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673B1 -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673B1
KR102459673B1 KR1020210122282A KR20210122282A KR102459673B1 KR 102459673 B1 KR102459673 B1 KR 102459673B1 KR 1020210122282 A KR1020210122282 A KR 1020210122282A KR 20210122282 A KR20210122282 A KR 20210122282A KR 102459673 B1 KR102459673 B1 KR 102459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lighting
buffer
b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첨단공간정보
Priority to KR102021012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B08B1/00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5/00Measuring height; Measuring distances transverse to line of sight; Levelling between separated points; Surveyors'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지지부를 구비하여 지면에 설치할 수 있는 표척설치기구, 표척설치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 표척설치기구에 설치되어 표척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 표척설치기구에 설치되어 거리측정기의 거리값을 송출하는 송신기 및 표척설치기구에 인접한 지면에 설치되어 표척의 눈금을 확인할 수 있는 레벨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지면 상태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며, 표척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평면 좌표 및 표고 정보를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GEODETIC SURVEY SYSTEM FOR ACQUIRE GEODETIC SURVEY DATA WITH MINIMAL ERROR VALUE}
본 발명은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가 등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공공측량, 지하시설물 측량 등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측지측량이 이루어져야 한다. 측지측량이란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각 측정점들 상호간의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지측량 가운데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 토털스테이션 등의 측량장치를 이용하여 두 지점 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5mm * S/2 (여기서, 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이다) 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표척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단계로, 표척수(標尺手)가 표척(1)을 고도를 알고 있는 지상기준점(a0)에 세우고, 기계수(機械手)는 일정 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 등의 측량기기(2)로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제2단계로,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관측점(b1)에서 측량기기(2)의 방향을 전환하여 측량기기(2)를 통해 제1지점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지상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지상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제3단계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하고, 표척수가 표척(1)을 제자리(제1지점)에서 방향 전환시켜 표척(1)이 측량기기(2)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측량기기로 제1지점(a1)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제4단계로,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관측점(b2)에서 제2지점(a2)의 표척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표척(1)과 측량기기(2)를 계속하여 이동시키면서 각 지점의 표척과 각 관측점에서의 측량기기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이때, 정확한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측량기기가 안정적으로 수평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진동 등이 가해져도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 표척은 제자리에서 표척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야 하므로 지면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되며, 표척을 정확히 세우기 어려워 표척수가 표척을 잡고 있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표척의 표면에는 먼지 등이 묻어 눈금이 정확히 보이지 않을 경우, 표척수가 길이가 긴 표척을 닦아야 하는데, 이럴 경우 표척을 잡으면서 닦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 상태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며, 표척을 정확히 세울 수 있는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척을 용이하게 닦을 수 있고, 정확한 눈금확인이 가능하며, 평면 좌표 및 표고 정보를 통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수의 지지부를 구비하여 지면에 설치할 수 있는 표척설치기구; 표척설치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 표척설치기구에 설치되어 표척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 표척설치기구에 설치되어 거리측정기의 거리값을 송출하는 송신기; 및 표척설치기구에 인접한 지면에 설치되어 표척의 눈금을 확인할 수 있는 레벨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표척설치기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표척고정기구; 바디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먼지제거체를 구비한 표척먼지제거기구; 바디부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표척먼지제거기구를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재; 및 표척먼지제저기구의 회전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대에 삽입된 길이조절대를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표척먼지제거기구는, 바디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길이조절홀 및 길이조절홀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체결홀을 구비하여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 회전대의 상부 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홀을 구비하며 돌출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구비한 체결부; 및 회전대의 길이조절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길이조절대, 길이조절대의 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측방으로 개구된 표척통과홀을 구비하여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표척통과부 및 내부에 먼지제거부설치홀이 형성되며 표척통과부의 표척통과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먼지제거부설치홀에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천 재질의 먼지제거부가 설치되는 착탈체를 갖춘 먼지제거체;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레벨기구는, 다수의 레벨다리를 구비한 레벨설치대; 레벨설치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완충기구; 완충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부; 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장치; 및 레벨장치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조명기구;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수평조절부는, 레벨설치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평하우징; 수평하우징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장착판; 장착판의 하면 중앙에 결합되며 구형 외주면을 가지는 구형부와 구형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이 장착판의 중앙에 결합되는 수직봉을 구비한 회동체; 수평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에 고정되며 회동체의 구형부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구형 내주면을 가지는 회동지지체; 회동지지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회동체의 구형부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구형 내주면을 가지는 상측지지체; 및 일측은 장착판의 저면부를 지지하고 타측은 수평하우징의 상부면에 구름 접촉되어 장착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장착판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결합블록; 일측부가 결합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이스바; 일측부가 제1베이스바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베이스바의 내부로 이동되는 제1실장바; 제1실장바에 마련되어 수평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름 접촉되는 제1수평롤러; 일측부는 제1베이스바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실장바에 결합되어 제1실장바를 길이 조절되게 가이드하는 제1스프링부재; 일측부가 결합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이스바; 일측부가 제2베이스바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베이스바의 내부로 이동되는 제2실장바; 제2실장바에 마련되어 수평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름 접촉되는 제2수평롤러; 일측부는 제2베이스바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실장바에 결합되어 제2실장바를 길이 조절되게 가이드하는 제2스프링부재; 제1베이스바와 제2베이스바를 연결하여 제1베이스바와 제2베이스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디연결스프링; 및 상기 제1수평롤러와 제2수평롤러가 접촉되는 영역의 수평하우징 하부면에 마련되어 제1수평롤러와 제2수평롤러의 접촉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완충기구는, 회전기구의 하단에 결합되는 완충로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완충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며 수평조절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케이스; 완충로드의 하단 외측면에 링 형태로 결합되는 완충스토퍼; 완충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로드와 완충케이스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완충연결부; 및 완충스토퍼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완충스토퍼와 완충케이스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완충굴곡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완충굴곡부는, 완충스토퍼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1굴곡부; 제1굴곡부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굴곡부; 제2굴곡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3굴곡부; 제3굴곡부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4굴곡부; 및 제4굴곡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1자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5굴곡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승강부는,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구동부; 승강구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구형의 승강하우징; 승강구동부에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하로 승강하며 승강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축; 승강축의 외벽에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승강지지바디; 다수의 승강지지바디의 말단에 인출되게 장착되는 지지바; 지지바의 말단에 마련되어 승강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지지롤러; 일측부는 승강지지바디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지지바에 결합되어 지지바를 탄성 지지하는 승강스프링; 및 다수의 승강지지바디를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승강지지바디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시 승강 지지 바디, 지지바 및 지지롤러는 승강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승강되고, 지지롤러는 승강하우징의 내벽에 구름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에서 상기 조명기구는, 레벨장치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전방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레벨장치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레벨장치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레벨장치에 고정시키거나 레벨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표척을 닦을 시 표척수가 편한 위치에서 표척을 닦을 수 있어 표척의 표면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닦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표척의 표면의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수준측량을 할 시 기계수가 보다 정밀한 측량을 할 수 있고, 여러 곳에서 작업이 진행 중인 표고측정장치로부터 표고정보 및 표고정보에 따른 평면 위치좌표를 통합적으로 수집할 수 있으므로 측지측량데이터의 통합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표척과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표척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와 레벨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X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Y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와 레벨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X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5의 Y 부분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척설치기구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은 표고측정장치(A)와, 표고측정장치(A)와 통신하는 측지측량데이터수집장치(B)를 포함한다.
상기 표고측정장치(A)는 표척설치기구(100), 표척(200), 거리측정기(300), 송신기(400), 레벨기구(500), 표고정보수집기(600) 및, 반사기구(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고설치기구(100)는 표척고정기구(110), 표척먼지제거기구(120), 제1체결부재(130) 및, 제2체결부재(140)를 갖춘다.
상기 표척고정기구(110)는 바디부(111), 걸림부(112) 및, 지지부(113)를 갖춘다.
상기 바디부(111)는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111a)과, 수용공간(11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a)과 연통되며 하방으로 개구되는 거리측정기설치홀(111b)과, 수용공간(11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수용공간(111a)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되는 표척삽입홀(111c)과, 측면 상부에 측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는 고정홀(111d)을 갖춘다.
상기 걸림부(112)는 바디부(111)의 상부 측단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지지부(113)는 바디부(11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바디부(111)를 지지한다. 이때 지지부(113)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삼각대 구조를 이뤄 바디부(1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표척먼지제거기구(120)는 지지대(121), 회전대(122), 체결부(123) 및, 먼지제거체(124)를 갖춘다.
상기 지지대(121)는 표척고정기구(110)의 바디부(111)의 상부에 설치되며 걸림부(112)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대(122)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길이조절홀(122a)과, 길이조절홀(122a)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체결홀(122b)을 구비하여, 지지대(1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체결부(123)는 회전대(122)의 상부 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3a)와,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홀(123b1)을 구비하며 돌출부(123a)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123b)를 갖춘다.
상기 먼지제거체(124)는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단이 길이조절홀(122a)로부터 돌출되는 길이조절대와(124a)와, 길이조절대(124a)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124b)와, 측방으로 개구된 표척통과홀(124c1)을 구비하여 회전체(124b)의 상부에 설치되는 표척통과부(124c)와, 내부에 먼지제거부설치홀(124d1)이 형성되며 표척통과부(124c)의 표척통과홀(124c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먼지제거부설치홀(124d1)에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천 재질의 먼지제거부(124d2)가 설치되는 착탈체(124d)를 갖춘다.
상기 제1체결부재(130)는 체결부(123)의 관통홀(123b1) 및 바디부(111)의 고정홀(111d)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표척먼지제거기구(120)를 고정한다. 이때 제1체결부재(130)는 체결부(123)의 관통홀(123b1) 및 바디부(111)의 고정홀(111d)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체결부재(140)는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길이조절대(124a)를 고정한다. 이때 제2체결부재(140)는 회전대(122)의 길이조절홀(122a)에 나사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척(200)은 표척설치기구(100)의 표척삽입홀(11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둘레면에 눈금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표척(200)은 수준 측량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거리측정기(300)는 표척고정기구(110)의 거리측정기설치홀(111b)에 설치되어, 표척(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거리측정기(300)는 초음파,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기(400)는 표척설치기구(100)에 설치되어, 거리측정기(300)의 거리값을 무선 송출한다.
상기 레벨기구(500)는 표척설치기구(100)에 인접한 지면에 설치되어 표척(200)의 눈금을 확인할 수 있다. 레벨기구(5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표고정보수집기(600)는 레벨기구(500)를 이용하여 수집된 각각의 지점의 표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610)와, 표고 정보를 송신하는 표고정보송신모듈(620)을 갖춘다.
상기 반사기구(700)는 빛을 반사하여 표척(200) 주변으로 조류 또는 날벌레가 접근하지 않게 하므로 기계수가 수준 측량 작업을 더욱 정밀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측지측량데이터수집장치(B)는 다수의 지점에서 획득된 각각의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모듈(B1)과, 각각의 지점에 따른 표고정보를 저장하는 측지측량데이터DB(B2)와, 측지측량데이터DB(B2)에 저장된 표고정보 및 표고정보에 따른 평면좌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B3)을 갖춘다. 이때 표고정보에는 표고정보에 따른 평면 좌표가 포함되어 있어, 표고 정보가 획득된 지점의 평면 좌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측지측량데이터수집장치(B)는 단말기 형태로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레벨기구(50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척설치기구(10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표척수는 표척먼지제거기구(120)를 세운 후, 제1체결부재(130)를 이용하여 표척먼지제거기구(120)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표척수는 표척먼지제거기구(120)의 길이조절대(124a)를 상하 이동시키면서 먼지제거체(124)의 착탈체(124d)의 높이를 조절한 후, 제2체결부재(140)를 이용하여 길이조절대(124a)를 고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표척수는 먼지제거체(124)의 착탈체(124d)를 표척(200)을 삽입시키기 편한 위치로 회전시킨 후, 표척(200)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표척수는 표척(200)을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표척(200)의 표면은 먼지제거체(124)의 먼지제거부(124d)에 의해 닦여 표면에 묻은 먼지가 제거된다.
한편, 상기 먼지제거체(124)의 착탈체(124d)는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표척수는 작업하기 편한 다양한 위치에서 표척(200)의 표면을 닦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척수는 표척고정기구(110)의 지지부(113)를 조절하여 표척설치기구(100)의 수평을 맞힌 후, 닦여진 표척(200)을 표척고정기구(110)의 표척삽입홀(111c)에 삽입한다. 이후 기계수는 레벨기구(500)로 표척(200)의 눈금을 읽는다.
이때 상기 표척고정기구(110)에 설치된 거리측정기(300)는 표척(200)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값은 송신기(400)를 통해 레벨기구(500)로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레벨기구(500)는 기계수가 입력한 눈금과 거리측정기(300)가 측정한 거리값을 합산하여 표척(200)이 설치된 지점의 표고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상기 표척수 및 기계수는 일반적인 수준측량 방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다양한 지점의 표고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해당위치에 따른 표고정보를 표고정보수집기(600)의 표고정보송신모듈(620)을 통해 측지측량데이터수집장치(B)로 송출한다.
이때 상기 측지측량데이터수집장치(B)는 수신모듈(B1)를 통해 표고정보 및 표고정보에 따른 평면 위치좌표를 수신하고, 수신된 표고정보를 해당위치에 따라 측지측량데이터DB(B2)에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조절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레벨기구(500)는, 다수의 레벨다리(501)를 구비한 레벨설치대(502), 레벨설치대(502)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조절부(800), 수평조절부(8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완충기구(1000), 완충기구(1000)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1100), 회전기구(1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부(1200), 승강부(1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장치(503) 및 레벨장치(503)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조명기구(1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레벨기구(500)는 표척(200)의 눈금을 확인하여 눈금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510)를 구비하고, 입력장치(510)로부터의 눈금과 거리측정기(300)로부터의 거리값을 연산하여 지면으로부터 표척(200)의 눈금까지의 높이를 연산한다.
또한, 상기 레벨기구(500)는 기준국(10) 및 인공위성(G)과 통신하여 정확한 평면 위치 좌표값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국(10)은 GPS안테나(11a)를 갖추고서, 인공위성(G)로부터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11)와, GPS수신기(11)로부터 전달받은 현재의 위치값과 저장된 절대값을 상호 연산하여 GPS보정값을 출력하는 제어부(12)와, DGPS안테나(13a)를 갖추고서, 제어부(12)로부터 GPS보정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DGPS송신기(1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기준국(10)의 제어부(12)를 통해 연산된 GPS보정값(즉 위치 값)은 DGPS송신기(13)로 전달되고, DGPS송신기(13)와 연결된 DGPS안테나(13a)를 통해 레벨기구(500)로 무선 송출된다.
그리고 상기 레벨기구(500)는 DGPS안테나(521)를 갖추고서, 기준국(10)의 DGPS송신기(13)로부터 GPS보정 값을 수신받는 DGPS수신기(520)와, GPS안테나(531)를 갖추고서, 인공위성(G)으로부터 현재 위치값을 수신받는 GPS수신기(530)와, DGPS수신기(520)로부터 받은 GPS보정값을 이용하여 GPS안테나(531)의 정밀위치 연산을 통해 레벨기구(500)의 정밀위치를 확인하는 제어부(540)를 갖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레벨기구(500)의 일반적인 기능은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조절부(800)는 레벨설치대(502)의 상부에 결합되며, 수평하우징(810), 장착판(820), 회동체(830), 회동지지체(840), 상측지지체(850) 및 수평유지부(900)를 포함한다.
측지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면이 경사진 경우 장착판(820)이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그 상부에 결합된 레벨장치(503)도 기울어지게 되는데, 이때 후술되는 수평유지부(900)의 제1실장바(921)와 제2실장바(931)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 장착판(82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수평하우징(810)은 레벨설치대(502)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수평하우징(810)의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이러한 개방된 공간을 통해 장착판(820)과 후술되는 완충기구(10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판(820)은 수평하우징(8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된다. 장착판(820)의 하면 중앙에는 회동체(830)가 결합된다. 회동체(830)는 장착판(8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직봉(831)과 수직봉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구형 외주면을 가지는 구형부(8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하우징(810)의 내측 하부면에는 회동체(830)의 구형부(832)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구형 내주면을 가지는 회동지지체(840)가 고정된다. 상기 회동지지체(840)의 상부에는 회동체(830)의 구형부(832)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구형 내주면을 가지는 상측지지체(850)가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회동지지체(840)와 상측지지체(850)에 의해 회동체(830)의 구형부(832)는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하우징(810)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유지부(900)는 다수 개로 구성되며, 장착판(820)의 저면에 결합된다. 수평유지부(900)의 일측은 장착판(820)의 저면부를 지지하고 타측은 수평하우징(810)의 내측 하부면에 구름 접촉되어 장착판(820)의 수평을 유지한다.
상기 수평하우징(810)의 상부면에는 중심 방향을 향해 단면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수직변위제한부(8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변위제한부(811)는 장착판(820)의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크기를 제한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직변위제한부(811)의 하부면에는 수직감지센서부(860)가 장착된다. 수직감지센서부(860)는 장착판(820)이 접촉되면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수직감지센서부(860)에 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지면에 심한 요철 또는 깊은 웅덩이 또는 급경사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지형에서는 정확한 측량정보를 수신하거나 검출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판(820)의 양 단부에는 수평하우징(81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제1가이드바(870)가 결합되고, 제1가이드바(870)의 단부에는 각각 제1롤러(871)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판(820)의 양 단부 내부에는 지지스프링(872)이 결합되며, 지지스프링(872)은 그 일단이 장착판(820)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가이드바(870)에 결합되어 제1가이드바(870)를 탄성 지지한다.
상기 수평하우징(810)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가이드레일(812)이 장착되며, 이러한 가이드레일(812)에 제1롤러(871)가 수용 지지되어 장착판(820)이 수평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수평유지부(900)는, 장착판(820)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결합블록(910), 일측부가 결합블록(9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이스바(920), 일측부가 제1베이스바(9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베이스바(920)의 내부로 이동되는 제1실장바(921), 제1실장바(921)에 마련되어 수평하우징(810)의 하부면에 구름 접촉되는 제1수평롤러(922), 일측부는 제1베이스바(920)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실장바(921)에 결합되어 제1실장바(921)를 길이 조절되게 가이드 하는 제1스프링부재(923), 일측부가 결합블록(9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이스바(930), 일측부가 제2베이스바(9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베이스바(930)의 내부로 이동되는 제2실장바(931), 제2실장바(931)에 마련되어 수평하우징(810)의 하부면에 구름 접촉되는 제2수평롤러(932), 일측부는 제2베이스바(930)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실장바(931)에 결합되어 제2실장바(931)를 길이 조절되게 가이드 하는 제2스프링부재(933), 제1베이스바(920)와 제2베이스바(930)를 연결하여 제1베이스바(920)와 제2베이스바(930)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디연결스프링(94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유지부(900)는 전기 에너지 없이 스프링을 이용한 기계적 구조로 작동될 수 있고, 수평하우징(810)이 기울어지거나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수평유지부(900)에 마련된 제1스프링부재(923), 제2스프링부재(933) 및 바디연결스프링(940)이 완충 작용을 하여 수평유지부(900)나 다른 부품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실장바(921)와 제2실장바(931)는 제1스프링부재(923)와 제2스프링부재(933)에 의해 장착판(820)의 기울기에 대응되게 자동으로 길이 조절될 수 있고, 장착판(820)이 원 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제1스프링부재(923)와 제2스프링부재(933)이 신축에 의해 원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판(820)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이 아래로 내려오도록 기울어지면, 처음에는 제1베이스바(920)와 제2베이스바(93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고 제1실장바(921) 및 제2실장바(931)가 제1베이스바(920) 및 제2베이스바(930) 내부로 들어와서 길이가 짧아지게 되나, 제1스프링부재(923), 제2스프링부재(933) 및 바디연결스프링(9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베이스바(920)와 제2베이스바(930) 사이의 간격이 다시 좁아지고 제1실장바(921) 및 제2실장바(931)가 제1베이스바(920) 및 제2베이스바(930) 외부로 나가면서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장착판(820)의 좌측이 위로 올라가게 되면서 수평이 맞추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수평롤러(922)와 제2수평롤러(932)가 접촉되는 영역의 수평하우징(810) 하부면에는 압전소자부(950)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판(820)이 기울어짐시 제1수평롤러(922)와 제2수평롤러(932)가 압전소자부(950)의 상부를 지나가면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 전기 에너지는 다른 부품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충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기구(1000)는 완충로드(1010), 완충케이스(1020), 완충스토퍼(1030), 완충연결부(1040) 및 완충굴곡부(10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회전기구(1100)의 하단에 장착된다.
상기 완충로드(1010)는 회전기구(1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원판 형태의 완충체결부(1011) 및 완충체결부(1011)의 하부 중앙에 연장되는 원통 형태의 완충원통부(10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케이스(102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완충로드(1010)의 하단이 수용된다. 이러한 완충케이스(1020)의 하단에는 수평조절부(800)가 결합된다.
상기 완충스토퍼(1030)는 완충로드(1010)의 완충원통부(1012)의 하부 외측면에 결합된다. 완충스토퍼(1030)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10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지면으로부터 큰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져서 완충로드(1010)가 크게 흔들릴때, 완충스토퍼(1030)는 완충케이스(102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대변위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완충스토퍼(10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1020)의 내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갭(G)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연결부(1040)는 완충로드(10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로드(1010)와 완충케이스(1020)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완충스토퍼(1030)와 완충연결부(104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연결부(1040)는 완충로드(1010)의 하단과 완충케이스(1020)의 내측 하부면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는 완충상하부(1041) 및 완충상하부(1041)의 측부에 연장되어 완충케이스(1020)의 내측 측면 사이를 좌우로 연결하는 완충좌우부(1042)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연결부(1040)는 전체적으로 '십(十)'자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완충스토퍼(1030)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1020)의 내측면 사이, 즉 갭(G)에는 완충굴곡부(1050)가 결합되어 완충스토퍼(1030)와 완충케이스(1020) 사이를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완충굴곡부(1050)는 제1굴곡부(1051), 제2굴곡부(1052), 제3굴곡부(1053), 제4굴곡부(1054) 및 제5굴곡부(10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1굴곡부(1051)는 완충스토퍼(103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굴곡부(1052)는 제1굴곡부(1051)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3굴곡부(1053)는 제2굴곡부(1052)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4굴곡부(1054)는 제3굴곡부(1053)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5굴곡부(1055)는 제4굴곡부(1054)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1자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10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굴곡부(1051)의 상하 높이는 제3굴곡부(1053)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제3굴곡부(1053)의 상하 높이는 제5굴곡부(1055)의 상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굴곡부(1051)로부터 제5굴곡부(1055) 방향으로 갈수록 완충굴곡부(1050)의 전체적인 높이는 점차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굴곡부(1051) 내지 제5굴곡부(1055)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굴곡부(1051)와 제2굴곡부(1052) 사이의 각도, 제2굴곡부(1052)와 제3굴곡부(1053) 사이의 각도, 제3굴곡부(1053)와 제4굴곡부(1054) 사이의 각도 및 제4굴곡부(1054)와 제5굴곡부(1055) 사이의 각도는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완충스토퍼(1030)와 완충케이스(1020) 사이의 물리적인 갭(G)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완충굴곡부(1050)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간격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완충스토퍼(1030)의 잦은 접촉으로 인한 소음은 줄이면서 대변위 진동 제어에는 유리한 특성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로드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기구(1100)는, 승강부(12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승강부(1200) 및 그 상부에 결합된 레벨장치(503)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회전부(1110) 및 수평회전부(1110)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전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회전부(1110)는, 승강부(1200)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단과 후단이 개방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회전케이스(1111), 회전케이스(1111) 내부에 수용되며 상단이 승강부(1200)의 하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회전케이스(1111)의 하단을 관통하여 회전제어부(1120)에 수용되는 회전로드(1112), 회전로드(1112)의 측부에 돌출 연장되는 회전연장판(1113), 회전케이스(1111)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연장판(1113)의 상부면과 접촉되는 회전걸림부(1111a) 및 회전연장판(1113)의 하부면과 회전케이스(1111)의 내측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볼(1114)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로드(1112)는 회전케이스(1111) 및 다른 부품에 대해 상대적인 수평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1112)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부(1200) 및 레벨장치(503)도 수평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111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로드(1112)의 측부에는 회전연장판(1113)이 외측으로 링 형태로 돌출 연장된다. 회전연장판(1113)은 회전걸림부(1111a)에 접촉된다.
상기 다수의 회전볼(1114)은 회전케이스(1111)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1112)가 수평 회전할 때 회전케이스(1111)와 회전로드(1112)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주어 회전로드(1112)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벨장치(503)의 방향을 전환함에 있어서 레벨장치(503)를 결합하여 세운 상태에서 그대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으므로 레벨장치(503)의 위치가 변동됨에 따른 측량 오차를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제어부(1120)는 수평회전부(1110)의 하단에 장착되며, 제어케이스(1121), 제어로드(1122), 멈춤부(1123), 제어스프링(1124), 방지부(1125), 제어이동부(1126), 제어이동케이스(1127) 및 제어손잡이(11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케이스(11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케이스(1111)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어케이스(1121)의 상단에는 회전케이스(1111)와 연통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이러한 홀을 통해 회전로드(1112)의 하단이 제어케이스(11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1122)는 제이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며, 회전로드(1112)와 직교하는 방향(즉,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로드(1122)의 우측 단부에는 멈춤부(1123)가 결합되고, 제어로드(1122)의 좌측 단부에는 방지부(1125)가 결합된다.
상기 멈춤부(1123)는 납작한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제어로드(1122)의 좌우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회전로드(1112)의 하부에는 다수의 멈춤홈(1112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데, 멈춤부(1123)는 이러한 멈춤홈(1112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로드(11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1123)는 회전로드(1112)의 멈춤홈(1112a)에 삽입 수용되고, 제어로드(11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멈춤부(1123)는 회전로드(1112)의 멈춤홈(1112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멈춤부(1123)가 회전로드(1112)의 멈춤홈(1112a)에 삽입 수용되면, 회전로드(1112)는 멈춤부(1123)에 가로막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고정된다. 멈춤부(1123)가 회전로드(1112)의 멈춤홈(1112a)으로부터 이탈되면 회전로드(1112)는 다시 수평 회전 가능하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회전로드(1112)의 멈춤홈(1112a)에는 다수의 멈춤돌기(1112b)가 돌출될 수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1112b)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멈춤홈(11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다수의 멈춤돌기(1112b)는 마주보는 멈춤돌기(1112b)끼리 소정의 높이 차이를 둘 수 있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의 멈춤돌기(1112b)는 깍지를 낀 손처럼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있다.
다수의 멈춤돌기(1112b)는 멈춤부(1123)가 회전로드(1112)의 멈춤홈(1112a)에 삽입되었을 때 멈춤부(1123)가 멈춤홈(1112a)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고 그 내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스프링(1124)은 멈춤부(1123)와 회전케이스(1111)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된다. 제어스프링(1124)은 제어로드(1122) 및 멈춤부(1123)를 좌측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방지부(1125)는 제어케이스(1121)의 측부에 형성된 방지홈(1121a)에 삽입될 수 있다. 제어로드(1122)가 좌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1125)는 방지홈(1121a)에 삽입되고, 제어로드(1122)가 우측으로 이동되었을 때 방지부(1125)는 방지홈(1121a)으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방지부(1125)의 외측면과 방지홈(1121a)의 내측면은 톱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방지부(1125)가 방지홈(1121a)에 삽입되었을 때, 제어로드(1122) 및 멈춤부(1123)는 축 회전 및 상하전후 이동이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회전로드(1112)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이동부(1126)는 방지부(1125)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며, 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어이동케이스(1127)는 제어케이스(1121)의 측부에 결합되며 제어이동부(1126)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어이동부(1126)는 제어이동케이스(1127)에 수용되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어손잡이(1128)는 제어이동케이스(1127)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어손잡이(1128)는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제어손잡이(1128)의 하단은 제어이동부(1126)의 상부면에 접촉된다.
사용자가 제어손잡이(1128)를 잡고 아래로 힘을 가하면, 제어손잡이(1128)의 하단부가 제어이동부(1126)의 상부면에 접촉되면서 제어이동부(1126)를 밀게되고, 이에 따라 제어이동부(1126)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이동부(1126)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방지부(1125)는 방지홈(1121a)으로부터 이탈되고, 제어로드(1122)는 제어스프링(1124)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어로드(1122)가 우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멈춤부(1123) 역시 멈춤홈(1112a)으로부터 이탈되고, 회전로드(1112) 및 그 상부에 결합된 레벨장치(503)는 멈춤부(1123)의 제약 없이 자유롭게 수평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레벨장치(503)의 수평 회전이 끝나면, 사용자는 제어손잡이(1128)를 놓고, 제어스프링(1124)의 탄성력에 따라 제어로드(1122)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어로드(1122)가 좌측으로 이동하면, 멈춤부(1123)가 멈춤홈(1112a)에 삽입되어 회전로드(1112)의 수평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방지부(1125)는 방지홈(1121a)에 삽입되며, 제어이동부(1126)는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어손잡이(1128)를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1200)는 회전기구(1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승강부(1200)의 상부에는 레벨장치(503)가 결합된다. 승강부(1200)에 의해 레벨장치(503)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200)는 승강구동부(1210), 승강하우징(1280), 승강축(1220), 다수의 승강지지바디(1230), 지지바(1240), 지지롤러(1250), 승강스프링(1260) 및 연결스프링(1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구동부(1210)는 회전기구(1100)의 상부에 장착되며, 회전모터 등으로 구성되어 승강축(122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승강(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하우징(1280)은 내부가 비어있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승강구동부(12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승강하우징(1280)의 내부에는 승강축(1220), 승강지지바디(1230), 지지바(1240), 지지롤러(1250), 승강스프링(1260) 및 연결스프링(1270) 등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축(1220)은 승강구동부(1210)의 상부에 연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승강하우징(1280)의 하단에는 승강축(12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승강축(1220)은 이러한 홀을 관통하여 승강구동부(1210)와 연결된다. 또한, 승강하우징(1280)의 상단에도 승강축(1220)이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며, 승강축(1220)의 상단은 이러한 홀을 관통하여 레벨장치(503)와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승강지지바디(1230)는 승강축(1220)의 외벽에 힌지 결합된다. 즉, 승강지지바디(1230)는 승강축(1220)에 결합된 부분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바(1240) 및 지지롤러(1250)도 상하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다수의 승강지지바디(1230)는 4개로 구성되며, 승강지지바디(1230)가 승강축(122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측에 2개가 배치되고, 하측에 2개가 배치된다.
상기 지지바(1240)는 4개의 승강지지바디(1230)의 각각의 말단에 인출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지지바(1240)가 인출 가능하므로 승강지지바디(1230)의 단부로부터 지지바(1240)의 단부까지의 전체 길이는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지지바(1240)의 말단에는 각각 지지롤러(12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지지롤러(1250)는 승강하우징(1280)의 내측 벽에 구름 접촉되며, 지지바(1240)를 지지한다.
상기 승강스프링(1260)은 일측부가 승강지지바디(1230)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지지바(1240)에 결합되며, 지지바(124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승강스프링(1260)에 의해 지지바(1240)는 승강하우징(1280)의 내측 벽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상기 연결스프링(1270)은 4개의 승강지지바디(1230)를 서로 연결하며, 다수의 승강지지바디(1230)가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스프링(1270)은 4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승강지지바디(1230)가 승강축(122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승강지지바디(12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스프링(1270), 승강지지바디(1230)가 승강축(122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승강지지바디(12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스프링(1270), 승강지지바디(1230)가 승강축(122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승강지지바디(12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스프링(1270) 및 승강지지바디(1230)가 승강축(122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승강지지바디(123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스프링(12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부(1210)의 작동시 승강지지바디(1230), 지지바(1240) 및 지지롤러(1250)는 승강축(1220)과 함께 회전되면서 승강되고, 지지롤러(1250)는 승강하우징(1280)의 내벽에 구름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승강구동부(1210)의 작동에 의해 승강축(1220)이 상승되면, 승강지지바디(1230)가 승강축(122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승강지지바디(1230)에 각각 결합된 지지바(1240)는 승강스프링(126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승강지지바디(1230)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승강지지바디(1230) 및 지지바(1240)의 전체적인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또한, 승강구동부(1210)의 작동에 의해 승강축(1220)이 상승되면, 승강지지바디(1230)가 승강축(122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승강지지바디(1230)에 각각 결합된 지지바(1240)는 승강스프링(126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지지바디(1230)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승강지지바디(1230) 및 지지바(1240)의 전체적인 길이는 늘어나게 된다.
상기 승강구동부(1210)의 작동에 의해 승강축(1220)이 하강되면, 승강지지바디(1230)가 승강축(122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승강지지바디(1230)에 각각 결합된 지지바(1240)는 승강스프링(126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지지바디(1230)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승강지지바디(1230) 및 지지바(1240)의 전체적인 길이는 늘어나게 된다.
또한, 승강구동부(1210)의 작동에 의해 승강축(1220)이 하강되면, 승강지지바디(1230)가 승강축(1220)에 결합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측에 배치된 한 쌍의 승강지지바디(1230)에 각각 결합된 지지바(1240)는 승강스프링(1260)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승강지지바디(1230)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승강지지바디(1230) 및 지지바(1240)의 전체적인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강구동부(1210)의 작동에 따라 승강축(1220)이 승강되어 승강지지바디(1230) 및 지지바(1240)의 길이가 유기적으로 가변될 수 있으므로 승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강축(1220)의 승강 시 4개의 지지롤러(1250)가 승강하우징(1280)의 내벽에 구름 접촉되면서 승강축(1220)을 지지하므로 안정적이며, 승강축(1220)의 승강 중에 승강하우징(1280)에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승강스프링(1260)과 연결스프링(1270)이 수축 또는 팽창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기구(1300)는, 레벨장치(503)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1310), 조명케이스(1310)의 좌측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1320) 및 조명케이스(1310)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133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소켓(1320)에는 조명원이 삽입된다. 조명원은 조명소켓(1320)에 돌려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1320)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조명케이스(1310)에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1310)는 다시 레벨장치(503)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1311)와 레벨장치(503)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1312)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1311)와 제2조명케이스(1312)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1313)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1311)와 제2조명케이스(1312)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1314)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1310)를 레벨장치(503)에 고정시키거나 레벨장치(503)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기구(1300)를 레벨장치(503)에 결합함으로써 야간에도 손쉽게 측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측량 작업이 외진 곳에서 실시되어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1311)와 제2조명케이스(1312)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1315)이 종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수의 조명레일(1315)은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면이 'T'자 형태로 형성되어 태양전지모듈(1330)이 다수의 조명레일(13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명케이스(1310) 외부에 삽입되는 태양전지모듈(1330)의 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태양에너지 수급 효율을 보일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모듈(1330)은 다수의 조명레일(131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1330)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1331)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1311)와 제2조명케이스(1312)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1332)으로 형성된다.
상기 태양전지판(1331)은 조명기구(1300)의 각 부품에 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태양전지판(1331)은 효율이 뛰어난 플라스틱 기판을 이용한 박막 태양전지 셀을 이용하며, 최대 전압은 11 내지 24V이고, 최대 전력은 80 내지 100W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접촉면(1332)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1333)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1311)와 제2조명케이스(1312)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1333)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1334)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제1조명케이스(1311)와 제2조명케이스(1312)의 외측면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태양전지모듈(1330)의 조명접촉면(1332)에는 태양전지모듈(1330)을 조명케이스(1310)에 결합시키는 자석접촉부(1333)와 조명간격부(1334)가 교대로 형성되며, 자석접촉부(1333)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방열 효과가 뛰어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소켓(1320)과 조명케이스(1310)의 좌측면 사이에는 열전도피막(1322)이 형성된다. 상기 열전도피막(1322)은 열 전도성이 뛰어난 소재로 이루어지며, 조명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조명케이스(1310)로 전달하여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명소켓(1320)은 우측 단부의 접착제(1321)를 통해 열전도피막(13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조명소켓(1320)의 하부에는 리드선(1323)이 연결되어 열전도피막(1322)에 결합된다. 상기 열전도피막(1322)의 좌측면 일측에는 동박패턴(1324)이 형성되어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케이스(1310)의 우측면에는 추가로 방열판을 설치하여 방열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명원에서 발생된 열은 조명소켓(1320)의 통해 조명케이스(1310)로 바로 전달되는 방식, 리드선(1323)을 통해 조명케이스(1310)로 전달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방열되고, 그리고도 남아있는 열은 열전도피막(1322)의 우측면에 결합된 동박패턴(1324)을 통해 외기로 방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2가지 상이한 방식을 통해 신속하게 조명소켓(1320)의 열을 방출하고, 남아있는 열은 동박패턴(1324)을 통해 빠르게 방출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회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표척설치기구 200 : 표척 300 : 거리측정기
400 : 송신기 500 : 레벨기구 501 : 레벨다리
502 : 레벨설치대 503 : 레벨장치 600 : 표고정보수집기
700 : 반사기구 800 : 수평조절부 810 : 수평하우징
811 : 수직변위제한부 812 : 가이드레일 820 : 장착판
830 : 회동체 831 : 수직봉 832 : 구형부
840 : 회동지지체 850 : 상측지지체 860 : 수직감지센서부
870 : 제1가이드바 871 : 제1롤러 872 : 지지스프링
900 : 수평유지부 910 : 결합블록 920 : 제1베이스바
921 : 제1실장바 922 : 제1수평롤러 923 : 제1스프링부재
930 : 제2베이스바 931 : 제2실장바 932 : 제2수평롤러
933 : 제2스프링부재 940 : 바디연결스프링 950 : 압전소자부
1000 : 완충기구 1010 : 완충로드 1011 : 완충체결부
1012 : 완충원통부 1020 : 완충케이스 1030 : 완충스토퍼
1040 : 완충연결부 1041 : 완충상하부 1042 : 완충좌우부
1050 : 완충굴곡부 1051 : 제1굴곡부 1052 : 제2굴곡부
1053 : 제3굴곡부 1054 : 제4굴곡부 1055 : 제5굴곡부
1100 : 회전기구 1110 : 수평회전부 1111 : 회전케이스
1111a : 회전걸림부 1112 : 회전로드 1112a : 멈춤홈
1112b : 멈춤돌기 1113 : 회전연장판 1114 : 회전볼
1120 : 회전제어부 1121 : 제어케이스 1121a : 방지홈
1122 : 제어로드 1123 : 멈춤부 1124 : 제어스프링
1125 : 방지부 1126 : 제어이동부 1127 : 제어이동케이스
1128 : 제어손잡이 1200 : 승강부 1210 : 승강구동부
1220 : 승강축 1230 : 승강지지바디 1240 : 지지바
1250 : 지지롤러 1260 : 승강스프링 1270 : 연결스프링
1280 : 승강하우징 1300 : 조명기구 1310 : 조명케이스
1311 : 제1조명케이스 1312 : 제2조명케이스 1313 : 조명핀
1314 : 조명잠금장치 1315 : 조명레일 1320 : 조명소켓
1321 : 접착제 1322 : 열전도피막 1323 : 리드선
1324 : 동박패턴 1330 : 태양전지모듈 1331 : 태양전지판
1332 : 조명접촉면 1333 : 자석접촉부 1334 : 조명간격부

Claims (1)

  1. 다수의 지지부를 구비하여 지면에 설치할 수 있는 표척설치기구; 표척설치기구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눈금이 표시되는 표척; 표척설치기구에 설치되어 표척의 저면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기; 표척설치기구에 설치되어 거리측정기의 거리값을 송출하는 송신기; 및 표척설치기구에 인접한 지면에 설치되어 표척의 눈금을 확인할 수 있는 레벨기구; 를 포함하되,
    상기 표척설치기구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표척고정기구; 바디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먼지제거체를 구비한 표척먼지제거기구; 바디부의 측부에 형성된 고정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표척먼지제거기구를 고정시키는 제1체결부재; 및 표척먼지제저기구의 회전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회전대에 삽입된 길이조절대를 고정시키는 제2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표척먼지제거기구는,
    바디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측방으로 개구된 길이조절홀 및 길이조절홀과 연통되며 상방으로 개구된 다수의 체결홀을 구비하여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대; 회전대의 상부 측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방으로 개구된 관통홀을 구비하며 돌출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를 구비한 체결부; 및 회전대의 길이조절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길이조절대, 길이조절대의 측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 측방으로 개구된 표척통과홀을 구비하여 회전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표척통과부 및 내부에 먼지제거부설치홀이 형성되며 표척통과부의 표척통과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먼지제거부설치홀에 파이프 형상을 이루는 천 재질의 먼지제거부가 설치되는 착탈체를 갖춘 먼지제거체; 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기구는,
    다수의 레벨다리를 구비한 레벨설치대; 레벨설치대의 상부에 결합되는 수평조절부; 수평조절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완충기구; 완충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회전기구;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부; 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레벨장치; 및 레벨장치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조명기구;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조절부는,
    레벨설치대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수평하우징; 수평하우징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장착판; 장착판의 하면 중앙에 결합되며 구형 외주면을 가지는 구형부와 구형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단이 장착판의 중앙에 결합되는 수직봉을 구비한 회동체; 수평하우징의 내측 하부면에 고정되며 회동체의 구형부의 하부면에 대응하는 구형 내주면을 가지는 회동지지체; 회동지지체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회동체의 구형부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구형 내주면을 가지는 상측지지체; 및 일측은 장착판의 저면부를 지지하고 타측은 수평하우징의 상부면에 구름 접촉되어 장착판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평유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유지부는,
    상기 장착판의 저면부에 마련되는 결합블록; 일측부가 결합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이스바; 일측부가 제1베이스바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1베이스바의 내부로 이동되는 제1실장바; 제1실장바에 마련되어 수평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름 접촉되는 제1수평롤러; 일측부는 제1베이스바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1실장바에 결합되어 제1실장바를 길이 조절되게 가이드하는 제1스프링부재; 일측부가 결합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베이스바; 일측부가 제2베이스바의 내부에 배치되어 제2베이스바의 내부로 이동되는 제2실장바; 제2실장바에 마련되어 수평하우징의 하부면에 구름 접촉되는 제2수평롤러; 일측부는 제2베이스바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2실장바에 결합되어 제2실장바를 길이 조절되게 가이드하는 제2스프링부재; 제1베이스바와 제2베이스바를 연결하여 제1베이스바와 제2베이스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바디연결스프링; 및 상기 제1수평롤러와 제2수평롤러가 접촉되는 영역의 수평하우징 하부면에 마련되어 제1수평롤러와 제2수평롤러의 접촉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기구는,
    회전기구의 하단에 결합되는 완충로드;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완충로드의 하단이 수용되며 수평조절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완충케이스; 완충로드의 하단 외측면에 링 형태로 결합되는 완충스토퍼; 완충로드의 하부에 결합되며 완충로드와 완충케이스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완충연결부; 및 완충스토퍼의 외측면과 완충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결합되어 완충스토퍼와 완충케이스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완충굴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굴곡부는,
    완충스토퍼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1굴곡부; 제1굴곡부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굴곡부; 제2굴곡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며 1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3굴곡부; 제3굴곡부의 하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4굴곡부; 및 제4굴곡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1자 형태로 형성되며 완충케이스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제5굴곡부; 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회전기구의 상부에 결합되는 승강구동부; 승강구동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구형의 승강하우징; 승강구동부에 연결되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하로 승강하며 승강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승강축; 승강축의 외벽에 힌지 결합되는 다수의 승강지지바디; 다수의 승강지지바디의 말단에 인출되게 장착되는 지지바; 지지바의 말단에 마련되어 승강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는 지지롤러; 일측부는 승강지지바디의 내부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지지바에 결합되어 지지바를 탄성 지지하는 승강스프링; 및 다수의 승강지지바디를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승강지지바디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시 승강 지지 바디, 지지바 및 지지롤러는 승강축과 함께 회전되면서 승강되고, 지지롤러는 승강하우징의 내벽에 구름 접촉되며,
    상기 조명기구는,
    레벨장치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사각링 형태의 조명케이스; 조명케이스의 전방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조명소켓; 및 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케이스는 카메라의 상부측에 놓이는 제1조명케이스와 카메라의 하부측에 놓이는 제2조명케이스로 구분되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일측 사이는 조명핀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고,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타측에는 조명잠금장치가 장착되어 조명케이스를 레벨장치에 고정시키거나 레벨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며,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조명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태양전지모듈은 다수의 조명레일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판 형태로 형성되고, 태양전지모듈의 일측면은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접촉되는 조명접촉면으로 형성되며, 조명접촉면에는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조명케이스와 제2조명케이스의 상하면에 결합되고, 상호 이격된 다수의 자석접촉부 사이는 원호 형상의 조명간격부가 길이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0210122282A 2021-09-14 2021-09-14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459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282A KR102459673B1 (ko) 2021-09-14 2021-09-14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282A KR102459673B1 (ko) 2021-09-14 2021-09-14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673B1 true KR102459673B1 (ko) 2022-10-27

Family

ID=8381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282A KR102459673B1 (ko) 2021-09-14 2021-09-14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143B1 (ko) * 2023-10-17 2024-02-29 주식회사 고산공간정보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13B1 (ko) * 2013-07-12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KR101831265B1 (ko) * 2017-11-29 2018-02-23 중앙항업(주) 공간정보의 높이체계를 타원체고 및 정표고로 일괄적으로 자동 변환이 가능하게 하는 3차원 공간정보 변환기
KR101915288B1 (ko) * 2018-06-08 2019-01-07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측정된 오차값을 최소화하는 측지측량장치
KR102171730B1 (ko) * 2020-03-19 2020-10-29 (주)원지리정보 측량정보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수준 측지측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213B1 (ko) * 2013-07-12 2014-01-15 (주)미도지리정보 수준측량을 통한 표고 확인 시스템
KR101831265B1 (ko) * 2017-11-29 2018-02-23 중앙항업(주) 공간정보의 높이체계를 타원체고 및 정표고로 일괄적으로 자동 변환이 가능하게 하는 3차원 공간정보 변환기
KR101915288B1 (ko) * 2018-06-08 2019-01-07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측정된 오차값을 최소화하는 측지측량장치
KR102171730B1 (ko) * 2020-03-19 2020-10-29 (주)원지리정보 측량정보의 오차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정확한 측량이 가능한 수준 측지측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143B1 (ko) * 2023-10-17 2024-02-29 주식회사 고산공간정보 정확한 측량이 가능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지하시설물 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188B1 (ko) 측지측량데이터의 오차발생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시스템
CN100541119C (zh) 距离测量装置、测距仪及其固定件
KR102307335B1 (ko) 수준 측량 데이터의 오차를 감소시켜 측량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459673B1 (ko) 오차값을 최소화한 측지측량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2319288B1 (ko) 수준 측량을 위한 표척의 보조연결장치를 구비한 측지측량장치
KR102336834B1 (ko) 지리정보를 수집하여 수준 측량을 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349116B1 (ko) 지형지물의 변화에 따른 기존 촬영이미지의 실시간 편집을 위한 영상도화 갱신시스템
CN110926440A (zh) 激光测绘仪、二维平面户型及三维立体户型的测绘方法
KR101223124B1 (ko) 지표면 측지측량의 오차율을 최소화하는 수준측량 관측시스템
KR101223125B1 (ko) 정밀 수준측량에 따른 표고정보 업데이트시스템
KR102415009B1 (ko) 측정된 데이터의 오차값을 최소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KR101531025B1 (ko)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KR101229531B1 (ko) 지형변화에 따른 기준점별 지피에스좌표의 정밀 적용을 통한 지표면의 측지측량 관측시스템
KR102108446B1 (ko) 지피에스 좌표의 기준점을 활용한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KR101319042B1 (ko) 지표면의 기준점 위치확인 및 지형정보를 적용한 공간 영상도화용 보정시스템
KR101388425B1 (ko) 수치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수치지도 업데이트 시스템
CN210603316U (zh) 激光测绘仪
KR101909627B1 (ko) 지리정보에 대한 수집 데이터를 정밀하게 획득하여 수치정보에 적용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N214954089U (zh) 一种多功能激光测距仪
KR101319039B1 (ko) 공간영상도화 이미지 업그레이드 시스템
CN114279450A (zh) 一种激光定位导航系统及其定位方法
KR102606587B1 (ko) 측정된 오차값을 최소화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N207471063U (zh) 全站型电子测距仪支架
KR101349654B1 (ko) 수치지도 제작용 항공영상이미지 초정밀 공간영상도화를 위한 수준측량 스타프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309901B1 (ko) Gps 좌표를 기반으로 지형구조물의 위치를 식별하여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