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574B1 -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574B1
KR102464574B1 KR1020200142632A KR20200142632A KR102464574B1 KR 102464574 B1 KR102464574 B1 KR 102464574B1 KR 1020200142632 A KR1020200142632 A KR 1020200142632A KR 20200142632 A KR20200142632 A KR 20200142632A KR 102464574 B1 KR102464574 B1 KR 102464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frame
lifting
plat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7704A (ko
Inventor
한애리
최근수
Original Assignee
(유)아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아하산업 filed Critical (유)아하산업
Priority to KR1020200142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57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7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one or more hydraulic or pneumatic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낙상 등의 안전사고 없이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보다 넓고 양호한 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크레인 작업을 할 수 있고, 차량의 무게 중심을 낮추면서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차량 주행의 안전성 및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Vehicle cabin elevating system}
본 발명은 운전자가 낙상 등의 안전사고 없이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보다 넓고 양호한 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크레인 작업을 할 수 있고, 차량의 무게 중심을 낮추면서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차량 주행의 안전성 및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트럭은 트럭의 섀시 위에 지브크레인의 본체를 탑재(搭載)한 이동식 크레인을 일컫는 것으로, 주행용과 크레인용의 원동기를 갖추고 있고, 기동성이 있어 일반 하역용, 건축, 토목공사 현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며, 작업시에는 섀시에 장비된 아우트리거(Outrigger)를 밀어내 바퀴를 뜨게 하여 안정시켜서 들어올리는 하중을 크게 한다.
이와 같은 크레인트럭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중량물의 인양 작업시 붐의 전방으로 하중이 쏠림을 방지하여 작업 안정성을 향상함은 물론 작업반경을 확장한 작업 안전성이 우수한 트럭크레인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08405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08405호 등으로 제안된 크레인트럭의 특성상 차량의 차대 상부에 크레인 장비가 위치하며, 붐 포스트 측면 상단에 조종실이 고정되어 운전자의 크레인 작업 중 차량의 무게중심이 높아 장비의 부담이 가중되며, 운전자가 캐빈에 탑승 시 난간대를 타고 오르는 도중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크레인트럭 주행 중 상단에 고정된 조종실 캐빈으로 인해 공기저항이 증가하여 주행성능 및 주행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08405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낙상 등의 안전사고 없이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보다 넓고 양호한 시야를 확보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크레인 작업을 할 수 있고, 차량의 무게 중심을 낮추면서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차량 주행의 안전성 및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캐빈의 하부에 고정되는 캐빈 지지대와; 상기 캐빈 지지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용 캐빈 및 상기 캐빈 지지대와 함께 승강하는 캐빈 승강부와; 상기 캐빈 승강부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기 캐빈 승강부에 상부가 고정되어 상기 캐빈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캐빈 지지대는 상기 차량용 캐빈의 하부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의 내측에 수직형성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전측 플레이트와; 상기 차량용 캐빈의 하부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의 내측에 수직형성되고, 중간부에 홀이 형성되는 후측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빈 승강부는 일측에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가 상기 차량용 캐빈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타측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전측 승강프레임 및 후측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부가 고정되는 상부 승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보강플레이트 및 제 2보강플레이트와,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3보강플레이트 및 제 4보강플레이트와,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5보강플레이트 및 제 6보강플레이트와,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7보강플레이트 및 제 8보강플레이트와,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9보강플레이트 및 제 10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량용 캐빈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내측 및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과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전측 가이드프레임 및 후측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전측 상부 고정몸체 및 후측 상부 고정몸체와;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와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 사이에 수평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이 통과하는 일측이 개방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상부연결프레임과; 상기 상부연결프레임이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고정프레임과;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전측 하부 고정몸체 및 후측 하부 고정몸체와; 상기 전측 하부 고정몸체와 상기 후측 하부 고정몸체 사이에 수평형성되고, 중간부 상부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부가 고정되는 하부연결프레임과; 상기 하부연결프레임이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내면 및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내면에 각각 슬라이딩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 및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전측가이드바와,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돌출 및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후측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의 전측에서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 및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전측가이드판과,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의 후측에서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 및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후측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일측에 슬라이딩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측가이드판의 타측과 상기 후측가이드판의 타측에 각각 슬라이딩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차량용 캐빈에 운전자가 탑승하고자 할 경우 액츄에이터를 통해 상기 차량용 캐빈을 하강시켜 운전자가 낙상 등의 안전사고 없이 상기 차량용 캐빈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크레인 작업 시에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해 상기 차량용 캐빈을 최대 높이까지 상승시켜 운전자가 보다 넓고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 주행시에는 상기 차량용 캐빈을 하강시켜 차량의 무게중심을 낮추면서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차량 주행의 안전성 및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캐빈 지지대에서 차량용 케빈이 분리 및 캐빈 승강부에서 캐빈 지지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캐빈 지지대, 캐빈 승강부, 가이드부 및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캐빈 지지대와 함께 캐빈 승강부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차량용 캐빈 및 캐빈 지지대와 함께 캐빈 승강부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차량용 캐빈 및 캐빈 지지대와 함께 캐빈 승강부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캐빈 승강부에 구비된 보강플레이트를 캐빈 승강부의 일측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슬라이딩판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5는 슬라이딩바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캐빈 지지대에서 차량용 케빈이 분리 및 캐빈 승강부에서 캐빈 지지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캐빈 지지대(10), 캐빈 승강부(20), 가이드부(30) 및 액츄에이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캐빈 지지대(10)는 차량용 캐빈(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캐빈 지지대(10)의 상부에 상기 차량용 캐빈(3)의 하부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캐빈 지지대(10)는 상기 차량용 캐빈(3)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캐빈 지지대(10)가 안착지지하는 상기 차량용 캐빈(3)의 내부에는 운전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3a)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캐빈 승강부(20)의 일측 상부에 상기 캐빈 지지대(10)가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빈 승강부(20)는 상기 차량용 캐빈(3) 및 상기 캐빈 지지대(10)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캐빈 승강부(20)의 승강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액츄에이터(40)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부(30)에 고정 및 상기 액츄에이터(40)의 상부가 상기 캐빈 승강부(2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액츄에이터(40)는 상기 캐빈 승강부(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캐빈 지지대(10)는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110), 전측 플레이트(120),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130) 및 후측 플레이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110)는 상기 차량용 캐빈(3)의 하부 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플레이트(120)는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110)의 내측에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플레이트(120)의 중앙에는 상기 차량용 캐빈(3)의 승강운동시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110)에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130)는 상기 차량용 캐빈(3)의 하부 후측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플레이트(140)는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130)의 내측에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13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플레이트(140)의 중앙에는 상기 차량용 캐빈(3)의 승강운동시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130)에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상쇄시키기 위한 홀(1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캐빈 지지대, 캐빈 승강부, 가이드부 및 액츄에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캐빈 승강부(20)의 자중 및 안전율을 반영하여 상기 캐빈 승강부(20)가 진동 및 하중으로부터 상기 차량용 캐빈(3)을 보다 견고히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캐빈 승강부(20)는 일예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 플레이트(210)와 승강프레임(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일측 상부에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110)와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130)가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10)의 타측과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130)의 타측이 각각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일측 상부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220)은 크게, 전측 승강프레임(221), 후측 승강프레임(222) 및 상부 승강프레임(2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과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은 상기 승강플레이트(2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과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과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4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유압실린더 등 다양한 종류의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420)의 상부는 상기 사부 승강프레임(223)의 상부 내측에 축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부(30)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상기 가이드부(30)가 상기 차량용 캐빈(3)의 전후좌우 4방향으로부터의 굽힙과 비틀림에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30)는 일예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 가이드프레임(301), 후측 가이드프레임(302), 전측 상부 고정몸체(303), 후측 상부 고정몸체(304), 상부연결프레임(305), 상부고정프레임(306), 전측 하부 고정몸체(307), 후측 하부 고정몸체(308), 하부연결프레임(309) 및 하부고정프레임(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301)은 상기 차량용 캐빈(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301)은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승강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302)은 상기 차량용 캐빈(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302)은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승강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303)의 내부에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301)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303)는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301)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304)의 내부에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302)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304)는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302)의 상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프레임(305)은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303)와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304) 사이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연결프레임(305)의 중간부에는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이 상기 차량용 캐빈(3)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통과하는 가이드슬릿(30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305a)의 일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06)의 일측 상부에 상기 상부연결프레임(305)이 일정높이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06)의 타측은 일예로, 크레인 트럭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구비된 스윙 포스트의 측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 하부 고정몸체(307)의 내부에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301)의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전측 하부 고정몸체(307)는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301)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 하부 고정몸체(308)의 내부에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302)의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후측 하부 고정몸체(308)는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302)의 하부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프레임(309)은 상기 전측 하부 고정몸체(307)와 상기 후측 하부 고정몸체(308) 사이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연결프레임(309)의 중간부 상부에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실린더몸체(410)의 하부가 축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10)의 일측에 상기 하부연결프레임(309)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10)이 상기 상부고정프레임(306)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고정프레임(310)의 타측은 일예로, 크레인 트럭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구비된 스윙 포스트의 측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캐빈 지지대와 함께 캐빈 승강부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차량용 캐빈 및 캐빈 지지대와 함께 캐빈 승강부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정면도이고, 도 10은 차량용 캐빈 및 캐빈 지지대와 함께 캐빈 승강부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420)의 길이신축에 따라 도 7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캐빈 승강부(20) 및 상기 캐빈 지지대(10)와 함께 상기 차량용 캐빈(3)이 상승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캐빈(3)에 운전자가 탑승하고자 할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40)를 통해 상기 차량용 캐빈(3)을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강시켜 운전자가 낙상 등의 안전사고 없이 상기 차량용 캐빈(3)에 안전하게 탑승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크레인 작업 시에는 상기 액츄에이터(40)를 통해 상기 차량용 캐빈(3)을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대 높이까지 상승시켜 운전자가 보다 넓고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캐빈 승강부에 구비된 보강플레이트를 캐빈 승강부의 일측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캐빈 승강부(20)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도 11 내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캐빈 승강부(20)에 보강플레이트(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플레이트(50)는 제 1보강플레이트(501), 제 2보강플레이트(502), 제 3보강플레이트(503), 제 4보강플레이트(504), 제 5보강플레이트(505), 제 6보강플레이트(506), 제 7보강플레이트(507), 제 8보강플레이트(508), 제 9보강플레이트(509) 및 제 10보강플레이트(510)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강플레이트(501) 및 상기 제 2보강플레이트(502)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일측 하부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강플레이트(501)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제 2보강플레이트(502)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3보강플레이트(503) 및 상기 제 4보강플레이트(504)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전측에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보강플레이트(503)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제 4보강플레이트(504)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5보강플레이트(505) 및 상기 제 6보강플레이트(506)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5보강플레이트(505)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제 6보강플레이트(506)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7보강플레이트(507) 및 상기 제 8보강플레이트(508)는 도 11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7보강플레이트(507)의 일측과 타측 및 상기 제 8보강플레이트(508)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 9보강플레이트(509) 및 상기 제 10보강프레이트(510)는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9보강플레이트(509)의 전측과 후측 및 상기 제 10보강플레이트(510)의 전측과 후측은 각각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될 수 있다.
도 14는 슬라이딩판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 및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원활한 승강운동을 위해,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내면 및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내면에는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외면 및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외면에 각각 면접촉되는 슬라이딩판(60)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은 일예로, 제 1전측판(221a), 제 1후측판(221b) 및 제 1타측판(221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전측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타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되어 상기 제 1전측판(221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판(221b)이 상기 제 1전측판(221a)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 1후측판(221b)의 일측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타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후측판(221b)의 타측이 상기 제 1후측판(221b)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되어 상기 제 1타측판(221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60)은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전측 내면, 후측 내면 및 타측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타측 내면과 마주보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타측면에도 상기 슬라이딩판(60)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은 일예로, 제 2후측판(222a), 제 2전측판(222b) 및 제 2타측판(222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후측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되어 상기 제 2후측판(222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판(222b)이 상기 제 2후측판(222a)의 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제 2전측판(222b)의 일측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타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전측판(222b)의 타측이 상기 제 2전측판(222b)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절곡되어 상기 제 2타측판(222c)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60)은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전측 내면, 후측 내면 및 타측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222)의 타측 내면과 마주보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10)의 타측면에도 상기 슬라이딩판(60)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60)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슬라이딩이 우수하고,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모노캐스트 나일론(Mono Cast Nylon)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는 슬라이딩바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캐빈 승강부(20)의 상부 승강프레임(222)의 원활한 승강운동을 위해 도 6, 도 11 내지 도 13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에 가이드바(70)가 구비되고,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304)와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303)에 가이드판(8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70)는 일예로, 전측가이드바(710)와 후측가이드바(7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가이드바(710)는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전측에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가이드바(720)는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후측에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80)은 일예로, 전측가이드판(810)과 후측가이드판(8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가이드판(810)은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304)의 전측면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슬릿(305a)의 후측부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304)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가이드판(820)은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303)의 전측면의 반대측인 후측면 일측에서 상기 가이드슬릿(305a)의 전측부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30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이 보다 더욱 원할하게 승강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1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일측 중간부에 슬라이딩바(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일측 중간부에는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지지판(223a)이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223a)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223)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상기 슬라이딩바(9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차량용 캐빈(3)의 타측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측가이드판(8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상기 후측가이드판(8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상기 전측가이드판(810) 및 상기 후측가이드판(820)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되어 상기 전측가이드바(710) 및 상기 후측가이드바(720)와 면접촉되는 상기 슬라이딩바(90)가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속도감지부(300), 승강감지부(400) 및 제어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속도감지부(300)는 크레인 트럭 등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타코미터 속도계 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감지부(400)는 일예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승강감지부(401)와 하부승강감지부(4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승강감지부(401)는 상기 가이드부(3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303)의 전측면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승강감지부(402)는 상기 가이드부(3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 하부 고정몸체(307)의 전측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승강감지부(401)가 상기 캐빈 승강부(20)의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상부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420)의 길이가 최대로 늘어나 상기 차량용 캐빈(3)이 최대높이로 상승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승강감지부(402)가 상기 캐빈 승강부(20)의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하부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420)의 길이가 최대로 줄어들어 상기 차량용 캐빈(3)의 완전하강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승강감지부(401)와 하부승강감지부(4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상기 승강감지부(400)는 포텐셔미터 등 등의 위치감지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승강감지부(401)가 상기 캐빈 승강부(20)의 전측 승강프레임(221)의 상부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속도감지부(300)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차량이 주행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420)의 길이가 줄어들어 상기 차량용 캐빈(3)이 완전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주행시에 상기 차량용 캐빈(3)을 하강시켜 차량의 무게중심을 낮추면서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차량 주행의 안전성 및 주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속도감지부(300)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차량이 정지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420)의 길이가 늘어나 상기 차량용 캐빈(3)이 최대높이로 상승할 수 있도록 상기 액츄에이터(40)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를 제어할 수 있다.
10; 캐빈 지지대, 20; 캐빈 승강부,
30; 가이드부, 40; 액츄에이터.

Claims (10)

  1. 차량용 캐빈의 하부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의 내측에 수직형성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전측 플레이트와, 상기 차량용 캐빈의 하부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의 내측에 수직형성되고, 중간부에 홀이 형성되는 후측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차량용 캐빈의 하부에 고정되는 캐빈 지지대와;
    상기 캐빈 지지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용 캐빈 및 상기 캐빈 지지대와 함께 승강하는 캐빈 승강부와;
    상기 캐빈 승강부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기 캐빈 승강부에 상부가 고정되어 상기 캐빈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캐빈 승강부는 일측에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가 상기 차량용 캐빈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타측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전측 승강프레임 및 후측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부가 고정되는 상부 승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 하부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보강플레이트 및 제 2보강플레이트와,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3보강플레이트 및 제 4보강플레이트와,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5보강플레이트 및 제 6보강플레이트와,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7보강플레이트 및 제 8보강플레이트와,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전측과 후측이 각각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타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9보강플레이트 및 제 10보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2. 차량용 캐빈의 하부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의 내측에 수직형성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전측 플레이트와, 상기 차량용 캐빈의 하부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의 내측에 수직형성되고, 중간부에 홀이 형성되는 후측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차량용 캐빈의 하부에 고정되는 캐빈 지지대와;
    상기 캐빈 지지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용 캐빈 및 상기 캐빈 지지대와 함께 승강하는 캐빈 승강부와;
    상기 캐빈 승강부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기 캐빈 승강부에 상부가 고정되어 상기 캐빈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캐빈 승강부는 일측에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가 상기 차량용 캐빈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타측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전측 승강프레임 및 후측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부가 고정되는 상부 승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량용 캐빈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내측 및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과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전측 가이드프레임 및 후측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와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고정되는 전측 상부 고정몸체 및 후측 상부 고정몸체와;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와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 사이에 수평형성되고, 중간부에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이 통과하는 일측이 개방된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는 상부연결프레임과;
    상기 상부연결프레임이 일측에 형성되는 상부고정프레임과;
    상기 전측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후측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 각각 고정되는 전측 하부 고정몸체 및 후측 하부 고정몸체와;
    상기 전측 하부 고정몸체와 상기 후측 하부 고정몸체 사이에 수평형성되고, 중간부 상부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하부가 고정되는 하부연결프레임과;
    상기 하부연결프레임이 일측에 형성되는 하부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3. 차량용 캐빈의 하부 전측에 구비되는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의 내측에 수직형성되고 중앙에 홀이 형성되는 전측 플레이트와, 상기 차량용 캐빈의 하부 후측에 구비되는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상기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의 내측에 수직형성되고, 중간부에 홀이 형성되는 후측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차량용 캐빈의 하부에 고정되는 캐빈 지지대와;
    상기 캐빈 지지대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차량용 캐빈 및 상기 캐빈 지지대와 함께 승강하는 캐빈 승강부와;
    상기 캐빈 승강부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하부가 고정되고, 상기 캐빈 승강부에 상부가 고정되어 상기 캐빈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캐빈 승강부는 일측에 상기 전측 하부 캐빈 지지대와 후측 하부 캐빈 지지대가 상기 차량용 캐빈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타측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전측 승강프레임 및 후측 승강프레임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부가 고정되는 상부 승강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승강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전측 승강프레임의 내면 및 상기 후측 승강프레임의 내면에 각각 슬라이딩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전측에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 및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전측가이드바와,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후측에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돌출 및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후측가이드바로 구성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의 전측에서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 및 상기 후측 상부 고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전측가이드판과,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의 후측에서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 및 상기 전측 상부 고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후측가이드판으로 구성되는 가이드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승강프레임의 일측에 슬라이딩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측가이드판의 타측과 상기 후측가이드판의 타측에 각각 슬라이딩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42632A 2020-10-30 2020-10-30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KR102464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32A KR102464574B1 (ko) 2020-10-30 2020-10-30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632A KR102464574B1 (ko) 2020-10-30 2020-10-30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04A KR20220057704A (ko) 2022-05-09
KR102464574B1 true KR102464574B1 (ko) 2022-11-09

Family

ID=8158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632A KR102464574B1 (ko) 2020-10-30 2020-10-30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5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196A (ja) * 2011-07-12 2013-01-31 Sekisui Chem Co Ltd 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KR101458203B1 (ko) * 2014-05-18 2014-11-04 임돈빈 레일 프레임 구조의 싱글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크레인 조종석 승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405B1 (ko) 2015-08-07 2016-04-01 이텍티디에이 주식회사 작업 안정성이 우수한 트럭크레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9196A (ja) * 2011-07-12 2013-01-31 Sekisui Chem Co Ltd 付帯構造物及びユニット建物
KR101458203B1 (ko) * 2014-05-18 2014-11-04 임돈빈 레일 프레임 구조의 싱글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크레인 조종석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704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18473A (en) Material handling equipment operator's cab mounting
CN102020211B (zh) 平衡装置及包含该平衡装置的起重机
KR102464574B1 (ko) 차량용 캐빈 승하강 시스템
KR100639721B1 (ko) 자주식 작업 기계
CN1785775A (zh) 电梯的导轮的设置
KR20190000753U (ko) 차량 크레인
US4002242A (en) Vehicle cranes
KR101458203B1 (ko) 레일 프레임 구조의 싱글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크레인 조종석 승강장치
CN210682973U (zh) 改善工字梁承重能力的起重机行走架
JPH05319792A (ja) フォークリフトにおけるチェーンプロテクタ
JP2000203777A (ja) 油圧エレベ―タ
CN220599457U (zh) 一种道路临时围挡
CN115139716B (zh) 一种复合空气悬架提升系统及汽车
CN111232064A (zh) 一种驾驶室前悬置结构及汽车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JP4994201B2 (ja) 建設機械のラダー取り付け構造
CN212450332U (zh) 一种升降操作平台装置及起重运输车
KR20160073250A (ko) 지게차 마스트 조립체의 유압 호스 마운팅 구조
JP4215242B2 (ja) フォークリフト
CN216034648U (zh) 一种工程车辆的底盘以及工程车辆
CN220010925U (zh) 一种立柱结构以及立柱堆垛机
JP4994964B2 (ja) 建設機械
CN220078509U (zh) 一种伸缩臂叉装车
CN214326859U (zh) 一种无机房曳引机布置结构
CN216583684U (zh) 一种新型防震轿厢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