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007B1 -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007B1
KR102467007B1 KR1020200186952A KR20200186952A KR102467007B1 KR 102467007 B1 KR102467007 B1 KR 102467007B1 KR 1020200186952 A KR1020200186952 A KR 1020200186952A KR 20200186952 A KR20200186952 A KR 20200186952A KR 102467007 B1 KR102467007 B1 KR 102467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brake
compressed air
emergency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5447A (ko
Inventor
이창형
김성재
이민호
장호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아우토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아우토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아우토반
Priority to KR1020200186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00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5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26Compressed-ai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3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pneumat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B60T17/043Brake line couplings, air hoses and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6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operated by remote control, i.e. initiating means not mounted on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 다중화 시스템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브레이크와, 압축공기를 제공하고 제공한 압축공기가 분배되도록 분배기를 구비하는 압축공기 제공부와, 분배기와 연결되고 브레이크의 작동 제어를 위해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작동 제어 수단이 배치되는 정상 공급관과, 분배기와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상시 유동시키는 비상 공급관과,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연결 공급관, 그리고 연결 공급관에 정상 공급관 또는 비상 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비상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차단을 통해 무인 자동차의 브레이크 제어가 실패한 자동차를 비상 제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인 자동차의 브레이크 제어 실패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Deceleration multiplexing system for the safety of unmanned vehicles}
본 발명은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이 공급되면 브레이크 작동 제어 수단이 구비되는 정상 공급관을 통해 브레이크에 압축공기가 제공되도록 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압축공기를 상시 유동시키는 비상 공급관을 통해 브레이크에 압축공기가 제공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어, 평상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고 비상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차단을 통해 무인 자동차를 비상 제동 가능하도록 하는 감속 다중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율주행 차량(Autonomous Vehicle)은 운전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차량으로, 운전자의 탑승 여부에 상관없이 차량이 독립적으로 도로의 상황 등을 판단해 자율주행 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춘 차량을 의미한다.
미국자동차공학회(SAE)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자율주행 차량 기술은 기술 수준에 따라 레벨0에서 레벨5까지의 6단계로 구분한다. 레벨0의 차량은 전혀 자율주행 기능이 없는 차량으로, 차선이탈 및 전방추돌경고 장치가 정착됐지만 차량 스스로 방향을 바꾸거나 감속을 할 수 없는 차량들 또한 레벨0에 포함된다. 그리고 레벨1 차량은 차량 스스로 제어하는 능력을 갖춰 차량이 충돌이나 차선이탈 위험을 감지해 스스로 속도를 줄이거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차량이며, 레벨2 차량은 레벨1 차량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 차량이다. 예를 들어 차량이 스스로 조향하면서 가속이나 감속한다면 레벨2에 해당한다. 레벨3의 차량은 조향·가속·감속·추월이 가능하고, 운전자가 계속 운전대를 잡고 있거나 브레이크나 가속페달에 발을 올리지 않아도 되는 차량으로 실질적인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이다. 레벨4의 차량은 운전자가 차량의 운전 개입 요청을 즉시 응하지 못해도 차량 스스로 안전주행을 하거나 속도를 줄여 안전한 곳에 주차할 수 있는 수준이고, 레벨5는 완전 자율주행 단계로 운전자가 원하는 목적지를 말하고 나서는 운전에 전혀 개입하지 않아도 되는 수준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지 않고도 차량 스스로 주행 가능한 레벨5의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한 무인 자동차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무인 자동차의 제동 실패가 발생하여도 관리자가 무인 자동차를 비상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감속 다중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4930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7914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전원이 공급되면 브레이크 작동 제어 수단이 구비되는 정상 공급관을 통해 브레이크에 압축공기가 제공되도록 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압축공기를 상시 유동시키는 비상 공급관을 통해 브레이크에 압축공기가 제공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어, 제동 실패가 발생한 무인 자동차를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차단을 통해 비상 제동 가능하도록 하는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버튼이 차량과 별도로 구비되어, 관리자가 원격 버튼의 조작을 통해 무인 자동차의 원격 비상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원격 버튼의 조작에 의해 차단 신호가 생성되면 차량의 구동모터 드라이버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하여, 비상시 무인 주행 차량을 기계식 및 전자식으로 동시에 제동하도록 하는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은,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브레이크와, 압축공기를 제공하고 제공한 압축공기가 분배되도록 분배기를 구비하는 압축공기 제공부와, 분배기와 연결되고 브레이크의 작동 제어를 위해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작동 제어 수단이 배치되는 정상 공급관과, 분배기와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상시 유동시키는 비상 공급관과,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연결 공급관, 그리고 연결 공급관에 정상 공급관 또는 비상 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한다.
이때,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은 비상 상황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하고,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 공급시 연결 공급관을 정상 공급관에 연통시키고 전원 차단시 연결 공급관을 비상 공급관에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부는 조작에 의해 차단 신호를 생성하고 브레이크가 설치된 차량과 별도로 구비되는 원격 버튼과, 원격 버튼과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생성한 차단 신호를 수신하고,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 릴레이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는 제1 릴레이 보드와 유선 연결되고 전원이 차단되면 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드라이버의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구동모터 드라이버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제2 릴레이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는 제2 릴레이 보드 및 솔레노이드 밸브와 직렬 연결되고 조작에 의해 제2 릴레이 보드 및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차량 몸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근접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제어 수단에는 운전자의 가압에 의해 브레이크를 작동 제어하는 브레이크 페달이 포함되고, 근접 버튼은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되면 조작되는 제1 근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근접 버튼은 소정 이상 가압된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조작되도록 브레이크 페달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비상 공급관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향해 유동하는 압축공기를 감압하도록 감압밸브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이 공급되면 브레이크 작동 제어 수단이 구비되는 정상 공급관을 통해 브레이크에 압축공기가 제공되도록 하고 전원이 차단되면 압축공기를 상시 유동시키는 비상 공급관을 통해 브레이크에 압축공기가 제공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구비되어 제동 실패가 발생한 무인 자동차를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 차단을 통해 비상 제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무인 자동차의 브레이크 제어 실패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는 차단 신호를 생성하는 원격 버튼이 차량과 별도로 구비되어 관리자가 원격 버튼의 조작을 통해 무인 자동차의 원격 비상 제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버튼의 조작에 의해 차단 신호가 생성되면 차량의 구동모터 드라이버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하여 비상시 무인 주행 차량을 기계식 및 전자식으로 동시에 제동하도록 함으로써, 기계식 브레이크 제어 구조에 이상이 발생한 비상시에도 무인 자동차의 비상 제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 다중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근접 버튼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근접 버튼의 조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근접 버튼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은 비상시 브레이크와 연통되는 별도의 유로를 구비하고, 별도의 유로가 브레이크와 연통되면 운전자 또는 자율주행 제어부의 브레이크 제어와 상관없이 압축공기가 브레이크에 제공되도록 하여 무인 자동차를 비상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은 브레이크(10)와, 압축공기를 제공하고 제공한 압축공기가 분배되도록 분배기(23)를 구비하는 압축공기 제공부(20)와, 분배기(23)와 연결되고 브레이크(10)의 작동 제어를 위해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작동 제어 수단이 배치되는 정상 공급관(30)과, 분배기(23)와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상시 유동시키는 비상 공급관(40)과,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연결 공급관(50), 그리고 연결 공급관(50)에 정상 공급관(30) 또는 비상 공급관(40)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브레이크(10)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여 차량을 기계적으로 제동하는 기계식 브레이크를 의미하며, 전자 브레이크와는 별도로 구비된다.
브레이크(10)에 제공되는 압축공기는 압축공기 제공부(2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압축공기 제공부(20)는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에어 탱크(21)와, 에어 탱크(21)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브레이크(10)를 향해 유동하도록 에어 탱크(21)에 연결되는 에어 펌프(22), 그리고 에어 탱크(21)에서 브레이크(10)를 향해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분배하는 분배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배기(23)에는 정상 공급관(30)과 비상 공급관(40)이 연결되며 따라서 분배기(23)에서 분배된 압축공기는 정상 공급관(30)과 비상 공급관(40)을 통해 분기되어 브레이크(1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정상 공급관(30)은 운전자가 직접 브레이크 작동 제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동 정상 공급관(31)과 자율주행 차량이 스스로 브레이크 작동 제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자동 정상 공급관(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동 정상 공급관(31)과 자동 정상 공급관(32)은 분배기(23)와 개별 연결되며, 수동 정상 공급관(31)에는 브레이크(10)의 작동 제어를 위한 작동 제어 수단으로 브레이크 페달(31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311)을 가압 조작하면 수동 정상 공급관(31)에서의 압축공기 유량이 조절되어 수동 정상 공급관(31)을 통해 브레이크(10)를 향해 제공되는 압축공기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감속 다중화 시스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자동 정상 공급관(32)의 제어 밸브(321) 하류단에는 압력 센서(322)가 배치되고, 자율주행 차량의 자율주행 제어부는 압력 센서(322)로부터 제어 밸브(321) 하류단의 공기 압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공기 압력 정보를 통해 피드백하여 제어 밸브(321)의 개폐 제어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자동 정상 공급관(32)과 수동 정상 공급관(31)의 하류단은 더블 체크 밸브(33)를 통해 합류 정상 공급관(34)에 연결될 수 있다. 더블 체크 밸브(33)는 수동 정상 공급관(31)에서 제공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자동 정상 공급관(32)에서 제공된 압축공기의 압력보다 큰 경우 수동 정상 공급관(31)에서 제공된 압축공기가 합류 정상 공급관(34)에 제공되도록 유로를 형성하며, 자동 정상 공급관(32)에서 제공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수동 정상 공급관(31)에서 제공된 압축공기의 압력보다 큰 경우 자동 정상 공급관(32)에서 제공된 압축공기가 합류 정상 공급관(34)에 제공되도록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311)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과 자율주행 제어부에서의 제어 밸브(321) 개방 조작에 의한 브레이크 조작 중 더 강한 브레이크 조작에 따라 브레이크(10)가 조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속 다중화 시스템은 비상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311) 조작 또는 자율주행 제어부의 제어 밸브(321) 개폐 제어와 상관없이 브레이크(10)가 최대로 조작되므로 운전자 또는 자율주행 제어부의 브레이크 제어 실패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상 공급관(40)은 브레이크(10)를 향해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차단하지 않고 상기 유동시켜 비상 공급관(40)이 솔레노이드 밸브(60)를 통해 브레이크(10)와 연통되면 브레이크(10)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속 다중화 시스템에서 차단부(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 상황에서 솔레노이드 밸브(6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차단부(70)는 비상 상황시 관리자가 원격으로 차량의 비상 제동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공급관(50)에 정상 공급관(30) 또는 비상 공급관(40)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60)는 솔레노이드 밸브(60)로의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연결 공급관(50)에 정상 공급관(30) 또는 비상 공급관(40)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부(70)는 평상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비상 상황에서 솔레노이드 밸브(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차단부(70)의 전원 차단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60)는 전원 공급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공급관(50)을 정상 공급관(30)에 연통시키고, 전원 차단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공급관(50)을 비상 공급관(40)에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311) 조작 또는 자율주행 제어부의 제어 밸브(321) 개폐 제어에 의해 브레이크(10)가 조작되고 비상시에는 즉시 브레이크(10)가 최대로 조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은 비상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311) 조작 또는 자율주행 제어부의 제어 밸브(321) 개폐 제어와 상관없이 브레이크(10)가 최대로 조작되므로 운전자 또는 자율주행 제어부의 브레이크 제어 실패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릴레이 보드(73)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감속 다중화 시스템이 전기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에서 차단부(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 상황에서 솔레노이드 밸브(60)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차단부(70)는 비상 상황시 관리자가 원격으로 차량의 비상 제동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부(70)는 관리자의 조작에 의해 차단 신호를 생성하고 차량과 별도로 구비되는 원격 버튼(71)과, 솔레노이드 밸브(6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 릴레이 보드(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속 다중화 시스템은 비상 제동시 기계식(압축공기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구조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전자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 제동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감속 다중화 시스템은 차량과 떨어진 관리자가 원격으로 비상 제동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버튼(71)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 또는 근접한 외부에서 차량을 비상 제동 가능하도록 하는 근접 버튼(7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70)의 구성으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관리자의 원격 조작을 통한 자동차의 원격 비상 제동을 가능하게 해준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은 비상 상황 발생시 원격 버튼(71)의 조작에 의해 차단 신호가 생성되면 비상 공급관(40)을 통해 브레이크(10)에 압축공기가 제공되어 브레이크(10)가 조작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전자 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의 구동모터 드라이버의 구동이 중단되도록 함으로써 비상시 주행 차량을 기계식 및 전자식으로 동시에 제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단부(70)에는 제1 릴레이 보드(72)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면 전자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구동 모터 드라이버(D)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제2 릴레이 보드(7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릴레이 보드(73)는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이 전기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 릴레이 보드(73)는 전원부(P)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2 릴레이 보드(73)와 전원부(P)사이에는 제1 릴레이 보드(7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릴레이 보드(72)가 비상 신호를 수신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상태가 되면 제2 릴레이 보드(73)에 공급되는 전원 역시 차단된다.
제2 릴레이 보드(73)는 전원이 공급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브레이크의 작동에 관여하지 않는다. 하지만, 제2 릴레이 보드(73)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릴레이 보드(72)의 전원 차단으로 인해 제2 릴레이 보드(73)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전자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구동모터 드라이버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은 비상 제동시 기계식(압축공기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구조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전자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 제동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비상 제어 시스템은 차량과 떨어진 관리자가 원격으로 비상 제동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버튼(71)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 또는 근접한 외부에서 차량을 비상 제동 가능하도록 하는 근접 버튼(7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근접 버튼(7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다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다수개의 근접 버튼(74-1, 74-2, 74-3)은 제2 릴레이 보드(73) 및 솔레노이드 밸브(60)와 직렬 연결되고 조작에 의해 제2 릴레이 보드(73) 및 솔레노이드 밸브(6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개의 근접 버튼(74-1, 74-2, 74-3)은 개별적으로 제2 릴레이 보드(73) 및 솔레노이드 밸브(60)와 직렬 연결되는 릴레이 보드를 구비하고 조작시 개별 연결된 릴레이 보드가 제2 릴레이 보드(73)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6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근접 버튼(74-1, 74-2, 74-3)은 직렬 연결되므로 다수개의 근접 버튼(74-1, 74-2, 74-3) 중 어느 하나의 버튼이 가압 조작되더라도 제2 릴레이 보드(73) 및 솔레노이드 밸브(6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기계식 브레이크와 전자식 브레이크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근접 버튼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근접 버튼의 조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311)을 통해 브레이크(10)를 수동 제어시에 기계식(압축공기에 의한) 브레이크 제어 구조에 이상이 발생하여 브레이크(10)가 작동하지 않아도 차량이 비상 제동되도록, 근접 버튼(74)에는 브레이크 페달(311)이 가압되면 조작되는 제1 근접 버튼(741)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근접 버튼(741)은 소정 이상 가압된 브레이크 페달(311)에 의해 조작되도록 브레이크 페달(311) 하측에서 지지 부재(75)에 의해 지지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근접 버튼(741)이 브레이크 페달(311)에 가압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60) 및 제2 릴레이 보드(7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기계식 브레이크와 전자식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비상 제동될 수 있다.
이러한 비상 제동시 브레이크(10)는 최대 강도로 조작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10)를 비교적 적은 강도로 가압하였는데 최대 강도로 조작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근접 버튼(741)과 지지 부재(75)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311)을 최대한 가압하였을 때 브레이크 페달(311)에 의해 가압 조작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근접 버튼(741)의 구성으로 인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311)을 최대한 가압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수동 브레이크 조작에 관련한 구성에 이상이 발생하여 브레이크(10) 작동에 실패한 경우, 운전자가 별도의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제1 근접 버튼(741)이 가압 조작되어 차량이 비상 제동될 수 있다. 특히, 제1 근접 버튼(741)이 조작되면 전자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 제동이 함께 수행되므로 기계식 브레이크를 작동하기 위한 구성에 이상이 발생하여도 전자 브레이크에 의한 비상 제동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근접 버튼의 배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근접 버튼의 조작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어 시스템과 제1 근접 버튼(741)의 배치 위치만 다를 뿐 다른 구성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제어 시스템에서 브레이크 페달(31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근접 버튼(741)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311)을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운전자의 발 또는 다른 물건에 의해 의도하지 않은 가압 조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의도하지 않은 가압에 의한 비상 제동은 또 다른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근접 버튼(741')은 브레이크 페달(311)에서 가압면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근접 버튼(741')은 브레이크 페달(311)의 배면에 배치되고 브레이크 페달(311)이 운전자에 의해 소정 이상 가압되면 브레이크 페달(311) 하측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75)에 의해 가압 조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311)을 최대로 가압하면 자연스럽게 제1 근접 버튼(741')이 가압 조작되도록 하면서도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311)을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운전자의 발 또는 다른 물건에 의해 제1 근접 버튼(741')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브레이크
20: 압축공기 제공부
21: 에어 탱크
22: 에어 펌프
23: 분배기
30: 정상 공급관
31: 수동 정상 공급관
311: 브레이크 페달
32: 자동 정상 공급관
321: 제어 밸브
322: 압력 센서
33: 더블 체크 밸브
34: 합류 정상 공급관
40: 비상 공급관
41: 감압 밸브
50: 연결 공급관
60: 솔레노이드 밸브
70: 차단부
71: 원격 버튼
72: 제1 릴레이 보드
73: 제2 릴레이 보드
74: 근접 버튼
741: 제1 근접 버튼
75: 지지 부재

Claims (8)

  1.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는 브레이크;
    상기 압축공기를 제공하고 제공한 상기 압축공기가 분배되도록 분배기를 구비하는 압축공기 제공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의 작동 제어를 위해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작동 제어 수단이 배치되는 정상 공급관;
    상기 분배기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공기를 상시 유동시키는 비상 공급관;
    상기 브레이크에 연결되는 연결 공급관;
    상기 연결 공급관에 상기 정상 공급관 또는 상기 비상 공급관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 및
    비상 상황에서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원 공급시 상기 연결 공급관을 상기 정상 공급관에 연통시키고 전원 차단시 상기 연결 공급관을 상기 비상 공급관에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다중화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조작에 의해 차단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브레이크가 설치된 차량과 별도로 구비되는 원격 버튼; 및
    상기 원격 버튼과 무선 통신 연결되어 생성한 상기 차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차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1 릴레이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다중화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릴레이 보드와 유선 연결되고 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차량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드라이버의 전자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상기 구동모터 드라이버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제2 릴레이 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다중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릴레이 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직렬 연결되고 조작에 의해 상기 제2 릴레이 보드 및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차량 몸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근접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다중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제어 수단에는 운전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를 작동 제어하는 브레이크 페달이 포함되고,
    상기 근접 버튼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가압되면 조작되는 제1 근접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다중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접 버튼은 소정 이상 가압된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브레이크 페달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다중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공급관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향해 유동하는 상기 압축공기를 감압하도록 감압밸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 다중화 시스템.
KR1020200186952A 2020-12-30 2020-12-30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 KR102467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52A KR102467007B1 (ko) 2020-12-30 2020-12-30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52A KR102467007B1 (ko) 2020-12-30 2020-12-30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447A KR20220095447A (ko) 2022-07-07
KR102467007B1 true KR102467007B1 (ko) 2022-11-14

Family

ID=82398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952A KR102467007B1 (ko) 2020-12-30 2020-12-30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0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786A (ja) 2005-09-08 2007-03-22 Hino Motors Ltd 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2015009639A (ja) 2013-06-27 2015-01-19 株式会社Ihiスター 連結車両のエアブレーキシステム
JP2020015477A (ja) * 2018-07-27 2020-01-30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ブレーキ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1237A (en) 1989-11-27 1991-06-04 The Clorox Company Gel insecticidal compositions
KR102149306B1 (ko) 2020-02-12 2020-08-28 주식회사 이아우토반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786A (ja) 2005-09-08 2007-03-22 Hino Motors Ltd 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2015009639A (ja) 2013-06-27 2015-01-19 株式会社Ihiスター 連結車両のエアブレーキシステム
JP2020015477A (ja) * 2018-07-27 2020-01-30 三菱ふそうトラック・バス株式会社 ブレー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447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1911B1 (ko)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용 모터 차량 제어유닛
KR102308679B1 (ko) 이중 중복을 갖는 자동차의 적어도 반자율 작동을 위한 시스템
JP6894921B2 (ja) 商用車内のブレーキシステムを自動電子制御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電子制御可能なブレーキシステム
CN108883755B (zh) 商用车辆中的能电子控制的气动制动系统和用于电子控制气动制动系统的方法
CN109476295B (zh) 商用车辆中的能电子控制的气动制动系统和用于电子控制商用车辆中的气动制动系统的方法
EP1730006B1 (en) Use of ecu to control brake valve actuator
US6702405B1 (en) Electric parking brake
US9555788B2 (en) Motor vehicle
EP2750949B1 (en) Vehicle braking system
US8348350B2 (en) Two-stage electromechanically controlled braking system for a multiaxle road vehicles
JP6605985B2 (ja) 空気供給システム
US7784880B2 (en) Braking system for a floor conveyor
JP2019514772A5 (ko)
US11891092B2 (en) Emergency maneuver control system and emergency maneuver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CN100366476C (zh) 用于汽车驻车制动器的最佳控制装置配置
KR20200096831A (ko) 리던던트한 abs 및 주행 역학 제어를 갖는 차량의 전기 장비
JP7303515B2 (ja) 車両運転制御システム
US8919891B2 (en) Electrohydraulic antilock brake system with isolation valve
KR102467007B1 (ko)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감속 다중화 시스템
CN114728650A (zh) 制动器的空气压力控制装置、空气压力控制方法及空气压力控制程序
US4971399A (en) System for assuring recharge of brake pipe pressure in holding position of locomotive brake valve
KR102467006B1 (ko) 무인차량의 안전성을 위한 가속 이중화 시스템
JP7133530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EP1157910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hydraulic brake system
JP4865006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