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933B1 -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933B1
KR102460933B1 KR1020197028153A KR20197028153A KR102460933B1 KR 102460933 B1 KR102460933 B1 KR 102460933B1 KR 1020197028153 A KR1020197028153 A KR 1020197028153A KR 20197028153 A KR20197028153 A KR 20197028153A KR 102460933 B1 KR102460933 B1 KR 10246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load
bundle
adjusting member
bankn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728A (ko
Inventor
요시히토 오사다
가즈야 후루마치
Original Assignee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1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 B65H1/0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for separation from top of pile for separation from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2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with means for relieving or controlling pressure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4Pressing or hol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65Pi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3Press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3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 B65H2405/1134Front, i.e. portion adjacent to the feeding / delivering side movable, e.g. pivo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5Height, e.g.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10Mass, e.g. mass flow rate; Weight;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30Forces; Stresses
    • B65H2515/34Pressure, e.g.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조출 롤러 상에 대량의 지엽으로부터의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나, 다른 사이즈 지엽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라도, 간단한 구성의 부가에 의해서, 상기 하중을 경감하여 스무스하게 조출을 행할 수 있다. 저판(10), 및, 전벽(20)을 가지는 지엽 적재부(5)와, 지엽 다발의 최하부의 지엽 저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지엽 적재부 밖으로 송출하는 조출 롤러(30)와, 지엽 적재부 내로 돌출되거나, 해당 지엽 적재부 밖으로 퇴피 가능하게 배치된 하중 조정 부재(60)를 구비하며,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되었을 때에 지엽 다발의 전측면을 압압면에 의해서 압압하여 안쪽부로 변위시킴과 아울러, 해당 압압면에 의해서 지엽 다발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 지엽 다발로부터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한다.

Description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
본 발명은 지엽(紙葉) 계수(計數) 장치 등의 각종 지엽 취급 장치에 장비되는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지폐 계수 장치는, 지폐 수납부에 적층 상태로 셋팅한 지폐 다발로부터 지폐를 1매씩 조출(繰出, 계속 내보냄)하면서 카운트를 행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관한 지엽류 조출 장치에는, 조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저판 상에 다량의 지엽류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 상태로 집적하고, 최하부의 지엽류로부터 1매씩 키커 롤러(kicker roller)를 이용하여 조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집적 지엽류의 하중을 경사진 저판에서 받는 것에 의해 조출 중의 지엽류의 하중을 경감하고, 다량의 지엽류가 저판 상에 집적되어도 스무스하게 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지폐 등의 지엽류의 계수나 분류·구분을 지원하는 장치에서는, 사이즈가 다른 혼합 상태의 지엽 다발로부터 1매씩 조출하여 반송하면서 지엽류의 진안(진짜와 가짜)·종별(種別)(금종(金種))을 판별하고, 계수 등을 행한다. 이 때, 집적 지엽류의 하중을 받는 저판을 최대 사이즈의 지엽류에 맞추어 사이즈 설정하면, 사이즈가 작은 지엽류에 대해서는 스큐(skew), 겹침 이송 등의 조출 불량이 발생한다. 한편, 저판을 사이즈가 작은 지엽류에 맞추어 설정하면, 사이즈가 큰 지엽류로부터 키커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경감되어 버려, 킥력(kick力)이 충분히 부여되지 않아 조출 타이밍이 늦어지는 등의 문제가 일어난다.
또, 저판 상의 지폐의 매수가 예를 들면 500매 정도의 적정 매수인 경우에는, 최하부의 지폐면과 키커 롤러와의 마찰 저항이 지폐끼리의 마찰 저항을 상회하는 것에 의해 최하부의 지폐를 1매씩 급지(給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1000~2000매 정도의 대량의 지폐를 저판 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키커 롤러의 회전에 의한 조출을 개시하면, 지폐 자체의 중량에 의해서 지폐 사이의 마찰 저항이 과대하게 됨과 아울러, 적재 지폐 다발로부터 키커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과대하게 되기 때문에, 최하부의 지폐가 상측의 다른 지폐와 함께 조출되는 겹침 이송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지폐 계수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다량의 지폐를 적층 상태에서 수용하고, 필요에 따라서 1매씩 조출을 위한 구성을 구비한 각종 자동 판매기, 입출금 장치, 환전기 등의 지폐 취급 장치에서도 발생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3866090호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조출 롤러 상에 대량의 지엽으로부터의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나, 다른 사이즈 지엽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라도, 간단한 구성의 부가에 의해서, 상기 하중을 경감하여 스무스하게 조출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지엽 조출 기능을 구비한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지엽 적재 장치는, 지엽(紙葉) 다발을 적재하는 저판, 및, 상기 지엽 다발의 전측면(前側面)과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전벽(前壁)을 가지는 지엽 적재부와, 상기 지엽 다발의 최하부의 지엽 저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최하부의 지엽을 상기 전벽을 넘어 상기 지엽 적재부 밖으로 송출하는 조출 롤러와, 상기 전벽을 넘어 상기 지엽 적재부 내로 돌출되거나, 상기 지엽 적재부 밖으로 퇴피(退避) 가능하게 배치된 하중 조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되었을 때에, 상기 지엽 다발의 전측면을 압압면(押壓面)에 의해서 압압하여 안쪽부로 변위시킴과 아울러, 상기 압압면에 의해서 상기 지엽 다발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 상기 지엽 다발로부터 상기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출 롤러 상에 대량의 지엽으로부터의 과대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나, 다른 사이즈 지엽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라도, 간단한 구성의 부가에 의해서, 상기 하중을 경감하여 스무스하게 조출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조출 기능을 구비한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의 비작동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도 1의 지엽 적재 장치의 지엽 적재 상태의 정면도, 및 X-X 단면도이다.
도 3은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의 작동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지엽 적재 장치의 지엽 적재 상태의 정면도, 및 Y-Y단면도이다.
도 5는 지엽 적재 장치의 요부(하중 조정 유닛)의 구성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의 작동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지폐 매수가 감소한 상태에서의 하중 조정 부재의 기능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지엽 적재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하중 조정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의 작동시의 정면도, 및 Z-Z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가 지엽 다발 상면을 압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부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하중 조정 부재를 작동시키는 승강 기구의 후면측 사시도이다.
도 12는 하중 조정 부재를 작동시키는 승강 기구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중 조정 방법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지엽 적재 장치를 적용하는 지엽 취급 장치의 일 예로서의 지엽 정리기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낸 실시 형태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
[지엽 적재 장치의 기본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조출 기능을 구비한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의 비작동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의 (a) 및 (b)는 동일 지엽 적재 장치의 지엽 적재 상태의 정면도, 및 X-X단면도이고, 도 3은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의 작동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지엽 적재 장치의 지엽 적재 상태의 정면도, 및 Y-Y단면도이며, 도 5는 지엽 적재 장치의 요부(하중 조정 유닛)의 구성 설명도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지엽 적재 장치를 구비한 지엽 취급 장치의 일 예로서 지폐 계수 장치를 나타낸다.
지폐 계수 장치(지엽 계수 장치)(1)는, 다매수의 지폐(지엽)(B`)를 적층 상태, 즉 상하 방향(경사 상하 방향)으로 쌓아 겹친 상태로(지폐 다발 상태)로 적재하는 저판(10), 좌우 측판(15, 16), 및 적재 지폐 다발(적층 지폐 다발)(B)의 전측면(BF)과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전벽(20)을 가지는 지폐 적재부(지엽 적재부)(5), 지폐 적재부(5)의 저부(저판(10))에 마련한 개구(전벽의 저부 개구)(10a)로부터 노출되는 최하부의 지폐 저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해당 최하부의 지폐를 전벽(20)을 넘어 지폐 적재부(5) 밖(전방)으로 송출하는 조출(繰出) 롤러(30)와, 조출 롤러(30)의 조출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분리 롤러쌍(마찰 롤러(41), 리버스 롤러(42))(40)과, 한 쌍으로 분리된 지폐를 더 하류측으로 반송하는 반송 롤러군(45)과, 조출 롤러(30), 분리 롤러쌍(40), 및 반송 롤러군(45)(벨트(45b))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50)와, 전벽(20)의 적소에 형성된 개구부(연통부)(21)로부터 지폐 적재부(5) 내로 돌출, 퇴피 가능(출몰 가능)하게 배치된 하중 조정 부재(하중 경감 부재)(60)와, 하중 조정 부재(60)를 작동시키는 구동 기구(출몰 구동 기구)(70)와, 반송 롤러(45)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지폐 계수기(카운터)와, 각 구동 기구(50, 70), 지폐 계수기 등의 각종 제어 대상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CPU, ROM, RAM)을 구비하며, 구동 기구(70)에 의해 하중 조정 부재(60)가 개구부(21)로부터 지폐 적재부(5) 내로 돌출되었을 때에, 해당 개구부 내로 노출되는 적재 지폐 다발의 전측면(BF)을 압압하여 안쪽부(후방)로 변위시켜 압압된 지폐, 및 그것보다 상측의 지폐로부터의 하중을 하중 조정 부재(60)에 의해 받아 조출 롤러(3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시키도록 하고 있다.
지폐 적재부(5)와, 조출 롤러(30)와, 하중 조정 부재(60)는, 지폐 적재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지폐 적재부(5)의 저부에 위치하는 저판(10)은, 지폐 조출 방향인 전방, 또한 하부로 향해 경사져 있고, 조출 롤러(30)에 의해서 조출된 지폐 다발(B)의 최하부의 지폐를 전벽(20)의 하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인 조출구(12)로부터 지폐 다발(B)의 전방으로 송출한다. 조출된 지폐가 2매 이상이 겹쳐진 겹침 이송 상태에 있을 때에는 분리 롤러쌍(40)을 구성하는 마찰 롤러(41), 리버스(reverse) 롤러(42)의 협동에 의해 하측의 한 매의 지폐만을 전방으로 송출함과 아울러, 나머지의 상측의 지폐는 지폐 적재부(5)측으로 되돌려 반송한다.
구동 기구(50)는, 측판(16)의 하부 내측에 고정된 공통의 모터(51)에 의해서 조출 롤러(30), 분리 롤러쌍(40), 및 반송 롤러군(45)을 구동한다. 모터(51)의 출력축에 고정된 출력 풀리(51a)는 지폐 조출시에는 조출 롤러(30)를 도 2의 화살표 a로 나타내는 급지 방향(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그 고마찰부(30a)에 의해서 최하부 지폐의 하면에 접하여 소정 거리 송출한다. 송출된 지폐가 한 매인 경우에는 분리 롤러쌍(40), 및 반송 롤러(45)는 당해 지폐를 하류측으로 반송하여 반송 롤러군(45)을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여 더 하류측의 지폐 계수기로 보낸다. 지폐가 겹침 이송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하측의 지폐와 접하는 마찰 롤러(41)는 도 2의 (b)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으로, 리버스 롤러(42)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되돌림 방향(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작은 토크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측의 겹침 이송 지폐를 반대 방향으로 되돌린다. 또, 겹침 이송 방지 기구는 여러 가지의 것이 있으며, 이것은 일 예에 지나지 않는다.
출력 풀리(51a)에 감아 걸려진 타이밍 벨트(53)는, 조출 롤러(30)의 회전축(31)의 단부에 축심(軸芯)이 고정된 풀리(32)와, 마찰 롤러(41)의 회전축(41a)에 축심이 고정된 풀리(41b)와, 1개의 반송 롤러(45)의 회전축(45a)에 축심이 고정된 풀리(46)에 감아 걸려지는 것에 의해 이들을 회전 구동한다. 각 롤러의 구동, 및 정지 타이밍은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를 이용하여 각 롤러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온/오프하는 것에 의해 조정한다.
리버스 롤러(42)는 그 회전축에 원 웨이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어 지폐가 지폐 적재부(5)로 되돌리는 방향으로만 회전 구동된다.
또, 풀리를 대신하여 기어를 이용하고, 타이밍 벨트를 대신하여 체인을 이용해도 괜찮다.
2개의 하중 조정 부재(60)를 동시에 출몰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출몰 구동 기구)(70)는, 좌우 측판(15, 16) 사이에 수평으로 걸쳐 양단부가 축지(軸支)된 회동축(65)의 단부에 축심이 고정된 종동 기어(71)와, 출력 기어(74)로부터 종동 기어(71)에 정역(正逆) 방향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73)를 구비한다. 본 예의 2개의 하중 조정 부재(60)는, 회동축(65)의 적소에 일단부가 고정된 가는 폭의 띠 모양의 박판재(薄板材)이며, 도 1, 도 2에 나타낸 퇴피 자세와, 도 3, 도 4에 나타낸 돌출 자세와의 사이를 서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회동축(65)에 대한 각 하중 조정 부재(60)의 장착 각도는 일정하다.
하중 조정 부재(60)는 탄성 변형하지 않는 리지드(rigid)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회동축(65)의 회전에 의해서 발생하는 압입력을 효과적으로 지폐 다발로 전달하여 지폐 다발 전측면(BF)을 확실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압입하여 적층 상태를 변형시킬 수 있고, 압입 완료 후에는 압압면(60a)과 접하는 지폐군, 및 그것보다 상부의 지폐군으로부터의 하중의 일부를 압압면에 의해 확실히 계속 지지할 수 있다.
또, 하중 조정 부재(60) 전부, 또는 일부가 지폐 다발을 압압할 때에 약간 탄성 변형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과대한 힘으로 지폐 다발 측면을 압압하여 개개의 지폐에 데미지를 부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도 괜찮다.
본 예에서는, 동일 형상의 하중 조정 부재(60)를 2개 마련하고 있지만, 하중 조정 부재(60)의 형상, 폭, 개수는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 다만, 하중 조정 부재를 어떻게 구성한 경우라도, 지폐 다발의 길이 방향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선대칭 위치를 압압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고,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압압시의 좌우 밸런스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하중 조정 부재(60)는 그 선단 가장자리(60b)가 수평인 직선, 즉 지폐 다발(B)을 구성하는 개개의 지폐(B`)의 면방향과 대략 병행인 직선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지폐 다발의 측면을 압압했을 때에 거의 동일 레벨에 있는 지폐를 압압하여 밀어올리고, 밀어넣어, 지폐 다발의 적층 상태를 밸런스 좋게 변화시킬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65)은, 평면에서 볼 때 コ자 모양의 지지 부재(66)의 2개의 측판(66a, 66b)에 의해서 축지되어 있고, 지지 부재(66)에 이들 구성 요소를 조립하여 유닛화할 수 있다. 하중 조정 부재(60), 회동축(65), 지지 부재(66), 구동 기구(70) 등은, 하중 조정 유닛(U)을 구성한다.
일방의 하중 조정 부재(60)의 기단부에 마련한 작은 돌출편은 피검지편(61)이며, 하중 조정 부재(60)가 회동하는 과정에서 피검지편(61)이 포토 인터럽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센서(63) 내로 나오거나 들어가거나 하기 때문에, 그 때의 온/오프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 수단은 하중 조정 부재(60)의 각도(작동의 유무)를 알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의 동작의 설명]
이상의 구성을 구비한 지폐 계수 장치(지엽 계수 장치)(1)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1, 도 2에 나타낸 하중 조정 부재의 비작동시에는, 지폐 다발(B)은 그 전측면(BF)을 전벽(20)을 따르게 한 상태로 정렬성 좋게 상하 방향(경사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적재 매수가 기준값, 예를 들면 1000매를 넘으면, 조출 롤러(30)에 대해서 적정값을 넘는 하중이 가해져 겹침 이송이 다발(多發, 많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지폐 적재부(5)의 저판(10) 상에 셋팅된 지폐의 적재 매수(적재 중량)가 기준값을 넘고 있는 경우에 이것을 측판(15, 16), 그 외의 개소에 마련한 센서(35)에서 검지하던지, 혹은 작업자가 도시하지 않은 시동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하중 경감 부재로서의 하중 조정 부재(60)를 도 3, 도 4와 같이 작동시켜 지폐 다발의 전측면의 중간 높이 위치를 안쪽부로 향하여 소정 거리 압입한다.
또, 복수의 센서(35)를 측판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 적재 지폐 다발의 높이 위치의 변화에 의해 그 적재량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또, 센서(35)를 저판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지폐의 유무를 검지할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하중 조정 부재(60)를 압입한 상태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60)의 후면에 마련한 압압면(60a)은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지폐군의 전측면(BF)과 접하고 있고, 지폐군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하중 받이면으로서 기능한다. 이 상태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60)의 선단 가장자리(60b)보다도 하부의 지폐군과, 하중 조정 부재(60)의 선단보다도 상측의 지폐군과는 V자 모양으로 전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고 있고, 압압면(60a)이 지지하는 지폐군의 중량의 부분만큼, 지폐 다발(B)로부터 조출 롤러(30)로 가해지는 하중이 하중 조정 부재의 작동 전보다도 작동 후의 쪽이 크게 경감되어 있다. 압압면(60a)은 전단 가장자리를 접촉시키고 있는 지폐군(Bm)으로부터의 하중 뿐만 아니라, 그 상부에 적재되어 있는 다른 지폐군(Bu)으로부터의 하중의 일부도 받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전벽(20)에 전단 가장자리를 접촉시키고 있는 상측에 있는 지폐군(Bu)과, 전단 가장자리를 하중 조정 부재의 압압면(60a)에 접촉시키고 있는 중간 위치에 있는 지폐군(Bm)과, 전단 가장자리를 어느 부재에도 접촉시키지 않는 하측의 지폐군(Bd)과, 적재 형태가 세 개로 나누어진다.
중간 위치에 있는 지폐군(Bm)과 하측의 지폐군(Bd)은, 지폐 적재부(5)의 안쪽 방향으로 향하여 く 자, 혹은 V자 모양으로 굴곡하고 있기 때문에, 하측의 지폐군(Bd)은 그 후측 단면(端面)이 상부로 향할수록, 후방으로 경사진 평행 사변형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측의 지폐군(Bd)의 중심이 후방으로 치우친 상태가 되고, 도 2의 (b)의 비돌출시에 조출 롤러(30)에 가해지고 있던 적재 지폐로부터의 하중의 일부가 도 4의 (b)에서는 저판 후부 상으로 이행한 상태가 되어, 그 만큼 조출 롤러로의 하중이 더욱 경감된다.
조출 롤러에 의한 조출이 진행하여 적재 지폐의 전체량이 감소해 가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중간 위치에 있는 지폐군(Bm)은 순차적으로 하측의 지폐군(Bd)측으로 이행하여 가고, 상측의 지폐군(Bu)은 중간 위치에 있는 지폐군(Bm)측으로 이행하여 간다.
돌출시에서의 하중 조정 부재(60)의 적정한 돌출 길이(L)(하단 가장자리(60b)와 전벽(20)과의 거리, 도 4의 (b))는, 변형한 적재 지폐 다발의 적재 밸런스가 악화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적값으로까지 저감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회동축(65)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적재량의 다과(多寡)에 따라 돌출 길이(L)를 변화시키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도 4의 (b)의 예에서는, 압압면(60a)의 하단 가장자리(60b)가 조출 롤러(30)의 상면, 특히 지폐 하면과 접하는 조출 롤러 둘레면(30a)의 상부에 약간 오버행할 정도로 하고 있지만, 이 정도의 돌출 길이라도 충분히 조출 롤러로의 하중 경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저판 상의 지폐 다발의 조출을 완료한 시점에서, 하중 조정 부재(60)를 도 1, 도 2에 나타낸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 지폐의 조출 도중에 지폐 다발을 더 보태는 경우에는, 하중 조정 부재를 도 1, 도 2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켜 지폐 다발을 더 보태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하중 조정 부재(60)는 금속, 혹은 수지로 구성하지만, 작동했을 때에 그 선단 가장자리(60b)를 포함한 압압면(60a)에 의해 지폐 다발의 전측면을 압압하고, 압압 후에는 접촉하는 지폐로부터의 하중을 계속 지지하기 때문에, 지폐와의 사이에 필요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정도로 압압면(60a)의 마찰 계수를 설정한다. 혹은, 압압면(60a)의 마찰력을 조정하기 위해서 전면에 조면(粗面) 가공을 실시해도 좋다.
또, 압압면(60a)을 개략 평탄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시에 형성되는 지폐 다발의 변형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머물게 할 수 있다. 지폐 다발의 변형량이 과대하게 되어 V자 모양으로 안쪽부로 변위하는 거리가 과대하게 되면, 적재 밸런스가 무너져 조출 롤러에 지폐 다발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불안정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져오지만, 압압면을 평탄면으로 하는 것에 의해 돌출시의 압압면의 경사 각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므로 하중의 불안정화에 의한 급지 불량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압압면(60a)과 접하는 지폐군은, 조출 롤러가 급지를 계속해 가면, 압압면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해 가지만, 이 지폐의 하부로의 스무스한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압압면의 경사 각도, 마찰 저항 등을 설정한다.
따라서, 압압시의 지폐 다발의 변형량이 과대하게 되지 않고, 또한 지폐량의 감소에 따라서 압압면과 접하는 지폐군의 스무스한 하강을 방해하지 않는 한, 압압면(60a)을 오목면 모양으로 하거나, 조면화하거나, 다소의 단차부를 마련해도 지장없다.
본 예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60)는 그 상단부를 회동축(65)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축의 회동에 의해서 압압면(60a)은 원호 모양의 궤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압압시에는 압압면(60a)과 접하는 지폐군을 상부 방향으로 떠올리도록 압입할 수 있고, 압압 개시시에는 지폐군을 용이하게 압압면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압압이 종료한 시점에서는 압압면 상에 안정되게 지폐군을 계속 지지할 수 있다.
단, 이 구성은 일 예에 지나지 않고, 하중 조정 부재(60)를 회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직선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미리 압압면(60a)의 경사 각도를 압입 후에 지폐로부터의 하중을 받기 쉬운 각도로 미리 설정해 두고, 그 경사 각도를 유지한 채로 후방으로 이동하여 지폐 다발 측면을 압압하여, 압압 후에 하중을 계속 받도록 구성한다. 직선적으로 전후 이동시키는 방향은, 수평 방향 뿐만 아니라, 경사 상하 방향이라도 괜찮다.
혹은, 하중 조정 부재의 하부를 회동축에 의해서 전후 이동하도록 축지하고, 하중 조정 부재의 상부에 마련한 압압면을 전벽의 개구부로부터 지폐 적재부 내로 출몰시켜 지폐 측면을 압압하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하중 조정 부재(60)는 한 번에 돌출시켜도 좋고, 단계적으로(서서히) 돌출시켜도 괜찮다. 혹은, 전후, 좌우, 상하로 진동하면서 돌출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이들 보조적인 동작에 의해 지폐(의 엉킴)를 풀어내는 효과를 발휘하여 압입이 스무스하게 되어, 지폐 다발의 변형 상태를 적절히 할 수 있다.
하중 조정 부재(60)가 돌출되어 지폐 다발 측면을 국소적으로 압입할 때에는, 지폐를 면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뿐이므로 그다지 큰 저항은 없고, 슬라이드 후에 하중 조정 부재(60)의 경사진 압압면(60a) 상에 접한 지폐군, 및 그것보다 상측에 적층된 다른 지폐군으로부터의 하중의 일부를 계속 받는 것에 의해, 조출 롤러(30)가 받는 하중을 감소시킨 상태가 된다. 도 2와 같이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하기 전의 단계에서는, 지폐 다발 자체의 과대한 중량에 의해서 개개의 지폐 사이가 밀착하고 있지만, 도 4와 같이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되는 것에 의해 지폐의 면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게 하는 거동에 의해서 지폐(의 엉킴)을 풀어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량으로 적재한 지폐 다발의 하중의 대부분을 조출 롤러(30)에서 받으면, 적절 하중 이상의 이송력(지폐와의 마찰력)이 발생하고, 겹침 이송 등의 조출 불량이 발생하지만, 하중 조정 부재(60)의 경사진 압압면(하중 받이면)(60a)이 지폐 다발의 하중을 받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조출 롤러는 항상 일정한 적정 하중을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안정된 조출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겹침 이송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즈가 다른 지폐가 혼재하고 있는 경우에도 겹침 이송, 스큐 등의 급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의 작동시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지폐 매수가 감소한 상태에서의 하중 조정 부재의 기능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8의 (a)는 동일한 지엽 적재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하중 조정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지폐 계수 장치(지엽 계수 장치)(1)가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은, 하중 경감 부재로서의 하중 조정 부재(60)의 형상에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60)를 박판 모양, 또한 가는 폭의 띠 모양의 2개의 부재로 구성했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최대 사이즈의 지폐의 가로폭의 1/2~2/3 정도의 큰 가로폭을 가진 부재를 이용하고 있다. 또, 이 하중 조정 부재(60)는, 저면(60c)의 전후폭(두께)이 크게 구성되어 있고, 저판(10) 상의 지폐 매수가 감소해 온 경우에 하중 조정 부재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저면(60c)에 의해서 지폐 다발 상면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조출 롤러(30)에 대한 하중을 적정값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발휘한다.
또, 하중 조정 부재(60)의 형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전벽에 형성하는 개구부(21)의 형상도 변화시키는 것은 물론이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중 조정 부재(60)의 형상, 폭, 개수는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하다.
하중 조정 부재(60)의 후면에 마련한 경사진 압압면(60a)은, 작동하여 지폐 다발의 전측 단면(端面)의 중간부를 안쪽부, 또한 상부로 압압 변형시켰을 때에 접촉하는 지폐로부터의 하중을 계속하여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그 경사 각도, 재질을 선정한다.
또, 도 8의 (b)와 같이 판 부재를 대략 L자 모양으로 구성해도 괜찮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의 작동시의 정면도, 및 Z-Z 단면도이고, 도 10은 동일 지엽 적재 장치의 하중 조정 부재가 지엽 다발 상면을 압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부 종단면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하중 조정 부재를 작동시키는 구동 기구(승강 기구)의 후면측 사시도, 및 정면측 사시도이다.
또, 제2 실시 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 관한 지폐 적재 장치와 제2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은, 하중 조정 부재(하중 조정 유닛(U))를 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한 점에 있다.
하중 조정 유닛(U)은, 하중 부가 부재로서의 하중 조정 부재(60), 회동축(65), 지지 부재(66), 구동 기구(70)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하중 조정 유닛(U)은, 지폐 적재 장치 본체측에 배치된 승강 기구(구동 기구)(80)에 의해서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강 기구(80)는, 전벽(20)과 병행하게 배치된 2개의 승강 가이드 레일(81)과, 각 승강 가이드 레일(81)에 대해서 승강 가능하게 걸리는 슬라이더(82)와, 도시하지 않은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원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더(82)는 지지 부재(66)의 전부(前部)에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더(82)의 승강을 따라서 하중 조정 유닛(U)은 상하 이동하여, 임의의 높이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계수 개시 당초에 저판 상에 1000매 이상의 많은 매수가 적재되어 있었다고 해도, 지폐의 조출이 진행됨에 따라 잔존 매수가 감소한다. 지폐 다발로부터 조출 롤러(30)에 대해서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고 있는 동안은 하중 조정 부재(60)를 지폐 적재부(5) 내로 돌출시켜 지폐 다발의 하중의 일부를 받는 것에 의해 조출 롤러로의 하중을 적정값으로 조정할 수 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폐 다발(B)의 매수가 과소가 되면 지폐 다발로부터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과소가 되어 조출 불량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적재 매수가 과소가 되면, 조출 롤러의 회전에 의해서 지폐 다발이 밀어 올려져 바운드를 일으킨다. 이 바운드에 의해서 조출 롤러 둘레면과 최하부의 지폐면이 이간하면, 공진(空振)이 발생하여 조출 타이밍이 불안정하게 된다.
도 9는 적재 매수가 과대한 때에 하중 조정 부재(60)를 작동시켜 지폐 다발 측면을 압압한 상태인 채로 조출을 계속한 결과로서, 적재 매수가 감소하여 지폐 다발 상면의 위치가 하중 조정 부재의 저면(60c)보다도 하부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기 위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기구(80)를 작동시켜 하중 조정 유닛(U)을 전체로서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돌출 상태에 있는 하중 조정 부재(60)의 저면(60c)에 의해서 지폐 다발(B)의 상면 적소(조출 롤러(30)의 바로 상부)를 하부로 압압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60)는 하중 경감 부재가 아니라, 하중 부가 부재로서 기능한다.
하중 조정 부재의 저면(60c)에 의해서 조출 롤러의 상부에 상당하는 지폐 다발 상면 부위를 하부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바운드를 방지할 수 있다.
하중 조정 부재의 저면(60c)과 지폐 다발 상면과의 접촉 부위는, 조출 롤러와 지폐와의 접촉 부위의 상부로서, 가압력을 조출 롤러와 지폐와의 접촉 부위로 전달되는 범위로 한다.
저판 상의 지폐 다발의 적재량이 도 10의 상태로부터 더 감소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지폐의 감소 상태를 센서(35)에 의해 적절히 검지한 다음에 승강 기구(80)를 작동시켜 하중 조정 유닛(U)을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혹은, 승강 기구(80)를 구성하는 구동원에 의해서 항상 일정한 힘으로 하중 조정 유닛(U)을 하강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지폐 다발의 적재량의 감소에 따라서 하중 조정 부재가 하강하여 가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하중 조정 부재의 저면(60c)이 지폐 다발 상면에 접촉할 때의 경사 각도는 회동축(65)의 회동 각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적정값으로(면접촉이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중 조정 유닛(U)의 승강 방향을 전벽(20)과 병행으로 했지만, 이것은 일 예이며 전벽과 비평행한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승강 기구(80)에 의해서 하중 조정 유닛(U)의 높이 위치를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적재 지폐 다발의 적재량의 다과 등의 조건의 차이에 따라서, 지폐 다발의 전측면을 압압할 때의 하중 조정 부재의 높이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지엽 적재 장치에서의 하중 조정 방법>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를 이용한 하중 조정 방법(하중 경감 방법)은,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는, 하중 조정 방법으로서도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에서의 하중 조정 방법은, 많은 매수의 지엽을 적층 상태로 적재하는 저판(10), 및, 적재 지엽 다발(B)의 전측면과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전벽(20)을 가지는 지엽 적재부(5)와, 적재 지엽 다발의 적재량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35)과, 적재 지폐 다발의 최하부의 지엽 저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최하부의 지엽을 전벽을 넘어 지엽 적재부 밖으로 송출하는 조출 롤러(30)와, 전벽을 넘어 지엽 적재부 내로 돌출되거나, 상기 지엽 적재부 밖으로 퇴피 가능하게 배치된 하중 조정 부재(60)와, 해당 하중 조정 부재를 돌출, 퇴피, 혹은 승강시키는 구동 기구(70, 80)와,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되었을 때에, 적재 지엽 다발의 전측면을 압압면(60a)에 의해서 압압하여 안쪽부로 변위시킴과 아울러, 해당 압압면에 의해서 지엽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 적재 지엽 다발로부터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하는 지엽 적재 장치에서의 하중 조정 방법으로서, 검지 수단이 저판 상에서의 지엽의 적재량을 검지하는 스텝과, 검지 수단이, 적재량이 1개의 기준값(기준값 1)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제어 수단이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하중 조정 부재를 돌출시키고나서 조출 롤러를 구동 개시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또한, 검지 수단이, 적재량이 다른 기준값(기준값 2)을 하회하고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제어 수단이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하중 조정 부재를 적재 지엽 다발 상으로 하강시켜 가압을 행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도 13은 이 하중 조정 방법의 제어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스텝 S1에서 저판(10) 상에 지엽 다발이 셋팅된 것이 센서(35)에 의해서 검지되면, 스텝 S2에서 센서(35)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여 적재 지엽의 양이 기준값 1을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기준값 1은 당해 장치에서 조출 롤러(30)에 의한 정상적인 조출 동작을 불가능하게 할 정도로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과대가 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이다. 스텝 S2가 NO인 경우에는 스텝 S3로 진행되고, 하중 조정 부재를 도 1, 도 2에 나타낸 퇴피 위치에 유지한다. 한편, 스텝 S2가 YES인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되고, 제어 수단이 구동 기구(70)를 작동시켜 그때까지 퇴피 위치에 있던 하중 조정 부재(60)를 도 3, 도 4에 나타낸 돌출 위치로 변위시킴과 아울러, 스텝 S5에서 구동 기구(50)를 작동시켜 조출 롤러(30), 분리 롤러쌍(40), 및 반송 롤러군(45)을 구동 개시한다.
스텝 S6 이후는, 제3 실시 형태에 대응하고 있다.
즉, 스텝 S6에서 센서(35)로부터의 출력에 근거하여 적재 지엽의 양이 기준값 2를 하회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기준값 2는, 당해 장치에서 조출 롤러(30)에 의한 정상적인 조출 동작을 불가능하게 할 정도로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과소로 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준이다.
기준값 2를 하회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7로 진행되어 승강 기구(80)를 작동시켜 하중 조정 부재(60)를 하강시켜 적재 지엽 다발 상면에 맞닿게 하여 가압을 행한다.
또한, 스텝 S8에서 제어 수단은 적재 지엽이 남아 있는지의 여부를 센서(35)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해 판정하고, 잔존 지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지엽 적재 장치의 적용예>
도 14는 본 발명의 지엽 적재 장치를 적용하는 지엽 취급 장치의 일 예로서의 지폐 정리기의 개략 구성 설명도이다.
이 지폐 정리기(100)는, 지폐 적재 장치(1)와, 지폐 적재 장치(1)로부터 조출되어 온 지폐의 금종, 진안(진짜와 가짜) 등을 판정하는 지폐 식별부(105)와, 지폐 식별부(105)에 의해 금종의 판정을 받는 지폐를 금종별로 수납하는 지폐 집적부(110~113)와, 리젝트(reject)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 리젝트부(120)와, 반송 기구(130)와, 제어 수단(150)을 개략 구비하고 있다.
지폐 식별부(105)가, 지폐 적재 장치(1)로부터 조출되어 온 지폐가 수용할 수 없는 지폐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어 수단(150)은 반송 기구(130)를 구동하여 이 지폐를 지폐 리젝트부(120)로 반송하고, 수용 가능한 진정 지폐인 경우에 금종별로 지폐를 어느 하나의 지폐 집적부(110~113)로 배분한다.
지폐 적재 장치(1)는, 하중 조정 부재(60)를 이용하여 조출 롤러(30)로의 하중을 항상 적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겹침 이송, 스큐, 조출 롤러의 공진 등의 조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지폐 정리기(100)의 가동률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지폐 적재 장치는 계수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 자동 판매기, 입출금 장치, 환전기 등의 지폐 취급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작용, 효과의 정리>
제1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는, 많은 매수의 지엽(지엽 다발)을 적층 상태로 적재하는 저판(10), 및, 적재 지엽 다발(B)의 전측면과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전벽(20)을 가지는 지엽 적재부(5)와, 적재 지엽 다발의 최하부의 지엽 저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최하부의 지엽을 전벽(20)을 넘어 지엽 적재부 밖으로 송출하는 조출 롤러(30)와, 전벽을 넘어 지엽 적재부(5) 내로 돌출되거나, 해당 지엽 적재부 밖으로 퇴피 가능하게 배치된 하중 조정 부재(60)를 구비하며,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되었을 때에, 적재 지엽 다발의 전측면을 압압면(60a)에 의해서 압압하여 안쪽부로 변위시킴과 아울러, 상기 압압면에 의해서 지엽 다발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 적재 지엽 다발로부터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 위치에 있을 때에 압압면(60a)이 적재 지엽 다발의 전측면 적소를 압입하는 것에 의해, 압압면(60a)에 전단 가장자리를 접촉시키고 있는 지엽군, 및 그것보다도 상부에 있는 지엽군은 하중의 일부를 압압면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이 때문에, 받아들여진 만큼에 상당하는 하중이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경감된다. 지엽의 사이즈의 대소에 관계없이 압압면(60a)에 의해 압압된 지엽은 그 전단 가장자리를 압압면에 접촉시킨 상태가 되므로, 압압면은 지엽으로부터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조출 롤러에 의한 지엽의 조출이 진행되어 압압면과 접촉하고 있던 지엽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 순차적으로 압압면으로부터 이탈해 가면, 그것까지 압압면과 접촉하지 않았던 상부의 지폐가 순차적으로 하강하여 와서 전단 가장자리를 압압면과 접촉시킨 상태로 이행하므로, 압압면에 의한 하중을 분산시키는 기능은 여전히 계속적으로 발휘된다.
또, 압압면에 전단 가장자리를 접촉시킨 지엽군(Bm)보다도 하부에 위치하는 지엽군(Bd)은 후방(지엽 조출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해서 변형하여 평행사변형 모양이 되기 때문에, 지엽군의 후방의 하중의 일부가 저판 상에 분산되어, 그 만큼에 상당하는 하중이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으로부터 경감된다.
하중 조정 부재(60)의 형상, 구조, 재질은, 하중 경감 기능, 하중 부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선정한다.
하중 조정 부재(60)의 출몰, 진퇴의 경로는, 곡선적이라도 좋고, 직선적이라도 좋다.
지엽은, 지폐에 한정되지 않고, 티켓, 유가 증권, 투표 용지 등등의 각종지엽을 포함한다.
지엽 다발은, 복수의 지엽을 겹쳐 다발 모양으로 한 것을 지칭한다. 다발을 구성하는 개개의 지엽의 사이즈, 형상, 두께, 재질이 다른 것을 적층하여 다발 모양으로 하고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적재 지엽 다발은, 복수의 지엽을 겹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한 것을 의미하고, 실시 형태예와 같이 개개의 지엽이 면방향으로 조금씩 위치 어긋나고 있는 것에 의해 전측면(BF)이 전체로서 경사져 적층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 개개의 지엽이 면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 없이 전측면(BF)이 전체로서 수직으로 적층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 지엽 적재 장치는 계수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각종 자동 판매기, 입출금 장치, 환전기 등의 지폐 취급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이들 지폐 취급 장치는, 이용자가 투입한 지폐, 혹은 미리 준비된 지폐를 금고 등의 지폐 수납부에 적층 상태로 수납해 두고, 조출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잔돈이나 지출금으로서 1매씩 조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지폐 수납부 내에 조출 롤러의 적정 하중을 넘는 지폐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의 하중 경감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에 의해 조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적재 지폐량이 과소이기 때문에 조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하중 부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2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60)는, 회동축(65)을 중심으로 한 원호 모양의 궤적을 따라서 지엽 적재부에 대해서 진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회동축에 의해 하중 조정 부재의 상부를 지지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회동축보다도 하부에 위치하는 하중 조정 부재의 압압면에 의해서 적재 지엽 다발의 전측면을 압입하여 변형시킨다. 압압면은 접촉하는 지엽군을 원호 모양의 궤도에 의해 떠올리도록 압입하기 때문에, 전단 가장자리를 접촉시키고 있는 지엽군과, 그것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지엽군의 하중의 일부를 압압면에 의해서 받을 수 있다.
또, 회동축에 의해 하중 조정 부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에 의해, 회동축보다도 상부에 위치하는 압압면에 의해서 적재 지엽 다발의 전측면을 압입하여 변형시켜도 괜찮다.
제3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60)는, 직선 모양의 궤적을 따라서 지엽 적재부에 대해서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선 모양의 궤적은, 수평한 궤적은 물론, 경사 상부 방향으로부터 경사 하부 방향으로 향하는 직선적인 궤적이나, 경사 하부 방향으로부터 경사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직선적인 궤적도 포함한다.
압압면이 적재 지엽 다발의 전측면을 압압했을 때에 압압면이 경사 상향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하중 조정 부재를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돌출 위치로 이동시켰다고 해도, 압압면에 의해서 지폐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60)는, 저판(10) 상의 지엽 다발의 상면에 접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조출 롤러로의 하중을 부가(추가,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출 작업이 진행하여 적재 지엽 다발의 양이 감소해 온 경우에는 급지 롤러로의 조출용의 하중이 부족하여 조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하중 조정 부재를 지엽 다발의 상면에 접촉시켜 하부에 가압하는 것이 유효하다.
제5 본 발명에 관한 지엽 적재 장치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60)는, 적재 지엽 다발의 적재 방향을 따라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재 지엽 다발의 양이 감소하여 온 경우에 하중 조정 부재를 적재 지엽 다발의 상면에 접촉시켜 하부로 가압할 필요가 있지만, 하중 조정 부재를 상하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타이밍으로 적재 지엽 다발의 상면에 하강시켜 가압을 개시할 수 있다. 가압이 불필요하게 된 경우에는 상부로 퇴피시킬 수 있다.
또, 하중 조정 부재가 지엽 다발을 압압할 때의 높이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6 본 발명에 관한 하중 조정 방법에서는, 제1 내지 제5 검지 수단이 저판 상에서의 지엽의 적재량(적층량, 퇴적량)을 검지하는 스텝과, 검지 수단이, 적재량이 1개의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제어 수단이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하중 조정 부재를 돌출시키고나서 조출 롤러를 구동 개시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스텝으로 이루어지는 하중 조정 방법에 의하면, 하중 조정 부재를 돌출시키기만 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조출 롤러에 대한 적재 지엽 다발로부터의 하중, 하중 밸런스를 조정하여, 조출 롤러에 대해서 최적인 조출 하중을 부여할 수 있다.
제7 본 발명에 관한 하중 조정 방법에서는, 하중 조정 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며, 검지 수단이, 적재량이 다른 기준값을 하회하고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제어 수단이 승강 기구를 구동하여 하중 조정 부재를 적재 지엽 다발상으로 하강시켜 가압을 행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하중 조정 부재를 승강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조출 롤러에 대한 적재 지엽 다발로부터의 하중, 하중 밸런스를 조정하여, 조출 롤러에 대해서 최적인 조출 하중을 부여할 수 있다.
1 - 지폐 적재 장치(지엽 적재 장치) 5 - 지폐 적재부(지엽 적재부)
10 - 저판 15, 16 - 측판
20 - 전벽 21 - 개구부
30 - 조출 롤러 30a - 고마찰부
31 - 회전축 32 - 풀리
35 - 검지 수단(센서) 40 - 분리 롤러쌍
41 - 마찰 롤러 41a - 회전축
41b - 풀리 42 - 리버스 롤러
45 - 반송 롤러 45a - 회전축
45b - 벨트 46 - 풀리
50 - 구동 기구 51 - 모터
51a - 출력 풀리 53 - 타이밍 벨트
60 - 하중 조정 부재 60a - 압압면
60b - 선단 가장자리(하단 가장자리) 60c - 저면
61 - 피검지편 63 - 센서
65 - 회동축 66 - 지지 부재
66a - 측판 0 - 구동 기구
71 - 종동 기어 73 - 모터
74 - 출력 기어 80 - 승강 기구
81 - 승강 가이드 레일 82 - 슬라이더
100 - 지폐 정리기(지엽 정리기)
105 - 지폐 식별부(지엽 식별부)
110 - 지폐 집적부(지엽 집적부)
120 - 지폐 리젝트부(지엽 리젝트부)
130 - 반송 기구 150 - 제어 수단

Claims (7)

  1. 지엽(紙葉) 다발을 적재하는 저판, 및, 상기 지엽 다발의 전측면(前側面)과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전벽(前壁)을 가지는 지엽 적재부와,
    상기 지엽 다발의 최하부의 지엽 저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최하부의 지엽을 상기 전벽을 넘어 상기 지엽 적재부 밖으로 송출하는 조출 롤러와,
    상기 전벽을 넘어 상기 지엽 적재부 내로 돌출되거나, 상기 지엽 적재부 밖으로 퇴피(退避) 가능하게 배치된 하중 조정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되었을 때에, 상기 지엽 다발의 전측면의 중간부를 압압면(押壓面)에 의해서 압압하여 안쪽부, 또한 상부로 변위시킴과 아울러, 상기 압압면에 의해서 상기 지엽 다발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 상기 지엽 다발로부터 상기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하고,
    상기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하중 조정 부재의 하단 가장자리, 또는 저면이, 상기 조출 롤러와 상기 지엽 다발의 저면과의 접촉 부위의 상부에 오버행한 위치에 있고,
    상기 하중 조정 부재는, 상기 저판 상의 지엽 다발의 매수가 감소되어 왔을 때에 상기 지엽 다발의 상면에 접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출 롤러로의 하중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적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 조정 부재는, 회동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 모양의 궤적을 따라서 상기 지엽 적재부에 대해서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적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중 조정 부재는, 직선 모양의 궤적을 따라서 상기 지엽 적재부에 대해서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적재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중 조정 부재는, 상기 지엽 다발의 적재 방향을 따라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적재 장치.
  5. 지엽을 적재하는 저판, 및, 지엽 다발의 전측면과 접촉하여 이것을 지지하는 전벽을 가지는 지엽 적재부와, 상기 지엽 다발의 적재량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지엽 다발의 최하부의 지엽 저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최하부의 지엽을 상기 전벽을 넘어 상기 지엽 적재부 밖으로 송출하는 조출 롤러와, 상기 전벽을 넘어 상기 지엽 적재부 내로 돌출되거나, 상기 지엽 적재부 밖으로 퇴피 가능하게 배치된 하중 조정 부재와, 상기 하중 조정 부재를 돌출, 퇴피, 혹은 승강시키는 구동 기구와, 제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되었을 때에, 상기 지엽 다발의 전측면의 중간부를 압압면에 의해서 압압하여 안쪽부, 또한 상부로 변위시킴과 아울러, 상기 압압면에 의해서 지엽으로부터의 하중을 받는 것에 의해 상기 지엽 다발로부터 상기 조출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을 경감하고,
    상기 하중 조정 부재가 돌출하였을 때에는 상기 하중 조정 부재의 하단 가장자리, 또는 저면이, 상기 조출 롤러와 상기 지엽 다발의 저면과의 접촉 부위의 상부에 오버행한 위치에 있고,
    상기 하중 조정 부재는, 상기 저판 상의 지엽 다발이 감소하여 왔을 때에 상기 지엽 다발의 상면에 접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 조출 롤러로의 하중을 부가하는 지엽 적재 장치에서의 하중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저판 상에서의 지엽의 적재량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적재량이 1개의 기준값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하중 조정 부재를 돌출시키고나서 상기 조출 롤러를 구동 개시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적재 장치에서의 하중 조정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검지 수단이, 상기 적재량이 다른 기준값을 하회하고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상기 하중 조정 부재를 상기 지엽 다발 상으로 하강시켜 가압을 행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 적재 장치에서의 하중 조정 방법.
  7. 삭제
KR1020197028153A 2017-06-02 2018-02-23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 KR1024609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0085 2017-06-02
JP2017110085A JP6850685B2 (ja) 2017-06-02 2017-06-02 紙葉積載装置、及び荷重調整方法
PCT/JP2018/006639 WO2018220913A1 (ja) 2017-06-02 2018-02-23 紙葉積載装置、及び荷重調整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728A KR20200014728A (ko) 2020-02-11
KR102460933B1 true KR102460933B1 (ko) 2022-11-01

Family

ID=6445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153A KR102460933B1 (ko) 2017-06-02 2018-02-23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08276B2 (ko)
EP (1) EP3584202A4 (ko)
JP (1) JP6850685B2 (ko)
KR (1) KR102460933B1 (ko)
CN (1) CN110546092B (ko)
BR (1) BR112019017357A2 (ko)
MX (1) MX2019009930A (ko)
PH (1) PH12019501994A1 (ko)
WO (1) WO20182209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7259A (zh) * 2019-01-29 2019-04-12 成都恩普生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封闭式试纸条出纸机构
JP2021012559A (ja) * 2019-07-08 2021-02-0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取込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CN111137708A (zh) * 2020-01-17 2020-05-12 深圳市赛尔瑞科技有限公司 进卡装置和具有该进卡装置的证卡打印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89731A (en) * 1951-12-11 1954-09-21 Raymond Bag Company Article feeding mechanism
JPS5140770B2 (ko) * 1971-09-09 1976-11-05
JPH06305586A (ja) * 1993-04-26 1994-11-01 Omron Corp 紙葉類の下繰出し装置
JP2000044065A (ja) * 1998-08-03 2000-02-15 Mitsubishi Heavy Ind Ltd 段ボールシートの給紙装置
US20020125628A1 (en) * 2001-03-09 2002-09-12 Pao-Jung Chen Locating structure of a card-dispensing stop board of a card device
JP3866090B2 (ja) 2001-11-21 2007-01-1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2007290850A (ja) * 2006-04-27 2007-11-08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集積繰出装置
JP2008044708A (ja) * 2006-08-14 2008-02-28 Oki Electric Ind Co Ltd 紙葉類分離繰出機構
JP4723003B2 (ja) * 2007-02-08 2011-07-13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押さえ装置
JP5274999B2 (ja) * 2007-12-12 2013-08-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取扱装置
JP6064597B2 (ja) * 2012-12-28 2017-01-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取引装置
CN204355810U (zh) * 2014-11-20 2015-05-27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挖钞装置
US10377591B2 (en) * 2017-07-07 2019-08-13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Input handling for media processing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0913A1 (ja) 2018-12-06
JP2018203446A (ja) 2018-12-27
JP6850685B2 (ja) 2021-03-31
PH12019501994A1 (en) 2020-12-07
KR20200014728A (ko) 2020-02-11
CN110546092B (zh) 2022-05-10
EP3584202A1 (en) 2019-12-25
BR112019017357A2 (pt) 2020-03-31
CN110546092A (zh) 2019-12-06
US11208276B2 (en) 2021-12-28
US20200010292A1 (en) 2020-01-09
MX2019009930A (es) 2020-02-05
EP3584202A4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0933B1 (ko) 지엽 적재 장치, 및 하중 조정 방법
WO2010021198A1 (ja) 媒体処理装置
JP5732367B2 (ja) 紙幣取扱装置
KR100893707B1 (ko) 종이류 다발의 높이 검출 방법 및 종이류 취급 장치
JP5094143B2 (ja) 紙葉類繰出装置及び紙葉類集積装置
JP3472689B2 (ja) 紙葉類堆積装置
JP5130508B2 (ja) 紙幣収納庫、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5101154B2 (ja) 紙幣一括払出し装置
WO2023119495A1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13058072A (ja) 紙幣還流装置
JP4663380B2 (ja) 小束紙幣処理機
WO2016132609A1 (ja) 媒体引渡装置及び媒体集積受渡機構
JP5101153B2 (ja) 紙幣払い出し装置
JPH04125237A (ja) 紙葉類自動取扱い装置
JPH0825694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23140894A (ja) 還流式紙葉収納装置、及び紙葉処理装置
JP2024038597A (ja) 紙幣束繰り出し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2019016144A (ja) 紙葉の角折れ部矯正機構、角折れ部矯正方法、及び紙葉取扱装置
JPS61130133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JPS63139826A (ja) 紙幣循環装置
JP2002308516A (ja) 紙幣還流装置
JPS6221641A (ja) 紙葉類取扱装置
JPS61174040A (ja) 紙葉類送出装置
JPS62218339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JPS61291327A (ja) 紙葉類取扱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