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484B1 - 전동 릴 - Google Patents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484B1
KR102462484B1 KR1020150125424A KR20150125424A KR102462484B1 KR 102462484 B1 KR102462484 B1 KR 102462484B1 KR 1020150125424 A KR1020150125424 A KR 1020150125424A KR 20150125424 A KR20150125424 A KR 20150125424A KR 102462484 B1 KR102462484 B1 KR 10246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tor
reel
spool
s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8640A (ko
Inventor
켄타로 하야시
요스케 카타야마
아키라 니이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6006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전동 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전동 릴(8)은, 릴 본체(12)와 스풀(14)과 모터(16)와 조작부(18)와 수전부(受電部, 20)와 회전 검출부(22)와 발신부(28)를 구비한다. 릴 본체(12)는, 프레임(34), 섬 레스트(thumb rest)(36), 및 제1 측 커버 및 제2 측 커버를 가진다. 프레임(34)은,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을 포함한다. 섬 레스트(36)는, 스풀(14)의 축심(X)보다도 장대 장착 다리부(32)로부터 이반하여 배치된다.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는,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을 개별로 덮는다. 조작부(18)는, 모터(16)를 조작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수전부(20)는, 모터(16)를 구동하는 전력을 외부로부터 받는다. 회전 검출부(22)는, 스풀(14)의 회전을 검출한다. 발신부(28)는, 회전 검출부(22)의 검출 결과에 관한 정보를 신호화하여, 외부로 무선 발신한다.

Description

전동 릴{ELECTRICAL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 특히,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전동 릴은, 스풀의 회전을 모터에 의하여 행할 수 있는 릴이다. 종래의 전동 릴은, 모터를 조작하는 조작부와, 수심(水深) 표시용의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를 가진다. 표시 장치에는, 채비의 수심, 모터의 조정 단계, 물고기 서식층 위치 등이 표시된다. 표시 장치를 전동 릴에 설치하면, 전동 릴이 대형화하는 것과 함께, 중량이 증가한다. 그래서, 전동 릴의 외부에 표시 장치를 설치한 전동 릴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전동 릴은, 표시 장치는, 전동 릴 전용의 것이고, 전기 케이블에 의하여, 전동 릴에 접속된다. 또한, 종래의 전동 릴은, 뱃전에 고정되는 장대 받이에 장착되는 것과 함께, 표시 장치도 장대 받이에 장착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7878호
종래의 전동 릴에서는, 표시 장치를 전동 릴과 따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전동 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동 릴 및 표시 장치가 장대 받이에 장착되고, 또한, 전동 릴의 표시 장치가 전기 케이블에 의하여 접속되기 때문에, 낚싯대를 잡는 손으로 전동 릴을 쥘 수 없다. 이 때문에, 물고기의 움직임에 맞추어 낚싯대를 이동시키지 못하고, 전동 릴의 조작성이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동 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전동 릴은,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릴이다. 전동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모터와 조작부와 회전 검출부와 수전부(受電部)와 표시 정보 생성부와 발신부와 모터 제어부를 구비한다. 릴 본체는,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장대 장착 다리부, 프레임, 섬 레스트(thumb rest), 및, 제1 측 커버 및 제2 측 커버를 가진다. 프레임은,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對向)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포함한다. 섬 레스트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사이에서 스풀의 축심보다도 장대 장착 다리부로부터 이반하여 배치되고, 낚싯대에 장착되었을 때에 낚싯대를 잡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재치(載置) 가능한 판상(板狀)으로 형성된다. 제1 측 커버 및 제2 측 커버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스풀의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각각 덮는다. 스풀은,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긴다. 모터는, 제1 측 커버와 제2 측 커버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고, 스풀을 회전 구동한다. 조작부는, 모터를 조작하기 위하여 릴 본체에 설치된다. 회전 검출부는, 제1 측 커버 및 제2 측 커버 중 어느 일방(一方)의 측 커버의 내부에 수용(收容)되고, 스풀의 회전을 검출한다. 수전부는, 모터를 구동하는 전력을 릴 외부로부터 받는다. 표시 정보 생성부는, 회전 검출부의 검출 결과로부터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발신부는, 표시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표시 정보를 신호화하여, 릴 외부로 무선 발신한다. 모터 제어부는, 일방의 측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모터를 제어 가능하다. 회전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섬 레스트의 적어도 일부는, 스풀보다도 낚시줄의 방출 방향에 배치된다. 발신부는,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신호화하여, 릴 외부로 무선 발신한다.
이 전동 릴에서는, 발신부가, 스풀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신호화하여 무선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표시 장치에, 예를 들어 채비의 위치를 수심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동 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릴 본체에 섬 레스트가 설치되기 때문에, 낚싯대를 잡은 손으로 전동 릴을 쥐고, 그 손과 반대의 손으로 핸들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장치와는 무선 발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와의 사이의 케이블이 없다. 이 때문에, 전동 릴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전동 릴에서는, 표시 정보로서 채비의 수심, 스풀의 회전 속도, 모터의 회전 속도 등을 수치로 무선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표시 장치에 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동 릴에서는, 모터 제어부를 모터의 가까이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릴을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동 릴에서는,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릴 외부로 무선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표시 장치에 조작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전동 릴은, 발신부가 표시 정보를 범용의 표시 장치에 무선 발신하여도 무방하다.
전동 릴은, 제1 측 커버 및 제2 측 커버의 일방의 내부에 설치되고, 펄스 폭 변조에 의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모터 제어부는,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모터 구동부를 듀티(duty)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모터 구동부도 모터의 가까이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릴을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제어부가, 모터 구동부를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듀티 제어하기 때문에, 모터의 회전을 정도 좋게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릴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을 포함하는 전동 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전동 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 일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의 사시도.
도 4는 제1 측 커버를 제외한 상태의 전동 릴의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절단선 V-V에 의하여 절단한 단면도.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동 릴(8)은, 낚싯줄을 전방으로 방출 가능한 소형의 릴이다. 덧붙여, 이후의 전동 릴(8)의 설명에서는, 낚싯줄의 방출 방향이 전(前)방향이고, 좌우는, 전동 릴(8)을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상태로 나타낸다. 전동 릴(8)은, 표시 장치를 가지지 않고, 전동 릴(8)의 외부에 설치되는 범용의 표시 장치(4)에 표시 정보를 발신 가능하다. 범용의 표시 장치(4)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및 스마트폰을 통하여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wearable) 단말 등의 통신 단말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4)에, 전동 릴(8)로부터 송신되는 표시 정보를 표시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는 것에 의하여, 휴대 단말을 전동 릴(8)의 표시 장치(4)로서 기능시킨다. 또한, 전동 릴(8)은, 전동 릴(8)의 외부에 설치되는 급전 장치(6)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급전 장치(6)는, 전동 릴(8)에 직접 장착 가능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전 장치(6)는, 직류의 전원(6a)과, 전원(6a)과 전동 릴(8)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6b)을 가진다. 케이블(6b)은, 전원(6a) 및 후술하는 수전부(20)에 착탈 가능,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다. 전동 릴 시스템(2)은, 급전 장치(6)와 전동 릴(8)에 의하여 구성된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전동 릴(8)은, 핸들(10)과 릴 본체(12)와 스풀(14)과 모터(16)와 조작부(18)와 수전부(20)와 회전 검출부(22)와 제어부(24)와 모터 구동부(26)와 발신부(28)와 위치 검출부(30)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0)은, 스풀(14)을 수동으로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10)은, 릴 본체(12)의 우측에 설치된다. 덧붙여, 핸들이 릴 본체의 좌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12)는, 예를 들어, 단섬유의 유리 파이버(fiber)로 강화된 합성 수지제의 부재(部材)이다. 릴 본체(12)는, 낚싯대(RD)에 장착 가능한 장대 장착 다리부(32), 프레임(34), 섬 레스트(36), 및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40)를 가진다. 장대 장착 다리부(32)는, 낚싯대(RD)에 장착 가능하게 전후(前後) 방향으로 연장된다. 장대 장착 다리부(32)는, 예를 들어, 프레임(34)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프레임(34)은,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과,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을 전후로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34c)를 포함한다.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은, 서로 스풀(14)의 축심(X)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한다. 섬 레스트(36)는,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의 사이에서 축심(X)보다도 장대 장착 다리부(32)로부터 이반하여 배치된다. 섬 레스트(36)는, 낚싯대(RD)에 장착되었을 때에 낚싯대(RD)를 잡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재치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섬 레스트(36)는, 릴 본체(12)의 줄 방출 측인 전부(前部)에 설치된다.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40)는,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을, 스풀(14)의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개별로 덮는다. 제1 측 커버(38)와 제1 측판(34a)과의 사이, 및 제2 측 커버(40)와 제2 측판(34b)과의 사이에는, 각각 각종의 기구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스풀(14)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긴다. 스풀(14)은, 중심을 관통하는 스풀 축(4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풀(14)은, 스풀 축(42)을 통하여 릴 본체(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 축(42)은, 제1 측판(34a) 및 제2 측 커버(40)에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14)은, 일체 형성된 줄 감기 몸통부(14a), 제1 플랜지부(14b), 제2 플랜지부(14c), 및 보스부(14d)를 가진다. 제1 플랜지부(14b)는, 줄 감기 몸통부(14a)의 일단(一端)에 일체 형성되고, 제1 측판(34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플랜지부(14c)는, 줄 감기 몸통부(14a)의 타단(他端)에 일체 형성되고, 제2 측판(34b)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보스부(14d)는, 줄 감기 몸통부(14a)와 스풀 축(42)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스풀 축(42)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플랜지부(14b)의 제1 측판(34a)과 대향하는 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측판(34a)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돌기부(14e)가 설치된다. 각 돌기부(14e)에는, 회전 검출부(22)에 의하여 검출되는 자석(44)이 장착된다.
모터(16)는, 제1 측 커버(38)와 제2 측 커버(40)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고, 스풀(14)을 회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1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4)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모터(16)는, 제1 측판(34a)과 제2 측판(34b)을 연결하는 통상으로 형성된 앞쪽의 연결부(34c)(도 3 참조)의 내부에 수납된다. 앞쪽의 연결부(34c)는, 스풀(14)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조작부(18)는, 모터(16)를 조작하기 위하여 릴 본체(12)에 설치된다. 조작부(18)는 레버 또는 원형의 다이얼의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8)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측판(34b)과 제2 측 커버(40)의 사이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이얼의 형태이다. 조작부(18)의 회동 범위는, 예를 들어 120도 정도이다. 조작부(18)의 조작 위치(예를 들어, 조작부(18)의 회동 위치)는, 위치 검출부(30)에 의하여 검출된다.
수전부(20)는, 모터(16)를 구동하는 전력을 릴 외부로부터 받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전 장치(6)로부터 전력을 받는다. 수전부(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 커버(38)와 제1 측판(34a)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커넥터(20a)를 가진다. 커넥터(20a)는, 예를 들어 케이블(6b)을 착탈 가능한 또한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수 커넥터이고, 내부에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단자 핀이 설치된다.
회전 검출부(22)는,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40) 중 어느 일방의 내부에 수용되고, 스풀(14)의 회전을 검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검출부(22)는, 제1 측 커버(38)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검출부(22)는, 제1 측판(34a)에 설치되는 센서 케이스(48) 내에 수용되는 센서(46)를 가진다. 센서(46)는, 예를 들어 홀(hall) 소자(素子)이다. 센서(46)는, 제1 플랜지부(14b)에 설치되는 복수의 자석(44)의 자력(磁力)을 검출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4)의 회전 방향 및 회전 위치의 변화(예를 들어, 스풀(14)의 회전 속도 및 스풀(14)이 몇 회전하였는지를 도시하는 회전수)를 검출 가능하다. 센서(46)는, 홀 소자로 한정되지 않고, 로터리 인코더 또는 광 센서여도 무방하다.
제어부(24)는,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40) 중 어느 일방의 측 커버의 내부에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4)는, 회전 검출부(22)와 같은 측 커버, 즉, 제1 측 커버(38)의 내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24)는, 제1 측판(34a)의 제1 측 커버(38)와 대향하는 면에 고정된 합성 수지제의 제어 케이스(50) 내에 수용된다. 제어부(24)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어부(24)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현되는 기능 구성으로서, 모터 제어부(24a)와 표시 정보 생성부(24b)를 가진다. 모터 제어부(24a)는, 조작부(18)의 조작에 따라 모터(16)를 제어 가능하다. 모터 제어부(24a)는, 조작부(18)의 조작 범위를 복수 단계(예를 들어 31단계)로 분할하여, 속도 일정 모드와 장력 일정 모드와의 두 개의 제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모터(16)를 제어 가능하다. 속도 일정 모드에서는, 스풀(14)의 회전 속도를 복수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장력 일정 모드에서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복수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표시 정보 생성부(24b)는, 회전 검출부(22)의 검출 결과로부터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검출부(22)에 의하여 검출된 회전수로부터 스풀(14)로부터 방출된 줄 길이를 산출하고, 채비의 수심의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모터 구동부(26)는, 펄스 폭 변조에 의하여 모터(16)를 구동한다. 모터 제어부(24a)는, 조작부(18)의 조작의 단계에 따라 모터 구동부(26)를 듀티 제어한다. 모터 구동부(26)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50) 내에 제어부(24)와 함께 수용되는 복수의 전계(電界) 효과 트랜지스터(26a)를 포함한다.
발신부(28)는, 예를 들어 제어 케이스(50) 내에 제어부(24)와 함께 수용된다. 발신부(28)는, 회전 검출부(22)의 검출 결과에 관한 정보를 신호화하여, 릴 외부로 무선 발신한다. 또한, 발신부(28)는, 나아가, 위치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조작부(18)의 조작 위치를 신호화하여, 릴 외부로 무선 발신한다. 발신부(28)는, IEEE 802.15.1 또는 IEEE 802.15.4 등으로 규격화된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준거한 신호를 발신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위치 검출부(30)는, 예를 들어, 조작부(18)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는 검출자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진다. 예를 들어 검출자는 자석이고, 센서는 홀 소자이다. 덧붙여, 센서는, 홀 소자로 한정되지 않고, 로터리 인코더 또는 광 센서여도 무방하다. 위치 검출부(30)는, 센서로부터 조작부(18)의 회동 위치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 릴(8)에서는, 낚시를 행할 때는, 장대 장착 다리부(32)에 장착된 낚싯대(RD)를 릴 본체(12)와 함께 잡는다. 이 때 섬 레스트(3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낚시꾼은, 낚싯대(RD)를 잡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섬 레스트(36)에 재치하고, 낚싯대(RD)와 함께 전동 릴(8)을 쥔다.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10)이 릴 본체(12)의 우측에 배치되는 오른쪽 핸들의 전동 릴(8)이다. 따라서, 낚싯대(RD)를 잡는 손은 왼손이다. 왼쪽 핸들의 전동 릴의 경우는, 낚싯대(RD)를 잡는 손은 오른손이다. 여기에서는, 릴 본체(12)에 섬 레스트(36)가 설치되기 때문에, 낚싯대(RD)를 잡은 손으로 전동 릴(8)을 쥐고, 그 손과 반대의 손으로 핸들(10)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동 릴(8)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조작부(18)를 조작하면, 회동 위치에 따라 모터 제어부(24a)가 모터(16)를 제어하여 스풀(14)이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풀(14)이 회전하면, 회전 검출부(22)가 스풀(14)의 회전을 검출하고, 표시 정보 생성부(24b)가, 줄 길이를 산출하여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표시 정보, 및 위치 검출부(30)에서 검출된 회동 위치는, 발신부(28)에 의하여 신호화되어 발신된다. 이 신호를 미리 페어링 된 표시 장치(4)가 수신한다. 표시 장치(4)에서는, 회동 위치 및 표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표시 정보를 수치 및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한다. 또한, 회동 위치를 값(예를 들어, 1-39의 수치) 및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한다. 여기에서는, 발신부(28)로부터 표시 정보 및 회동 위치를 무선으로 표시 장치(4)에 발신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전동 릴(8)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나아가, 낚시꾼이 이미 사용하고 있는 범용의 표시 장치(4)로 표시 정보 및 조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릴(8)의 외부에 표시 장치(4)를 설치하여도, 전동 릴(8)의 코스트가 증가하지 않는다.
<특징>
상기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표현 가능하다.
(A) 전동 릴(8)은, 낚싯대(RD)에 장착 가능하고,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릴이다. 전동 릴(8)은, 릴 본체(12)와 스풀(14)과 모터(16)와 조작부(18)와 수전부(20)와 회전 검출부(22)와 발신부(28)를 구비한다. 릴 본체(12)는, 낚싯대(RD)에 장착 가능한 장대 장착 다리부(32), 프레임(34), 섬 레스트(36), 및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40)를 가진다. 프레임(34)은,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을 포함한다. 섬 레스트(36)는,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의 사이에서 스풀(14)의 축심(X)보다도 장대 장착 다리부(32)로부터 이반하여 배치된다. 섬 레스트(36)는, 낚싯대(RD)에 장착되었을 때에 낚싯대(RD)를 잡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재치 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된다.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40)는,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을 스풀(14)의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개별로 덮는다. 스풀(14)은, 제1 측판(34a) 및 제2 측판(34b)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긴다. 모터(16)는, 제1 측 커버(38)와 제2 측 커버(40)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고, 스풀(14)을 회전 구동한다. 조작부(18)는, 모터(16)를 조작하기 위하여 릴 본체(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전부(20)는, 모터(16)를 구동하는 전력을 전동 릴(8)의 외부로부터 받는다. 회전 검출부(22)는,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40) 중 어느 일방의 내부에 수용되고, 스풀(14)의 회전을 검출한다. 발신부(28)는, 회전 검출부(22)의 검출 결과에 관한 정보를 신호화하여, 전동 릴(8)의 외부로 무선 발신한다.
이 전동 릴(8)에서는, 발신부(28)가, 스풀(14)의 회전에 관한 정보를 신호화하여 무선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표시 장치(4)에, 예를 들어 채비의 위치를 수심에 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동 릴(8)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릴 본체(12)에 섬 레스트(36)가 설치되기 때문에, 낚싯대(RD)를 잡은 손으로 전동 릴(8)을 쥐고, 그 손과 반대의 손으로 핸들(10)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표시 장치(4)와는 무선 발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표시 장치(4)와의 사이의 케이블이 없다. 이 때문에, 전동 릴(8)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 전동 릴(8)은, 회전 검출부(22)의 검출 결과로부터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생성부(24b)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발신부(28)는, 생성된 표시 정보를 신호화하여, 전동 릴(8)의 외부로 무선 발신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표시 정보로서, 채비의 수심, 스풀(14)의 회전 속도, 모터(16)의 회전 속도 등을 수치로 무선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표시 장치(4)에 이들을 표시할 수 있다.
(C) 전동 릴(8)은,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40)의 일방의 내부에 설치되고, 조작부(18)의 조작에 따라 모터(16)를 제어 가능한 모터 제어부(24a)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모터 제어부(24a)를 모터(16)의 가까이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릴(8)을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D) 전동 릴(8)은, 제1 측 커버(38) 및 제2 측 커버(40)의 일방의 내부에 설치되고, 펄스 폭 변조에 의하여 모터(16)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26)를 더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모터 제어부(24a)는, 조작부(18)의 조작에 따라, 모터 구동부(26)를 듀티 제어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모터 구동부(26)도 모터(16)의 가까이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릴(8)을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제어부(24a)가, 모터 구동부(26)를 조작부(18)의 조작에 따라 듀티 제어하기 때문에, 모터(16)의 회전을 정도 좋게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E) 발신부(28)는, 나아가, 조작부(18)의 회동 위치를 신호화하여, 전동 릴(8)의 외부로 무선 발신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조작부(18)의 회동 위치를 전동 릴(8)의 외부로 무선 발신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의 표시 장치(4)에 회동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예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a) 범용의 표시 장치(4)는, 상기의 통신 단말로 한정되지 않고, 전동 릴(8)과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 등으로 통신 가능한 범용의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신부(28)가 신호의 발신을 행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발신부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어 모드 및 표시 모드의 전환, 물고기가 군집하고 있는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설정 등의 조작을 표시 장치로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동 릴(8)에 이들의 조작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고, 전동 릴(8)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신부(28)가 회전 검출부(22)의 검출 결과에 관한 정보로서 표시 정보 생성부(24b)에 의하여 생성된 표시 정보를 신호화하여 발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발신부(28)로부터 회전 검출부(22)의 검출 결과를 신호화하여 송신하고, 표시 장치(4) 측에서 그 신호로부터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16)를 조작하는 조작부(18)가 개시되지만, 모터(16)의 조작 이외의 조작을 행하는 다른 조작부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모터의 제어 모드의 전환, 줄 길이와 스풀의 회전수와의 관계의 학습, 물고기 서식층 위치의 설정 등을 위한 다른 조작부를 릴 본체(12)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다른 조작부는, 섬 레스트(36) 또는 제1 측 커버(38)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 다른 조작부는, 하나의 조작부가 다른 조작 방법(예를 들어, 짧게 누름 및 길게 누름, 혹은, 싱글 클릭 또는 더블 클릭)에 의하여, 복수의 조작을 실현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8: 전동 릴
12: 릴 본체
14: 스풀
16: 모터
18: 조작부
20: 수전부
22: 회전 검출부
24a: 모터 제어부
24b: 표시 정보 생성부
26: 모터 구동부
28: 발신부
32: 장대 장착 다리부
34: 프레임
34a: 제1 측판
34b: 제2 측판
36: 섬 레스트
38: 제1 측 커버
40: 제2 측 커버
X: 축심

Claims (6)

  1. 낚싯대에 장착 가능하고,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전동 릴이고,
    상기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장대 장착 다리부,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對向)하는 제1 측판 및 제2 측판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의 사이에서 스풀의 축심보다도 상기 장대 장착 다리부로부터 이반하여 배치되고, 상기 낚싯대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낚싯대를 잡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재치(載置) 가능한 판상(板狀)으로 형성된 섬 레스트(thumb rest), 및,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을 상기 스풀의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각각 덮는 제1 측 커버 및 제2 측 커버를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제1 측판 및 상기 제2 측판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과,
    상기 제1 측 커버와 상기 제2 측 커버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를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는 조작부와,
    상기 제1 측 커버 및 상기 제2 측 커버 중 어느 일방(一方)의 측 커버의 내부에 수용(收容)되고, 상기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전력을 릴 외부로부터 받는 수전부(受電部)와,
    상기 회전 검출부의 검출 결과로부터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 표시 정보 생성부와,
    상기 표시 정보 생성부가 생성한 표시 정보를 신호화하여, 상기 릴 외부로 무선 발신하는 발신부와,
    상기 일방의 측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 가능한 모터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상기 섬 레스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스풀보다도 낚시줄의 방출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발신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 위치를 신호화하여, 상기 릴 외부로 무선 발신하는, 전동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부는, 상기 표시 정보를 범용의 표시 장치에 무선 발신하는, 전동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측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펄스 폭 변조에 의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를 더 구비하고,
    모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 구동부를 듀티(duty) 제어하는, 전동 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25424A 2014-12-05 2015-09-04 전동 릴 KR102462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6731A JP6606327B2 (ja) 2014-12-05 2014-12-05 電動リール
JPJP-P-2014-246731 2014-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640A KR20160068640A (ko) 2016-06-15
KR102462484B1 true KR102462484B1 (ko) 2022-11-03

Family

ID=5612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5424A KR102462484B1 (ko) 2014-12-05 2015-09-04 전동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06327B2 (ko)
KR (1) KR102462484B1 (ko)
CN (1) CN105660559A (ko)
TW (1) TWI6836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0775B2 (ja) * 2017-03-01 2020-03-25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6986864B2 (ja) * 2017-06-07 2021-12-2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JP6986865B2 (ja) * 2017-06-07 2021-12-22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KR101980638B1 (ko) * 2017-07-12 2019-05-21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하향 회전 잠금식 사이드커버를 구비한 낚시 릴
JP7166895B2 (ja) * 2018-11-28 2022-11-08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制動調整装置及びリール制動調整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389A (ja) 1999-10-19 2001-04-2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1340041A (ja) 2000-05-31 2001-12-11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4173676A (ja) 2002-09-30 2004-06-2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リールに用いられる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2013009638A (ja) 2011-06-30 2013-01-17 Shimano Inc カウンタケース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8449U (ja) * 1993-03-10 1994-09-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US5397071A (en) * 1993-07-26 1995-03-14 Daiwa Seiko, Inc. Motor-operated fishing reel
JP2002027878A (ja) 2000-07-13 2002-01-29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JP4141186B2 (ja) * 2002-06-18 2008-08-27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
TWI289431B (en) * 2002-09-30 2007-11-11 Shimano Kk Fishing reel, fish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ish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7374118B2 (en) * 2002-10-18 2008-05-20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JP4535742B2 (ja) * 2004-02-03 2010-09-01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5280441A (ja) * 2004-03-29 2005-10-13 Hitachi Maxell Ltd サイク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自転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2389A (ja) 1999-10-19 2001-04-2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1340041A (ja) 2000-05-31 2001-12-11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4173676A (ja) 2002-09-30 2004-06-24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リールに用いられる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2013009638A (ja) 2011-06-30 2013-01-17 Shimano Inc カウンタケース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8640A (ko) 2016-06-15
CN105660559A (zh) 2016-06-15
TW201625133A (zh) 2016-07-16
TWI683624B (zh) 2020-02-01
JP2016106569A (ja) 2016-06-20
JP6606327B2 (ja)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484B1 (ko) 전동 릴
US7523881B2 (en) Fishing reel, fishing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fishing information display system
JP2016106569A5 (ko)
KR20060044798A (ko) 낚시용 릴, 낚시 정보 표시 장치 및 낚시 정보 표시 시스템
KR102097355B1 (ko) 전동 릴
KR20060041662A (ko) 낚시용 릴, 낚시 정보 표시 장치 및 낚시 정보 표시시스템
TWI583306B (zh) Double bearing type reel
KR20180086923A (ko)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JP2014100079A5 (ko)
JP6606326B2 (ja) 電動リールシステム
JP2017163886A (ja) 釣り糸情報設定方法、および、釣り糸情報設定プログラム
TW201446136A (zh) 電動捲線器
JP2016106568A5 (ko)
JP6342218B2 (ja)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TWI632848B (zh) Electric reel
JP2008182967A (ja) 釣り情報表示装置
KR20120060144A (ko)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TWI604790B (zh) 電動捲線器的馬達控制裝置
JP7316244B2 (ja) 制動装置、糸長計測装置及びいずれか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JP6294591B2 (ja) 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6679356B2 (ja) 電動リール
JP2015002689A5 (ko)
JP2012231692A (ja) 付属部品取付構造
JP4187634B2 (ja) 電動リールのコード
JP3623644B2 (ja) 電動リール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