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690A - 비료살포장치 - Google Patents

비료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690A
KR20220050690A KR1020200134647A KR20200134647A KR20220050690A KR 20220050690 A KR20220050690 A KR 20220050690A KR 1020200134647 A KR1020200134647 A KR 1020200134647A KR 20200134647 A KR20200134647 A KR 20200134647A KR 20220050690 A KR20220050690 A KR 20220050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unit
coupled
body fram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899B1 (ko
Inventor
정다롱
김건회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광원기계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광원기계,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유한회사 광원기계
Priority to KR1020200134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89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01C19/04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by a ground-engag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distributing slots, e.g. adjustable openings for do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6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eans for pushing out the fertiliser, e.g. by a roll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7/00Fertilisers or seeders with centrifugal wheels
    • A01C17/006Regulating or dos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와 같은 협소한 공간이나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경작지에 대해 비료를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비료살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주행휠을 가지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주행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비료배출구를 가지는 비료저장통; 및 상기 비료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이동과 연동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정지 시에는 비료의 공급을 정지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이동 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는 용량으로 비료를 공급하는 비료공급유닛;을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비료살포장치{APPARATUS FOR SCATTER OF MANURE}
본 발명은 비료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하는 용량의 비료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는 비료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나 경작지 등에 재배되는 작물의 생산성 및 상품성을 높이기 위하여 영양물질인 비료를 뿌려 주게 된다.
일반적으로, 경작지의 면적이 적은 경우에는 비료가 담긴 비료저장통을 들고, 손으로 직접 비료를 경작지에 뿌려 주게 되는데, 사용이 번거롭고, 비료살포에 장시간이 소요되며, 작업자의 피로도를 가중시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비료를 뿌려 주기 때문에 경작지 전체적으로 비료가 균일하게 살포되지 못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도 비료의 살포량에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경작지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작업 방식은 한계를 가지기 때문에, 기계 동력을 이용하여 비료를 살포하여 비료 살포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기계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된다.
근래에 들어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에 장착하여 자동으로 비료를 살포할 수 있도록 비료살포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비료살포장치는 넓은 범위에 걸쳐 비료를 살포해야 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너무 크고, 이랑이나 둔턱 등이 있어 평탄하지 않은 지역이나 비닐하우스와 같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공간에서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526412호(2005.11.0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비닐하우스와 같은 협소한 공간이나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경작지에 대해 비료를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는 비료살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는, 주행휠을 가지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이 이동되도록 상기 주행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비료배출구를 가지는 비료저장통; 및 상기 비료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이동과 연동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정지 시에는 비료의 공급을 정지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이동 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는 용량으로 비료를 공급하는 비료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료공급유닛은, 상기 비료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비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비료를 내부로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비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정지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비료가 상기 토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비료를 상기 토출구로 이동시키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에 결합되며, 상기 공급롤러의 양측으로 돌출 연장된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축부재;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롤러축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롤러축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는, 롤러몸체; 및 비료가 수용되도록 상기 롤러몸체의 외면에 오목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료공급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비료의 살포량을 조절하기 위한 살포량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포량 조절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며, 핀공이 형성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공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복수개의 위치조절공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조절판; 및 상기 핀공과, 상기 복수개의 위치조절공 중 선택된 위치조절공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조절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포량 조절부는, 상기 설치대와 상기 고정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핀을 가압하여 상기 위치조절공에 관통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비료가 상기 공급롤러의 외주면 상부영역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공급롤러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포량 조절부는, 상기 조절판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판;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판에 결합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핀; 및 상기 조절판에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핀을 관통시키는 이탈방지용 가이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에 인접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유연성의 제1토출배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토출배관에 결합되며, 비료의 살포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살포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포위치 조절부는, 상기 제1토출배관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토출배관;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며, 호 형상의 안내공을 가지는 지지판;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에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토출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핀부재를 가지는 위치조절바; 및 상기 핀부재와 상기 지지판을 체결하여, 상기 위치조절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포위치 조절부는, 상기 제2토출배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토출배관에서 토출되는 비료의 살포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의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으로 비료를 토출하는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구동부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을 위한 동력과 비료 공급을 위한 동력을 동시에 제공하는 콤팩트한 구조의 비료살포장치를 통하여, 비닐하우스와 같은 협소한 공간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경작지에 대해 비료를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프레임의 주행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공급롤러을 포함한 비료공급유닛을 통하여, 본체프레임의 정지 시에는 비료의 공급을 차단하고, 본체프레임의 이동 시 이동 속도에 비례하는 용량으로 비료를 공급하여, 항상 균일한 용량의 비료를 신속하게 살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포량 조절부를 통하여, 본체프레임의 이동 속도와 무관하게 비료의 살포 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용량에 맞게 비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공급유닛의 전방에서 바라 본 단면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급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공급유닛의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포위치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장치는 본체프레임(100), 구동부(200), 비료저장통(300), 비료공급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프레임(100)은 비료살포장치의 뼈대인 프레임을 이루는 것으로, 구동부(200), 비료저장통(300) 및 비료공급유닛(400)을 일괄 탑재 및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프레임(100)은 주행휠(1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행휠(110)은 전방휠(111)과 후방휠(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휠(111)과 후방휠(112)은 일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프레임(100)은 경작지의 협소한 이랑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전방휠(111) 및 후방휠(112) 중 적어도 하나의 휠은 구동휠일 수 있고, 다른 나머지 휠은 피동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휠(111)은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구동부(200)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구동휠일 수 있고, 후방휠(112)은 피동휠일 수 있다.
또한, 본체프레임(100)은 메인프레임(101)과 지지프레임(10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메인프레임(101)은 중앙 하단부에 주행휠(1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전방에는 구동부(200)가 탑재될 수 있으며, 후방 상단부에는 핸들(10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01)의 후방 하단부에는 지지대(105)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대(105)는 전방휠(111)과 후방휠(112)이 일렬로 구비되는 주행휠(110)을 구비함으로써 미사용 시 비료살포장치는 좌측과 우측으로 넘어질 수 있는데, 지지대(105)를 통해 비료살포장치는 입설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105)는 자전거나 바이크 등의 이륜차에 구비되는 통상의 지지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지지프레임(103)은 메인프레임(101)의 중앙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비료저장통(300) 및 비료공급유닛(400)이 탑재 및 지지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1) 및 지지프레임(103)을 포함하는 본체프레임(100)은 구동부(200), 비료저장통(300) 및 비료공급유닛(400)을 탑재 및 지지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강성과 기하학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형상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진 않는다.
구동부(2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본체프레임(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주행휠(110)의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200)는 비료를 살포하기 위한 비료공급유닛(400)의 구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동부(200)는 모터일 수 있으며, 본체프레임(100)의 전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비료살포장치는 제1동력전달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동력전달부(150)는 구동부(200)와 주행휠(110)을 연결하며 구동부(200)에서 발생된 동력을 주행휠(11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동력전달부(150)는 구동부(200)의 제1구동축(201)에 구비되는 제1스프라켓(151)과, 주행휠(110)의 휠축(111a)에 구비되는 제2스프라켓(152)과, 제1스프라켓(151) 및 제2스프라켓(152)을 연결하는 제1체인(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동력전달부(150)는 스프라켓/체인 뿐만 아니라, 풀리/벨트 혹은 기어조립체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200)에 발생된 동력은 제1동력전달부(150)를 통해 회전력이 가감속되어 주행휠(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비료저장통(300)은 비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03)의 중앙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비료저장통(300)은 상단부에 비료가 투입되는 비료투입구(301)와 하단부에 비료가 배출되는 비료배출구(302)이 구비될 수 있다. 비료저장통(300)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지지프레임(10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비료공급유닛(400)은 비료저장통(3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본체프레임(100)의 이동 시 연동하여 동작하면서 비료저장통(300)의 비료배출구(302)를 통해 배출되는 비료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비료공급유닛(400)은 구동부(200)와 연결되어 본체프레임(100)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본체프레임(100)의 정지 시에는 비료의 공급이 차단될 수 있고, 본체프레임(100)의 이동 시에는 본체프레임(100)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는 용량으로 비료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비료공급유닛(4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공급유닛의 전방에서 바라 본 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공급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료공급유닛의 측면에서 바라 본 단면예시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비료공급유닛(400)은 하우징(410), 공급롤러(420), 롤러축부재(430), 제2동력전달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410)은 비료저장통(3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비료배출구(302)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410)은 비료배출구(302)에서 배출되는 비료를 내부로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용부(411)가 구비될 수 있고, 수용부(41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수용부(411)에 수용된 비료를 하부방향으로 토출하는 토출구(412)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410)의 상단부와 비료배출구(302)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를 풀어 비료저장통(300)을 분리한 상태에서 하우징(410)의 내부의 청소나 부품교체 등의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410)의 수용부(411)는 좌우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수용부(411)는 본체프레임(100)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구비되는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를 가질 수 있다. 제1수용부는 비료배출구(302)에서 배출되는 비료의 일부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고, 제2수용부는 비료배출구(302)에서 배출되는 비료의 나머지 일부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는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료배출구(302)에서 배출되는 비료는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의 내부로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410)의 토출구(412) 역시 좌우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토출구(412)는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가질 수 있다. 제1토출구는 제1수용부의 하단부에 외측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2토출구는 제2수용부의 하단부에 외측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수용부에 수용된 비료는 제1토출구를 통해 본체프레임(100)의 외측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될 수 있고, 제2수용부에 수용된 비료는 제2토출구를 통해 본체프레임(100)의 외측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토출될 수 있다.
이처럼 비료저장통(300)의 비료는 한 쌍의 수용부(411)에 분배 수용될 수 있고, 한 쌍의 토출구(412)를 통하여 비료살포장치의 양측으로 동시 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료살포장치가 고랑을 따라 주행할 시, 고랑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양측 두둑에 비료를 균등하게 분배하여 살포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토출구(412)에는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 즉, 두둑의 상측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1토출배관(415)이 결합될 수 있다. 제1토출배관(415)은 주름관과 같은 유연성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제1토출배관(415)를 통해 보다 정확한 위치에 비료를 살포할 수 있고, 주변으로 비료가 흩날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공급롤러(420)는 하우징(4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부(411)와 토출구(412)의 경계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부(411)와 토출구(412)는 공급롤러(42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공급롤러(420)는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수용부(411)의 비료가 토출구(412)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회전됨에 따라 수용부(411)의 비료를 통과시키며 토출구(412)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공급롤러(420)는 롤러몸체(421)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몸체(421)는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축공(42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 상에서 토출구(412)가 투영되지 않도록 토출구(412)의 크기와 같거나 토출구(412)의 크기보다 큰 종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롤러(420)가 정지 시 토출구(412)는 평면 상에서 폐쇄된 상태일 수 있고, 이때 비료는 공급롤러(420)를 통과하지 못하여 토출구(412)를 통한 비료의 공급은 중지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롤러(420)는 복수개의 수용홈부(4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수용홈부(423)는 롤러몸체(421)의 외면에 오목 형성될 수 있고, 롤러몸체(42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수용홈부(423)는 롤러몸체(421)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 간격을 유지하며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411)에 수용되는 비료는 공급롤러(4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부 수용홈부(423)에 수용될 수 있고, 수용홈부(423)에 수용된 비료는 공급롤러(420)의 회전과 연동하여 공급롤러(420)의 하부로 이동되어 낙하하여 토출구(412)로 토출될 수 있다.
결국, 공급롤러(420)는 마치 물레방아의 수차와 같이, 회전하는 공급롤러(42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는 용량으로 상측의 비료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410)의 수용부(411) 및 토출구(412)가 한 쌍으로 구비될 경우, 공급롤러(420)는 각 수용부(411)에 배치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공급롤러(420)는 회전속도가 동기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동일한 용량의 비료를 한 쌍의 토출구(412)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축부재(430)는 공급롤러(420)의 축공(421a)에 관통 결합되어 공급롤러(420)의 양측으로 돌출하여 연장 구비될 수 있다. 롤러축부재(430)의 양단부는 하우징(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하우징(410)을 관통하는 롤러축부재(430)의 양단부는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프레임(10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공급롤러(420)가 구비될 경우, 롤러축부재(430)는 일렬로 구비된 한 쌍의 공급롤러(420)의 축공(421a)에 관통 결합되어 한 쌍의 공급롤러(420)의 회전속도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제2동력전달부(450)는 구동부(200)와 롤러축부재(430)를 연결하며 구동부(200)에서 발생된 동력을 롤러축부재(43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동력전달부(450)는 구동부(200)의 제2구동축(202)에 구비되는 제3스프라켓(451)과, 롤러축부재(43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4스프라켓(452)과, 제3스프라켓(451) 및 제4스프라켓(452)을 연결하는 제2체인(4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동력전달부(150)와 마찬가지, 제2동력전달부(450) 역시 스프라켓/체인 뿐만 아니라, 풀리/벨트 혹은 기어조립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구동부(200)에 발생된 동력은 제2동력전달부(450)를 통해 회전력이 가감속되어 롤러축부재(430) 및 공급롤러(4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부(200)의 제1구동축(201) 및 제2구동축(202)은 동일한 구동축일 수 있다. 이처럼 구동부(200)에 발생된 동력은 제1동력전달부(150) 및 제2동력전달부(450)로 각각 분배되어 주행휠(110) 및 공급롤러(42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장치는 살포량 조절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포량 조절부(500)는 비료공급유닛(400)과 연결되며, 토출구(302)를 통과하는 비료의 살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살포량 조절부(500)는 설치대(510), 조절판(520), 고정핀(530)을 포함할 수 있다.
설치대(510)는 본체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절판(520)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대(510)에는 핀공(512a)이 구비될 수 있다.
조절판(520)은 설치대(5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개폐부(521)와 연장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521)는 조절판(520)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하우징(410)에 형성된 슬릿(413)을 관통하여 수용부(411)에 삽입될 수 있다.
연장부(522)는 조절판(520)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설치대(510)의 상부면을 따라 연장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522)에는 조절판(520)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위치조절공(523)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위치조절공(523) 중 선택된 하나는 핀공(512a)에 일치될 수 있다.
고정핀(530)은 설치대(510)와 조절판(520)을 연결하여 조절판(5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핀공(512a)과, 복수개의 위치조절공(523) 중 핀공(512a)과 일치되는 선택된 위치조절공(523)에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530)을 분리한 상태에서 설치대(510) 상의 조절판(520)을 이동함에 따라 개폐부(521)는 비료가 통과하는 수용부(411) 또는 토출구(412)의 개방면적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고, 조절판(520)의 위치를 설정한 후에는 핀공(512a)과 임의의 위치조절공(523)을 관통하여 고정핀(530)을 결합함으로써, 위치 조절된 조절판(5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조절판(520)은 개폐부(521)에서 연장부(522)를 향하며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개폐부(473)는 수용부(411)에 배치된 공급롤러(420)를 향하며 하부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수용부(41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수용부(411) 또는 토출구(412)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핀(530)을 분리하면, 설치대(510) 상에서 조절판(520)은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자연스레 이동되어 수용부(411)를 폐쇄시킬 수 있으며, 조절판(520)의 위치 조절 시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521)의 상부면에 쌓이는 비료는 자연스레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공급롤러(420)의 외주면 상부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으며, 공급롤러(420)를 통한 비료의 공급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살포량 조절부(500)는 탄성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40)는 설치대(510)와 고정핀(5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핀(530)을 가압하여 위치조절공(523)에 관통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고정핀(530)은 핀공(512a)과 임의의 위치조절공(523)에 관통 결합된 상태를 이루고, 사용자는 탄성부재(540)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고정핀(530)을 이동시켜 위치조절공(523)으로부터 고정핀(530)을 분리한 상태에서 살포량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판(5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살포량 조절부(500)는 조절판(520)이 하우징(4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이탈방지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른 이탈방지부(550)는 이탈방지용 가이드판(551), 이탈방지용 가이드핀(552), 이탈방지용 가이드공(55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용 가이드판(551)은 하우징(410)에 조절판(520)의 이동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410)의 슬릿(413)을 관통하는 개폐부(52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탈방지용 가이드핀(552)은 이탈방지용 가이드판(55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절판(520)을 관통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탈방지용 가이드공(553)은 조절판(520)에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탈방지용 가이드핀(552)을 삽입 관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살포량 조절을 위한 조절판(520)의 이동 시, 이탈방지용 가이드핀(552)은 이탈방지용 가이드공(553)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방지용 가이드공(55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절판(520)의 위치를 조절하여 개폐부(521)가 최대 개방되면 이탈방지용 가이드핀(552)은 이탈방지용 가이드공(553)의 전단부에 밀착될 수 있고, 개폐부(521)가 최대 폐쇄되면 이탈방지용 가이드핀(552)은 이탈방지용 가이드공(553)의 후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절판(520)의 위치 조절 과정에서 하우징(410)으로부터 조절판(520)이 완전리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독립된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구비하고, 제1수용부에 결합되는 제1토출구와 제2수용부에 결합되는 제2토출구를 구비할 경우, 살포량 조절부(500)는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통해 동일한 용량의 비료를 토출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용량의 비료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 중 하나의 토출구는 완전히 폐쇄시켜 한쪽 토출구만 통해서만 비료를 토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포위치 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료살포장치는 각 토출구(412)에 결합되는 살포위치 조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살포위치 조절부(600)는 제2토출배관(610), 지지판(620), 위치조절바(630), 위치고정구(6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토출배관(610)은 제1토출배관(415)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지지판(620)은 본체프레임(1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호 형상의 안내공(621)을 가질 수 있다.
위치조절바(630)는 제2토출배관(610)과 지지판(620)을 연결할 수 있으며, 일단부는 지지판(620)에 힌지(631)로 결합될 수 있고, 타단부는 제1체결구(632)를 통해 제2토출배관(6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조절바(630)는 힌지(631)를 중심으로 제2토출배관(610)과 연결되는 타단부가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조절바(630)는 힌지(631)를 중심으로 회전 시 안내공(621)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핀부재(633)를 가질 수 있다. 핀부재(633)의 외주면에는 나사가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고정구(640)는 안내공(621)에 삽입된 핀부재(633)와 지지판(620)을 체결하여 위치조절바(6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위치고정구(640)로는 너트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핀부재(633)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핀부재(633)를 지지판(6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위치고정구(640)를 푼 후 위치조절바(630)를 회전시키면, 제2토출배관(610)과 함께 제1토출배관(415)의 단부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제1토출배관(415) 및 제2토출배관(610)의 단부가 향하는 토출방향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살포위치 조절부(600)는 위치조절캡(6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조절캡(650)은 제2토출배관(6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위치조절캡(650)의 회전각을 조절함으로써 제2토출배관(610)에서 토출되는 비료의 살포위치를 추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위치조절캡(650)은 제2체결구(651)를 통해 제2토출배관(6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체결구(651)를 푼 상태에서 회전각을 조절하고, 제2체결구(651)를 체결한 상태에서 위치 조절된 회전각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장치는 하나의 구동부(200)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주행을 위한 동력과 비료 공급을 위한 동력을 동시에 제공하는 콤팩트한 구조를 통하여, 비닐하우스와 같은 협소한 공간이나 상대적으로 큰 면적의 경작지에 대해 비료를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장치는 본체프레임(100)의 주행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공급롤러(420)를 포함한 비료공급유닛(400)을 통하여, 본체프레임(100)의 정지 시에는 비료의 공급을 차단하고, 본체프레임(100)의 이동 시 이동 속도에 비례하는 용량으로 비료를 공급하여, 항상 균일한 용량의 비료를 신속하게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장치는 살포량 조절부(500)를 통하여, 본체프레임(100)의 이동 속도와 무관하게 비료의 살포 용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용량에 맞게 비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료살포장치는 살포위치 조절부(600)를 통하여, 비료의 살포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설정하여, 원하는 용량에 맞게 비료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살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본체프레임
200: 구동부
300: 비료저장통
400: 비료공급유닛
420: 공급롤러

Claims (12)

  1. 주행휠을 가지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프레임이 이동되도록 상기 주행휠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본체프레임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비료배출구를 가지는 비료저장통; 및
    상기 비료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이동과 연동하고, 상기 본체프레임의 정지 시에는 비료의 공급을 정지하며, 상기 본체프레임의 이동 시에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이동 속도에 비례하는 용량으로 비료를 공급하는 비료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공급유닛은,
    상기 비료배출구에 연결되며, 상기 비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비료를 내부로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비료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구를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정지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비료가 상기 토출구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회전됨에 따라 상기 수용부의 비료를 상기 토출구로 이동시키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에 결합되며, 상기 공급롤러의 양측으로 돌출 연장된 양단부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축부재;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롤러축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롤러축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는,
    롤러몸체; 및
    비료가 수용되도록 상기 롤러몸체의 외면에 오목 형성되는 복수개의 수용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공급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비료의 살포량을 조절하기 위한 살포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량 조절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며, 핀공이 형성되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공과 선택적으로 일치되는 복수개의 위치조절공이 형성되는 연장부를 가지는 조절판; 및
    상기 핀공과, 상기 복수개의 위치조절공 중 선택된 위치조절공에 관통 결합되며, 상기 조절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량 조절부는,
    상기 설치대와 상기 고정핀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핀을 가압하여 상기 위치조절공에 관통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비료가 상기 공급롤러의 외주면 상부영역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공급롤러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량 조절부는,
    상기 조절판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판;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판에 결합되는 이탈방지용 가이드핀; 및
    상기 조절판에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용 가이드핀을 관통시키는 이탈방지용 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에는 비료가 살포되는 위치에 인접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유연성의 제1토출배관이 구비되고,
    상기 제1토출배관에 결합되며, 비료의 살포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살포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위치 조절부는,
    상기 제1토출배관의 단부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제2토출배관;
    상기 본체프레임에 결합되며, 호 형상의 안내공을 가지는 지지판;
    일단부는 상기 지지판에 힌지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토출배관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시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핀부재를 가지는 위치조절바; 및
    상기 핀부재와 상기 지지판을 체결하여, 상기 위치조절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위치 조절부는,
    상기 제2토출배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토출배관에서 토출되는 비료의 살포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주행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수용부 및 제2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제1수용부 및 상기 제2수용부의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프레임의 양측으로 비료를 토출하는 제1토출구 및 제2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살포장치.
KR1020200134647A 2020-10-16 2020-10-16 비료살포장치 KR102518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647A KR102518899B1 (ko) 2020-10-16 2020-10-16 비료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647A KR102518899B1 (ko) 2020-10-16 2020-10-16 비료살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690A true KR20220050690A (ko) 2022-04-25
KR102518899B1 KR102518899B1 (ko) 2023-04-07

Family

ID=81452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647A KR102518899B1 (ko) 2020-10-16 2020-10-16 비료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8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412B1 (ko) 2003-04-28 2005-11-08 윤석렬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KR20080044756A (ko) * 2006-11-16 2008-05-21 정경수 비료·농약 살포기
KR20120076917A (ko) * 2010-12-30 2012-07-10 박기한 동력수단이 구비된 소형 비료 살포기
KR20120007656U (ko) * 2011-04-28 2012-11-07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점파 및 비료살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412B1 (ko) 2003-04-28 2005-11-08 윤석렬 트랙터 장착형 농약비료 살포장치
KR20080044756A (ko) * 2006-11-16 2008-05-21 정경수 비료·농약 살포기
KR20120076917A (ko) * 2010-12-30 2012-07-10 박기한 동력수단이 구비된 소형 비료 살포기
KR20120007656U (ko) * 2011-04-28 2012-11-07 전형기 이앙기용 종자점파 및 비료살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899B1 (ko)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0876A1 (en) A volumetric metering device for the metered delivery of granular and powdery materials, particularly for machines for distributing the said materials
KR20220050690A (ko) 비료살포장치
US10986771B2 (en) Manual granule spreader
KR20090099738A (ko) 유기질 비료살포기
US3979071A (en) Apparatus for broadcasting granular material
CN209930870U (zh) 定量播种装置
US4235376A (en) Dispensing apparatus for use with a tractor
JP2006006113A (ja) 肥料散布機
RU2684310C1 (ru) Машина для внесения 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KR200180223Y1 (ko) 경운기를이용한비료살포장치의살표량조절장치
KR102339356B1 (ko) 이동식 비료 살포장치
IE871161L (en) Spreading granular and/or powdery material
JP2000192412A (ja) 手押し式散布装置
KR101542327B1 (ko) 마늘 파종장치
KR20080040479A (ko) 과립형 살포재의 살포장치
JPH07203735A (ja) 歩行型施肥機
JP3242324U (ja) 散布装置及びトラクター
JP3579201B2 (ja) 肥料散布装置
KR200339886Y1 (ko) 자주식 비료살포기
JPS6137208Y2 (ko)
JPS6230905Y2 (ko)
JP2003250317A (ja) 散布装置
KR200194184Y1 (ko) 볍씨 파종기
KR20220064499A (ko) 휠간 폭 조절이 가능한 농약 살포장치
KR200145089Y1 (ko) 농약 살포기용 분무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