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680B1 -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 Google Patents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680B1
KR102461680B1 KR1020200145697A KR20200145697A KR102461680B1 KR 102461680 B1 KR102461680 B1 KR 102461680B1 KR 1020200145697 A KR1020200145697 A KR 1020200145697A KR 20200145697 A KR20200145697 A KR 20200145697A KR 102461680 B1 KR102461680 B1 KR 102461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recycled plastic
plate
plastic plate
recyc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0120A (ko
Inventor
이태수
Original Assignee
이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수 filed Critical 이태수
Priority to KR102020014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6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0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0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10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합판에 관한 것으로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플라스틱 중 활용 가능한 것을 선별한 다음, 선별된 플라스틱을 가는 분말 형태나 ?? 형태로 분쇄한 후 이를 성형틀에 넣고 고온·고압으로 압착하여 평평한 사각형 형태의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얻고, 이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주재료로 하여 상·하면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상·하면에 목재 단판으로 된 상판과 하판을 각각 접착하여 된 합판으로 값비싼 목재의 사용량을 재생플라스틱으로 대체하여 줄일 수 있고, 재생플라스틱 판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적정한 합판의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재생플라스틱을 내심재로 사용함으로써 신선한 플라스틱과 달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흔히 쓰레기로 폐기 소각되는 폐 플라스틱을 합판의 주 재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폐자원의 재활용과 환경공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Plywood which have recycled plastic board}
벽체나 천정재 등 건축재로 사용되는 합판의 제조 기술
본 발명은 합판에 관한 것으로 종래 라왕 등 활엽수재나 각종 침엽수재를 얇게 절삭하여서 된 단판을 여러 층으로 접착 및 압착하여 합판을 만들기도 하였으며, 목재 합판이 아닌 건축재로는 2장의 철판 사이에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을 충진한 우레탄폼 판재와 스티로폼 판재가 각종 벽재나 천정재 등 건축용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 목재 합판의 경우 비교적 넓은 크기의 목재 단판을 여러 층으로 접착해야 충분한 압축강도나 휨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결함이 있고 값비싼 목재의 사용량이 많았으므로 여러 장의 단판을 층적하는 대신 합판의 내심재를 한 번 사용 후 폐기되는 플라스틱을 재생하여 만든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주재료로 사용함으로써 값비싼 목재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더 큰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는 플라스틱을 사용 후 대부분 폐기 매립하거나, 소각, 열에너지로 이용하는 대신 재생하여 합판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폐기되는 플라스틱의 효과적 재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목재 합판이 아닌 건축재로는 2장의 철판 사이에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을 충진하여 벽재나 천정재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화재가 발생하여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에 불이 붙게 되면 순식간에 걷잡을 수 없이 빠른 속도로 화재가 번지기 때문에 큰 화재를 야기하는 위험성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종래의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 판재보다 내부에 견고하고 인화성이 적은 재생플라스틱판을 내재시켜 화재 발생 시에도 연속 발화의 속도를 크게 줄이고자 안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목재 합판과 달리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플라스틱을 선별하여 작은 알갱이나 칩 형태로 가공한 후 이를 성형틀에 넣고 고온, 고압으로 압착하여 평평한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만든 후 이 재생플라스틱 판재의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재생플라스틱 판재와 같은 크기의 목재 단판을 각각 접착하여 합판을 제조케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합판의 효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합판은 목재로 된 단판을 여러 겹으로 층적 해야만 충분한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얻을 수 있었던 종래의 합판과 달리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플라스틱을 선별, 가공하여 재생플라스틱 판재(2)를 만든 후 이 재생플라스틱 판재(2)를 주재료로 하여 상·하면에 각각 접착제(3), (3 ')를 도포하고 그 상·하면에 목재 단판으로 된 상판(3)과 하판(4)를 각각 접착시켜서 된 것이기 때문에 주재료인 재생플라스틱 판재(2)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여러 층의 목재 단판을 접착시키지 않고도 충분한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얻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내심재로 사용되는 재생플라스틱 판재(2)는 신선한 플라스틱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재생프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폐기되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공해 발생과 환경오염을 현저히 줄이고, 재생플라스틱을 고부가 가치의 합판으로 제조할 수 있어서 경제적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 2장의 철판 사이에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을 충진하여 벽재나 천정재 등으로 사용하던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 판재보다 내부에 견고하고 인화성이 적은 재생플라스틱 판재가 내재되어 있어서 화재 발생 시에도 연속 발화의 속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부를 절결하여 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A A'선 단면도
색인어
재생플라스틱 판재, 접착제, 상판, 하판
본 발명의 합판은 종래 여러 장의 많은 목재 단판을 접착해야만 충분한 압축강도나 휨강도를 얻을 수 있었던 목재 합판과 달리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하여 합판을 제조함으로써 값비싼 목재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더 큰 압축강도와 휨강도를 얻을 수 있고, 2장의 철판 사이에 우레탄폼이나 스티로폼을 충진하여 만든 종래의 우레탄폼 판재나 스티로폼 판재와 달리 내부에 견고하고 내연성이 강한 재생플라스틱 판재가 내장되어 있어서 화재 발생 시 내연성이 강한 판재를 얻을 수 있으며, 매일 막대한 양으로 쏟아져 나오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재생플라스틱으로 합판을 제조함으로써 폐기물의 재활용과 환경공해를 막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을 첨부 도면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부를 절결하여 본 사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A 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플라스틱 중 활용 가능한 것을 선별한 다음, 선별된 플라스틱을 가는 분말 형태나 칩 형태로 분쇄한 후 이를 성형틀에 넣고 고온·고압으로 압착하여 평평한 사각형 형태의 재생플라스틱 판재(1)를 얻는다. 이 평평한 재생플라스틱 판재(1)를 주재료로 하여 상·하면에 각각 접착제(2),(2 ')를 도포한 후 그 상면에 목재 단판으로 된 상판(3)과 하면에 하판(4)을 각각 접착하여 합판을 제작케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의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은 벽재나 천정재, 마루판 등 각종 건축 자재로 활용될 수 있다.
1 : 재생플라스틱 판재 2 및 2 ': 접착제 3: 상판 4: 하판

Claims (4)

  1. 목재로 된 단판을 내심재의 양 표면에 접착하여서 된 합판에 있어서,
    평평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재생플라스틱 판재;
    상기 재생플라스틱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도포되는 접착제;
    상기 재생플라스틱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상기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고, 목재 단판으로 이루어진 상판 및 하판을 포함하고,
    상기 재생플라스틱 판재의 두께는 합판의 압축강도와 휨강도에 따라 조절되고,
    상기 재생플라스틱 판재는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플라스틱 중 활용 가능한 것을 선별하여 이루어지는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2. 삭제
  3. 삭제
  4. 목재로 된 단판을 내심재의 양 표면에 접착하여서 된 합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플라스틱 중 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상기 플라스틱을 분말 형태나 칩 형태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말 형태나 칩 형태의 플라스틱을 성형틀에 넣고 고온·고압으로 압착하여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재생플라스틱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로 도포된 상기 재생플라스틱 판재의 상면과 하면에 목재 단판으로 된 상판과 하판을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플라스틱 판재의 두께는 합판의 압축강도와 휨강도에 따라 조절되고,
    상기 재생플라스틱 판재는 평평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의 제조방법.
KR1020200145697A 2020-11-03 2020-11-03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KR102461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97A KR102461680B1 (ko) 2020-11-03 2020-11-03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697A KR102461680B1 (ko) 2020-11-03 2020-11-03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120A KR20220060120A (ko) 2022-05-11
KR102461680B1 true KR102461680B1 (ko) 2022-11-02

Family

ID=8160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697A KR102461680B1 (ko) 2020-11-03 2020-11-03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6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492A (ja) * 2000-06-05 2001-12-21 Sanyo Electric Co Ltd 廃棄物等を利用した積層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8300A (ja) 2014-09-29 2016-05-09 株式会社KbボードプラスF 複合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0353A (ja) * 1996-05-16 1997-11-25 Kamitsukuri Miyoko 廃プラスチック再生装置
KR100743153B1 (ko) * 2006-03-14 2007-07-27 (주)녹산팀버 재활용 합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9492A (ja) * 2000-06-05 2001-12-21 Sanyo Electric Co Ltd 廃棄物等を利用した積層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8300A (ja) 2014-09-29 2016-05-09 株式会社KbボードプラスF 複合板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0120A (ko) 2022-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92200C (zh) 一种炭化木复合地板及其制造方法
US20130084432A1 (en) Method of making multi-ply door core, multi-ply door core, and door manufactured therewith
CN102085677B (zh) 废旧胶合板水泥模板生产木质复合材料的新工艺
JPH0239383B2 (ko)
CN102294713A (zh) 立式重组热压胶合板及其生产方法
CN103231425A (zh) 一种大规格重组复合结构材及其制造方法
CN104084997A (zh) 连续成型复合结构材及其制造方法
KR102461680B1 (ko) 재생플라스틱 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CN203331157U (zh) 一种夹芯结构竹木复合重组结构材
KR20040077099A (ko) 고압 멜라민 화장판, 내수합판 및 방음기능층이 적층된이면 홈가공 강화마루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978625B1 (ko) 마루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CN203293317U (zh) 一种用重组竹制造的斜接结构材
CN100357075C (zh) 一种胶合板的制造方法
KR102072116B1 (ko) 친환경 고강도 천연목재 특수 미장합판 제조방법
KR20080007291A (ko) 선박가구용 강화 마감재
CN1544219A (zh) 以稻草板为芯板的仿细木工板制造方法
RU2618053C2 (ru) Крупноформатная полистирольная панель
KR20220053894A (ko) 격자형 플라스틱판재를 내심재로 한 합판
CN217455178U (zh) 材料板
NL1042771B1 (en) Structural panel and method for providing such a panel
JP3232141U (ja) 床暖房フローリングに対応した床材
JP4181308B2 (ja) 建築用化粧板の製造方法
CN212045166U (zh) 一种采用竹集成材与规格材制备的复合交错层积材
CN206637234U (zh) 一种侧面开槽并以压条拼接的大幅面木塑复合板材
US20240157667A1 (en) Reinforced Honeycomb 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