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772B1 - 팽창밸브 - Google Patents

팽창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772B1
KR102462772B1 KR1020210037424A KR20210037424A KR102462772B1 KR 102462772 B1 KR102462772 B1 KR 102462772B1 KR 1020210037424 A KR1020210037424 A KR 1020210037424A KR 20210037424 A KR20210037424 A KR 20210037424A KR 102462772 B1 KR102462772 B1 KR 102462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needle
housing
port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293A (ko
Inventor
박세민
이병휘
박상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37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77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1/00Details of ejectors not being used as compression device; 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 F25B2341/06Details of flow restrictors or expansio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팽창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팽창밸브는, 일측으로 제1포트가 배치되고, 상기 일측에 수직한 타측으로 제2포트가 배치되는 연결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 하단에 고정되고,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스핀들의 하단에 연결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제1포트를 개폐하는 니들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를 연결하는 제1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공간과 연통하는 제2공간을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니들의 진동시 상기 니들의 상부와 접촉하는 완충부재가 배치된다.

Description

팽창밸브{Expansion Valve}
본 발명은 팽창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 등에 사용되는 팽창밸브에 관한 것이다.
팽창밸브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 등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팽창밸브는, 2개의 포트를 가지고, 2개의 포트 중 하나의 포트에 형성되는 개구부의 개구면적을 조절하거나 개폐하여, 냉매 등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로면적을 급격하게 축소시켜 유동하는 액냉매를 팽창할 수 있다.
팽창밸브는, 직진이동하는 니들의 배치를 변경시켜, 포트의 개구면적을 변형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니들은, 포트에 개구부로 유동하는 냉매에 의해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소음을 유발하여, 소비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할 수 있다.
공개 특허 KR2020-0078628A, 또는 등록특허 KR10-1485489호에서는 니들이나 스핀들의 외둘레면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배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니들 또는 스핀들의 외주면이 하우징의 내주면과 접촉하므로, 니들 또는 스핀들의 상하방향 이동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팽창밸브의 포트를 개폐하거나, 개구면적을 조절하는 니들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팽창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니들의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문제를 개선한 팽창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밸브는, 일측으로 제1포트가 배치되고, 상기 일측에 수직한 타측으로 제2포트가 배치되는 연결하우징과,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 하단에 고정되고,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핀들과, 상기 스핀들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구동장치와, 상기 스핀들의 하단에 연결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제1포트를 개폐하는 니들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를 연결하는 제1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공간과 연통하는 제2공간을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니들의 진동시 상기 니들의 상부와 접촉하는 완충부재가 배치되어, 니들이 진동할 때, 니들이 완충부재와 먼저 접촉한다.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니들의 둘레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니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일부는, 상기 홈에서 상기 니들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니들이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할 때, 완충부재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니들의 상단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어, 제2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는 완충부재와 니들의 상단이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에는, 상기 니들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이너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이너돌출부에 배치되어, 완충부재의 크기가 작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의 내주단은, 상기 이너돌출부의 내주면보다 니들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니들이 이너돌출부보다 완충부재에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이너돌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니들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니들의 이동이 이너돌출부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니들의 하단이 접촉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은, 니들바디와, 상기 니들바디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밸브시트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여, 니들의 하부가 밸브시트에 안착되어 제1포트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니들의 단면직경은, 상기 제1연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의 내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니들이 제1연통홀을 개폐할 수 있고, 니들이 제2공간과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니들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상기 제1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니들의 상단이 제2하우징의 하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와, 상기 스핀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을 상기 니들이 배치된 방향으로 누르는 로드와, 상기 모터에 연겨되는 제1기어와, 상기 로드의 외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와, 상기 로드의 외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가이드바디를 포함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로드가 가이드바디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가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제1공간이 형성되는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벨로우즈가 배치되는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니들과 접촉하도록 일부가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배치되는 회전부재가 배치되어, 니들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에는, 상기 니들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이너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너돌출부에 배치되어, 회전부재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이너돌출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회전부재가 배치되어, 니들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4방향으로 이동하는 니들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단은, 상기 이너돌출부의 내주면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단은 상기 니들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니들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팽창밸브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니들 또는 스핀들이 연결하우징의 내주면과 이격배치되어, 니들이 포트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니들의 이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하더라도, 완충부재와 먼저 접촉하게 되므로, 팽창밸브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팽창밸브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분이 절단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결하우징, 제1연결관, 및 제2연결관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a와 도 3b는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로, 도 3a는 니들이 밸브시트에 접촉한 상태이고, 도 3b는 니들이 밸브시트로부터 이격된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하우징, 제1연결관, 및 제2연결관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과 니들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X-X’부분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팽창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팽창밸브(10)는, 제1포트(42)와 제2포트(44)가 배치되는 연결하우징(30), 연결하우징(30) 상단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벨로우즈(56), 벨로우즈(56) 하단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핀들(58), 스핀들(58)의 상단에 연결되고, 스핀들(58)의 상하방향 배치를 변경시키는 로드(18), 스핀들(58)의 하단에 연결되고 배치에 따라 제1포트(42)를 개폐하는 니들(62), 및 스핀들(58)의 상하방향 배치를 변경시키는 구동장치(11)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장치(11)는, 스핀들(58)의 상측에 배치되고 스핀들(58)을 하측으로 누르는 로드(18)와, 모터(12)와, 모터(12)에 연결되는 제1기어(16), 로드(18)의 외둘레에 배치되고 제1기어(16)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20), 로드(18)의 외둘레에 배치되고 회전하는 로드(18)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바디(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팽창밸브(10)는 모터(12)의 둘레에 배치되는 모터케이스(14)와, 가이드바디(22)와 연결하우징(30)을 연결하는 연결너트(24)를 더 포함한다.
연결너트(24)는, 연결하우징(30)과 모터케이스(14)를 결합할 수 있다.
모터(12)는, 스텝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제1기어(16)는, 모터(12)의 일측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제2기어(20)는, 로드(18)의 외측에 배치되고, 로드(18)와 함께 회전한다. 제1기어(16)와 제2기어(20)는 서로 맞물려 회전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모터(12)에 의해 제1기어(16)가 회전할 때, 제2기어(20)가 함께 회전한다.
제1기어(16)와 제2기어(20)는, 서로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제1기어(16)와 제2기어(20)는, 평기어 또는 헬리컬기어를 사용할 수 있다.
로드(18)는, 제2기어(20)가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한다. 로드(18)는, 가이드바디(22)와 접촉되는 외측면이 스크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디(22)는, 로드(18)와 접촉되는 내측면이 스크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로드(18)가 모터(12)의 작동으로 회전할 때, 가이드바디(22)와 접촉하는 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드(18)가 하단은, 스핀들(58)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로드(18)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스핀들(58)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포트(42)에는, 제1연결관(70)이 배치되고, 제2포트(44)에는 제2연결관(7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관(70)과 제2연결관(72) 각각은 냉매가 유입하거나 유출할 수 있다. 즉, 냉매는 제1연결관(70)으로부터 제1공간(34)으로 유입되고 제2연결관(72)으로 유출되거나, 제2연결관(72)으로부터 제1공간(34)으로 유입되고 제1연결관(70)으로 유출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연결하우징(30)은, 제1포트(42)와 제2포트(44)가 배치되고, 내부에 제1포트(42)와 제2포트(44)를 연결하는 제1공간(34)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32)과, 제1하우징(32)의 상측에 배치되고, 벨로우즈(56)가 배치되는 제2공간(48)이 형성된 제2하우징(46)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32)에 배치되는 제1포트(42)와 제2포트(44)는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하우징(32)에는, 제1공간(34)과 제1포트(42)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38)과, 제1공간(34)과 제2포트(44)를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40)이 형성된다. 제1연통홀(38)과 제2연통홀(40)은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1연통홀(38)이 형성하는 직경(38D)은, 제2연통홀(40)이 형성하는 직경(40D)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포트(42)의 상측에는, 니들(62)이 안착되는 밸브시트(36)가 배치된다. 제1연통홀(38)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니들(62)이 안착되는 밸브시트(36)가 배치된다. 니들(62)이 밸브시트(36)에 접촉될 때, 제1연통홀(38)을 폐쇄한다.
밸브시트(36)는, 제1공간(34)에서 니들(62)이 접촉하는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밸브시트(36)에 형성되는 제1연통홀(38)의 크기는, 니들(62)을 제1연통홀(38)이 형성하는 면에 평행하게 자른 단면적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니들(62)이 밸브시트(36)와 접촉할 때, 제1연통홀(38)이 폐쇄될 수 있다.
제1공간(34)은, 제1연통홀(38)이 형성하는 면적보다 확장된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1공간(34)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길이(34L)는, 니들(62)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길이(62L)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니들(62)이 밸브시트(36)에 장착될 때, 니들(62)의 상단(64)은, 제1공간(3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하우징(46)은, 제1하우징(32) 상측에 배치되고, 벨로우즈(56)가 배치되는 제2공간(48)을 형성한다. 제2공간(48)은 제1공간(34)과 연통하게 배치된다. 제2공간(48)은, 내부에 벨로우즈(56)와 스핀들(58)이 배치된다. 제2공간(48)에는, 니들(62)의 상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공간(48)을 상하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의 크기는, 니들(62)을 상하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니들(62)의 상부는, 제2공간(48)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46)과 접촉되지 않게 배치된다. 따라서, 니들(62)의 상하방향 이동이 제2하우징(46)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제2공간(48)의 상단에는, 벨로우즈(56)가 고정배치된다. 따라서, 제2공간(48)으로 냉매가 유동하더라도, 연결하우징(30) 외측으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2공간(48)에는, 니들(62)의 상단에 연결되는 스핀들(58)이 배치될 수 있다. 스핀들(58)은, 벨로우즈(56)에 고정배치된다.
제2하우징(46)의 하단부에는, 니들(62)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이너돌출부(50)가 배치된다. 이너돌출부(50)는, 니들(62)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돌출부(50)에는, 완충부재(54)가 배치되는 홈(52)이 형성된다. 홈(52)은, 완충부재(54)에 대응하는 고리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완충부재(54)는, ‘O’형상을 가진 링구조일 수 있다. 완충부재(54)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니들(62)과의 접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완충부재(54)는, 내 화학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54)는, 냉매 작동온도범위(-30도 내지 +140도)에 맞는 수소화니트릴고무(HNBR)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완충부재(54)는, 니들(62)과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완충부재(54)는, 이너돌출부(5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부재(54)는, 이너돌출부(50)에 형성되는 홈(52)에 배치된다. 완충부재(54)의 내주단(54a)은, 이너돌출부(50)의 내주면(50a)보다 니들(6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니들(62)이 상하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진동할 때, 니들(62)은, 완충부재(54)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니들(62)은, 스핀들(58)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니들(62)은 배치에 따라 밸브시트(36)에 접촉하게 배치되거나, 밸브시트(36)와 이격배치될 수 있다. 니들(62)은, 배치에 따라 밸브시트(36)에 형성되는 제1연통홀(38)을 개폐할 수 있다.
니들(62)은 배치에 따라 제1포트(42)와 제2포트(44)를 연결시킬 수 있다. 니들(62)은 스핀들(58)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니들(62)은, 대략 상하방향으로 긴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니들(62)은, 제1공간(34)에 배치되고, 상부의 일부는, 제1공간(34) 상측에 배치된다.
니들(62)은, 니들바디(66)와, 니들바디(66)의 하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는 경사면부(68)를 포함한다. 경사면부(68)는, 하측으로 돌출된 원뿔대 형상을 가진다. 경사면부(68)는, 니들(62)이 하측으로 배치될 때, 밸브시트(36)와 접촉할 수 있다.
도 3a와 같이, 니들(62)이 하측으로 이동할 때, 경사면부(68)가 밸브시트(36)에 접촉하고, 도 3b와 같이, 니들(62)이 상측으로 이동할 때, 경사면부(68)와 밸브시트(36)가 이격배치될 수 있다.
니들(62)의 상단은 스핀들(58)과 결합된다. 따라서, 스핀들(58)이 로드(18)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때, 니들(62)은 스핀들(58)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니들바디(66)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하방향에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니들바디(66)의 직경의 크기(66D)는, 제1연통홀(38)의 직경의 크기(38D)보다 크게 형성된다. 니들바디(66)의 직경의 크기(66D)는, 이너돌출부(50)의 내주면(50a)의 직경(50aD)보다 작게 형성된다.
스핀들(58)은, 벨로우즈(56)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스핀들(58)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스핀들바디(59)와, 스핀들바디(59) 하부에 배치되고 니들(62)에 결합되는 하단결합부(61)와, 하단결합부(61)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벨로우즈(56)와 결합되도록 스핀들바디(59) 외둘레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0)를 포함한다.
하단결합부(61)는, 니들(62)에 삽입되어, 니들(62)에 고정된다. 돌출부(60)는, 벨로우즈(56)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핀들(58)을 벨로우즈(56)에 연결시킨다.
벨로우즈(56)는, 내부에 스핀들(58)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외둘레는 주름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벨로우즈(56)의 상측과 하측은 개구될 수 있다. 벨로우즈(56)의 상단은, 제2하우징(46)의 내측 상단부와 고정될 수 있다. 벨로우즈(56)는, 제2하우징(46)에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벨로우즈(56)의 하단에는, 스핀들(58)의 돌출부(60)가 결합된다. 따라서, 벨로우즈(56)의 하단은, 스핀들(58)의 돌출부(60)에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벨로우즈(56)의 상단은 제2하우징(46)의 상단면에 밀착되고, 하단은 스핀들(58)의 돌출부(60)에 밀착되어, 연결하우징(30)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제2하우징(46)에 형성된 홀을 통해 연결하우징(3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2실시예에 따른 팽창밸브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팽창밸브는, 제1실시예에 따른 팽창밸브의 완충부재(54) 대신에 복수의 회전부재(80a, 80b, 80c)을 포함하는 구성에서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설명되지 않는 구성은, 제1실시예에 따른 팽창밸브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너돌출부(50)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회전부재(80a, 80b, 80c)가 배치된다. 회전부재(80a, 80b, 80c)는, 볼 또는 롤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부재(80a, 80b, 80c)를 볼로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회전부재를 롤러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회전부재(80a, 80b, 80c)가 120도의 위상차를 가지고 이격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80a, 80b, 80c)는, 이너돌출부(5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부재(80a, 80b, 80c)는, 이너돌출부(50)에 형성되는 홈(52)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부재(80a, 80b, 80c)의 내주단(801)은, 이너돌출부(50)의 내주면(50a)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배치된다. 회전부재(80a, 80b, 80c)의 내주단(801)은, 니들(62)의 외주면(62a)과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80a, 80b, 80c)는 니들(6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회전하며, 니들(62)의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전부재(80a, 80b, 80c)는, 서로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따라서, 회전부재(80a)는, 인접한 회전부재(80b, 80c)와 사이에서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재(80a, 80b, 80c)가 배치되지 않는 영역에서, 니들(62)의 외주면(62a)과 이너돌출부(50)의 내주면(50a)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을 통해 제1공간(34)과 제2공간(48) 사이로 냉매가 유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팽창밸브 11 : 구동장치
12 : 모터 14 : 모터케이스
16 : 제1기어 18 : 로드
20 : 제2기어 22 : 가이드바디
24 : 연결너트 30 : 연결하우징
32 : 제1하우징 34 : 제1공간
36 : 밸브시트 38 : 제1연통홀
40 : 제2연통홀 42 : 제1포트
44 : 제2포트 46 : 제2하우징
48 : 제2공간 50 : 이너돌출부
50a : 내주면 52 : 홈
54 : 완충부재 56 : 벨로우즈
58 : 스핀들 62 : 니들
70 : 제1연결관 72 : 제2연결관

Claims (15)

  1. 일측으로 제1포트가 배치되고, 상기 일측에 수직한 타측으로 제2포트가 배치되는 연결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벨로우즈;
    상기 벨로우즈 하단에 고정되고,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스핀들의 하단에 연결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제1포트를 개폐하는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가 배치되고,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를 연결하는 제1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공간과 연통하는 제2공간을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니들의 진동시 상기 니들의 상부와 접촉하는 완충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에는, 상기 니들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이너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이너돌출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니들의 둘레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팽창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에는, 상기 완충부재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일부는, 상기 홈에서 상기 니들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팽창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상단은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는 팽창밸브.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내주단은, 상기 이너돌출부의 내주면보다 니들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팽창밸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돌출부의 내주면은, 상기 니들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팽창밸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니들의 하단이 접촉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니들은, 니들바디와, 상기 니들바디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밸브시트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팽창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1포트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홀과,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포트를 연통시키는 제2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단면직경은, 상기 제1연통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공간의 내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팽창밸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상기 제1공간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팽창밸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와,
    상기 스핀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핀들을 상기 니들이 배치된 방향으로 누르는 로드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제1기어와,
    상기 로드의 외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기어와,
    상기 로드의 외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2기어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가이드바디를 포함하는 팽창밸브.
  12. 일측으로 제1포트가 배치되고, 상기 일측에 수직한 타측으로 제2포트가 배치되는 연결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의 내측 상단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벨로우즈;
    상기 벨로우즈 하단에 고정되고,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핀들;
    상기 스핀들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핀들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스핀들의 하단에 연결되고, 배치에 따라 상기 제1포트를 개폐하는 니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하우징은,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가 배치되고, 내부에 제1공간이 형성되는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벨로우즈가 배치되는 제2공간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니들과 접촉하도록 일부가 상기 제2하우징의 내측으로 돌출배치되는 회전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하단에는, 상기 니들을 향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이너돌출부가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이너돌출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밸브.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돌출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회전부재가 배치되는 팽창밸브.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단은, 상기 이너돌출부의 내주면보다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단은 상기 니들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팽창밸브.
KR1020210037424A 2021-03-23 2021-03-23 팽창밸브 KR102462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24A KR102462772B1 (ko) 2021-03-23 2021-03-23 팽창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24A KR102462772B1 (ko) 2021-03-23 2021-03-23 팽창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293A KR20220132293A (ko) 2022-09-30
KR102462772B1 true KR102462772B1 (ko) 2022-11-03

Family

ID=8345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424A KR102462772B1 (ko) 2021-03-23 2021-03-23 팽창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7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950Y2 (ja) * 1991-02-27 1997-07-30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流量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37B1 (ko) * 2012-10-29 2014-08-07 그린산업 주식회사 전자식 팽창밸브
EP2933540B1 (en) * 2012-12-11 2020-12-16 Zhejiang Sanhua Climate & Appliance Controls Group Co., Ltd. Electronic expansion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950Y2 (ja) * 1991-02-27 1997-07-30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流量制御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293A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9429B2 (ja) 真空バルブ
JP6409956B2 (ja) 冷媒制御バルブ装置
KR101864641B1 (ko) 다방향 전환 밸브장치 및 그 제작 방법
US8118543B2 (en) Centrifugal compressor having switchable two passages
JP6503835B2 (ja) 冷媒制御バルブ装置
JP2014502684A (ja) 減衰機構
IL171506A (en) Fluid controller
JP2008196518A (ja) 流量制御弁
KR102462772B1 (ko) 팽창밸브
JP7369816B2 (ja) 電子膨張弁
JP2005061397A (ja) 容量可変回転圧縮機
US10876278B2 (en) Main valve seal guide ribs
KR20070026232A (ko) 유량제어밸브
JP2000146366A (ja) 電動式コントロ―ル弁
RU2516079C1 (ru) Клапан с регулировкой контактного давления
JP2007064461A (ja) 3方ロータリバルブ
US20040178382A1 (en) Ball valve
JP2018185019A (ja) 流量制御バルブ
JP2018071554A (ja) 流路切替弁
JP3753228B2 (ja) 止水機能付き流量調整弁
US20150136258A1 (en) Spool assembly and a valve comprising the same
US7543797B2 (en) Valve device
US11118608B1 (en) Twin poppet mechanism of valve positioner with progressively reduced leakage
KR102590669B1 (ko) 볼 밸브 씰링 어셈블리
CN219013532U (zh) 一种阀门可活动的节流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