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603B1 -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603B1
KR102467603B1 KR1020220036379A KR20220036379A KR102467603B1 KR 102467603 B1 KR102467603 B1 KR 102467603B1 KR 1020220036379 A KR1020220036379 A KR 1020220036379A KR 20220036379 A KR20220036379 A KR 20220036379A KR 102467603 B1 KR102467603 B1 KR 102467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disposed
hook
uni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제헌
허형택
이용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이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이천
Priority to KR1020220036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7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involving moving the probe head or the IC under test;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89Interfaces, e.g. between probe and tes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로서, 상기 클램프는,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부와, 상기 커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부와,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푸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와 연결되는 핀부 및 상기 축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후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수축시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상기 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가 상하이동하여 상기 핀부가 상기 제2 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후크부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촉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Apparatus for testing display panel}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핀 보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중 하나이다. 핀 보드는 패널의 픽셀에 에러없이 정상 작동하는지 검사한다. 핀 보드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는 상부가 개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러한 수용공간에 안착된다. 안착부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은 연성회로기판(FPCB)을 통해 핀 보드의 다른 구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3504호(2014.07.16. 공고)에는 핀 보드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핀 보드가 작동하면, 안착부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흔들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부에서 들리면서 디스플레이 패널에 스크래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0473504호(2014.07.16. 공고)
본 발명은 테스트를 진행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로서, 상기 클램프는,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후크부와, 상기 커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부와, 상기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푸쉬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후크부와 연결되는 핀부 및 상기 축부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와 상기 후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수축시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상기 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후크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가 상하이동하여 상기 핀부가 상기 제2 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후크부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접촉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핀부 및 상기 축부와 결합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접촉면이 배치된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부는 상기 후크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쉬부가 하향이동하고 하향하는 상기 푸쉬부에 의해 상기 핀부가 눌려서 상기 후크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경사면에 눌려서 복원력을 갖도록 탄성변형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된 제1 후크부와 제2 후크부를 포함하고,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핀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핀부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상기 커버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의 상면은 상기 커버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부와 상기 핀부는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푸쉬부는 좌우방향으로 상기 핀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은 곡면이고, 상기 제2 면은 곡면일 수 있다.
실시예는, 안착부에 배치된 클램프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여, 테스트 과정 중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푸쉬부를 누르는 과정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후크부의 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정 또는 해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실시예는, 제1 후크부와 제2 후크부가 핀부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여러 지점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으며, 균형있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의 안착부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클램프의 분해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후크부와, 푸쉬부와, 핀부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후크부와, 푸쉬부와, 핀부와, 탄성부재의 정면도,
도 7은 후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3에서 도시한 후크부와, 푸쉬부와, 핀부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커버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푸쉬부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푸쉬부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푸쉬부가 눌린 상태에서, 푸쉬부와 탄성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핀 보드의 접촉부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 테스트의 정확성과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는 핀 보드의 접촉부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고자 안출된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의 안착부에 디스플레이 패널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서, x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의 좌우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의 전후방향을 나타내며, z축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의 상하방향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안착부(10)에 디스플레이 패널(1)이 안착된다.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는 안착부(10)에 배치되는 클램프(2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20)는 안착부(10)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안착부(10)에는 연성회로기판(F)이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20)는 안착부(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2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클램프(20)가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마주보고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20)의 위치 및 개수는 디스플레이 패널(1)의 크기 또는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클램프(2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클램프(20)의 분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클램프(20)는, 커버(100)와, 후크부(200)와, 푸쉬부(300)와, 핀부(400)와, 탄성부재(500)와 축부(AX)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0)는 클램프(20)의 외형을 형성한다. 커버(10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후크부(200)는 커버(100)에 배치된다. 후크부(200)는 축부(AX)와 핀부(400)에 각각 결합된다. 후크부(200)는 안착부(10)에 안착된 디스플레이 패널(1)의 상면과 접촉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후크부(20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우방향(x)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후크부(200A)와 제2 후크부(200B)가 마련될 수 있다.
푸쉬부(300)는 커버(100)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푸쉬부(300)는 일부가 커버(100)의 상면보다 돌출되게 배치된다. 사용자 또는 장비가 푸쉬부(300)를 누르면 푸쉬부(300)는 하향이동한다.
핀부(400)는 제1 후크부(200A)와 제2 후크부(200B)를 연결한다. 그리고 푸쉬부(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푸쉬부(300)의 움직임을 제1 후크부(200A)와 제2 후크부(200B)로 연결한다. 핀부(400)는 좌우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핀부(400)는 단면이 원형인 환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축부(AX)에 배치된다. 탄성부재(500)는 축부(AX)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 수축시 복원력을 갖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축부(AX)는 커버(1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축부(AX)는 좌우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축부(AX)는 후크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축부(AX)는 제1 후크부(200A)와 제2 후크부(200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커버(100)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버(100)는 푸쉬부(300)가 삽입되는 제1 홀(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110)은 커버(1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제1 홀(110)은 커버(100)의 좌우방향(x)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00)는 슬롯(120)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120)은 커버(100)의 전면 및 상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200)는 슬롯(120)에 위치한다. 슬롯(120)은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제1 홀(11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커버(100)는 측면에 배치되는 제2 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축부(AX)는 제2 홀(1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커버(100)는 측면에 배치되는 제3 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홀(140)은 핀부(400)와 정렬되어 배치되며, 핀부(4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핀부(400)는 제3 홀(140) 안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후크부(200)와, 푸쉬부(300)와, 핀부(400)와, 탄성부재(50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후크부(200)와, 푸쉬부(300)와, 핀부(400)와, 탄성부재(50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핀부(400)는 좌우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푸쉬부(300)는 핀부(400)의 상측에 배치된다. 축부(AX)는 핀부(400)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후크부(200)는 핀부(400)에 결합된다. 그리고 후크부(200)는 축부(AX)에 결합한다. 축부(AX)는 좌우방향(x)을 따라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푸쉬부(300)의 양 측에 후크부(200)가 배치된다. 좌우방향(x)을 기준으로 푸쉬부(300)는 핀부(400)의 중앙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후크부(200A)와 제2 후크부(200B)는 좌우방향(x)으로 각각 푸쉬부(300)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좌우방향(x)으로 푸쉬부(30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푸쉬부(300)가 핀부(400)에 중앙에 위치하고, 좌우방향(x)으로 제1 후크부(200A)와 제2 후크부(200B)가 푸쉬부(300)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기 때문에, 푸쉬부(300)가 눌리면, 제1 후크부(200A)와 제2 후크브가 균형을 맞추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제1 후크부(200A)와 제2 후크부(200B)가 하나의 핀부(400)로 연결되기 때문에 좌우방향(x)으로 푸쉬부(300)가 일측으로 기울어져 눌려도 제1 후크부(200A)와 제2 후크부(200B)가 균형을 맞추어 디스플레이 패널(1)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7은 후크부(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후크부(200)는 바디(210)와 후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핀부(400) 및 축부(AX)와 결합한다. 바디(210)는 핀부(400)가 결합하는 제5 홀(202)을 포함할 있다. 바디(210)의 전면의 일부는 경사면(211)으로 형성된다. 경사면(211)은 탄성부재(500)의 일단이 접촉하는 영역이다.
후크(220)는 바디(210)의 전면에서 돌출된다. 후크(220)는 디스플레이 패널(1)과 접촉하는 접촉면(P)을 포함한다. 접촉면(P)은 평면일 수 있다. 후크(220)는 축부(AX)가 결합하는 제6 홀(2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서 도시한 후크(220)부(200)와, 푸쉬부(300)와, 핀부(400)와, 탄성부재(5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후크부(200)는 접촉면(P)이 커버(100)의 전면보다 돌출되도록 커버(100)에 배치된다. 그리고, 후크부(200)는 접촉면(P)이 적어도 커버(100)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커버(100)에 배치된다. 푸쉬부(300)는 그 상단이 커버(100)의 상면보다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푸쉬부(300)가 눌리지 않고, 후크부(200)의 접촉면(P)이 디스플레이 패널(1)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축부(AX)의 상하방향 위치와 핀부(400)의 상하방향 위치는 동일할 수 있다.
도 9는 커버(100)의 내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핀부(400)는 제1 면(C1)을 포함한다. 제1 면(C1)은 환봉으로 형성되는 핀부(400)의 외주면일 수 있다. 푸쉬부(300)는 제1 면(C1)과 접촉하는 제2 면(C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면(C2)은 푸쉬부(30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C2)은 그 곡률반경이 제1 면(C1)의 곡률반경과 상이한 곡면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면(C2)은 후방으로 하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푸쉬부(300)가 탄성부재(500)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눌리면, 푸쉬부(300)가 하향이동하고, 푸쉬부(300)가 하향이동함에 따라 핀부(400)가 제2 면(C2)을 따라 이동하면서, 핀부(400)가 움직인다. 이처럼 핀부(400)가 움직이면, 후크부(200)가 축부(AX)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10은 푸쉬부(300)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푸쉬부(300)와 탄성부재(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부재(500)는 축부(AX)에 배치된다. 탄성부재(500)의 일단(510)은 후크부(200)의 바디(210)의 경사면(211)에 접촉한다. 탄성부재(500)의 타단(520)은 커버(100)의 내벽에 접촉한다. 푸쉬부(300)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후크부(200)의 접촉면(P)은 디스플레이 패널(1)의 상면과 접촉한다.
도 11은 푸쉬부(300)가 눌린 상태에서, 푸쉬부(300)와 탄성부재(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푸쉬부(300)가 눌리면, 핀부(400)가 움직인다. 핀부(400)가 움직이면, 후크부(200)가 탄성부재(500)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축부(AX)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처럼 후크(220)가 회전하면서, 후크부(200)의 접촉면(P)이 디스플레이 패널(1)의 상면에서 떨어져 디스플레이 패널(1)에 대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후크부(200)는 그 전단이 커버(100)의 전면보다 후방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사용자 또는 장치가 푸쉬부(300)를 누르는 것을 해제하면, 후크부(200)는 탄성부재(500)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촉면(P)이 디스플레이 패널(1)의 상면에 접촉한다. 그리고 후크부(20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푸쉬부(300)는 상향이동하여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 간다.
안착부(10)에 디스플레이 패널(1)이 안착된 상태에서, 후크부(200)의 접촉면(P)이 디스플레이 패널(1)의 상면을 누르고 있기 때문에 테스트 과정 중에 디스플레이 패널(1)이 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쉬부(300)를 누르는 과정만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에 대한 후크부(200)의 고정이 해제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1)의 고정 또는 해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안착부
20: 클램프
100: 커버
200: 후크부
300: 푸쉬부
400: 핀부
500: 탄성부재

Claims (11)

  1. 디스플레이 패널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로서,
    상기 클램프는,
    커버;
    상기 커버의 측면에 형성된 제2 홀에 결합된 환봉 형태의 축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축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후크부;
    상기 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제1 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쉬부;
    상기 푸쉬부의 하측에 상기 커버의 좌우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후크부와 결합되는 환봉 형태의 핀부; 및
    상기 축부의 환봉에 삽입되는 스프링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상기 후크부의 일면과 접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상기 커버의 일면과 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수축시 복원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핀부는 상기 환봉 형태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는 상기 푸쉬부의 하단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의 하강 이동에 따라, 상기 푸쉬부의 상기 제2 면에 접하는 상기 핀부가 하강 이동하고, 상기 핀부의 하강 이동에 따라 상기 핀부가 결합된 상기 후크부가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접촉면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되되,
    상기 후크부는,
    상기 핀부와 결합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접촉면이 배치된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축부는 상기 후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과 접촉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가 하향이동하고 하향하는 상기 푸쉬부에 의해 상기 핀부가 눌려서 상기 후크부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축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경사면에 눌려서 복원력을 갖도록 탄성변형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된 제1 후크부와 제2 후크부를 포함하고,
    좌우방향으로,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핀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핀부의 타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의 상면은 상기 커버의 상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는 좌우방향으로 상기 핀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11. 삭제
KR1020220036379A 2022-03-24 2022-03-24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KR102467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379A KR102467603B1 (ko) 2022-03-24 2022-03-24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379A KR102467603B1 (ko) 2022-03-24 2022-03-24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7603B1 true KR102467603B1 (ko) 2022-11-16

Family

ID=8423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6379A KR102467603B1 (ko) 2022-03-24 2022-03-24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6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04Y1 (ko) 2014-05-23 2014-07-16 주식회사 프로이천 니들 타입 핀 보드 및 이를 위한 오버 드라이브 감지 장치
CN107741510A (zh) * 2017-11-21 2018-02-27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的测试夹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504Y1 (ko) 2014-05-23 2014-07-16 주식회사 프로이천 니들 타입 핀 보드 및 이를 위한 오버 드라이브 감지 장치
CN107741510A (zh) * 2017-11-21 2018-02-27 东莞华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的测试夹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5172A (en) Production printed circuit board (PCB) edge connector test connector
US8604372B2 (en) Push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7458820B2 (en) Socket, socket base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testing
KR100910196B1 (ko) 소켓
JP4472748B2 (ja) Icキャリア,icソケット及びicデバイスの試験方法
US20070120825A1 (en) Dual mode input device
US5669780A (en) IC socket
JP2004235059A (ja) 複合機器の記録媒体取出しボタンスイッチ
KR10246760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JP2003264044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CN108008844B (zh) 输入设备和包括输入设备的显示设备
US7607931B2 (en) Test socket adjustable to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s of different sizes
KR102543902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테스트 장치
US20090255455A1 (en) Testing apparatus for testing the position of decorative pieces
KR100901830B1 (ko) 플렉시블 회로기판 테스트 소켓
EP1059649A2 (en) Multi-directional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manual switches
JP6857778B2 (ja) スイッチ装置
US20100163392A1 (en) Switch
JP2020053609A (ja) プローブカード保持具
JP2573692Y2 (ja) トラックボール座標情報入力装置
JPWO2020129442A1 (ja) 操作装置
CN212275883U (zh) 检测模块及使用该检测模块的检测装置
JPH11126671A (ja) Ic検査用コネクタ
KR102659685B1 (ko) 반도체 칩 패키지 테스트 장치
JPWO2004052065A1 (ja) 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