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077B1 -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조성된 경옥고 - Google Patents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조성된 경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077B1
KR102462077B1 KR1020190179708A KR20190179708A KR102462077B1 KR 102462077 B1 KR102462077 B1 KR 102462077B1 KR 1020190179708 A KR1020190179708 A KR 1020190179708A KR 20190179708 A KR20190179708 A KR 20190179708A KR 102462077 B1 KR102462077 B1 KR 102462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e
weight
red ginseng
black re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034A (ko
Inventor
임이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안당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안당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안당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179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0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51Concen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홍삼 농축액을 가미하여 피로회복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고, 음용이 용이하게 맛과 향에 대한 기호성을 향상시킨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에 관한 것으로, 경옥고 전체 100 중량%에 대해 16 중량%의 흑홍삼 농축액, 3 중량%의 인삼분말, 10 중량%의 생지황즙, 12 중량%의 도라지 농축액, 1 중량%의 생강 농축액, 1 중량%의 계피 농축액, 0.5 중량%의 영지 농축액, 0.5 중량%의 피쉬콜라겐, 5 중량%의 더덕 농축액, 3 중량%의 복령분말, 20중량%의 과일 농축액, 25 중량%의 덱스트린 및 3 중량%의 꿀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과일 농축액은 모과 및 배를 포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흑홍삼이 가미된 경옥고를 통해 우수한 면역력 증진 및 피로회복 효과를 가져 현대인에게 필요한 건강음식이 되고, 기존의 경옥고가 가지는 다량의 꿀함량 및 생지황즙으로 인한 과당섭취, 소화불량문제 등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Description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조성된 경옥고{A COMPOSITION OF KYOUNG-OK-KO, THE KYOUNG-OK-KO WITH BALCK RED GINSENG CONCENTRATE, AND THE KYOUNG-OK-KO COMPOSITE BY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흑홍삼 농축액을 가미하여 피로회복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고, 음용이 용이하게 맛과 향에 대한 기호성을 향상시킨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에 관한 것으로, 경옥고 전체 100 중량%에 대해 16 중량%의 흑홍삼 농축액, 3 중량%의 인삼분말, 10 중량%의 생지황즙, 12 중량%의 도라지 농축액, 1 중량%의 생강 농축액, 1 중량%의 계피 농축액, 0.5 중량%의 영지 농축액, 0.5 중량%의 피쉬콜라겐, 5 중량%의 더덕 농축액, 3 중량%의 복령분말, 20중량%의 과일 농축액, 25 중량%의 덱스트린 및 3 중량%의 꿀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과일 농축액은 모과 및 배를 포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흑홍삼이 가미된 경옥고를 통해 우수한 면역력 증진 및 피로회복 효과를 가져 현대인에게 필요한 건강음식이 되고, 기존의 경옥고가 가지는 다량의 꿀함량 및 생지황즙으로 인한 과당섭취, 소화불량문제 등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최근 현대인들은 산업의 고도화로 인한 스트레스를 통해 신체적 및 정신적인 피로가 커지고 있으며, 이로인한 고령화 사회와 생활건강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각종 피로회복제, 비타민, 자양강장제 등을 복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약물들을 다양하게 섭취하게 되면서 오히려 약물 남용으로 인한 건강을 해칠 우려가 매우 크다.
또한,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각종 성인병에 대한 질병과 이에 대한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쉽게 섭취할 수 있으며, 기능성이 뛰어난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섭취가 용이하며 기능성이 뛰어난 건강기능성 식품과 관련되어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경옥고(瓊玉膏)가 존재한다.
경옥고는 동의보감에서 정(精)과 수(髓)를 보충하고 원기를 북돋우며 혈액을 풍부하게 하여 늙는 것을 막고 몸을 튼튼하게 하며 허로(虛勞)로 머리털이 일찍 희어지고 이가 흔들리며 쉽게 피곤해지는 데 쓰인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보약으로도 사용되어 피로회복 및 운동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피부노화방지 효과, 기억력 및 치매 개선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옥고를 섭취자가 원하는 양을 온수 또는 냉수에 직접 타서 희석된 음료를 마시는 것으로, 음용이 간단하고 기능성은 향상된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다.
한편, 흑홍삼은 인삼 및 홍삼에 비해 사포닌이 다량으로 함유된 것으로 인삼을 증숙하거나 또는 아홉차례 찌고 건조시키는 구증구포(九蒸九曝)의 원리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다량으로 함유된 사포닌 성분에 의해 면역력 증진, 피로회복효과, 항스트레스 효과, 항암효과, 간보호 효과, 항산화효과, 항불안효과, 뇌기능개선 효과, 항당뇨 효과, C형 간염억제효과, 신생혈관억제효과, 혈관이완작용 및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등의 다양한 효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된 우수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흑홍삼이 가미된 경옥고는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의 경옥고의 경우 생지황, 인삼, 백복령 및 벌꿀이 주성분(主成分)으로 생지황 및 인삼의 쓴맛을 줄이고, 점도를 높이기 위하여 벌꿀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당뇨문제를 가지고 있는 고령의 어르신이 복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존재하며, 가장 많이 함유되는 생지황즙의 경우 다량 복용시 소화기능이 부진한 섭취자에게는 약간의 소화불량이 따른다는 문제점 또한 가지고 있다.
따라서, 흑홍삼이 가미될 수 있고, 쉽게 소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꿀의 함량을 낮추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성분이 포함된 경옥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44590호 (2018.04.02.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5187호 (2017.04.10.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흑홍삼 농축액을 가미하여 피로회복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고, 음용이 용이하게 맛과 향에 대한 기호성을 향상시킨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꿀 함량이 높은 기존의 경옥고로 인한 과당섭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꿀 함량을 낮추고 꿀의 단맛을 대체할 수 있는 과일농축액을 포함하여 맛에 대한 기호도를 높임과 동시에 경옥고 특유의 이취를 잡아줄 수 있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경옥고에 포함되는 생지황즙 섭취로 인한 소화불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화에 도움이 되는 도라지, 생강, 계피, 영지, 모과 및 배의 농축액을 포함함으로써 경옥고의 소화를 돕고, 변비예방에 도움이 되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에 있어서,
경옥고 원료 전체 100 중량%에 대해 16 중량%의 흑홍삼 농축액, 3 중량%의 인삼분말, 10 중량%의 생지황즙, 12 중량%의 도라지 농축액, 1 중량%의 생강 농축액, 1 중량%의 계피 농축액, 0.5 중량%의 영지 농축액, 0.5 중량%의 피쉬콜라겐, 5 중량%의 더덕 농축액, 3 중량%의 복령분말, 20중량%의 과일 농축액, 25 중량%의 덱스트린 및 3 중량%의 꿀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과일 농축액은 모과 및 배를 포함한다.
또한, 과일 농축액은 모과 농축액 및 배 농축액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과 농축액 및 배 농축액의 혼합비는 1:1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는 흑홍삼 농축액을 가미함으로써 피로회복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고, 음용이 용이하게 맛과 향에 대한 기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꿀 함량을 낮추고 꿀의 단맛을 대체할 수 있는 과일농축액을 포함함으로써 꿀 함량이 높은 기존의 경옥고로 인한 과당섭취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맛에 대한 기호도를 높임과 동시에 경옥고 특유의 이취가 저감된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경옥고에 소화에 도움이 되는 도라지, 생강, 계피, 영지, 모과 및 배의 농축액을 포함함으로써 생지황즙 섭취로 인한 소화불량 문제를 해결하고, 변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인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흑홍삼 농축액을 가미하여 피로회복과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고, 음용이 용이하게 맛과 향에 대한 기호성을 향상시킨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경옥고는 전체 100 중량%에 대해 16 중량%의 흑홍삼 농축액, 3 중량%의 인삼분말, 10 중량%의 생지황즙, 12 중량%의 도라지 농축액, 1 중량%의 생강 농축액, 1 중량%의 계피 농축액, 0.5 중량%의 영지 농축액, 0.5 중량%의 피쉬콜라겐, 5 중량%의 더덕 농축액, 3 중량%의 복령분말, 20중량%의 과일 농축액, 25 중량%의 덱스트린 및 3 중량%의 꿀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상기 과일 농축액은 모과 및 배를 포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경옥고 원료 전체 100 중량%에 16 중량%를 차지하는 흑홍삼 농축액은 상술된 바와 같이 다량의 사포닌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장 점막에 접촉하는 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나쁜 물질에 흡착하여 독성을 저하시키며, 장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주기 때문에 생지황즙의 기침을 멈추는 효과를 가지며, 가래를 삭혀주고 목감기에 효능이 있다.
또한, 면역력 증진, 피로회복효과, 기억력 개선, 항스트레스 효과, 항암효과, 간보호 효과, 항산화효과, 항불안효과, 뇌기능개선 효과, 항당뇨 효과, C형 간염억제효과, 신생혈관억제효과, 혈관이완작용 및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등의 다양한 효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흑홍삼 농축액이 포함된 본 발명에 따른 경옥고는 생지황취즙 및 인삼을 주 성분으로 하는 기존의 경옥고에 비해 사포닌, 진세노사이드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흡수율을 높임으로써 섭취자에게 이로운 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섭취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흑홍삼 농축액의 효능은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숙취개선 등의 효과를 갖는 건강제품을 경옥고의 형태로 소비자들에게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기존의 경옥고에 비해 높은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등의 이로운 성분을 섭취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삼은 손질 및 세척 후 물기가 충분히 제거된 인삼을 분말형태로 빻아 다른 경옥고 원료들과 혼합한다.
이러한 인삼은 항산화 효과가 있어 노화방지 및 혈압을 안정화시켜주고, 흑홍삼 농축액과 마찬가지로 사포닌 성분이 포함되어 면역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진세노이드 성분으로 인해 질환, 감기, 독감 등을 예방하고, 무기질, 칼슘, 비타민 등이 포함되어 당뇨에 필요한 인슐린 분비를 도울 수 있으며, 적혈구 생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 빈혈 환자에게도 이롭다.
또한, 인삼은 경옥고에 필소 원료 중 하나로, 양기를 보충해주고 소화능력을 키워주며, 생지황즙의 정혈 효능을 보충해주는 보조적 역할을 담당한다.
생지황은 신선한 지황의 뿌리로, 뿌리를 손질 및 세척하여 이를 즙으로 짜 경옥고 원료로 사용한다. 이러한 생지황즙은 혈당강하 및 면역증강 효과를 가지며, 부정출혈을 멈추고, 어혈을 없애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며, 해독작용효과를 가져 반진이나 부은 목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 또한 보유한다.
한편, 생지황즙은 기존의 경옥고에도 포함되는 원료 중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나 본 발명에서는 덱스트린 및 과일농축액을 제외한 경옥고 원료 중 흑홍삼 농축액이 주 원료가 되며, 생지황즙의 원료 구성 비율은 낮아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경옥고 원료 중 흑홍삼 농축액의 비율과 생지황즙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흑홍삼 농축액 특유의 쓴향과 쓴맛이 섭취자의 기호에 영향이 가지 않되, 경옥고 원료 중 주성분을 이루되, 섭취자의 향과 맛 기호도가 향상되며, 흑홍삼의 쓴 향이 과하지 않은 경옥고를 얻기위해 아래와 같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먼저, 아래의 표 1과 같은 실시예 1-1 내지 1-9는 경옥고 전체 원료를 100 중량%로 했을 때, 흑홍삼농축액 및 생지황즙은 26 중량%를 차지하고, 흑홍삼농축액 및 생지황즙의 중량%를 달리하여 실시예들을 제조하였으며, 나머지 74 중량%는 상술된 원료 구성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반면, 흑홍삼 농축액이 26 중량% 중 최소 절반 이상을 포함하여야 흑홍삼 농축액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생지황즙은 최소 5 중량%를 차지하여야 생지황즙 농축액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어 이와 같이 실시예를 최소치를 한정하였음을 미리 밝힌다.
관능평가방법은 각 실시예들에 대하여 50명의 패널을 통해 2회 반복 실시하였고, 5점 평가법(5:아주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아주나쁨)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흑홍삼 농축액 13 14 15 16 17 18 19 20 21
생지황즙 13 12 11 10 9 8 7 6 5
3.86 3.82 3.83 3.83 3.51 3.54 3.50 3.43 3.38
4.45 4.41 4.41 4.38 3.87 3.85 3.78 3.54 3.39
쓴맛의 강도 4.30 4.25 4.23 4.23 3.52 3.01 2.89 2.70 2.52
위의 실시예들 중 흑홍삼농축액 및 생지황즙의 중량%가 각각 16 중량%, 10 중량%인 실시예 1-4에서 홍삼농축액 및 생지황즙의 중량%가 각각 17 중량%, 9 중량%인 실시예 1-5로 변화시 맛, 향, 쓴맛의 강도에 대한 패널들의 선호도가 급격하게 줄어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흑홍삼농축액이 18 중량% 이상일 경우 흑홍삼 특유의 쓴맛이 강하게 느껴진다는 의견이 많아졌으며, 이로 인해 쓴맛의 강도에 의한 경옥고의 기호도 또한 저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맛, 향 및 쓴맛의 강도에 대한 기호도가 높되, 흑홍삼 농축액이 경옥고 원료 전체 중량% 중 가장 많이 차지하는 16 중량%로 설정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라지는 사포닌 성분이 함유되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장 점막에 접촉하는 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나쁜 물질에 흡착하여 독성을 저하시키며, 장의 활동을 활발하게 해주기 때문에 생지황즙의 부작용 중 하나인 소화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기침을 멈추는 효과를 가지며, 가래를 삭혀주고 목감기에 효능이 있다.
생강은 생강에 들어있는 디아스타아제와 단백질 분해효소를 통해 소화액의 분비를 자극하고, 구역질과 설사를 치료하는 작용을 하며, 생강의 진저롤과 쇼가올은 각종 병원성 균, 특히 티푸스균 및 콜레라균 등에 강한 살균작용을 가져 섭취자의 건강에 도움을 준다.
계피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소화기 계통과 자궁을 따뜻하게 해주어 생리불순이나 생리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소화기 질환을 치유하며, 시나믹산 및 정유를 포함하여 향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계피를 통해 경옥고의 이취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영지는 중추신경계통에 작용하여 진통효과가 뛰어나며, 진해, 거담, 천식 등과 같은 호흡기계통의 질환에 효과가 있고, 특히 기관지점막 상피의 재생력을 촉진시켜준다. 또한, 혈관 내 콜레스트롤 함량을 줄여주며, 혈압강하작용도 가지고 있으며, 간의 해독작용을 도와 간기능을 강화시키고 간 관련 질환 또한 예방이 가능하고, 장운동 또한 활발히 시켜 변비예방에 탁월하고 노폐물 배출 효과 또한 가진다.
더덕은 강장, 해열, 거담, 해독 최유(催乳), 배농, 소종(消腫) 등의 효능이 있으며, 기침, 인후염, 폐농양, 임파선염, 유선염, 종기 등과 같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상술된 도라지, 생강, 계피, 영지, 더덕은 각각 재료에서 엑기스를 추출한 농축액을 이용함으로써 더욱 효과를 증대하도록 한다.
복령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잔나비걸상과의 복령(Poria cocos Wolf)의 균핵으로 바깥층을 거의 제거하여 만든 약재이다. 이러한 복령은 소변을 못보고 배와 전신의 부정, 담음으로 해수, 구토, 설사 등이 있을 때와, 신경과민에 의한 건망증, 유정에 쓰이며 심장부종에도 효과가 있어 사용된다.
복령의 약리작용으로는 이뇨, 억균작용, 장관이완작용, 궤양예방효과, 혈당강하작용, 심장수축력 증가, 면역증강작용, 항종양작용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복령의 껍질을 제거하고 세척한 뒤 이를 분말로 만들어 다른 경옥고 원료와 혼합한다.
꿀은 예로부터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 "벌꿀은 오장육부를 편안하게 하고 기운을 돋우며, 비위를 보강하고 아픈것을 멎게하며 독을 풀 뿐만 아니라, 온갖 약을 조화시키고 입이 헌 것을 치료하며 귀와 눈을 밝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꿀에는 미네랄 및 비타민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피로 회복에 좋으며, 노화를 방지하고, 정력을 돋우는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성분 또한 다량으로 함유되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꿀은 한번 가열하여 찌꺼기를 제거한 꿀을 사용하도록 한다.
한편, 꿀은 당뇨환자는 주의하며 섭취해야되고, 과다섭취시 비만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나 기존의 경옥고의 경우 대부분 꿀의 함량이 높고, 꿀을 통해 점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꿀로 인한 과당섭취의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덱스트린을 이용하고, 꿀을 대체하여 단맛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맛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과일농축액을 경옥고 원료로 구성하도록 한다.
덱스트린(Dextriin)은 녹말보다 분자량이 작은 다당류를 총칭하는 다양한 가수분해 부산물로, 본 발명은 덱스트린을 통해 꿀의 함량을 줄여 섭취시 혈당 상승을 줄일 수 있고, 경옥고 원료로 포함되는 양을 조절함으로써 경옥고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덱스트린은 25 중량%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점도가 너무 높아 기타 재료들의 혼합이 균일하지 못하며, 온도가 낮은 물에 희석시키 어렵다는 문제가 있으며, 25 중량% 미만일 경우 점도가 너무 낮아 경옥고가 충분한 점도를 가지지 못한다.
과일농축액은 꿀을 대체하여 단맛을 내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의 과일농축액은 다양한 과일 중 맛과 향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섭취자의 피로회복 및 소화를 돕기위하여 본 출원인은 모과 및 배를 선정하여 포함하였고, 각각 모과 농축액과 배 농축액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모과는 신맛이 강하고, 향기가 강한 열매로, 기침과 천식에 이로우며, 유기산이 많아 신진대사를 도와 소화효소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위를 편안하게 하고, 풍부한 비타민 C와 탄닌성분을 통해 피로회복에도 큰 효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모과농축액을 이용함으로써 경옥고의 쓴 맛을 줄여주고, 향을 통하여 경옥고 특유의 강하고 쓴 향을 줄일 수 있다.
배의 경우는 칼로리가 낮아 비만인 사람에게도 좋으며, 사과산, 주석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과 비타민 B 및 C, 섬유소 등이 들어있으며, 연육효소가 들어있어 소화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기관지 질환에 효과가 있어 감기, 해소, 천식 등에 좋으며, 가래와 기침을 없애고, 배가 차고 아플 때 증상을 완화해 주며, 종기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배에 많이 들어 있는 펙틴은 혈중 콜레스트롤 수치를 낮춰주고, 수분 부족으로 변비가 생겼을 때 변을 부드럽게 하여 변비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의 농축액을 혼합함으로써 배의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모과 농축액과 배 농축액의 혼합되어 경옥고 전체 100 중량%에서 20 중량%를 차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모과농축액과 배 농축액의 배합비에 따라 모과 특유의 향이 강하게 나거나 모과농축액 함량이 적을 경우 경옥고 특유의 이취를 저감시키기 어려울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과일농축액 혼합물의 최적의 배합비를 도출하여 경옥고 특유의 이취 문제를 해결하고, 섭취자의 향과 맛 선호도가 향상된 경옥고를 얻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아래와 같은 실시예 2-1 내지 2-9는 경옥고 전체 원료를 100 중량%로 했을 때, 과일농축액 혼합물을 20 중량%로 설정하되, 모과농축액 및 배농축액의 배합비를 100%기준으로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실시예들을 제조하였고, 나머지 80 중량%는 상술된 원료 구성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관능평가 방법은 각 실시예에 대해 30명의 패널을 통해 2회 반복 실시하였고, 5점 평가법(5:아주좋음, 4:좋음, 3:보통, 2:나쁨, 1:아주나쁨)을 사용하여 나타내었다.
항목 실시예
2-1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실시예
2-6
실시예
2-7
실시예
2-8
실시예
2-9
과일
농축액
모과(%) 90 80 70 60 50 40 30 20 10
배(%) 10 20 30 40 50 60 70 80 90
3.75 4.15 4.28 4.37 4.40 4.13 3.25 2.48 2.05
3.22 3.35 3.42 4.16 4.30 4.31 4.35 4.02 3.89
쓴맛의 강도 1.59 2.01 3.57 4.06 4.28 4.32 4.36 4.35 4.41
위의 표 2와 같이 실시예들 중 모과의 함량이 높을수록 향은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실시예 2-1의 경우 오히려 과한 모과향으로 인해 향에 대한 평가가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맛과 쓴맛의 강도에 대한 기호도가 점차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들 중 배의 함량이 높을 수록 단맛이 강해져 맛 항목에서는 대체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경옥고 특유의 이취를 잡아줄 수 없어 향 항목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배 농축액 함량이 높은 실시예 2-8 및 2-9는 과한 단맛에 의해 오히려 맛 항목의 점수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체 항목에 대해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실시예 2-5에 따른 모과 농축액 및 배 농축액의 혼합비를 통해 향과 맛에 대한 기호도를 높이고, 쓴맛의 강도는 줄일 수 있다.
상술된 원료에 있어서,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의 원료를 항아리의 입구에 밀봉한 후 중탕기에 넣고 중탕하여 경옥고를 만들게 된다.
중탕은 1차 중탕(3일, 72시간)을 90 ~ 98℃에 수행하고, 이를 1일간 1차 냉각을 15 ~ 20℃에 수행한다. 이후 2차 중탕을 동일한 온도에 1일간 수행하며, 2차 냉각 또한 1차 냉각과 동일한 조건으로 진행하여 경옥고를 생성하고, 상술된 중탕 및 냉각 온도보다 높을 경우 경옥고 내 유효성분이 열에 의해 파괴될 수 있으며, 낮은 온도로 수행될 경우 유효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기 어렵다.
상술된 방법과 같이 1,2차 중탕 및 냉각을 거친 경옥고는 물기가 없어지면서 엿과 같은 점도로 걸쭉하게 제작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경옥고는 티스푼으로 1회 내지 2회(약 3 ~ 6g)씩 음용수에 희석시켜 섭취하도록 한다.
상술된 원료 중, 상기 흑홍삼 농축액은 다음의 과정으로 제조된다.
먼저, 흑홍삼의 이물질을 선별하고 제거하여 흑홍삼과 정제수를 80 ~ 85℃의 온도에서 4일단 2회 반복추출을 통해 흑홍삼액을 추출하도록 한다.
그리고 추출된 흑홍삼액을 여과 필터를 통해 불순물을 제거한 뒤, 여과된 흑홍삼액을 30 ~ 39℃의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발효하도록 한다.
이후, 발효된 흑홍삼액을 농축기에 80~ 85℃의 농축 강압가열을 통해 살균 농축을 수행하고, 농축된 흑홍삼농축액을 고형분의 함량에 도달하도록 확인 검사하여 흑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명칭을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으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과당섭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꿀 함량을 낮추고 꿀의 단맛을 대체할 수 있는 과일농축액을 포함하여 기호를 높이고,
    생지황즙의 섭취로 인한 소화불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화에 도움이 되는 도라지, 생강, 계피 및 영지의 농축액을 포함하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해 16 중량%의 흑홍삼 농축액, 3 중량%의 인삼분말, 10 중량%의 생지황즙, 12 중량%의 도라지 농축액, 1 중량%의 생강 농축액, 1 중량%의 계피 농축액, 0.5 중량%의 영지 농축액, 0.5 중량%의 피쉬콜라겐, 5 중량%의 더덕 농축액, 3 중량%의 복령분말, 20중량%의 과일 농축액, 25 중량%의 덱스트린 및 3 중량%의 꿀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일 농축액은 모과 농축액 및 배 농축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과일 농축액은 중량을 기준으로, 모과 농축액 및 배 농축액을 1:1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5. 청구항 1, 3 및 4 중 선택된 어느 한항에 기재된 조성물로 조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KR1020190179708A 2019-12-31 2019-12-31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조성된 경옥고 KR102462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708A KR102462077B1 (ko) 2019-12-31 2019-12-31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조성된 경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708A KR102462077B1 (ko) 2019-12-31 2019-12-31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조성된 경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034A KR20210086034A (ko) 2021-07-08
KR102462077B1 true KR102462077B1 (ko) 2022-11-03

Family

ID=76893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708A KR102462077B1 (ko) 2019-12-31 2019-12-31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조성된 경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07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309B1 (ko) * 2010-04-08 2011-08-29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경옥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187B1 (ko) 2015-04-07 2017-04-10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옥고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경옥고
KR101844590B1 (ko) 2016-07-26 2018-04-02 류태경 경옥고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309B1 (ko) * 2010-04-08 2011-08-29 충청대학 산학협력단 대추 경옥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매일 챙겨먹는 건강식품 홍삼도라지’(2019.07.02.)*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배도라지청 목생보’(2019.01.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034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02687888B (zh) 一种酸枣仁饮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539864B1 (ko) 숙취해소 음료
CN107149068A (zh) 一种蜂蜜醒酒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716007A (zh) 一种肉桂生姜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05341588A (zh) 一种解酒护肝、保胃、清热润肺饮品及其制备方法
KR101202988B1 (ko) 건강 약차 및 그 제조방법
CN111149968A (zh) 一种健康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2267801B1 (ko) 쌍화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755728B1 (ko) 천식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52902B1 (ko) 한약재 토종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0912122B1 (ko) 홍삼 장어 엑기스 조성물
KR100773889B1 (ko) 액상본초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62077B1 (ko) 흑홍삼 농축액이 가미된 경옥고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로 조성된 경옥고
KR20120008263A (ko) 천년초 선인장 액상 음료의 제조방법
CN104473283B (zh) 一种玫瑰姜醋饮料及其制备方法
CN106616099A (zh) 一种可提高小儿食欲的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CN112690380A (zh) 一种椰子汁饮料
CN103750425A (zh) 一种高丽红参罗汉果汤的制备方法
CN109717437A (zh) 一种解酒复合蜂蜜膏及其制备方法
CN106165798A (zh) 一种清热解毒保健饮料及制备加工方法
CN115399393A (zh) 一种清心茶及其制备方法
KR20230112354A (ko) 건강 보조식품 제조방법
CN114304455A (zh) 一种适口性好的藻类与植物复合功能特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