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252B1 -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252B1
KR102534252B1 KR1020210008958A KR20210008958A KR102534252B1 KR 102534252 B1 KR102534252 B1 KR 102534252B1 KR 1020210008958 A KR1020210008958 A KR 1020210008958A KR 20210008958 A KR20210008958 A KR 20210008958A KR 102534252 B1 KR102534252 B1 KR 102534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nozzle body
tractor
auxiliary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959A (ko
Inventor
류선호
Original Assignee
류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선호 filed Critical 류선호
Priority to KR1020210008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25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53Mounting of the sprayb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A01M7/006Mounting of the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에 설치되어 논둑에 약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된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는 트랙터의 섀시 또는 붐에 힌지결합되며 약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약재분사부와, 상기 약재분사부가 논둑에 약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약재분사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약재살포유닛과; 상기 트랙터의 섀시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약재가 저장되는 약재저장탱크와, 상기 약재저장탱크와 상기 약재분사부를 연결하는 약재공급관과, 상기 약재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약재를 이송하는 약재공급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Apparatus for spraying of pesticide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터에 설치되어 논둑에 약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된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과 같은 경작지의 잡초 또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경작지에 액상의 약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된 살포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살포장치는 탱크내에 저장된 농약이나 살충재와 같은 약재를 벼, 보리 등이나 각종 야채의 재배시 경작지의 표면이나 경작지와 인접한 대기 또는 작물을 향해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살포장치는 약액펌프를 가동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노즐을 들어 약재를 살포하고자 하는 영역에 살포할 수 있다. 작물 또는 경작지에 약재를 살포할 수 있는 시기는 작물의 생육조건에 따라 적절한 시기가 한정된 것으로, 농장의 규모가 대규모인 경우에는 많은 노동력을 일시에 동원하는 것이 어려워 약재를 살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26412 호에는 트랙터에 설치되어 트랙터가 주행함에 따라 경작지의 노면에 약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된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트랙터 장착형 살포장치는 트랙터가 주행하며 경작지의 일정 영역에 약재를 살포함으로써 짧은 시간동안 적은 노동력으로 넓은 경작지에 약재를 살포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경작지의 가장자리에는 경작지의 물이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경작지보다 높은 높이로 논둑이 형성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는 약재의 분사방향이 경작지의 노면을 향하도록 고정되어 있어 논둑에 자라는 잡초 또는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논둑에 약재를 분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64947 호에는 트랙터에 설치되는 틀체와, 틀체의 양쪽에서 상하로 일정 간격을 이루는 위치에서 균일하게 약재를 살포할 수 있는 분사노즐이 마련된 제1 살포부를 구비하는 트랙터용 약액 살포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랙터용 약액 살포기는 트랙터의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에 위치한 논둑에 약재을 살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논둑의 측면과 제1 살포부가 이루는 각도로 인해 제1 살포부의 높이에 따라 약재가 각각의 분사노즐로부터 논둑의 측면에 이르는 거리가 다름으로 인해 논둑의 측면에 균일하게 약재를 살포하는것이 어려우며 특히, 분사노즐과 논둑의 측면 사이의 거리가 먼 위치에서는 약재가 논둑의 측면에 이르지 못하고 중력으로 인해 낙하하여 다른 분사노즐의 분사영역에 이르게 됨으로써 논둑의 측면에 대한 약재의 분사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26412 호 :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64947 호 : 트랙터용 약액 살포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논둑의 측면에 논둑의 높이에 따라 약재를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된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는 트랙터의 섀시 또는 붐에 힌지결합되며 약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약재분사부와, 상기 약재분사부가 논둑에 약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약재분사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약재살포유닛과; 상기 트랙터의 섀시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약재가 저장되는 약재저장탱크와, 상기 약재저장탱크와 상기 약재분사부를 연결하는 약재공급관과, 상기 약재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약재를 이송하는 약재공급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약재분사부는 상기 섀시 또는 붐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한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약재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약재가 분사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노즐본체의 힌지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노즐본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약재분사부는 일측이 상기 노즐본체의 타측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노즐본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보조노즐본체와, 상기 보조노즐본체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논둑의 상면에 약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약재공급관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보조분사노즐과, 상기 노즐본체 및 보조노즐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노즐본체에 대한 상기 보조노즐본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보조작동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조분사노즐은 상기 보조노즐본체가 수평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약재를 수직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노즐본체로부터 상기 보조노즐본체의 일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 관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약재분사부는 상기 보조노즐본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약재가 측풍에 의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조분사노즐의 타측 방향을 가리는 측풍가림막을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는 분사노즐이 논둑에 근접하도록 노즐본체가 회전함으로써 약재가 대기중에 비산되지 않아 약재를 논둑에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으며 약재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가 트랙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사시도,
도 4는 도 2의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가 논둑의 측면과 상면에 약재를 살포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상태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먼저 도 1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트랙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가 설치된 트랙터(10)가 경작지에 위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트랙터(10)는 경작지의 노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주행가능한 차체와, 상기 차체의 기본을 이루는 섀시(11)와, 상기 섀시(11)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양 측방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트랙터(10)의 내부에 내장된 유압유공급수단(미도시)에 의해 회동되며 전방의 흙을 퍼 나를 수 있는 로더(15)를 포함한다.
상기 로더(15)는 상기 섀시(11)의 양 측방에 각각 힌지결합되며 유압유공급수단(미도시)에 의해 타측 단부가 승강되게 회전가능한 한쌍의 붐(16)과, 상기 붐(16)들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버켓(17)을 포함한다.
논둑은 경작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높게 쌓아올려진 구조물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논둑은 논둑의 측면(A)이 상기 트랙터(10)의 측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트랙터(10)가 주행중인 노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것이다. 통상 논둑은 노면으로부터 진행될수록 좁아지는 단면적을 갖도록 돌출됨에 따라 논둑의 측면(A)이 노면으로부터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는는 트랙터(10)의 섀시(11) 또는 붐(16)에 힌지결합되며 논둑에 약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된 약재살포유닛(30)과, 상기 트랙터(10)의 섀시에 설치되며 상기 약재살포유닛(30)과 연결되어 상기 약재살포유닛(30)에 상기 약재를 공급하는 약재공급유닛(70)을 구비한다.
상기 약재살포유닛(30)은 상기 트랙터(10)의 상기 섀시(11) 또는 붐(16)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약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약재분사부(40)와, 상기 약재분사부(40)가 상기 논둑의 측면(A)에 대응하는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약재분사부(40)가 상기 논둑의 측면(A)에 상기 약재를 분사할수 있도록 상기 약재분사부(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작동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약재분사부(40)는 상기 섀시(11) 또는 붐(16)에 장착되는 브라켓(31)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31)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동부(50)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5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한 노즐본체(42)와, 상기 노즐본체(42)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약재공급관(73)과 연결되어 상기 약재가 분사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46)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31)은 상호 체결되어 상기 붐(16)의 외측에 장착되거나 상기 붐(16)의 양 측방으로 분리될 수 있는 제1 및 제2 브라켓 본체(31a, 31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본체(31a,31b)는 상호 합형된 상태에서 내측에 상기 붐(16)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되게 절곡된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라켓 본체(31a)는 상기 붐(16)의 상기 섀시(11)를 향하는 내측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브라켓 본체(31b)는 상기 내측방의 반대방향인 상기 붐(16)의 외측방에 설치된다.
상기 제1 브라켓본체(31a) 및 상기 제2 브라켓본체(31b)는 상호 맞닿는 상측 및 하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볼트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31c,31d)가 형성된다. 제2 브라켓본체(31b)는 외측면에 상기 노즐본체(42)가 힌지결합될 수 있는 노즐지지부(32)가 형성된다.
상기 노즐본체(42)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내부에 밀폐된 중공부를 갖는 관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노즐본체(42)는 일측 단부에 상기 브라켓(41)과 힌지결합될 수 있는 노즐본체힌지결합부(43)가 마련된다. 상기 노즐본체(42)는 상기 노즐본체 힌지결합부(43)가 상기 브라켓(31)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노즐본체(42)가 회전 가능하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노즐본체(42)는 측부에 후술할 약재공급관(73)이 연결될 수 있는 연결노즐(42a)이 마련된다. 상기 연결노즐(42a)과 상기 약재공급관(73)은 퀵커플러(Quick-coupler) 연결, 스크류연결, 플랜지연결 중 어느 한가지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46)들은 상기 노즐본체(42)의 외측에 설치된다. 도면에서 상기 분사노즐(46)들은 상기 노즐본체(42)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복수개의 열로 설치되거나 각각의 분사노즐(46)의 분사영역이 교호적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노즐(46)은 상기 노즐본체(4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트랙터(10)의 외측방향을 따라 돌출되되 상기 노즐본체(42)의 중공부와 연통되어 상기 노즐본체(42)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약재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46a)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노즐(46)는 관상으로 형성된 것이나 이와 다르게 상기 약재가 소정의 패턴으로 분사될 수 있는 스프레이노즐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사노즐(46)이 상기 노즐본체(42)를 통해 상기 약재공급관(73)과 연결되는 것이나 이와 다르게 상기 분사노즐(46)과 상기 약재공급관(73)이 상호 직접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부(50)는 상기 노즐본체(42)의 힌지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노즐본체(42)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51)와, 상기 서보모터(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51)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53)를 포함한다.
제어부(53)는 상기 트랙터(10)에 설치된다. 제어부(53)는 상기 트랙터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상기 서보모터(51)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3)는 후술할 약재공급펌프(75), 스피커(55), 표시등(56), 개폐밸브(7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작동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을 갖는 것이다.
상기 서보모터(42)는 상기 제어부(53)로부터 수신되는 작동신호에 의해 상기 노즐본체(42)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통상의 서보모터가 적용된다. 상기 서보모터(42)는 몸체부가 상기 브라켓 본체(31a, 31b)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53)는 상기 서보모터(42)를 회전구동 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부가 상기 상기 노즐본체(42) 및 상기 노즐지지부(32)의 힌지결합부와 축결합된다.
상기 트랙터(10)의 섀시(11)에 설치되어 상기 약재공급펌프(75)가 작동시 알림음 또는 경고음을 발산하는 스피커(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55)는 상기 제어부(53)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53)에 저장된 소정의 멜로디 또는 경고음을 송출한다.
또한, 상기 트랙터(10)의 섀시(11)에 설치되어 상기 약재공급펌프(75)가 작동중이거나 작동중이 아닌 상태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구분되는 다른 색깔의 조명을 표시하는 표시등(5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등(56)은 상기 약재공급펌프(75)가 작동중인 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표시등(56a)과 상기 약재공급펌프(56b)가 정지된 상태를 표시하는 정지표시등(56b)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53)는 상기 약재공급펌프(75)가 작동중인 상태에서 상기 표시등(56)에 작동표시등(56a)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약재공급펌프(75)가 정지중인 상태에서 상기 정지표시등(56b)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약재공급유닛(70)은 상기 트랙터(10)의 섀시(11)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약재가 저장되는 약재저장탱크(71)와, 상기 약재저장탱크(71)와 상기 약재분사부(40)를 연결하는 약재공급관(73)과, 상기 약재공급관(73)에 설치되어 상기 약재를 이송하는 약재공급펌프(75)를 포함한다.
상기 약재저장탱크(71)는 내부에 액상의 상기 약재가 저장될 수 있으며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갖는다. 상기 약재저장탱크(71)는 PP(polyproplene), PE(polyethylene), 또는 금속으로 제조되는 탱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랙터(10)의 섀시(11)는 후부에 상기 약재저장탱크(71)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11a)가 마련되고 상기 약재저장탱크(71)가 상기 거치대(11a)에 거치되게 설치된다. 이와 다르게 상기 약재저장탱크(71)는 다른 방식으로 상기 섀시(11)에 고정 설치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약재저장탱크(71)에 저장되는 약재는 제초제, 살충제 또는 그 혼합물과 같은 농약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약재는 액상 또는 수용액으로 구성된 것이 적용된다.
상기 약재공급관(73)은 약재저장탱크(71)와 상기 약재공급펌프(75)를 연결하는 제1 공급관(73a)과, 상기 약재공급펌프(75)와 상기 노즐본체(45)를 연결하는 제2 공급관(73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공급관(73a,73b)는 내부에 상기 약재가 이송될 수 있는 중공부를 갖는 배관 또는 호스가 적용된다. 특히, 제2 공급관(73b)는 상기 노즐본체(45)가 회동함에 따라 적응적으로 형상이가 변화할 수 있는 호스가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약재분사부(40)는 상기 트랙터(10)의 양측에 한쌍이 설치된 것으로 제2 공급관(73b)는 상기 약재공급펌프(75)로부터 분기되게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제2 공급관(73b)은 일측이 상기 약재공급펌프(75)의 토출측과 연결되는 펌프토출관(74a)과, 펌프토출관(74a)의 타측에 설치되는 티이(tee)를 통해 상기 펌프토출관(74a)의 타측으로부터 분기되어 각 상기 노즐본체(45)로 연결되는 분기연결관(7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급관(73a)에는 상기 약재저장탱크(71)로부터 상기 약재공급펌프(75)로 상기 약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기 제1 공급관(73a)를 개폐 가능한 제1 개폐밸브(76a)가 설치된다. 상기 제2 공급관(73b)에는 상기 제1 공급관(73a)으로부터 상기 약재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허용하도록 상기 제2 공급관(73b)을 개폐 가능한 제2 개폐밸브(76b)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약재분사부(40)가 트랙터(10)의 양 측방에 설치됨에 따라 각각의 노즐본체(42)에 연결된 분기연결관(74b)에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노즐본체(42)에 상기 약재가 공급되는 것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와 다르게 상기 제2 개폐밸브(76b)는 상기 펌프토출관(74a)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본체(42)들로부터 상기 약재가 공급되는 것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개폐밸브(76a,76b)는 솔레이노이드 밸브가 적용되고, 상기 제어부(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제어부(53)의 조작부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및 제2 개폐밸브(76a,76b)는 볼밸브 또는 게이트밸브가 적용되어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약재공급펌프(75)는 상기 제1 공급관(73a)을 통해 상기 약재저장탱크(71)와 연결되어 상기 약재공급펌프(75)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약재를 이송할 수 있도록 회전 펌프(rotary pump) 또는 왕복동 펌프(reciprocating pump)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약재공급펌프(75)는 상기 트랙터(10)의 구동계와 연결되어 상기 트랙터(10)로부터 인출되는 회전 동력을 통해 상기 약재를 이송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약재공급펌프(75)와 연결되는 모터가 더 구비되어 상기 모터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작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개폐밸브(76a,76b)가 제1 및 제2 공급관(73a,73b)의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약재저장탱크(71) 내에 상기 약재가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1 개폐밸브(76a) 및 상기 약재공급펌프(75)를 작동시키고 상기 약재를 분사하고자 하는 방향에 위치한 상기 약재분사부(40)와 연결된 상기 제2 개폐밸브(76b)를 개방하여 상기 약재를 측방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서보모터(51)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분사노즐(46)이 상기 논둑의 측면(A)과 직교하도록 상기 노즐본체(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는 상기 트랙터(10)가 전방으로 주행하며 따라 상기 논둑의 측면(A)에 약재를 손쉽게 살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는 유지보수 또는 정비를 위해 상기 제1 브라켓본체(31a) 및 상기 제2 브라켓본체(31b)를 상호 분리함으로써 손쉽게 상기 트랙터(10)의 붐(16)으로부터 탈거하거나 사용을 위한 설치가 용이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는 상기 노즐본체(42)가 작동부(5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분사노즐(46)이 상기 논둑의 측면(A)과 근접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노즐본체(42)와 상기 논둑의 측면(A)이 상호 평행한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노즐본체(42)의 각도를 조정함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46)로부터 상기 논둑의 측면(A)의 거리가 균일하게 정렬되어 상기 논둑의 높이에 따라 상기 약재가 대기중에 흩날리지 않고 상기 논둑의 측면(A)에 균일하게 분사되며 약재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도 3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살포장치는 상기 약재분사부(40) 외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제1 실시예와 동일함에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약재분사부(40)는 일측이 상기 노즐본체(42)의 타측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노즐본체(42)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한 보조노즐본체(82)와,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논둑의 상면(B)에 약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약재공급관(73)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보조분사노즐(86)과, 상기 노즐본체(42) 및 보조노즐본체(82)을 연결하여 상기 노즐본체(42)에 대한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보조작동부(90)와,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분사노즐(86)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약재가 측풍에 의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조분사노즐(86)의 타측 방향을 가리는 측풍가림막(10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노즐본체(42)는 타측 단부에 후술할 제2 보조힌지결합부(83)가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노즐지지부 (49)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노즐본체(42)는 후술할 실린더힌지결합부(95)가 힌지결합 될 수 있도록 측면에 내측방향을 따라 실린더지지부(48)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조노즐본체(82)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고 내부에 밀폐된 중공부를 갖는 관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노즐본체(82)는 일측 단부에 상기 보조노즐지지부(49)와 힌지결합될 수 있는 보조힌지결합부(83)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노즐지지부(49) 및 상기 보조힌지결합부(83)는 상기 보조노즐본체(82)가 상기 노즐본체(42)에 대해 상기 트랙터(10)의 외측방향을 따라 기울어질 수 있게 상호 힌지결합된다. 상기 보조노즐본체(82)는 후술할 로드힌지결합부(95)가 힌지결합 될 수 있도록 측면에 내측방향을 따라 로드지지부(88)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노즐본체(82)가 상기 외측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후술할 실린더(92)가 상기 노즐본체(42)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로드지지부(88)는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외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편향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보조노즐본체(82)는 측부에 후술할 약재공급관(73)이 연결될 수 있는 보조연결노즐(82a)이 마련된다. 상기 보조연결노즐(82a)과 상기 약재공급관(73)은 상기 퀵커플러(Quick-coupler) 연결, 스크류연결, 플랜지연결 중 어느 한가지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노즐본체(82)는 타측 단부에 상기 측풍가림막(1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가림막고정브라켓(89)이 마련된다. 상기 가림막고정브라켓(89)은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타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연장 방향의 단부가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림막고정브라켓(89)의 단부에는 후술할 가림막체결부재(102)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약재공급관(73)은 상기 분기연결관(74b)로부터 분기되는 보조분기연결관(미도시)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분기연결관(미도시)이 상기 보조연결노즐(82a)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약재가 상기 보조노즐본체(82)를 통해 상기 보조분사노즐(86)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분기연결관(미도시)에는 보조개폐밸브(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보조연결노즐(82a)로부터 상기 약재가 분사되는 것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분사노즐(86)들은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외측에 설치된다. 도면에서 상기 보조분사노즐(86)들은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길이방향을 따라 1열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다르게 복수개의 열로 설치되거나 각각의 보조분사노즐(86)의 분사영역이 교호적으로 배치되게 설치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분사노즐(86)은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트랙터(10)의 외측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상기 보조분사노즐(86)은 상기 보조노즐본체(82)가 수평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약재를 수직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일측 방향을 향해 편향되게 연장된 것이다.상기 보조분사노즐(86)은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중공부와 연통되어 상기 보조노즐본체(82)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약재가 상기 트랙터(10)의 외측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분사공(86a)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분사노즐(86)는 관상으로 형성된 것이나 이와 다르게 상기 약재가 소정의 패턴으로 분사될 수 있는 스프레이노즐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분사노즐(86)이 상기 보조노즐본체(82)를 통해 상기 약재공급관(73)과 연결되는 것이나 이와 다르게 상기 보조분사노즐(86)과 상기 약재공급관(73)이 상호 직접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풍가림막(100)은 장방향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풍가림막(100)은 철판, 합성수지, 합판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측풍가림막(100)은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타측방으로부터 불어오는 측풍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보노분사노즐(86)을 충분히 가릴 수 있는 너비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작동부(90)는 일측이 상기 실린더지지부(48)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로드지지부(88)에 힌지결합되며 길이가 신장되게 작동되는 보조액츄에이터(91)와, 상기 보조액츄에이터(91)를 작동시켜 상기 보조노즐본체(82)를 상기 노즐본체(42)에 대해 회동시키는 유압유공급수단(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액츄에이터(91)는 일측이 상기 실린더지지부(48)에 힌지결합되는 실린더(92)와, 일측이 상기 실린더(92)의 내부에서 상기 실린더(92)에 공급되는 유압유의 유동에 따라 진퇴구동되며 타측이 상기 로드지지부(88)과 힌지결합되는 로드(94)를 포함하는 유압실린더가 적용된다.
상기 실린더(92)는 일측 단부에 실린더힌지결합부(9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결합부(93)가 상기 실린더지지부(48)와 힌지결합된다. 상기 로드(94)는 일측이 상기 실린더(92)의 내부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로드지지부(88)와 힌지지결합되는 로드힌지결합부(95)가 마련된다. 상기 실린더(92)는 유압유공급수단(미도시)과 연결된다. 상기 유압유공급수단(미도시)는 상기 실린더(92)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상기 실린더(92)에 대해 상기 로드(94)를 진퇴시킬 수 있다. 상기 유압유공급수단(미도시)는 상기 트랙터(10)가 상기 로더(15)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내장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섀시(11)에 설치되며 유압유가 저장되는 유압유공급탱크(미도시)와, 상기 유압유공급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유를 공급할 수 있는 유압유공급펌프(미도시)와, 상기 유압유공급펌프(미도시) 및 상기 실린더(92)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유압유가 상기 로드(94)를 상기 실린더(92)에 대해 전진시키거나 후퇴시키는 매니폴드(미도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작동부(90)는 통상의 유압실린더를 이용해 상기 보조노즐본체(82)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와 다르게 상기 보조노즐본체(82)와 상기 노즐본체(42)의 연결부와 연결되어 상기 보조노즐본체(82)를 소정 각도로 회전구동 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는 상기 작동부(50)에 의해 상기 노즐본체(42)가 상기 분사노즐(46)이 논둑의 측면(A)과 근접하도록 회동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노즐본체(82)가 상기 보조분사노즐(86)이 논둑의 상면(B)과 근접하도록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트랙터(10)가 전방으로 주행함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46)을 통해 상기 트랙터(10)의 측방에 위치한 논둑의 측면(A)으로 상기 약재를 분사함과 더불어 상기 보조분사노즐(86)을 통해 논둑의 상면(B)으로도 상기 약재를 분사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는 상기 보조분사노즐(86)이 상기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일측 방향으로 편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노즐본체(42)와 상기 보조노즐본체(82)의 연결부에 대응하는 부분인 상기 논둑의 측면(A)과 상면(B)이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 상기 약재가 도달하는 것이 용이하게 도달하도록 상기 약재가 분사되며 상기 약재를 상기 논둑의 상면(B)에 분사하기 위해 상기 보조노즐본체(86)를 과도하게 회동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는 논둑의 상면(B)을 타고 불어오는 측풍이 상기 측풍가림막(1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보조분사노즐(86)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약재가 흩날리는 것을 방지되는 이점을 갖는다.
A : 논둑의 측면 B : 논둑의 상면
10 : 트랙터 11 : 섀시
15 : 로더 16 : 붐
30 : 약재분사유닛 40 : 약재분사부
41 : 노즐본체 46 : 분사노즐
50 : 작동부 51 : 서보모터
70 : 약재공급유닛 71 : 약재저장탱크
75 : 약재공급펌프 73 : 약재공급관

Claims (6)

  1. 트랙터에 설치되어 논둑에 약재를 살포하기 위한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섀시 또는 붐에 힌지결합되며 약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약재분사부와, 상기 약재분사부가 논둑에 약재를 살포할 수 있도록 상기 약재분사부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약재살포유닛과;
    상기 트랙터의 섀시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약재가 저장되는 약재저장탱크와, 상기 약재저장탱크와 상기 약재분사부를 연결하는 약재공급관과, 상기 약재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약재를 이송하는 약재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약재공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약재분사부는 상기 섀시 또는 붐에 장착되는 브라켓과, 일측이 상기 브라켓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작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동가능하여 논둑의 기울어진 측면과 평행하게 근접할 수 있는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약재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약재가 분사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약재분사부는 일측이 상기 노즐본체의 타측 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노즐본체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여 상기 논둑의 상면과 근접할 수 있는 보조노즐본체와, 상기 보조노즐본체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논둑의 상면에 약재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약재공급관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보조분사노즐과, 상기 노즐본체 및 보조노즐본체를 연결하여 상기 노즐본체에 대한 상기 보조노즐본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보조작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노즐본체의 힌지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노즐본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는 서보모터와, 상기 서보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분사노즐은 상기 보조노즐본체가 수평에 대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약재를 수직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노즐본체로부터 상기 보조노즐본체의 일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 관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분사부는 상기 보조노즐본체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상기 약재가 측풍에 의해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보조분사노즐의 타측 방향을 가리는 측풍가림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KR1020210008958A 2021-01-21 2021-01-21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KR102534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58A KR102534252B1 (ko) 2021-01-21 2021-01-21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958A KR102534252B1 (ko) 2021-01-21 2021-01-21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59A KR20220105959A (ko) 2022-07-28
KR102534252B1 true KR102534252B1 (ko) 2023-05-19

Family

ID=8260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958A KR102534252B1 (ko) 2021-01-21 2021-01-21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2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996B2 (ja) 1996-07-02 1999-01-27 株式会社ナガノ 薬剤散布装置
JP3836961B2 (ja) 1997-11-05 2006-10-25 ニュー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ブームスプレーヤーの飛散防止カバー
KR101395987B1 (ko) 2012-05-21 2014-05-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US20170027103A1 (en) 2015-07-29 2017-02-02 Cnh Industrial America Llc Boom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KR101845344B1 (ko) * 2016-09-20 2018-04-04 양동국 트랙터 탑재용 폴더타입 농약살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412B1 (ko) 2003-04-28 2005-11-08 윤석렬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KR20110049228A (ko) * 2009-11-04 2011-05-12 김정원 이송수단에 장착되는 복합 방제기
KR20180064947A (ko) 2016-12-06 2018-06-15 이청열 트랙터용 약액 살포기
KR20200078271A (ko) * 2018-12-23 2020-07-01 채승아 트랙터에 설치되는 농약 살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9996B2 (ja) 1996-07-02 1999-01-27 株式会社ナガノ 薬剤散布装置
JP3836961B2 (ja) 1997-11-05 2006-10-25 ニューデルタ工業株式会社 ブームスプレーヤーの飛散防止カバー
KR101395987B1 (ko) 2012-05-21 2014-05-3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간격 조절형 약액 살포장치
US20170027103A1 (en) 2015-07-29 2017-02-02 Cnh Industrial America Llc Boom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KR101845344B1 (ko) * 2016-09-20 2018-04-04 양동국 트랙터 탑재용 폴더타입 농약살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59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81685A (en) Device for distributing chemicals beneath the soil surface and conditioning seed beds
EP2317842B1 (en) Self propelled agricultural application machine
KR101371076B1 (ko) 원거리 농약살포기
US3512714A (en) Sprayer
KR200485967Y1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DK179916B1 (da) Spredebom
US7077070B1 (en) High clearance fertilizer application system
KR102534252B1 (ko)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KR101151280B1 (ko) 다단 분사관을 갖는 약액 자동살포기
US8132741B2 (en) Spra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same
CN104430274A (zh) 农用高效喷药机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JP4633566B2 (ja) 乗用管理機用潅水装置及び乗用管理機
KR20200078273A (ko) 트랙터에 설치되는 농약 살포 장치
AU2016204514A1 (en) Boom arm system for spraying chemicals on agricultural row crops
US5462232A (en) Rotating liquid distributor for use with a spreader for liquid manure or other fluids
KR200200298Y1 (ko) 다기능 종합 비닐 피복기
JP2010004819A (ja) 自走型防除機
JP3627854B2 (ja) 薬液散布装置
JP2003061427A (ja) 耕耘装置の施用装置
KR102431391B1 (ko) 운행식 광범위 영농 복합 살포기
CN220607094U (zh) 一种森林病虫害治理用多功能喷药装置
KR20190113041A (ko) 멀티형 영농 살포기
CN218999344U (zh) 种植蔬菜用的喷淋装置
RU276972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