면(112)이 상방을 향한 상태에서, 상기 로테이터(142)는 상기 제1 축(142x)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로테이터(142)의 회전으로 상기 로테이터(142)의 상기 제1 측면(142c)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41)의 바닥면과 접철된다. 또한, 상기 로테이터(142)의 상기 제2 측면(142d)은 상방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면(142a)은 상기 지지부재(143)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2 면(112)은 상기 지지부재(143)의 일면에 접촉하면서 안착홈(1421)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테이터(142)의 90도 회전으로 상기 부품(110)의 제1 면(111)은 상방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픽업부재(120)는 회전되어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부품(110)의 제1 면(111)을 픽업한다. 이에 따라 상기 부품(110)은 상기 부품(110)의 단자부(110a)가 기판(130)을 향한 상태로 픽업될 수 있고, 상기 기판(130)의 설정위치에 안착되어 장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서, 추가 촬영부재에 구비한 전체 동작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와 상기 회전부재(140) 사이에 보조 촬상부재(18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촬상부재(180)를 통해, 상기 픽업부재(120)에 픽업된 상기 부품(110)의 흡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 9에서 설명한 동작에서,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의 픽업 후 상기 회전부재(140)에 상기 부품(110)이 안착되기 전, 상기 보조 촬상부재(180)를 통해 상기 부품(110)의 픽업 상태를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촬상부재(180)는 업워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실장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실장방법은, 부품 제공 단계, 1차 흡착 단계(S10), 릴리스 단계(S20), 회전 단계(S30), 2차 흡착 단계(S40) 및 장착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제1 면(111) 또는 상기 제1 면(111)에 수직한 제2 면(112)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납된 부품(110)이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부품 공급장치(20)가 상기 전자부품 실장장치(10)에 공급된 후,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기 부품 공급장치(20)로 이동되어 노즐(121)을 통해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1 면(111) 또는 상기 제2 면(112)을 흡착한다(S10).
상기 부품(110)의 제1 면(111)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납된 경우,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기 부품(110)의 제1 면(111)을 픽업한다. 또한, 상기 부품(110)의 제2 면(112)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납된 경우,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기 부품(110)의 제2 면(112)을 픽업한다(1차 흡착).
상기 픽업부재(120)가 상기 부품(110)의 제1 면(111)을 픽업하면, 상기 단자부(110a)는 상기 기판(130)을 향하여 위치됨에 따라 상기 부품(110)의 회전 단계는 필요치 않게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기 부품(110)은 상기 픽업부재(120)에 제1 면(111)이 픽업된 상태에서, 상기 촬상부재(150) 측으로 이송되어 부품(110)의 흡착 상태를 촬상한 후 상기 기판(130)에 장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부품(110)의 제2 면(112)이 상방을 향하도록 상기 부품 공급장치(20)에 수납된 경우, 상기 부품(110)은 상기 제1 면(111)이 상기 픽업부재(120)에 픽업될 수 있도록 위치 변경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픽업부재(120)에 상기 제2 면(112)이 흡착된 상기 부품(110)은 상기 픽업부재(120)에서 릴리스되고, 상기 회전부재(140)에 안착된다(S20).
상기 부품(110)은 상기 로테이터(142)의 안착면(142a)에 안착 홀딩되고, 상기 회전부재(140)는 상기 안착면(142a)의 홀딩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140)는 제1 축(142x)을 중심으로 회전된다(S30). 상기 회전부재(140)가 90도 회전되면, 상기 부품(110)은 상기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함께 90도 회전하여 상기 제1 면(111)이 상방을 향하도록 위치된다(S30). 또한, 상기 회전부재(140)가 90도 회전되면, 상기 부품(110)의 상기 제2 면(112)은 측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부품(110)의 단자부(110a)는 하방을 향하게 된다.
상기 픽업부재(120)는 회전된 상기 회전부재(140) 측으로 이동되고, 상방으로 노출된 상기 부품(110)의 제1 면(111)을 흡착한다(2차 흡착, S40).
상기 픽업부재(120)는 상기 회전부재(140)와 상기 기판(130) 사이에 구성된 촬상부재(150) 측으로 이송되고, 상기 촬상부재(150)는 상기 픽업부재(120)에 흡착된 상기 부품(110)의 흡착 상태, 상기 단자부(110a)의 위치 등을 확인하게 된다(S45). 상기 촬상부재(150)에 의해 흡착 상태 및 단자부(110a)의 위치 등이 확인된 부품(110)은 상기 기판(130)상으로 이송되고, 장착될 수 있다(S50).
상기 픽업부재(120)가 상기의 부품 공급장치(20)에서 상기 부품(110)의 픽업 후 상기 회전부재(140)로 이송 전, 상기 픽업부재(120)에 흡착된 상기 부품(110)의 흡착 상태나 단자부(110a)의 위치는 보조 촬상부재(180)에 의해 추가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S15).
상기의 각 단계에 따른 상기 부품(110)의 픽업, 상기 부품(110)의 회전 및 상기 부품(110)의 안착을 위해 상기 회전부재(140)와 상기 픽업부재(120)는 통신부재(160)를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전자부품 실장장치
20: 부품 공급장치
110: 부품
110a: 단자부
111: 제1 면
112: 제2 면
120: 픽업부재
121: 노즐
130: 기판
140: 회전부재
141: 베이스 플레이트
142: 로테이터
142a: 안착면
142b: 베이스면
142c: 제1 측면
142d: 제2 측면
1421: 안착홈
143: 지지부재
145: 구동부
149: 센서부재
150: 촬상부재
160: 통신부재
180: 보조 촬상부재
190: 제어부

Claims (14)

  1. 부품 공급장치에 수납되어 공급되되, 단자부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하방을 향하면서 제1 면이 상방으로 노출되게 수납되거나 상기 단자부가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 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제1 면에 수직한 제2 면이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수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 중 한면을 픽업하는 픽업부재;
    상기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및
    상기 부품 공급장치와 상기 기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픽업부재에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이 픽업된 경우, 픽업된 상기 부품이 안착되고 상기 제1 면이 상기 픽업부재를 향하도록 상기 부품을 90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테이터를 구비하되, 상기 로테이터의 일면에서 상기 로테이터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부품을 안착하여 홀딩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안착면을 구성하는 로테이터;
    상기 안착홈의 양측으로 돌출된 돌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로테이터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안착홈의 크기를 가변 가능하게 하는 가변부재;
    상기 로테이터에 이웃하고,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착면과 접촉되어 상기 부품의 지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과 접촉되어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으로 상기 부품의 단자부는 상기 부품 공급장치의 하방을 향하며,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 전에 상방에 위치된 상기 안착면과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안착면과 함께 상방으로 노출되는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픽업부재에 픽업된 상기 부품의 흡착 상태를 확인하는 촬상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 및 상기 픽업부재의 구동 동작을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픽업부재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부품의 안착을 감지하며 상기 부품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재가 더 구성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테이터가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상기 로테이터의 안착면의 양측면 중 일측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바닥면과 접철되며, 상기 로테이터의 안착면의 양측 중 다른 일측면은 상방을 향하여 노출되고,
    상기 부품의 제1 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과 접철되면서 상기 부품의 제2 면은 상방으로 노출되는, 전자부품 실장장치.
  9. 삭제
  10. 부품 공급장치에 제1 면 또는 상기 제1 면에 수직한 제2 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납된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
    픽업부재의 노즐을 통해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 또는 상기 제2 면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수납된 경우, 상기 픽업부재에 흡착된 상기 부품을 상기 부품 공급장치와 상기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 사이에 위치된 회전부재에 릴리스하는 단계;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이 상방을 향하며, 상기 부품의 단자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부품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픽업부재의 노즐을 통해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을 흡착하는 단계;
    상기 제1 면이 흡착된 부품을 상기 기판 상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부품을 릴리스하는 단계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로테이터의 일면인 안착면에서 인입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홀딩되며,
    상기 안착홈의 크기는 상기 부품의 크기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홈의 양측면에 돌출된 돌기 중 적어도 하나는 가변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로테이터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안착홈의 크기를 조절하며,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부품을 위치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로테이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로테이터에 이웃하며 상기 부품의 지지 공간을 형성한 지지부재의 일면에 상기 안착면과,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이 접촉되어 상기 부품의 단자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전자부품 실장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가 90도 회전되면, 상기 부품의 상기 제2 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면과 접촉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부품의 단자부는 하방을 향하는, 전자부품 실장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부재에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이 흡착된 단계 이후,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기판 사이에 구성된 촬상부재는 상기 픽업부재의 상기 부품의 상기 제1 면의 흡착 상태를 촬상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부품 실장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200056833A 2020-05-13 2020-05-13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 KR102468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833A KR102468015B1 (ko) 2020-05-13 2020-05-13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
CN202011529542.XA CN113677181A (zh) 2020-05-13 2020-12-22 电子元件贴装装置及其贴装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833A KR102468015B1 (ko) 2020-05-13 2020-05-13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78A KR20210138878A (ko) 2021-11-22
KR102468015B1 true KR102468015B1 (ko) 2022-11-16

Family

ID=7853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833A KR102468015B1 (ko) 2020-05-13 2020-05-13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8015B1 (ko)
CN (1) CN113677181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676A (ja) * 2003-04-21 2004-11-11 Wanotekku Japan:Kk 水晶発振器用または水晶濾波器用リッドの表裏判別・供給装置
JP2015216175A (ja) * 2014-05-08 2015-12-03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18174168A (ja) * 2017-03-31 2018-1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搭載方法及び部品搭載装置
KR101938322B1 (ko) * 2018-09-06 2019-04-11 주식회사 라온기술 고정 장치 및 공작 기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1838B1 (ko) 2014-04-18 2015-08-05 주식회사 다인이엔지 부품 자세 보정 기능을 갖는 보울 피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0676A (ja) * 2003-04-21 2004-11-11 Wanotekku Japan:Kk 水晶発振器用または水晶濾波器用リッドの表裏判別・供給装置
JP2015216175A (ja) * 2014-05-08 2015-12-03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装置
JP2018174168A (ja) * 2017-03-31 2018-11-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搭載方法及び部品搭載装置
KR101938322B1 (ko) * 2018-09-06 2019-04-11 주식회사 라온기술 고정 장치 및 공작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878A (ko) 2021-11-22
CN113677181A (zh) 2021-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838B1 (ko) 전자부품 실장 방법 및 이를 채택한 부품 실장기
JP6535096B2 (ja) 実装ヘッド、及び表面実装機
JP6961044B1 (ja) 搬送用保持具の自動交換機構
JP2006269794A (ja) ノズル交換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
JP2002050898A (ja) 配線板支持装置の自動段取替え装置、配線板保持装置の自動段取替え装置および配線板支持装置のセット方法
TWI438856B (zh) Assembly device for wafer loading device
KR102468015B1 (ko) 전자부품 실장장치 및 이의 실장방법
WO2016135909A1 (ja) 部品供給装置、および装着機
JP5974302B2 (ja) 電子部品の圧着装置及び電子部品の圧着方法
KR101126756B1 (ko)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KR102208102B1 (ko) 부품 실장 장치 및 기판의 유지 방법
JP4738504B2 (ja) ヘッド・スタック・アセンブリ組み込み装置、磁気ディスク装置製造装置、磁気ディスク装置製造方法
JP2010003728A (ja) 表面実装装置
JP2010157657A (ja) パレット自動交換装置
JP4783689B2 (ja) 部品実装装置
KR100651810B1 (ko) 부품실장방법 및 이를 채택한 부품 실장기
CN220254776U (zh) 防护结构及生产线
JPH1075095A (ja) 電子部品自動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の吸着方法
WO2019150439A1 (ja) 部品実装装置
JP4910692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6570437B2 (ja) ロータリーヘッド、部品実装装置、及び、表面実装機
JP6529442B2 (ja) 保持部駆動ユニット設定方法、制御装置、部品実装装置、及び、表面実装機
JPH10267619A (ja) 電子部品の位置認識装置
JP4180748B2 (ja) 部品の装着装置
JP2010177487A (ja) パレット自動交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