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664B1 -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664B1
KR102461664B1 KR1020200164989A KR20200164989A KR102461664B1 KR 102461664 B1 KR102461664 B1 KR 102461664B1 KR 1020200164989 A KR1020200164989 A KR 1020200164989A KR 20200164989 A KR20200164989 A KR 20200164989A KR 102461664 B1 KR102461664 B1 KR 102461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container
support tub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140A (ko
Inventor
이향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Priority to KR102020016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6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는, 노즐을 하향으로 누름에 따라 수용된 소독액이 일정양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소독액 용기를 이용한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로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하단에 받침판이 결합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는 전방 및 상향으로 개구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지지관체; 상기 지지관체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발로 밟도록 된 페달; 상기 지지관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소독액 용기가 안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페달에 간섭되어 상기 페달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 후 하강하도록 된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의 상승으로 상기 소독액 용기가 상승할 때 상기 노즐 상면이 지지되는 지지판을 구비하여 하단부가 상기 지지관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용기 지지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페달을 밟음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가 상승하면서 상기 소독액 용기를 상승시켜 상기 노즐이 상기 지지판에 눌리면서 소독액이 토출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HAND STERILIZING APPARATUS OF STAND TYPE}
본 발명은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페달을 밟음에 따라 소독액이 분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손으로 조작함이 없이 손 소독을 할 수 있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창궐로 개인의 위생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손의 청결을 통하여 바이러스 감염을 현져하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손 소독기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손 소독기는 손의 청결을 요구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손에 소독액을 분사하여 손을 소독하도록 된 것으로 자동식과 수동식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수동식은 사용자가 소독액 배출 버튼을 밀거나 레버 등을 이용함으로써 공기의 압력으로 일정량 분사되는 방식인데, 이 방식은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버튼이나 레버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위생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식은 약품이 배출되는 노즐에 손을 접근시키면 센서가 손을 감지하여 약품이 노즐을 통해 자동으로 배출됨으로써 접촉에 의한 감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식은 모든 방식이 회로기판부에 내장된 순서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소독액 분사량의 조절이나, 소독액에 이물질이 섞여있을 경우, 소독액 분사시 분사펌프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분사펌프의 고장이 발생 될 우려가 있었으며, 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지 못하여 열에 의한 잔고장이 빈번하게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형은 반드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4385호(공개일 : 2011.05.04)에는 페달식 손 소독기가 개시되어 있다. 페달식 손 소독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상부 영역에 형성되고, 하부 영역의 중앙을 중심으로 양 외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세정액을 받기 위한 세정액분사공간부와, 상기 케이스 내측 하부에 장착되고, 내부에 세정액이 저장되는 세정액저장탱크와, 상기 케이스의 외측과 세정액분사공간 영역에 구비되어, 세정액 저장탱크 내부의 세정액을 분사시키도록 회동발판을 구비한 액 분사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페달식 손 소독기는 사용자가 회동발판을 밟음에 따라 세정액의 펌핑이 이루어져 노즐로 세정액이 분사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별다른 조작을 하지 않고 발로 회동발판을 밟는 동작만으로 세정액이 분사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페달식 손 소독기는 회동발판을 밟아 하부에 위치한 저장탱크의 세정액을 펌핑하도록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정액을 손에 분사하여 손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회동발판을 여러번 밟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하부에 위치한 세정액을 상부의 노즐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회동발판을 여러번 밟아 공급압력을 형성해야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4385호(공개일 : 2011.05.04)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페달을 밟음에 따라 소독액이 분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손으로 조작함이 없이 손 소독을 할 수 있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린이가 페달을 밟음에 따라 소독액이 분사될 때 소독액이 전방의 사용자, 즉 키가 작은 어린이의 안면으로 분사되지 않도록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독액이 수용된 용기의 크기에 따라 노즐 누름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노즐을 하향으로 누름에 따라 수용된 소독액이 일정양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소독액 용기를 이용한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로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하단에 받침판이 결합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는 전방 및 상향으로 개구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지지관체; 상기 지지관체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발로 밟도록 된 페달; 상기 지지관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소독액 용기가 안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페달에 간섭되어 상기 페달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 후 하강하도록 된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의 상승으로 상기 소독액 용기가 상승할 때 상기 노즐 상면이 지지되는 지지판을 구비하여 하단부가 상기 지지관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용기 지지체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페달을 밟음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가 상승하면서 상기 소독액 용기를 상승시켜 상기 노즐이 상기 지지판에 눌리면서 소독액이 토출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페달은, 상기 지지관체의 하단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하단부가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관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발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는, 양단이 상기 지지관체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이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상면에 상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홈; 상기 페달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위치고정공에 삽입되도록 저면 중간부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 및 상기 발판부를 밟을 때 상기 지지부가 상기 위치고정돌기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위치고정돌기에서 상기 발판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피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홈은, 상기 지지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고정 브라켓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발판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지지체는, 상기 소독액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향으로 개구된 삽입공과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높이 조절공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관체의 상단부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삽입공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제1 높이조절부재에 형성된 제1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높이 조절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조절돌기와, 상기 제1 조절돌기가 항상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1 조절돌기와 결합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상기 제1 높이조절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발생시키는 제1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1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지지체는, 상기 소독액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체결 나사공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 및 상기 체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소독액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볼트부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작동공을 구비한 제2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체에 형성되는 정비공 또는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회전 작동공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안착판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소독액 용기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소독액이 전방으로 튀지 않도록 막음부가 전방 하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지지판에 가려진 상기 소독액 용기의 노즐을 상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확인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관체의 개방부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사용자의 손에 공급되지 못한 소독액을 받기 위한 소독액받이가 마련되되, 상기 소독액 받이는, 상기 개방부의 입구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마련되는 받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관체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길이조절수단은, 길이 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상부관체; 상기 길이 조절공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관체의 내부로 겹쳐지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관체;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길이 조절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조절돌기와, 상기 제2 조절돌기가 항상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2 조절돌기와 결합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상기 하부관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발생시키는 제2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관체의 길이가 조절될 때 상기 지지관체의 조절되는 길이에 부합되도록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 길이조절수단은, 상단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작동부재; 하단 내주면에 상기 숫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공구 결합공이 형성된 조절판이 결합된 상부 작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작동부재와 상기 상부 작동부재가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공구를 상기 공구 결합공에 결합한 후 상기 조절판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작동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페달을 밟음에 따라 소독액이 분출 공급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노즐을 누르는 등의 조작함이 없이 신속하고 요이하게 손 소독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설치위치에 제약을 받지 않으며 배터리나 전원공급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장율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소독액 용기의 크기(높이)에 따라 용기 지지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관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소독액 용기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용기 지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10)는, 노즐(22)을 하향으로 누름에 따라 수용된 소독액이 일정양 노즐(22)로 토출되는 소독액 용기(20)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10)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하단에 받침판(32)이 결합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는 전방 및 상향으로 개구된 개방부(34)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지지관체(30)와, 지지관체(30)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발로 밟도록 된 페달(40)과, 지지관체(3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지지관체(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에는 소독액 용기(20)가 안착되며, 하단부가 페달(40)에 간섭되어 페달(40)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 후 하강하도록 된 작동부재(50)와, 작동부재(50)의 상승으로 소독액 용기(20)가 상승할 때 노즐(22) 상면이 지지되는 지지판(62)을 구비하여 하단부가 지지관체(3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용기 지지체(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관체(30)는, 원형 또는 다각형(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중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대략 50 - 150cm의 길이로 형성된다. 지지관체(30)의 상단부에는 전방(노즐이 노출되는 방향) 및 상향으로 개구된 개방부(34)가 형성되고, 하단부 전방쪽에는 페달(40)의 일부를 수용하여 페달(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수용홈(35)이 형성된다. 지지관체(30)의 하단부는 받침판(32)과 결합된다. 받침판(32)은 지지관체(30)가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받침판(3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지지관체(30)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6)에 체결되는 연결볼트(38)에 의해 지지관체(30)와 결합된다. 즉, 연결볼트(30)는 받침판(32)의 저면 중앙에서, 양단이 지지관체(30)의 내부 양쪽에 고정되고 페달(40)의 위치고정홈(42A)에 위치하는 고정 브라켓(36)에 체결됨으로써 받침판(32)과 지지관체(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지지관체(30)와 받침판(32)의 조립 및 결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페알(4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페달(40)은, 작동부재(50)를 상승시켜 소독액 용기(20)의 노즐(22)이 용기 지지체(60)의 지지판(62)에 눌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페달(40)은, 지지관체(30)의 하단부 내측에 위치하여 작동부재(50)의 하단부가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42)와, 지지부(42)에서 일측에서 연장되어 지지관체(30)의 외부에 위치하는 발판부(4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부(42)는, 양단이 지지관체(30)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36)이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상면에 상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홈(42A)과, 페달(40)의 작동시 페달(40)이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받침판(32)에 형성된 위치고정공(32A)에 삽입되도록 저면 중간부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42B)와, 발판부(44)를 밟을 때 지지부(42)가 위치고정돌기(42B)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위치고정돌기(42B)에서 발판부(44)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피 경사부(4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위치고정홈(42A)은, 지지부(42)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고정 브라켓(36)과 간섭되지 않도록 발판부(44)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위치고정홈(42A)의 벽이 상향 수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지지부(42)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벽이 지지관체(30)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36)에 간섭되어 페달(40)의 작동이 불안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치고정홈(42A)이 발판부(44)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부(42)가 기울어질 때 고정 브라켓(36)은 위치고정홈(42A)의 벽에 닿지 않게 되어 페달(40)의 작동이 간섭없이 원활하게 된다.
한편, 연결볼트(38)가 받침판(32)을 통하여 위치고정홈(42A)에 위치하는 고정 브라켓(36)에 결합되므로 페달(40)의 위치는 지지관체(30)와 받침판(32) 사이에 위치 변화없이 설치될 수 있고, 특히 위치고정돌기(42B)가 위치고정공(32A)에 삽입되므로 발판부(44)를 밟더라도 페달(40)은 정위치에서 위치고정돌기(42B)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면서 지지부(42)가 상승하고 작동부재(50)의 소독액 용기(20)의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는 작동을 하게 된다.
작동부재(50)는, 페달(40)의 시소 작동으로 작동으로 수직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소독액 용기(2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킨다. 이러한 작동부재(5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체(3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지지관체(30)의 내부에 배치된다. 작동부재(50)의 상단부에는 소독액 용기(20)가 안착되도록 안착원판(52)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페달(40)의 지지부(42) 상면에 접촉되기 위한 접촉원판(54)이 결합된다. 이러한 안착원판(52)과 접촉원판(54)은 접촉면적을 확장시키고 안정된 안착 및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용기 지지체(60)는, 소독액 용기(20)가 페달(40)의 작동에 의한 작동부재(50)의 상승으로 상향으로 이동할 때 노즐(22)이 하향으로 눌려 펌핑 작동으로 소독액이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 지지체(60)는, 작동부재(50)의 상승으로 소독액 용기(20)가 상승할 때 노즐(22) 상면이 지지되는 지지판(62)을 구비하여 하단부가 지지관체(3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용기 지지체(60)의 지지판(62)에는, 소독액 용기(20)의 노즐(22)로부터 분사되는 소독액이 전방으로 튀지 않도록 막음부(62A)가 전방 하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 막음부(62A)에 의해 노즐(22)로부터 분출되는 소독액이 전방 사용자 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판(62)에는, 지지판(62)에 가려진 소독액 용기(20)의 노즐(22)을 상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확인공(6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인공(62B)을 통하여 소독액 용기(20) 또는 노즐(22)의 존재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용기 지지체(60)는, 후방쪽 하단부가 볼트 등에 의해 지지관체(30)의 상단부 후방에 결합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체(30)의 상단부에 볼트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용기 지지체(6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액 용기(20)의 크기에 따라 지지판(62)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은, 상향으로 개구된 삽입공(66A)과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높이 조절공(66B)을 구비하여 지지관체(30)의 상단부 후방면에 결합되는 고정부재(66)와, 상단부가 지지판(62)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높이 조절공(66B)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관통공(68A)이 형성되며 하단부는 삽입공(66A)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높이조절부재(68)와, 제1 높이조절부재(68)에 형성된 제1 관통공(68A)을 통하여 높이 조절공(66B)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조절돌기(64A)와, 제1 조절돌기(64A)가 항상 상기 제1 관통공(68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단은 제1 조절돌기(64A)와 결합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제1 높이조절부재(68)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발생시키는 제1 탄성체(64B)로 이루어진 제1 위치고정부재(64)를 포함하여구성된다.
이와 같이 용기 지지체(60)에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소독액 용기(20)의 크기에 따라 용기 지지체(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 지지체(60)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높이 조절공(66B)로 노출된 제1 조절돌기(64A)를 내측으로 눌러 제1 조절돌기(64A)가 해당 높이 조절공(66B)로부터 이탈(걸림해제)되도록 한 후 제1 높이조절부재(68)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제1 조절돌기(64A)가 제1 탄성체(64B)의 탄성에 의해 기존 높이 조절공(66B)보다 높은 위치의 높이 조절공(66B)에 삽입된다. 이 과정으로 용기 지지체(60)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지지체(60)가 지지관체(30)의 상단부에 볼트로 결합되는 경우에, 높이조절수단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체결 나사공(82A)을 구비하여 작동부재(5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82)와, 체결 나사공(82A)에 체결되는 볼트부(84A)와, 볼트부(84A)의 상단에 마련되어 소독액 용기(20)가 안착되는 안착판(84B)과, 볼트부(84A)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작동공(84C)를 구비한 제2 높이조절부재(8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높이조절수단은, 개방부(34)를 통하여 길이가 긴 공구 또는 막대를 회전 작동공(84C)에 삽입한 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볼트부(84A)가 체결 나사공(82A)에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이므로 제2 높이조절부재(84)는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이때, 지지관체(30)의 후면(제2 높이조절부재가 위치한 영역의 후면)에 형성되는 정비공(39)은 커버(39A)에 의해 커버되며, 서로 대각선으로 배치되는 손잡이 나사 등에 의해 정비공(39)을 개폐하게 된다. 특히 나사가 커버(39A)의 상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기 때문에 하부쪽의 나사를 풀게 되면 커버(39A)가 자중에 의해 한쪽으로 회전하여 정비공(39)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비공(39)을 통하여 제2 높이조절부재(84)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용기 지지체(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체(30)의 개방부(34)에는, 노즐(22)로부터 분사되어 사용자의 손에 공급되지 못한 소독액을 받기 위한 소독액받이(70)가 마련된다. 소독액 받이(70)는, 개방부(34)의 입구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72)와, 걸림부(72)의 일측에 오목하게 마련되는 받이부(7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받이부(76)의 일측 상단부에는 개방부(34) 내측으로 절곡된 연장 받이부(74)가 형성된다. 이러한 소독액받이(70)에 의해 노즐(22)로부터 분출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공급되지 못한 소독액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연장 받이부(74)가 형성된 경우에 걸림부(72)는 연장 받이부(74)의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10)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제1 높이조절부재(68)를 고정부재(66)로부터 분리하여 용기 지지체(60)를 지지관체(30)로부터 분리하여 개방부(34)를 개방한다. 이때, 제1 조절돌기(64A)를 안으로 밀어 넣어 높이 조절공(66B)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제1 높이조절부재(68)와 용기 지지체(60)가 지지관체(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개방부(34)를 통하여 안착원판(52)에 소독액 용기(20)를 안착시킨 후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제1 높이조절부재(68)를 고정부재(66)에 결합시킴으로써 용기 지지체(60)의 설치가 완료된다.
소독액 용기(20)가 안착원판(52)에 안착되면, 사용자는 페달(40)을 밟는다. 사용자가 페달(40)의 발판부(44)를 밟으면 지지부(42)는 위치고정돌기(42B)를 기준으로 상향으로 들어 올려진다.
지지부(42)가 상향으로 들어 올려지면서 접촉원판(54)과 작동부재(50)를 상승시키게 되므로 소독액 용기(20)는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노즐(22)의 상면이 지지판(62)의 저면에 접촉되면서 하향으로 눌리게 된다.
이와 같이 노즐(22)이 지지판(62)에 눌리게 되므로 소독액 용기(20)에 저장된 소독액은 노즐(22)을 통하여 분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노즐(22)의 하부에 손을 위치시키게 되면 소독액은 사용자의 손에 일정양 공급된다.
그리고, 노즐(22)로부터 분출되는 소독액이 전방으로 튀는 경우에도 막음부(62A)에 의해 커버되므로 소독액이 키가 작은 사용자의 눈으로 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서서 페달(40)을 밟은 동작만으로 소독액이 적정 높이에서 분출되므로 손 소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청결한 손 위생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10)는, 지지관체(30)의 길이를 조절하여 궁극적으로 소독액 용기(2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길이조절수단(L1)이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제1 길이조절수단(L1)은, 길이 조절공(30B-1)이 상하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상부관체(30B)와, 길이 조절공(30B-1)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2 관통공(30A-1)을 구비하여 상부관체(30B)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관체(30A)와, 제2 관통공(30A-1)을 통하여 길이 조절공(30B-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조절돌기(92A)와 제2 조절돌기(92A)가 항상 제2 관통공(30A-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단은 제2 조절돌기(92A)와 결합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하부관체(30A)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발생시키는 제2 탄성체(92)로 이루어진 제2 위치고정부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지지관체(30)에 제1 길이조절수단(L1)이 구비된 경우에, 작동부재(50)에는 제2 길이조절수단(L2)가 된다. 즉, 작동부재(50)는, 지지관체(30)의 길이가 조절될 때 지지관체(30)의 조절되는 길이에 부합되도록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길이조절수단(L2)가 구비되는 것이다.
제2 길이조절수단(L2)은, 상단 외주면에 숫나사산(50A-1)이 형성된 하부 작동부재(50A)와, 하단 내주면에 숫나사산(50A-1)과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산(50B-1)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공구 결합공(50B-3)이 형성된 조절판(50B-2)이 결합된 상부 작동부재(50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제1 길이조절수단(L1)과 제2 길이조절수단(L2)을 이용하여 지지관체(30)의 길이를 조절하여 궁극적으로 소독액 용기(20)의 노즐(22)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제2 조절돌기(92A)를 내측으로 밀어 넣어 길이 조절공(30B-1)에서 이탈시킨 후 상부관체(30B)를 상향으로 들어 올린다. 이 과정으로 제2 조절돌기(92A)는 길이 조절공(30B-1)에서 이탈되어 상부쪽으로 이웃하는 다른 길이 조절공(30B)으로 삽입된다. 이는 제2 조절돌기(92A)가 제2 탄성체(92)에 의해 탄력 지지되기 때문에 일치하는 길이 조절공(30B)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과정으로 지지관체(3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지지관체(30)의 높이가 조절되면, 하부 작동부재(50A)와 상부 작동부재(50B)가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개방부(34)를 통하여 길이가 긴 막대 또는 드라이버나 송곳과 같은 공구를 공구 결합공(50B-3)에 끼워 결합한 후 조절판(50B-2)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이 과정으로 상부 작동부재(50B)의 길이, 즉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만약, 지지관체(30)의 높이가 제1 길이조절수단(L1)에 의해 높아진 상태에서는 상부 작동부재(50B)를 상승시키고 낮아진 경우에는 하강시킨다.
이와 같이, 지지관체(30) 자체의 길이(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10)를 키가 작은 유치원생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사용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20 : 소독액 용기
22 : 노즐 30 : 지지관체
32 : 받침판 34 : 개방부
40 : 페달 42 : 지지부
44 : 발판부 50 : 작동부재
60 : 용기 지지체

Claims (10)

  1. 노즐을 하향으로 누름에 따라 수용된 소독액이 일정양 상기 노즐로 토출되는 소독액 용기를 이용한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로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하단에 받침판이 결합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는 전방 및 상향으로 개구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중공형의 지지관체; 상기 지지관체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발로 밟도록 된 페달; 상기 지지관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관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소독액 용기가 안착되며, 하단부가 상기 페달에 간섭되어 상기 페달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 후 하강하도록 된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의 상승에 의해 상기 소독액 용기가 상승할 때 상기 노즐의 상면이 지지되는 지지판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관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용기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은,
    상기 지지관체의 하단부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하단부가 상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지지관체의 외부에 위치하는 발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는, 양단이 상기 지지관체의 하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이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상면에 상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위치고정홈; 상기 페달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상기 받침판에 형성된 위치고정공에 삽입되도록 저면 중간부 영역에서 돌출 형성되는 위치고정돌기; 및 상기 발판부를 밟을 때 상기 지지부가 상기 위치고정돌기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위치고정돌기에서 상기 발판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회피 경사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페달을 밟음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가 상승하면서 상기 소독액 용기를 상승시켜 상기 노즐이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눌리면서 소독액이 토출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홈은,
    상기 지지부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기 고정 브라켓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발판부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체는,
    상기 소독액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향으로 개구된 삽입공과 상하 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높이 조절공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관체의 상단부 후방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삽입공에 끼움 결합되는 제1 높이조절부재; 및
    상기 제1 높이조절부재에 형성된 제1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높이 조절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1 조절돌기와, 상기 제1 조절돌기가 항상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1 조절돌기와 결합되고 타단은 절곡되며 상기 제1 높이조절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발생시키는 제1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1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체는,
    상기 소독액 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체결 나사공을 구비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너트부재; 및
    상기 체결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소독액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볼트부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작동공을 구비한 제2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체에 형성되는 정비공 또는 상기 지지관체의 개방부를 통하여 상기 회전 작동공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안착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소독액 용기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소독액이 전방으로 튀지 않도록 막음부가 전방 하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지지판에 가려진 상기 소독액 용기의 노즐을 상부에서 확인하기 위한 확인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체의 개방부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사용자의 손에 공급되지 못한 소독액을 받기 위한 소독액받이가 마련되되, 상기 소독액 받이는,
    상기 개방부의 입구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 오목하게 마련되는 받이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체는,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길이조절수단은,
    길이 조절공이 상하방향으로 연이어 형성된 상부관체;
    상기 길이 조절공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2 관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상부관체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하부관체;
    상기 제2 관통공을 통하여 상기 길이 조절공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제2 조절돌기와, 상기 제2 조절돌기가 항상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단은 상기 제2 조절돌기와 결합되고 타단은 절곡되어 상기 하부관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탄성을 발생시키는 제2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지지관체의 길이가 조절될 때 상기 지지관체의 조절되는 길이에 부합되도록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제2 길이조절수단은,
    상단 외주면에 숫나사산이 형성된 하부 작동부재;
    하단 내주면에 상기 숫나사산과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공구 결합공이 형성된 조절판이 결합된 상부 작동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작동부재와 상기 상부 작동부재가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부를 통하여 공구를 상기 공구 결합공에 결합한 후 상기 조절판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상기 작동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KR1020200164989A 2020-11-30 2020-11-30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KR102461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89A KR102461664B1 (ko) 2020-11-30 2020-11-30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989A KR102461664B1 (ko) 2020-11-30 2020-11-30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140A KR20220076140A (ko) 2022-06-08
KR102461664B1 true KR102461664B1 (ko) 2022-11-01

Family

ID=8198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989A KR102461664B1 (ko) 2020-11-30 2020-11-30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6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867B1 (ko) * 2010-01-29 2010-03-22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지지체
JP3188014U (ja) * 2013-10-15 2013-12-26 株式会社シモヤマ 足踏み式消毒殺菌用の噴霧装置
JP5409303B2 (ja) * 2009-11-30 2014-02-05 石関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足踏み式噴霧装置
JP2015100454A (ja) * 2013-11-22 2015-06-04 恒徳アイデック株式会社 消毒装置
JP3228051U (ja) * 2020-06-29 2020-10-08 武田精機株式会社 足踏み式消毒剤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050A (ja) * 1995-06-30 1997-01-14 Konbi Kk 脚部の高さ調節装置
KR20110004385U (ko) 2009-10-28 2011-05-04 양희숙 페달식 손 소독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9303B2 (ja) * 2009-11-30 2014-02-05 石関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足踏み式噴霧装置
KR100948867B1 (ko) * 2010-01-29 2010-03-22 오성듀랄루민(주) 보턴식 등산용 다단식 지팡이의 지지체
JP3188014U (ja) * 2013-10-15 2013-12-26 株式会社シモヤマ 足踏み式消毒殺菌用の噴霧装置
JP2015100454A (ja) * 2013-11-22 2015-06-04 恒徳アイデック株式会社 消毒装置
JP3228051U (ja) * 2020-06-29 2020-10-08 武田精機株式会社 足踏み式消毒剤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140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2698B2 (en) Clean toilet and accessories
US9358569B2 (en) Ultrasonic surfa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JP5800891B2 (ja) ドアハンドル
WO2006134314A1 (en) Dispensing apparatus
US20090242000A1 (en) Hand held self contained pacifier or baby bottle nipple spray cleaner
KR200458780Y1 (ko) 신발 자동 소독장치
KR102461664B1 (ko) 스탠드형 손 소독장치
US6772451B2 (en)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a toilet seat ring
KR200417522Y1 (ko) 손 소독기
KR20110092742A (ko)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의 핸드레일용 살균 소독액 분사장치
KR100798427B1 (ko) 손 소독기
JP2011012859A (ja) 加湿器
US11285519B2 (en) Automatic disinfection device for VR self-service machine
JP2003265583A (ja) 噴霧式手先等消毒装置体
KR200234379Y1 (ko) 신발바닥 세정 및 살균장치
JP3228070U (ja) ポンプ式容器用足踏みスタンド
CN215457534U (zh) 一种可防止交叉传播安全卫生的机械装置
JP3230172U (ja) 足踏み式消毒薬噴出装置
KR102377790B1 (ko) 물품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방역시스템
CN212326247U (zh) 一种保养或清洁手部的装置
JP2003000685A (ja) 哺乳瓶消毒容器
JPH108529A (ja) トイレの洗浄水タンクへの薬剤供給装置
JPH08302786A (ja) 消臭剤等の容器取付け具
JP2022015350A (ja) 液体吐出機
KR20210151393A (ko) 손 소독약품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