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263B1 - 타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263B1
KR102460263B1 KR1020180152734A KR20180152734A KR102460263B1 KR 102460263 B1 KR102460263 B1 KR 102460263B1 KR 1020180152734 A KR1020180152734 A KR 1020180152734A KR 20180152734 A KR20180152734 A KR 20180152734A KR 102460263 B1 KR102460263 B1 KR 102460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layer
weight
foam
mel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475A (ko
Inventor
정우철
남승백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5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2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2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32B2419/04Tiles for floors or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포폼 및 밸런스층 사이에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을 포함하여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등의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치수 안정성, 휨 안정성 및 내캐스터성이 우수한 타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일 및 그 제조방법{Ti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포폼 및 밸런스층 사이에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을 포함하여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치수 안정성, 휨 안정성 및 내캐스터성이 우수한 타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타일은 백색시트 상에 그라비아 인쇄 또는 전사 인쇄를 실시하여 인쇄층을 제조한 후 투명층으로 상기 인쇄층을 보호하여 외관을 표현하고, 제품의 구조 안정성을 위해서 상기 인쇄층 하부에 베이스층 및 밸런스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제조되었다.
이러한 타일은 최하부에 위치하는 밸런스층이 비발포체이므로 실제 사용 시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등의 기능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열 합판을 통해 밸런스층의 이면에 발포폼을 접합시킨 타일이 개발되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057957호에서는 아래로부터 밸런스층, 제2기재층, 치수보강층, 제1기재층, 인쇄층 및 투명필름층을 적층하여 열 합판하고, 그 후 발포폼인 쿠션층을 상기 밸런스층에 열 합판한 후, 상기 쿠션층의 이면에 엠보를 형성하여 쿠션엠보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타일 형태의 바닥장식재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열 합판을 통해 밸런스층의 하부에 발포폼을 접합시키는 경우, 쿠션층 내 발포셀이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아크릴계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여 밸런스층의 하부에 발포폼을 접착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상기 방법 또한 밸런스층에 비하여 수축률이 큰 발포폼을 아크릴계 핫멜트 접착제 및/또는 밸런스층이 잡아주지 못하여 장기간 사용 시 발포폼이 수축함에 따라 치수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온도에 의하여 휨이 발생하거나, 시공 후 클릭 부위 아래가 발포폼의 수축으로 생긴 공간만큼 들떠 있게 되어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치수 안정성, 휨 안정성 및 내캐스터성이 우수한 타일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2010-0057957 A(2010.06.03)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등의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치수 안정성, 휨 안정성 및 내캐스터성이 우수한 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서 상부로 발포폼,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포함하되,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1% 이하인 것인 타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폼,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제조하는 단계(S1); 하부에서 상부로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적층한 후 합판하는 단계(S3); 상기 밸런스층 하부에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5); 및 상기 밸런스층 하부에 발포폼을 접착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1% 이하인 타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일은 발포폼 및 밸런스층 사이에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발포폼의 수축이 방지되어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치수 안정성, 휨 안정성 및 내캐스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타일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부에서 상부로 발포폼(10),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 밸런스층(30), 베이스층(50), 인쇄층(70) 및 투명층(90)을 포함하되,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1% 이하인 것인 타일(1)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포폼(10)은 타일(1)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보행감 부여,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효과 등을 구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10)은 일례로 PVC(Polyvinyl chloride) 폼, EVA(Ethylene-vinyl acetate) 폼 및 PE(Polyethylene) 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다.
상기 PVC 폼은 일례로, PVC 수지 30-60 중량% 또는 40-50 중량%, 충전제 5-25 중량% 또는 10-25 중량%, 가소제 25-45 중량% 또는 30-40 중량% 및 발포제 0.1-10 중량% 또는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EVA 폼은 일례로, EVA 수지 50-90 중량% 또는 60-80 중량%, 충전제 10-20 중량% 또는 5-15 중량% 및 발포제 1-20 중량% 또는 5-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PE 폼은 일례로, PE 수지 30-70 중량% 또는 40-60 중량%, 충전제 10-30 중량% 또는 5-20 중량% 및 발포제 1-30 중량% 또는 5-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E 폼은 강도, 내수성, 단열성 및 내구성 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전자선 조사를 통해 가교될 수 있다.
상기 발포폼(10)은 발포폼(10)용 조성물을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1-1.0mm 또는 0.2-0.5mm인 시트 상으로 제조한 후 상기 시트를 발포시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10)은 두께가 0.1-3.0mm 또는 0.1-2.0mm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1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보행감 부여,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등의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발포폼(10)은 발포배율이 150-1000% 또는 200-800%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1)은 상기 범위의 발포배율을 가짐으로써 보행감 부여, 충격 흡수 및 소음 방지 등의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발포배율은 아래와 같이 계산하였다.
발포배율 = Ta/Ta ' X 100%
Ta : 발포 후 두께
Ta ' : 발포 전 두께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은 130-220℃ 또는 150-200℃에서 가열되어 용융 상태인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가 고상으로 굳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발포폼(10)과 후술할 밸런스층(3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발포폼(10) 및 밸런스층(30)을 접착함과 아울러 상기 발포폼(10)의 수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발포폼(10)은 일례로, 캘린더링 성형 시 받은 장력에 의해 수축하는 성질이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수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상으로 굳어 형성된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은 종래의 아크릴계 핫멜트 접착층에 비해 경도가 훨씬 높아 상기 발포폼(10)에 비하여 수축하는 성질이 훨씬 작은 밸런스층(30) 및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이 상기 발포폼(10)을 효과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상기 발포폼(10)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의 20-45℃에서의 경도(Shore A)는 15-30 또는 18-25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의 경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상기 발포폼(10)을 잡아주는 역할이 미미하여 상기 발포폼(10)이 수축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이 얇게 형성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을 구성하는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유리전이온도는 -30-15℃ 또는 -20-5℃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바닥난방 시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은 경도가 너무 낮아져 상기 발포폼(10)을 잡아주는 역할이 미미하여 타일(1)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경도가 너무 높아져 가공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융점은 80-130℃ 또는 90-120℃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융점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및 이로 형성되는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이 지나치게 물러질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접착 시 상기 발포폼(10) 및 밸런스층(30)이 접착과정에서 고온의 접착제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비중은 0.8-1.2 또는 0.9-1.1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비중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상기 타일(1)의 경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경량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180℃에서의 점도는 500-3,000cps 또는 700-2,900cps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의 점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너무 묽어 접착 대상 표면에서 벗어나 흐르게 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는 일례로, 무정형 폴리올레핀 20-55 중량%, 점착 부여 수지 35-55 중량% 및 가소제 10-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정형 폴리올레핀은 결정도가 낮거나 없는 중합체로, 접착력, 내열성 및 내한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정형 폴리올레핀은 일례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및 1-아이토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선형 알파-올레핀이 공중합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무정형 폴리올레핀은 그대로 사용되거나 무수말레산(MAH) 또는 불포화 실란 화합물로 개질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정형 폴리올레핀은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 내 20-55 중량% 또는 25-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무정형 폴리올레핀이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무정형 폴리올레핀의 첨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점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접착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례로 방향족 석유수지, 지방족 석유수지, 수소 첨가 석유수지, 로진산, 로진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계 수지, 쿠마론인덴 수지, 테르펜계 수지, 페놀계 수지 및 폴리 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여기서, 석유수지란 나프타 등의 고온열분해유 속에 있는 고급불포화탄화수소를 원료로 하여 산성 촉매로 중합시켜 얻는 중량평균 분자량 2,000 이하의 연한 황색 또는 흑갈색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석유수지는 나프타 분해공정 중 올레핀 공정에서 생산되는 유분 가운데 C9 유분을 주 원료로 하여 생산되는 수지로서, 연화점은 약 80~150℃,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600~1,500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석유수지는 일례로 스티렌 비닐 톨루엔, α-메틸스티렌, 인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는 나프타 분해공정 중 올레핀 공정에서 생산되는 유분 가운데 C5 유분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수지로서, 연화점은 약 70~100℃, 중량평균 분자량은 약 800~2,000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는 일례로 이소프렌, 피페리렌-2-메틸부텐-1 등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는 디시클로펜다디엔을 원료로 제조된 석유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소 첨가 석유수지는 상기 방향족 석유수지와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에 수소를 첨가하여 형성된 수지로서, 무색 투명하고 자외선 안정성 등 전반적인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 부여 수지는 구체적 일례로 스티렌 비닐 톨루엔, α-메틸스티렌 및 인덴의 삼원공중합체에 수소를 첨가하여 형성된 폴리(메틸스티렌-코-인덴)일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 내 35-55 중량% 또는 40-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접착력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유연성을 부여하고, 겉마름 현상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례로 액체 탄화수소 수지, 액체 폴리테르펜, 액체 폴리이소부틸렌, 왁스 및 오일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상기 가소제는 올레핀계 수지에 대한 상용성이 뛰어난 폴리이소부틸렌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 내 10-30 중량% 또는 10-2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접착제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흐름성이 높아지고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은 일례로 경화촉매, 실란 커플링제, 충진제, 난연제, 안료, 산화 방지제, 자외선 안정제, 분산제, 소포제, 증점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 수지 및 실란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밸런스층(30)은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 상부에 위치하여 타일(1)에 휨 밸런스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30)은 밸런스층(30)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일례로 PVC 수지 30-50 중량% 또는 35-45 중량%, 충전제 30-50 중량% 또는 35-45 중량% 및 가소제 1-15 중량% 또는 5-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30)은 두께가 0.1-2.0mm 또는 0.4-1.6mm일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3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타일(1)에 휨 밸런스를 부여하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50)은 상기 밸런스층(30) 상부에 위치하여 타일(1)에 볼륨 및 강도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50)은 베이스층(50)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일례로 PVC 수지 5-20 중량% 또는 10-15 중량%, 충전제 65-85 중량% 또는 70-80 중량% 및 가소제 1-15 중량% 또는 3-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50)은 두께가 0.5-5.0mm 또는 1.0-4.0mm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층(5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타일(1)에 볼륨 및 강도를 부여하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70)은 상기 베이스층(50) 상부에 위치하여 타일(1)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70)은 단색필름 표면에 일례로, 전사 인쇄, 그라비아 인쇄 및 스크린 인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인쇄 방법을 통해 인쇄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단색필름은 흰색 또는 그 밖의 다른 색상을 띄는 층으로, 단색필름용 조성물을 성형하에 제조되는 것이며, 일례로 PVC 수지 60-80 중량% 또는 65-75 중량%, 충전제 5-20 중량% 또는 10-15 중량%, 가소제 1-20 중량% 또는 5-15 중량% 및 안료 0.001-5 중량% 또는 0.01-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70)은 두께가 0.01-2.0mm 또는 0.05-1.0mm 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7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타일(1)에 다양한 외관 및 디자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90)은 상기 인쇄층(70) 상부에 위치하여 타일(1)의 내캐스터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인쇄층(5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90)은 투명층(90)용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일례로 PVC 수지 60-80 중량% 또는 65-75 중량% 및 가소제 15-30 중량% 또는 20-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90)은 두께가 0.01-2.0mm 또는 0.1-1.0mm일 수 있다. 상기 투명층(90)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타일(1)의 하부의 인쇄층(70)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타일(1)은 선택적으로 내오염성, 내긁힘성, 내마모성 및 내캐스터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투명층(90) 상부에 표면처리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표면처리층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시켜 제조되는 것으로, 일례로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아크릴레이트 45-85 중량% 또는 50-80 중량% 및 광개시제 0.1-15 중량% 또는 0.1-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두께가 0.001-0.5mm 또는 0.01-0.1mm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상기 범위의 두께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오염성, 내긁힘성, 내마모성 및 내캐스터성 등의 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일례로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홈부 및 돌부로 구성되는 T&G(Tongue & Groove), 클릭(Click) 시스템 또는 커넥터에 의한 연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 일례로, 본 발명의 타일(1)은 시공 시 접착제가 필요 없는 클릭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두께가 2.0-10.0mm 또는 4.0-8.0mm일 수 있다. 상기 타일(1)의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행 시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장기간 사용 시 닳을 수 있으며,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 제조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1)은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1% 이하, 0.07% 이하, 또는 0.06% 이하일 수 있고, 폭 방향 치수 변화율이 0.05% 이하, 0.04% 이하 또는 0.0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치수 변화율은 상기 타일(1)을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상기 범위의 치수 변화율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1)은 휨 정도가 0.3mm 이하 또는 0.28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휨 정도는 ISO 23999에 규정된 컬링 측정 방법에 준하여, 타일(1)을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휨 정도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상기 범위의 휨 정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휨 변형 방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1)은 클릭 부위 손상이 관찰될 때의 회전 수가 17,000회 이상 또는 19,000회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회전 수는 ISO 10582에 따라, 상기 타일(1)을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캐스터 체어(castor chair) 테스트를 시행하여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회전 수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40,000회 이하 또는 35,000회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상기 범위의 회전 수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캐스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1)은 표면에 손상이 나타날 때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추의 높이가 220cm 이상 또는 240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추의 높이는 286g의 추를 50mm 단위의 높이로 본 발명의 타일(1)의 표면에 낙구시켜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의 높이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1000cm 이하 또는 800c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상기 범위의 추의 높이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내충격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1)은 중량충격음이 5 dB 이하 또는 4 dB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량충격음은 ISO 10140에 따라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충격음의 하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0dB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상기 범위의 중량충격음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차음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타일(1)은 상기 발포폼(10)과 밸런스층(30)의 박리강도가 1.9 kN/m 이상 또는 2.0kN/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박리강도는 고속 접착력 시험기를 이용하여 상기 발포폼(10)과 밸런스층(30)의 양 끝단을 50mm/min의 속도로 박리하면서 상기 발포폼(10) 및 밸런스층(30)이 갈라지는 데 걸리는 강도를 측정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박리강도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일례로 4.0kN/m 이하 또는 3.8kN/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일(1)은 상기 발포폼(10) 및 밸런스층(30)이 상기 범위의 박리강도 값을 가짐으로써 우수한 접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포폼(10), 밸런스층(30), 베이스층(50), 인쇄층(70) 및 투명층(90)을 제조하는 단계(S1); 하부에서 상부로 밸런스층(30), 베이스층(50), 인쇄층(70) 및 투명층(90)을 적층한 후 합판하는 단계(S3); 상기 밸런스층(30) 하부에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5); 및 상기 밸런스층(30) 하부에 발포폼(10)을 접착하는 단계(S7)를 포함하는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1% 이하인 타일(1)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발포폼(10)은 일례로, 발포폼(10)용 조성물을 140-180℃ 또는 150-170℃에서 혼련한 후 110-180℃ 또는 15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시트 상으로 제조한 후, 상기 시트를 180-220℃ 또는 190-210℃에서 30-70초 또는 40-60초의 조건 하에서 발포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밸런스층(30), 베이스층(50) 및 투명층(90)은 일례로, 밸런스층(30)용 조성물, 베이스층(50)용 조성물 및 투명층(90)용 조성물을 각각 140-180℃ 또는 150-170℃에서 혼련한 후 140-180℃ 또는 15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70)은 일례로, 단색필름용 조성물을 140-180℃ 또는 150-170℃에서 혼련한 후 140-180℃ 또는 15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단색필름을 제조한 후, 상기 단색필름 표면에 전사 인쇄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포폼(10), 밸런스층(30), 베이스층(50), 인쇄층(70) 및 투명층(90)은 위에서 설명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상기 (S3) 단계는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밸런스층(30), 베이스층(50), 인쇄층(70) 및 투명층(90)을 적층한 후 140-170℃ 또는 150-170℃에서 열 합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5) 단계는 일례로, 130-220℃ 또는 150-200℃로 가열되어 용융 상태인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를 코팅 롤을 통해 상기 밸런스층(30) 하부에 도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7) 단계는 하부에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밸런스층(30) 하부에 상기 발포폼(10)을 접착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밸런스층(30) 및 발포폼(10) 사이에 위치한 용융 상태의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가 고상으로 굳어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밸런스층(30) 및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20)이 상기 발포폼(10)을 잡아 주는 역할을 하여 상기 발포폼(10)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타일(1)의 제조방법은 선택적으로 상기 (S7) 단계 이후, 상기 투명층(90)의 상면에 표면처리층을 형성하는 단계(S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표면처리층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자외선 경화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처리층은 위에서 설명한 바, 반복되는 기재는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발포폼 , 밸런스층 , 베이스층 , 인쇄층 투명층을 제조하는 단계(S1)
PVC 수지(LG화학, LS080) 100 중량부, 탄산칼슘(렉셈, S1000) 50 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80 중량부, 발포제(아조디카본아마이드) 3 중량부 및 열안정제(CNA, BZ-011)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폼용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25mm인 시트를 200℃에서 50초의 조건 하에서 600%의 발포배율로 발포시켜 두께가 1.5mm인 발포폼을 제조하였다.
또한, PVC 수지(LG화학, LS080) 100 중량부, 탄산칼슘(렉셈, S1000) 100 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20 중량부 및 열안정제(CNA, BZ-011)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밸런스층용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8mm인 밸런스층을 제조하였다.
또한, PVC 수지(LG화학, LS080)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렉셈, S1000) 550 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32 중량부, 가공조제(LG화학, PA828) 9 중량부 및 열안정제(CNA, BZ-011)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용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3.1mm인 베이스층을 제조하였다.
또한, PVC 수지(LG화학, LS080) 100 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렉셈, S1000) 20 중량부, 가소제(LG화학, DOTP) 15 중량부, 열안정제(CNA, BZ-011) 2 중량부 및 안료(TiO2) 3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색필름용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제조된 백색의 단색필름 표면에 전사 인쇄하여 두께가 0.10mm인 인쇄층을 제조하였다.
또한, PVC 수지(LG화학, LS080)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소제(LG화학, DOTP) 30 중량부 및 열안정제(CNA, BZ-011) 5 중량부를 포함하는 투명층용 조성물을 160℃에서 혼련한 후 160-170℃에서 캘린더링 성형하여 두께가 0.50mm인 투명층을 제조하였다.
하부에서 상부로 밸런스층 , 베이스층 , 인쇄층 투명층을 적층한 후 합판하는 단계(S3)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적층한 후 150℃에서 열 합판하였다.
밸런스층 하부에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5)
170℃로 가열되어 용융 상태의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OPS 660)를 코팅 롤을 통해 상기 밸런스층 하부에 도포하였다.
이 때,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OPS 660)는 무정형 폴리올레핀 30 중량%, 점착 부여 수지(폴리(메틸스티렌-코-인덴)) 40 중량% 및 가소제(폴리이소부틸렌) 15 중량%를 포함하며, 180℃에서의 점도는 1,800-2,800cps였다.
밸런스층 하부에 발포폼을 접착하는 단계(S7)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OPS 660)가 도포된 상기 밸런스층 하부에 상기 발포폼을 접착시켜 6.0mm 두께의 타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S5) 단계에서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OPS 665)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의 타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OPS 665)는 무정형 폴리올레핀 40 중량%, 점착 부여 수지(폴리(메틸스티렌-코-인덴)) 40 중량% 및 가소제(폴리이소부틸렌) 15 중량%를 포함하며, 180℃에서의 점도는 800-1,100cps였다.
[비교예]
<비교예 1>
상기 (S5) 단계에서 아크릴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FA 70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의 타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아크릴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FA 700)는 아크릴 공중합체 50 중량%, 석회석 30 중량% 및 검 로진 10 중량%를 포함하며, 180℃에서의 점도는 20,000-62,000cps였다.
<비교예 2>
상기 (S3) 단계 이후, (S5) 단계 및 (S7) 단계를 실시하지 않고, 상기 밸런스층 하부에 상기 발포폼을 적층한 후, 120℃로 열 합판하여 두께가 5.1mm인 비교예 1의 타일을 제조하였다.
[참조예]
<참조예 1>
상기 (S5) 단계에서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OPS 30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참조예 1의 타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OPS 300)는 무정형 폴리올레핀 60 중량%, 점착 부여 수지 30 중량% 및 폴리이소부틸렌 5 중량%를 포함하며, 180℃에서의 점도는 1,500-2,500cps였다.
<참조예 2>
상기 (S5) 단계에서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OPS 79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참조예 2의 타일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주식회사 오공, OPS 790)는 점착 부여 수지 90 중량% 및 가소제(폴리이소부틸렌) 5 중량%를 포함하며, 180℃에서의 점도는 2,5000-3,200cps였다.
[시험예]
<치수 안정성>
각 타일을 150mmⅹ1220mm(가로ⅹ세로)의 크기로 재단한 후, 약 25℃의 상온에서 상기 재단된 각 타일의 길이 방향의 초기 치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재단된 각 타일을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기 재단된 각 타일의 길이 방향의 치수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하기 <식 1>에 의하여 치수 변화율(%)을 도출하였다.
<식 1>
치수 변화율(%) = [(후기 치수-초기 치수)/초기 치수]ⅹ100
<휨 안정성>
ISO 23999에 규정된 컬링 측정 방법에 준하여, 각 타일을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초기 타일의 상태를 기준으로 각 타일의 휨 정도를 측정하였다
<내캐스터성>
각 타일을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 ISO 10582에 따라 캐스터 체어(castor chair)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각 타일의 표면에 3개의 캐스터가 접하지 않도록 조절 핸들에 의해 캐스터 고정대를 올린 후에, 무게 90kg이 되도록 하중대에 하중을 실었다. 회전 속도 20rpm의 속도, 3분마다 반회전, 5,000-40,000 회전으로 세팅하고, 조절 핸들을 돌려 캐스터 고정대를 시험 대상인 마루용 화장재의 표면 상에 내렸다. 캐스터 고정대의 회전 구동 장치의 시동 스위치를 켜고 시험을 개시하여 각 타일의 클릭 부위 손상이 관찰될 때의 회전 수를 측정하였다.
<내충격성>
286g의 추를 50mm 단위의 높이로 각 타일의 표면에 낙구시켜 타일 표면에 손상이 나타날 때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추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차음성>
ISO 10140에 따라 각 타일의 중량충격음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중량충격음은 사람이 걷거나 뛸 때 저주파 진동에 의해 전달되는 소리를 의미한다.
<경도>
20-45℃에서의 실시예 1-2, 비교예 1 및 참조예 1-2의 각 타일의 핫멜트 접착층의 경도(Shore A)를 네덜란드 TQC사 휴대용 경도 측정기로 측정하였다.
<박리강도>
고속 접착력 시험기를 이용하여 각 타일의 발포폼과 밸런스층의 양 끝단을 50mm/min의 속도로 박리하면서 상기 발포폼 및 밸런스층이 갈라지는 데 걸리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참조예 1 참조예 2
발포폼과 밸런스층의 접착 방법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아크릴계 핫멜트 접착제 열 합판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치수 변화율(%) 길이 0.06 0.06 0.11 0.07 0.08 0.09
0.03 0.03 0.06 0.04 0.03 0.03
휨 정도(mm) 0.2 0.25 0.75 0.30 0.5 0.45
내캐스터성(회) 20,000 20,000 15,000 20,000 15,000 15,000
내충격성(cm) 250 250 250 200 250 250
중량충격음(dB) 4 4 4 6 4 4
핫멜트 접착층의 경도(shore A) 25 25 10 - 35 35
발포폼과 밸런스층 사이의 박리강도(kN/m) 2 2.1 1.8 1.6 1.7 1.6
실시예 1 및 2의 타일은 발포폼 및 밸런스층 사이에 경도가 25인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이 형성된 것으로, 내충격성 및 차음성이 우수하고, 장기간 사용 시에도 발포폼의 수축이 방지되어 치수 안정성, 휨 안정성 및 내캐스터성이 우수하였다. 아울러, 실시예 1 및 2의 타일은 발포폼 및 밸런스층 사이의 박리강도가 우수하여 접착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의 타일은 발포폼 및 밸런스층 사이에 경도가 10인 아크릴계 핫멜트 접착층이 형성되어 장기간 사용 시 상기 발포폼의 수축이 발생함에 따라 치수안정성, 휨 안정성 및 내캐스터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비교예 1의 타일은 발포폼과 밸런스층 사이의 박리강도가 저하되어 접착력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2의 타일은 열 합판을 통해 밸런스층 하부에 발포폼이 접착함에 따라 발포폼에 형성된 발포셀이 파괴되어 발포폼의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내충격성 및 차음성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비교예 2의 타일은 발포폼과 밸런스층 사이의 박리강도가 저하되어 접착력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참조예 1의 타일은 제조 시 사용되는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내 점착 부여 수지 및 가소제가 함량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고. 무정형 폴리올레핀이 함량범위 초과로 포함된 것으로, 휨 안정성 및 내캐스터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참조예 1의 타일은 제조 시 사용되는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에 겉마름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은 경도가 높아 얇게 형성되지 못하였고, 발포폼과 밸런스층 사이의 박리강도가 저하되어 접착력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참조예 2의 타일은 제조 시 사용되는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내 점착 부여 수지가 함량 범위 초과로 포함되고, 무정형 폴리올레핀이 포함되지 않으며, 가소제가 함량 범위 미만으로 포함된 것으로, 휨 안정성 및 내캐스터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더해, 참조예 2의 타일은 제조 시 사용되는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에 겉마름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은 경도가 높아 얇게 형성되지 못하였고, 발포폼과 밸런스층 사이의 박리강도가 저하되어 접착력이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타일 10: 발포폼
20: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 30: 밸런스층
50: 베이스층 70: 인쇄층
90: 투명층

Claims (15)

  1. 하부에서 상부로 발포폼,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포함하되,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은 무정형 폴리올레핀 20-55 중량%, 점착 부여 수지 35-55 중량% 및 가소제 10-30 중량%를 포함하며,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1% 이하인 것인 타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휨 정도(ISO 23999)가 0.3mm 이하인 것인 타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내캐스터성(ISO 10582, 캐스터 체어(castor chair) 테스트)이 17,000-40,000회인 것인 타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내충격성(286g의 추를 타일 표면에 낙구시켜 타일 표면에 손상이 나타날 때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추의 높이)이 220-1000cm인 것인 타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중량충격음(ISO 10140)이 5dB 이하인 것인 타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은 무정형 폴리올레핀 25-50 중량%, 점착 부여 수지 40-50 중량% 및 가소제 10-2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타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은 20-45℃에서의 경도(Shore A)가 15-30인 것인 타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 수지는 폴리(메틸스티렌-코-인덴)인 것인 타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폴리이소부틸렌인 것인 타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07% 이하인 것인 타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휨 정도(ISO 23999)가 0.28mm 이하인 것인 타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80(±2)℃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내캐스터성(ISO 10582, 캐스터 체어(castor chair) 테스트)이 19,000-35,000회인 것인 타일.
  14. 발포폼,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제조하는 단계(S1);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밸런스층, 베이스층, 인쇄층 및 투명층을 적층한 후 합판하는 단계(S3); 상기 밸런스층 하부에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5); 및 상기 밸런스층 하부에 발포폼을 접착하는 단계(S7);를 포함하고,
    상기 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층은 무정형 폴리올레핀 20-55 중량%, 점착 부여 수지 35-55 중량% 및 가소제 10-30 중량%를 포함하며, 80(±2)℃ 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길이 방향 치수 변화율이 0.1% 이하인 타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발포폼은 발포폼용 조성물을 캘린더링 성형하여 시트 상으로 제조한 후, 상기 시트를 발포시켜 제조된 것인 타일의 제조방법.
KR1020180152734A 2018-11-30 2018-11-30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2460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34A KR102460263B1 (ko) 2018-11-30 2018-11-30 타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2734A KR102460263B1 (ko) 2018-11-30 2018-11-30 타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475A KR20200066475A (ko) 2020-06-10
KR102460263B1 true KR102460263B1 (ko) 2022-11-01

Family

ID=7108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2734A KR102460263B1 (ko) 2018-11-30 2018-11-30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2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9841B1 (ko) * 1998-12-08 2006-05-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멜라민 시트 적층 바닥 장식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070048B1 (ko) 2008-11-24 2011-10-04 (주)엘지하우시스 바닥장식재
KR102244966B1 (ko) * 2015-06-19 2021-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
US10072186B2 (en) * 2015-07-31 2018-09-11 Fina Technology, Inc. Farnesene-based tackifying resins and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475A (ko)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4150B (zh) 光交联性透明粘合材料、透明粘合材料层叠体和光学装置构成用层叠体
US11692095B2 (en) Hydrogenated block copolymer, vibration damper, sound insulator,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dam rubber, shoe sole material, flooring material, laminate, and laminated glass
US8853328B2 (en) Sheet composition and sheet produced from same
US8236131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multilayer laminate comprising the same, article obtained by allowing the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to adhere thereto, and method for protecting surface of article
KR102261208B1 (ko) 열가소성 탄성중합체를 함유하는 바닥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3124777B (zh) 利用热熔粘合剂的粘合
EP1624037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CN101189317A (zh) 表面保护膜
CN104684432A (zh) 用于鞋底夹层和类似物的泡沫
CN106103089A (zh) 加热工序用表面保护膜
EP1767341A1 (en) Self 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BR112018068402B1 (pt) Processo para preparar um artigo espumado
KR102460263B1 (ko) 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103827413A (zh) 耐震构造物壁装用片材、其筛选方法和其施工方法
US20010024714A1 (en) Film for decorative sheet and decorative sheet using the same
JP4011167B2 (ja) 化粧金属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54118B2 (ja) 床材
JP4888834B2 (ja) 化粧シート
US9725627B2 (en) Protective elements made of polyolefin hot-melt adhesives
JP4857455B2 (ja) 耐候性に優れた化粧材
JP2922761B2 (ja) ノンハロゲン系床材
JP3093156B2 (ja) 化粧シート
JP2000326443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化粧金属板
JP2011152720A (ja) 樹脂封止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樹脂封止シート
JP2011119406A (ja) 太陽電池封止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太陽電池封止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