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344B1 -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 - Google Patents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344B1
KR102465344B1 KR1020220073877A KR20220073877A KR102465344B1 KR 102465344 B1 KR102465344 B1 KR 102465344B1 KR 1020220073877 A KR1020220073877 A KR 1020220073877A KR 20220073877 A KR20220073877 A KR 20220073877A KR 102465344 B1 KR102465344 B1 KR 10246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ental
blocks
colo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맥스
Priority to KR102022007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22Blanks or green, unfinished dental restoration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1Making teeth by casting or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2Cosmetic aspects, e.g. inlays; Determination of th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3Porcelain or ceramic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7Artificial resin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9Composite teeth, e.g. front and back section; Multilay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70Tooth crowns; Making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색 또는 도색으로 일관되어 심미성이 극히 저하되어 인공적인 느낌이 강하던 기존의 덴탈블록과는 달리, 서로 상이한 색상의 덴탈분말을 개별적으로 가공하여 단일의 블록을 복수 형성하고, 원하는 색상 순으로 적층한 뒤 CIP(Cold Isostatic Press) 공법으로 일체화시킴에 따라 덴탈블록의 결집력과 내구성이 적극적으로 향상될 뿐 아니라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에 관한 것으로, 서로 상이한 색상의 덴탈분말을 개별 프레싱하여 설정 형상의 블록으로 성형하고, 개별 성형된 각 블록을 기설정의 색상 순으로 적층하여 비닐로 진공 포장한 후 CIP(Cold Isostatic Press)에 의해 일체화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Dental Block}
본 발명은 임플란트 크라운을 성형하기 위한 기초 소재가 되는 덴탈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색 또는 도색으로 일관되어 심미성이 극히 저하되어 인공적인 느낌이 강하던 기존의 덴탈블록과는 달리, 서로 상이한 색상의 덴탈분말을 개별적으로 가공하여 단일의 블록을 복수 형성하고, 원하는 색상 순으로 적층한 뒤 CIP(Cold Isostatic Press) 공법으로 일체화시킴에 따라 덴탈블록의 결집력과 내구성이 적극적으로 향상될 뿐 아니라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와 관련된 정밀 가공 기술의 발전으로 보철물 가공업계에서는 CAD/CAM을 활용한 밀링 가공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보철물은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리튬 다이시리키트 글라스 세라믹, 티타늄, 레진 등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이를 단단히 프레싱하여 블록 형태로 만들고, 이 블록을 밀링 가공법으로 성형하여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블록을 흔히 덴탈블랭크(Dental blank) 또는 덴탈블록(Dental block)이라 칭한다.
예컨대 덴탈블록과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4614호 "덴탈 블럭 및 덴탈 블록의 제조 방법"이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뛰어난 가공성과 소결 시 수축율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덴탈 블록 원재료를 혼합하는 단계; 및 원재료를 0.5 ~ 2.0 GPa의 압력 하에서 자기 펄스 가압 성형하는 단계;를 제시한다.
상기 기술은 자기 펄스 가압 성형을 통해 덴탈블록을 제조함으로써 일반 공정에 비해 성형 시 분말간의 압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응력집중에 의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 1회의 성형만으로도 고밀도의 덴탈블록을 제작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덴탈블록은 단색이므로 자연치와 같은 심미성을 자아낼 수는 없었다.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는 자연치와 동일한 발색을 구현함으로써 심미적인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덴탈용 리퀴드를 이용하여 분말을 다양한 색상으로 염색한 후 이를 설정 색상 순으로 적층시켜 레이어를 형성시킴에 따라 자연치와 유사한 그라데이션 발색을 구현하는데에 이르렀다.
일례로 등록특허공보 제10-1861103호 "다색 혼합형 덴탈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이 게재되어 있으며, 해당 기술을 통해 레진 분말, 도재 분말, 지르코니아 분말 중 하나 이상의 소재를 두 가지 이상의 색상으로 준비하는 단계;와, 프레스의 성형공간에 격벽을 설치하여 준비된 소재의 수만큼 공간을 분할하는 단계; 및 분할공간마다 서로 다른 색상의 소재를 투입하고 격벽을 제거한 뒤 기설정한 압력으로 소재를 가압하는 단계;를 거쳐 다색 혼합형 덴탈블록의 제조방법이 안내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프레스에 서로 다른 색상의 덴탈분말을 적층 장입한 후 이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덴탈블록이 얻어짐을 제시하고 있으나, 프레스 시 성형공간의 상측과 하측으로만 가압이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균일한 결집력을 형성시킬 수는 없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한계로 자연치와 유사한 발색을 자아내는 덴탈블록을 생산할 수 없었거나 혹은 원하는 수준의 결집력을 보유한 덴탈블록을 생산할 수 없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덴탈블록 제조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4614호 "덴탈 블럭 및 덴탈 블록의 제조 방법" 등록특허공보 제10-1861103호 "다색 혼합형 덴탈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덴탈블록의 경도와 밀도 및 인성 등이 강화되고 덴탈블록의 모든 부위가 동일한 결집력을 보유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프레싱할 수 있는 기술 제공을 주된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싱 과정에서 덴탈블록의 외형과 레이어층이 변형되지 않도록 교정할 수 있는 구조와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덴탈블록은 프레스로 서로 상이한 색상의 덴탈분말을 프레싱하여 블록을 색상 별로 수 개 획득하고, 블록을 기설정 색상 순으로 적층 및 적층된 블록을 비닐로 진공 포장한 후 CIP(Cold Isostatic Press)로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덴탈블록 제조방법은 프레스의 성형부에 설정 색상의 덴탈분말을 장입한 후 상측과 하측을 동시 가압하여 블록을 색상 별로 개별 획득하는 단일블록 성형단계(S100);와, 블록을 기설정 색상 별로 적층한 후 비닐로 진공 포장하고, 진공 포장된 블록을 CIP(Cold Isostatic Press)로 전면 가압하는 블록 결합단계(S200); 및 비닐 포장 제거 및 블록을 열처리하는 블록 후처리단계(S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록 결합단계(S200)는 블록을 몰드에 기설정 색상 순으로 적층 수용시키는 블록 적층단계(S210);와, 블록이 수용된 몰드를 비닐로 진공 포장하는 진공 포장단계(S220);와, 진공 포장된 블록을 CIP에 투입하여 전면을 프레싱하는 CIP 가압단계(S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몰드는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인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스를 이용하여 단일 색상의 블록을 개별적으로 성형하는 작업을 선행하고, 성형된 단일 색상의 블록을 기설정 색상 순으로 적층한 후 CIP(Cold Isostatic Press)를 활용하여 일괄적으로 압축함에 따라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을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CIP(Cold Isostatic Press)를 활용하여 덴탈블록의 전면을 균일한 압력으로 프레싱하기 때문에 일반 공정에 비해 분말간 압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응력집중에 의한 균열을 적극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 1회의 성형만으로도 고밀도의 덴탈블록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치와 유사한 색상 구배를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분말을 사용하거나 또는 자연치와 유사한 치아결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입자크기의 분말을 사용할 경우에도 각 색상 별 또는 입자 별로 단일의 블록 제작을 선행하고, 제작된 단일의 블록을 적층하여 CIP 공법으로 이를 일체화시키는 후행 과정으로 이루어지 때문에 덴탈분말의 조건과 관계없이 균일한 결집력을 보유한 우수한 품질의 덴탈블록을 제공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덴탈블록 제조과정을 단계별로 나열한 플로차트.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몰드 및 몰드에 적층 수용된 덴탈블록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 크라운을 성형하기 위한 기초 소재가 되는 덴탈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단일의 색 또는 도색으로 일관되어 심미성이 극히 저하되어 인공적인 느낌이 강하던 기존의 덴탈블록과는 달리, 서로 상이한 색상의 덴탈분말을 개별적으로 가공하여 단일의 블록을 복수 형성하고, 단일의 블록을 원하는 색상 순으로 적층한 뒤 CIP(Cold Isostatic Press) 공법으로 일체화시킴에 따라 덴탈블록의 결집력과 내구성이 적극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본 발명의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은 프레스로 서로 상이한 색상의 덴탈분말을 프레싱하여 블록을 색상 별로 수 개 획득하고, 블록을 기설정 색상 순으로 적층 및 적층된 블록을 비닐로 진공 포장한 후 CIP(Cold Isostatic Press)로 일체화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덴탈블록 제조과정을 단계별로 나열한 플로차트이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덴탈블록은 프레스의 성형부에 설정 색상의 덴탈분말을 장입한 후 상측과 하측을 동시 가압하여 블록을 색상 별로 개별 획득하는 단일블록 성형단계(S100);와, 블록을 기설정 색상 별로 적층한 후 비닐로 진공 포장하고, 진공 포장된 블록을 CIP(Cold Isostatic Press)로 전면 가압하는 블록 결합단계(S200); 및 비닐 포장 제거 및 블록을 열처리하는 블록 후처리단계(S300);를 거쳐 제조된다.
상기 단일블록 성형단계(S100)는 덴탈블록의 소재를 선정하는 소재 선정단계(S110);와, 덴탈용 리퀴드를 활용하여 덴탈블록용 분말소재(이하 '덴탈분말'로 통칭함)를 자연치와 유사한 색상으로 염색하는 소재 염색단계(S120);와, 프레스를 이용하여 덴탈분말을 가압함으로써 단일 색상의 덴탈블록을 각 색상 별로 개별 획득하는 소재 압축단계(S130);로 구분 실시된다.
상기 소재 선정단계(S110)는 덴탈블록의 소재를 선정하는 단계로써, 소재로는 크게 메탈과 세라믹을 사용하며, 상세하게는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리튬 다이시리키트 글라스 세라믹, 티타늄, 레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자는 의사의 추천이나 주어진 사정에 맞춰 구성된 소재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며, 선택된 소재는 각 특성에 맞춰 일정한 크기로 분쇄되어 분말화가 이루어진다. 보편적으로 소재는 30㎚ 내지 1㎛의 입도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소재마다 결정이 갖는 특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소재별로 특성을 파악하여 최적의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소재 염색단계(S120)는 덴탈분말에 덴탈용 리퀴드를 첨가하여 설정 색상으로 염색하는 단계로써, 특히 덴탈용 리퀴드의 수분을 일정량 증발시켜 덴탈분말에 효과적인 착색을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상기 덴탈용 리퀴드는 증류수와 다양한 색상의 규산나트륨 용액을 8:2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액으로써, 보철물의 발색을 유도하는 것은 물론 보철물의 투광력을 저하시켜 보철물에 삽입된 픽스츄어나 어버트먼트가 빛에 의해 외부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도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덴탈분말에 설정 온도의 열풍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건조시킴으로써 덴탈용 리퀴드의 수분을 일정량 제거한다. 상기 건조는 자연풍으로 건조하는 자연풍 건조단계(S121)와, 열풍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건조하는 열풍 건조단계(S122);와, 냉풍을 공급하여 소재의 안정성을 유도하는 냉각 건조단계(S123);를 순차 거쳐 이루어진다. 상기 자연풍 건조단계(S121)는 15~40℃의 자연온도에서 2~3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으로 소재 외부에 도포된 리퀴드의 수분을 증발 및 리퀴드가 소재로 빠르게 침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이고, 상기 열풍 건조단계(S122)는 50~140℃의 온도에서 60~70시간 동안 소성하여 염색된 소재의 경도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단계이며, 상기 냉각 건조단계(S123)는 5~15℃의 온도에서 2~3시간 동안 냉각하여 결정의 안정을 유도하는 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염색된 소재는 각 색상 별로 프레스의 성형부에 장입되어 프레싱에 의해 단일 색상의 덴탈블록으로 성형된다. 상기 프레스는 염색된 덴탈분말을 수용하는 성형부;와, 성형부 하단에 배치되어 승강 움직임에 의해 성형부의 내부로 개입되는 하부로드;와, 성형부 상단에 배치되어 하강 움직임에 의해 성형부의 내부로 개입되는 상부로드;로 구성된다.
상기 소재 압축단계(S130)는 프레스의 성형부 내부로 하부로드를 진입시켜 성형부의 하단을 차폐하는 성형부 세팅단계(S131);와, 성형부에 설정 색상의 덴탈분말을 장입하는 분말 장입단계(S132);와, 성형부의 내부로 하부로드와 상부로드를 동시에 진입시켜 분말을 상하 가압하는 분말 성형단계(S133);로 구분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을 성형하는 방법으로는 성형부에 서로 다른 색상의 분말을 층별로 적층하고, 성형부의 내부로 하부로드와 상부로드를 동시에 진입시켜 가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성형부의 내부공간 높이가 5cm이고 제조하고자 하는 덴탈블록의 레이어가 5개 층일 때 하부로드를 성형부 하단에서 약 4cm를 승강시킴으로써 성형부 상측에 1cm의 장입공간을 확보하고, 1cm의 장입공간에 가장 진한 색상의 덴탈분말을 채워넣고 성형부 상면을 긁개로 긁어 평평하게 정리한다. 가장 진한 색상의 덴탈분말 즉, 제1레이어층이 채워지면 하부로드를 다시 1cm 하강시켜 성형부 상측에 1cm의 장입공간을 재확보한다. 재확보된 1cm의 장입공간에 제1레이어층의 분말보다 다소 연한 색상의 덴탈분말을 채워넣고 상면을 정리한다. 이런식으로 다섯 색상의 분말을 순차 적층시켜 최종적으로 압축 성형한다.
상기와 같이 기존의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 제조방법은 서로 다른 색상의 덴탈분말을 장입하는 과정과, 성형부에 장입된 덴탈분말의 상면을 완벽하게 정리하는 과정 등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이 비효율적으로 요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상의 단일 블록을 간편하게 성형하고, 개별적으로 성형된 단일 블록을 블록 결합단계(S200)로부터 일체화시킴에 따라 신속하고 편리하며, 보다 정밀한 품질의 덴탈블록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블록 결합단계(S200)는 단일의 블록을 몰드에 기설정 색상 순으로 적층 수용시키는 블록 적층단계(S210);와, 블록이 수용된 몰드를 비닐로 진공 포장하는 진공 포장단계(S220); 및 진공 포장된 블록을 CIP에 투입하여 전면을 프레싱하는 CIP 가압단계(S230);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몰드(10)는 직사각형의 틀로 이루어지고, 틀 내부에는 덴탈블록의 외경과 대응하는 수 개의 수용홀(11)이 복수 배열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몰드(1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몰드의 구조 및 몰드에 수용된 덴탈블록의 적층 상태는 도 2와 같다.
도 2와 같이 블록 적층단계(S210)는 몰드(10)의 수용홀(11)에 덴탈블록을 적층 수용시키는 단계로써 바람직하게는 가장 진한 색상의 덴탈블록을 먼저 수용하고, 그 위로 점차 옅은 색상 순으로 덴탈블록을 적층 수용시킨다.
상기 진공 포장단계(S220)는 덴탈블록이 수용된 몰드를 전체적으로 비닐을 씌우고, 비닐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 상태를 조성한다. 상기와 같이 몰드에 덴탈블록을 수납하고 비닐로 진공 포장하는 이유는 CIP 공정 시 덴탈블록이 물에 닿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과, CIP에 의해 프레싱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덴탈블록의 외형이 뒤틀리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에 있다.
상기 CIP 가압단계(S230)는 몰드와 함께 진공 포장된 덴탈블록을 균일하게 가압하여 모든 부위가 동일한 결집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프레싱 작업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예컨대 CIP(Cold Isostatic Press)란 냉간정수압프레스로써 용어의 의미와 같이 성형 제품에 모든 방향으로 압력이 균일하게 전달되는 유체의 원리를 이용한 프레스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이 냉간정수압프레싱을 거친 덴탈블록은 설정 압력이 모든 부위에 균일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모든 방향에서 균일한 밀도를 갖게 된다.
상기 블록 후처리단계(S300)는 진공 포장된 비닐을 벗겨 제거하고, 설정 온도로 열을 가해 소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소성은 약 50~140℃의 온도에서 약 60~70시간 동안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스를 통해 단일 블록을 제조하고, 제조된 단일 블록을 색상 별로 적층한 후 CIP로 프레싱 및 열소성함으로써 원하는 수준 및 품질의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은 프레스를 이용하여 단일 색상의 블록을 개별적으로 성형하는 작업을 선행하고, 성형된 단일 색상의 블록을 기설정 색상 순으로 적층한 후 CIP(Cold Isostatic Press)를 활용하여 일괄적으로 압축함에 따라 기존 대비 보다 신속하고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CIP(Cold Isostatic Press)를 활용하여 덴탈블록의 전면을 균일한 압력으로 프레싱하기 때문에 일반 공정에 비해 분말간 압축력을 고르게 분산시켜 응력집중에 의한 균열을 적극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단 1회의 성형만으로도 고밀도의 덴탈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연치와 유사한 색상 구배를 위해 서로 다른 색상의 분말을 사용하거나 또는 자연치와 유사한 치아결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입자크기의 분말을 사용할 경우에도 각 색상 별 또는 입자 별로 단일의 블록 제작을 선행하고, 제작된 단일의 블록을 적층하여 CIP 공법으로 이를 일체화시키는 후행 과정으로 이루어지 때문에 덴탈분말의 조건과 관계없이 균일한 결집력을 보유한 우수한 품질의 덴탈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0. 단일블록 성형단계
S200. 블록 결합단계
S300. 블록 후처리단계

Claims (5)

  1. 서로 상이한 색상의 덴탈분말을 개별 프레싱하여 설정 형상의 블록으로 성형하고, 이를 기설정의 색상 순으로 적층하여 CIP(Cold Isostatic Press)로 일체화하기 위해 프레스의 성형부에 설정 색상의 덴탈분말을 장입한 후 상측과 하측을 동시 가압하여 블록을 색상별로 개별 획득하는 단일블록 성형단계(S100);와, 블록을 기설정 색상 별로 적층한 후 비닐로 진공 포장하고, 진공 포장된 블록을 CIP(Cold Isostatic Press)로 전면 가압하는 블록 결합단계(S200);와, 비닐 포장 제거 및 블록을 열처리하는 블록 후처리단계(S300);로 구성되는 덴탈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일블록 성형단계(S100)는 지르코니아, 알루미나, 리튬 다이시리키트 글라스 세라믹, 티타늄, 레진 중 어느 하나의 소재를 선택한 후 30㎚ 내지 1㎛의 입도로 분쇄하여 덴탈분말을 획득하는 소재 선정단계(S110);와, 덴탈분말에 덴탈용 리퀴드를 첨가하여 설정 색상으로 염색한 후 15~40℃의 자연온도에서 2~3시간 동안 건조하는 자연풍 건조단계(S121)와, 0~140℃의 온도에서 60~70시간 동안 소성하여 염색된 소재의 경도와 강도를 향상시키는 열풍 건조단계(S122)와, 5~15℃의 온도에서 2~3시간 동안 냉각하여 결정의 안정을 유도하는 냉각 건조단계(S123)를 거쳐 건조하는 소재 염색단계(S120);와, 프레스의 성형부 내부로 하부로드를 진입시켜 성형부의 하단을 차폐하는 성형부 세팅단계(S131)와, 성형부에 염색된 덴탈분말을 장입하는 분말 장입단계(S132) 및 성형부의 내부로 하부로드와 상부로드를 동시에 진입시켜 적층된 덴탈분말을 상하 가압하는 분말 성형단계(S133)를 거쳐 덴탈블록을 성형하는 소재 압축단계(S130);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결합단계(S200)는 블록을 설정 형상의 몰드에 진한 색상에서 점차 옅은 색상 순으로 적층 수용시키는 블록 적층단계(S210);와, 블록이 수용된 몰드 전체를 비닐로 씌워 CIP 공정 중 몰드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봉쇄하는 공정과, 비닐 내부에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조성함으로써 CIP 공정 중 블록의 형상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공정을 거치는 진공 포장단계(S220);와, 진공 포장된 블록을 CIP에 투입하여 전면을 프레싱하는 CIP 가압단계(S230);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적층단계(210)에서 몰드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틀로 이루어지고, 틀 내부에는 덴탈블록의 외경과 대응하는 수 개의 수용홀이 복수 배열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의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의해 구성되는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
KR1020220073877A 2022-06-17 2022-06-17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 KR10246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877A KR102465344B1 (ko) 2022-06-17 2022-06-17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877A KR102465344B1 (ko) 2022-06-17 2022-06-17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344B1 true KR102465344B1 (ko) 2022-11-10

Family

ID=84045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877A KR102465344B1 (ko) 2022-06-17 2022-06-17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53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4614A (ko) 2012-07-25 2014-02-06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덴탈 블럭 및 덴탈 블록의 제조 방법
US20150173869A1 (en) * 2012-02-23 2015-06-25 B&D Dental Corporation Non-pre- colored multi-layer zirconia dental blank that has a gradual change in chroma through a thickness after sintering
JP2016527017A (ja) * 2013-07-22 2016-09-08 イフォクレール ヴィヴァデ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Ivoclar Vivadent AG 酸化物セラミックの焼結動力学の制御
US20160332918A1 (en) * 2012-05-26 2016-11-17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Method of Fabricating High Light Transmission Zirconia Blanks for Milling Into Natural Appearance Dental Appliances
KR20170023436A (ko) * 2015-08-24 2017-03-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지르코니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861103B1 (ko) 2018-01-23 2018-05-28 주식회사 디맥스 다색 혼합형 덴탈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JP6930993B2 (ja) * 2016-10-21 2021-09-01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複数色積層歯科用ミルブランク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73869A1 (en) * 2012-02-23 2015-06-25 B&D Dental Corporation Non-pre- colored multi-layer zirconia dental blank that has a gradual change in chroma through a thickness after sintering
US20160332918A1 (en) * 2012-05-26 2016-11-17 James R. Glidewell Dental Ceramics, Inc. Method of Fabricating High Light Transmission Zirconia Blanks for Milling Into Natural Appearance Dental Appliances
KR20140014614A (ko) 2012-07-25 2014-02-06 주식회사 바이오머테리얼즈코리아 덴탈 블럭 및 덴탈 블록의 제조 방법
JP2016527017A (ja) * 2013-07-22 2016-09-08 イフォクレール ヴィヴァデント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Ivoclar Vivadent AG 酸化物セラミックの焼結動力学の制御
KR20170023436A (ko) * 2015-08-24 2017-03-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지르코니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6930993B2 (ja) * 2016-10-21 2021-09-01 クラレノリタケデンタル株式会社 複数色積層歯科用ミルブランク
KR101861103B1 (ko) 2018-01-23 2018-05-28 주식회사 디맥스 다색 혼합형 덴탈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92355B (zh) 具有各层颜色梯度的牙科修复用氧化锆块的制造方法
KR101276616B1 (ko) 색상 구배를 갖는 인공치아용 지르코니아 블록의 제조방법
AU2017237361B2 (en) A method to manufacture a colored blank, and blank
KR101601948B1 (ko) 강도, 투광성,색상 구배를 지닌 치과용 지르코니아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73035B (zh) 氧化物陶瓷的烧结动力学的控制
JP5952381B2 (ja) 多孔性ケイ酸セラミック体、歯科修復物、及びその製造法
CN117064764A (zh) 氧化锆组合物、氧化锆预烧体和氧化锆烧结体、以及齿科用制品
CN102285795A (zh) 牙科复色可切削氧化锆陶瓷及制备方法
CN108697493A (zh) 用于生产牙科修复体的方法
NO178052B (no) Kunstig tannkrone eller tannfylling
CN108495598A (zh) 用于生产坯料的方法、坯料和牙科修复体
CN109771064A (zh) 一种强度、透性及颜色逐层变化的义齿及其制备方法
JP2022543125A (ja) 色と透光性のグラデーションを備えた二酸化ジルコニウムグリーンボディ
CN101917923A (zh) 用于牙齿修复的方法及牙基质
CN110666931A (zh) 多色陶瓷制品及其制备方法
KR101450190B1 (ko) 리튬 디실리케이트를 이용한 치과용 지르코니아 보철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65344B1 (ko)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멀티 레이어 덴탈블록
KR20170023436A (ko) 지르코니아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14477774B (zh) 具有颜色渐变效果的二硅酸锂玻璃陶瓷及其制备方法
US11622918B2 (en) Preform for the production of a dental prosthesis
CN110269705A (zh) 一种义齿制造方法
KR101221026B1 (ko) 크라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크라운
WO2023005435A1 (zh) 一种叠层氧化锆牙科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861103B1 (ko) 다색 혼합형 덴탈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37586A (zh) 牙模渐层瓷块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