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412B1 -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412B1
KR100526412B1 KR10-2003-0026837A KR20030026837A KR100526412B1 KR 100526412 B1 KR100526412 B1 KR 100526412B1 KR 20030026837 A KR20030026837 A KR 20030026837A KR 100526412 B1 KR100526412 B1 KR 10052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or
blowing
injection
pip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5845A (ko
Inventor
윤석렬
Original Assignee
윤석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렬 filed Critical 윤석렬
Priority to KR10-2003-002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4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5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3Suction control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e.g. flow 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ertiliz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에 장착되는 농약비료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트랙터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농약 또는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트랙터 일측의 폭 방향 양측으로 설치되며 중앙영역이 상기 송풍안내관의 말단부와 연결되는 고정분사관과, 상기 고정분사관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분사관의 양단부에 절첩 및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나선상의 송풍경로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상기 송풍경로영역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절첩분사관과, 상기 고정분사관과 상기 절첩분사관을 절첩 및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플렉시플조인트를 갖는 분사관조립체와; 상기 호퍼의 수용물을 수령하여 상기 분사관조립체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토출구와 상기 분사관조립체를 연결하는 송풍안내관과; 상기 트랙터의 구동 동력으로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송풍팬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비료와 농약의 살포기능을 병행할 수 있고, 살포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비료와 농약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고, 다양한 농업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Agricultural medicines and Fertilizer Sprinkler Device for Tractor}
본 발명은,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쌀이나 무우, 배추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는 과정에서는 농작물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농작물을 각종 병충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비료 및 농약을 적절하게 사용한다.
이러한 비료 및 농약을 공급하는 작업은 농부가 비료살포기나 농약살포기를 짊어지고 논이나 밭의 전면적에 직접 공급해주어야 하는 힘든 작업 중에 하나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37376호 및 제20-01996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에 비료살포기나 농약살포기를 장착하여 비료 및 농약을 살포하는 트랙터 장착형 비료살포기와 농약살포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트랙터 장착형 비료살포기와 농약살포기는 비료와 농약 살포기능을 함께 사용할 수 없고, 농약살포의 경우에는 별도의 구동펌프를 이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트랙터 장착형 비료살포기와 농약살포기는 비료와 농약의 살포방향이 공중살포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살포 면적이 비교적 협소하여 큰 면적의 논과 밭 등에서는 살포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논과 밭의 가장자리와 같은 불필요한 영역으로 비료와 농약이 살포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공중 살포 구조는 과수재배 분야에서는 사용이 적합하지만, 논 농사 및 채소 재배를 위한 밭농사 분야에서의 사용은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비료와 농약의 살포기능을 병행할 수 있고, 살포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비료와 농약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고, 다양한 농업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트랙터에 장착되는 농약비료 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농약 또는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트랙터 일측의 폭 방향 양측으로 설치되며 중앙영역이 상기 송풍안내관의 말단부와 연결되는 고정분사관과, 상기 고정분사관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분사관의 양단부에 절첩 및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나선상의 송풍경로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상기 송풍경로영역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절첩분사관과, 상기 고정분사관과 상기 절첩분사관을 절첩 및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플렉시플조인트를 갖는 분사관조립체와; 상기 호퍼의 수용물을 수령하여 상기 분사관조립체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토출구와 상기 분사관조립체를 연결하는 송풍안내관과; 상기 트랙터의 구동 동력으로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송풍팬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 여기서, 상기 분사관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트랙터의 일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절첩분사관을 절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첩실린더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송풍안내관과 상기 고정분사관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3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송풍팬의 송풍공기 중 일부를 상기 호퍼의 내측 또는 상기 호퍼의 배출구로 안내하여 상기 호퍼의 수용물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구동유닛은 상기 트랙터구동축과 상기 송풍팬의 사이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랙터구동축과 축결합되는 원동기어와, 상기 트랙터구동축과 상기 원동기어를 결합시키는 축이음부재과, 상기 원동기어에 비해 작은 기어잇수를 가지고 상기 원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송풍팬의 팬회전축에 결합되는 피동기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1)는 트랙터(3)의 후방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농약 또는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20)와, 트랙터(3)의 전방에 폭 방향 양측으로 설치된 분사관조립체(30)와, 호퍼(20)의 수용물을 흡입하여 분사관조립체(30)로 송풍하는 송풍팬(도 3의 40)와, 상기 송풍팬(40)의 토출영역과 상기 분사관을 연결하는 송풍안내관(50)과, 송풍팬(40)을 구동시키는 송풍팬구동유닛(도 3의 60)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은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지지판(11a,11b)과, 일측 지지판(11a)의 외측 중앙영역에 형성되는 팬수용부(13)와, 타측 지지판(11b)의 외측 하부영역에 형성되는 원동기어수용부(15)를 갖는다.
양 지지판(11)의 상부영역에는 호퍼(20)의 결합을 위한 호퍼결합부(17)가 형성되어 있으며, 팬수용부(13)의 중앙영역에 대응하는 양 지지판(11) 사이공간에는 팬구동축(43)과 팬구동축(43)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피동기어(도 3의 65)가 수용되도록 팬구동부품수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팬수용부(13)의 일측에는 도 3과 같이, 송풍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3a)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구(13a)는 호퍼(20)의 배출구(23)와 연결배관(2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팬수용부(13)의 둘레영역에는 팬수용부(13) 내에서 발생하는 송풍공기 중 일부의 송풍공기를 호퍼(20)의 내측 및 연결배관(27)으로 공급하여 호퍼(20)에 수용된 수용물의 배출을 유도하는 한 쌍의 배출유도관(13b,13c)이 마련되어 있다.
원동기어수용부(15)의 중앙영역에 대응하는 지지프레임(10)의 하부영역에는 원동기어축(61a)의 결합을 위한 기어축결합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호퍼(2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단부에 각각 수용물의 투입 및 배출을 위한 투입개구(21)와 배출구(23)가 형성되어 있는 깔때기 형상을 가지고 지지프레임(10)의 호퍼결합부(17)에 결합된다. 호퍼(20)의 투입개구(21)는 커버(25)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배출구(23)는 팬수용부(13)에 형성되어 있는 토출구(13a)와 연결배관(27)에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구(23) 내에는 호퍼(20)에 수용되는 수용물의 배출을 허용 및 차단하는 수용물배출밸브(2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물배출밸브(29)는 작업자가 트랙터(3)의 운전석에서 레버로 조작하는 수동밸브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스위치로 조작하는 솔레노이드밸브 등의 자동밸브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호퍼(20)는 단일의 수용공간으로 형성되어 비료와 농약을 필요에 따라 번갈아 가면서 수용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용공간을 비료수용부와 농약수용부로 나누어 비료와 농약을 동시에 수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는 수용물배출밸브(29)의 개방방향을 조절하여 비료수용부와 농약수용부에 수용된 수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분사관조립체(3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3) 전방의 폭 방향 양측으로 설치되는 고정분사관(31)과, 고정분사관(31)의 양 단부에 절첩 및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절첩분사관(33)과, 고정분사관(31)과 절첩분사관(33)을 연결하는 플렉시블조인트(35)를 갖는다. 여기서, 분사관조립체(30)는 트랙터의 후방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분사관(31)은 중앙영역에 송풍안내관(50)의 결합을 위한 안내관결합부(31a)가 형성되어 있는 T자형 관재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관결합부(31a)에는 송풍안내관(50)을 통해 전달되는 비료 또는 농약을 고정분사관(31)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이송경로를 가변하는 3웨이밸브(31b)가 설치되어 있다. 이 3웨이밸브(31b)는 작업자가 트랙터(3)의 운전석에서 레버로 조작하는 수동밸브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스위치로 조작하는 전자밸브 등의 자동밸브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절첩분사관(33)은 비교적 긴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노즐(33a)이 마련되어 있다. 절첩분사관(33)은 플렉시블조인트(35)에 의해 고정분사관(31)의 양 단부에 착탈 및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트랙터(3)의 전방에서 폭 방향 양측으로 외향 연장되도록 펴지거나, 트랙터(3)의 양측에 접하도록 절첩된다. 이때, 절첩분사관(33)은 자중에 의한 하향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절첩크랭크(37)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절첩분사관(33)은 절첩크랭크(37)를 작동시키는 절첩실린더(39)에 의해 자동으로 절첩된다. 절첩실린더(39)의 조작은 트랙터(3)의 운전석에서 도시 않은 콘트롤부를 조작함으로써 가능하다. 여기서, 절첩분사관(33)을 절첩시키는 방법은 절첩실린더(39)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절첩분사관(33)은 고정분사관(31)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으며, 절첩분사관(33)의 내주면에는 도 4에 간략히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상의 송풍경로(33b)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경로(33b)는 외주면에 나선상의 홈이 가공되어 있는 스크류형상의 봉재(미도시)를 절첩분사관(33) 내부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절첩분사관(33)의 내경을 고정분사관(31)에 비해 작게 형성하고 절첩분사관(33) 내에 송풍경로(33b)를 형성하는 것은 송풍안내관(50)을 통해 각 분사관으로 공급되는 비료 또는 농약이 내경 축소와 송풍경로(33b)에서의 와류에 의해 이송속도 및 분사력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나선상의 송풍경로(33b)는 양 절첩분사관(33)에서 각각 상이한 방향의 경로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4를 기준으로 좌측의 절첩분사관(33)에 형성된 송풍경로(33b)는 화살표 "A"방향으로 바라볼 때 시계방향의 송풍경로(33b)를 가지며, 우측의 절첩분사관(33)에 형성된 송풍경로(33c)는 화살표 "B"방향으로 바라볼 때 반시계방향의 송풍경로(33c)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는 분사노즐의 분사각이 전방 또는 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양 절첩분사관(33)은 분사노즐(33a)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나선상의 송풍경로(33b,33c)방향을 조절하여 분사노즐(33a)의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내기한 논이나 채소밭에 비료 또는 농약을 살포할 때는, 분사노즐(33a)의 분사방향이 하향 또는 전방을 향하도록 도 4와 같이, 고정분사관(31)의 좌측에 결합되는 절첩분사관(33)은 화살표"A"빙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의 송풍경로(33b)를 갖도록 하고, 고정분사관(31)의 우측에 결합되는 절첩분사관(33)은 화살표 "B"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의 송풍경로(33c)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과수원 등에 농약을 살포할 때는 분사노즐(33a)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도 5와 같이, 양 절첩분사관(33)의 좌우위치를 변경하여 고정분사관(31)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고정분사관(31)의 좌측에 결합되는 절첩분사관(33)은 화살표"A"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의 송풍경로(33c)를 갖게 되고, 고정분사관(31)의 우측에 결합되는 절첩분사관(33)은 화살표 "B"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의 송풍경로(33b)를 갖게 되어 분사노즐(33a)의 분사방향을 상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분사노즐(33a)은 절첩분사관(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등간격을 두고 송풍경로(33b) 상에 마련된다. 이 분사노즐(33a)은 도 6a와 같이,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분사노즐(33a)은 도 6b와 같이, 절첩분사관(33) 판면을 삼각형태로 절개하고 절개영역(33c)에 부채꼴 형태의 분사노즐(33a')을 결합시키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는 좌우분사각을 확대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분사노즐(33a)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송풍팬(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의 팬수용부(13) 내에 수용되는 팬날개(41)와, 팬구동부품수용부(19)에 설치되는 팬구동축(43)으로 이루어진다.
팬날개(41)는 횡류팬 형태로 마련되어 중앙영역에서 흡입한 공기를 팬수용부(13)의 토출구(13a)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그리고, 팬구동축(43)은 지지프레임(10)의 팬구동부품수용부(19)에서 양측 단부가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일측단부(원동기어(61)를 향하는 측)가 팬구동부품수용부(19)를 통해 원동기어수용부(15)의 내측 상부로 연장되어 있다.
송풍안내관(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터(3)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양 단부가 각각 팬수용부(13)의 토출구(13a) 및 고정분사관(31)의 안내관결합부(31a)에 연결되어 있다. 팬수용부(13)의 토출구(13a)를 통해 토출되는 비료 또는 농약은 이 송풍안내관(50)을 따라 고정분사관(31)으로 이송된다.
송풍팬구동유닛(60)은 지지프레임(10)의 원동기어수용부(15)에 수용되는 원동기어(61)와, 원동기어(61)의 원동기어축(61a)와 트랙터구동축(3a)을 연결하는 축이음부재(63)와, 원동기어수용부(15)의 상측에서 팬구동축(43)에 결합되어 원동기어(61)에 맞물리는 피동기어(65)로 이루어져 있다.
원동기어(61)는 원동기어수용부(15)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동기어축(61a)에 결합된다. 이때, 원동기어축(61a)은 원동기어수용부(15)의 중앙에 설치된 베어링(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트랙터구동축(3a)과 축이음부재(6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원동기어의 타단부는 일측의 지지판(11a)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 연장단부에는 농기구결합부재(71)가 마련되어 있다. 농기구결합부재(71)는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타 농기구에 트랙터(3)의 구동력을 전달해 줄 때 사용된다.
피동기어(65)는 지름과 잇수가 원동기어(61)의 지름과 잇수에 비해 현저히 작게 형성된다. 이는 원동기어(61)의 회전에 따라 팬날개(41)가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원동기어축(61a)과 트랙터구동축(3a)을 연결하는 축이음부재(63)는 클러치를 이용하여 원동기어축(61a)과 트랙터구동축(3a)이 맞물리거나 맞물림해제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도 7과 같이, 축이음부재(63')를 트랙터구동축(3a)에 커플링 등으로 결합된 체인기어축(63d)과, 체인기어축(63d) 및 원동기어축(61a)에 결합된 한 쌍의 체인(63a,63b)과, 양 체인을 폐루프상으로 연겨하는 체인(63c)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축이음부재(63)은 커플링을 이용하여 원동기어축(61a)과 트랙터구동축(3a)을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1)를 이용해서 논이나 밭에 비료 또는 농약을 살포할 때는, 먼저 호퍼(20)에 농약 또는 비료를 선택적으로 수용시키고 트랙터(3)를 운행하여 논이나 밭으로 이동한다. 이때, 트랙터(3)의 구동휠은 파종이 완료된 논이나 밭에 진입할 때 농작물을 훼손하지 않도록 도 1 및 도 2와 같이, 폭이 얇은 철재휠(3b)을 사용한다.
트랙터(3)가 논이나 밭으로 진입하면 도시 않은 콘트롤부를 조작하여 절첩실린더(39)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절첩분사관(33)이 도 2와 같이 트랙터(3)의 전방 양측으로 넓게 펼쳐진다. 이때, 도시 않은 축이음기어를 클러치로 구성된 축이음부재(63)에 의해 원동기어축(61a)과 트랙터구동축(3a)이 맞물리도록 한다.
절첩분사관(33)을 펼친 상태에서 호퍼(20)의 배출구(23)에 설치된 수용물배출밸브(29)를 개방하고 트랙터(3)를 운행시키면, 트랙터구동축(3a)의 회전이 축이음부재(63)에 의해 원동기어축(61a)으로 전달되어 원동기어(61)가 회전되고, 원동기어(61)의 회전에 따라 피동기어(65)가 회전하면서 팬날개(41)가 고속으로 회전된다.
팬날개(41)가 회전되면 호퍼(20)에 수용되어 있는 비료 또는 농약이 호퍼(20)의 배출구(23)를 통해 팬수용부(13)의 토출구(13a) 내부로 공급되면서 송풍팬(40)의 송풍력에 의해 송풍안내관(50)을 따라 고정분사관(31)으로 이송된다.
고정분사관(31)으로 이송된 비료 또는 농약은 넓게 펼쳐진 절첩분사관(33)을 따라 트랙터(3)의 양측 영역으로 이송되면서 분사노즐(33a)을 통해 농작물로 살포된다. 이에 의해, 넓은 면적의 논이나 밭에 비료 또는 농약을 짧은 시간에 간단히 살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1)를 이용하여 논이나 밭의 가장자리영역에 비료나 농약을 살포할 때는 논이나 밭의 외측을 향하는 쪽의 절첩분사관(33)을 접고, 3웨이밸브(31b)를 펼쳐진 절첩분사관(33) 쪽으로만 개방한 상태에서 트랙터(3)를 논이나 밭의 가장자리로 운행시키면 비료 또는 농약의 불필요한 소모없이 살포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1)를 이용하여 과수재배 분야에서 사용할 때는 분사노즐(33a)의 분사방향이 상부를 향하도록 절첩분사관(33)을 적절히 회전시켜 사용한다.
이와 같이, 농업장비 중의 하나인 트랙터에 비료와 농약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호퍼와, 비교적 긴 살포영역과 살포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분사관조립체와, 호퍼에 수용된 비료 또는 농약을 분사관조립체로 이송하는 송풍팬 및 송풍안내관과, 트랙터의 구동 동력으로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송풍팬구동유닛으로 구성된 농약비료 살포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비료와 농약의 살포기능을 병행할 수 있고, 비료와 농약의 살포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비료와 농약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고, 논이나 밭, 과수원 등의 다양한 농업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가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비료와 농약의 살포기능을 병행할 수 있고, 살포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비료와 농약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하고, 다양한 농업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송풍팬 및 송풍팬구동유닛 설치영역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분사관조립체 설치영역 확대도,
도 6a, 도 6b는 도 4의 분사노즐 영역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트랙터 10 : 지지프레임
20 : 호퍼 29 : 수용물배출밸브
30 : 분사관조립체 31 : 고정분사관
31b : 3웨이밸브 33 : 절첩분사관
33a : 분사노즐 33b : 송풍경로
35 : 플렉시블조인트 39 : 절첩실린더
40 : 송풍팬 50 : 송풍안내관
60 : 송풍팬구동유닛 61 : 원동기어
63 : 축이음부재 65 : 피동기어

Claims (6)

  1. 삭제
  2. 트랙터에 장착되는 농약비료 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터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농약 또는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트랙터 일측의 폭 방향 양측으로 설치되며 중앙영역이 상기 송풍안내관의 말단부와 연결되는 고정분사관과, 상기 고정분사관에 비해 작은 내경을 가지고 상기 고정분사관의 양단부에 절첩 및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주면을 따라 나선상의 송풍경로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상기 송풍경로영역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분사노즐이 마련되어 있는 절첩분사관과, 상기 고정분사관과 상기 절첩분사관을 절첩 및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플렉시플조인트를 갖는 분사관조립체와;
    상기 호퍼의 수용물을 수령하여 상기 분사관조립체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토출구와 상기 분사관조립체를 연결하는 송풍안내관과;
    상기 트랙터의 구동 동력으로 상기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송풍팬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조립체에 인접한 상기 트랙터의 일영역에 마련되어 상기 절첩분사관을 절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절첩실린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안내관과 상기 고정분사관의 연결부위에 마련되는 3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의 송풍공기 중 일부를 상기 호퍼의 내측 또는 상기 호퍼의 배출구로 안내하여 상기 호퍼의 수용물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구동유닛은
    상기 트랙터구동축과 상기 송풍팬의 사이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트랙터구동축과 축결합되는 원동기어와,
    상기 트랙터구동축과 상기 원동기어를 결합시키는 축이음부재와,
    상기 원동기어에 비해 작은 기어잇수를 가지고 상기 원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송풍팬의 팬회전축에 결합되는 피동기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KR10-2003-0026837A 2003-04-28 2003-04-28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KR100526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37A KR100526412B1 (ko) 2003-04-28 2003-04-28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837A KR100526412B1 (ko) 2003-04-28 2003-04-28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845A KR20040095845A (ko) 2004-11-16
KR100526412B1 true KR100526412B1 (ko) 2005-11-08

Family

ID=3737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837A KR100526412B1 (ko) 2003-04-28 2003-04-28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4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646B1 (ko) 2011-05-06 2014-02-24 주식회사 주일산업 액상비료 복합살포기
KR20210156694A (ko) * 2020-06-18 2021-12-27 변정훈 운행식 광범위 영농 복합 살포기
KR20220050690A (ko) 2020-10-16 2022-04-25 유한회사 광원기계 비료살포장치
KR20220105959A (ko) 2021-01-21 2022-07-28 류선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238A (ko) * 2001-10-30 2001-12-08 박세기 파종, 농약 및 비료 살포하는 다목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238A (ko) * 2001-10-30 2001-12-08 박세기 파종, 농약 및 비료 살포하는 다목적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646B1 (ko) 2011-05-06 2014-02-24 주식회사 주일산업 액상비료 복합살포기
KR20210156694A (ko) * 2020-06-18 2021-12-27 변정훈 운행식 광범위 영농 복합 살포기
KR102431391B1 (ko) 2020-06-18 2022-08-09 변정훈 운행식 광범위 영농 복합 살포기
KR20220050690A (ko) 2020-10-16 2022-04-25 유한회사 광원기계 비료살포장치
KR20220105959A (ko) 2021-01-21 2022-07-28 류선호 트랙터용 약재 살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845A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579B2 (en) Mower for attachment to an agricultural vehicle
US5251818A (en) Spraying equipment for plants grown in rows
JP2008072944A (ja) 播種機
JP4790683B2 (ja) 肥料・農薬散布器
KR100853020B1 (ko) 각도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제초제 및 농약 자동살포기
US3670963A (en) Liquid fertilizer applying apparatus
KR100526412B1 (ko)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KR20090099738A (ko) 유기질 비료살포기
KR101111147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트랙터용 비료살포장치
KR102332105B1 (ko) 회전되는 노즐에 의해 광대역의 분사반경을 갖는 농약 살포장치
KR100899870B1 (ko) 비료·농약 살포기
IL107455A (en) Orchard or grove sprayer
KR200482553Y1 (ko) 분무기 겸용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 방제기
US9855570B1 (en) Mist blower
US3216664A (en) Tractor powered sprayer
CN2912262Y (zh) 多功能喷药机
US4913344A (en) Water rinse system for pneumatic spreaders
KR100852480B1 (ko) 유기질 비료 자동 살포기
KR200488377Y1 (ko) 과수용 약액 분사장치
KR200192487Y1 (ko) 약재 살포장치
US10136575B2 (en) Product row banding assembly for air delivery machines
KR20160003343U (ko) 멀티 회전 송풍기를 갖는 트랙터 탑재식 원거리용 방제기
KR102431391B1 (ko) 운행식 광범위 영농 복합 살포기
KR102339356B1 (ko) 이동식 비료 살포장치
JPS583492Y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薬剤散布装置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