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749B1 -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749B1
KR101002749B1 KR1020100033819A KR20100033819A KR101002749B1 KR 101002749 B1 KR101002749 B1 KR 101002749B1 KR 1020100033819 A KR1020100033819 A KR 1020100033819A KR 20100033819 A KR20100033819 A KR 20100033819A KR 101002749 B1 KR101002749 B1 KR 101002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tand
support
liqui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창열
윤형원
신희정
이주호
박순전
장성훈
김정진
김광기
문형재
이상현
강성욱
김우재
이종인
김현배
허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에버콘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주식회사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에버콘,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롯데건설 주식회사,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에버콘
Priority to KR102010003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1Spray pistols,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액상제를 도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노즐체(15)의 양측으로 주행용 바퀴(17)를 구비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에 하부대(22)와 상부대(24)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액상제가 공급되는 연결구(25)를 일측에 구비하는 조작대(20); 및 상기 조작대(20)에 설치되는 조작레버(41)로 하부대(22)와 상부대(24)의 각도를 변동하여 핸들(2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하부대(22)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원판(32)과, 상부대(24)의 하단에 지지대(4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덮개(34)와, 고정원판(32)에 맞물리도록 회전덮개(34)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토퍼(45)와, 스토퍼(4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42)와, 지지대(42)를 통하여 스토퍼(45)와 조작레버(41)를 연결하는 와이어(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마감에 사용되는 각종 액상제를 다양한 자세로 이동하면서 균일한 두께로 신속하게 도포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과 공수절감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Apparatus for uniformly coating liquid material on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마감에 사용되는 각종 액상제를 이동하면서 균일한 두께로 신속하게 도포할 수 있는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방수제, 도료, 접착제 등의 액상제 처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와 관련된 작업은 부분적으로 기계를 도입하지만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한다.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액상제의 물성, 작업자의 습성, 도포 대상물의 조건 등에 따라 도포 결과에 커다란 차이가 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8609호의 "미끄럼 방지 도료용 노면도포장치"는 사각함체 형상으로 된 도료저장부 하면에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연동되는 전륜과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부중앙에는 도료저장부의 후방에 장착된 가스통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도료저장부에 저장된 미끄럼방지도료를 가열하는 가스화구가 설치되고, 도료저장부의 전방하단부에는 전동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해 전륜과 연동되는 표면조도 형성용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미끄럼방지도료의 노면도포작업과 롤러에 의한 표면조도형성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되지만, 표면조도용 롤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제한된 공간을 지닌 건축물에 방수제나 도료를 균일한 두께로 도포하는 용도로 부적절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073070호의 "고정 및 이동장치가 구비된 수평도포기"는 2개의 가이드레일(110)의 전방과 후방측에 구성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이동바퀴의 상면에 구성되는 레일높이조절부로 구성된 가이드레일체(100)와, 상기 2개의 가이드레일(110)과 접촉되는 롤러(210)들이 구비된 2개의 이동프레임(220)과 하단에 지그재그형 도포홈(230)이 형성된 도포부(240)와 상기 도포홈(230)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가변부(250)로 구성된 수평도포체(200)로 이루어진 수평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수평도포체(200)의 양측단에는 상기 수평도포체(200)를 가이드레일체(100)의 2개의 가이드레일(110)측에 고정하여 수평도포체(200)의 유동을 정지시키거나 해제하는 고정 및 이동장치(300)가 더 구성된다.
이는 고정 및 이동장치를 더 구비하여 수평도포체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어 접착제의 수평조절과 높이조절이 원활하고 용이한 효과가 기대되지만, 이동하면서 균일한 도포작업을 수행하기 곤란할 뿐더러 접착제의 물성이 달라지는 경우 분사 두께가 균일하지 않을 우려가 크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마감에 사용되는 각종 액상제를 다양한 자세로 이동하면서 균일한 두께로 신속하게 도포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과 공수절감을 도모하는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용 액상제를 도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노즐체의 양측으로 주행용 바퀴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 하부대와 상부대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액상제가 공급되는 연결구를 일측에 구비하는 조작대; 및 상기 조작대에 설치되는 조작레버로 하부대와 상부대의 각도를 변동하여 핸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하부대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원판과, 상부대의 하단에 지지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덮개와, 고정원판에 맞물리도록 회전덮개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토퍼와, 스토퍼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통하여 스토퍼와 조작레버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의 노즐체는 공간부에 동시에 연통하도록 복수로 설치되면서 각각의 설정된 압력에서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작대는 연결구에 인접하여 유량조절밸브를 구비하고, 몸체 상에 압력게이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와 조작대는 조작레버로 상호 연결 각도를 변동하여 핸들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방향조절수단은 몸체에 고정되는 고정원판과, 고정원판 상에 하부대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덮개와, 고정원판에 맞물리도록 회전덮개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토퍼와, 스토퍼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통하여 스토퍼와 조작레버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축물의 마감에 사용되는 각종 액상제를 다양한 자세로 이동하면서 균일한 두께로 신속하게 도포할 수 있어 작업의 편리성과 공수절감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의 몸체를 저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축물용 액상제를 도포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액상제는 방수제, 도료, 접착제 등을 포함하며 주변의 온습도나 사용용도에 따라 점도와 같은 기본 물성이 변동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10) 상에 다수의 노즐체(15)의 양측으로 주행용 바퀴(17)를 구비한다. 몸체(10)는 저면이 개방되는 장방형의 상자구조로서 저면상에 다수의 노즐체(15)가 1열 또는 복수열로 배치된다. 노즐체(15)가 위치하는 영역의 양측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17)는 노즐체(15)와 함께 적절한 깊이의 커버(14)를 개재하여 일부만 노출되도록 수용한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노즐체(15)는 공간부(12)에 동시에 연통하도록 복수로 설치되면서 각각의 설정된 압력에서 유로를 개방한다. 공간부(12)는 몸체(10)의 내부에 노즐체(15)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노즐체(15)로 분사되는 액상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노즐체(15)는 별도의 전원 없이도 액상제 자체의 압력으로 작동하는 볼-스프링 체크밸브나 파일럿 개폐밸브가 적절하지만 경우에 따라 개도율 제어가 가능한 전자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액상제가 공급되는 연결구(25)를 일측에 구비하는 조작대(20)가 상기 몸체(10)에 하부대(22)와 상부대(24)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하부대(22)와 상부대(24)는 관절 구조로 연결되고, 상부대(24)의 상측으로 양손으로 쥐기 위한 핸들(21)이 연장된다. 상부대(24)의 중간에 연결되는 연결구(25)는 단순하게 관이음구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착탈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퀵커플러(quick coupler)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대(22)와 상부대(24)를 관절 구조로 하는 경우 연결구(25), 상부대(24), 하부대(22), 몸체(10)에 이르는 액상제의 이송 유로는 별도의 유연관(28)을 설치하여 연결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조작대(20)는 연결구(25)에 인접하여 유량조절밸브(27)를 구비하고, 몸체(10) 상에 압력게이지(18)를 구비한다. 유량조절밸브(27)는 조작노브를 이용하여 유로 단면적을 가변할 수 있는 방식을 택하고, 연결구(25)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작업자의 조작이 용이하게 설치한다. 압력게이지(18)는 1~3기압의 저압 범위를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용이한 방식을 선택하고, 몸체(10)의 상면에서 공간부(12)에 연통하도록 1~3개 정도 설치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작대(20)에 설치되는 조작레버(41)로 하부대(22)와 상부대(24)의 각도를 변동하여 핸들(2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30)을 포함한다. 하부대(22)는 몸체(10)에 연결되고, 상부대(24)는 하부대(22)에 연결된다. 핸들(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작레버(41)는 마치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와 같은 기구적 구성을 지닌다. 일측 핸들(21)과 함께 조작레버(41)를 동시에 쥐면 하부대(22)와 상부대(24)의 잠금이 해제되어 각도가 변동되므로 작업자의 신체조건이나 작업환경에 맞게 핸들(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하부대(22)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원판(32)과, 상부대(24)의 하단에 지지대(4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덮개(34)와, 고정원판(32)에 맞물리도록 회전덮개(34)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토퍼(45)와, 스토퍼(4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42)와, 지지대(42)를 통하여 스토퍼(45)와 조작레버(41)를 연결하는 와이어(43)를 구비한다. 하부대(22)와 상부대(24)는 중공의 관체를 사용하고, 상호 연결부에 고정원판(32)과 회전덮개(34)를 결합한다. 고정원판(32)은 중앙에서 절개되고 외주면에 치형홈(32a)을 지니는 형태로서 절개부 저면에 유연관(28)을 통과시키는 관통공을 지닌다. 회전덮개(34)는 일측으로 고정원판(32)의 절개부에 삽입되어 단축(36)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으로 외주면에 치형홈(32a)을 감싸는 커버부를 지닌다. 회전덮개(34)에도 유연관(28)을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을 형성한다. 회전덮개(34)의 커버부 내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저면에 치형홈(45a)을 지닌 스토퍼(45)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지지대(42)는 상부대(24)의 내면에 고정하고, 지지대(42)와 스토퍼(45) 사이에 스프링(47)을 설치한다. 와이어(43)는 일단을 조작레버(41)에 연결하고 상부대(24)의 내부와 지지대(42)를 통과하여 타단을 스토퍼(45)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핸들(21)과 조작레버(41)를 동시에 쥐면 와이어(43)가 당겨지고, 스토퍼(45)가 스프링(47)을 압축하면서 상승하고, 치형홈(32a)(45a)이 서로 분리되므로 핸들(21)을 내리거나 올릴 수 있고, 적절한 높이로 판단되어 조작레버(41)를 놓으면 스토퍼(45)가 스프링(47)의 힘으로 하강하여 치형홈(32a)(45a)이 맞물리고, 하부대(22)와 상부대(24)의 관절운동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조절수단(30)에서 스토퍼(45)가 회전덮개(34) 내부에 보호되므로 먼지가 많은 작업 환경에서도 높은 작동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10)와 조작대(20)는 조작레버(61)로 상호 연결 각도를 변동하여 핸들(21)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수단(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방향조절수단(50)은 높이조절수단(30)의 하측으로 몸체(10)와 하부대(22) 사이에 설치된다. 조작레버(61)는 전술한 높이조절수단(30)의 조작레버(41)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핸들(21) 상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방향조절수단(50)은 몸체(10)에 고정되는 고정원판(52)과, 고정원판(52) 상에 하부대(22)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덮개(54)와, 고정원판(52)에 맞물리도록 회전덮개(54)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토퍼(65)와, 스토퍼(6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62)와, 지지대(62)를 통하여 스토퍼(65)와 조작레버(61)를 연결하는 와이어(63)를 구비한다. 고정원판(52)은 직경이 다른 단턱부로 이루어지고 상면의 일부에 방사상의 치형홈(52a)을 구비하며 몸체(10) 상에 액상제의 이송 유로를 형성하도록 고정된다. 하부대(22)의 저면은 플랜지를 형성하여 고정원판(52)에 동심으로 밀착하고 외주면에서 회전덮개(54)를 볼트로 연결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회전덮개(54)는 저면에서 고정원판(52)의 단턱과 맞물리고,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스토퍼(65)를 상하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스토퍼(65)의 저면에는 고정원판(52)의 치형홈(52a)과 맞물리는 방사상의 치형홈(65a)을 구비한다. 지지대(62)는 고정원판(32)의 내면에 고정하고, 지지대(62)와 스토퍼(65) 사이에 스프링(67)을 설치한다. 와이어(63)는 일단을 조작레버(61)에 연결하고 상부대(24)와 하부대(22)의 내부와 지지대(62)를 통과하여 타단을 스토퍼(45)에 연결한다.
이에 따라, 핸들(21)과 조작레버(61)를 동시에 쥐면 와이어(63)가 당겨지고, 스토퍼(65)가 스프링(67)을 압축하면서 상승하고, 치형홈(52a)(65a)이 서로 분리되므로 핸들(21)을 좌우로 회전할 수 있고, 몸체(10)에 대한 핸들(21)의 위치가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조작레버(61)를 놓으면 스토퍼(65)가 스프링(67)의 힘으로 하강하여 치형홈(52a)(65a)이 맞물리고, 몸체(10)와 핸들(21) 사이의 회전운동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향조절수단(50)에서 스토퍼(65)가 회전덮개(54) 내부에 보호되므로 먼지가 많은 작업 환경에서도 높은 작동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점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작동에 있어서, 작업자가 저장조와 펌프를 지닌 액상제 공급기에서 호스를 끌어와 연결구(25)에 연결하고, 일측 핸들(21)의 조작레버(41)를 쥐고 핸들(21)의 높이를 조절하고, 전원을 투입하면 액상제가 유연관(28)을 통하여 몸체(10)의 공간부(12)에 충진되고, 공간부(12)가 설정된 압력에 도달하면 모든 노즐체(15)가 동시에 개방되어 액상제를 분사하고, 작업자는 핸들(21)을 쥐고 주행하면서 액상제를 고른 두께로 도포할 수 있다. 액상제에 따라 점도가 변동되면 유량조절밸브(27)로 이송 속도를 조절한다.
만일 바닥에 방수제를 도포하는 중에 벽면 부분에 이르러서 작업 자세(방향)를 변경하고자 한다면 타측 핸들(21)의 조작레버(61)를 쥐고 핸들(2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하여 몸체(10)와 조작대(20) 간의 각도(작업자의 방향)를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몸체 12: 공간부
15: 노즐체 17: 바퀴
20: 조작대 21: 핸들
22: 하부대 24: 상부대
25: 연결구 27: 유량조절밸브
28: 유연관 30: 높이조절수단
32, 52: 고정원판 34, 54: 회전덮개
41, 61: 조작레버 42, 62: 지지대
43, 63: 와이어 45, 65: 스토퍼
47, 67: 스프링 50: 방향조절수단

Claims (5)

  1. 건축물용 액상제를 도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노즐체(15)의 양측으로 주행용 바퀴(17)를 구비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에 하부대(22)와 상부대(24)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액상제가 공급되는 연결구(25)를 일측에 구비하는 조작대(20); 및
    상기 조작대(20)에 설치되는 조작레버(41)로 하부대(22)와 상부대(24)의 각도를 변동하여 핸들(2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높이조절수단(30)은 하부대(22)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원판(32)과, 상부대(24)의 하단에 지지대(42)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덮개(34)와, 고정원판(32)에 맞물리도록 회전덮개(34)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토퍼(45)와, 스토퍼(4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42)와, 지지대(42)를 통하여 스토퍼(45)와 조작레버(41)를 연결하는 와이어(4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노즐체(15)는 공간부(12)에 동시에 연통하도록 복수로 설치되면서 각각의 설정된 압력에서 유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대(20)는 연결구(25)에 인접하여 유량조절밸브(27)를 구비하고, 몸체(10) 상에 압력게이지(1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4. 삭제
  5. 건축물용 액상제를 도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노즐체(15)의 양측으로 주행용 바퀴(17)를 구비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에 하부대(22)와 상부대(24)를 개재하여 연결되고, 액상제가 공급되는 연결구(25)를 일측에 구비하는 조작대(20); 및
    상기 조작대(20)에 설치되는 조작레버(41)로 하부대(22)와 상부대(24)의 각도를 변동하여 핸들(21)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와 조작대(20)는 조작레버(61)로 상호 연결 각도를 변동하여 핸들(21)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방향조절수단(50)을 구비하며,
    상기 방향조절수단(50)은 몸체(10)에 고정되는 고정원판(52)과, 고정원판(52) 상에 하부대(22)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덮개(54)와, 고정원판(52)에 맞물리도록 회전덮개(54)에 승하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스토퍼(65)와, 스토퍼(6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대(62)와, 지지대(62)를 통하여 스토퍼(65)와 조작레버(61)를 연결하는 와이어(6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KR1020100033819A 2010-04-13 2010-04-13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KR101002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19A KR101002749B1 (ko) 2010-04-13 2010-04-13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19A KR101002749B1 (ko) 2010-04-13 2010-04-13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749B1 true KR101002749B1 (ko) 2010-12-21

Family

ID=4351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819A KR101002749B1 (ko) 2010-04-13 2010-04-13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7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896B1 (ko) 2016-05-20 2017-03-14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를 위한 밴드 공법
CN110639722A (zh) * 2019-10-30 2020-01-03 沧州凯信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行走非固化喷涂机
WO2022098161A1 (ko) * 2020-11-06 2022-05-12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도포재 시공 장치
KR102591981B1 (ko) * 2022-12-01 2023-10-23 빈성진 사용성이 우수한 방수재 도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슈퍼 플로우 포밍 복합 방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29Y1 (ko) * 2006-01-18 2006-04-12 해림건설 주식회사 시멘트 조성물의 표면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29Y1 (ko) * 2006-01-18 2006-04-12 해림건설 주식회사 시멘트 조성물의 표면 도포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896B1 (ko) 2016-05-20 2017-03-14 주식회사 로드코리아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를 위한 밴드 공법
CN110639722A (zh) * 2019-10-30 2020-01-03 沧州凯信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自动行走非固化喷涂机
WO2022098161A1 (ko) * 2020-11-06 2022-05-12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도포재 시공 장치
KR20220061610A (ko) * 2020-11-06 2022-05-13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도포재 시공 장치
KR102462873B1 (ko) * 2020-11-06 2022-11-04 와우컴퍼니 주식회사 도포재 시공 장치
KR102591981B1 (ko) * 2022-12-01 2023-10-23 빈성진 사용성이 우수한 방수재 도포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슈퍼 플로우 포밍 복합 방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749B1 (ko)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US101793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ainting a structure
US7118629B2 (en) Apparatus for applying a coating to a roof or other substrate
US10406549B2 (en) System for treating a surface
KR101395987B1 (ko)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KR101215523B1 (ko) 주행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도료 분사 장치
KR101386924B1 (ko) 수레형 방제 분무기
JP5675001B2 (ja) 塗装装置
JP6163406B2 (ja) 床面ワックス塗布装置
KR101835359B1 (ko) 폴리싱 머신의 높낮이 조절용 핸들 구조체
KR20130071093A (ko) 하우스 농작물 방제용 액상 살포장치
JP2009189919A (ja) 船体外板の塗装装置
JP2009150184A (ja) 作業用ゴンドラの振れ止め装置
US20200246815A1 (en) Spray coating carriage assembly, apparatus including the assembly
KR20130011619A (ko) 론지하부 도장장치
ITVR20070005A1 (it) Impianto di irrigazione particolarmente per giardini o simili
KR20190051546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약액 살포장치
JPS58146463A (ja) 農芸用散布装置
JP3236523B2 (ja) 防除用薬液散布装置
EP37840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brading surface of plant
US2017008757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Fluidized Materials
JP2012152729A (ja) 塗料自動供給型塗装ユニット
KR101506636B1 (ko) 입식 풀칠기
CN107182991A (zh) 一种折叠式结构的农药喷洒车装置
JP2006095508A (ja) コーティング液塗布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