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923A -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923A
KR20180086923A KR1020170010987A KR20170010987A KR20180086923A KR 20180086923 A KR20180086923 A KR 20180086923A KR 1020170010987 A KR1020170010987 A KR 1020170010987A KR 20170010987 A KR20170010987 A KR 20170010987A KR 20180086923 A KR20180086923 A KR 20180086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unit
wire
bel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아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아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아초아
Priority to KR102017001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923A/ko
Priority to PCT/KR2018/000209 priority patent/WO2018139779A1/ko
Priority to CN201810063011.2A priority patent/CN108338089A/zh
Publication of KR20180086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9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1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9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electric-shock, sound, magnetic- or radio-waves emit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애완동물에 대해 무선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과 실내에서 생활하거나 실외로 외출 시 애완동물의 자율성과 주인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는, 애완동물의 목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밸트 및 애완동물의 가슴과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밸트와 연결되어, 제1밸트 또는 제2밸트를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제1구동부; 애완동물의 배와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밸트의 양 끝단과 연결되고, 제3밸트를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제2구동부; 전자기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제1구동부 또는 제2구동부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제1구동부, 제2구동부 및 제어부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 제2밸트 및 제3밸트와 결합하고, 애완동물의 몸에 착용되어지는 착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T WIERLESSLY}
본 발명은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에 대해 무선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과 실내에서 생활하거나 실외로 외출 시 애완동물의 자율성과 주인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용 무선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의 질이 향상됨과 더불어 2인 이하 가구의 증가에 따라 개와 고양이 등 애완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며 기르는 가정이 날로 증가되고 있어 이와 관련된 업체의 매출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애완동물과 실내에서 생활하거나 산책 등을 위하여 애완동물을 데리고 외출 시, 애완동물의 통제가 용이하도록 애완동물의 행동 반경을 통제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애완동물용 줄의 일단을 애완동물의 목걸이에 결합하고, 애완동물용 줄의 타단을 주인이 잡은 상태에서 물리적으로 애완동물을 제어하는 방식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발달과 각종 장치가 소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무선으로 애완동물을 제어하여 애완동물의 자율성과 주인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9148호(발명의 명칭 : 동물 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에서는, 특정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App)을 통해 상기 송신기와의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수신기의 동작상태 및 위치를 실시간 파악하여 상기 수신기 위치가 기설정된 통제구역을 벗어날 경우, 상기 수신기의 행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자극 (electric shock), 진동 자극(vibration shock) 또는 음성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에 연결되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각종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기로 전달하는 송신기 및 상기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전기 자극, 진동 자극 또는 음성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동물 훈련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6914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나 리모콘 등의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에 대한 무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애완동물에 착용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을 가지고 소형으로 제작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애완동물의 목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밸트 및 상기 애완동물의 가슴과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밸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밸트 또는 상기 제2밸트를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제1구동부; 상기 애완동물의 배와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밸트의 양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3밸트를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제2구동부; 전자기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상기 제2구동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제1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기 제2밸트 및 상기 제3밸트와 결합하고, 상기 애완동물의 몸에 착용되어지는 착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밸트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거나 감김 해제되는 제1회전부, 상기 제2밸트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2와이어가 감기거나 감김 해제되는 제2회전부, 및 상기 제1회전부의 말단 및 상기 제2회전부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 또는 상기 제2회전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부는, 상기 제1회전부의 말단 내부로 인입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회전부의 말단 내부로 인입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제2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회전부의 말단 내측면에 제1기어치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부의 말단 내측면에 제2기어치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제1모터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부는 길이를 유지하여 상기 제1기어치를 저지하고, 상기 제2걸림부는 길이를 가변하여 상기 제2기어치를 통과시켜, 상기 제1회전부만 회전하고, 상기 제1모터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부는 길이를 가변하여 상기 제1기어치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2걸림부는 길이를 유지하여 상기 제2기어치를 저지하여, 상기 제2회전부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밸트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2밸트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 및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상기 제2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감기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타공된 제1홈부, 상기 제1홈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회전부의 외측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타공된 제2홈부, 및 상기 회전부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홈부의 타단에 위치한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1홈부의 일단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2홈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와이어만 상기 회전부에 감기고, 상기 회전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1홈부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홈부의 일단에 위치한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2홈부의 타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와이어만 상기 회전부에 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3밸트의 양 끝단과 결합하고,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랙기어부, 및 상기 랙기어부와 치합하는 회전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랙기어부를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제2모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의 입을 가리도록 작동하는 가림부, 및 상기 가림부와 결합하고 상기 가림부를 작동시키도록 길이가 가변하는 길이가변부와 상기 길이가변부의 길이를 축소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3모터부를 구비하는 제3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서로 핀 결합하는 복수 개의 가림막을 구비하고, 가림막하우징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가림막하우징에서 인출 시 상기 가림막 간 사이각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3모터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3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다리 상부에 위치하다가 상기 애완동물의 다리 관절 부위로 이동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다리를 구속하는 다리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위치센서를 복수 개 구비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위치센서 간 거리를 측정한 거리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착용 시 접촉하는 상기 착용부의 양 말단 중 일단에 설치되는 자석부, 및 착용 시 접촉하는 상기 착용부의 양 말단 중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자석부와 이격 시 자기장 변화에 의해 이상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경고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애완동물에 대해 무선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과 실내에서 생활하거나 실외로 외출 시 애완동물의 자율성과 주인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효과는, 단순한 구성으로 소형 제작되어 부피가 작고 경량이므로, 애완동물 착용 시 애완동물의 거부감이 최소화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를 애완동물이 착용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구동부, 제2구동부 및 제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구동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회전부의 말단 내부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구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구동부의 구동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구동부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구동부의 실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구동부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부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를 애완동물(10)이 착용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구동부(100), 제2구동부(200) 및 제어부(500)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애완동물(10)을 기준으로 머리 방향을 전 방향, 꼬리 방향을 후 방향, 좌측을 좌 방향, 우측을 우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하, 동일하다. 그리고, 각각의 도면에서, 전 방향은 F, 후 방향은 B, 좌 방향은 L, 우 방향은 R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의 크기가 크게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 애완동물(10)에 착용 시 거부감이 없도록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는, 애완동물(10)의 목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밸트(410) 및 애완동물(10)의 가슴과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밸트(420)와 연결되어, 제1밸트(410) 또는 제2밸트(420)를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제1구동부(100); 애완동물(10)의 배와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밸트(430)의 양 끝단과 연결되고, 제3밸트(430)를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제2구동부(200); 전자기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제1구동부(100) 또는 제2구동부(200)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500); 제1구동부(100), 제2구동부(200) 및 제어부(500)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케이스(20); 및 케이스(20), 제2밸트(420) 및 제3밸트(430)와 결합하고, 애완동물(10)의 몸에 착용되어지는 착용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케이스가 애완동물(10)의 등 부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밸트(410)에는 전자기기에서 인식한 음성정보를 애완동물(10)에게 전달하거나 애완동물(10)의 소리를 인식하여 전자기기로 전달하는 소리부(411)를 구비할 수 있다. 소리부(411)를 통하여 애완동물(10)의 주인은 애완동물(10)에게 명령을 전달하거나 이상 상황 발생 시 제어부(500)에서 소리부(411)로 신호를 전달하여 소리부(411)에서 경고음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작동을 수행하고, 이를 위해 배터리(21)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21)가 제1구동부(100)의 하단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터리(21)는 착용부(600)와 애완동물(10)이 접촉하는 착용부(600)의 내측면에서 탈착되도록 하여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케이스(20)는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구동부(10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제1구동부(100)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3의 (b)는 전 방향 측에서 바라보고 도 3의 (a)의 A-A'선에 대한 제1구동부(100)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걸림부(151) 및 제2걸림부(152)는 단순하게 표현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구동부(100)는, 제1밸트(410)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1와이어(110), 제1와이어(110)의 타단과 결합하고 제1와이어(110)가 감기거나 감김 해제되는 제1회전부(130), 제2밸트(420)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2와이어(120), 제2와이어(120)의 타단과 결합하고 제2와이어(120)가 감기거나 감김 해제되는 제2회전부(140), 및 제1회전부(130)의 말단 및 제2회전부(140)의 말단과 연결되어 제1회전부(130) 또는 제2회전부(140)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부(1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제1와이어(110) 또는 제2와이어(120)는 선택적으로 제1회전부(130) 또는 제2회전부(140)에 감길 수 있다. 제1와이어(110)가 제1회전부(130)에 감기면 제1밸트(410)가 제1구동부(100) 방향으로 당겨지고, 제2와이어(120)가 제2회전부(140)에 감기면 제2밸트(420)가 제1구동부(100)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전자기기와 센서부(510)에 의해 제어부(500)는 전자기기와 애완동물(10)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500)는 애완동물(10)이 제한된 행동 반경인 제한영역 내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10)이 제한영역에서 전 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면 제1회전부(130)가 회전을 하고 제1와이어(110)가 제1밸트(410)를 당겨서 애완동물(10)이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10)이 제한영역에서 후 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면 제2회전부(140)가 회전을 하고 제2와이어(120)가 제2밸트(420)를 당겨서 애완동물(10)이 이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10)의 주인이 전자기기를 임의로 조작하여 제1모터부(150)를 조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애완동물(10)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회전부(130)의 말단 내부의 구조도이다. 도 4의 제1회전부(130)의 말단 내부와 같이 제2회전부(140)의 말단 내부도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제1기어치(131)와 제1걸림부(151)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제2기어치와 제2걸림부(152)가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모터부(150)는, 제1회전부(130)의 말단 내부로 인입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제1걸림부(151)와 제2회전부(140)의 말단 내부로 인입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제2걸림부(152)를 구비하고, 제1회전부(130)의 말단 내측면에 제1기어치(131)가 복수 개 구비되고, 제2회전부(140)의 말단 내측면에 제2기어치가 복수 개 구비되며, 제1모터부(1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걸림부(151)는 길이를 유지하여 제1기어치(131)를 저지하고, 제2걸림부(152)는 길이를 가변하여 제2기어치를 통과시켜, 제1회전부(130)만 회전하고, 제1모터부(1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걸림부(151)는 길이를 가변하여 제1기어치(131)를 통과시키고, 제2걸림부(152)는 길이를 유지하여 제2기어치를 저지하여, 제2회전부(140)만 회전할 수 있다.
이하, 제1회전부(130) 말단 내부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제2회전부(140) 말단 내부는 제1회전부(130) 말단 내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의 (a)는 제1기어치(131)가 제1걸림부(151)에 의해 지지되어 제1모터부(1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회전부(130)도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b)는 제1걸림부(151)가 제1기어치(131)에 의해 눌려 제1기어치(131)를 지지하지 않고 통과시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은 좌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를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하 동일하다.)
제1기어치(131)는 제1회전부(130) 단면의 지름선(R) 상에 형성되는 제1기어치지지면(131a)과 제1기어치지지면(131a)과 사이각(α)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기어치빗면(131b)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걸림부(151)는 제1걸림부(15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1걸림쇠(151a), 제1걸림쇠(151a)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151d), 및 제1걸림쇠(151a)의 운동을 가이드하고 제1모터부(150)와 결합하는 제1걸림쇠가이드부(151e)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걸림쇠(151a)는 제1기어치지지면(131a)과 접촉 시 제1기어치지지면(131a)과 평행한 제1걸림쇠지지면(151b) 및 제1걸림쇠지지면(151b)과 사이각(α)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걸림쇠빗면(151c)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대응되는 구성으로, 제2기어치는 제2기어치지지면과 제2기어치빗면을 구비하고, 제2걸림부(152)는 제2걸림쇠, 제2스프링, 제2걸림쇠가이드부를 구비하며, 제2걸림쇠는 제2걸림쇠지지면 및 제2걸림쇠빗면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모터부(150)와 결합한 제1걸림쇠가이드부(151e)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기어치지지면(131a)과 제1걸림쇠지지면(151b)이 접촉하게 되고, 이 때, 제1걸림쇠(151a)는 고정되어 제1모터부(150)의 회전력을 제1회전부(130)에 전달하게 되므로, 제1모터부(150)의 회전에 따라 제1회전부(130)가 회전하게 될 수 있다.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모터부(150)와 결합한 제1걸림쇠가이드부(151e)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기어치빗면(131b)과 제1걸림쇠빗면(151c)이 접촉하게 되고, 이 때, 제1걸림쇠(151a)는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어 제1기어치(131)가 제1걸림쇠(151a)에 걸리지 않고 통과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모터부(150)의 회전력이 제1회전부(130)에 전달되지 않아, 제1모터부(150)의 회전에도 제1회전부(130)가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1걸림쇠가이드부(151e)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제1걸림쇠빗면(151c)이 제1기어치빗면(131b)을 미는 힘이 생성되어 제1회전부(130)가 회전할 수 있으나, 이는 도 3에서의 회전부지지대(180)와 제1회전부(13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방지할 수 있다.
제1모터부(15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제1회전부(130)가 도 4의 (a)와 같은 원리로 회전하는 경우, 제2회전부(140)는 도 4의 (b)와 같은 원리로 회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1모터부(1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제2회전부(140)가 도 4의 (a)와 같은 원리로 회전하는 경우, 제1회전부(130)는 도 4의 (b)와 같은 원리로 회전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구동부(100)의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모터부(17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와이어(110)는 감기지 않고 제2와이어(120)는 감기는 것을 나타내고, 도 5의 (b)는 모터부(1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와이어(110)는 감기고 제2와이어(120)는 감기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구동부(100)는, 제1밸트(410)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1와이어(110), 제2밸트(420)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2와이어(120), 제1와이어(110)의 타단 및 제2와이어(120)의 타단과 결합하고, 제1와이어(110) 또는 제2와이어(120)가 선택적으로 감기는 회전부(160), 회전부(160)의 외측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타공된 제1홈부(161), 제1홈부(161)와 이격되어 제1회전부(130)의 외측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타공된 제2홈부(162), 및 회전부(160)의 말단과 연결되어 회전부(160)를 회전시키는 모터부(170),를 구비하고, 회전부(1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홈부의 타단(161b)에 위치한 제1와이어(110)의 타단이 제1홈부의 일단(161a)으로 이동하고, 제2와이어(120)의 타단이 제2홈부의 일단(162a)에 고정되어, 제2와이어(120)만 회전부(160)에 감기고, 회전부(1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와이어(110)의 타단이 제1홈부의 타단(161b)에 고정되고, 제2홈부의 일단(162a)에 위치한 제2와이어(120)의 타단이 제2홈부의 타단(162b)으로 이동하여, 제1와이어(110)만 회전부(160)에 감길 수 있다.
제1와이어(110)의 타단은 제1홈부(161)에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1가이드바(163)와 결합할 수 있고, 제2와이어(120)의 타단은 제2홈부(162)에 가이드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2가이드바(164)와 결합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홈부(161)는, 제1홈부의 일단(161a)이 모터부(170)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제1홈부의 타단(161b)이 상대적으로 모터부(170)에서 이격되도록 회전부(160)의 외측면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홈부(162)는, 제2홈부의 일단(162a)이 제1홈부의 타단(161b)에 근접하게 위치하고 제2홈부의 타단(162b)이 상대적으로 제1홈부의 타단(161b)에서 이격되도록 회전부(160)의 외측면에 대해 사선방향으로 타공될 수 있다.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160)가 회전하기 전에 제1가이드바(163)는 제1홈부의 타단(161b) 측에 위치하고 제2가이드바(164)는 제2홈부의 일단(162a)에 위치할 수 있다. 그 후, 회전부(1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가이드바(163)가 제1홈부의 타단(161b)으로부터 제1홈부의 일단(161a) 방향으로 제1홈부(161)를 따라 이동하여 제1와이어(110)의 타단이 고정되지 않아 제1와이어(110)가 회전부(160)에 감기지 않고, 제2가이드바(164)가 제2홈부의 일단(162a)에 고정되어 제2와이어(120)의 타단이 고정되므로 제2와이어(120)가 회전부(160)에 감길 수 있다.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부(160)가 회전하기 전에 제1가이드바(163)는 제1홈부의 타단(161b)에 위치하고 제2가이드바(164)는 제2홈부의 일단(162a) 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 후, 회전부(1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가이드바(163)가 제1홈부의 타단(161b)에 고정되어 제1와이어(110)의 타단이 고정되므로 제1와이어(110)가 회전부(160)가 감길 수 있고, 제2가이드바(164)가 제2홈부의 일단(162a)으로부터 제2홈부의 타단(162b) 방향으로 제2홈부(162)를 따라 이동하여 제2와이어(120)의 타단이 고정되지 않아 제2와이어(120)가 회전부(160)에 감기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부(17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부(1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와이어(120)가 회전부(160)에 감기면서 제2밸트(420)를 당길 수 있고, 모터부(1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부(1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와이어(110)가 회전부(160)에 감기면서 제1밸트(410)를 당길 수 있다.
전자기기와 센서부(510)에 의해 제어부(500)는 전자기기와 애완동물(10)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500)는 애완동물(10)이 제한된 행동 반경인 제한영역 내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10)이 제한영역에서 전 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면 회전부(160)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제1와이어(110)가 제1밸트(410)를 당겨서 애완동물(10)이 이동 속도를 감소시키거나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10)이 제한영역에서 후 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면 회전부(1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고 제2와이어(120)가 제2밸트(420)를 당겨서 애완동물(10)이 이동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10)의 주인이 전자기기를 임의로 조작하여 모터부(170)를 조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애완동물(10)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구동부(200)의 구동에 대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구동부(200)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6의 (a)와 (b)는 전 방향에서 바라본 제2구동부(200)의 정면도이고, 도 6의 (a)는 랙기어부(210)가 좌 방향으로부터 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 것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랙기어부(210)가 우 방향으로부터 좌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 것을 나타낸다. 도 7의 (a)는 제2구동부(200)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전 방향 측에서 바라보고 도 7의 (a)의 B-B'선에 대한 제2구동부(200)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구동부(200)는, 제3밸트(430)의 양 끝단과 결합하고,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랙기어부(210), 및 랙기어부(210)와 치합하는 회전기어(221)를 구비하고, 랙기어부(210)를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제2모터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모터부(220)는 랙기어부(210)를 직선 왕복운동시키기 위해 전 방향 측에서 바라 볼 때 시계 방향 회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랙기어부(210)가 좌 방향으로부터 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 애견동물의 몸통 좌측과 제3밸트(430) 간 공간이 축소되고, 애견동물의 몸통 우측과 제3밸트(430) 간 공간이 확장되어, 제3밸트(430)가 애견동물의 좌측을 압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랙기어부(210)가 우 방향으로부터 좌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면, 애견동물의 몸통 우측과 제3밸트(430) 간 공간이 축소되고, 애견동물의 몸통 좌측과 제3밸트(430) 간 공간이 확장되어, 제3밸트(430)가 애견동물의 우측을 압박할 수 있다.
전자기기와 센서부(510)에 의해 제어부(500)는 전자기기와 애완동물(10)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제어부(500)는 애완동물(10)이 제한된 행동 반경인 제한영역 내 위치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10)이 제한영역에서 좌 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면,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모터부(220)가 회전을 하고, 랙기어부(210)가 좌 방향으로부터 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며 제3밸트(430)가 애완동물의 몸통(11) 좌측을 압박하여, 애완동물(10)이 우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10)이 제한영역에서 우 방향으로 벗어나 있으면, 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모터부(220)가 회전을 하고, 랙기어부(210)가 우 방향으로부터 좌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며 제3밸트(430)가 애완동물의 몸통(11) 우측을 압박하여, 애완동물(10)이 좌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10)의 주인이 전자기기를 임의로 조작하여 제2모터부(220)를 조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애완동물(10)에 대한 제어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구동부(200)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2구동부(200)의 실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는 제1사이드기어(223) 및 제2사이드기어(224)를 구비하는 제2구동부(200)를 전 방향 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곡선부재(225)를 구비하고 랙기어부(210)를 구비하지 않는 제2구동부(200)를 전 방향 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구동부(200)는, 랙기어부(210)에 의해 회전하는 제1사이드기어(223)와 제2사이드기어(224), 제2모터부(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일단이 제1사이드기어(223)와 결합하고 타단이 지지부(222)의 우 방향 측에 결합하는 제3-1밸트(431), 및 일단이 제2사이드기어(224)와 결합하고 타단이 지지부(222)의 좌 방향 측에 결합하는 제3-2밸트(43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랙기어부(210)는, 좌 방향으로 직선 운동 시 제1사이드기어(223)와 치합하고 제2사이드기어(224)와는 치합하지 않으며, 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 시 제2사이드기어(224)와 치합하고 제1사이드기어(223)와는 치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사이드기어(223) 또는 제2사이드기어(224)는 랙기어부(210)와 치합해서 회전을 하였다가 랙기어부(210)와의 치합이 해제되는 경우, 애완동물(10)의 몸통이 제3-1밸트(431) 또는 제3-2밸트(432)에 제공하는 힘에 의해 원 상태로 되거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결합하여 스프링에 의해 원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8의 (a)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의 제2모터부(220)가 시계 방향 회전을 하면, 랙기어부(210)가 좌 방향으로부터 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고, 제3-1밸트(431)는 그대로 유지되고 제3-2밸트(432)가 제2사이드기어(224)에 감기면서 제3-2밸트(432)와 애완동물의 몸통(11) 우측 간 공간이 순간적으로 축소되면서, 제3-2밸트(432)가 애완동물의 몸통(11) 우측을 압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a) 실시 예와 같은 구성의 제2모터부(220)가 반시계 방향 회전을 하면, 랙기어부(210)가 좌 방향으로부터 우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고, 제3-2밸트(432)는 그대로 유지되고 제3-1밸트(431)가 제1사이드기어(223)에 감기면서 제3-1밸트(431)와 애완동물의 몸통(11) 좌측 간 공간이 순간적으로 축소되면서, 제3-1밸트(431)가 애완동물의 몸통(11) 좌측을 압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마찬가지로, 애완동물의 몸통(11) 우측을 압박하면 애완동물(10)이 좌 방향으로 이동하고, 애완동물의 몸통(11) 좌측을 압박하면 애완동물(10)이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8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구동부(200)는 랙기어부(210)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고, 제3밸트(430)의 양 말단이 제2회전부(140)와 결합하며, 제3밸트(430)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곡선부재(22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도 8의 (b) 실시 예의 제2구동부(200)에 있어서, 제2모터부(2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3밸트의 타단(434)이 제2모터부(220)에 감기고 제3밸트의 일단(433)이 제2모터부(220)에서 풀려, 곡선부재(22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애완동물의 몸통(11) 우측보다 애완동물의 몸통(11) 좌측에 대해 제3밸트(430)에 의해 누르는 힘이 증가하여, 제3밸트(430)에 의해 애완동물의 몸통(11) 좌측이 압박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b)는, 도 8의 (b) 실시 예의 제2구동부(200)에 있어서, 제2모터부(2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3밸트의 일단(433)이 제2모터부(220)에 감기고 제3밸트의 타단(434)이 제2모터부(220)에서 풀려, 곡선부재(22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애완동물의 몸통(11) 좌측보다 애완동물의 몸통(11) 우측에 대해 제3밸트(430)에 의해 누르는 힘이 증가하여, 제3밸트(430)에 의해 애완동물의 몸통(11) 우측이 압박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마찬가지로, 애완동물의 몸통(11) 우측을 압박하면 애완동물(10)이 좌 방향으로 이동하고, 애완동물의 몸통(11) 좌측을 압박하면 애완동물(10)이 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3구동부(300)의 내부 구조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부(600)의 평면도이다.
도 10의 (a)는 가림부(310)가 가림막하우징(312)에 인입된 상태의 제3구동부(300) 내부 구조도이고, 도 10의 (b)는 가림부(310)가 가림막하우징(312)에서 인출된 상태의 제3구동부(300) 내부 구조도이다. 그리고, 도 11에서 가림부(310)는 가림막하우징(312)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이다.
도 1,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는, 애완동물의 입(12)을 가리도록 작동하는 가림부(310), 및 가림부(310)와 결합하고 가림부(310)를 작동시키도록 길이가 가변하는 길이가변부(320)와 길이가변부(320)의 길이를 축소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3모터부(330)를 구비하는 제3구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림부(310)는, 서로 핀(311b) 결합하는 복수 개의 가림막(311)을 구비하고, 가림막하우징(312)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작동하며, 가림막하우징(312)에서 인출 시 가림막(311) 간 사이각(α)이 형성될 수 있다.
가림막(311)은, 합성수지 또는 경량금속으로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판재일 수 있고, 핀(311b) 결합할 수 있는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핀(311b) 결합은, 일반적인 핀(311b) 경첩과 동일 유사한 구조에서의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나의 가림막(311)의 측면 하단에 핀(311b)이 삽입될 수 있는 하단 홀부(311d)가 형성되고 다른 가림막(311)의 측면 상단에 핀(311b)이 삽입될 수 있는 상단 홀부(311c)가 형성되어, 상단 홀부(311c)와 하단 홀부(311d)가 겹치도록 위치시키고 상단 홀부(311c)와 하단 홀부(311d)에 핀(311b)을 동시에 삽입하여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가림막(311) 사이에는 비틀림스프링(311a)이 구비되어, 가림부(310)가 가림막하우징(312)에 인입되는 경우에는 비틀림스프링(311a)이 양 측의 가림막(311)에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펴지고, 가림부(310)가 가림막하우징(312)에서 인출되는 경우에는 비틀림스프링(311a)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가림막(311) 간 사이각(α)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림부(310)가 애완동물의 입(12)을 가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가림막(311) 사이에 비틀림스프링(311a)이 구비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프링 또는 고무 등의 탄성체가 구비되어 이용될 수 있다.
가림부(310)는, 애완동물(10)이 흥분하여 공격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경우, 애완동물의 입(12)에 의한 공격 행동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길이가변부(320)는, 인출부하우징(323), 인출부하우징(323)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1인출부(321), 제1인출부(321)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제2인출부(322), 및 제1인출부(321)를 관통하여 제2인출부(322)와 결합하고 제1인출부(321) 및 제2인출부(32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인출스프링(324)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길이가변부(320)가 제1인출부(321) 및 제2인출부(322)를 구비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3인출부, 제4인출부 등 인출부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모터부(330)와 제2인출부(322)는 인입출와이어(32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림부(310)가 가림막하우징(312)으로부터 인출되는 경우, 제3모터부(330)에 감겨져 있던 인입출와이어(325)는 제3모터부(330)에서 풀리고 인출스프링(324)의 탄성력에 의해 제1인출부(321)가 인출부하우징(323)으로부터 인출되고 제2인출부(322)가 제1인출부(321)로부터 인출되어, 제1인출부(321)가 가림부(310)를 밀어내어 결과적으로 가림부(310)가 가림막하우징(312)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가림부(310)가 가림막하우징(312)으로 인입되는 경우, 인입출와이어(325)는 제3모터부(330)에 감기게 되고 제1인출부(321)가 인출부하우징(323)으로 인입되고 제2인출부(322)가 제1인출부(321)로 인입되어, 결과적으로 가림부(310)가 가림막하우징(312)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는, 제3모터부(330)에 결합되어 있는 제3와이어(340)와 연결되고, 애완동물(10)의 다리 상부에 위치하다가 애완동물(10)의 다리 관절 부위로 이동하여 애완동물(10)의 다리를 구속하는 다리구속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와이어(340)는 제3-1와이어(341) 및 제3-2와이어(342)를 구비할 수 있고, 제3-1와이어(341)의 일단은 제3모터부(330)와 결합하고, 한 쌍의 제3-2와이어(342) 각각의 일단은 한 쌍의 다리구속부(350) 각각에 결합할 수 있으며, 제3-1와이어(341)의 타단과 제3-2와이어(342)의 타단이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10)이 흥분 상태에 처하게 되면, 제3모터부(330)에 감겨있던 제3-1와이어(341)가 풀리게 되고 한 쌍의 다리구속부(350)가 중력에 의해 애완동물(10)의 다리 상부로부터 애완동물(10)의 다리 관절 부위로 하강하여 애완동물(10)의 다리를 구속할 수 있다.
도 2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는, 케이스(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위치센서를 복수 개 구비하여, 전자기기와 위치센서 간 거리를 측정한 거리정보를 제어부(500)로 전달하는 센서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510)는, 애완동물(10)의 전 방향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1위치센서(511), 애완동물(10)의 후 방향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2위치센서(512), 애완동물(10)의 좌 방향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3위치센서(513), 애완동물(10)의 우 방향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4위치센서(514)를 구비할 수 있다.
전자기기는 제1위치센서(511) 내지 제4위치센서(514)에 각각의 위치센서에 대해 실시간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각각의 위치센서에 대한 거리를 기준으로 애완동물(10)의 제한된 행동 반경인 제한영역을 설정하여 이에 대한 거리정보를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10)이 제한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제1구동부(100) 또는 제2구동부(200)의 구동으로 애완동물(1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 예로, 애완동물(10)이 전 방향으로 제한영역을 벗어나면, 전자기기 및 제어부(500)에서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제1구동부(100)가 구동되어 제1와이어(110)가 제1밸트(410)를 당김으로써 애완동물(10)이 정지하거나 속도를 늦추거나 또는 뒷걸음질하여 제한영역 내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애완동물(10)이 좌 방향으로 제한영역을 벗어나면, 전자기기 및 제어부(500)에서 이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제2구동부(200)가 구동되어 제3밸트(430)가 애완동물의 몸통(11) 좌측을 압박하여 애완동물(10)이 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한영역 내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용부(600)는, 착용 시 접촉하는 착용부(600)의 양 말단 중 일단에 설치되는 자석부(610), 및 착용 시 접촉하는 착용부(600)의 양 말단 중 타단에 설치되고, 자석부(610)와 이격 시 자기장 변화에 의해 이상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하는 경고부(6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부(610)와 경고부(620)는 자석 탈착에 의해 이상신호가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한 기능을 하기 위해 경고부(620)에 스위치나 센서를 구비시켜, 착용부의 착용 해제 시 스위치나 센서가 작동하여 이상신호가 생성되어 제어부(5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경고부(620)에서 이상신호를 제어부(500)로 전달하면, 제어부(500)는 이상신호를 전자기기에 전달하여 전자기기에서 시각적 청각적으로 경고신호가 발산되도록 기능할 수 있으며, 또한, 경고부(620) 자체에서 시각적 청각적으로 경고신호를 발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제2밸트(420)와 제3밸트(430)가 착용부(600)를 감싸도록 단순히 표현되어 있으나,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2밸트(420)와 제3밸트(430)는 가이드부(650)를 통과하여 착용부(60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착용부(600)에는 제1연결구(630) 및 제2연결구(640)가 구비되어 제1연결구(630)가 제2연결구(640)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애완동물(10)이 착용부(600)를 착용 시 착용부(600)가 애완동물의 몸통(1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된 전자기기는, 애완동물(10)의 주인이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고정되게 설치되는 컴퓨터 장치, 애완동물(10)에 대한 무선 제어를 위해 별도로 제조되는 제어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는, 케이스(20)에 설치되고 애완동물(10)의 시선에서 주위 환경을 관찰할 수 있는 카메라부, 및 케이스(20) 상부면에 대해 전후 좌우 방향에 대해 설치되고 애완동물(10)의 이동 방향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광을 발산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510)는, 애완동물(10)의 생체리듬 또는 심박수를 측정하는 생체센서, 애완동물(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GPS센서, 및 애완동물(10)의 무게 중심 이상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애완동물 11 : 애완동물의 몸통
12 : 애완동물의 입 20 : 케이스
21 : 배터리 100 : 제1구동부
110 : 제1와이어 120 : 제2와이어
130 : 제1회전부 131 : 제1기어치
131a : 제1기어치지지면 131b : 제1기어치빗면
140 : 제2회전부 150 : 제1모터부
151 : 제1걸림부 151a : 제1걸림쇠
151b : 제1걸림쇠지지면 151c : 제1걸림쇠빗면
151d : 제1스프링 151e : 제1걸림쇠가이드부
152 : 제2걸림부 160 : 회전부
161 : 제1홈부 161a : 제1홈부의 일단
161b : 제1홈부의 타단 162 : 제2홈부
162a : 제2홈부의 일단 162b : 제2홈부의 타단
163 : 제1가이드바 164 : 제2가이드바
170 : 모터부 180 : 회전부지지대
200 : 제2구동부 210 : 랙기어부
220 : 제2모터부 221 : 회전기어
222 : 지지부 223 : 제1사이드기어
224 : 제2사이드기어 225 : 곡선부재
300 : 제3구동부 310 : 가림부
311 : 가림막 311a : 비틀림스프링
311b : 핀 311c : 상단 홀부
311d : 하단 홀부 312 : 가림막하우징
320 : 길이가변부 321 : 제1인출부
322 : 제2인출부 323 : 인출부하우징
324 : 인출스프링 325 : 인입출와이어
330 : 제3모터부 340 : 제3와이어
341 : 제3-1와이어 342 : 제3-2와이어
350 : 다리구속부 410 : 제1밸트
411 : 소리부 420 : 제2밸트
430 : 제3밸트 431 : 제3-1밸트
432 : 제3-2밸트 433 : 제3밸트의 일단
434 : 제3밸트의 타단 500 : 제어부
510 : 센서부 511 : 제1위치센서
512 : 제2위치센서 513 : 제3위치센서
514 : 제4위치센서 600 : 착용부
610 : 자석부 620 : 경고부
630 : 제1연결구 640 : 제2연결구
650 : 가이드부

Claims (10)

  1. 애완동물의 목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밸트 및 상기 애완동물의 가슴과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밸트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밸트 또는 상기 제2밸트를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제1구동부;
    상기 애완동물의 배와 등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밸트의 양 끝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3밸트를 당기거나 당김 해제하는 제2구동부;
    전자기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제1구동부 또는 상기 제2구동부로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
    상기 제1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 및 상기 제어부가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상기 제2밸트 및 상기 제3밸트와 결합하고, 상기 애완동물의 몸에 착용되어지는 착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밸트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거나 감김 해제되는 제1회전부,
    상기 제2밸트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2와이어가 감기거나 감김 해제되는 제2회전부, 및
    상기 제1회전부의 말단 및 상기 제2회전부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부 또는 상기 제2회전부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부는, 상기 제1회전부의 말단 내부로 인입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제1걸림부와 상기 제2회전부의 말단 내부로 인입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제2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회전부의 말단 내측면에 제1기어치가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제2회전부의 말단 내측면에 제2기어치가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제1모터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부는 길이를 유지하여 상기 제1기어치를 저지하고, 상기 제2걸림부는 길이를 가변하여 상기 제2기어치를 통과시켜, 상기 제1회전부만 회전하고,
    상기 제1모터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부는 길이를 가변하여 상기 제1기어치를 통과시키고, 상기 제2걸림부는 길이를 유지하여 상기 제2기어치를 저지하여, 상기 제2회전부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제1밸트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1와이어,
    상기 제2밸트와 일단이 결합하는 제2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 및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상기 제2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감기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외측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타공된 제1홈부,
    상기 제1홈부와 이격되어 상기 제1회전부의 외측면을 따라 사선방향으로 타공된 제2홈부, 및
    상기 회전부의 말단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홈부의 타단에 위치한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1홈부의 일단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2홈부의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와이어만 상기 회전부에 감기고,
    상기 회전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1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1홈부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제2홈부의 일단에 위치한 상기 제2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제2홈부의 타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와이어만 상기 회전부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3밸트의 양 끝단과 결합하고,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랙기어부, 및
    상기 랙기어부와 치합하는 회전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랙기어부를 직선 왕복운동시키는 제2모터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의 입을 가리도록 작동하는 가림부, 및
    상기 가림부와 결합하고 상기 가림부를 작동시키도록 길이가 가변하는 길이가변부와 상기 길이가변부의 길이를 축소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제3모터부를 구비하는 제3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는, 서로 핀 결합하는 복수 개의 가림막을 구비하고, 가림막하우징에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작동하며, 상기 가림막하우징에서 인출 시 상기 가림막 간 사이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모터부에 결합되어 있는 제3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애완동물의 다리 상부에 위치하다가 상기 애완동물의 다리 관절 부위로 이동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다리를 구속하는 다리구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위치센서를 복수 개 구비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위치센서 간 거리를 측정한 거리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착용 시 접촉하는 상기 착용부의 양 말단 중 일단에 설치되는 자석부, 및
    착용 시 접촉하는 상기 착용부의 양 말단 중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자석부와 이격 시 자기장 변화에 의해 이상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경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KR1020170010987A 2017-01-24 2017-01-24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KR20180086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987A KR20180086923A (ko) 2017-01-24 2017-01-24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PCT/KR2018/000209 WO2018139779A1 (ko) 2017-01-24 2018-01-04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CN201810063011.2A CN108338089A (zh) 2017-01-24 2018-01-23 宠物无线控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987A KR20180086923A (ko) 2017-01-24 2017-01-24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923A true KR20180086923A (ko) 2018-08-01

Family

ID=6296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987A KR20180086923A (ko) 2017-01-24 2017-01-24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80086923A (ko)
CN (1) CN108338089A (ko)
WO (1) WO20181397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759A (ko) * 2019-11-26 2021-06-03 곽상훈 반려동물의 제어 장착기구
KR102538784B1 (ko) * 2022-07-11 2023-06-02 김영욱 사물인터넷 기반의 반려견 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8516B (zh) * 2019-01-09 2021-10-29 海日汗 一种牲畜防寒衣
CN110663577A (zh) * 2019-10-30 2020-01-10 广东多尼斯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宠物定位器
CN111991116A (zh) * 2020-07-27 2020-11-27 三明学院 一种便携式宠物雾化器
CN112119935A (zh) * 2020-10-27 2020-12-25 郭毛孩 一种宠物狗牵引绳
CN113678749A (zh) * 2021-08-12 2021-11-23 曹宇鹏 应用于可驯化生物体的远程遥感指挥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3475424B (zh) * 2021-08-12 2022-11-25 英华达(南京)科技有限公司 宠物穿戴控制系统及宠物穿戴装置
CN113455423A (zh) * 2021-08-23 2021-10-01 台州市爱信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遛宠物的机器
CN114365705A (zh) * 2022-02-22 2022-04-19 卢辉 一种无绳遛狗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148A (ko) 2014-12-08 2016-06-16 은기전자 주식회사 동물 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9633A (en) * 1998-12-21 2000-09-19 Stunmuzzle, Llc. Remotely releasable dog muzzle
JP2004065219A (ja) * 2002-08-02 2004-03-04 Kenichi Fujii 動物用運動制御装置
US8015947B2 (en) * 2009-03-31 2011-09-13 Santiago Jim Arreola Animal harness
KR101334994B1 (ko) * 2010-11-30 2013-12-05 (주)신성테크 동물의 위치 이탈 제어장치
NO20130259A1 (no) * 2012-10-17 2014-02-03 Frode Eldevik Trådløs anordning for påvirkning av løpegang for firbeinte dyr, spesielt hund
CN104322389B (zh) * 2014-09-15 2016-06-29 浙江科技学院 一种防止宠物狗咬人的装置
CN105875429B (zh) * 2016-06-21 2019-10-25 贵阳伏能科技有限公司 一种能使动物行动受限的限制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148A (ko) 2014-12-08 2016-06-16 은기전자 주식회사 동물 훈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4759A (ko) * 2019-11-26 2021-06-03 곽상훈 반려동물의 제어 장착기구
KR102538784B1 (ko) * 2022-07-11 2023-06-02 김영욱 사물인터넷 기반의 반려견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38089A (zh) 2018-07-31
WO2018139779A1 (ko)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6923A (ko) 애완동물 무선 제어장치
KR20180092161A (ko) 애완동물용 제어장치
US20230380383A1 (en) Animal wearabl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EP3033986B1 (en) Controlling equipment and system of capsule endoscope
KR101981768B1 (ko) 착탈식 핑거 버튼을 구비한 동물 훈련 송신기
KR101334994B1 (ko) 동물의 위치 이탈 제어장치
JP2012509104A5 (ko)
US20110232584A1 (en) Animal Control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Animal Control Devices
SG112957A1 (en) Fishing data display device
KR20170085441A (ko) 예를 들어 전립선 초음파 검사의 실시에서 이용하기 위한, 경직장 탐침의 로봇-보조식 제어를 위한 시스템
KR102214408B1 (ko) 반려동물용 원격 통제장치
KR102462484B1 (ko) 전동 릴
KR20190071151A (ko) 애완동물의 무선 제어를 위한 장치
CA2952011A1 (en) Retractable leash with end-of-leash warning
KR20170016598A (ko)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KR20190012710A (ko) Led 표시등이 부착된 리드 줄이 없는 애완동물용 목줄
KR20180074643A (ko)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KR101839367B1 (ko) 리드 줄이 없는 애완동물용 목줄
KR20170072860A (ko) 반려동물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장착기구
TW201717865A (zh) 穿戴式人體周圍物件距離偵測輔具
JP6606326B2 (ja) 電動リールシステム
ATE518799T1 (de) Elektrisches hubwerk mit verbesserter funktionalität
JP4448457B2 (ja) 感覚代行装置
JP2016106568A5 (ko)
KR20210064759A (ko) 반려동물의 제어 장착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