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782B1 -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782B1
KR102467782B1 KR1020200129963A KR20200129963A KR102467782B1 KR 102467782 B1 KR102467782 B1 KR 102467782B1 KR 1020200129963 A KR1020200129963 A KR 1020200129963A KR 20200129963 A KR20200129963 A KR 20200129963A KR 102467782 B1 KR102467782 B1 KR 102467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sin material
supply
supplied
t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587A (ko
Inventor
사토시 나카오
잇페이 기타
겐타 시카타
슌스케 사사키
šœ스케 사사키
Original Assignee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토와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5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04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motion of a material which is continuously fed to a working station in a stepwise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2Dispensing from vessels, e.g. h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 B29C31/06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in measured doses, e.g. by weigh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4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 B29C2043/3405Feeding the material to the mould or the compression means using carr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17/00Carriers for sound or information
    • B29L2017/006Memory cards, chip 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25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 재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수지 수용부와, 수지 재료를 하나의 공급 대상물에 공급하는 복수의 수지 공급부와, 상기 수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수지 재료를 복수의 상기 수지 공급부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구비하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

Description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RESIN MATERIAL SUPPLY DEVICE, RESIN MOLD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ESIN MOLDED PRODUCT}
본 발명은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공급 대상물인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에 대하여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수지 재료 공급 장치는, 수지 재료를 보유 지지하는 수지 재료 보유 지지부와, 수지 재료 보유 지지부에 보유 지지된 수지 재료를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에 공급하는 트로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지 재료 공급 장치에 의하여 수지 재료 이송 트레이에 공급된 수지 재료는 또한, 성형 형의 캐비티에 이송되어 수지 성형품의 제조에 사용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8-065335호 공보
근년, 수지 성형품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성형 형에 대한 수지 재료의 공급에 요하는 시간이 길어져, 수지 성형품의 제조의 효율의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그래서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지만, 특허문헌 1에는 그와 같은 과제나, 그 과제의 해결 수단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재료 공급 장치는,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수지 수용부와, 수지 재료를 하나의 공급 대상물에 공급하는 복수의 수지 공급부와, 상기 수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수지 재료를 복수의 상기 수지 공급부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성형 장치는, 상기 수지 재료 공급 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지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수지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성형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평면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재료 공급 장치가 수지 공급 모듈에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수지 재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5의 (a)는 전환 부재가 우측 공급 자세로 전환된 상태의 분배기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b)는 전환 부재가 좌측 공급 자세로 전환된 상태의 분배기를 도시한 정면 단면도.
도 6은 소형 트레이, 대형 트레이 및 확산판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
도 7은 소형 트레이 및 대형 트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의 (a)는 소형 트레이에 대한 트로프의 이동 궤적을 도시한 평면도. (b)는 소형 트레이의 절반에 수지 재료가 공급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c)는 소형 트레이가 반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d)는 소형 트레이의 전역에 수지 재료가 공급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각 회 보정 제어 및 최종 보정 제어에 의하여 수지 재료를 공급한 결과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 중의 화살표 U, 화살표 D, 화살표 F, 화살표 B, 화살표 L 및 화살표 R로 나타낸 방향을, 각각 상 방향, 하 방향, 전 방향, 후 방향, 좌 방향 및 우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을 행한다.
먼저, 도 1을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성형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지 성형 장치(1)는, 반도체 칩 등의 전자 부품을 수지 밀봉하여 수지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비티 내의 수지 재료를 압축하여 성형하는 압축 성형 방식(컴프레션 방식)을 채용한 수지 성형 장치(1)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과립상의 수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지만, 수지 재료로서는, 과립상의 것뿐 아니라, 분말상이나 액상 등 임의의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지 성형 장치(1)는 구성 요소로서 기판 반입 반출 모듈(10), 기판 전달 모듈(20), 성형 모듈(30), 수지 공급 모듈(40) 및 제어부(50)를 구비한다. 각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하여 착탈 가능 및 교환 가능하다.
기판 반입 반출 모듈(10)은, 전자 부품을 장착한 기판 P를 반입함과 함께, 전자 부품이 수지 밀봉된 기판 P를 반출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교적 대형인 기판 P를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판 P는, 1변이 450㎜ 이상, 500㎜ 이상, 또는 600㎜ 이상인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된다. 기판 반입 반출 모듈(10)은 주로 반입부(11), 반출부(12), 검사부(13) 및 암 기구(14)를 구비한다.
반입부(11)는, 수지 밀봉되어 있지 않은 기판 P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반출부(12)는, 수지 밀봉된 기판 P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반입부(11) 및 반출부(12)는 각각 기판 P를 복수 수용할 수 있다.
검사부(13)는, 수지 밀봉된 기판 P의 검사를 행하는 부분이다. 검사부(13)는, 수지 밀봉된 기판 P를 적재하는 적재부, 기판 P를 검사하는 검사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한다.
암 기구(14)는, 기판 P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암 기구(14)는, 기판 P를 흡착하는 흡착 핸드부(14a), 흡착 핸드부(14a)가 설치되는 암부(14b), 암부(14b)를 적절히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거나 하는 구동부(14c) 등을 구비한다.
기판 전달 모듈(20)은, 기판 반입 반출 모듈(10)과 후술하는 성형 모듈(30) 사이에서 기판 P의 전달을 행하는 부분이다. 기판 전달 모듈(20)은 주로 로더(21) 및 언로더(22)를 구비한다.
로더(21)는, 수지 밀봉되어 있지 않은 기판 P를 암 기구(14)로부터 수취하여 후술하는 성형 모듈(30)의 성형 형(31)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언로더(22)는, 수지 밀봉된 기판 P를 후술하는 성형 형(31)으로부터 수취하여 기판 반입 반출 모듈(10)로 반송하는 것이다. 로더(21) 및 언로더(22)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L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로더(21)와 언로더(22)는 일체적으로 이동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성형 모듈(30)은, 후술하는 수지 공급 모듈(40)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기판 P에 장착된 전자 부품을 수지 밀봉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성형 모듈(30)은 2개 나란히 배치된다. 2개의 성형 모듈(30)에 의하여 기판 P의 수지 밀봉을 병행하여 행함으로써 수지 성형품의 제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성형 모듈(30)은 주로 성형 형(31), 형 체결 기구(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한다.
성형 형(31)은, 용융된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기판 P에 대하여 압축 성형하는 것이다. 성형 형(31)은 상하 1쌍의 형(상형 및 하형)을 구비한다. 하형에는, 수지 재료가 수용되는 오목형 캐비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또한 성형 형(31)에는, 수지 재료를 용융시키기 위한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된다.
수지 공급 모듈(40)은, 성형 모듈(30)의 성형 형(3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수지 공급 모듈(40)은 주로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 소형 트레이(41),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 대형 트레이(43) 및 대형 트레이 반송 기구(44)를 구비한다.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는, 후술하는 소형 트레이(4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는 좌우로 나란하게 2개 마련된다. 2개의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에 의하여, 병행하여 2개의 소형 트레이(4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소형 트레이(41)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로부터 수취한 수지 재료를 후술하는 대형 트레이(43)에 공급하는 것이다. 소형 트레이(41)는 상면에 수지 재료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소형 트레이(41)는, 평면으로 본 크기가, 후술하는 대형 트레이(43)의 크기의 4분의 1 정도로 되도록 형성된다.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는, 소형 트레이(41)를 적당한 위치로 반송하는 것이다.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와 대형 트레이(43) 사이에서 소형 트레이(41)를 왕복시키도록 반송할 수 있다.
대형 트레이(43)는, 소형 트레이(41)로부터 수취한 수지 재료를 성형 모듈(30)의 성형 형(31)에 공급하는 것이다. 대형 트레이(43)는 상면에 수지 재료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대형 트레이(43)는, 성형 형(31)의 캐비티의 평면 형상에 대응한 평면 형상(예를 들어 직사각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대형 트레이 반송 기구(44)는, 대형 트레이(43)를 적당한 위치로 반송하는 것이다. 대형 트레이 반송 기구(44)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 L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소형 트레이(41)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대상물 및 수지 반송 부재의 일 실시 형태이다. 소형 트레이(41) 및 대형 트레이(43)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어부(50)는, 수지 성형 장치(1)의 각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부(50)에 의하여 기판 반입 반출 모듈(10), 기판 전달 모듈(20), 성형 모듈(30) 및 수지 공급 모듈(40)의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부(50)를 사용하여 각 모듈의 동작을 임의로 변경(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지 성형 장치(1)의 동작(수지 성형품의 성형 방법)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반입부(11)에 배치된, 수지 밀봉되어 있지 않은 기판 P가, 암 기구(14)에 의하여 로더(21)로 반송된다.
다음으로, 로더(21)가 레일 L을 따라 이동하여 기판 P를 한쪽 성형 모듈(30)로 반송한다. 성형 모듈(30)로 반송된 기판 P는 성형 형(31)의 상형에 흡착되어 보유 지지된다.
다음으로, 성형 형(31)의 하형을 덮도록 이형 필름이 배치된다.
다음으로, 수지 공급 모듈(40)로부터 성형 모듈(30)의 성형 형(31)에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여기서, 수지 공급 모듈(40)에서는, 미리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재료가 소형 트레이(41)를 개재하여 대형 트레이(43)에 공급되어 있다. 소형 트레이(41)는 대형 트레이(43)의 4분의 1 정도의 크기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총 4개의 소형 트레이(41)에 의하여 대형 트레이(43) 전체에 대략 균일하게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대형 트레이 반송 기구(44)가 레일 L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지 재료를 보유 지지한 대형 트레이(43)가 성형 모듈(30)의 성형 형(31)까지 반송된다. 그 후, 대형 트레이(43)의 수지 재료가 성형 형(31)(하형)의 캐비티에 공급된다. 대형 트레이 반송 기구(44)는 성형 형(3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한 후, 수지 공급 모듈(40)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성형 형(31)의 히터에 의하여 수지 재료가 용융된다. 그 후, 상기 형 체결 기구에 의하여 하형과 상형이 서로 접근되어(형 체결되어), 기판 P의 전자 부품이 수지 재료에 침지된다. 이 상태에서 수지 재료에 적절히 압력이 가해진다. 이 상태에서 수지 재료가 경화됨으로써, 전자 부품이 수지 밀봉된 기판 P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형 체결 기구에 의하여 하형과 상형이 서로 떨어진다(형 개방됨). 또한 언로더(22)가 레일 L을 따라 이동하여, 전자 부품이 수지 밀봉된 기판 P를 성형 형(31)으로부터 수취한다. 이때, 언로더(22)와 함께 이동해 온 로더(21)에 의하여, 새로운 기판 P를 성형 형(31)에 배치할 수 있다. 그 후, 언로더(22)는 레일 L을 따라 이동하여 기판 전달 모듈(20)로 되돌아간다.
다음으로, 언로더(22)에 보유 지지된 기판 P가 암 기구(14)에 의하여 검사부(13)로 반송된다. 검사부(13)에 있어서, 전자 부품이 수지 밀봉된 기판 P의 검사가 행해진다.
다음으로, 검사가 종료된 기판 P가 암 기구(14)에 의하여 반출부(12)로 반송된다. 반출부(12)에 배치된 기판 P는 외부로 적절히 반출된다.
이상과 같이, 기판 P에 장착된 전자 부품을 수지 밀봉함으로써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설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1)에서는, 2개 마련된 성형 모듈(30)에 의하여 기판 P의 수지 밀봉을 병행하여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쪽 성형 모듈(30)에 의하여 수지 밀봉(수지 재료의 용융이나, 기판 P로의 압박 등)이 행해지고 있을 때, 다른 한쪽 성형 모듈(30)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거나, 기판 P의 수지 밀봉을 행하거나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수지 성형품(전자 부품이 수지 밀봉된 기판 P)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사용하여 수지 공급 모듈(40)의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는, 수지 공급 모듈(40)의 하우징(40a) 내에 좌우로 2개 나란하게 마련된다. 2개의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는, 좌우 대략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서로 대략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한쪽(우측)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다른 쪽(좌측)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는 주로 스토커(110), 제1 진동부(120), 트로프(130), 제2 진동부(140), 중량계(150) 및 분배기(160)를 구비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있어서는, 스토커(110) 및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를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스토커(110)는, 수지 재료를 수용하여 후술하는 트로프(130)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스토커(11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수용부의 일 실시 형태이다. 스토커(110)는 주로 수용부(111) 및 공급부(112)를 구비한다.
수용부(111)는,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수용부(111)는, 내부에 수지 재료를 수용 가능하게 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수용부(111)의 상부에는, 수지 재료를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111)에는 적당한 타이밍에 수지 재료가 공급(보충)된다.
공급부(112)는, 수용부(111)에 수용된 수지 재료를 후술하는 트로프(130)에 공급하는 부분이다. 공급부(112)는, 내부를 수지 재료가 이동 가능해지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공급부(112)는, 수용부(111)의 일 측면의 하부로부터 후술하는 분배기(160)의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공급부(112)의 선단부(좌단부) 근방에는, 공급부(112)의 내부의 수지 재료를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공급구(112a)가 마련된다.
제1 진동부(120)는, 스토커(110)로부터 수지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진동부(120)는 스토커(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스토커(11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1 진동부(120)는 스토커(110)를 진동시킴으로써, 수용부(111) 내의 수지 재료를 공급부(112)로 이동시켜 공급구(112a)로부터 하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트로프(130)는, 수지 재료를 수용하여 소형 트레이(41)에 공급하는 것이다. 또한 트로프(13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지 공급부의 일 실시 형태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로프(130)는, 스토커(110)의 하방에 있어서 좌우로 2개 나열되도록(평면으로 보아 스토커(110)의 공급구(112a)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의 위치에) 배치된다. 트로프(130)는 주로 수용부(131) 및 공급부(132)를 구비한다.
수용부(131)는,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수용부(131)는, 내부에 수지 재료를 수용 가능하게 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수용부(131)의 상부에는, 수지 재료를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개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부(132)는, 수용부(131)에 수용된 수지 재료를 소형 트레이(41)에 공급하는 부분이다. 공급부(132)는, 내부를 수지 재료가 이동 가능해지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공급부(132)는, 수용부(131)의 일 측면의 하부로부터 일 방향(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공급부(132)의 선단부(후단부) 근방에는, 공급부(132)의 내부의 수지 재료를 하방으로 배출하기 위한 공급구(132a)가 마련된다.
또한 2개의 트로프(130)는, 하나의 소형 트레이(41)에 대하여 동시에 수지 재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서로 어느 정도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트로프(130)(특히 공급구(132a))는, 좌우 방향의 간격이 소형 트레이(41)의 좌우 폭의 약 2분의 1로 되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제2 진동부(140)는, 트로프(130)로부터 수지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진동부(140)는 트로프(130)의 하부에 마련되어 트로프(1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2 진동부(140)는 트로프(130)를 진동시킴으로써, 수용부(131) 내의 수지 재료를 공급부(132)에 이동시켜 공급구(132a)로부터 하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중량계(150)는,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중량계(150)는 제2 진동부(140)의 하부에 마련되어 트로프(130) 및 제2 진동부(140)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트로프(130) 및 제2 진동부(140)의 중량은 기지이기 때문에, 중량계(150)의 측정값으로부터 트로프(130) 및 제2 진동부(140)의 중량을 뺌으로써,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제2 진동부(140) 및 중량계(150)는 2개의 트로프(130) 각각에 마련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분배기(160)는, 스토커(110)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재료를 2개의 트로프(130)에 분배하기 위한 것이다. 분배기(160)는 스토커(110)의 공급구(112a)의 하방에 배치된다. 분배기(160)는 주로 하우징(161), 안내부(162), 전환 부재(163) 및 액추에이터(164)를 구비한다.
하우징(161)은, 후술하는 안내부(162) 및 전환 부재(163)를 수용하는 것이다. 하우징(161)은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61)은, 내부에 안내부(162) 및 전환 부재(163)를 수용 가능하게 되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61)의 상면에는, 상방(스토커(110))으로부터 공급되는 수지 재료가 하우징(161)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상부 개구부(161a)가 형성된다. 하우징(161)의 저면에는, 하우징(161)의 내부의 수지 재료가 하방(트로프(130))으로 유출되기 위한 저부 개구부(161b)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하는 안내부(162)는, 하우징(161)에 공급된 수지 재료를 2개의 트로프(130)로 안내하는 부분이다. 안내부(162)는, 정면으로 보아 좌우 대칭의 사다리꼴형(등변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된다. 안내부(162)는, 상면으로부터 우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제1 안내면(162a)과, 상면으로부터 좌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제2 안내면(162b)을 구비한다. 안내부(162)는 하우징(161)의 하부의 좌우 중앙부에 마련된다. 안내부(162)에 의하여 저부 개구부(161b)의 좌우 중앙부가 막혀서 저부 개구부(161b)는 좌우로 나뉜다.
전환 부재(163)는, 하우징(161)에 공급된 수지 재료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는 부분이다. 전환 부재(163)는 주로 안내판(163a) 및 요동축(163b)을 구비한다.
안내판(163a)은, 수지 재료를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부재이다. 안내판(163a)은, 하우징(161)의 전후 폭과 대략 동일한 전후 폭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요동축(163b)은, 안내판(163a)의 요동 중심으로 되는 부재이다. 요동축(163b)은, 긴 쪽 방향을 전후를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요동축(163b)은 안내판(163a)의 저면의 좌우 중앙부에 고정된다.
전환 부재(163)는 안내부(162)의 상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전환 부재(163)는 안내부(162)의 상면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안내부(162)의 상면(수평인 면)에 진애(수지 재료의 분말 등)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액추에이터(164)는, 전환 부재(163)를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다. 액추에이터(164)로서는, 출력축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서보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164)는 하우징(161)의 전면에 고정된다. 액추에이터(164)는 전환 부재(163)의 요동축(163b)에 연결된다. 액추에이터(164)는 요동축(163b)을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안내판(163a)의 경사 각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추에이터(164)는 요동축(163b)을, 정면으로 보아 시계 방향으로 적당한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안내판(163a)를 좌상방으로부터 우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자세(우하향의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도 5의 (a) 참조). 이 상태에서는, 상부 개구부(161a)로부터 하우징(161) 내에 공급된 수지 재료는, 안내판(163a) 상을 우하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져 안내부(162)의 제1 안내면(162a)으로 안내된다. 제1 안내면(162a)으로 안내된 수지 재료는, 다시 제1 안내면(162a) 상을 우하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져 저부 개구부(161b)의 우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된다. 저부 개구부(161b)의 우단부로부터 배출된 수지 재료는 우측의 트로프(130)(도 3 참조)에 공급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 전환 부재(163)의 자세를 「우측 공급 자세」라 칭한다.
또한 액추에이터(164)는 요동축(163b)을, 정면으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적당한 각도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안내판(163a)를 우상방으로부터 좌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자세(좌하향의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도 5의 (b) 참조). 이 상태에서는, 상부 개구부(161a)로부터 하우징(161) 내에 공급된 수지 재료는, 안내판(163a) 상을 좌하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져 안내부(162)의 제2 안내면(162b)으로 안내된다. 제2 안내면(162b)으로 안내된 수지 재료는, 다시 제2 안내면(162b) 상을 좌하방으로 미끄러져 떨어져 저부 개구부(161b)의 좌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된다. 저부 개구부(161b)의 좌단부로부터 배출된 수지 재료는 좌측의 트로프(130)(도 3 참조)에 공급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 전환 부재(163)의 자세를 「좌측 공급 자세」라 칭한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사용하여,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로부터 수취한 수지 재료를 성형 모듈(30)에 공급하는 소형 트레이(41) 및 대형 트레이(43)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각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도면이며, 도시한 각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실제의 위치 관계와 다른 것이다. 또한 도 6 및 도 7 이외의 도면에서는, 소형 트레이(41)의 형상을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소형 트레이(41)는 주로 수지 보유 지지부(41a) 및 셔터(41b)를 구비한다.
수지 보유 지지부(41a)는, 수지 재료를 보유 지지하는 부분이다. 수지 보유 지지부(41a)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수지 보유 지지부(41a)에는, 좌우로 연장되는 슬릿(41c)이 전후로 복수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셔터(41b)는,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슬릿(41c)을 하방으로부터 폐색 가능한 부분이다. 셔터(41b)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된다. 셔터(41b)에는,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슬릿(41c)과 대응하도록 슬릿(41d)이 형성되어 있다. 즉, 셔터(41b)의 슬릿(41d)은 좌우로 연장되도록, 또한 전후로 복수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41b)의 슬릿(41d)의 전후의 간격은,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슬릿(41c)의 전후의 간격과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셔터(41b)는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바로 하방에 배치된다. 셔터(41b)는, 도시하지 않은 이동 기구에 의하여 수지 보유 지지부(41a)에 대하여 전후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41b)의 슬릿(41d)이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슬릿(41c)과 상하로 대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슬릿(41c)은 셔터(41b)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 폐색된다. 이 상태에서는, 소형 트레이(41)의 상면(구체적으로는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슬릿(41c) 내)에 수지 재료를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41b)를 이동시켜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슬릿(41c)과 셔터(41b)의 슬릿(41d)을 대향시킴으로써,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슬릿(41c) 내에 보유 지지된 수지 재료를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소형 트레이(41)로부터 배출된 수지 재료는 후술하는 대형 트레이(43)의 수용부(43b)에 공급된다.
대형 트레이(43)는 주로 프레임 부재(43a) 및 수용부(43b)를 구비한다.
프레임 부재(43a)는, 수용부(43b)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프레임 부재(43a)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정사각형의 프레임형으로 형성된다. 즉, 프레임 부재(43a)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중앙부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43b)는,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수용부(43b)는, 대략 원기둥형으로 형성된다. 수용부(43b)는, 긴 쪽 방향을 좌우를 향하게 하여 프레임 부재(43a)의 내측(개구 부분)에 배치된다. 수용부(43b)의 좌우 양단부는 프레임 부재(43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용부(43b)의 측면에는, 수지 재료를 수용 가능한 홈(43c)이 형성된다. 홈(43c)은 수용부(43b)의 긴 쪽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수용부(43b)는 전후로 복수 나란하게 마련된다. 인접하는 수용부(43b)끼리의 전후의 간격(피치)은, 소형 트레이(41)의 슬릿(41c)의 전후의 간격(피치)과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43b)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하여 프레임 부재(43a)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43b)의 홈(43c)이 상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 홈(43c)의 내부에 수지 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43b)를 회동시켜 홈(43c)를 하방을 향하게 함으로써, 홈(43c) 내에 수용된 수지 재료를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소형 트레이(41)의 슬릿(41c)의 좌우의 길이는, 대형 트레이(43)의 수용부(43b)(홈(43c))의 좌우의 길이의 약 절반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형 트레이(41)의 슬릿(41c)의 개수는, 대형 트레이(43)의 수용부(43b)의 개수의 반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소형 트레이(41)의, 평면으로 본 크기는, 대형 트레이(43)의 크기의 4분의 1 정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소형 트레이(41)를 사용하여 대형 트레이(43)의 수용부(43b) 전체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총 4개의 소형 트레이(41)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의 동작(스토커(110)로부터 트로프(130)를 개재하여 소형 트레이(4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기 위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량계(150)에 의하여,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이 소정값을 하회한 것이 검출된 경우, 제어부(50)에 의하여 제1 진동부(120) 및 분배기(160)의 동작이 제어되어, 트로프(130)에 대하여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2개의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이 어느 쪽도 소정값을 하회한 경우, 액추에이터(164)가 제어되어, 전환 부재(163)의 자세가 우측 공급 자세 또는 좌측 공급 자세 중 어느 한쪽(예를 들어 도 5 (a)에 도시하는 우측 공급 자세)으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진동부(120)가 작동되어 스토커(110)의 공급구(112a)로부터 수지 재료가 배출된다. 이 수지 재료는 상부 개구부(161a)를 통하여 분배기(160)의 하우징(161) 내에 공급된다. 또한 이 수지 재료는 안내판(163a) 및 안내부(162)(제1 안내면(162a))에 의하여 안내되어 우측의 트로프(130)에 공급된다.
중량계(150)에 의하여, 우측의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이 소정값을 상회한 것이 검출되면, 제1 진동부(120)가 정지되어, 스토커(110)로부터 분배기(160)로의 수지 재료의 공급이 정지된다. 그 후, 액추에이터(164)가 제어되어, 전환 부재(163)의 자세가 우측 공급 자세 또는 좌측 공급 자세 중 어느 다른 한쪽(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하는 좌측 공급 자세)으로 전환된다. 또한 제어의 간략화를 위하여, 제1 진동부(120)를 작동시킨 채(정지시키는 일 없이) 전환 부재(163)의 자세를 전환해도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제1 진동부(120)가 작동되어, 스토커(110)의 공급구(112a)로부터 수지 재료가 배출된다. 이 수지 재료는 상부 개구부(161a)를 통하여 분배기(160)의 하우징(161) 내에 공급된다. 또한 이 수지 재료는 안내판(163a) 및 안내부(162)(제2 안내면(162b))에 의하여 안내되어,좌측의 트로프(130)에 공급된다.
중량계(150)에 의하여, 좌측의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이 소정값을 상회한 것이 검출되면, 제1 진동부(120)가 정지되어, 스토커(110)로부터 분배기(160)로의 수지 재료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이 소정값을 하회하면, 스토커(110) 내에 수용된 수지 재료가 자동적으로 트로프(130)에 공급된다. 이것에 의하여 트로프(130) 내에는 소정값 이상의 중량의 수지 재료가 상시 수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2개의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이 어느 쪽도 소정값을 하회한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을 행하였지만, 어느 한쪽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만이 소정값을 하회한 경우에도, 그 트로프(130)에 대하여 대략 마찬가지로 수지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즉, 우측의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이 소정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전환 부재(163)의 자세가 우측 공급 자세(도 5의 (a) 참조)로 전환된 상태에서 스토커(110)로부터 분배기(160)로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또한 좌측의 트로프(130)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 재료의 중량이 소정값을 하회한 경우에는, 전환 부재(163)의 자세가 좌측 공급 자세(도 5의 (b) 참조)로 전환된 상태에서 스토커(110)로부터 분배기(160)로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좌우의 트로프(130)에 수용된 수지 재료는 적당한 타이밍에 소형 트레이(41)에 공급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 트레이(4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경우,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도 1 참조)에 의하여, 수지 재료가 공급되기 전의 소형 트레이(41)가 2개의 트로프(130)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2개의 트로프(130)의 공급구(132a)가 소정의 개시 위치 S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소형 트레이(41)의 위치가 조절된다.
다음으로, 제2 진동부(140)가 작동되어, 2개의 트로프(130)의 공급구(132a)의 각각으로부터 소형 트레이(41)로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트로프(130)로부터 소형 트레이(41)로 공급되는 수지 재료의 유속(단위 시간당 공급 중량)은 대략 일정해지도록 제2 진동부(140)의 동작이 제어된다.
또한 제2 진동부(140)의 작동과 동시에, 소형 트레이(41)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에 의하여 소형 트레이(41)가 전후 및 좌우로 적절히 이동된다.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는, 2개의 트로프(130)의 공급구(132a)가 소형 트레이(41)의 절반(앞 절반)의 영역을 통과하도록 소형 트레이(41)를 이동시킨다. 또한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는, 2개의 트로프(130)의 공급구(132a)가 최종적으로 개시 위치 S 바로 위로 되돌아가도록 소형 트레이(41)를 이동시킨다. 도 8의 (a)에는, 2개의 트로프(130)의, 소형 트레이(41)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 궤적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2개의 트로프(130)의 공급구(132a)가 개시 위치 S 바로 위로 되돌아가면, 제2 진동부(140)가 정지되어, 트로프(130)로부터 소형 트레이(41)로의 수지 재료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형 트레이(41)의 절반(앞 절반)의 영역에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도 8의 (b) 참조). 도 8에서는, 수지 재료가 공급된 영역을 그물 표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트로프(130)에 의한 1회의 수지 재료의 공급(제2 진동부(140)가 작동되고 나서 정지되기까지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 의하여 소형 트레이(41)에 공급되는 수지 재료의 중량은, 미리 설정된 목표값(목표 공급량)으로 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진동부(140) 및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목표 공급량의 수지 재료가 소형 트레이(41)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에 의하여 소형 트레이(41)의 전후의 방향이 반전되어(도 8의 (c) 참조), 소형 트레이(41)의 수지 재료가 공급되고 있지 않은 나머지 절반의 영역에 2개의 트로프(130)로부터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도 8의 (d) 참조). 이 경우에도,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동 궤적을 따라 소형 트레이(41)를 이동시키면서 트로프(130)로부터 소형 트레이(41)로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하나의 소형 트레이(41)에 대하여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경우, 소형 트레이(41)의 전후의 방향을 반전시켜 2회에 나누어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2개)의 트로프(130)를 사용하여 하나의 소형 트레이(4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소형 트레이(41)로의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트로프(130)를 복수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트로프(130)를 사용하여 소형 트레이(41)로의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하는 경우, 트로프(130)로부터 소형 트레이(41)로 공급되는 수지 재료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트로프(130)의 대형화가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수지 재료의 공급량의 제어의 정밀도(예를 들어 중량계(150)의 측정 정밀도나, 트로프(130)에 의한 수지 재료의 유속의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는 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트로프(130)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트로프(130)의 대형화나, 수지 재료의 공급량의 제어의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공급 모듈(40)에 2개의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를 마련하고 있다(도 1 및 도 2 참조). 이것에 의하여 2개의 소형 트레이(41)에 대하여 병행하여 수지 재료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대형 트레이(43) 및 성형 형(31)으로의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수지 성형 장치(1)에 의한 수지 성형품의 제조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소형 트레이(41)에 공급된 수지 재료는, 대형 트레이(43)를 개재하여 성형 형(31)의 캐비티에 공급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지 재료를 보유 지지한 소형 트레이(41)는, 소형 트레이 반송 기구(42)에 의하여 대형 트레이(43)의 상방으로 이동된다(도 6 참조). 그 후, 소형 트레이(41)의 셔터(41b)를 수지 보유 지지부(41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지 보유 지지부(41a)의 슬릿(41c)이 개방되어, 소형 트레이(41)로부터 대형 트레이(43)로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대형 트레이(43)에 공급된 수지 재료는 수용부(43b)의 홈(43c) 내에 수용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형 트레이(41)는 대형 트레이(43)의 크기의 4분의 1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보아, 대형 트레이(43)를 4등분한 4개의 영역(도 7의 2점 쇄선 참조) 각각에 대하여 소형 트레이(41)로부터의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즉, 대형 트레이(43)에는, 총 4개의 소형 트레이(41)로부터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수지 재료를 수용한 대형 트레이(43)는 대형 트레이 반송 기구(44)에 의하여 성형 모듈(30)의 성형 형(31)의 상방까지 반송된다. 그 후, 대형 트레이(43)의 수용부(43b)가 상하 반전되어, 대형 트레이(43)로부터 성형 형(31)의 캐비티로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
이때, 대형 트레이(43)와 성형 형(31)의 캐비티 사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확산판(31a)이 배치된다. 확산판(31a)에는 복수의 관통 구멍이 마련된다. 또한 확산판(31a)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하여 진동할 수 있다. 대형 트레이(43)로부터 낙하한 수지 재료는, 진동하는 확산판(31a)에 의하여 확산된다. 이것에 의하여 성형 형(31)의 캐비티 내의 수지 재료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에 의한 수지 공급량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제어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는, 2개의 트로프(130)를 사용하여 하나의 소형 트레이(4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도 8 참조). 또한 수지 성형 장치(1)는, 2개의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를 구비하는 것이다(도 2 참조).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성형 장치(1)는, 4개의 트로프(130)를 사용하여 2개의 소형 트레이(41)에 동시에 수지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형 트레이(43)에는 총 4개의 소형 트레이(41)로부터 수지 재료가 공급된다(도 7 참조). 또한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는, 2회에 나누어 소형 트레이(4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도 8 참조).
이들을 통합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하나의 대형 트레이(43)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경우, 4개의 트로프(130)(도 9에 있어서는 4개의 트로프(130)를 구별하기 위하여 트로프 (1) 내지 (4)로 표기하고 있음)는 수지 재료를 소형 트레이(41)에 각각 4회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트로프(130)를 사용하여 복수 회의 수지 재료의 공급을 행하면, 수지 재료의 공급량의 오차가 누적되어, 대형 트레이(43)에 공급되는 수지 재료의 총 공급량이 목표값(목표 총 공급량)과 크게 달라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지 재료의 총 공급량의 오차를 작게 억제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하, 도 9를 사용하여 이 제어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에서 나타낸 수치는, 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하여 편의상 설정한 값이며, 실제로 본 제어를 행할 때의 값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는, 트로프(130)로부터 소형 트레이(41)로 공급되는 수지 재료의 중량의 목표값과, 실제로 공급된 수지 재료의 중량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는, 목표값으로서, 각 트로프(130)에 1회째로부터 4회째까지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 있어서의 목표 공급량과, 4개의 트로프(130)에 의한 4회의 수지 공급에 의하여 공급되는 수지 재료의 목표 총 중량(하나의 대형 트레이(43)에 공급해야 할 수지 재료의 중량의 목표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목표값의 아래의 난에 실제의 수지 재료의 공급량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예에서는, 4개의 트로프(130)에 의한 4회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 의하여 합계 160.0g의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에 의하여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경우, 먼저, 소형 트레이(41)에 공급하는 수지 재료의 목표값(목표 공급량)이 설정된다. 1회당 수지 재료의 공급의 목표값은, 목표 총 공급량(160.0g)을 트로프(130)에 의한 수지 공급의 총 횟수로 나눔으로써 결정된다. 본 예에서는, 4개의 트로프(130)가 각 4회 수지 재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트로프(130)에 의한 수지 재료의 총 횟수는 16회로 된다. 따라서 각 트로프(130)에 1회당 목표 공급량은 10.0g으로 된다.
다음으로, 실제로 1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이 행해진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회 목표 공급량(10.0g)에 따라 트로프(130)로부터 소형 트레이(41)로 수지 재료를 공급한 결과, 트로프 (1)과 트로프 (2)에서 목표 공급량에 대하여 오차가 생기고 있다(제1회 공급량 참조).
그래서 제2회 목표 공급량은, 1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서 생긴 오차를 상쇄하는 값으로 보정된다. 예를 들어 트로프 (1)에 의한 1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서는 +0.1g의 오차가 생기고 있다. 그래서 제2회 목표 공급량으로서, 최초에 산출된 목표 공급량(10.0g)으로부터 0.1g를 감산한 값(즉, 9.9g)이 설정된다. 2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 의하여 제2회 목표 공급량(9.9g)의 수지 재료를 공급할 수 있으면, 1회째와 2회째의 공급량의 평균이 10.0g으로 된다. 즉, 1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서 생긴 오차를 상쇄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트로프 (2)에 대해서도 제2회 목표 공급량이 10.2g으로 보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실제로 2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이 행해진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회 목표 공급량에 따라 트로프(130)로부터 소형 트레이(41)로 수지 재료를 공급한 결과, 트로프 (1)과 트로프 (2)에서 목표 공급량에 대하여 오차가 생기고 있다(제2회 공급량 참조).
그래서 제3회 목표 공급량은, 제2회 목표 공급량과 마찬가지로, 2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서 생긴 오차를 상쇄하는 값으로 보정된다. 예를 들어 트로프 (1)에 의한 2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서는 +0.2g의 오차가 생기고 있다. 그래서 제3회 목표 공급량으로서, 최초에 산출된 목표 공급량(10.0g)으로부터 0.2g를 감산한 값(즉, 9.8g)이 설정된다. 3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 의하여 제3회 목표 공급량(9.8g)의 수지 재료를 공급할 수 있으면, 1회째로부터 3회째까지의 공급량의 평균이 10.0g으로 된다. 즉, 1회째 및 2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서 생긴 오차를 상쇄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트로프 (2)에 대해서도 제3회 목표 공급량이 10.2g으로 보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4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 대해서도, 2회째 및 3회째와 마찬가지로 적절히 목표 공급량의 보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2회째 이후의 각 회의 수지 재료의 공급 시에, 각 트로프(130)에 의한 수지 재료의 목표 공급량을 보정하는 제어(이하, 이 제어를 「각 회 보정 제어」라 칭함)를 행함으로써, 목표 총 공급량에 대한 오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최후(4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에 있어서, 어느 트로프(130)(도 9의 예에서는 트로프 (4))를 사용하여 오차를 더 작게 억제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각 회 보정 제어를 행하였다고 하더라도, 실제의 공급량에는 오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최후(4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을 행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트로프(130)(본 예에서는 트로프 (4))에 의한 수지 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오차를 상쇄하는 제어를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후(4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을 행하는 경우, 트로프 (4)에 의한 수지 재료의 공급 완료를, 그 외의 트로프 (1) 내지 (3)에 의한 수지 재료의 공급 완료보다도 늦춘다. 그리고 트로프 (1) 내지 (3)에 의한 실제의 수지 재료의 공급량을 파악한 후에, 1회째로부터 4회째까지의 수지 재료의 총 공급량이 목표 총 공급량(160.0g)으로 되도록 트로프 (4)에 의한 수지 재료의 공급량이 조절된다. 도 9의 예에서는, 목표 공급량(10.0g)이 설정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트로프 (4)에 의한 4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량이 10.4g으로 조절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최후(4회째)의 수지 재료의 공급을 행할 때, 적어도 하나의 트로프(130)에 의한 수지 재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이하, 이 제어를 「최종 보정 제어」라 칭함)를 행함으로써, 목표 총 공급량에 대한 오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예에서는, 두 번의 제어(각 회 보정 제어와 최종 보정 제어)에 의하여 오차를 억제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어느 한쪽 제어만을 행해도 된다. 또한 오차를 허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반드시 각 회 보정 제어 및 최종 보정 제어를 행하지는 않아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는,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수지 수용부(스토커(110))와,
수지 재료를 하나의 공급 대상물(소형 트레이(41))에 공급하는 복수의 수지 공급부(트로프(130))와,
상기 수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수지 재료를 복수의 상기 수지 공급부에 분배하는 분배기(160)
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트로프(130)에 의하여 소형 트레이(41)에 수지 재료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소형 트레이(41)로의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트로프(130)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트로프(130)를 대형화하거나 트로프(130) 단체(單體)의 수지 재료의 유속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지 재료의 공급량의 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160)는, 복수의 상기 수지 공급부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된 상기 수지 공급부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 공급부(트로프(130))에 공급되는 수지 재료의 양을 관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트로프(130)로 통합하여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로 수지 재료를 공급함으로써, 각 트로프(130)에 적합한 양의 수지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160)는, 상기 수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수지 재료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부재(163)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간소한 구성으로 수지 재료의 분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160)는, 상기 전환 부재(163)의 경사를 전환하는 액추에이터(164)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 재료의 공급 방향의 전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배기(160)는, 수지 재료를 상기 수지 공급부(트로프(130))로 안내하는 안내부(162)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 재료를 수지 공급부에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경사면(제1 안내면(162a) 및 제2 안내면(162b))을 사용하여, 자중에 의하여 낙하하는 수지 재료를 2개의 수지 공급부(트로프(130))로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수지 재료를 트로프(130)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대상물은, 수지 재료를 반송하는 수지 반송 부재(소형 트레이(41))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 재료의 반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성형 장치(1)는, 상기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수지 성형품의 제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성형 장치(1)는, 상기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를 복수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수지 성형품의 제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 수지 성형 장치(1)를 사용하여 수지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지 재료의 공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수반하여 수지 성형품의 제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당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컴프레션 방식의 수지 성형 장치(1)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예를 들어 용융된 수지를 캐비티 내로 이송하여 경화시키는 트랜스퍼 방식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지 성형 장치(1)에 사용한 구성 요소(기판 반입 반출 모듈(10) 등)는 일례이며, 적절히 착탈이나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판 반입 반출 모듈(10)을 마련하지 않고 기판 P의 반입 반출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직사각형 판형의 기판 P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원형판형 등)의 기판 P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가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대상(공급 대상물)으로서, 수지 재료를 반송하는 소형 트레이(41)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급 대상물은, 수지 재료를 반송하는 그 외의 수지 반송 부재(예를 들어 대형 트레이(43) 등)여도 된다. 또한 공급 대상물은, 수지 반송 부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급 대상물은 성형 형(31)의 캐비티나 그 외의 부재, 용기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소형 트레이(41) 및 대형 트레이(43)의 구성은 일례이며, 수지 재료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한 적절한 구성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배기(160)의 액추에이터(164)로서 서보 모터를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다양한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64)로서 에어 실린더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액추에이터(164)를 사용하여 전환 부재(163)를 동작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164)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전환 부재(163)를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판형의 전환 부재(163)(안내판(163a))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전환 부재(163)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환 부재(163)는, 수지 재료의 공급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예를 들어 적절한 입체적 형상(다각 형상)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분배기(160)는, 택일적으로 선택된 트로프(130)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분배기(160)는 복수의 트로프(130)에 대하여 동시에(병행하여)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트로프(130)(수지 공급부)를 구비하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의 트로프(130)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지 성형 장치(1)는, 2개의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수지 재료 공급 장치(100)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일의 제어부(50)에 의하여 각 모듈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50)를 복수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를 모듈마다 또는 장치마다 마련하고, 각 모듈 등의 동작을 서로 연동시키면서 개별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41: 소형 트레이
43: 대형 트레이
100: 수지 재료 공급 장치
110: 스토커
120: 제1 진동부
130: 트로프
140: 제2 진동부
150: 중량계
160: 분배기
162: 안내부
163: 전환 부재
164: 액추에이터

Claims (9)

  1.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수지 수용부와,
    수지 재료를 하나의 공급 대상물에 공급하는 복수의 수지 공급부와,
    상기 수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수지 재료를 복수의 상기 수지 공급부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수지 공급부의 공급구를 하나의 상기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동시에 이동시켜서, 상기 분배기에 의해 분배된 수지 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수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수지 재료를 해당 수지 공급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상면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지 재료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부재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복수의 상기 수지 공급부로부터 택일적으로 선택된 상기 수지 공급부에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수지 재료를 소정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과, 상기 안내판의 요동 중심에 배치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요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요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요동축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안내판이 기울어지는 방향을 전환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구비하는, 수지 재료 공급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대상물은, 수지 재료를 반송하는 수지 반송 부재인,
    수지 재료 공급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기재된 수지 재료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수지 성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재료 공급 장치를 복수 구비하는,
    수지 성형 장치.
  8. 제7항에 기재된 수지 성형 장치를 사용하여 수지 성형품을 제조하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이며,
    반입부로부터 반송된 수지 밀봉 전 기판을 성형 모듈로 반송하는 공정과,
    상기 수지 밀봉 전 기판이 반송된 상기 성형 모듈에 상기 수지 재료 공급 장치에 의해 수지 재료를 공급하는 공정과,
    공급된 상기 수지 재료를 용융하여 압축한 후, 상기 수지 재료를 경화시켜 수지 성형품을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 재료 공급 장치는,
    수지 재료를 수용하는 수지 수용부와,
    수지 재료를 하나의 공급 대상물에 공급하는 복수의 수지 공급부와,
    상기 수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수지 재료를 복수의 상기 수지 공급부에 분배하는 분배기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수지 공급부의 공급구를 하나의 상기 공급 대상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동시에 이동시켜서, 상기 분배기에 의해 분배된 수지 재료를 공급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수지 수용부로부터 공급된 수지 재료를 해당 수지 공급부로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상면을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수지 재료의 공급 방향을 전환하는 전환 부재를 포함하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9. 삭제
KR1020200129963A 2019-11-07 2020-10-08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2467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01994A JP6861779B1 (ja) 2019-11-07 2019-11-07 樹脂材料供給装置、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JP-P-2019-201994 2019-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587A KR20210055587A (ko) 2021-05-17
KR102467782B1 true KR102467782B1 (ko) 2022-11-16

Family

ID=7552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963A KR102467782B1 (ko) 2019-11-07 2020-10-08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61779B1 (ko)
KR (1) KR102467782B1 (ko)
CN (1) CN112776241B (ko)
TW (1) TWI737500B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8252A (ja) * 1997-08-05 1999-02-23 Kobe Steel Ltd 密閉式混練機の材料投入装置及び材料投入方法
JP4372923B2 (ja) * 1999-12-09 2009-11-25 Towa株式会社 樹脂タブレット供給装置
JP5681815B2 (ja) * 2011-12-01 2015-03-11 大阪エヌ・イー・ディー・マシナリー株式会社 個体計数装置
JP5792681B2 (ja) * 2012-06-20 2015-10-14 Towa株式会社 樹脂供給方法、樹脂供給装置及び圧縮成形装置
JP6104787B2 (ja) * 2013-12-18 2017-03-29 Towa株式会社 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方法
JP6298871B1 (ja) * 2016-10-21 2018-03-20 Towa株式会社 樹脂材料供給装置、樹脂材料供給方法、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製造方法
JP6349376B2 (ja) * 2016-12-07 2018-06-27 Towa株式会社 圧縮成形装置の樹脂材料供給装置及び方法、並びに圧縮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製造方法
CN108638498A (zh) * 2017-08-12 2018-10-12 张玲玲 多图案的一次性立体成型打印机
TWI787411B (zh) * 2018-02-16 2022-12-21 日商山田尖端科技股份有限公司 樹脂模製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37500B (zh) 2021-08-21
KR20210055587A (ko) 2021-05-17
TW202118610A (zh) 2021-05-16
CN112776241A (zh) 2021-05-11
CN112776241B (zh) 2023-06-13
JP6861779B1 (ja) 2021-04-21
JP2021074921A (ja)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30252B (zh) 树脂密封装置
KR101741390B1 (ko) 압축 성형 장치의 수지 재료 공급 방법 및 공급 기구, 및 압축 성형 방법 및 압축 성형 장치
CN106042247B (zh) 树脂模制装置
TWI787411B (zh) 樹脂模製裝置
KR102074404B1 (ko)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재료 공급 방법,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JP2019145550A (ja) 樹脂モールド装置及び樹脂モールド方法
KR102467782B1 (ko)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KR102007566B1 (ko) 수지 재료 공급 장치, 수지 재료 공급 방법,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 제조 방법
JP6861776B1 (ja) 樹脂供給機構、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CN113927787A (zh) 树脂材料供给装置、树脂成形装置及树脂成形品的制法
TWI841290B (zh) 樹脂成形裝置、及樹脂成形品之製造方法
WO2023228462A1 (ja) 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2587525B1 (ko) 수지 공급 방법,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및 수지 성형 장치
JP7465843B2 (ja) 樹脂成形装置、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6270969B2 (ja) 圧縮成形装置の樹脂材料供給方法及び供給機構、並びに圧縮成形方法及び圧縮成形装置
TW202208143A (zh) 樹脂成型裝置及樹脂成型品之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