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873B1 - 도포재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도포재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873B1
KR102462873B1 KR1020200147774A KR20200147774A KR102462873B1 KR 102462873 B1 KR102462873 B1 KR 102462873B1 KR 1020200147774 A KR1020200147774 A KR 1020200147774A KR 20200147774 A KR20200147774 A KR 20200147774A KR 102462873 B1 KR102462873 B1 KR 10246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material
coating
discharge pipe
predetermined range
material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1610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873B1/ko
Priority to PCT/KR2021/016056 priority patent/WO2022098161A1/ko
Publication of KR2022006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도포재 시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는, 피도면에 도포된 도포재를 펼쳐 균일한 도포층을 형성시키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도포부재; 상기 도포재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재에 인접 배치되는 도포재 배출관 및 상기 도포재 배출관에 상기 도포재가 공급되도록 도포재 공급부와 상기 도포재 배출관을 연결하는 도포재 공급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포재 시공 장치{APPARATUS FOR APPLYING COATING MATERIAL}
본 발명은 도포재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도면에 도포된 도포재를 펼쳐 도포층을 형성시켜주는 도포재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피도면(예를 들면, 옥상, 공장 등의 바닥면)에 도포재(예를 들면, 우레탄 방수재)를 도포할 때, 작업자가 직접 도포재를 피도면에 부은 뒤 레기를 이용하여 도포재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종래의 방식에 따라 도포재를 도포할 경우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도포재를 운반하여 피도면에 직접 부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도포재의 도포 두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포 두께에 따라 날의 길이가 다른 레기를 사용해야할 뿐만 아니라 도포 두께가 얇은 경우 레기의 날에 의해 형성된 무늬가 도포재의 경화 후에도 잔존하여 미관상의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피도면에 도포재를 시공할 때, 도포재의 자동 공급 및 도포재의 균일한 분산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도포재 시공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4025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도면에 도포재를 시공할 때, 도포재의 자동 공급 및 도포재의 균일한 분산이 가능한 도포재 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도면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두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도포재 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포재에 의해 피도면에 형성되는 도포면을 매끄럽게 형성시키는 도포재 시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도면에 도포된 도포재를 펼쳐 균일한 도포층을 형성시키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도포부재; 상기 도포재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재에 인접 배치되는 도포재 배출관 및 상기 도포재 배출관에 상기 도포재가 공급되도록 도포재 공급부와 상기 도포재 배출관을 연결하는 도포재 공급관을 포함하는 도포재 시공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는 상기 도포재 배출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도포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출공은 하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재 배출관과 상기 도포재 공급관의 연결 부위는 상기 도포재 배출관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출공은 상기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연결 부위에서 소정 범위 내인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범위 내인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서 양측에서 외측 단부까지의 제 3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에서의 상기 배출공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부분에서의 상기 배출공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연결 부위에서 소정 범위 내인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범위 내인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서 양측에서 외측 단부까지의 제 3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에서의 상기 배출공의 직경은 상기 제 2 부분에서의 상기 배출공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도포재 배출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도포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슬릿은 하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재 배출관과 상기 도포재 공급관의 연결 부위는 상기 도포재 배출관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연결 부위에서 소정 범위 내인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범위 내인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서 양측에서 외측 단부까지의 제 3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에서의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 2 부분에서의 상기 슬릿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부분에서 상기 슬릿은 길이 방향 양단부가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재 시공 장치는, 상기 도포부재의 하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는 도포 두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포 두께 조절부는 상기 도포부재에 2개 이상 결합되되, 상기 도포부재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 두께 조절부는 상기 도포부재의 하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 고정된 상태에서 말단이 상기 피도면과 접촉하는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 두께 조절부는 상기 도포부재의 하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피도면과 접촉하며 상기 도포부재의 진행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의 하단 모서리는 적어도 일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는 길이 방향 양 단부에서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재 공급관은 상기 도포재 배출관과 연결되기 전에 분지되며, 상기 도포재 공급관과 상기 도포재 배출관과의 연결 부위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포재 배출관을 통한 도포재의 자동 공급이 가능하면, 도포부재를 통해 자동 공급되는 도포재를 피도면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포 두께 조절부를 통해 피도면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도포부재의 하단 모서리로 인하여 도포재에 의해 피도면에 형성되는 도포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를 통한 도포재 시공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의 도포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의 도포부재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의 도포부재의 서로 다른 변형예들의 하면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의 도포재 공급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의 도포 두께 조절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도면 상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정하여진 상대적인 용어들로서 배향에 따라 위치 관계는 반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는 피도면(예를 들면, 바닥면)에 도포재(예를 들면, 우레탄 방수재)를 도포할 때, 도포재를 자동으로 공급하며, 피도면에 도포재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게 해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는 도포재 시공 시 도포재의 자동 공급 및 도포재의 균일한 분산을 위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는 도포부재(10), 도포재 배출관(20), 도포재 공급관(30) 및 도포 두께 조절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부재(10)는 피도면에 도포(토출)된 도포재를 펼쳐 균일한 도포층을 형성시키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부재(10)는 블레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포재의 점도 등의 물성에 따라 도포부재(10)는 부드러운 솔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부재(10)는 하단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포부재(10)의 하단 모서리는 피도면에 도포된 도포재를 가압하며 분산시키는 부분이다. 따라서 도포부재(10)의 하단 모서리가 평평하게 형성될 경우 도포재의 분산이 더욱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에는 도포재 시공 시 도포재의 분산을 위해 톱니 형태의 날을 가지는 레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로 인하여 도포면에 레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레기의 날로 인한 선형 무늬가 형성되고, 도포면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도포재의 경화 후에도 그 무늬가 완전히 없어지지 않고 잔존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라 도포부재(10)의 하단 모서리의 적어도 일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될 경우 도포부재(10)에 의해 형성되는 무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부재(10)와 피도면 사이의 간격(도포재의 도포 두께에 상응할 수 있음)은 후술할 도포재 두께 조절부(40)에 의해 확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도면에 토출된 도포재를 도포부재(10)를 통해 분산시킬 때, 도포부재(10)는 그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포부재(10)는 일방향(D1)으로 이동하며 도포재를 분산시키고, 소정 거리 측방(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어서, 도포부재(10)는 타방향(D3)으로 이동하며 도포재를 분산시키고, 다시 소정 거리 측방으로 이동(D4)하고, 다시 일방향(D5)으로 이동하며 도포재를 분산시키고, 다시 소정 거리 측방으로 이동(D6)한 뒤, 타방향(D7)으로 이동하며 도포재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도포부재(10)의 진행 영역은 시공 누락 영역의 발생 방지를 위하여 소정 범위 내에서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포부재(10)를 길이 방향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소정 범위 내의 중심 구간(A1)과 중심 구간(A1) 외측의 단부 구간(A2)으로 구분할 때, 도포부재(10)는 단부 구간(A2)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중첩 영역을 형성하며 진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부재(10)는 길이 방향 양 단부에서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드(12)를 구비할 수 있다. 가드(12)는 도포부재(10)가 도포재를 분산시키며 진행할 때, 도포부재(10)의 양측으로 도포재가 넘어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중첩 영역에 도포재가 과도하게 몰리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도포재 배출관(20)은 도포재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21)를 구비한다. 도포재 배출관(20)은 도포재 공급부(미도시)에서 공급되는 도포재를 도포재 공급관(30)을 통해 공급받고, 배출부(21)를 통해 도포재를 피도면으로 토출한다.
도포재 배출관(20)은 도포부재(10)에 인접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재 배출관(20)은 도포부재(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배출부(21)는 도포재 배출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배출공은 하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포재 배출관(20)과 도포재 공급관(30)의 연결 부위는 도포재 배출관(20)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배출부(21) 즉, 상기 다수개의 배출공은 상기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재 배출관(20)은 상기 연결 부위에서 소정 범위 내인 제 1 부분(S1)과, 제 1 부분(S1)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범위 내인 제 2 부분(S2)과, 제 2 부분(S2)의 양측에서 외측 단부까지의 제 3 부분(S3)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때, 제 1 부분(S1)에서의 배출공 사이의 간격(d1) 및 제 3 부분(S3)에서의 배출공 사이의 간격(d3)은 제 2 부분(S2)에서의 배출공 사이의 간격(d2)에 비하여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포부재(10)는 길이 방향 양측 단부 구간(A2)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중첩 영역을 형성하며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중첩되는 영역에는 도포재 역시 중첩적으로 토출되므로, 도포부재(10)의 단부 구간(A2)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도포재 배출관(20)의 제 3 부분(S3)에서는 도포재의 배출량이 감소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도포재 배출관(20)의 배출부(21)가 균일한 직경의 배출공으로 이루어질 때, 제 3 부분(S3)에서의 배출공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포부재(10)의 중심 구간(A1)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도포재가 중첩 토포되지 않으므로, 도포부재(10)의 중심 구간(A1)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도포재 배출관(20)의 제 1 부분(S1) 및 제 2 부분(S2)에서는 상대적으로 도포재의 배출량이 많아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부분(S1)은 도포재 공급관(30)과의 연결 부위에 인접하여 있으므로 도포재가 상대적으로 과다하게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재 배출관(20)의 배출부(21)가 균일한 직경의 배출공으로 이루어질 때, 도포재의 배출량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 제 1 부분(S1)에서의 배출공 사이의 간격(d1)은 제 2 부분(S2)에서의 배출공 사이의 간격(d2)에 비하여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부분(S1)에서의 배출공 사이의 간격(d1)은 제 3 부분(S3)에서의 배출공 사이의 간격(d3)과 동일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재 배출관(20)의 배출부(21)는 다수개의 배출공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부분(S1), 제 2 부분(S2) 및 제 3 부분(S3)에서 배출공 사이의 간격은 균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도포부재(10)의 진행 시 중첩 영역의 형성, 제 1 부분(S1)에서의 도포재 과다 공급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제 1 부분(S1) 및 제 3 부분(S3)에서의 배출공의 직경은 제 2 부분(S2)에서의 배출공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포재 배출관(20)의 배출부(21)는 도포재 배출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포재 배출관(20)은 도포부재(10)와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슬릿은 하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포재 배출관(20)과 도포재 공급관(30)의 연결 부위는 도포재 배출관(20)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대칭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포재 배출관(20)은 상기 연결 부위에서 소정 범위 내인 제 1 부분(S1)과, 제 1 부분(S1)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범위 내인 제 2 부분(S2)과, 제 2 부분(S2)에서 양측으로 외측 단부까지의 제 3 부분(S3)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 1 부분(S1)에서의 슬릿의 폭(W1) 및 제 3 부분(S3)에서의 슬릿의 폭(W3)은 제 2 부분(S2)에서의 슬릿의 폭(W2)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부분(S1)에서의 슬릿의 폭(W1)은 제 3 부분(S3)에서의 슬릿의 폭(W3)과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의 폭은 경계를 기준으로 계단식으로 증감할 수도 있지만, 도 7을 참조하면, 슬릿의 폭은 제 1 부분(S1), 제 2 부분(S2) 및 제 3 부분(S3)의 경계 부근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제 3 부분(S3)에서 슬릿은 길이 방향 양단부가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도포재 배출관(20)의 부분별 슬릿 폭의 차이는 도포부재(10)의 진행 시 형성되는 중첩 영역과, 도포재 배출관(20)의 제 1 부분(S1)에서의 도포재 과다 공급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도포재가 배출부(21)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포재 공급관(30)은 도포재 배출관(20)에 도포재가 공급되도록 도포재 공급부(미도시)와 도포재 배출관(20)을 연결한다. 도포재 공급관(30)은 도포재 배출관(20)으로의 도포재 공급이 가능한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재 공급관(30)은 사용자가 도포부재(10)를 진행시키기 위한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포재 공급관(30)은 도포부재(10)의 손잡이에 내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재 공급관(30)은 도포재 배출관(20)과 연결되기 전에 분지되며, 도포재 공급관(30)과 도포재 배출관(20)과의 연결 부위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도포재 공급관(30)이 제 1 분지관(30a)과 제 2 분지관(30b)으로 분지될 수 있으며, 제 1 분지관(30a)과 제 2 분지관(30b)이 도포재 배출관(20)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도포재 배출관(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포재 배출관(20)의 길이 방향에 걸쳐 도포재 공급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포재 배출관(20)의 제 1 부분(S1)에 형성된 배출부(21)와 제 2 부분(S2)에 형성된 배출부(21)를 차이를 두지 않고 균일하게 형성하더라도 도포재의 배출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포 두께 조절부(40)는 도포부재(10)의 하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 고정 가능하도록 도포부재(10)에 결합된다. 도포 두께 조절부(40)는 도포부재(10)의 하부를 피도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피도면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높이 즉, 도포 두께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 두께 조절부(40)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돌출 정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포 두께 조절부(40)는 도포부재(10)의 하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 고정된 상태에서 말단이 피도면과 접촉하는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포 두께 조절부(40)의 돌출 정도에 따라 도포부재(10)의 하단 모서리와 피도면 사이의 간격이 설정될 수 있다. 도포 두께 조절부(40)의 돌출 정도는 원하는 도포층의 두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포 두께 조절부(40)는 도포부재(10)에 2개 이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포 두께 조절부(40)는 도포부재(10)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포 두께 조절부(40)는 도포부재(10)의 하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 고정된 상태에서 피도면과 접촉하며 도포부재(10)의 진행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포 두께 조절부(40)의 돌출 정도는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포 두께 조절부(40)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돌출 길이의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한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피도면과 접촉하는 롤러의 접촉부(40a)는 반경 방향 외측이 좁게 형성된 첨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접촉부(40a)와 피도면의 접촉 면적이 커지면 도포면에 접촉부(40a)의 흔적이 남을 수 있으므로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접촉부(40a)는 첨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포재 시공 장치는 작업자가 직접 도포재를 피도면에 부은 후 레기 등을 이용하여 도포재를 분산시키는 종래 도포재 도포 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도포재의 자동 공급 및 도포재의 균일한 분산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도포부재
20: 도포재 배출관
30: 도포재 공급관
40: 도포 두께 조절부

Claims (18)

  1. 피도면에 도포된 도포재를 펼쳐 균일한 도포층을 형성시키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도포부재;
    상기 도포재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배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포부재에 인접 배치되는 도포재 배출관;
    상기 도포재 배출관에 상기 도포재가 공급되도록 도포재 공급부와 상기 도포재 배출관을 연결하는 도포재 공급관 및
    상기 도포부재의 하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 고정 가능하도록 상기 도포부재에 결합되는 도포 두께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 두께 조절부는 상기 도포부재의 하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돌출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피도면과 접촉하며 상기 도포부재의 진행에 따라 회전하되 상기 피도면과의 접촉부는 첨부로 형성된 롤러를 포함하는 도포재 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도포재 배출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으로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도포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출공은 하방향으로 배향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 배출관과 상기 도포재 공급관의 연결 부위는 상기 도포재 배출관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배출공은 상기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대칭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연결 부위에서 소정 범위 내인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범위 내인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서 양측에서 외측 단부까지의 제 3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에서의 상기 배출공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부분에서의 상기 배출공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연결 부위에서 소정 범위 내인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범위 내인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서 양측에서 외측 단부까지의 제 3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에서의 상기 배출공의 직경은 상기 제 2 부분에서의 상기 배출공의 직경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도포재 배출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으로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도포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슬릿은 하방향으로 배향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 배출관과 상기 도포재 공급관의 연결 부위는 상기 도포재 배출관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슬릿은 상기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대칭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 배출관은 상기 연결 부위에서 소정 범위 내인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양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범위 내인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서 양측에서 외측 단부까지의 제 3 부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에서의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제 2 부분에서의 상기 슬릿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에서 상기 슬릿은 길이 방향 양단부가 말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 두께 조절부는 상기 도포부재에 2개 이상 결합되되, 상기 도포부재의 길이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의 하단 모서리는 적어도 일부분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는 길이 방향 양 단부에서 소정의 높이와 폭을 가지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가드를 구비하는 도포재 시공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재 공급관은 상기 도포재 배출관과 연결되기 전에 분지되며, 상기 도포재 공급관과 상기 도포재 배출관과의 연결 부위는 2개 이상 형성되는 도포재 시공 장치.
KR1020200147774A 2020-11-06 2020-11-06 도포재 시공 장치 KR102462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774A KR102462873B1 (ko) 2020-11-06 2020-11-06 도포재 시공 장치
PCT/KR2021/016056 WO2022098161A1 (ko) 2020-11-06 2021-11-05 도포재 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7774A KR102462873B1 (ko) 2020-11-06 2020-11-06 도포재 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1610A KR20220061610A (ko) 2022-05-13
KR102462873B1 true KR102462873B1 (ko) 2022-11-04

Family

ID=8145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7774A KR102462873B1 (ko) 2020-11-06 2020-11-06 도포재 시공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2873B1 (ko)
WO (1) WO202209816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4210A (ja) * 2004-03-15 2005-09-22 Tokyo Electron Ltd 塗布膜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02749B1 (ko) * 2010-04-13 2010-12-21 주식회사 한영에버콘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KR101822549B1 (ko) * 2016-11-04 2018-01-26 현대건설 주식회사 파라핀 코팅 시공장치
KR102075519B1 (ko) * 2019-08-26 2020-03-02 주식회사 유선테크 non-MOCA Type의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엠보층을 갖는 바닥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349B1 (ko) * 2003-05-28 2010-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포 장치
KR20070055467A (ko) * 2007-05-09 2007-05-30 박우형 윤활제 도포장치
KR20130074025A (ko) 2011-12-26 2013-07-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도료 자동공급기능을 갖는 도장장치
KR20190076848A (ko) * 2017-12-22 2019-07-02 김영모 미장재료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4210A (ja) * 2004-03-15 2005-09-22 Tokyo Electron Ltd 塗布膜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002749B1 (ko) * 2010-04-13 2010-12-21 주식회사 한영에버콘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KR101822549B1 (ko) * 2016-11-04 2018-01-26 현대건설 주식회사 파라핀 코팅 시공장치
KR102075519B1 (ko) * 2019-08-26 2020-03-02 주식회사 유선테크 non-MOCA Type의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엠보층을 갖는 바닥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8161A1 (ko) 2022-05-12
KR20220061610A (ko) 202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5719B1 (en) Screed device in a road-paving vehicle such as asphalt finisher
JPH10328585A (ja) 連続面体に液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添加媒体を施す方法と装置
JPH08330258A (ja) 化学機械研磨に使用するリンス・スプレー・バー
KR102462873B1 (ko) 도포재 시공 장치
EP1262244B1 (en) Film coating nozzl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ating compressor piston using the same
KR20160115707A (ko) 슬릿 노즐, 도포 방법, 및 도포 장치
US20010022155A1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dhesive to materials such as strands
JP2002126596A (ja) シート状等の被塗物に液体を塗布する装置及び方法
JPH02233172A (ja) 塗工装置及び巻取紙塗布方法
KR101737683B1 (ko) 다이 코터용 유량조절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 장치
US64685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of a liquid or pasty medium onto a passing substrate
JPH10328597A (ja) 多孔性材料ウェブへの薄いコーティング塗料層の塗布装置
EP0091716A1 (en) System adapted to distribute a viscous substance
JP2020138134A (ja) フィルムアプリケータ
CN103752450A (zh) 喷涂设备
JP2016112486A (ja) ストライプコート塗装ツールとそれを備えた塗装装置
KR102659536B1 (ko) 강판의 도유 장치
KR20160115420A (ko) 다이 코터
KR101790471B1 (ko) 도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포방법
US6053376A (en) Line marking shoe
KR102199438B1 (ko) 발포우레탄 디스펜싱 어댑터
JP3351297B2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材の塗布方法
JP3739649B2 (ja) 塗布ノズル
JP2021030151A (ja) 塗装方法およびその塗装方法に用いられる展延具
EP0285217A1 (en) Device for distributing a medium on a substrate; method for coating a substrate with a medium; substrate coated with use of th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