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987B1 -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987B1
KR101395987B1 KR1020120053741A KR20120053741A KR101395987B1 KR 101395987 B1 KR101395987 B1 KR 101395987B1 KR 1020120053741 A KR1020120053741 A KR 1020120053741A KR 20120053741 A KR20120053741 A KR 20120053741A KR 101395987 B1 KR101395987 B1 KR 101395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om
jetting
spray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687A (ko
Inventor
이대원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987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71Construction of the spray booms
    • A01M7/0075Construction of the spray booms including f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포 대상이 되는 과수에 균일하게 약액을 도포하고 불필요한 약액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약액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분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 일단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로부터 상기 분사부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상기 간격 조절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약액을 분사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사붐대, 약액의 분사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간격 조절부와 상기 분사붐대 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SPACE ADJUSTABLE SPRAYER}
본 발명은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포 대상 과수와의 간격을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작업에 있어서 방제작업은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서, 특히, 과수재배시 수확되는 과수의 품질 및 수량에 결정적인 역할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제작업은 소규모의 재배지에서는 작업자가 개인 운반용 방제기를 운반하며 약제를 살포하는 방식에 의하고 있으며, 대규모의 재배지에서는 자동차 등과 같이 동력원에 살포기를 장착하여 신속하게 약제를 살포하고 있다.
한편, 방제작업에 있어서 살포 약액의 균일도, 즉, 과수의 잎, 줄기, 기둥에 분사되는 약액의 균일정도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거리와 상관없이 일정한 분사속도로 약액을 살포하는 종래의 살포기에 의하면, 살포기와의 간격에 따라 약액의 도포정도, 즉, 도포의 균일성이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약액 살포의 불균일성은 과수의 생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약액을 일률적인 속도로 분사시키는 종래의 살포장치에 의하면, 살포대상이 되는 과수와의 거리가 먼 경우에는 약액의 일부가 과수에 도달하지 못하고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살포 대상이 되는 과수에 균일하게 약액을 도포하고 불필요한 약액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약액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분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 일단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로부터 상기 분사부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상기 간격 조절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약액을 분사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사붐대, 약액의 분사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간격 조절부와 상기 분사붐대 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승강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동붐대; 상기 간격 조절부와 상기 제1회동붐대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제1각도부; 상기 제1회동붐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동붐대; 상기 제1회동붐대와 상기 제2회동붐대 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제2각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와 살포 대상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거리를 전달받아, 상기 살포 대상과 상기 분사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로부터 약액의 분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한 쌍의 분사붐대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제1분사붐대와 제2분사붐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각도부는 상기 제1회동붐대와 일체로 연동하도록 상기 제1회동붐대와 결합되는 제1기어; 상기 제2회동붐대가 상기 제1회동붐대와 연동하도록 상기 제2회동붐대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포 대상 과수와의 간격을 능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과수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과수와의 이격간격을 감지하여 최적의 속도로 약액을 살포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약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과수에 약액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되는 한 쌍의 붐대 각각 기어를 결합하여 상호 치합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붐대에만 구동력을 인가하여도 나머지 붐대가 치합된 기어에 의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과도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가 완전히 접힌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4은 도 1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5는 도 1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를 이용한 과수 살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는 소정의 구동부(10)에 장착되어 정지 또는 이동하면서 과수를 대상으로 약액을 분사, 살포하며 살포 대상이 되는 과수와의 살포 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장치로서, 베이스(110)와 승강부(120)와 간격 조절부(130)와 약액 저장부(미도시)와 분사부(140)와 센싱부(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0)는 약액 살포장치를 장착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라면 구동부(10)는 자동차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별도의 구동부 없이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를 사용자가 직접 운반하며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110)는 후술하는 승강부(120)가 장착되기 위한 기초 구조물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판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승강부(120)는 승강(乘降) 이동하여 후술하는 분사부(14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강붐대(121)와 높이조절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붐대(121)는 베이스(110) 상에서 높이조절부재(122)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로 승강 이동함으로써, 후술하는 간격 조절부(130) 및 이에 연결되는 분사부(140)의 높이를 실질적으로 조절하는 부재이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22)는 베이스(110) 상에 장착되어 승강붐대(121)를 승강 구동시키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압 실린더가 이용되나, 승강붐대(121)를 구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간격 조절부(130)는 상기 승강붐대(121)와 후술하는 분사부(140)를 상호 연결하여 분사부(140)를 승강붐대(121)로부터 가까운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재로서, 제1회동붐대(131)와 제1각도부(132)와 제2회동붐대(133)와 제2각도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동붐대(131)는 일단이 승강붐대(121)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타단이 승강붐대(121)의 상단을 중심으로 원호운동하는 부재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승강붐대(121)와 제1회동붐대(131)가 이루는 각도는 0˚ 내지 90˚를 형성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가 사용되는 용도, 장소 등의 환경요인 및 각각의 부재의 길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각도부(132)는 제1회동붐대(131)와 승강붐대(121)를 연결하여, 승강붐대(121)로부터 제1회동붐대(131)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 형태의 부재이다. 따라서, 제1각도부(132)를 이용하여, 제1회동붐대(131)가 승강붐대(121)와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고, 제1회동붐대(131)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승강붐대(121)와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회동붐대(133)는 일단이 제1회동붐대(13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타단이 제1회동붐대(131)의 단부로부터 원호운동하는 부재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회동붐대(131)와 제2회동붐대(132)가 이루는 각도는 0˚ 내지 180˚를 형성하는 것이나, 본 실시예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가 사용되는 용도, 장소 등의 환경요인 및 각각의 부재의 길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각도부(134)는 제2회동붐대(133)와 제1회동붐대(131)를 상호 연결하되, 제1회동붐대(131)로부터 제2회동붐대(133)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 형태의 부재이다. 따라서, 제2각도부(134)를 이용하여, 제2회동붐대(133)가 제1회동붐대(131)와 수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고, 제2회동붐대(133)가 완전히 접힌 상태로 제1회동붐대(131)와 수평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약액 저장부(미도시)는 약액을 저장하되, 후술하는 분사부(140)와 연결되어 저장된 약액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상기 분사부(140)는 약액 저장부로부터 약액을 제공받아 실질적으로 약액을 분사하는 부재로서, 제1분사붐대(141)와 제2분사붐대(142)와 회동부재(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분사붐대(141)와 상기 제2분사붐대(142)는 약액을 분사하도록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노즐을 형성하며, 제2분사붐대(142)는 제1분사붐대(141)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일체로 연장되어, 각 분사붐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작동시에 제1분사붐대(141)는 실질적으로 측방으로 약액을 분사하여 과수의 기둥부분에 약약을 살포하며 제2분사붐대(142)는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약액을 분사하여 과수의 줄기 및 잎 부분에 약액을 살포할 수 있도록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회동부재(143)는 분사방향이 조절되도록 제1분사붐대(141)와 제2분사붐대(142)의 결합구조를 회동시켜 각도를 제어하는 부재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분사붐대(141)와 제2분사붐대(142)는 일체형으로 설명하였으나,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되는 제1분사붐대(141)와 제2분사붐대(142)가 회동부재(143)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형례에서는 제1분사붐대(141)와 제2분사붐대(142)는 별도로 마련되어 독립적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싱부(150)는 제1분사붐대(141) 또는 제2분사붐대(142)로부터 분사대상 간의 이격간격을 감지하거나 이동방향 전방의 장애물 존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센서(151)와 제2센서(152)와 제3센서(미도시)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센싱부(150)로 초음파 센서가 이용되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센서(151)는 제1분사붐대(141) 상에 장착되어 제1분사붐대(141)와 분사대상이 되는 과수의 기둥 간의 이격간격을 감지한다.
상기 제2센서(152)는 제2분사붐대(142) 상에 장착되어 제2분사붐대(142)와 분사대상이 되는 과수의 줄기 및 잎과의 이격간격을 감지한다.
상기 제3센서(미도시)는 본 실시예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의 진행방향 전방의 장애물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센싱부(150)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부(120)와 간격 조절부(130)와 분사부(140)를 각각 조절하여, 분사 대상이 되는 과수와 분사부(140)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또한, 제어부는 분사부(140)와 과수와의 간격 뿐만 아니라 분사부(140)로부터 분사되는 약액의 분사속도를 조절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가 완전히 접힌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4은 도 1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는 보관시 또는 살포작업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완전히 접힌 상태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살포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를 이용한 과수 살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가 장착되는 구동부(10)가 전진하면서 제3센서(미도시)는 진행방향의 전방에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부(10)를 지속적으로 전진시킨다.
이와 동시에, 약액저장부(미도시)로부터 제1분사붐대(141) 및 제2분사붐대(142)에 약액이 공급되고, 제1분사붐대(141) 및 제2분사붐대(142)는 본 실시예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의 측방으로 배열되는 과수를 향하여 약액을 분사한다.
이때, 제1센서(151)는 제1분사붐대(141)와 과수의 기둥(A) 부분 간의 이격간격을 감지, 측정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하고, 제어부(160)는 제1분사붐대(141)와 과수의 기둥(A) 부분 간의 간격정보를 이용하여 간격 조절부(130)를 제어한다.
즉, 제1분사붐대(141)를 과수의 기둥(A)에 가깝게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 제어부(160)는 제1각도부(132)와 제2각도부(134)를 조절하여 제1회동붐대(131) 또는 제2회동붐대(133)의 회동각도를 증가시킨다.
반대로, 제1분사붐대(141)를 과수의 기둥(A)으로부터 먼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에 제어부(160)는 제1각도부(132)와 제2각도부(133)를 조절하여 제1회동붐대(131) 또는 제2회동붐대(133)의 회동각도를 감소시킨다.
제2센서(152)는 제2분사붐대(142)와 과수의 줄기(또는 잎)(B) 부분 간의 이격간격을 감지, 측정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하고, 제어부(160)는 제2분사붐대(142)와 과수의 줄기 부분(B) 간의 간격정보를 이용하여 승강부(12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160)는 높이조절부재(122)를 조절하여 승강붐대(121)를 상승 또는 하강이동시킴으로써 제2분사붐대(142)와 과수와의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상기 각각의 간격정보를 이용하여 분사붐대와 연결되는 회동부재(143)를 조절하여, 제1분사붐대(141) 및 제2분사붐대(142)가 향하는 방향, 즉, 약액이 분사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과수와의 이격간격에 따라 약액의 분사속도를 제어하여 약액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다시 설명하면, 센싱부(150) 및 제어부(160)를 이용하여, 제1분사붐대(141) 또는 제2분사붐대(142)와 과수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서로 다른 높이의 과수 및 과수간의 간격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과수의 전 영역에 약액이 골고루 살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된 간격정보를 고려하여 제어부(160)는 약액이 최적의 속도로 분사되도록 분사부(140)를 제어 함으로써, 과도하게 높은 속도로 분사되어 과수의 특정 부분에만 집중 분사되는 현상 또는 과도하게 낮은 속도로 분사되어 과수에 약액이 도달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약액이 과수에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200)는 소정의 구동부(10)에 장착되어 정지 또는 이동하면서 과수를 대상으로 약액을 분사, 살포하며 살포 대상이 되는 과수와의 살포 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장치로서, 베이스(110)와 승강부(120)와 간격 조절부(230)와 약액 저장부(미도시)와 분사부(140)와 센싱부(150)와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베이스(110), 승강부(120), 약액 저장부, 분사부(140), 센싱부(150) 및 제어부(16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성과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간격 조절부(230)는 제1회동붐대(131)와 제1각도부(132)와 제2회동붐대(133)와 제2각도부(234)를 포함한며, 제1회동붐대(131), 제1각도부(132)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각도부(234)는 제2회동붐대(133)가 제1회동붐대(131)의 회동과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부재로서, 제1기어(235)와 제2기어(2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어(235)는 제1회동붐대(131)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2기어(236)와 치합한다.
상기 제2기어(236)는 제2회동붐대(133)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기어(235)와 치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각도부(132)를 통하여 제1회동붐대(131)에만 구동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제1회동붐대(131)와 제2회동붐대(133)는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는 제1기어(235) 및 제2기어(236)의 결합구조에 의하여 제2회동붐대(133)가 회동할 수 있다.
즉, 제2회동붐대(133)는 치합되는 기어구조의 제2각도부(234)에 의하여 별도의 구동력 없이 제1각도부(132)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만으로 제1회동붐대(131)와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므로, 전체적으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110 : 베이스 120 : 승강부
130 : 간격조절부 140 : 분사부
150 : 센싱부 160 : 제어부

Claims (7)

  1. 약액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부;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분사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승강부;
    일단은 상기 승강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로부터 상기 분사부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상기 간격 조절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여 약액을 분사하도록 경사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사붐대, 약액의 분사방향을 조절하도록 상기 간격 조절부와 상기 분사붐대 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승강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회동붐대; 상기 간격 조절부와 상기 제1회동붐대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제1각도부; 상기 제1회동붐대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동붐대; 상기 제1회동붐대와 상기 제2회동붐대 간의 회동각도를 조절하는 제2각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와 살포 대상 간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측정된 거리를 전달받아, 상기 살포 대상과 상기 분사부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사부로부터 약액의 분사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분사붐대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제1분사붐대와 제2분사붐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각도부는 상기 제1회동붐대와 일체로 연동하도록 상기 제1회동붐대와 결합되는 제1기어; 상기 제2회동붐대가 상기 제1회동붐대와 연동하도록 상기 제2회동붐대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7. 삭제
KR1020120053741A 2012-05-21 2012-05-21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KR10139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741A KR101395987B1 (ko) 2012-05-21 2012-05-21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741A KR101395987B1 (ko) 2012-05-21 2012-05-21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687A KR20130129687A (ko) 2013-11-29
KR101395987B1 true KR101395987B1 (ko) 2014-05-30

Family

ID=49856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741A KR101395987B1 (ko) 2012-05-21 2012-05-21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9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3670A (zh) * 2019-11-08 2020-01-10 甘肃农业大学 一种混合动力自走式胡麻喷药车及喷药方法
KR20220105959A (ko) * 2021-01-21 2022-07-28 류선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9813B (zh) * 2018-06-06 2021-01-15 河南理工大学 智能农药喷淋车
CN110495438B (zh) * 2019-09-23 2024-02-20 重庆工业赋能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可变多角度树冠仿形喷药机及喷药方法
CN110876370A (zh) * 2019-11-28 2020-03-13 江苏大学 一种山地式果树喷雾装置
IT202000004948A1 (it) * 2020-03-09 2021-09-09 Toselli Soc A Responsabilita Limitata Irroratrice con barra idraulica
CN112352758B (zh) * 2020-10-22 2022-04-05 湖南广播电视大学(湖南网络工程职业学院) 一种基于无线传感器网络的杨梅生产用防护装置
KR102251933B1 (ko) * 2020-11-27 2021-05-13 배성한 농약살포용 분사기의 각도조정장치
CN113951232A (zh) * 2021-10-19 2022-01-21 南京林业大学 一种茶树病虫防治智能喷雾设备及喷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98A (ko) * 2002-01-25 2002-03-29 이원식 분사노즐의 높낮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동력 분무기
JP3434152B2 (ja) * 1996-12-12 2003-08-04 株式会社共立 自走式長尺片ブーム付スプレーヤ
KR100793138B1 (ko) 2006-12-05 2008-01-10 김정원 고공붐 살포기능을 가지는 농약살포장치
KR20110049228A (ko) * 2009-11-04 2011-05-12 김정원 이송수단에 장착되는 복합 방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4152B2 (ja) * 1996-12-12 2003-08-04 株式会社共立 自走式長尺片ブーム付スプレーヤ
KR20020024098A (ko) * 2002-01-25 2002-03-29 이원식 분사노즐의 높낮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동력 분무기
KR100793138B1 (ko) 2006-12-05 2008-01-10 김정원 고공붐 살포기능을 가지는 농약살포장치
KR20110049228A (ko) * 2009-11-04 2011-05-12 김정원 이송수단에 장착되는 복합 방제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3670A (zh) * 2019-11-08 2020-01-10 甘肃农业大学 一种混合动力自走式胡麻喷药车及喷药方法
KR20220105959A (ko) * 2021-01-21 2022-07-28 류선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KR102534252B1 (ko) 2021-01-21 2023-05-19 류선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687A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5987B1 (ko)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CN103299864B (zh) 用于大棚的喷灌装置
CN204616616U (zh) 可调喷灌高度的喷灌机桁架式喷头车
RU2005118078A (ru) Система распыления вакцины
KR101312462B1 (ko) 무인 방제기
KR20020024098A (ko) 분사노즐의 높낮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동력 분무기
TW201544007A (zh) 自走式農業高吊桿噴灑機
CN107711800A (zh) 一种农药喷洒机
JP6778789B1 (ja) 温室用液体散布装置
KR101386924B1 (ko) 수레형 방제 분무기
KR20100093761A (ko) 무인 자동화 농약살포장치
KR101626557B1 (ko) 약액살포장치
KR100984792B1 (ko) 다용도용 분사장치
KR101002749B1 (ko) 건축물용 액상제의 정량 도포장치
JP4750752B2 (ja) 防除機
CN106489894A (zh) 一种果园施药机械及施药方法
KR20190051546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약액 살포장치
JP2008043297A (ja) 苗移植機
CN108607706A (zh) 蔬菜大棚用电动喷雾器
KR101607003B1 (ko) 자주식 방제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상 물질 살포 장치
CN215736549U (zh) 一种喷药装置
CN110521707A (zh) 蜻蜓式农药喷洒装置
KR20210000922U (ko) 회전분사장치가 구비된 이동약대
KR20230091417A (ko) 흔들식 약제살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213939148U (zh) 一种可均匀喷洒的食用菌栽培用喷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